KR20150110858A -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858A
KR20150110858A KR1020140032695A KR20140032695A KR20150110858A KR 20150110858 A KR20150110858 A KR 20150110858A KR 1020140032695 A KR1020140032695 A KR 1020140032695A KR 20140032695 A KR20140032695 A KR 20140032695A KR 20150110858 A KR20150110858 A KR 20150110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reproduction
image
vide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터넷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3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858A/ko
Publication of KR2015011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제공 방법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있어서, 광고 영상의 재생 횟수정보가 포함된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재생 횟수만큼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나면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는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선택하면,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영상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재생횟수에 따라 영상서버에 광고영상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영상 요청부와, 재생 제어부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인식정보 관리부와,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광고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영상을 재생하며,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광고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An advertisement displaying method and a video player}
본 발명은 광고 제공 방법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있어서, 광고 영상의 재생 횟수정보가 포함된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재생 횟수만큼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나면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고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하여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왔으며, 광고를 전달하는 매체는 신문, 잡지, 방송 등 전통적 매체에서 정보통신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인터넷, 휴대폰 등 IT 단말기로 확대되고 있다.
동영상 광고는 TV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로 대표적으로 TV 방송의 동영상 광고는 방송사에서 제작한 방송 콘텐츠나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방송물이 방영되는 막간에 방송되거나 그러한 방송물이 시작되기 전, 후, 또는 중간에 방송되는 광고로 방송 광고주는 자신의 광고노출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하는 스폰서쉽(sponsorship)을 제공하고 있는데 TV 광고는 다수의 시청자에게 일방적이고 무차별적으로 방영되는 방송의 특성상 짧은 시간 광고노출에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영세하고 국지적인 광고주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광고 수단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근래에,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광고 서비스가 각광받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광고는 오프-라인(off-line) 매체를 이용한 광고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이용 가능하며, 사용자에 대한 노출성 및 접근성이 우수하다. 즉, 인터넷을 이용한 광고는 비용 대비 효과가 오프-라인 매체를 이용한 광고보다 우수하다. 따라서, 인터넷 광고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터넷 광고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방법 및 효과를 갖는 인터넷 광고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동영상 광고 방법은 디지털 콘텐츠를 플레이하기 전에 또는 중간에 광고를 삽입하여 제공하는 광고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시에 스케줄링되어 있는 광고 순서에 따라 정형적으로 클라이언트에게 광고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광고를 능동적으로 인지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광고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광고주와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광고 재생 방법에 있어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기술은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RM과 같은 인식정보는 불법 유통 및 배포로부터 서비스 또는 콘텐츠를 보호하는 기술의 하나로, 유료 서비스 또는 유료 콘텐츠의 안전한 배포를 보장하고, 불법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DRM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있으며,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서비스 또는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 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00-0072474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재생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 있어서, 광고 영상의 재생 횟수정보가 포함된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재생 횟수만큼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나면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도록 하는 광고 제공 방법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장치는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선택하면,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영상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재생횟수에 따라 영상서버에 광고영상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영상 요청부와, 재생 제어부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인식정보 관리부와,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광고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영상을 재생하며,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광고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광고영상 요청부는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인식정보로부터 추출한 재생횟수가 1이상이면,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 또는 이전에 해당 광고영상을 영상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재생 제어부는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제3단계, 인식정보 관리부는 재생 제어부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이 헤드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제4단계,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재생 제어부는 해당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 및 재생장치는 광고 영상의 재생 횟수정보가 포함된 인식정보를 분석하여, 재생 횟수만큼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나면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가 소진된 광고의 재생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미리 지정된 재생횟수만큼 광고를 시청할 수 있으며, 광고주는 과도한 광고비 지출을 아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재생 장치가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100)에 연결된 개인 단말(200), 영상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0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개인 단말(200)은 네트워크(1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단말(200)은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영상 서버(300)는 개인 단말(20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개인 단말(200)에게 광고 영상 및 콘텐츠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영상 서버(300)는 개인 단말(200)에서 재생된 광고 영상의 재생 정보를 관리하여 재생 단말에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 영상을 개인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단말(200)의 재생장치는 광고영상 요청부(210), 인식정보 관리부(220), 재생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선택하면, 광고영상 요청부(210)는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영상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인식정보는 DRM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상기 영상 데이터의 헤드에는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과 재생횟수, 플레이할 광고 영상에 대한 인식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재생횟수에 따라 영상서버(300)에 광고영상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재생횟수가 1이상이면,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 또는 이전에 해당 광고영상을 영상서버(30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 그러나 재생횟수가 0이면 광고영상을 영상서버(300)에 요청하지 않는다.
인식정보 관리부(220)는 재생 제어부(230)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이 헤드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한다. 즉, 광고영상이 재생될 때마다 콘텐츠 영상의 헤드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횟수는 1씩 감해지게 된다.
재생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영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이때,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재생 제어부(230)는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상기 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 영상을 재생한다. 그러나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재생 제어부(230)는 해당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서버(300)는 수신부(310), 영상 저장부(320) 및 영상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개인 단말(200)의 재생장치로부터 콘텐츠 영상 및 광고 영상의 요청을 수신한다.
영상 저장부(320)는 컨텐츠 영상 및 광고 영상을 식별 정보와 연관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개인 단말(200)의 식별 정보는 개인 단말(200)을 타 단말과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ID와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330)는 개인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 영상 및 광고 영상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재생 장치가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개인 단말(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개인 단말(2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면(S410), 광고 영상 요청부(210)는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의 헤드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한다(S420). 상기 영상 데이터의 헤드에는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과 재생횟수, 플레이할 광고 영상에 대한 인식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재생횟수에 따라 영상서버(300)에 광고영상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S430). 상기 인식정보로부터 추출한 재생횟수가 1이상이면,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 또는 이전에 해당 광고영상을 영상서버(30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S440). 그러나 재생횟수가 0이면 광고영상을 영상서버(300)에 요청하지 않는다.
재생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 영상의 재생을 시작한다. 이때,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재생 제어부(230)는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상기 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 영상을 재생한다(S450). 그러나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재생 제어부(230)는 해당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게 된다(S470).
인식정보 관리부(220)는 재생 제어부(230)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이 헤드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한다(S460). 즉, 광고영상이 재생될 때마다 콘텐츠 영상의 헤드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횟수는 1씩 감해지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200 : 개인 단말
210 : 광고영상 요청부 220 : 인식정보 관리부
230 : 재생 제어부 300 : 영상 서버
310 : 수신부 320 : 영상 저장부
330 : 영상 제공부

Claims (7)

  1.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선택하면, 재생하고자 하는 콘텐츠 영상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인식정보에 포함된 재생횟수에 따라 영상서버에 광고영상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광고영상 요청부와,
    재생 제어부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인식정보 관리부와,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광고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영상을 재생하며,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광고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영상 요청부는 재생횟수가 1이상이면,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 또는 이전에 해당 광고영상을 영상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며, 재생횟수가 0이면 광고영상을 영상서버에 요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정보는 DRM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헤드에는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과 재생횟수, 플레이할 광고 영상에 대한 인식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5.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면, 광고영상 요청부는 재생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인식정보를 추출하는 제1단계;
    상기 인식정보로부터 추출한 재생횟수가 1이상이면,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 또는 이전에 해당 광고영상을 영상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제2단계;
    상기 재생횟수 정보가 1이상이면, 재생 제어부는 콘텐츠 영상을 재생하다가 재생시점 정보를 참조하여 광고 영상을 재생하는 제3단계;
    인식정보 관리부는 재생 제어부가 광고영상의 재생을 완료하면, 콘텐츠 영상이 헤드에 포함된 인식정보에서 재생한 횟수를 감하여 재생횟수 정보를 저장하는 제4단계;
    재생횟수 정보가 0이면, 재생 제어부는 해당 광고 영상의 재생을 생략하고 콘텐츠 영상만을 재생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정보는 DRM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헤드에는 광고영상을 플레이할 시점과 재생횟수, 플레이할 광고 영상에 대한 인식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KR1020140032695A 2014-03-20 2014-03-20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KR20150110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695A KR20150110858A (ko) 2014-03-20 2014-03-20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695A KR20150110858A (ko) 2014-03-20 2014-03-20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858A true KR20150110858A (ko) 2015-10-05

Family

ID=5434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695A KR20150110858A (ko) 2014-03-20 2014-03-20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8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8660A (zh) * 2022-05-19 2022-06-17 广东省广告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媒体广告投放方法
WO2024005400A1 (ko) * 2022-06-27 2024-01-04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상품권 nft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8660A (zh) * 2022-05-19 2022-06-17 广东省广告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媒体广告投放方法
WO2024005400A1 (ko) * 2022-06-27 2024-01-04 주식회사 위버스컴퍼니 상품권 nft 연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6683B2 (en) Refreshing content items in offline or virally distributed content
US11532016B2 (en) Multiple playback local ad rotation
US87327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n advertisement in a media stream
US9438966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and providing an option to maintain an advertising experience
US8365295B2 (en) System and/or method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KR101259915B1 (ko) 커스터마이즈된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212937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Content Distribution Program, And Content Reproduction Program
US20080288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ssociated data related to primary media data via email
US201901912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erting Breakpoints and Reference Links into a Media File
US20110078002A1 (en) Alternative advertisement placement in recorded content streams
US20190373296A1 (en) Content streaming system and method
US9210207B2 (en) Time-sensitive content manipulation in adaptive streaming buffer
KR20120103961A (ko) 사용자 맞춤형 연관광고 제공장치, 연관광고 재생용 휴대단말 및 사용자 맞춤형 연관광고 제공방법
US9173001B1 (en) Media content access systems and methods
US8370198B2 (en) Registering media for configurable advertising
KR20150110858A (ko)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US813561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ent delivery
US201701957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d content based on network load distribution
KR20130075866A (ko) 메신저 서비스 연동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0855A (ko)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KR20150111525A (ko) 광고 제공방법 및 재생장치
CN108419120B (zh) 一种视频节目点播方法及设备
EP2595403A1 (en) Method for providing video content to a user
US11743515B1 (en) Substitution of items in a central video library for personally recorded video content
KR20150110856A (ko) 광고 제공방법 및 영상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