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80A -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80A
KR20150110180A KR1020140034225A KR20140034225A KR20150110180A KR 20150110180 A KR20150110180 A KR 20150110180A KR 1020140034225 A KR1020140034225 A KR 1020140034225A KR 20140034225 A KR20140034225 A KR 20140034225A KR 20150110180 A KR20150110180 A KR 2015011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ump
line
working fluid
wast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태중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180A/ko
Priority to US14/666,879 priority patent/US9890804B2/en
Publication of KR2015011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3/00General layout or general methods of operation of complete plants
    • F01K13/02Controlling, e.g. stopping or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은,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팽창시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상기 터빈을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기로 송출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랭킨 회로, 건설기계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펌프와 상기 작동유가 귀환하는 유압 탱크를 구비하는 유압 시스템, 및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유압 탱크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의 유압을 상기 랭킨 회로의 펌프의 구동원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유압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WASTE HEAT RECOVERY SYSTEM USING HYDRAULIC SYSTEM}
본 발명은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으로부터의 유압 에너지를 이용하는 폐열회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화수소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해 경량화, 터보차저, 연료분사 시스템, 냉각 시스템 및 다운사이징과 같이 엔진, 부가장치 및 마찰 등 동력 발생 단계에서의 기술 개선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동력 발생 이후의 단계에서 배출가스나 엔진 냉각수 등으로 버려지는 폐 에너지(Waste Energy)를 회수하여 전기 에너지 또는 기계 에너지로 재생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폐 에너지 회수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는 주요한 이유는 높은 효율을 갖는 엔진에서조차 버려지는 에너지가 여전히 상당하며, 연비 개선을 위한 연소 및 엔진 주변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어느 정도 한계에 도달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즉, 효율이 향상된 엔진의 일 예로서 대형의 상용 트럭용 디젤 엔진의 에너지 균형을 살펴보면, 연료의 최대 에너지 전환 효율은 42% 수준에 불과하고, 나머지 31%는 기계적 마찰 및 냉각 손실로 버려지고 27%는 배기 에너지 형태로 버려지고 있어서 여전히 그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파워트레인의 폐 에너지를 활용한 연비 향상 기술 중 현재 가장 주목 받는 기술로써 유기 랭킨 사이클(Organic Rankine Cycle) 기술을 들 수 있으며, 이 기술은 현재 주요 선진국 및 제조사 중심으로 활발한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며 근 미래에 널리 상용화 될 전망이다. 일례로, 미국 에너지성(DOE) 지원 하에 온실가스 저감 및 연비개선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대규모 기술개발 프로젝트인 SuperTruck 프로그램 등에서도 유기 랭킨 사이클 기술은 매우 적극적으로 상용화 개발 중에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건설기계의 유압 에너지를 활용하여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은,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팽창시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상기 터빈을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기로 송출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랭킨 회로, 건설기계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펌프와 상기 작동유가 귀환하는 유압 탱크를 구비하는 유압 시스템, 및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유압 탱크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의 유압을 상기 랭킨 회로의 펌프의 구동원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유압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를 상기 펌프로 선택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를 갖는 유압 회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상기 작동유를 상기 펌프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공급 라인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작동유를 회수하기 위한 바이패스 회수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수부는 상기 유압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수부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어큐뮬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시스템은 상기 유압 펌프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엑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컨트롤밸브 및 상기 유압 탱크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는 조작 장치를 위한 파일럿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파일럿 펌프 및 상기 조작 장치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유기 작동유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유기 랭킨 사이클의 펌프는 유압 시스템의 폐 유압 에너지를 회수하여 전달된 유압을 구동원으로 하여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삭기, 휠로더와 같은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유압 에너지를 활용하여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폐열회수 시스템은, 엔진의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랭킨 회로(20), 건설기계의 액추에이터(50, 52)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펌프(30, 32)와 상기 작동유가 귀환하는 유압 탱크(60)를 구비하는 유압 시스템, 및 상기 작동유의 유압을 구동원으로서 상기 랭킨 회로의 펌프(28)로 전달하여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구동원으로서 디젤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터보차저를 통과하여 배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에는, 주로 NOx 저감을 위하여 배기가스의 일부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EGR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EGR 시스템은 EGR 라인에 설치되며 재순환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EGR 밸브 및 상기 재순환 배기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한 EGR 쿨러를 포함할 수 있다.
랭킨 회로(20)는 작동유체의 순환로에 작동유체의 흐름 방향에서 보았을 때 순차적으로 장착된,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증발기(22), 증발기(22)에 의해 가열되어 과열 상태가 되는 상기 작동유체의 팽창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하는 터빈(24), 터빈(24)을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26), 및 상기 작동유체를 순환시키는 펌프(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발전기(25)는 터빈(24)에 의해 구동되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기 통로는 폐열 제공부(1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랭킨 회로(20)의 증발기(22)는 상기 배기 통로를 흐르는 배기가스로부터 상기 작동유체로 흡열을 행함으로써 상기 엔진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랭킨 회로(20)의 증발기(22)는 상기 EGR 라인을 통해 흐르는 재순환 배기가스로부터 상기 작동유체로 흡열을 행함으로써 상기 엔진의 폐열을 회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랭킨 회로(20)는 유기 작동유체를 사용하는 유기 랭킨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작동유체는 프레온이나 톨루엔 등과 같은 물보다 비등점이 낮고 증기압이 높은 유기열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엔진은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제1 펌프(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펌프(32)는 제1 펌프(3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은 제1 펌프(30) 및 제2 펌프(32)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제1 펌프(30)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컨트롤밸브(MCV)(40)에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밸브(40)는 굴삭기에 있어서 유압 시스템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일 수 있다.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는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된 상부 선회체, 및 상기 상부 선회체에 설치된 운전실, 및 붐, 암 및 버켓을 구비하는 작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밸브(40)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붐 실린더(50a), 암 실린더(50b) 및 버킷 실린더(50c)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액추에이터들(5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붐 실린더, 암 실린더 및 버켓 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들 각각은 메인 펌프인 제1 펌프(3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밸브(40)는 고압유압라인을 통하여 우측용 주행유압모터(52a), 좌측용 주행유압모터(52b) 및 선회 모터(52c)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액추에이터들(5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우측용 주행유압모터, 상기 좌측용 주행유압모터 및 상기 선회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들 각각은 제1 펌프(30)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의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작동유는 리턴 유압라인(62)을 통해 유압 탱크(60)로 귀환될 수 있다. 이 때, 리턴 유압라인(62)을 통해 흐르는 작동유는, 예를 들면, 랭킨 회로(20)의 펌프(28)를 구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제2 펌프(32)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조작 장치(54)와 같은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펌프(32)는 파일럿 작동유를 토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펌프인 제2 펌프(32)로부터의 파일럿 작동유는 컨트롤밸브(40)의 입력단에서 대기하고, 조작 장치(54)의 조작에 따라 컨트롤밸브(40)의 대응하는 하나의 밸브를 개방시키고 리턴 유압라인을 통해 오일 탱크(60)로 회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파일럿라인을 통해 흐르는 파일럿 작동유 역시, 예를 들면, 랭킨 회로(20)의 펌프(28)를 구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유압 펌프(30) 및 유압 탱크(60)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의 유압을 랭킨 회로(20)의 펌프(28)의 구동원으로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유압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남은 작동유를 활용하여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리턴 유압라인(62)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을 갖는 유압 회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상기 작동유를 펌프(28)의 구동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공급 라인(72) 및 펌프(28)로부터 상기 작동유를 유압 탱크(60)로 회수하기 위한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공급 라인(72)은 제1 제어 밸브(74a)에 의해 리턴 유압라인(62)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은 제2 제어 밸브(74b)에 의해 리턴 유압라인(62)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수부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터(regulator) 및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 및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흐르는 작동유의 압력, 유량 등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레귤레이터(76a) 및 제1 어큐뮬레이터(78a)는 바이패스 공급 라인(72)에 설치되고, 제2 레귤레이터(76b) 및 제2 어큐뮬레이터(78b)는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밸브(40)로부터 회수되는 작동유는 바이패스 공급 라인(72)을 통해 펌프(28)로 공급되어 이를 구동시킨 후 저압이 되어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을 통하여 유압 탱크(60)로 회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유압 에너지를 활용하여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은 유압 동력전달장치의 연결되는 유압라인을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폐열회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펌프(32)는 파일럿라인(64)을 통하여 조작 장치(54)와 같은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펌프(32)는 서브 펌프로서 파일럿 작동유를 토출할 수 있다. 이 때, 파일럿라인(64)을 통해 흐르는 파일럿 작동유 역시, 예를 들면, 랭킨 회로(20)의 펌프(28)를 구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파일럿라인(64)에 연결되고 상기 파일럿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라인을 갖는 유압 회수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상기 파일럿 작동유를 펌프(28)의 구동원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공급 라인(72) 및 펌프(28)로부터 상기 파일럿 작동유를 유압 탱크(60)로 회수하기 위한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공급 라인(72)은 제1 제어 밸브(74a)에 의해 파일럿라인(64)에 연결되고,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은 제2 제어 밸브(74b)에 의해 파일럿라인(6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펌프(40)로부터 토출된 파일럿 작동유는 바이패스 공급 라인(72)을 통해 펌프(28)로 공급되어 이를 구동시킨 후 저압이 되어 바이패스 회수 라인(73)을 통하여 유압 탱크(60)로 회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유압 에너지를 활용하여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 이외에도 휠로더와 같은 다른 건설기계의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유압 에너지를 활용하여 유기 랭킨 사이클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폐열 제공부 20: 랭킨 회로
22: 증발기 24: 터빈
25: 발전기 26: 응축기
28: 펌프 30: 제1 펌프
32: 제2 펌프 40: 컨트롤밸브
50: 액추에이터 50a: 붐 실린더
50b: 암 실린더 50c: 버켓 실린더
52a: 우측용 주행유압모터 52b: 좌측용 주행유압모터
52c: 선회 모터 54: 조작 장치
60: 유압 탱크 62: 리턴 유압라인
64: 파일럿라인 70, 71: 유압 회수부
72: 바이패스 공급 라인 73: 바이패스 회수 라인
74a: 제1 제어 밸브 74b: 제2 제어 밸브
76a: 제1 레귤레이터 76b: 제2 레귤레이터
78a: 제1 어큐뮬레이터 78b: 제2 어큐뮬레이터

Claims (8)

  1.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가열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를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팽창시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터빈, 상기 터빈을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를 경유한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증발기로 송출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랭킨 회로;
    건설기계의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압 펌프와 상기 작동유가 귀환하는 유압 탱크를 구비하는 유압 시스템; 및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유압 탱크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의 유압을 상기 랭킨 회로의 펌프의 구동원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유압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유를 상기 펌프로 선택적으로 우회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유로를 갖는 유압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상기 작동유를 상기 펌프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 공급 라인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작동유를 회수하기 위한 바이패스 회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수부는 상기 유압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을 연결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회수부는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레귤레이터 및 어큐뮬레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시스템은 상기 유압 펌프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엑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컨트롤밸브 및 상기 유압 탱크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는 조작 장치를 위한 파일럿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파일럿 펌프 및 상기 조작 장치 사이의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유기 작동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KR1020140034225A 2014-03-24 2014-03-24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KR20150110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25A KR20150110180A (ko) 2014-03-24 2014-03-24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US14/666,879 US9890804B2 (en) 2014-03-24 2015-03-24 Engine system utilizing hydraulic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225A KR20150110180A (ko) 2014-03-24 2014-03-24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80A true KR20150110180A (ko) 2015-10-02

Family

ID=5434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225A KR20150110180A (ko) 2014-03-24 2014-03-24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1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60B1 (ko) * 2016-12-14 2018-02-08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건설기계의 폐열 회수를 이용한 웜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60B1 (ko) * 2016-12-14 2018-02-08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건설기계의 폐열 회수를 이용한 웜업 시스템
WO2018110894A1 (ko) * 2016-12-14 2018-06-21 재단법인 건설기계부품연구원 건설기계의 폐열 회수를 이용한 웜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6113B (zh) 基于有机朗肯循环的发动机废热回收系统
EP3387243A1 (en) Inverted brayton cycle heat engine
US20080041046A1 (en) Engine waste heat recovery system
CN103052774A (zh) 船舶用脱硝系统及具备该系统的船舶、以及船舶用脱硝系统的控制方法
CN101169067A (zh) 带有热回收系统的发动机设备及相关的热回收方法
AU2015255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train waste heat recovery
CN102472121A (zh) 使用有机郎肯循环的能量回收系统
KR101449141B1 (ko) 차량의 폐열 회수 시스템을 이용한 터보장치
JP2012163076A (ja) 舶用発電システム
KR101814878B1 (ko) 선박 추진 시스템 및 선박 및 선박 추진 시스템의 운전 방법
CN112392626B (zh) 用于柴油机的余热综合能量回收装置
CN104487661B (zh) 内燃机系统及具备该内燃机系统的船舶以及内燃机系统的运行方法
KR101496716B1 (ko) 폐열 회수 가능한 선박용 동력 장치
CN103180573A (zh) 用于发电的固定发电站,特别是燃气发电站
KR101355146B1 (ko) 유기 랭킨 사이클을 이용한 선박의 폐열 회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297657A (ja) 電力貯蔵型ガスタービン発電設備
KR20150110180A (ko) 유압 활용 폐열회수 시스템
KR101271188B1 (ko) 선박용 폐열 회수 시스템
US20150267725A1 (en) Engine system utilizing hydraulic pressure
CN210088955U (zh) 一种用于抽汽集成与蓄热调峰耦合的联合循环装置
CN201598974U (zh) 大型旋挖钻机双发动机动力装置
KR20130106495A (ko) 개선된 구조의 터보 컴파운드 시스템
KR102183217B1 (ko) 유압 활용 엔진 시스템
CN215057596U (zh) 一种煤矿瓦斯发电机组余热梯级利用系统
CN201786457U (zh) 燃气透平机尾气发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