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93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934A
KR20150109934A KR1020140033524A KR20140033524A KR20150109934A KR 20150109934 A KR20150109934 A KR 20150109934A KR 1020140033524 A KR1020140033524 A KR 1020140033524A KR 20140033524 A KR20140033524 A KR 20140033524A KR 20150109934 A KR20150109934 A KR 2015010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ing request
service
base station
scheduling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368B1 (ko
Inventor
오진영
정경인
곽용준
노상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368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5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terminals via a wireless link, e.g. side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요청(scheduling request)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방법은, 둘 이상의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장치에서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 방법으로,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 인덱스와 옵셋의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REQUEST AND ALLOCATING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을 요청(scheduling request)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인 비동기 셀룰러 이동 통신 표준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기존의 기지국과 단말 간의 무선 통신뿐 아니라 단말 또는 기기 간의 무선 통신, 즉 기기 대 기기(D2D: Device-to-Device) 통신을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규격에서 지원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D2D 방식은 공공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공공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은 경찰관, 소방관, 군인 등 공공 안전에 관련된 모든 사람 및 그에 관련된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다양한 대상이 하나의 자원을 사용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공공 안전 그룹에 대하여 자원을 나누어서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 그룹은 경찰관 그룹, 소방관 그룹과 같이 공공 안전 역할에 따라 그룹을 나눌 수도 있으며, 필요에 의해, 혹은 설정에 따라서 그룹을 나눌 수 있다. 이렇게 그룹이 결정되게 되면, 각 그룹은 공공 안전을 위한 전체 통신 자원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을 설정하여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통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통신 자원이란 주파수 자원, 혹은 시간 자원, 혹은 공간 자원 등 통신에서 자원으로 기술되는 모든 차원의 자원을 말할 수 있다. 이때, D2D 통신에서 데이터의 전송으로 사용되는 채널은 기존 LTE 역방향 데이터 채널인 물리 역방향 공용 채널(Physical Uplink Share Channel: 이하 "PUSCH"라 함)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PUSCH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D2D는 기존의 이동 통신 시스템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주파수 또는 시간에는 D2D 통신을 사용하고, 나머지 영역에서는 기 사용 중인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면, 단말이 기지국과 통신하거나 D2D 단말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만일 이동 통신 시스템과 D2D 통신 간에 자원이 주파수 또는 시간 축으로 구분되어 있다면, 단말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통신 서비스에 따라 상향 링크 스케줄링 자원을 요구하고, 해당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아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처럼 구분하여 자원의 할당을 요청하거나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구분된 스케줄링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단말로부터 요구된 스케줄링 요청에 대하여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및 단말 대 단말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이 해당 통신 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스케줄링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이 이동 통신 및 단말 대 단말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단말로부터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할 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방법은, 둘 이상의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장치에서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 방법으로,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 인덱스와 옵셋의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방법은, 기지국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가 전자장치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전자장치로 둘 이상의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으로 각 서비스별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을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의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하여 스케줄링 요청하기 위한 전자장치로,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 인덱스와 옵셋의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둘 이상의 서비스가 전자장치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으로 각 서비스별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으로 각 서비스별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을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하여 할당하고,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각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주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적용하면, 이동통신 시스템과 D2D 방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단말이 해당 방식에 따라 스케줄링을 요청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요구된 스케줄링 요청에 따라 단말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은 셀룰러 전송 및 D2D 전송을 위한 자원 설정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구분하여 스케줄링 요청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구분하여 스케줄링 요청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스케줄링 요청 및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구분된 스케줄링 요청을 활용한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송수신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송수신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송수신을 위한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송수신을 위한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을 할당하는 주체로서, eNode B, eNB, Node B, BS(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컴퓨터, 또는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E-UTRA(혹은 "LTE"라 함) 혹은 Advanced E-UTRA(혹은 "LTE-A"라 함) 시스템을 일례로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및/또는 채널 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발명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셀룰러 전송 및 D2D 전송을 위한 자원 설정 방법에 대한 일 예시도이다.
도 1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지국에서의 동작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기지국은 셀룰러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과 D2D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을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다. 먼저 D2D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공 안전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공공 안전 서비스를 제공받는 대상은 경찰관, 소방관, 군인 등 공공 안전에 관련된 모든 사람 또는/및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대상이 하나의 자원을 사용하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공공 안전 그룹에 대하여 자원을 나누어서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서 그룹은 경찰관 그룹, 소방관 그룹과 같이 공공 안전 역할에 따라 그룹을 나눌 수도 있으며, 필요에 의해, 혹은 설정에 따라서 그룹을 나눌 수 있다.
이렇게 그룹이 결정되면, 각 그룹은 공공 안전을 위한 전체 통신 자원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resource pool)을 설정하여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통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통신 자원이란 주파수 자원, 혹은 시간 자원, 혹은 공간 자원 등 통신에서 자원으로 기술되는 모든 차원의 자원을 말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자원을 주파수(101)와 시간(102)으로 정해지는 상황을 도시하고 있으며, 자원은 임의의 시간 단위(104) 그리고 임의의 주파수 단위(103)로 구분되어 자원 풀을 구성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자원 풀 1(205)에서 자원 풀 10(206)까지 10개의 자원 풀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였다.
각각의 자원 풀들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간과, 주파수 축으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시간 축(102)으로만 나누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주파수 축(101)으로만 나누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자원 풀로 구분하지 않고 기지국 판단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원 풀이 나누어지게 되면, 각 공공 안전 단말은 상기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자원 풀을 설정 받게 된다. 이는 단말의 제조 시에 미리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단말의 상황에 따라서 자원 풀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이 특정한 기지국 내에 존재하는 경우는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RRC 메시지, 혹은 다이나믹(dynamic) 메시지 등의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기반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이 특정한 기지국 내에 위치할 때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설정 값을 해당 기지국의 통신 권역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에도 특정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설정 값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단말은 같은 D2D 통신용으로 설정된 자원 풀 내의 자원만을 이용하여 D2D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은 D2D 통신 이외에도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시간 축 또는 주파수 축, 또는 시간 축과 주파수 축 모두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D2D 통신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자원 풀을 갖도록 구분하는 경우, 기지국은 D2D 통신을 위해 구분된 자원 풀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거나, 자원 풀로 구분 된 영역들 중 D2D 통신에게 할당하지 않은 자원 풀에서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거나, D2D 통신에게 할당한 자원 풀 중 일부에서 셀룰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만일 할당 받은 상향 링크 데이터 자원이 없는 단말은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용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상량 링크 자원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채널(PUCCH) 영역 중 일부를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홰당 단말에게 통지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의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기지국이 단말로 통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에 관한 설정은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 자원 영역(sr-PUCCH-ResourceIndex), 최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시도 횟수(dsr-TransMax) 및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 오프셋(offset) 등에 관한 인덱스(sr-Config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기지국이 단말로 통지하는 스케줄링 요청 전송에 관한 설정은 하기 <표 1>과 같이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에서 dsr-TransMax의 n4는 단말이 최대 4번까지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각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인덱스(sr-ConfigIndex)는 하기 <표 2>와 같은 스케줄링 요청 정보의 전달 주기(SRPERIODICITY)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으로 구성된다.
Figure pat00002
예를 들어, 스케줄링 정보 전송이 필요한 단말은 <표 2>에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달한다.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nf는 현재 프레임 수이고, ns는 현재 슬롯(slot) 인덱스이다.
만일 단말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수신기에게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각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요청에 적합한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셀룰러 통신과 같은 제1서비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이 인접 단말들과 단말 대 단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D2D 통신과 같은 제2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만일 상기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화 되어 수행되거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원 풀로 구분되어 사용될 경우, 단말이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따라 기지국은 해당 영역에 대한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다시 말해,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이 제1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인지,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인지를 기지국이 구분하고, 이에 대응되는 상향 링크 데이터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해 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케줄링 요청 구분 및 이에 대응 되는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에 대해 다양한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 예>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송신기에서 하나 이상으로 구분된 제어 정보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한 수신기는 수신된 제어 정보 자원 영역을 이용하여 송신기가 전송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송신기가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에 사용하는 제어 정보 전송용 자원은 스케줄링 요청 정보만을 위해 별도로 설정된 자원뿐만 아니라 다른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설정된 제어 정보 전송용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제어 정보 전송용 자원은 송신기와 수신기간에 사전에 설정된 영역이거나, 송신기 또는 수신기가 설정하여 통보한 자원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상기 자원 영역에 대한 정보는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적어도 논리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에서 실제로 제어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자원 영역 예를 들어 주파수/시간 자원 인덱스는 다를 수 있으나, 송신기 수신기가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된 상기 정보들은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실시 예에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는 단말로 설명할 것이며,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기지국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수신기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단말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는 또 다른 단말, 또는 송신기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특정 통신 그룹을 관장하는 또 다른 노드 등을 수신기로 표현될 수 있다.
만일 단말에게 기지국으로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용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에 설명된 스케줄링 요청 절차 및 또 다른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단말이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 채널(PUCCH) 영역 중 일부를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통지 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스케줄링 요청을 받은 기지국은 해당 단말에게 상향 링크 자원을 설정하여 통지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단말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은 각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로부터 각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한 기지국은 해당 요청에 적합한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만일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서비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이 인접 단말들과 단말 대 단말 간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화 되어 수행될 경우, 단말이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따라 기지국이 해당 영역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이때,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는 모두 동일한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는 동일한 기지국의 제어 하에 수행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다중화 되어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수행되는 영역에 대하여 자원을 할당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만일 단말이 기 설정된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경우,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요구한 서비스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송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 할 수 없다. 또한,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지국은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무선 자원을 할당해 주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무선 자원의 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분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 영역을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구분 가능한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의 수는 기지국 판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에 대한 구분이 필요한 자원 영역의 수보다 같거나 적은 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구분이 필요한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의 수와 단말에서 구분이 필요한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의 수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에게 기지국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 또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단말이 기지국과의 통신 서비스만 가능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하나의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셀을 주파수 집적화(carrier aggregation)하여 운용할 경우, 최대로 각 셀의 수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셀을 주파수 집적화하여 운용할 때, 2개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예를 포함하여, 기지국은 구분된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필요한 영역에 따라 스케줄링 전송 자원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통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은 단말별로 다르게 적용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은 2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2개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설정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제1서비스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 서비스를 의미하고, 제2서비스는 단말 대 단말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분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에 관한 경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각 서비스와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과의 관계는 기지국의 판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만일 기지국이 상기와 같이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지만, 단말이 제2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는 제2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단말 역시 자신이 제2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이외 별도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을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은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나, 기지국이 제2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1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만을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모두 상기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실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기지국은 제2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영역을 다음과 같이 제1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설정을 기반으로 설정 할 수 있다. 즉, 제1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인덱스(index)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설정될 경우, 제2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인덱스는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Figure pat00006
는 설정된 안테나 포트(antenna port) p에 대응하는 값이며, x는 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 인덱스와 추가 설정이 필요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 인덱스와의 오프셋(offset) 값이다. 또한 오프셋(offset) 값은 기지국이 임의로 설정하거나 적어도 기지국이 지원 가능한 서비스 종류, 또는 단말의 요구 서비스 종류, 또는 단말의 능력(capability) 등 중에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설정 할 수 있다. 만일, x=1로 설정할 경우 제2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인덱스는 하기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07
상기 설정된 offset (x) 값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로 하기 <표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보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만일, 제3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설정이 필요할 경우, 제2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 인덱스 결정에 사용된 상기 오프셋 (offset)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영역을 하나 이상의 구분된 영역으로 설정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구분된 자원 영역의 수, 옵셋(offset)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1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기 구분 자원 영역의 수, 옵셋(offset)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구분된 모든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 인덱스 값이 2047보다 작도록 설정될 수 있게 한다. 만약, <수학식 3>과 같이 설정된 값이 2047보다 클 경우, 단말은 <수학식 3>의 값을 2047로 모듈러(modulo) 연산하여 재설정하여 사용하거나, 해당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결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영역 인덱스를 이용하여, 단말은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UCH)에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자원 인덱스(
Figure pat00009
)를 선택하여 상향 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예시하면,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예시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수학식 5>와 같이 설정된 스케줄링 전송 자원 인덱스는 단말이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 신호에 적용되는 다른 변수 값들 설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 전송에 사용되는 직교 시퀀스 인덱스(orthogonal sequence index), 순환 이동(cyclic shift) 등의 값 설정에 사용되어 실제 전송되는 스케줄링 전송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구분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용 자원 영역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최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시도 횟수(dsr-TransMax)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인덱스(sr-ConfigIndex)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단말은 해당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인덱스(sr-ConfigIndex)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영역에 따라 각각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달 주기(SRPERIODICITY)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구분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영역에 대한 구분 없이 동일한 최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시도 횟수(dsr-TransMax) 및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인덱스(sr-ConfigIndex)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설정된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인덱스(sr-ConfigIndex)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케줄링 요청 전송 자원 영역에 관계없이 하나로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달 주기(SRPERIODICITY)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로부터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하고, 각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송신기에서 하나의 제어 정보 전송용 자원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Scheduling request configuration index, ISR)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에 포함된 변수들 예를 들어,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달 주기(SRPERIODICITY) 및 스케줄링 요청 정보 서브프레임(subframe) 오프셋(NOFFSET,SR)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분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한 수신기는 수신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달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송신기가 전송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달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정보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은 송신기와 수신기 간에 사전에 설정되거나, 송신기 또는 수신기가 설정하여 상대방에게 통보한 값일 수 있다. 즉, 설정된 상기 정보들은 송신기와 수신기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적어도 동일하게 해석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는 단말로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며,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기지국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수신기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단말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는 또 다른 단말, 또는 송신기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특정 통신 그룹을 관장하는 또 다른 노드 등을 수신기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는 스케줄링 요청 설정은 적어도 상기와 같은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 스케줄링 요청 정보의 전달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정보의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들을 포함한 대표 값으로 표현한다. 만일, 상기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달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정보 서브프레임 오프셋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한 경우, 해당 값들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말에게 기지국으로 전송이 필요한 데이터가 발생하였을 경우,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 받아야 한다. 이때, 단말은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용 자원을 할당받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이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으로부터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 채널(PUCCH) 영역 중 일부를 스케줄링 요청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이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통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에 관한 설정은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 자원 영역(sr-PUCCH-ResourceIndex), 최대 스케줄링 정보 전송 시도 횟수(dsr-TransMax) 및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 오프셋(offset) 등에 관한 인덱스(sr-ConfigIndex)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표 1>과 같이 설정할 수 있다.
<표 1>에서 dsr-TransMax의 n4는 단말이 최대 4번까지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각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인덱스(sr-ConfigIndex)는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표 2>와 같이 스케줄링 요청 정보의 전달 주기(SRPERIODICITY)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로써, <표 2>를 참조하면, 스케줄링 정보 전송이 필요한 단말은 상기 설정된 값을 이용하여 상술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 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달한다.
하지만, 만일 단말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각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을 기지국에게 전달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요청에 적합한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만일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서비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이 인접 단말들과 단말 대 단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만일 상기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다중화 되어 수행될 경우, 단말이 요구하는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따라 기지국이 해당 영역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여야 한다. 이때,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는 모두 동일한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는 동일한 기지국의 제어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일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다중화되어 수행될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수행되는 영역에 대하여 자원을 할당해야 한다. 하지만, 만일 단말이 기 설정된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경우,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요구한 서비스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전송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수 없다. 또한, 만일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가 서로 다른 시간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기지국이 상기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무선 자원을 할당 해주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무선 자원 운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은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으로 구분하여 단말이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을 이용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의 구분은 기지국 판단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에 대한 구분은 기지국이 판단으로 결정된 최대 필요 개수보다 같거나 적은 수로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구분이 필요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 수와 단말에서 구분이 필요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설정의 수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요청 설정의 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단말에게 기지국과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동시에 단말에게 단말 대 단말 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만일 단말이 기지국과의 통신 서비스만 가능할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셀을 주파수 집적화(carrier aggregation)하여 운용할 경우, 최대로 각 셀의 수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스케줄링 요청 전송용 자원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셀을 주파수 집적화하여 운용할 때, 2개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예를 포함하여, 기지국은 구분된 스케줄링 전송 자원 영역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필요한 영역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설정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은 단말 별로 다르게 적용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지국은 2개의 서로 다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2개의 스케줄링 요청 설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제1서비스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 서비스를 의미하고, 제2서비스는 단말 대 단말 통신 서비스를 의미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분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스케줄링 요청 설정에 대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에 관한 경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각 서비스와 스케줄링 요청 설정과의 관계는 기지국의 판단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만일 기지국이 상기와 같이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지만, 단말이 제2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는 제2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단말 역시 자신이 제2서비스를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1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 이외 별도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 설정을 기대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은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나, 기지국이 제2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제1서비스를 위한 스케줄링 요청 설정만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실시 예에서는 기지국과 단말 모두 제1서비스 및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법 2-1 :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이용한 구분
방법 2-2 :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및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이용한 구분
도 2는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을 구분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방법 2-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기지국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202, 203), 예를 들어, NOFFSET,SR(202), NOFFSET,SR-D2D(203)를 설정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설정하여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201)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202)을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구분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은 상기에서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201)와 동일한 전송 주기를 갖고 서로 구분될 수 있는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203)을 갖는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ISR-D2D)를 설정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은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에서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201) 및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202, 203)을 설정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하자. 기지국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기준이 되는 제1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ISR)를 설정하여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SRPERIODICITY)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상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포함하여 현재 프레임 수(nf) 및 현재 슬롯(slot) 인덱스(ns)를 이용하여 제1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이 만족할 경우 제1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이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이 필요할 경우, 상기와 동일한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 및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에서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NOFFSET,SR-D2D)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단말이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이 필요할 경우, 상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및 상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갖는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설정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이 만족할 경우에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설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이용하여 단말은 제1서비스 또는 기준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전송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설정한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간에 스케줄링 요청에 대한 추가적인 구분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은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전송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설정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가령, 단말이 제1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경우 단말은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에 단말이 제1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단말이 제2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경우, 단말은 상기와 같이 추가적으로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NOFFSET,SR-D2D)을 이용하여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만일, 단말이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이 모두 필요할 경우 각각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에 따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설정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하고 구분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방법 2-2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303, 304), 예를 들어, NOFFSET,SR(303), NOFFSET,SR-D2D(304) 및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예를 들어, SRPERIODICITY(301), SRPERIODICITY-D2D(302)를 갖도록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예를 들어 ISR, ISR-D2D)를 설정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은 하나의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설정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301)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303)을 설정 할 수 있다.
만일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구분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은 상기에서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301)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303)과 구분될 수 있는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ISR-D2D)를 설정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기준이 되는 제1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ISR)를 설정하여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SRPERIODICITY)(301)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302)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상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을 포함하여 현재 프레임 수(nf) 및 현재 슬롯(slot) 인덱스(ns)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이 만족할 경우 제1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만일 단말이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단말에게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ISR-D2D)를 설정하여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SRPERIODICITY-D2D)(302)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D2D)(304) 중 적어도 하나를 기 설정된 값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SRPERIODICITY-D2D)(302)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NOFFSET,SR-D2D)(304)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수학식 1>과 같은 조건이 만족할 경우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즉, 기지국은 단말에게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설정한다. 상기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를 이용하여 단말은 제1서비스 또는 기준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전송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을 설정한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 간에 스케줄링 요청에 대한 추가적인 구분이 필요할 경우 기지국은 추가적인 스케줄링 요청 구성 인덱스 값을 설정하여 스케줄링 요청을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제1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경우 단말은 상기 설정 값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단말이 제1서비스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단말이 제2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이 필요할 경우, 단말은 상기와 같이 추가적으로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SRPERIODICITY-D2D)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NOFFSET,SR-D2D)을 이용하여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단말이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이 모두 필요할 경우 각각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설정 값에 따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은, 기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설정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의 스케줄링 요청을 수신하고 구분할 수 있다.
실시 예 2에서 만일 기지국과 단말간의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주기 및 스케줄링 요청 서브프레임 오프셋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이 다르게 설정되었지만, 만일 동일한 시간에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다음과 같이 해결 가능하다.
방법 2-3 :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주기에 따른 선택
상기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 주기가 가장 길게 설정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우선으로 하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 역시 단말과 동일하게 스케줄링 요청 주기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이 어떤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였는지 판단 가능하다.
방법 2-4 : 서비스 별 우선순위에 따른 선택
상기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케줄링 요청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이 필요한 서비스에 대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선순위는 사전에 정의 되거나, 기지국과 단말 간 스케줄링 요청 설정 시 정의될 수 있다.
<제3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한 기지국의 자원 할당 동작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는 단말로 표현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기지국으로 표현한다. 이때, 수신기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단말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는 또 다른 단말, 또는 송신기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특정 통신 그룹을 관장하는 또 다른 노드 등을 수신기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서비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이 인접 단말들과 단말 대 단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 방법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스케줄링 요청 방법에 따라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 종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올바른 무선 자원 할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동작과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 동작을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동작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도 4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스케줄링 요청 및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401)은 기지국(402)과 43단계에서 RRC 재설정 동작을 통하여 스케줄링 요청 자원, 스케줄링 요청 설정, 및 버퍼 상태 정보(BSR: buffer status report)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RRC 재설정 동작이 완료된 이후 소정의 시점에서 참조부호 404와 같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 단말(401)은 전송해야 할 데이터(404)를 전송할 무선 자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자원이 없다면, 단말(401)은 사용할 수 있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PUCCH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401)은 405단계에서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기지국(402)으로 전송한다.
반면에 데이터(404)를 전송할 무선 자원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PUCCH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401)은 기지국(402)으로 임의 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이용하여 PUCCH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405단계에서 단말(401)로부터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기지국(402)은 406단계에서 단말(401)에게 적어도 BSR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 BSR은 단말(401)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의 양을 기지국(402)으로 알려 주는데 사용된다. 407단계에서 단말(401)은 406단계에서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자신의 BSR 정보를 전송한다. 만일 기지국(402)으로부터 단말(401)의 BSR 전송에 필요한 자원보다 많은 자원을 할당 받았을 경우, BSR 전송에 자신의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할당된 자원으로 단말(401)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수 있을 경우 BSR를 제외하고 데이터 전송을 할 수도 있다.
단말(401)이 기지국(402)에게 단말의 BSR 정보를 전송한 경우, 기지국(402)은 408단계에서 단말(401)에게 단말(401)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다. 409단계에서 단말(401)은 자신의 데이터를 기지국(402)으로부터 할당 받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만일 기지국(402)이 단말(401)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하면 보다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401)의 제2서비스를 단말 대 단말 간 통신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말 대 단말 통신이 공공 안전(Public Safety) 서비스일 경우, 대부분 음성 통화 서비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기지국이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따라서 구분된 자원 할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경우 보다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
도 5를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도 5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구분된 스케줄링 요청을 활용한 자원 할당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501)은 500단계에서 기지국(502)과 RRC 재설정 동작을 통하여 스케줄링 요청 자원, 스케줄링 요청 설정, 및 버퍼 상태 정보(BSR : buffer status report)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참조부호 50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전송할 데이터(504)가 제2서비스 예를 들어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일 경우, 상기 단말(501)은 상기 데이터(504)를 전송할 무선 자원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자원이 없다면, 단말(501)은 사용할 수 있는 상향 링크 제어 채널(PUCCH)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PUCCH 자원이 존재한다면, 단말(501)은 505단계에서 상기 PUCCH 자원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기지국(502)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단말(501)이 전송하는 스케줄링 요청은 실시 예 1 또는 실시 예 2와 같은 방식으로 제1서비스와 구분된 스케줄링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상기 PUCCH 자원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501)은 기지국(502)으로 임의 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이용하여 PUCCH 자원을 할당 받을 수 있다.
기지국(502)은 단말(501)이 스케줄링 요청한 서비스가 제2서비스임을 판단할 수 있을 경우, 기지국(502)은 506단계에서 상기 제2서비스에 적합한 크기의 무선 자원을 우선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서비스는 주로 음성 통신 서비스로 구성될 경우, 음성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는 크기의 자원을 단말(501)에게 바로 할당할 수 있다. 만일, 기지국(502)이 할당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단말(501)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504)를 전송할 수 있으면, 단말(501)은 기지국(502)으로 추가적인 무선 자원 할당 동작 요청(BSR 요청, 407) 없이 507단계와 같이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다.
만일, 단말(501)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할당된 무선 자원보다 많을 경우, 단말(501)은 기존 동작과 같이 기지국(502)으로 앞선 도 4의 407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BSR만을 전송하거나, 데이터 일부와 함께 BSR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만일 기지국이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하여 단말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알 수 있을 경우, 기지국의 무선 자원 할당 절차를 줄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자원을 관리 할 수 있다.
<제4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 예에서는 상기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구분할 때, 단말의 올바른 스케줄링 요청 동작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기는 단말로 표현하고, 상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기지국으로 표현한다. 이때, 수신기는 기지국뿐만 아니라,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단말과 단말 대 단말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는 또 다른 단말, 또는 송신기 단말이 포함되어 있는 특정 통신 그룹을 관장하는 또 다른 노드 등을 수신기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단말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서비스를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이 인접 단말들과 단말 대 단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상기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스케줄링 요청 방법을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스케줄링 요청 방법에 따라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 종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올바른 무선 자원 할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스케줄링 요청이 필요할 때마다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 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매우 적은 데이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 단말은 불필요하게 빈번한 스케줄링 요청 전송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작을 예방하기 위하여 sr-ProhibitTimer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단말이 기지국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였으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을 할당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기지국으로 스케줄링 요청을 다시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시도로 인한 전력 손실 등 불필요한 동작을 예방하기 위해 dsr-TransMax를 설정하여 단말이 전송 가능한 최대 스케줄링 요청 시도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시도는 SR_COUNTER로 저장한다. 즉,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시도 횟수(SR_COUNTER)가 단말이 전송 가능한 최대 스케줄링 요청 시도 횟수(dsr-TransMax) 보다 클 경우 단말은 모든 서빙 기지국을 위한 PUCCH자원 및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 이하 "SRS"라 함)를 해제(release)함을 RRC에게 알린다. 또한, 기 설정된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자원 할당을 초기화 하고, 임의 접속(random access) 절차를 시도한다.
따라서 만일 기지국과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이 서비스에 따라 구분되도록 설정될 경우, 상기 스케줄링 요청 자원 관리를 위한 변수들(sr-ProhibitTimer, SR_COUNTER, 및 dsr-TransMax) 역시 구분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스케줄링 요청 자원 또는 설정을 구분하여 설정할 때, sr-ProhibitTimer, SR_COUNTER, 및 dsr-TransMax 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구분된 설정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과 단말이 제1서비스 및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을 상기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1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자원 관리 변수들은 sr-ProhibitTimer, SR_COUNTER, 및 dsr-TransMax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2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자원 관리 변수들은 D2D-sr-ProhibitTimer, D2D_SR_COUNTER, 및 D2D-dsr-TransMax 값 등으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즉, 단말은 자신이 전송하는 스케줄링 요청 구분에 따라 상기 변수들을 적용하여 스케줄링 요청에 대한 관리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상기 구분된 변수들은 기 설정된 변수들과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 변수들의 설정은 기지국이 각 서비스 특성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정 값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게 통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분은 단말별로 다르게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값은 사전에 정의 되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지국 및 단말의 송수신 동작 및 장치를 기술한다.
도 6은 기지국에서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601단계에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스케줄링 요청 전송 관련 정보를 구분하여 단말로 통지한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구분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602단계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수신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는 앞서 601단계에서 단말로 전송한 스케줄링 전송 관련 정보에 따라 단말이 구분하여 송신한 정보가 될 수 있다.
기지국은 603단계에서 수신한 스케줄링 요청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에게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이 603단계에서 송신하는 스케줄링 정보는 예컨대, 제1서비스와 제2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후 604단계에서 기지국은 603단계에서 설정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단말에서 제어 데이터 및 데이터의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701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전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스케줄링 전송 관련 정보는 앞서 설명한 각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에서 생성하여 송신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이처럼 스케줄링 전송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각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각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송신할 시점 또는/및 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스케줄링 요청이 발생하면, 단말은 702단계에서 발생된 스케줄링 요청과 대응되는 스케줄링 전송 관련 정보에 따라 기지국으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이후 703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 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704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기지국의 기능적 블록 구성도이다.
기지국 수신부(801)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시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SR 관련 정보 판단 및 설정부(802)는 기지국 수신부(80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또는 정보들 중 스케줄링 요청 정보에 대한 구분 및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 발생부(803)는 SR 관련 정보 판단 및 설정부(802)에서 수신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기반으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제어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각 실시 예들에 기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제어 데이터 발생부(803)는 이처럼 생성된 제어 데이터를 송신부(804)로 제공한다.
RS 관련 정보 판단 및 설정부(802)와 제어 데이터 발생부(803)는 "기지국 제어부(810)"로 통칭할 수도 있다. 기지국 송신부(804)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시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송신부(804)는 제어 데이터 발생부(804)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를 해당하는 시점에 맞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이용하여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하는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기지국 수신부(801)에서 수신할 수 있으며, SR 관련 정보 판단 및 설정부(802)에서 추출한 스케줄링 요청과 기지국이 설정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스케줄링 요청을 판단한다. 이어 제어 데이터 발생부(803)에서 단말에게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를 발생하고, 기지국 송신부(804)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단말의 기능적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단말 수신부(901)는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요청 설정에 관한 정보 및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SR 관련 정보 판단부(902)는 수신부(901)에서 신된 데이터 및 정보들 중 스케줄링 요청과 기지국이 설정한 스케줄링 요청 정보를 추출하여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SR 관련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송신 데이터 발생부(903)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신 데이터 발생부(903)는 앞서 설명한 각 실시 예들에 기반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생성하여 송신부(904)로 제공할 수 있다. SR 관련 정보 판단부(902)와 송신 데이터 발생부(903)는 "단말 제어부(910)"로 통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말 송신부(904)는 송신 데이터 발생부(903)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는 3GPP LTE 상향링크 기반 전송 방식이 적용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전송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 주파수
102 : 시간
103 : 임의의 주파수 단위
104 : 임의의 시간 단위
105, 106 : 자원 풀
201, 301, 302 : 스케줄링 요청 전송 주기
202, 203, 303, 304 : 서브프레임 오프셋 값
801 : 기지국 수신부
802 : SR 관련 정포 판단 및 설정부
803 : 제어 데이터 발생부
804 : 기지국 송신부
810 : 기지국 제어부
901 : 단말 수신부
902 : SR 관련 정포 판단부
903 : 송신 데이터 발생부
904 : 단말 송신부
910 : 단말 제어부

Claims (4)

  1. 둘 이상의 서비스가 가능한 전자장치에서 통신을 위한 스케줄링 요청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 인덱스와 옵셋의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방법.
  2. 기지국에서 둘 이상의 서비스가 전자장치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로 둘 이상의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으로 각 서비스별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을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하여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의 정보를 상기 전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3. 둘 이상의 서비스에 대하여 스케줄링 요청하기 위한 전자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스케줄링 요청 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서로 다른 서비스에 대한 통신이 필요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 인덱스와 옵셋의 정보를 수신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된 스케줄링 요청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장치.
  4. 둘 이상의 서비스가 전자장치로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으로 각 서비스별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스케줄링 전송용 자원으로 각 서비스별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될 시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된 자원을 상기 각 서비스별로 구분하여 할당하고,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로 상기 각 서비스들에 대한 스케줄링 요청 주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각 서비스별로 할당된 자원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장치.
KR1020140033524A 2014-03-21 2014-03-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102166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24A KR102166368B1 (ko) 2014-03-21 2014-03-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24A KR102166368B1 (ko) 2014-03-21 2014-03-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934A true KR20150109934A (ko) 2015-10-02
KR102166368B1 KR102166368B1 (ko) 2020-10-15

Family

ID=5434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524A KR102166368B1 (ko) 2014-03-21 2014-03-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368B1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40625* *
3GPP R2-1407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368B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8743B2 (en) Scheduling request sending method, scheduling request proces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EP3179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buffer state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0531435B2 (en) Resourc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20200107334A1 (en) Manage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KR102280577B1 (ko) D2d 통신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5578382B (zh) 资源的获取、配置方法及装置,资源池的配置方法及装置
JP5318151B2 (ja)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KR101273151B1 (ko) 다-관점 가입자 분류를 기반으로 업링크 랜덤 액세스 채널들(rachs)의 사용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200533B1 (en) User device and resource selection method
KR10236845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60110968A (ko) D2d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9417812B (zh) 移动通信系统中用于调度上行链路数据的方法和设备
KR202001054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리소스 풀을 운영하는 방법 및 장치
US9420617B2 (en) Management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resources using macrocell communication resources
WO2016155113A1 (zh) 一种群组通信的方法、用户设备、基站设备及系统
US10117255B2 (en) Neighboring cell load information
US104627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between devices performing direct communication
JPWO2016163251A1 (ja) ユーザ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50128268A (ko) 기기간 통신의 자원할당을 위한 분산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JP2019504518A (ja) 接続確立方法及び装置
JP2018538743A (ja) ユーザ機器、サービング基地局並びにユーザ機器及びサービング基地局のための方法
EP3130162B1 (en) Adaptive d2d discovery operations
CN105578494B (zh) 设备到设备干扰协调方法、装置及基站、用户设备
US9497621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21663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과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