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885A -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885A
KR20150109885A KR1020140033374A KR20140033374A KR20150109885A KR 20150109885 A KR20150109885 A KR 20150109885A KR 1020140033374 A KR1020140033374 A KR 1020140033374A KR 20140033374 A KR20140033374 A KR 20140033374A KR 20150109885 A KR20150109885 A KR 2015010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
base station
security setting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385B1 (ko
Inventor
문지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385B1/ko
Publication of KR2015010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2Transmitting and receiving encryption devices synchronised or initially set up in a particular m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즉,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요구되는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FORWARDING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메시지 서비스(예: SMS; Short Message Service,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는 단말의 사용자들이 별도의 부가장비 없이도 정보 전달이나, 대화식의 문장을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 서비스를 일컫는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이메일과 달리 전송 시점과 거의 동일한 시점에 내용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 주요 통신수단의 하나로서 그 활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 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 단말에서 발신메시지 항목을 선택한 후에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고, 수신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헌데, 메시지의 전송 시점에 수신 단말이 지하철 이동 구간이나 전파 방해가 있는 약전계 지역 등의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수신 단말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수신 단말이 무선망 환경에 위치하더라도,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수신 단말에 정상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요구되는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은,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안처리단계; 및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전달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전달시점에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말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전달시점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시지의 전달시점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달시점결정단계 이후에,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전달하도록 하는 메시지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전달단계는,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전달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전에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이미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의하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요구되는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엔터티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엔터티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전송 시스템은, 발신 단말(도시 안됨)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말(100),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달하는 기지국(200), 단말(100)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페이징을 처리하는 이동성관리엔터티(300; MME, Mobile Mobility Entity), 발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센터(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단말(100)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스마트폰, 개인용컴퓨터, 노트북, 및 테블릿 PC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무선망에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망으로는 예컨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기반의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LTE(Long Term Evolution)가 해당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100)에 무선망에 접속하도록 하는 액세스망을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e-NodeB'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지국(200)으로서 위 'e-NodeB'와 같은 일체형 기지국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체형 기지국을 디지털 기지국(DU:Digital Unit)과 안테나 기지국(RU:Radio Unit)으로서 분리한 형태 또한 채용할 수 있다.
참고로, 기지국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기지국(DU)은 한 곳에 집중화해 그 효율성을 높이고, 안테나 기지국(RU)은 원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하는 경우 무선망에서의 서비스 속도와 용량을 기존 일체형 기지국 대비 크게 늘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기지국(200)과 SGW(도시안됨, Serving Gateway) 간에 신호제어를 담당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되는 페이징(Paging)을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메시지센터(400)는 발신 단말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발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메시지로서 예컨대,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의 페이징 처리를 통해 기지국(200)에서 수신하여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100)에 전달하게 된다.
헌데, 기지국(200)의 서비스 커버리지에서 단말(100)이 위치하는 지점의 무선망 환경이 지하철 이동 구간이나 전파 방해가 있는 약전계 지역 등에 해당하여 열악한 경우,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가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것은, 메시지 전송과 관련한 유선구간에서의 시그널링 처리 속도와, 무선구간에서의 시그널링 처리 속도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는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되는 페이징을 처리한 이후,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단말(10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기지국(200)에 알림과 동시에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기지국(200)에서는 단말(100)이 위치하고 있는 무선망에서 안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단말(100)과 사용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함으로써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예: AS Security Setup) 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는 페이징을 처리한 이후,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에 전달하는 시점에, 메시지센터(400)에서는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의 페이징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요청된 메시지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는 이동성관리엔터티(300)를 통해 기지국(200)에 수신되게 되며, 기지국(200)에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기지국(200)에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단말(100)로 정상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만약,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지국(200)이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달하는 경우 메시지의 전달은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이유로 실패하게 된다.
이처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기지국(200)에서 단말(100)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는, 무선망에서 이루어지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을 위한 시그널링 처리 시간보다,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기지국(200)까지 전달하기 위한 유선구간에서의 시그널링 처리 시간이 짧은 것이 그 원인이라 할 것이다.
더욱이, 무선구간보다 유선구간에서의 시그널링 처리 시간이 짧은 것이 일반적인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 무선망에서의 전송 지연으로 인해 그 시간 차이가 커져, 메시지의 전달이 실패하는 경우가 더욱더 빈번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메시지센터(400)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시지센터(400)는 발신 단말(도시안됨)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앞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송하기 위한 페이징을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 요청하게 되며,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 페이징이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 발신 단말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 페이징이 완료된 것에 대한 확인은,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페이징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이 전달되는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메시지센터(400)에서는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 페이징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 시점에 발신 단말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페이징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200)을 통해서 단말(100)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호를 설정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에 전달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또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기지국(200)에서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로 전송하여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가 마무리되는 경우,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예: AS Security Setup)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처럼, 보안 설정 요청을 기지국(200)에 전달하는 것은,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서뿐만 아니라, 앞서 이루어진 페이징 절차를 통해 단말(10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기지국(200)에 알리기 위함이다.
또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앞서 설명한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을 메시지의 전송시점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기지국(200)에 전달한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응답(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이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으로서 결정하는 것은,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지국(200)이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달하는 경우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이유로 메시지의 전달이 실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의 전송시점이 결정되면, 결정된 전송시점에 따라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시점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까지 저장한 이후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시지센터(400)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즉시, 발신 단말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페이징 절차와 관련하여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대기시킨 이후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센터(400)로 전달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 하여금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센터(400)로 하여금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나아가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단말(100)과 약속된 프로토콜인 NAS(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 기반의 다운로드 메시지를 통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기지국(200)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200)은 보안 설정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200)은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이 수신되면,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100)을 대상으로 보안 설정 메시지(Security Mode Command)를 전달하여, 무선망에서 안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단말(100)과 사용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게 된다.
나아가,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Security Mode Complete)를 수신하여 보안 설정 처리를 완료하고, 최초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수신된 보안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 전송함으로써,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엔터티(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페이징을 처리하는 처리부(310),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안부(320),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결정부(330), 및 메시지를 기지국(200)에 전달하는 전달부(3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310), 보안부(320), 결정부(330) 및 전달부(340)를 포함하는 이동성관리엔터티(3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일부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처리부(310)는 페이징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부(310)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200)을 통해서 단말(100)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호를 설정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에 전달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
그리고, 보안부(320)는 기지국(200)에서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안부(320)는 처리부(310)에서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로 전송하여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가 마무리되는 경우,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예: AS Security Setup)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보안부(320)는 보안 설정 요청을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앞서 이루어진 페이징 절차를 통해 단말(10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기지국(200)에 알리게 된다.
그리고, 결정부(330)는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330)는 앞서 설명한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330)는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을 메시지의 전송시점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이에, 결정부(330)는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는 기지국(200)에 전달한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응답(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이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으로서 결정하는 것은,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지국(200)이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달하는 경우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았음을 이유로 메시지의 전달이 실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달부(340)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달부(340)는 결정부(300)에서 메시지의 전송시점이 결정되면, 결정된 전송시점에 따라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달부(340)는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시점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까지 저장한 이후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메시지센터(400)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는 즉시, 발신 단말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전달부(340)는 페이징 절차와 관련하여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대기시킨 이후 처리부(310)로 하여금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센터(400)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 하여금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전달부(340)는 메시지센터(400)로 하여금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나아가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달부(340)는 단말(100)과 약속된 프로토콜인 NAS(Non-Access Stratum) 프로토콜 기반의 다운로드 메시지를 통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기지국(200)을 통해 전달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달하는 기지국(200)에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품질 확인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리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메시지센터(400)는 발신 단말(도시안됨)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전송하기에 앞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전송하기 위한 페이징을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 요청하게 되며, 이동성관리엔터티(300)에서 페이징이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 발신 단말에서 작성한 메시지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 전송하게 된다(S110).
이에,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면, 기지국(200)을 통해서 단말(100)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호를 설정하게 되고,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에 전달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S120-S160).
그리고 나서,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로 전송하여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가 마무리되는 경우,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예: AS Security Setup)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70).
이에, 기지국(200)은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이 수신되면,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에 위치하고 있는 단말(100)을 대상으로 보안 설정 메시지(Security Mode Command)를 전달하여, 무선망에서 안전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단말(100)과 사용하기 위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선택하게 된다(S180).
그리고 나서, 기지국(200)은 단말(100)로부터 응답 메시지(Security Mode Complete)를 수신하여 보안 설정 처리를 완료하고, 최초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부터 수신된 보안 설정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를 이동성관리엔터티(300)로 전송함으로써,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S190).
이후,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S200-S220).
이때,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페이징 절차와 관련하여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대기시킨 이후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센터(400)로 전달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 하여금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S200a).
한편, 이동성관리엔터티(300)는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시점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까지 저장한 이후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S200b).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관리엔터티(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결정부(330)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센터(400)로부터 페이징 요청이 수신되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전송시점을 결정하게 된다(S310-S330).
이때, 결정부(330)는 기지국(200)에서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을 메시지의 전송시점으로서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결정부(330)는 메시지센터(400)에서의 메시지의 전송 시점을 함께결정할 수 있는데,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이루어지는 보안 설정 완료 여부와 상관없이 메시지센터(400)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하거나, 내지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이루어지는 보안 설정 완료된 이후에 메시지센터(400)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메시지의 전송시점 결정단계(S320-S330)에서, 메시지센터(400)에서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이루어지는 보안 설정 완료 여부와 상관없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처리부(310)는 메시지센터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요청에 따라 기지국(200)을 통해서 단말(100)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호를 설정하고,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에 전달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를 마무리하게 된다(S340).
그리고 나서, 보안부(320)는 처리부(310)에서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로 전송하여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요청된 페이징 절차가 마무리되는 경우,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예: AS Security Setup)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50).
이때, 보안부(320)는 보안 설정 요청을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앞서 이루어진 페이징 절차를 통해 단말(10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기지국(200)에 알리게 된다.
여기서,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메시지센터(400)에서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이루어지는 보안 설정 완료 여부와 상관없이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데, 만약 보안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메시지센터(4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메시지는 보안 설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기지국(2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S360).
이 과정에서, 보안부(320)는 기지국(200)에 전달한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응답(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을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여, 기지국(200)과 단말(100) 사이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S370).
이후, 전달부(340)는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S380).
다음, 상기 메시지의 전송시점 결정단계(S320-S330)에서, 메시지센터(400)에서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이루어지는 보안 설정 완료된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결정된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처리부(310)는 메시지센터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요청에 따라 기지국(200)을 통해서 단말(100)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달하여 메시지 전달을 위한 호를 설정한다(S390).
이때, 처리부(310)는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기지국(200)을 통해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서비스 요청을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메시지센터(400)에 전달하지 않게 된다.
이에, 메시지센터(400)에서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페이지 절차가 마무리되었음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나서, 보안부(320)는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을 기지국(200)으로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예: AS Security Setup)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400).
이때, 보안부(320)는 보안 설정 요청을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앞서 이루어진 페이징 절차를 통해 단말(100)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액티브(Active)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기지국(200)에 알리게 된다.
아울러, 보안부(320)는 기지국(200)에 전달한 보안 설정 요청(Initial Context Setup Request)에 대한 응답(Initial Context Setup Response)을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여, 기지국(200)과 단말(100) 사이의 보안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그런 다음, 처리부(310)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수신된 서비스 요청을 메시지센터(400)에 전달하여 페이징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함으로써, 메시지센터(400)로 하여금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에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S410).
이후, 전달부(340)는 기지국(200)과 단말(100) 간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기지국(200)에 전달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기지국(200)에서 메시지를 단말(100)에 정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S420-S4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관리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달하는 기지국(200)에서, 메시지 전달을 위해 요구되는 단말(100)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4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100)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따르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해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망 환경이 열악한 경우에도 메시지의 정상적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
200: 기지국
300: 이동성관리엔터티
310: 처리부 320: 보안부
330: 결정부 340: 전달부
400: 메시지센터

Claims (3)

  1. 이동성관리엔터티에서 이루어지는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단말로 전달하는 기지국에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상기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안처리단계; 및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의 전달시점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전달시점에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보안 설정이 이루어지는 단말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하는 전달시점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전달시점은,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단말과의 보안 설정이 완료된 이후의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달시점결정단계 이후에,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전달하도록 하는 메시지전달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전달단계는,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전달하도록 하거나, 내지는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전에 상기 메시지센터로부터 이미 전송된 메시지를 상기 보안 설정이 완료된 시점 이후에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하여 상기 단말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140033374A 2014-03-21 2014-03-21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118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74A KR102118385B1 (ko) 2014-03-21 2014-03-21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374A KR102118385B1 (ko) 2014-03-21 2014-03-21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885A true KR20150109885A (ko) 2015-10-02
KR102118385B1 KR102118385B1 (ko) 2020-06-03

Family

ID=5434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374A KR102118385B1 (ko) 2014-03-21 2014-03-21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3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029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9665A (ko) * 2009-11-04 2012-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665A (ko) * 2009-11-04 2012-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10122029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385B1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30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irmware over the air service to user equipments
JP2023101025A (ja) ユーザ機器、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それらにおける方法
KR20180121969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30290466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during hand-over and appartus therefor
JP2013527656A (ja) 複数のimsiをサポートする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CN104349288A (zh) 一种消息传输方法及装置
JP2018514139A (ja) D2d中継ノードの確定方法、使用方法及び装置
WO2016197365A1 (en) Support for minimization of service interruption with device-to-device based user-equipment-to-network relay
EP28155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79483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citating security configurations in a radio local area network
WO2020073802A1 (zh) 一种鉴权的方法及装置
EP30668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2d discovery process
KR102461084B1 (ko) 짧은 메시지 서비스 능력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장치
JP2014143616A (ja) ユーザ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無線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WO2016062075A1 (zh) 一种管理设备间d2d通信分组的方法及设备
KR101902451B1 (ko) 트렁킹 통신 서비스 처리 방법, 코어 네트워크 설비 및 ue, 저장 매체
US923758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base sta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749821B1 (en) LTE network interactions for non-duplication of SMS
CN109246792B (zh) 无线通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用户终端
KR102253961B1 (ko) 네트워크 단일 등록 단말의 smsf 등록 해제 및 재등록 방법 및 시스템
JP6071947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のための端末、無線信号検知装置及びサーバー
CN104350687A (zh) 用于网络装置的输出的数字中继
US9973350B2 (en) Method for network sharing of multiple network operators and network sharing management prox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18385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JP2018524828A (ja) サービスの中断の報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