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399A -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층 결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층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399A
KR20150108399A KR1020157022313A KR20157022313A KR20150108399A KR 20150108399 A KR20150108399 A KR 20150108399A KR 1020157022313 A KR1020157022313 A KR 1020157022313A KR 20157022313 A KR20157022313 A KR 20157022313A KR 20150108399 A KR20150108399 A KR 20150108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fidence level
candidate
processor
transmi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905B1 (ko
Inventor
시아오용 재키 판
저스틴 립먼
로버트 에이. 콜비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08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04W4/04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한다. 디바이스는 건물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를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한다. 디바이스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한다. 디바이스는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고,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신뢰 수준을 감소시킨다. 디바이스는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한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층 결정{BUILDING FLOOR DETERMINATION FOR A LOCATION BASED SERVICE}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LBS는 고정 또는 이동일 수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가능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D, Client Device) 상에 호스팅된(hosted) 클라이언트 기반 LBS 애플리케이션과 쌍을 이루는(paired) 인터넷 서버상에 호스팅된 서버 기반 LBS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쌍을 이루는 LBS 애플리케이션들은 인터넷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LBS는 CD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고, 그 후 현재 위치를 기초로 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LBS의 소비자, 예를 들어 CD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LBS는 CD가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표시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를 상점 또는 쇼핑 몰 내의 식당 등과 같은 관심 지점으로 안내하는 가청 지시들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삼변 측량(trilateration)은 CD의 상대적 위치 또는 절대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기술이다. 삼변 측량은 예를 들어, 와이 파이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들 및 비컨들과 같은,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기준점(RP, Reference Point)들과 연관된 전송기들로부터 CD에 전송되는 신호들에 의존한다. 삼변 측량은 평면 방향에서 CD의 위치, 즉 CD의 평면 기하 위치(예를 들어, CD의 상대적인 x, y, 또는 절대적인 위도, 경도 좌표들)를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D가 건물의 상이한 층들에 걸쳐 분산된 다수의 RP를 호스팅하는 다층 건물 내에 있을 때, CD는 전형적으로 CD가 위치한 층을 포함하는 상이한 층들로부터 발신한 RP 신호들을 수신한다. 단순한 삼변 측량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모두에서 확실하게, 예를 들어 건물의 고도 또는 층까지, CD의 위치를 찾아내기에는 불충분하다.
다층 환경에서, CD가 위치한 층을 검출하기 위해 수신된 RP 신호들을 이용하는, 삼변 측량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은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고, 즉 종종 부정확한 층을 검출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이런 기술들이 단순히 (CD에서 수신된) RP 신호들 중 가장 강력한 신호 또는 가장 많은 RP 신호들을 발신하는 층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에나, CD는 가장 강력한 또는 가장 많은 RP 신호들을 발신하는 층과 상이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부정확한 층 정보는 잘못된 LBS 동작으로 번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층 건물에서 CD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는 부정확한 층들 상에 CD를 간헐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지도에 표시된 층들 사이를 앞뒤로 "점프하고", 이에 따라 LBS 소비자를 혼란시킨다.
도 1은 예시적인 위치 기반 서비스(LBS) 환경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환경에서 다층 건물의 단순화된 예시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층 건물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현재 층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방법에서 층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르는,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층을 결정하는 개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법에서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a는 제1 선택 방법에 따르는, 도 5의 방법에서 후보 층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b는 제2 선택 방법에 따르는, 도 5의 방법에서 후보 층을 선택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번호의 가장 좌측 숫자(들)는 해당 참조 번호가 최초로 나타나는 도면을 알려준다.
LBS 환경
도 1은 위치 기반 서비스(LBS)를 제공하기 위한 예시적인 환경(100)의 블록도이다. 환경(100)은 다층(multi-story)(즉, 멀티 플로어(multi-floor)) 건물 또는 건축물(102); 건물 내 및/또는 건물 주위에 위치한 건물 통신 네트워크(104); 및 건물 내에 위치하고 건물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를 포함한다. 환경(100)은 또한, 서버측 LBS 애플리케이션들, 및 LBS를 지원하는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호스팅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108); 및 서버들, 건물 통신 네트워크(104),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가 통신할 수 있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11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는 서버들(108) 상의 피어 LBS 애플리케이션들과 통신하고, LBS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측 LBS 애플리케이션(112)을 호스팅할 수 있다. LBS 애플리케이션(112)은 예를 들어, 건물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위치한 층과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요구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서, 건물 통신 네트워크(104)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다층 건물(102)의 단순화된 예시적인 내부 사시도이다. 건물(102)은 층들 모두로/로부터 액세스/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직 연장 계단 및/또는 엘리베이터 축(204)으로 각각 개방되는 각각의 층 입구들/출구들 E1, E2 및 E3(또한, 층 진입로(floor access way)들로 지칭됨)을 갖는 다수의 수직 공간 층(vertically-spaced floor)들 Fl, F2 및 F3을 포함한다. 건물 통신 네트워크(104)(도 1에서는 단지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됨)는 층들 Fl, F2 및 F3 각각에서 알려진 위치들에 각각 위치한 이격된 기준점(RP)들 RP1, RP2 및 RP3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한다. "RP1"이 일반적으로 1층 상의 다수의 RP를 나타내고, "RP2"는 일반적으로 2층 상의 다수의 RP를 나타내며, 나머지도 마찬가지임에 유의하자.
RP들 RP1-RP3은, 제한 없이, 와이 파이 액세스 포인트(AP)들 및 비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P들 RP1-RP3 각각은 전형적으로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 신호들 S,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RF)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즉, 송수신)하기 위한 전송기-수신기(송수신기) 쌍을 포함한다. 비컨들로서 구성된 RP1-RP3 사이의 RP들은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RP들 모두는 통신 신호들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 전송할 수 있으나, 과도한 혼동을 회피하기 위해, 단지 3개의 통신 신호들(S)이 도 2에 명시적으로 도시된다. RP들 RP1-RP3은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 표준들과 같은, 임의 수의 무선 표준에 따라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들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P들은 네트워크의 일부가 아닌 독립형 점-대-점 통신 시스템들에 포함될 수 있다.
RP들 RP1-RP3은 통신 신호들을 서로 송수신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와 송수신할 수 있다. RP들 RP1-RP3 및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는 또한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LBS 서버들(108)과 통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동일 층(즉, 층 F2)상에 위치한 RP들 RP2와, 그리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층과 상이한 층들(즉, 층들 Fl 및 F3)상에 위치한 RP들 RP1 및 RP3와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현재 층을 포함하는, 건물(102)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의 위치를 결정한다. 이런 실시예들은 소정의 RP 관련 정보가 이전에 알려졌고 환경(100) 내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필요에 따라 액세스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이런 RP 관련 정보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ⅰ) RP들 RP1-RP3의 세트들에서 배치된 RP들 모두의 RP 식별자(ID)들 및 네트워크 어드레스들의 리스트;
(ⅱ) 각각의 리스트된 ID마다, 해당 ID와 연관된 RP의 실제(real-world) (배치된) 위치, 즉, 지리적 좌표들;
(ⅲ) 각각의 리스트된 ID마다, 해당 ID와 연관된 RP가 위치하는 건물(102)의 층(예를 들어, F1, F2 또는 F3); 및
(ⅳ) 각각의 리스트된 ID마다, 해당 ID와 연관된 RP의 미리 결정된 전송 전력 레벨.
RP들 RP1-RP3 중 A, B 및 C로서 식별된 3개의 RP에 대한 예시적인 RP 관련 정보가 아래 표 1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명시적으로 표시된 RP 관련 정보 외에, RP 관련 정보는 표에 리스트된 RP들을 호스팅하는 건물의 전체 층수를 나타내는 연관된 레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정보가 표 1에 표시될 수 있으며, 주어진 RP의 z 좌표는 RP가 위치하는 건물(102) 내의 주어진 층의 고도 또는 높이에 대응할 수 있다.
RP들 RP1-RP3 각각은 그 대응하는 RP 관련 정보, 예를 들어, 그 RP ID, 지리적 위치, 건물 층, 및 전송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런 정보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 자동으로 반복해서, 또는 요청받을 때에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및/또는 대안적으로, RP 관련 정보는 서버들(108)에 상주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에 RP 정보 레코드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런 레코드들은 RP ID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인덱스에 따라서 인덱싱될 수 있고, 네트워크(110)를 통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 및/또는 RP들 RP1-RP3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방법 순서도들
도 3은 클라이언트 다층 건물에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현재 층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예시적인 방법(300)의 순서도이다. 방법(300)은 시간이 지남에 따른 층들 간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움직임들을 추적하기 위해 반복해서, 또한 LBS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위치 요청에 응답하여 호출될 수 있다.
예로서, 방법(30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경(100)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방법(300)이 다른 환경들에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방법(300)이 예를 들어, RP ID들, 위치들(층 지정을 포함함), 전송 전력들 등과 같은 RP 관련 정보에 대한 액세스에 의존하는 한, 이런 정보는 RP들 RP1-RP3으로부터 직접 수신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110)를 통해 액세스될 수 있다.
모호함을 회피하기 위해, 도 3에서 참고하고 방법(300)에 의해 다루어지는 층들 예를 들어, "후보 층" 및 "현재 층"이 건물 내의 실제 층들의 표시/표현임을 이해해야 한다. 이런 층 표시들은 방법(300)에 따라서 다루어지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 변수들(예를 들어, F1, F2 등과 같은, 층 값들 또는 식별자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방법(300)은 현재 층(즉, 방법(300)에서 결정된 현재 층의 표시)이 정확하다는 신뢰 수준(후술되는 바와 같은)을 이용한다. 층 신뢰 수준(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간단하게 "신뢰 수준"으로서 지칭함)은 값이 미리 결정된 최소 수준(즉, 최소 수준)에서 미리 결정된 최대 수준(즉, 최대 수준)까지, 예를 들어, 1에서 10까지 1의 증분으로 다양할 수 있다. 방법(300)에서, 신뢰 수준은 최소 수준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후술되는 방법(300)의 동작들(302-316) 모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방법(300)을 실행하는 동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가 예를 들어, 표 1에 리스트된 것과 같은 필요한 RP 관련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동작(302)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반면, 나머지 동작들(304-316) 중 일부 또는 모두는 서버들(108) 중 하나 이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30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의 수신기가 RP들 RP1-RP3로부터 전송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 신호들의 각각의 신호 강도들, 즉, 수신 신호 전력 레벨들을 측정한다. 각각의 측정된 신호 강도는 또한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로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다. 측정된 신호 강도들은 방법(3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
304에서, 302로부터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가 위치할 수 있는 후보 층으로서 층들 F1-F3 중 하나가 선택된다. 후보 층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후술된 후보층 선택 방법 1 또는 2, 또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을 이용하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방법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방법(300)을 통과하는 첫 번째 패스의 304에서, 현재 층이 304에서 선택된 후보 층과 동일하게 초기에 설정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한다.
306에서, 후보 층이 현재 층과 동일한지 결정된다.
306에서 후보 층이 현재 층과 동일하다고 결정된다면, 308에서, 신뢰 수준은 미리 결정된 양, 예를 들어 1만큼 증가되고, 흐름은 316으로 진행한다.
306에서, 후보 층이 현재 층과 동일하지 않다고 결정된다면, 310에서, 신뢰 수준은 도 4와 관련해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감소되고, 흐름은 312로 진행한다.
312에서, 신뢰 수준이 최소 임계값보다 작은지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임계값은 최소 신뢰 수준 예를 들어, 1과 동일하지만, 임계값은 상이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312에서 신뢰 수준이 임계값보다 작지 않다고 결정된다면, 흐름은 316으로 진행한다.
312에서 신뢰 수준이 임계값보다 작다고 결정된다면, 흐름은 314로 진행하여, (i) 현재 층은 304에서 선택된 후보 층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즉 후보층으로 대체되고, (ii) 신뢰 수준은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314로부터, 흐름은 316으로 진행한다.
316에서, 현재 층은 디바이스 위치 및/또는 층 정보에 대한 더 앞선 요청에 응답하여 LBS에 보고될 수 있다.
방법(300)은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는데, 즉, 디바이스(106)가 신호들의 존재를 찾기 위해 그 환경을 스캔하고 그 신호 강도들을 측정할 때마다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300)을 통과하는 각각의 패스는 현재 층(316에서 보고될 수 있는)을 결정하고, 현재 층은 그 후 방법을 통과하는 다음 패스에서 이용될, 즉 다음 패스의 306에서 비교에 이용될 "이전에 결정된" 현재 층이 되고, 그것은 다음 패스의 314에서, 다음 패스의 304에서 선택된 후보 층으로 대체될 수 있다.
후보 층 선택
방법(300)에서, 후보 층은 지금 설명되는 방식으로 304에서 선택될 수 있다.
먼저, 경로 손실들 및 거리들을 포함하는 예비 정보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CD)가 RP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찾기 위해 그 환경을 스캔하고, 스캔이 세트 {RPi},i=1~N에서 RP들을 검출한다고 가정한다.
검색된 RP들의 세트 {RPi}는 CD와 각각의 RP 사이의 계산된 거리를 기초로 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된다. 거리는 다음과 같은 자유공간 경로 손실(FSPL, Free Space Path Loss) 모델과 같은 전파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L은 데시벨(dB) 단위의 경로 손실이고, λ는 파장이고, d는 파장과 동일한 단위의 RP-CD 거리이다.
경로 손실 L은 다음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L = dBt- dBr
여기서, dBt는 dB의 전송 전력이고(알려진 전송기 전력은 표 1에서 RP 관련 정보로부터 이용 가능하다), dBr은 dB 단위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RSSI)(CD에서 측정된 것)이다.
일단 경로 손실 L이 알려지면, 거리 d가 계산된다.
CD와 각각의 RP 사이의 계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검출된 RP들의 세트 {RPi}를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은 경로 손실 L 및 또한 RSSI를 기초로 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는 것과 동등하다.
FSPL 모델은 RP들의 전송 전력을 알 것을 요구한다. 전송 전력들이 알려지지 않는 경우, {RP}의 세트는 내림 차순으로 RSSI에 기초하여 정렬될 수 있으며, 즉 가장 높은 RSSI에 대응하는 RP에는 가중치 (N+1-1)이 할당되고, 2번째로 가장 높은 RSSI에 대응하는 RP에는 가중치 (N+1-2)가 할당된다.
일단 상술한 예비 정보가 결정되면, 후보 층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후보 층 선택 방법 1 및 후보 층 선택 방법 2 중 하나 또는 양쪽을 이용하여 선택된다:
후보 층 선택 방법 1
후보 층 선택 방법 1은 RP들을 이들의 대응하는 RSSI들에 기초하여 가중 처리하는 것을 수반한다. 방법 1에서, 각각의 기준점 RPi에는 가중치 (N+1-i)가 할당된다. 표 1의 RP 관련 정보는 각각의 RP가 위치한 층을 나타낸다. 각각의 층에서, 층 가중치(FW, Floor Weight)는 해당 층 상에 위치한 RP들의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계산된다.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은 현재 층에 대한 후보 층으로서 선택된다.
요약하면, 방법 1은 다음을 포함한다:
RP들 각각에 대응하는 RSSI에 기초하여 RP들(이에 따라, 수신 신호들)에 가중치를 할당하는 단계;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한 RP들에 할당된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후보 층 선택 방법 2
후보 층 선택 방법 2는 단독으로, 또는 2개의 층이 방법 1에서 계산된 유사한 가중치들(예를 들어, 이들의 차이가 미리 결정된 가중치 차이, 예를 들어 2보다 작다)을 갖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후보 층 선택 방법 2는 자가 적응 경로 손실 모델(self-adaptive path loss model)을 이용하여 각각의 층에서 RP들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 방법 2는 전파 모델(예를 들어, 방법 1과 관련해서 설명된 FSPL)에서 사용된 에러 나기 쉬운 RSSI들을 계속해서 적응 및 보상하기 위해 환경(예를 들어, 건물) 내의 RP들의 알려진 위치들을 이용하는 적응성 방법을 포함한다. 보상(D)은 아래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되고, 이는 GeoDist(즉, RP들의 공간 분산에 기초하여 계산된 거리)와 RSSIDist(즉, FSPL에 기초하여 계산된 거리) 사이의 차이를 고려한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L은 데시벨(dB) 단위의 경로 손실이고, λ는 파장이며, d'는 파장과 동일한 단위의 RP들의 공간 분산(GeoDist)에 기초하는 가능한 RP-CD(즉, RP-CD 수신기) 거리이다.
이에 따라, {Di}의 세트가 세트 {RPi},i=1~N에 대해 계산된다. {Di}의 세트는 각각의 층에 대한 일련의 세트 {Dj},j=1~K로 분할되고, 여기서 K는 한 층의 층 전체에서 검출된 RP들의 수이다. 각각의 층에 대해, 층 보상(FD, Floor Compensation)이 다음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Figure pct00004
, 모든 Dj가 0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Figure pct00005
, 0보다 작은 {Dj}의 세트에 하나의 D가 있는 경우
최소 FD를 갖는 층(이 층에서 RP들에 대한 신호 보상이 다른 층들 모두의 신호 보상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은 후보 층으로서 선택된다.
전술한 내용을 요약하면, 방법 2는 다음을 포함한다:
(i)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RP 사이의 가능한 최대 또는 최소 공간 거리(d'), 및 (ii) RP로부터의 경로 손실(L)에 기초하여 RP들 각각에 대한 신호 보상(D)을 계산하는 단계;
층에서 RP들의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도 4는 방법(300)에서 신뢰 수준의 감소(310)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400)의 순서도이다.
401에서, 후보 층 상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의 위치가 결정된다. 위치는 (i) 302에서 측정된 신호 강도들, 및 (ii) 대응하는 RP 관련 정보, 예를 들어, (RP들과 연관된 전송기들의) 전송기 전력 및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대응하는 이들의 알려진 위치들에 기초하여 알려진 삼변 측량 기술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삼변 측량에서, 근사치로서, 측정된 신호 강도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와 RP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한다고 간주될 수 있다. 다수의 RP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을 이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위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단일 전송기로부터의 측정된 신호 강도를 이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RP 사이의 반경 거리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위치시킨다(즉, RP를 둘러싸는 원형 영역의 원주의 임의의 지점 상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위치시키며, 여기서 원형 영역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RP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2개의 RP로부터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을 이용하는 것은 2개의 원형 영역의 원주들이 중첩하는 2개의 지점중 하나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위치시킨다. 3개 이상의 RP로부터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을 이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삼각 측량하여 한 지점으로 결정한다.
402에서, 401에서 결정된 위치가 후보 층의 임의의 알려진 입구/출구(즉, 진입로)(즉, 후보 층 상에서 알려진 위치를 갖는 입구/출구)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40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의 위치가 입구/출구들 El, E2 및 E3 중 하나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 결정된다. 미리 결정된 거리는 10 내지 15피트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거리일 수 있다. 진입로들의 알려진 위치들은 건물 통신 네트워크(104)와 연관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들 내의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 예를 들어 주어진 건물에 대한 RP 관련 정보(예를 들어, 표 1의 RP 관련 정보)와 연관되는, 예들 들어, 이에 링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런 진입로 위치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방법(300)이 실행될 때 요청/응답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필요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진입로 위치 데이터베이스들은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8)에 저장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진입로들의 위치들은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핑거프린팅 기술들에 따라 정의되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에 의해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402에서, 결정된 위치가 입구/출구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고 결정된다면, 흐름은 404로 진행하고, 신뢰 수준은 비교적 큰 양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제1 양, 예를 들어, 2와 5 사이의 양만큼 감소된다. 그 후 흐름은 408로 진행한다. 결정된 위치가 입구/출구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이는 입구/출구에 "근접한" 것으로 간주되고, 가능한 층 변화가 임박했다고 추정된다. 이에 따라 404에서의 비교적 큰 감소는 현재 층이 변경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즉, 더 큰 증분은 현재 층이 변경될 레이트를 촉진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방법(30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후보 층에서 이동하고 있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방향이 알려진 진입로를 향한다고 결정되면, 그 후 404에서 신뢰 수준은 미리 결정된 제1 양만큼 감소된다.
402에서, 결정된 위치가 입구/출구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고(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입구/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고) 결정된다면, 흐름은 406으로 진행하고, 신뢰 수준은 미리 결정된 제1 양보다 적고 이에 따라 비교적 작은 양이라 간주되는 미리 결정된 제2 양, 예를 들어 1만큼 감소된다. 그 후 흐름은 408로 진행한다.
408에서,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는지 다시 결정된다.
408에서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고 결정된다면, 412에서, 현재 층은 후보 층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즉 후보 층으로 대체되고, 흐름은 414로 진행한다.
414에서, 층 신뢰 수준은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 후 방법(400)은 종료된다.
408에서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지 않다고 결정된다면, 흐름은 410으로 진행한다.
반면에, 402에서는 위치가 입구/출구에 근접했는지 결정되고, 410에서는 위치가 입구/출구와 일치하는지, 즉 입구/출구에 있는지 결정된다. 410은, 410에서 위치가 속해야만 하는 미리 결정된 거리가 402에서 이용된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작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거리가 10 또는 15피트가 아니라 2 또는 3피트와 같은 0에 근접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402에서의 것과 유사한 거리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410에서는, 위치가 입구/출구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 결정되며, 미리 결정된 거리는 402에서의 미리 결정된 거리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출구는 위치들의 범위 또는 무리(band)에 대응할 수 있으며, 402에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위치가 입구/출구에 대응하는 위치들의 범위 또는 무리 내에 있는지, 이에 따라 입구/출구와 일치하는지 결정된다.
410에서 위치가 입구/출구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결정된다면, 방법(400)은 종료된다.
410에서 위치가 입구/출구와 일치한다는 결정된다면, 414에서 층 신뢰 수준은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되고, 그 후 방법(400)은 종료된다.
도 5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와 같은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층을 결정하는 예시적인 개요 방법(500)의 순서도이다. 방법(500)은 LBS와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
502는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04는 건물들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즉, RP들의 전송기들)로부터 디바이스(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함)에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06은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08은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즉 현재 층과 동일하다면,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510은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512는 신뢰 수준이 임계값보다 작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방법(500)의 510에서 감소시키는 단계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602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보 층 상에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604는 위치가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606은 위치가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a는 후보 층 선택 방법 1에 대응하는, 방법(500)의 506에서 선택하는 단계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702는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기초하여 전송기들에게 가중치들을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04는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하는 전송기들에 할당된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층 가중치를 각각의 층에 대해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06은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b는 후보 층 선택 방법 2에 대응하는, 방법(500)의 506에서 선택하는 단계에 대해 상술하는 예시적인 방법의 순서도이다.
708은 (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송기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10은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전송기들의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12는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시스템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 내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 내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800)의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80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 및/또는 서버들(108)에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800)은 컴퓨터 프로그램(806)의 명령어들을 실행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802)로서 예시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80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매체들(매체)(804)를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802)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 명령어 프로세서(들)/코어(들)과 매체(804) 사이에서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02)는, 제한 없이, 마이크로프로세서, 그래픽 프로세서, 물리적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네트워크 프로세서, 프런트 엔드 통신 프로세서, 코프로세서, 관리 엔진(ME, Management Engine),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CPU), 범용 명령어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특정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매체(804)는 일시적 또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제한 없이, 레지스터들, 캐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메모리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를 포함하는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및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매체(804)는 프로세서(802)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그 안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806)을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804)는 데이터(808)를 더 포함하며, 데이터는 컴퓨터 프로그램(806)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802)에 의해 이용되고/되거나 컴퓨터 프로그램(806)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802)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808)는 현재 층, 후보 층 및 신뢰 수준을 나타내는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또한 RSSI들 및 RP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806)은 명령어들(810)의 세트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실행될 때 프로세서(802)로 하여금, 상술한 하나 이상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 및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층을 결정하게 한다. 명령어들(810)은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고, 후보 층을 선택하며, 신뢰 수준을 조절하고, 디바이스 위치를 결정하며, LBS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800)은 컴퓨터 시스템(800)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리소스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통신 기반 구조(84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800)은 통신 시스템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시스템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I/O) 디바이스 및/또는 제어기(8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도 9를 참고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시스템에 대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은 도 9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시스템(900)의 블록도이고, 이는 프로세서(902) 및, 본 명세서에서 메모리(904)로 예시된, 연관된 메모리, 캐시, 및/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6)를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900)은 통신 시스템(90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30)을 더 포함한다. 시스템(900)은 전자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스토리지)(9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902), 통신 시스템(906),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3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906)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90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30)을 대신해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네트워크는 음성 네트워크(예를 들어, 무선 전화 네트워크), 및/또는 데이터 또는 패킷 기반 네트워크(예를 들어, 전용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906)은 네트워크(110) 및 건물 통신 시스템(104)과 통신하고 이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기 위한, 수신기 및 전송기와 같은 송수신기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30)은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932), 및/또는 사람 인터페이스 디바이스(HID, Human Interface Device)(934)를 포함할 수 있다. HID(934)는, 제한 없이, 키보드, 커서 디바이스, 터치 감지 디바이스, 모니터 및/또는 이미지 센서, 물리적 디바이스 및/또는 가상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니터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930)은 오디오 시스템(936)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마이크로폰 및/또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900)은 고정 또는 휴대용/핸드헬드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동 전화, 셋톱 박스, 게임 디바이스, 및/또는 랙 장착 가능한, 데스크톱, 랩톱, 노트북, 넷북, 노트 패드 또는 태블릿 시스템, 및/또는 다른 종래 및/또는 향후 개발 시스템(들)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900)은 이들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추가 실시예들 및 예들
다음과 같은 예들은 추가 실시예들과 관련된다.
예 1은 다층 건물에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현재 층을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세서로 하여금,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게 하고;
건물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액세스하게 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게 하고;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게 하고;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게 하고;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 2는 예 1의 주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보 층 상에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게 하고;
위치가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게 하고;
위치가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신뢰 수준을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한다.
예 3은 예 2의 주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신뢰 수준이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한다.
예 4는 청구항 3의 주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신뢰 수준이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고 위치가 진입로와 일치한다면 신뢰 수준을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한다.
예 5는 청구항 1의 주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기초하여 가중치들을 전송기들에 할당하게 하고;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한 전송기들에 할당된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게 하고;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한다.
예 6은 청구항 1의 주제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전송기들 각각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게 하고;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전송기들의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게 하고;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한다.
예 7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고;
건물의 다층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액세스하고;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고;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고;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고;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도록 구성된다.
예 8은 예 7의 장치를 포함하며,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보 층 상에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위치가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고;
위치가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신뢰 수준을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 9는 예 8의 주제를 포함하며,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신뢰 수준이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도록 구성된다.
예 10은 예 9의 주제를 포함하며,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신뢰 수준이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고 위치가 진입로와 일치한다면 신뢰 수준을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11은 예 7의 주제를 포함하며,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들을 전송기들에 할당하고;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한 전송기들에 할당된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고;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예 12는 예 7의 주제를 포함하며, 선택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송기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고;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전송기들의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고;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예 13은 예 7의 주제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고, 통신 네트워크, 및 프로세서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중 하나 이상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및
프로세서 및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통신 시스템을 하우징하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예 14는 예 13의 주제를 포함하며,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 시스템, 및 배터리를 하우징하기 위한 이동식 핸드헬드 하우징을 포함한다.
예 15는 다층 건물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현재 층을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는 단계;
건물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
후보 층이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6은 예 15의 주제를 포함하며, 감소시키는 단계는,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후보 층 상에서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위치가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위치가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17은 예 16의 주제를 포함하며, 감소시키는 단계는,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신뢰 수준을 감소시킨 후,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현재 층의 표시를 후보 층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18은 예 17의 주제를 포함하며, 감소시키는 단계는,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신뢰 수준을 감소시킨 후,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고 위치가 진입로와 일치한다면 신뢰 수준을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19는 예 15의 주제를 포함하며, 선택하는 단계는,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들을 전송기들에 할당하는 단계;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한 전송기들에 할당된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0은 예 15의 주제를 포함하며, 선택하는 단계는,
(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각각의 전송기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전송기들의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를 갖는 층을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21은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명령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예들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예 22는 예들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 23은 예들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 24는 예들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을 포함한다.
예 25는 예들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예 26은 예 15 내지 20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예 27은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층을 결정하기 위해 예들 15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칩셋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은, 제한 없이, 회로, 머신, 컴퓨터 시스템, 프로세서 및 메모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내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개별 회로 및/또는 집적 회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 시스템-온-칩(SOC, System-On-a-Chip),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 특징 및 이들의 관계를 예시하는 기능적 건물 블록들의 도움으로 방법 및 시스템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이러한 기능적 건물 블록들의 경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 임의로 정의되었다. 그 특정된 기능 및 관계가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할지라도, 이들이 예들로서 제시된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청구항들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7)

  1. 다층 건물에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현재 층을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인코딩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상기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게 하고;
    상기 건물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액세스하게 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게 하고;
    상기 후보 층이 상기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게 하고;
    상기 후보 층이 상기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게 하고;
    상기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상기 후보 층으로 대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후보 층 상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위치가 상기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게 하고;
    상기 위치가 상기 알려진 진입로의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상기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상기 후보 층으로 대체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임계값 아래에 있고 상기 위치가 상기 진입로와 일치한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기들에 가중치들을 할당하게 하고;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한 상기 전송기들에 할당된 상기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게 하고;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상기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감소시키게 하기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i) 상기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기들 각각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게 하고;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상기 전송기들의 상기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게 하고;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을 상기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게 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7.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상기 장치가 위치하는 다층 건물의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고;
    상기 건물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상기 장치에 수신된 신호들의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액세스하고;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고;
    상기 후보 층이 상기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고;
    상기 후보 층이 상기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고;
    상기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상기 후보 층으로 대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후보 층 상에서 상기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가 상기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위치가 상기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상기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상기 후보 층으로 대체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감소된 후,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임계값 아래에 있고 상기 위치가 상기 진입로와 일치한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상기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들을 상기 전송기들에 할당하고;
    주어진 층 상에 위치한 상기 전송기들에 할당된 상기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고;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상기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또한,
    (i) 상기 장치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상기 장치와 상기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기들 각각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고;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상기 전송기들의 상기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고;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을 상기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상기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기 위한 수신기를 포함하고, 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중 하나 이상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및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상기 통신 시스템을 하우징하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프로세서 및 메모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시스템, 및 배터리를 하우징하기 위한 이동식 핸드헬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장치.
  15. 다층 건물에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현재 층을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상기 다층 중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층들 상에서 알려진 위치들을 갖는 전송기들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에 수신된 신호들의 신호 강도들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다층 중 하나를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
    상기 후보 층이 상기 현재 층에 대응한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와 연관된 신뢰 수준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후보 층이 상기 현재 층에 대응하지 않는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신뢰 수준이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상기 후보 층으로 대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신호 강도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후보 층 상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위치가 상기 후보 층의 알려진 진입로의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제1 양만큼 감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위치가 상기 알려진 진입로의 상기 미리 결정된 거리 내에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양보다 적은 제2 양만큼 상기 신뢰 수준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상기 신뢰 수준을 감소시킨 후,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임계값 아래에 있다면 상기 현재 층의 표시를 상기 후보 층으로 대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양 및 제2 양 중 하나만큼 상기 신뢰 수준을 감소시킨 후, 상기 신뢰 수준이 상기 임계값 아래에 있고 상기 위치가 상기 진입로와 일치한다면 상기 신뢰 수준을 상기 임계값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기들 각각에 대응하는 측정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가중치들을 상기 전송기들에 할당하는 단계;
    주어진 층에 위치한 상기 전송기들에 할당된 상기 가중치들의 합으로서 각각의 층에 대응하는 층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큰 층 가중치를 갖는 층을 상기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i) 상기 디바이스와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가능한 공간 거리, 및 (ii) 상기 디바이스와 상기 주어진 전송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기들 각각에 대한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
    주어진 층에 대응하는 상기 전송기들의 상기 신호 보상에 기초하여 각각의 층에 대한 층 신호 보상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낮은 층 신호 보상을 갖는 층을 상기 후보 층으로서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복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복수의 명령어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머신 판독 가능 매체.
  22.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통신 디바이스.
  23.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24.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머신.
  25.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6. 제15항 내지 제20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층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27. 디바이스가 위치하는 건물의 층을 결정하기 위해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칩셋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57022313A 2013-03-19 2013-03-19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층 결정 KR1016919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72885 WO2014146255A1 (en) 2013-03-19 2013-03-19 Building floor determination for a location based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399A true KR20150108399A (ko) 2015-09-25
KR101691905B1 KR101691905B1 (ko) 2017-01-02

Family

ID=5157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313A KR101691905B1 (ko) 2013-03-19 2013-03-19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층 결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85626B2 (ko)
EP (1) EP2976900B1 (ko)
KR (1) KR101691905B1 (ko)
CN (1) CN104995930B (ko)
WO (1) WO2014146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37524A1 (en) * 2018-10-26 2020-04-30 Enseo, In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9894502B2 (en) * 2014-05-21 2018-02-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Floor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calls
US9730013B2 (en) * 2014-10-31 2017-08-08 Hsiao-Tse Cha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of 3D geolocation
KR20160059074A (ko) * 2014-11-17 2016-05-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송신 파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5992336B (zh) 2015-01-31 2020-01-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节点ap网元的定位方法及装置
US9843905B1 (en) * 2016-09-08 2017-12-12 Here Global B.V. Floor detection based on determined floor detection parameters
JP6467387B2 (ja) * 2016-09-14 2019-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装ユニット
US10827311B2 (en) 2018-10-26 2020-11-03 Enseo, In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0827219B2 (en) 2018-10-26 2020-11-03 Enseo, Inc. Geoloca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US11877209B2 (en) 2019-07-28 2024-01-16 Polaris Wireless, Inc. Estimating the location of a multi-band reference radio
US11690041B2 (en) * 2020-06-19 2023-06-27 Apple Inc. Wi-Fi Z-axis positio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9679A1 (en) * 2004-07-23 2006-01-26 Rappaport Theodore 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using the position of wireless devices or infra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 enhancements
US20080076430A1 (en) * 2006-07-31 2008-03-27 Olson Timothy S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handover
US20120315918A1 (en) * 2011-06-10 2012-12-13 Google Inc. Prediction of indoor level and location using a three stage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2394B2 (en) * 2004-02-11 2007-09-18 Avaya Technology Corp. Location estimation of wireless terminals in a multi-story environment
US7205938B2 (en) 2004-03-05 2007-04-17 Airespace, Inc. Wireless node location mechanism responsive to observe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wireless network infrastructure signals
US7697893B2 (en) * 2004-06-18 2010-04-13 Nokia Corporation Techniques for ad-hoc mesh networking
KR100703726B1 (ko) * 2004-12-11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웃 노드 관리 및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CN101001432A (zh) 2007-01-05 2007-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提示无线信号的方法及移动终端
CN101242624A (zh) 2007-02-09 2008-08-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定位wcdma系统覆盖盲区的方法
US7894412B2 (en) * 2007-09-07 2011-02-22 Cisco Technology, Inc. Floor determination for a wireless device
CN101631349B (zh) 2008-07-14 2011-08-31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定位终端的方法、装置及无线操作维护中心
CN101466070A (zh) 2009-01-09 2009-06-24 吴鑫 一种基于无线信号接收强度分布自动学习的无线室内定位方法
KR101446032B1 (ko) 2010-05-06 2014-10-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CN102571389B (zh) 2010-12-16 2015-07-01 中国移动通信集团河北有限公司 通信盲点确定方法及gis系统
CN102170697B (zh) 2011-04-06 2014-09-17 北京邮电大学 一种室内定位方法及装置
CN102791025A (zh) 2011-05-20 2012-11-21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基于WiFi的分层定位系统及实现方法
CN102420730B (zh) * 2011-11-14 2014-06-18 无锡南理工科技发展有限公司 高速机动节点的安全拓扑构建方法
US8385943B1 (en) * 2012-05-02 2013-02-26 YFIND Technologies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sition in a multi-storey building
CN102821356A (zh) 2012-08-31 2012-12-12 李友林 基于多种信息聚合的手机定位装置及方法
US9031574B2 (en) 2012-10-12 2015-05-12 Intel Corporation Location estimation based on adjusted distance values for a wireless device
EP2830240B1 (en) * 2013-07-26 2015-10-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ion of a radio cell s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9679A1 (en) * 2004-07-23 2006-01-26 Rappaport Theodore 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using the position of wireless devices or infrastructure for wireless network enhancements
US20080076430A1 (en) * 2006-07-31 2008-03-27 Olson Timothy S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handover
US20120315918A1 (en) * 2011-06-10 2012-12-13 Google Inc. Prediction of indoor level and location using a three stage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6900A1 (en) 2016-01-27
US20160037305A1 (en) 2016-02-04
KR101691905B1 (ko) 2017-01-02
CN104995930A (zh) 2015-10-21
WO2014146255A1 (en) 2014-09-25
CN104995930B (zh) 2019-07-16
EP2976900B1 (en) 2019-05-15
EP2976900A4 (en) 2016-11-09
US9485626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05B1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층 결정
US9602960B2 (en) Positioning method
AU2015219463B2 (en) Localization of a wireless user equipment device in a target zone
US9639557B2 (en) Positioning system
US92374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range of mobile device to wireless installation
US10534065B2 (en) Estimation of a level for an observation data set
US20150312721A1 (en) Determining location based on both a detected location and a predicted location
US20140128100A1 (en) Binning Venues Into Categories Based On Propagation Characteristics
SG181911A1 (en) Locating electromagnetic signal sources
JP2014095697A (ja) 2台の通信機器間の正確な直線距離推定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4089531A1 (en) Providing and utilizing maps in location determination based on rssi and rtt data
US20150212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ositioning based on positioning compatibility classification
US9210543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indoor loca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door location in multi-story building using the same
KR101639204B1 (ko) 컴퓨팅 장치의 글로벌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측지 삼각 측량을 사용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메커니즘
KR102204739B1 (ko) 실내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5507172A (ja) 距離推定
KR20140119333A (ko)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위치 측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