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059A -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059A
KR20150108059A KR1020140030735A KR20140030735A KR20150108059A KR 20150108059 A KR20150108059 A KR 20150108059A KR 1020140030735 A KR1020140030735 A KR 1020140030735A KR 20140030735 A KR20140030735 A KR 20140030735A KR 20150108059 A KR20150108059 A KR 20150108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valuation
container
asse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474B1 (ko
Inventor
김재천
박영희
손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라시스템
김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라시스템, 김재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라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3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47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웹으로 공통 모듈을 플러그인 형태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며 별도의 라이센스 구매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 웹으로 공통 모듈을 플러그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기능의 추가가 쉽고 유지보수, 인프라 투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라이센스 구매가 불필요한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System for Private Property Managem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기반 웹으로 공통 모듈을 플러그인 형태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며 별도의 라이센스 구매가 필요없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채권 회수방법으로는 강제집행(담보권 실행)과 추심으로 나눌 수 있다. 강제집행이란 채무자의 재산을 민사소송법에 의한 경매 등으로 환가하여 회수하는 것이며, 추심이란 채무자의 소재를 파악 추적하고 독촉이나 면담 등으로 채무상환을 유도해 내는 것이다.
전자의 경우는 담보가 있는 부실채권에 대한 채권회수 방법이고, 후자의 경우는 담보가 없는 무담보 부실채권에 대한 채권 회수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전자에 비해 후자의 경우에는 보다 전문적인 채권회수 노하우와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즉, 무담보 부실채권 관리업무는 부실채권의 속성에 따라 다양한 회수절차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회수율(Recovery Rate) 차이가 현저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방법, 객관적인 정보 및 프로세스 기반의 자동화된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종래의 부실채권 관리시스템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문서를 이용한 부실채권 관리시스템 이외에 다수 출원 및 공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출원 특허문헌 1에 따르면, 고객이 금융거래 과정에서 작성한 종이 서류에 대응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와, 상기 금융거래에 대응하는 고객정보와 금융기관 정보 및 고객으로부터의 금융거래 요청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를 연계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수단과, 직원단말로부터 부실채권이 발생한 고객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를 통해 상기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와 연계된 하나 이상의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를 추출하는 수단과 및 상기 전자문서 관리 정보에 포함된 금융거래 요청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추출된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 중 상기 부실채권에 대응하는 채권관리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상기 채권관리 전자문서를 상기 고객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전자문서 DB에 저장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특허문헌 1은 부실채권이 발생한 고객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고객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와 연계된 금융거래 관련 전자문서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자문서 중 부실채권에 대응하는 채권관리 전자문서를 확인하고 고객정보와 연계하여 전자문서 DB에 저장할 뿐이었다. 이에, 부실채권의 관리 전반에 있어서 즉, 추심직원 및 추심조직에 대한 채권배분과 회수목표 배정, 회수활동 및 성과평가에 있어 체계적이고 합리적이지 못했던 부분이 많았다.
한편, 특허문헌 6에는 오프라인 상태의 영업과 추심 및 관리에 온라인 채권 회수 시스템을 접목시켜 효율적으로 채권을 관리하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거래관리 원장을 통한 채권분석 및 부실예측, 고객분석(CRM), 경영관리(ERP) 등의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 솔루션 및 모듈 솔루션의 상품화를 구현할 수 있는 종합채권관리 지원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6은 고객이 기본정보사항이나 채권의 원인서류 및 확정판결 등의 자료를 온라인 상에서 직접 등록하고, 이와 같은 각종 정보들을 토대로 하여 채권 관리와 추심 및 법무상담 등을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는 유용한 발명이다.
하지만, 이러한 특허문헌 6은 자산과 부실채권을 접목하고 또한 부실채권을 미리 예측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지원하는 기술적 수단이 구성되어 있지 않아 고객들의 요구에 부흥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47439호(발명의 명칭: 전자문서를 이용한 부실채권 관리 시스템. 공개일자: 2009년 05월 12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28788호(발명의 명칭: 네트워크 기반의 부실채권 분석, 매입, 매각, 사후관리 시스템. 공개일자: 2010년 03월 15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92783호(발명의 명칭: 채권회수 및 채무상환 기능을 구비하는 소비자산 시스템. 공개일자: 2010년 08월 23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106336호(발명의 명칭: 다중 채무자 부실채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공개일자: 2012년 09월 26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100755호(발명의 명칭: 부실채권 거래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공개일자: 2001년 11월 14일)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94962호(발명의 명칭: 종합채권관리 지원 시스템. 공고일자: 2012년 10월 25일)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웹으로 공통 모듈을 플러그인 형태로 업그레이드가 용이하며 별도의 라이센스 구매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기반 웹으로 공통 모듈을 플러그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기능의 추가가 쉽고 유지보수, 인프라 투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라이센스 구매가 불필요한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실채권을 평가ㆍ예측하며, 채권계약, 채권보전, 채권시효, 채권추심 등의 채권관리 및 추심 활동 및 회수에 따른 자금정산 및 회수 예상, 채권 매입/매출 평가 등 경영정보에 필요한 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와; 기업의 거래 내역을 분석하고, 기업의 재무제표에 필요한 자산, 부채, 자본 등의 큰 항목 및 세부항목을 설정한 후 매출채권, 일일거래, 일반관리비 등의 계정항목, 재무제표 내역, 현금 흐름표,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집계를 산출할 수 있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와; 보안기술 TA 모듈로 구성되며, 필터링과 접근제어 및 암호화 기능, 포렌식 분석을 실시하는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와; 자산 및 예측평가, 부실채권관리, 암호 및 보안 컨테이너에 적용할 데이터를 변환 및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와; 상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제시한 기존의 표준 TA을 상기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TA운영 규정에 맞는 항목, 상기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성향과 환경, 생성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새로운 TA을 모아 공통적인 컴포넌트을 생성하는 ISTA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를 달성한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은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제시한 기존의 표준 TA에 SAIP에서 발생하는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고 적용하여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성향과 환경을 반영한 새로운 TA운영 규정에 맞는 항목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다양한 새로운 TA를 모아 공통적인 컴포넌트를 구성하므로써 컴포넌트들의 공통된 부분을 TA 관리를 통해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수 있고 또 다른 TA 컴포넌트들과 연결 및 연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은 각 기능별로 모듈화된 TA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자산 및 부실예측 평가 통합지원시스템을 구현하고 확보된 컴포넌트로 프레임 워크를 구성하므로써 다양한 산업(예를 들어, 금융, 법률, 제조산업분야 등)에 대한 확장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은 자산 및 부실채권 외 각각의 TA 컴포넌트에 해당하는 업무프로세스를 정형화하고 API를 개발함으로써 기업 현장에 즉시 적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유형의 TA 설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은 기업의 자산평가, 부실징후 예측 및 부실채권 회수 극대화로 인한 기업 가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은 부실채권관리 TA는 채권자(매입채권, 위탁, 수임 등)에 따라 웹 항목이 달라지고 채권성질에 따라 채권관리 및 추심기법 방향도 크게 바뀌기 때문에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변동된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TA를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 번째로, 본 발명은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TA는 기업의 업종 구분에 따라 계정항목과 평가방법이 달라지며, 결정된 현금흐름 유형에 따라 기업운영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변동된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 번째로, 본 발명은 보안기술 TA는 시스템과 웹 환경, 설정된 항목의 범위 내 변동사항 등 DB등의 보안이 매우 유동적이므로 변동되는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일곱 번째로, 본 발명은 데이터분석 TA는 기업 레거시 시스템 자료와 예측 및 평가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장 자료와 기업에서 이익을 발생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공정 부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출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방식 및 데이터 유형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변동된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 번째로, 본 발명은 여신법률 TA는 SAIP 통합지원 시스템 내 부실채권관리/자산 및 부실예측 평가/데이터분석/암호 및 보안 컨테이너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권리 행사 및 권리 행위에 대한 민ㆍ형사건, 민원발생의 입증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포렌식 준비도를 설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홉 번째로, 본 발명은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방대한 자료(빅 데이터)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렌식 분석을 통한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TA 컴포넌트와 차별된 점은 소송/보전의 확장된 개념으로 추후 법정자료 및 디지털 입증자료 등 법정분쟁에 필요한 TA 항목으로만 변동되고 생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데이터분석 컨테이너의 데이터 파싱(parsing) 방법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명칭들이 본 발명에 따른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대해 동일 또는 용이한 변경에 의해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웹으로 공통 모듈을 플러그인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기능의 추가가 쉽고 유지보수, 인프라 투자 및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라이센스 구매가 불필요한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은 종래의 레거시 시스템 등으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를 통해 파싱(Parsing: 변환 및 가공)하여 각각의 컨포넌트에 필요한 TA 및 원장을 생성하고 운영하며, 로그 및 포렌식 분석(준비도)기법을 통한 검증자료를 추출하고 검증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인증과 전자서명 등 웹 이벤트 발생 시 권리분쟁 및 권리 행위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하고 법률분쟁 및 기업의 중요한 분석 자료로 파싱하여 XML 기반으로 템플릿으로 자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XML 기반의 정보는 디지털 서명 표준, 인증, 데이터 무결성, 부인방지 등의 기능을 지원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1에서는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과 메인 서버(Main Serve) 및 서비스 리포팅(Service & Reporting)과 연결된 본 발명의 자산 및 부신예측평가(MP-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System for Assets and Insolvency Prediction: 이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이라 함)은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 AHP분석 Component, 포렌식 Component, XML Component),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 암호 및 보안 컨테이너(30), 데이터 파싱(Parsing) 컨테이너(40: 로그분석, 빅 데이터 분석), ISTA(Industry Sector Technology Architecture) 컨테이너(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SAIP 통합지원 시스템과 연결된 레거시 시스템(60), 메인 서버(70), 서비스 리포팅(80), 그리고 보안모듈(90)을 포함한다.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60)은 기업 및 개인이 운영하는 단일시스템{ERP(SAP 포함), CRM, SCM, 채권관리}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 형식을 변환(Conversion)하고, 문서파일, XML, 전자문서 등을 파싱(Parsing)하여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 필요한 1차적인 데이터인 거래원장을 구축한다.
메인 서버(Main Server: 70)는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 서버로서, 웹 시스템에서 보안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는 시스템 서버이다. 즉, 상기 메인 서버(70)는 금융, 기업, 개인 등(이하 '고객'이라 함.)의 고객이 클라우드 웹 기반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으로 로그인(log-in) 한 시점부터 접근제어(웹 화면, DATA 추출 등), 상기 메인 서버(70)와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웹 앱(APP) 대한 필터링, 암호화 교차 점검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세션정보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교차점검(Cross Check)하여 모든 값이 일치할 경우 서비스 제공(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터의 MAC Address, IP Address,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할당한 사용자 코드 등)할 수 있도록 보안 TA 및 포렌식 분석을 수행하고 웹 사용 시 발생한 모든 민ㆍ형사 분쟁에 대한 자료 및 로그자료를 추출한다. 이때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때(Service & Reporting) 데이터를 가공할 수 없는 형식으로 필터링하여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70)는 생성된 로그 파일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증거 자료를 위한 파일을 파일명, 확장자, 작성자, 작성일지, 히스토리 파일 등의 형태로 저장하여 추후 손상이나 훼손을 예방하고 방지한다. 그리고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의 각종 메타데이터(즉, 파일이름, 최대 볼륨 크기, 최대 파일 크기, 대체 데이트 스트림, 운영체제 호환성 등) 등으로부터 복구성과 보안성, 유닉스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IP 헤더의 발신지/목적지 정보, 데이터 링크 헤더의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 라우터의 정보 등 특정 네트워크 로그를 보관 및 분석한다. 웹 히스토리 분석, 전자우편 헤더 분석, IP 추적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웹 서버나 메일 서버, WAS(Web Application Server) 등의 서버정보를 저장한다. 휴대용 메모리카드, USB 저장장치 등을 이용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읽는 경우 최근에 열어본 파일의 드라이브 위치를 확인하거나 링크 여부를 확인한 정보를 저장한다.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부실채권관리 등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권리분쟁 및 법률행위에 대한 포렌식 준비도 형식을 적용 데이터베이스(필드화)하고,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이해관계인(고객, 사용자, 관리자 등)에 대한 행위를 감시하고, 자산 및 부실채권 계약 시 자료를 실사 평가한다. 그리고 부실채권관리 TA의 거래관리 원장의 히스토리(예를 들어, 매입/매출, 거래(전표) 내역, 예치금, 잔액장) 데이터를 분석, 경영지원관리 모듈의 회계 자료(즉, 자금결재, 재무제표 등) 기타 제반 서류 등을 크로스 체크(cross check)하여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웹에 발생하는 모든 법적 준수사항을 만족하고 포렌식 조사비용을 최소화하고 디지털 증거의 법적 활용 효력(진정성, 무결성, 신뢰성, 원본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포렌식 준비도 개념을 도입하여 SAIP 시스템에 기술과 정책을 활용한다.
상기 서비스 리포팅(Service & Reporting: 80)은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이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XML형식으로 제공한다.
보안모듈(90a)은 접근제어 및 데이터 암/복호화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시스템에서 가공하고, 가공된 정보를 레거시 시스템(60) 및 메인 서버(70)에 전송할 때 사용되는 보안 모듈이다. 이때 상기 접근 제어 기능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등록된 권한과 해당 메뉴의 프로그램이 가진 보안 등급에 따라 접근 가능한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한하는 기능이다. 상기 데이터 암/복호화 기능은 입/출력되는 데이터가 유출될 경우에도 데이터의 내용을 알아볼 수 없도록 한 번 더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기능이다.
보안모듈(90b)은 필터링, 접근제어, 데이터 암/복호화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사용할 경우에 적용되는 모듈이다. 이때 상기 필터링 기능은 SQL Injection 방지 등을 위하여 입력되는 데이터를 안전한 값만 필터링하여 시스템에 입력하게 하는 기능이다. 접근 제어 기능은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에 등록된 권한에 따라 접근 가능한 메뉴 및 기능을 제한하는 기능이다. 데이터 암/복호화 기능은 입력되는 데이터가 유출될 경우에도 데이터의 내용을 알아볼 수 없도록 암호화하고 시스템이 제공하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데이터로 복호화 하여 웹 페이지에 표현하는 기능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은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 암호 및 보안 컨테이너(30), 데이터 분석(Parsing) 컨테이너(40), ISTA(Industry Sector Technology Architecture) 컨테이너(50)로 구성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는 부실채권을 평가ㆍ예측할 수 있으며, 채권계약, 채권보전, 채권시효, 채권추심 등의 채권관리 및 추심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회수에 따른 자금정산 및 회수 예상, 채권 매입/매출 평가 등 경영정보에 필요한 자료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는 부실채권 TA 모듈과 부실채권관리 모듈 및 경영지원관리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부실채권 TA 모듈은 채권계약 이후 레거시 시스템(60: ERPㆍCRMㆍ채권관리 등)의 자료를 받아 채권자 및 채무자의 상세내역 및 채권원장 등을 분류한 다음, 부실채권원장을 생성한다. 또한 부실채권원장의 각 항목을 AHP분석을 통해 부실예측평가항목의 중요도를 선정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신용평점, 자산분류 평가, 부실채권의 시효, 담보, 법적조치 등의 정보와 기존 사후 관리 기록을 토대로 부실채권원장을 갱신 및 생성한다. 즉, 채권평가, 회수예상액, 회수기간 등을 산출한다. 뿐만 아니라 NPL 등의 부실채권의 매입/매출에 대한 평가금액 산출하며, 채권자의 부실채권 업무 위탁관리 및 매입을 위한 실사 및 인수 작업을 통해 채권분류 및 평가금액의 기초 자료와 사후 관리, 거래내역 자료 집계를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부실채권 TA 모듈은 채권시효의 분류 기준을 통해서 시점구분(인수/양도)하고, 채권관리 진행 및 환매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시효 도래 집계를 통해 소송비용 대비 회수금액을 산출하여 매각 및 소송/보전 진행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부실채권 TA 모듈은 채권보전 및 추심을 진행할 경우에 담보 및 법적조치 물건에 대한 감정을, 예를 들어, 채권추심 실무에서는 부동산 시가 추정표를 조사할 경우 공시지가 및 부동산 등기부등본 등의 공부면적만 확인하여 유효가를 산출하고, 부실채권관리 모듈에서는 사정면적 및 부동산 경매진행 시 제시되는 부동산 감정의 일부인 개별요인, 지역요인, 시점수정, 기타요인 등의 격차율을 계산해서 공시지가가 아닌 실거래가 산출하고 권리분석을 통해 유효가를 산출한다. 이때 기존 채권자가 경매 진행 시 감정평가서에 기록된 부분을 볼 수 있고 법적조치 진행할 경우 감정평가는 보통 개인의 시가추정표에 의해 평가된다. 또한 담보물건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어 경매취하 및 법적 비용발생이 대한 손실이 있고, 채권자가 가진 담보 유효가 산출이 정확하지 않다.
상기 부실채권 TA 모듈은 채권회수율, 감면율, 대손상각, 추심원 능력 등을 분석하여 채권추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채권추심(채권배정) 할 경우 채권성질 및 채권추심원의 업무지식 차이에 따라 확연하게 달라지며, 채무자의 신용 및 재산정보에 따라 회수율이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부실예측평가 항목을 적용해서 채권배정을 할 경우 희망모아채권, 국민행복기금 등 금융기관 채권을 추심 위탁 할 경우 채권금액 및 건수 등을 평균으로 하고, 채무자의 전화, 주소, DM, 상담기법 중심의 모형을 제공하여 추심함. 민사/상사 채권일 경우 채권건수를 기준으로 분기마다 채권을 순환 배정하며, 채권배정의 25% 고정(보유)으로 측정된다.
한편, 경영지원관리 모듈은 부실채권 계정별 잔액, 일일거래내역, 여신성가지급금, 법적비용 지급내역, 은행예치금 내역 등에 대한 자금집계 및 정산작업을 진행하고, 수익/지출에 대한 산출, 대손상각 이익, 계정별 잔액, 회수예상율 산출하며, 부실자산에 대한 계정자산분석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는 상기의 기능 이외에 채권 계약 이후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제시한 표준 모형(웹 화면, 측정항목 등)을 채권자 및 채권성질, 사용자의 권한 등에 따라 달라진 모형을 새롭게 적용하여 새로운 표준안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대출시점이 3년 미만일 경우 추심 및 보전조치에 집중, 소멸시효가 중요한 채권일 경우 확정판결 및 소송/보전에 집중 등 여러 가지 모형을 산출할 수 있다.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는 기업의 거래내역을 분석하고, 기업의 재무제표에 필요한 자산, 부채, 자본 등의 큰 항목 및 세부항목을 설정한 후 매출채권, 일일거래, 일반관리비 등의 계정항목, 재무제표 내역, 현금 흐름표(영업 활동(직ㆍ간접),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집계를 산출할 수 있는 표준 TA를 제공하고,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관리에 의한 새로운 표준모형과 기업의 특성 및 내용에 따라 새롭게 표준 TA를 설계한다. 이와 같은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는 자산예측평가 TA 모듈과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모듈로 구성된다.
상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모듈은 기업의 거래내역을 분석하고, 회계처리 할 내용을 분개하여 재무제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계정과목을 토대로 안정성 비율, 수익성 비율, 활동성 비율을 산출하여 기업의 건전성 평가를 한 다음, 현금 흐름표(영업활동(직ㆍ간접),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현금흐름 유형을 산출한다. 또한 산출된 기록을 가지고 현금흐름의 유형, 기업의 라이프 사이클을 이용해 자산평가 및 리스크 예방을 한다. 뿐만 아니라 각 계정의 잔액장(인건비나 경비 등의 일반관리비, 지출, 원가비용 등, 매출채권 잔액장)을 산출하여 변동사항에 대한 기록을 보존한다.
이때, 상기 안정성 비율은 기업의 장기적인 지급능력과 재무 구조적의 건전성 여부(예를 들어,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수익성 비율은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의 수익성을 측정하는데, 매출액 경상이익률과 자기자본 경상이익률을 측정한다. 상기 활동성 비율은 기업의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했는가의 측정하는데, 총자본 회전율과 매출채권 회전율 및 재고자산 회전율 등을 측정한다. 상기 현금흐름표는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기준 등을 의미하며, 현금 흐름의 유형에 따라 제1유형(현금보유형), 제2유형(성숙기업형), 제3유형(부채축소형, 일부사업 구조조정형), 제4유형(성장형), 제5유형(저수익사업 매각형), 제6유형(신생기업, 급성장기업형), 제7유형(대규모 구조조정형), 제8유형(보유현금소진형, 쇠퇴기업형) 등으로 구분한다.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는 보안기술 TA 모듈로 구성되며, 필터링과 접근제어 및 암호화 기능, 그리고 포렌식 분석을 한다. 즉, 상기 보안기술 TA 모듈은 필터링, 접근제어, 암호화 기능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금융, 기업, 개인 등(이하 '고객'이라 함)의 고객이 클라우드 웹 기반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으로 로그인 한 시점부터 접근제어(웹 화면, DATA 추출 등), 시스템(서버)과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웹 APP 대한 필터링, 암호화 교차 점검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세션정보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교차점검(Cross Check)하여 모든 값이 일치할 경우 서비스 제공(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터의 MAC Address, IP Address,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할당한 사용자코드 등)할 수 있도록 보안 TA 및 포렌식 분석(웹 사용 시 발생한 모든 민ㆍ형사 분쟁에 대한 자료 및 로그자료)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의 보안기술 TA 모듈은 생성된 로그 파일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증거 자료를 위한 파일을 파일명, 확장자, 작성자, 작성일지, 히스토리 파일 등의 형태로 저장하여 추후 손상이나 훼손을 예방하고 방지한다. 그리고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의 각종 메타데이터(파일이름, 최대 볼륨크기, 최대파일크기, 대체 데이트 스트림, 운영체제 호환성) 등으로부터 복구성과 보안성, 유닉스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IP 헤더의 발신지/목적지 정보, 데이터 링크 헤더의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 라우터의 정보 등 특정 네트워크 로그를 보관 및 분석하고, 웹 히스토리분석, 전자우편 헤더분석, IP 추적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웹 서버나 메일 서버, WAS(Web Application Server) 등의 서버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휴대용 메모리카드, USB 저장장치 등을 이용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읽는 경우 최근에 열어본 파일의 드라이브 위치를 확인하거나 링크 여부를 확인한 정보를 저장한다.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부실채권관리 등에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권리분쟁 및 법률행위에 대한 포렌식 준비도 형식을 적용 데이터베이스(필드화)하고, SAIP의 이해관계인(고객, 사용자, 관리자 등)에 대한 행위를 감시하고, 자산 및 부실채권 계약 시 자료를 실사 평가 한다. 부실채권관리 TA의 거래관리 원장의 히스토리(매입/매출, 거래(전표)내역, 예치금, 잔액장) 데이터를 분석, 경영지원관리 모듈의 회계 자료(자금결재, 재무제표 등) 기타 제반 서류 등을 CROSS CHECK하여 분석한 DATA을 저장한다. 웹에 발생하는 모든 법적준수사항을 만족하고 포렌식 조사비용을 최소화하고 디지털 증거의 법적 활용 효력(진정성, 무결성, 신뢰성, 원본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포렌식 준비도 개념을 도입하여 SAIP 시스템에 기술과 정책을 활용한다.
한편, 상기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에서는 포렌식 분석을 수행하는데, 고객 정보 및 로그 정보 분석 기술 기반의 디지털 포렌식 분석한다. 즉, 본 발명의 SAIP의 통합지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고객의 정보 및 각종 로그 정보를 디지털 포렌식 분석에 활용하며, 로그데이터의 타임라인 분석을 통해 시간 정보의 선후관계를 분석하고, 통계 및 데이터 마이닝 기법 등을 활용해 서로 다른 이벤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효율적인 대용량 로그 정보 분석을 위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을 활용하며,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여 일반적인 법률 소송뿐 아니라 기업의 정보보안 및 법률 자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상기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에서 구현하는 포렌식 분석은 디지털 정보에 대한 무결성 및 신뢰성 보장하는데, 구체적으로는 고객 정보 및 각종 로그 정보 등은 디지털 형태로 생산되므로 디지털 정보의 생산부터 보존, 이관, 활용 등 전 단계에서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해야 그 증거적 가치를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디지털 포렌식 절차에서는 증거 수집 시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쓰기방지 장치 및 이미징 도구를 사용하고, 수집과 동시에 원본증거에 대한 해시값을 계산하여 추후 법정에서 무결성을 증명하는데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의 생성시점 및 생성된 해시 값의 유효성을 보장한다.
한편, 전술한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에서 구현하는 포렌식 분석 준비도를 적용한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에서는 본인서명 및 인증, 채무감면규정(회수율, 회수규정), 소송위임 범위, 법적비용(여신성 가지급금- 실패율), 민원발생(사후관리, 신용정보) 등 분쟁이 발생할 수 있는 부분과 입증할 수 있는 소명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40)는 자산 및 부실채권에 대한 기존자료 변환 및 예측평가에 통해 생성된 데이터 실사 및 확인에 대한 기록을 보존(예를 들어, 소멸시효, 사고대출, 여신성 가지급금, 담보평가(이면담보 등),대출잔액, 채무자, 보증인 등 기타 제반서류) 한다.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에서는 계정항목 및 자산기준 표준모형을 기준으로 재무제표, 은행 예치금, 거래(전표) 내역, 월말 잔액장 등 잔액을 CROSS CHECK 한 다음 각각의 잔액을 별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존한다. 암호 및 보완 컨테이너(30)에서는 XML 표준 외 문서파싱 및 자료변환에 대한 데이터를 보관한다.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40)는 자산 및 예측평가, 부실채권관리, 암호 및 보안 컨테이너에 적용할 데이터를 변환 및 생성한다. 즉, 시스템 사용(계약) 기존 레거시(ERP, CRM, SCM, 채권관리 등 어떤 형태의 자료 등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 맞는 형식의 DB로 변환하여 각각의 원장을 우선 구축한 후, 각각 원장에 대한 예측 및 평가 작업을 거쳐 새로운 원장을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시스템, DB, 웹 등의 다양한 방법의 보안(블랙박스)한 후 고객이 원하는 자료만 XML형식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40)는 각종 데이터를 XML로 파싱, XML를 파싱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분석/가공된 데이터는 도 3과 같이 DATA 부분만 XML형식으로 전환하여 양식으로 제공한다. 즉, ISTA 컨테이너(50)에서 요청하는 다양한 TA, 표준 TA 등을 제공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SAIP 사용 후 분석/가공된 DB을 기존 및 새로운 TA에 맞게 데이터를 생성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갱신한다.
ISTA(Industry Sector Technology Architecture) 컨테이너(50)는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제시한 기존의 표준 TA을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TA운영 규정에 맞는 항목,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성향과 환경, 생성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새로운 TA을 모아 공통적인 컴포넌트을 생성한다. 이 컴포넌트의 공통된 부분을 TA관리를 통해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수 있고, 또 다른 TA 컴포넌트를 연결 및 연동하여 움직인다. 이와 같은 ISTA 컨테이너(50)는 데이터계층분석 TA 모듈, 부실채권 TA 모듈, 자산예측평가 TA 모듈, 제조공정 TA 모듈, 여신법률 TA 모듈, 보안 TA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계층분석 TA 모듈은 기업 레거시 시스템 자료, 예측 및 평가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장 자료와 기업에서 이익을 발생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공정 부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출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방식 및 데이터 유형이 달라질 수 있으며,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변동된 자료을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한다. 상기 부실채권 TA 모듈은 채권자(매입채권, 위탁, 수임 등)에 따라 웹 항목이 달라지며, 채권성질에 따라 채권관리 및 추심기법 방향도 크게 변환되며,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변동된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한다. 상기 자산예측평가 TA 모듈은 기업의 업종 구분에 따라 계정항목과 평가방법이 틀리며, 현금흐름 유형에 따른 기업운영이 달라질 수 있으며,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변동된 자료를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한다. 상기 여신법률 TA 모듈은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 데이터분석 컨테이너(40), 그리고 ISTA 컨테이너(50)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권리 행사 및 권리 행위에 대한 민ㆍ형사건, 민원발생의 입증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포렌식 준비도를 설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방대한 자료(빅 데이터)을 분석하여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렌식 분석을 통한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TA 콤포넌트와 차별된 점은 소송/보전의 확장된 개념으로 추후 법정자료 및 디지털입증자료 등 법정분쟁에 필요한 TA항목으로만 변동되고 생성된다. 상기 보안기술 TA 모듈은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과 웹 환경, 설정된 항목의 범위 내 변동사항 등과 DB 등의 보안이 매우 유동적이므로 변동되는 자료을 토대로 새롭게 TA을 설정해서 각각의 공통된 TA 컴포넌트에 저장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포렌식 준비도를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하기의 표 1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렌식 준비도에 의한 히스토리 파일(History File) 레이 아웃(layout: TA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권리발생 및 권리분쟁
(인증/서명)

계정항목

세부내역

로그

출력물
계정항목 선정 및 계약체결 규
정(감면, 회수율, 법수 등)
자금정산, 담보평가, 시효
재무제표 계정과목 잔액
전표좌수 잔액
현금흐름 집계금액
일일거래 계좌, 입/출 내역
일반관리비 계정금액







시스템 로그
타임스탬프/TCP/IP

웹로그
타임스탬프/사용자/단말정보/계정화면코드/웹상 주시간/발생이벤트










수신자 출력장치 기록

리포트지원 S/W 기록
시효변경 시효변경전(시효기간/안성일 구분)
시효변경후(시효기산/완성일 구분) 처리자, 승인자
가수/가지급금 고객번호, 계좌번호 채권번호, 처리금액, 잔액, 적요, 처리자, 승인자, 사건연계번호
예치금 계좌번호(가상), 처리금액, 잔액
일일거래관리 처리계좌, 고객번호, 채권번호, 처리금액, 전표번호 처리자. 승인자, 전표좌수, 차ㆍ대변금액
채권정보 대출금액, 대출잔액, 최종처리일, 채권번호, 승인번호, 처리자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SAIP) 통합지원시스템의 제어방법(시나리오)을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1) 본 발명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과 계약을 체결한다.
즉, CRM(고객관계), ERP(전사적 관리시스템), SCM(공급망관리)등의 단일 업무지원 데이터, 종합채권관리 지원시스템의 데이터,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고객이 등록한 데이터를 데이터분석 컨테이너(40)를 통해 자료변화 및 가공한 후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에 필요한 아키텍처 및 원장(자산원장, 거래원장, 부실원장 등)을 생성한다. 이때 고객 분류에 따라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은 단일시스템, 중개(브릿지)시스템, 클라우드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고객이 필요한 기능만 사용할 경우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으로 활용하고, 고객의 성향과 업무를 분석 후 ISTA 컨테이너 속의 TA관리 컨포넌트를 새롭게 생성한다.
2) 웹 로그인 한다.
금융, 기업, 개인 등의 고객이 클라우드 웹 기반의 SAIP 통합지원 시스템으로 로그인 한 시점부터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를 통해 접근제어(웹 화면, DATA 추출 등), 시스템(서버)과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의 웹 APP 대한 필터링, 암호화 교차 점검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는 세션정보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교차점검(Cross Check)하여 모든 값이 일치할 경우 서비스를 제공(예를 들어: 사용자 컴퓨터의 MAC Address, IP Address,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할당한 사용자코드 등)할 수 있도록 보안 TA 및 포렌식 분석(웹 사용시 발생한 모든 민ㆍ형사 분쟁에 대한 자료 및 로그자료)를 추출한다. 그리고 생성된 로그 파일을 분류하고 분석하여, 증거 자료를 위한 파일을 파일명, 확장자, 작성자, 작성일지, 히스토리 파일 등의 형태로 저장하여 추후 손상이나 훼손을 예방하고 방지한다. 또한 NTFS (New Technology File System)의 각종 메타데이터 (파일이름, 최대볼륨크기, 최대파일크기, 대체 데이트 스트림, 운영체제 호환성 등) 등으로부터 복구성과 보안성, 유닉스의 파일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며, IP 헤더의 발신지/목적지 정보, 데이터 링크 헤더의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 라우터의 정보 등 특정 네트워크 로그를 보관 및 분석한다. 그리고 웹 히스토리분석, 전자우편 헤더분석, IP 추적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웹 서버나 메일서버, WAS(Web Application Server) 등의 서버정보를 저장하며, 휴대용 메모리카드, USB 저장장치 등을 이용하여 서버에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읽는 경우 최근에 열어본 파일의 드라이브 위치를 확인하거나 링크 여부를 확인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를 통해 사전적 채권관리(계약체결), 사후적채권관리(채권시효, 채권보전, 채권추심)의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권리분쟁 및 법률행위에 대한 포렌식 준비도 형식을 적용 데이터베이스(필드화)하고, SAIP의 이해관계인(고객, 사용자, 관리자 등)에 대한 행위를 감시하고, 자산 및 부실채권 계약 시 자료를 실사 평가한다. 그리고 부실채권관리 모듈의 거래관리 원장의 히스토리(매입/매출, 거래(전표)내역, 예치금, 잔액장) 데이터를 분석, 경영지원관리 모듈의 회계 자료(자금결재, 재무제표 등)와 기타 제반 서류 등을 CROSS CHECK하여 분석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웹에 발생하는 모든 법적준수사항을 만족하고 포렌식 조사 비용을 최소화하고 디지털 증거의 법적 활용 효력(진정성, 무결성, 신뢰성, 원본성)을 보장받을 수 있게 포렌식 준비도 개념을 도입하여 SAIP 시스템에 기술과 정책을 활용한다.
3) 고객이 자산평가 및 예측평가를 원한다.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30)는 고객의 재무제표를 통해 대차대조표, 손익계정을 통해 기업의 건전성 평가를 산출( 안정성 비율- 유동비율, 당좌비율, 부채비율, 수익성비율- 매출액 경상이익율, 자기자본 경상이익율)하며, 현금흐름분석( 영업활동(직/간접법), 투자활동, 재무활동)을 통해 기업의 평가유형을 제시하고 사후 방법을 도출(가 결산 시점- 일, 주간, 월. 분가, 반기, 년 고객이 필요한 시점 언제나 가능. 단 인위적인 결산보정 불가) 한다.
4) 자산평가 및 예측평가 후 리스크 예방 및 관리를 원한다.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를 통해 종합채권관리시스템에서 평가된 부실예측평가 자료를 AHP측정항목을 통해 모형을 제시하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에서 도출된 현금흐름분석을 통해 부실채권관리 항목을 더욱 세분화하고, 채권평가 세부항목 인 담보평가 시 공부면적에서 제시되지 못한 사정면적의 제시외 건물과 공시지가 가격에서 시점수정, 개별요인, 지역요인,기타요인 등 측정항목을 통해 가격을 산출하여 유효가를 산정한다. 이때 유가증권은 주식, 채권, 기타유가증권을 말하고, 대출금은 개인매출채권, 일반법인매출채권, 특별채권을 의미하며, 고정자산은 부동산, 기타유형자산, 무형자산을 의미하며, 기타자산은 임차보증금, 여신성가지급금, 미수계정, 선급계정, 기타보유계정 등을 의미한다.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의 고객 정보 및 로그 정보 분석 기술 기반의 디지털 포렌식 분석을 활용하는데, 구체적으로는 SAIP 통합지원 시스템을 사용하는 고객의 정보 및 각종 로그 정보를 디지털 포렌식 분석에 활용한다. 또한 로그데이터의 타임라인 분석을 통해 시간 정보의 선후관계를 분석하고, 통계 및 데이터 마이닝 기법 등을 활용해 서로 다른 이벤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며, 효율적인 대용량 로그 정보 분석을 위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을 활용한다. 그리고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여 일반적인 법률 소송뿐 아니라 기업의 정보보안 및 법률 자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한다.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의 디지털 정보에 대한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데, 고객 정보 및 각종 로그 정보 등은 디지털 형태로 생산되므로 디지털 정보의 생산부터 보존, 이관, 활용 등 전 단계에서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해야 그 증거적 가치를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디지털 포렌식 절차에서는 증거 수집시 무결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쓰기방지 장치 및 이미징 도구를 사용하고, 수집과 동시에 원본증거에 대한 해시값을 계산하여 추후 법정에서 무결성을 증명하는데 사용하며, 각종 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의 생성시점 및 생성된 해시 값의 유효성을 보장한다.
5) 고객이 경영분석 및 기존 업무시스템을 연계할 수 있는 분석자료을 원한다.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20),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10),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30)를 통한 데이터를 데이터분석 컨테이너(40)를 통해 파싱한 후 고객이 원하는 자료를 XML형식으로 제공한다. 또한 SAIP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도 3과 같이 DATA 부분만 XML형식으로 전환하고, ISTA 컨테이너(50)에서는 고객의 다양화에 따른 TA 표준을 제공하고, 웹 사용 이후 새롭게 생성된 TA를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6) 다양한 고객층의 데이터분석 및 업무지원을 원하는 경우 TA 지원한다.
여기서는 ISAT 콘테이너(50)를 활용하는데, 각 컨테이너에서 제시한 기존의 표준 TA 컨포넌트을 가지고 웹을 이용하는 고객 성향과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새로운 TA 컨포넌트 생성한다. 이때 채권자 성격(매입채권, 위탁, 수임 등)에 따라 표준으로 제시한 웹 항목이 달라지며, 부실채권관리 중 채권성질에 따라 채권보전, 채권시효, 채권추심, 채권 계약 등 우선 항목이 변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 사용자에 따라 권리분쟁 및 입증분석 자료가 달라지고, 데이터 특성에 따라 파싱기법, 자료 분석이 달라진다.
10: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
20: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
30: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
40: 데이터분석 컨테이너
50: ISTA 설계 컨테이너
60: 레거시 시스템
70: 메인 서버
80: 서비스 리포팅
90a, 90b: 보안모듈

Claims (6)

  1.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부실채권을 평가ㆍ예측하며, 채권계약, 채권보전, 채권시효, 채권추심 등의 채권관리 및 추심 활동 및 회수에 따른 자금정산 및 회수 예상, 채권 매입/매출 평가 등 경영정보에 필요한 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와;
    기업의 거래 내역을 분석하고, 기업의 재무제표에 필요한 자산, 부채, 자본 등의 큰 항목 및 세부항목을 설정한 후 매출채권, 일일거래, 일반관리비 등의 계정항목, 재무제표 내역, 현금 흐름표,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집계를 산출할 수 있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와;
    보안기술 TA 모듈로 구성되며, 필터링과 접근제어 및 암호화 기능, 포렌식 분석을 실시하는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와;
    자산 및 예측평가, 부실채권관리, 암호 및 보안 컨테이너에 적용할 데이터를 변환 및 생성하는 데이터 분석 컨테이너와;
    상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에서 제시한 기존의 표준 TA을 상기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생성된 새로운 TA운영 규정에 맞는 항목, 상기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성향과 환경, 생성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새로운 TA을 모아 공통적인 컴포넌트을 생성하는 ISTA 컨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기업 및 개인이 운영하는 단일시스템에 사용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 형식을 변환하고, 문서파일, XML, 전자문서 등을 파싱하여 상기 자신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에 필요한 1차적인 데이터인 거래원장을 구축하는 레거시 시스템과;
    웹 시스템에서 보안모듈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는 메인 서버와;
    상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을 이용하는 고객이 상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의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상기 데이터를 XML형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리포팅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시스템에서 가공하고, 가공된 정보를 상기 레거시 시스템 및 메인 서버에 전송할 때 사용되는 보안 모듈과;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사용할 경우에 적용되는 보안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는 채권계약 이후 상기 레거시 시스템의 자료를 받아 채권자 및 채무자의 상세내역 및 채권원장 등을 분류한 다음, 부실채권원장을 생성하는 부실채권 TA 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는 기업의 거래내역을 분석하고, 회계처리 할 내용을 분개하여 재무제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계정과목을 토대로 안정성 비율, 수익성 비율, 활동성 비율을 산출하여 기업의 건전성 평가를 한 다음, 현금 흐름표, 투자활동, 재무활동의 현금흐름 유형을 산출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TA 컨테이너는;
    기업 레거시 시스템 자료, 예측 및 평가하여 생성된 각각의 원장 자료와 기업에서 이익을 발생하기 위해 행하는 모든 공정 부분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출하여 관리하는 데이터계층분석 TA 모듈과,
    상기 부실채권관리 컨테이너,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컨테이너, 암호 및 보안기술 컨테이너, 데이터분석 컨테이너, ISTA 컨테이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권리 행사 및 권리 행위에 대한 민ㆍ형사건, 민원발생의 입증자료를 제공하는 여신법률 TA 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KR1020140030735A 2014-03-17 2014-03-17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KR10173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35A KR101730474B1 (ko) 2014-03-17 2014-03-17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735A KR101730474B1 (ko) 2014-03-17 2014-03-17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059A true KR20150108059A (ko) 2015-09-25
KR101730474B1 KR101730474B1 (ko) 2017-05-11

Family

ID=5424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735A KR101730474B1 (ko) 2014-03-17 2014-03-17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47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367B1 (ko) 2016-02-15 2016-12-20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 부실과 신용보험 사고를 예측하는 방법
KR20180060044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나라시스템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p2p 중개 보안 시스템
CN117611107A (zh) * 2024-01-18 2024-02-27 四川数字健康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分类分级系统和应用系统管理平台
CN117829772A (zh) * 2024-01-03 2024-04-05 北京祝融视觉科技股份有限公司 针对基础设施资产数据的采集管理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566B1 (ko) 2022-04-27 2023-10-05 (주)아스트론시큐리티 다이나믹 클라우드 자산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691B1 (ko) * 2003-10-28 2005-03-23 한국기업인증 주식회사 기업간 거래 위험도 분석을 통한 연쇄 부도 위험 측정방법 및 시스템
KR100710405B1 (ko) 2006-02-20 2007-04-24 (주)데이타코리아비즈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방식의 거래처신용관리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신용관리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367B1 (ko) 2016-02-15 2016-12-20 신용보증기금 신용보증 부실과 신용보험 사고를 예측하는 방법
KR20180060044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나라시스템 클라우드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지원하는 p2p 중개 보안 시스템
CN117829772A (zh) * 2024-01-03 2024-04-05 北京祝融视觉科技股份有限公司 针对基础设施资产数据的采集管理方法及系统
CN117611107A (zh) * 2024-01-18 2024-02-27 四川数字健康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分类分级系统和应用系统管理平台
CN117611107B (zh) * 2024-01-18 2024-04-02 四川数字健康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分类分级系统和应用系统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474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sim et al. Information technology's impact on the accounting system
Dai et al. Toward blockchain-based accounting and assurance
Ertan et al. Enhancing loan quality through transparency: Evidence from the European Central Bank loan level reporting initiative
US20190228419A1 (en) Dynamic self-learn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new rules for detecting organizational fraud
US20020152155A1 (en) Method for automated and integrated lending process
US200502099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ument processing
US20040049445A1 (en) Financial services automation
US20150112854A1 (en) Method of Automating a Business Loan Life Cycle
US20070005461A1 (en) Business tax organizing method and system
US20040193532A1 (en) Insider trading risk management
KR101730474B1 (ko) 자산 및 부실예측평가 통합지원 시스템
US786078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et/loan management and processing
US20210065304A1 (en) Contract automation with blockchain based interaction and recording
CN105260933A (zh) 一种普惠金融的贷款评估方法
Jayeola Inefficiencies in trade reporting for over-the-counter derivatives: Is blockchain the solution?
Dull et al. ACTVE: A proposal for an automated continuous transaction verification environment
US2013018510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nderwriting Mortgage Loan Insurance
CN114331105A (zh) 电子汇票的处理系统、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60048845A1 (en) Method for eliminating the use of paper in electronic transactions by legally valid manuscript biometrics, so-called formalised paperless solution
CN111178826A (zh) 基于区块链的消费金融风险管理方法及云平台
Prasadhita et al. Development of Accounting System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Davydova et al. Policy Note: Transformation Of The Legal Mechanism Of Taxation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ization: Russian Case Study
Alfonsius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and Business Organizations: GARRY ALFONSIUS Bachelor of Science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Universal Institute of Professional Management UIPM Singapore
Doxey The New Accounts Payable Toolkit
Jadhav et al. Ethereum-Based Decentralized Crowdfund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