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534A -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534A
KR20150107534A KR1020140030640A KR20140030640A KR20150107534A KR 20150107534 A KR20150107534 A KR 20150107534A KR 1020140030640 A KR1020140030640 A KR 1020140030640A KR 20140030640 A KR20140030640 A KR 20140030640A KR 20150107534 A KR20150107534 A KR 2015010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lume
tilt
cal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병욱
Original Assignee
진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병욱 filed Critical 진병욱
Priority to KR1020140030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534A/en
Publication of KR2015010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5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 adjustmen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a volume adjustmen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adjust a volume size of a receiver speaker and an external speaker of the terminal or the like, according to a tilt degree using a tilt & gravity sensor installed at the terminal.

Description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MOBILE DEVI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의 기울기 중력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통화 등의 음량을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로 제어하는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which is easy to adjust the volume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volume of a call or the like to a degree of inclination of a terminal by using a tilt gravity gravity sensor of the terminal.

일반적으로,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부가 기능을 추가되고 있는 상황이나, 이동 단말기의 통화 수신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음량 키 버튼을 일일이 눌러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 전환 시 통화음량이 갑자기 크게되면 외부에 소음을 발생하게 되는데, 음량 키를 누르게 되면 음량을 재빨리 축소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in recent mobile terminal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added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However, in order to adjust a call reception volume of a mobile terminal, When the call volume suddenly increases at the time of switching, a noise is generated outsid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apidly reduce the volume when the volume key is pressed.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에 장착된 기울기 중력 중력 센서를 이용하여 통화 등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volume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a volume of a call or the like using a gravity gravity sensor mounted on a terminal.

본 발명인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가 수평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중력 센서; 상기 기울기 중력 중력 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스피커부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adjust the volume, and includes a tilt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tilting of the terminal from horizontal; And a volume controller for adjusting a volume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a degree of tilt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tilt gravity gravity sensor.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부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단말기의 기울기를 통해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빠르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olume of sound generated in the recei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lope of the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quickly adjust the volu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거리 및 기울기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음량 조절 방법을 보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a volum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기울기 중력 정도를 감지하는 기울기 중력 중력센서를 부가하고, 기울기 중력 중력 센서를 통해 단말기의 경사 정도에 따라 단말기의 스피커부(리시버 및 외부 스피커 포함)에서 발생하는 음량이 조절되는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ilt gravity gravity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tilt gravity is added to a mobile terminal and a volume generated from a speaker unit (including a receiver and an external speaker) of the terminal is adjusted according to a tilt degree of the terminal through a tilt gravity gravity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bile terminal that can easily adjust the volume.

상기 기울기 중력 중력 센서는 단말기 내에 실장되며, 단말기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부터 얼마정도 기울어져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단말기가 수평에 가까워질수록 음량이 증가되며, 수직에 가까워질수록 음량이 작아질 수 있다.The tilt gravity gravity sensor is mounted in the terminal and can measure whether the terminal is tilt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For example, as the terminal approaches the horizontal, the volume increases, and as the vertical approaches, the volume decreases .

이하, 이동 단말기의 거리센서를 추가하여 스피커폰 모드 시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applied to a speaker phone mode by adding a distance sensor of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거리 센서를 이용한 스피커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사용자와 단말기와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거리 센서(101)와; 상기 단말기의 수평으로부터의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중력 센서(201) 및 상기 거리 센서(101)와 기울기 중력 센서(201)를 통해 검출된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 및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에 의해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102)와; 상기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말기와 사용자의 거리가 멀어지고 단말기가 수평으로부터 일정 각도범위 내로 뉘여진 경우,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스피커 폰 모드 전환부(103)와;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기울기 중력 센서(201)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에 따라 통화 음량을 조절하는 통화 음량 제어부(10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peakerphone control apparatus using a distance senso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distance sensor 101 for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a user and a terminal; A tilt gravity sensor 201 for measuring the degree of tilt of the terminal from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tilt angle of the terminal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101 and the tilt gravity sensor 201, A control unit (102) for switching to a mode; A speaker phone mode switching unit 103 for switching to a speaker phone mod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user is distanc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2 and th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from horizontal; And a call volume control unit 104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all according to the tilt value measured by the tilt gravity sensor 201 after switching to the speaker phone mode.

여기서, 상기 거리 센서(101)는 통화 중 전화 통화자와 단말기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대고 통화를 하는지, 아니면 다른 사람과 공유하기 위해 단말기를 떨어뜨려 놓고 통화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검출 거리가 가까우면 단말기를 귀에 대고 직접 통화하는 것이고, 검출 거리가 멀어지면 단말기를 일정 거리 이상 떨어뜨리고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sensor 101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a telephone caller and a terminal during a call,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calls the terminal by placing it in the ear or sharing it with another person If the detection distance is close, the terminal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ar. If the detection distance is long,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erminal is used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 센서(101)는 리시버 부근에 장착하고 있으나, 그 위치는 단말기 제조업체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통화 중 얼굴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용이한 위치에 장착하면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tance sensor 101 is mounted near the receiver, but the posi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f the terminal, and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distance from the face during a call can be easily measured.

다음, 상기 스피커 폰 모드 전환부(103)는 기존에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메뉴를 조작하여 통화 모드를 전환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02)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Next, the speaker phone mode switching unit 103 may switch the phone mode by manually operating the menu manually so that the speaker phone mode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speaker phone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2 do.

또한, 상기 통화 음량 제어부(104)는 기존에 사용자가 통화 중 사이드 키(볼륨 키)를 눌러 수동으로 조정하던 것을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 폰 모드 시 기울기 중력 센서(201)에 의해 측정된 기울기 값에 따라 통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lk volume control unit 104 controls the talk volume mode according to the tilt value measured by the tilt gravity sensor 201 when the user manually adjusts the talk volume by pressing the side key (volume key) Allows you to adjust the volume of the call.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거리 센서 및 기울기 중력 센서를 부가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피커 폰 모드로 통화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로서, 전화가 수신될 경우 사용자는 통화 버튼 등을 눌러 통화 가능 상태로 만든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aking a call in a speaker phone mode using a mobile terminal to which a distance sensor and a tilt gravity sensor are ad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all is received, It makes it possible.

상기 통화 가능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기를 직접 들고 리시버를 귀에 대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통화를 하면 되고, 전화 수신 시 다른 작업에 의해 단말기를 휴대할 수 없거나 여럿이 듣기 원할 경우, 거리 센서 및 기울기 중력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단말기를 눕히게 되면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된다. If the user is not performing another operation in the callable state, the user may directly pick up the terminal, place the receiver in the ear, and make a call in a normal manner. If the user can not carry the terminal by another operation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call, , The distance sensor and the tilt gravity sensor switch the speaker phone mode when the user lays down the terminal from a long distance.

통상 사용자가 상기 통화 버튼을 눌렀을 때 단말기가 사용자로 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상태이면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처음에는 리시버 모드인 상태에서 몇초 정도 후에 스피커 폰 모드로 변환하는 것이 타당하다. Sinc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erminal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or more away from the user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the speaker mode is initially switched to the speakerphone mode after a few seconds in the receiver mode.

이때, 수신 음량의 볼륨은 스피커 폰 모드 전환 시 상기 기울기 중력 센서에 의해 검출된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에 비례하여 볼륨이 조정된다.At this time, the volume of the reception volume is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by the tilt gravity sensor when the speaker phone mode is switched.

만약, 적절한 음량으로 고정시키고 싶은 경우 특정한 버튼을 눌러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좌우로 흔들어 충격 센서(미도시)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해당 음량을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후에 음량 크기를 변동시키려면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단말기를 흔들어 상기 충격 센서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음량 고정을 해지시킬 수 있다. If it is desired to fix the volume at a proper volume, it may be fixed by pushing a specific button. Alternatively, the sound volume may be fixed by allowing the shock sensor (not shown) to recognize the volume by shaking the volume. Or by shaking the terminal so that the impact sensor recognizes it, thereby releasing the volume fixing.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거리 센서 및 기울기 중력 센서를 이용한 음량 조절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수신한 다음 리시버를 귀에 대고 직접 통화하거나, 또는 단말기를 귀에 근접하지 않고 그대로 수평한 작업대 위에 내려놓는다.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adjusting a volume using a distance sensor and a tilt gravity sensor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er is then called directly to the ear or the receiver is placed on a horizontal work surface Leave.

상기와 같이 단말기를 귀에 대고 직접 통화할 경우 거리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검출 거리는 근거리가 되어 단말기는 수평으로부터 상당한 각도 이상으로 세워져 있으므로 통화 모드는 리시버 모드가 되며, 단말기를 작업대(책상)에 내려놓고 통화할 경우 거리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검출 거리는 원거리로 인식되고 단말기는 거의 수평에서 일정 각도 이내로 눕혀져 있으므로 통화 모드는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된다.(리시버 모드에서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환 조건이 만족되면 즉시 전환될 수 있으나, 최초 통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기 전환 조건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몇초 후에 스피커 폰 상태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When the user directly calls the terminal to the ear 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is close to the user's ear, and the terminal is set at a considerable angle or more from the horizontal, so that the call mode is set to the receiver mode.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is remotely recognized by the distance sensor, and the terminal is laid down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call mode is switched to the speaker phone mode. (When the receiver mode is switched to the speaker phone mode, If it is satisfied, it can be immediately switched. However, if the initial call button is pushed, it may be switched to the speaker phone state after a few seconds even if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이때, 상기 전화 통화 모드가 스피커 폰 모드일 경우,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를 중력 기울기 센서가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그 기울기 정도에 따라 수평에서 점차 각도가 세워지면 볼륨(수신음성의 이득)을 크게 조절하고 그 반대이면 볼륨을 크게 조절한다.(또는 그 반대로 수평에서 세워지면 볼륨을 작게하고, 그 반대이면 작게 조절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phone call mode is the speaker phone mode, the gravity tilt sensor continuously detects the degree of tilt of the terminal, and when the angle is gradually increa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tilt, the volume (gain of the received voice) On the other hand, adjust the volume to a higher level (or vice versa, or lower the volume and vice versa).

사용자가 스피커 폰 모드에서의 통화 음량을 고정시키고 싶다면, 특정 버튼을 누르거나 일정 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단말기를 좌우로 흔들어 충격 센서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여 음량을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고, 고정된 음량을 풀려면 재차 버튼을 누르거나 단말기을 흔들어 고정상태를 해지할 수도 있다.If the user wishes to fix the volume of the call in the speaker phone mode, it is possible to push the specific button or shake the terminal having a certain angle of inclination to the left or right to recognize the impact by the shock sensor, To unlock it, you can press the button again or shake the terminal to unlock it.

만약 사용자가 스피커 폰 모드를 종료하고 싶다면 단말기를 사용자에게 근접시켜 일정 거리 이내로 들어오게 하면 리시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If the user wishes to end the speakerphone mode, the receiver mode can be switched by bringing the terminal closer to the user and coming within a certain distance.

이상, 통화 음량 특별히 스피커 폰 모드 시에 기울기 정도에 따른 통화 음량의 조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화 음량 외에도 단말기 내에서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특정 콘텐츠(음악, 게임 등)의 음량이 발생되는 경우 그 음량 조절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 기울기 정도에 따른 음량 조절 상태로 전환되기 위해서 일정한 제스처(단말기를 흔들거나, 특정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선행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addition to the volume of the call, a specific content (music, game, etc.)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program in th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volume control. In this case, a certain gesture (shaking the terminal or pressing a certain button) may be preceded in order to switch to the volume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degree of tilt of the terminal.

101 : 거리 센서 102 : 제어부
103 : 스피커 폰 모드 전환부 104 : 통화 음량 제어부
201 : 기울기 중력 센서
101: distance sensor 102:
103: speaker phone mode switching unit 104: call volume control unit
201: tilt gravity sensor

Claims (1)

단말기가 수평으로부터 기울어진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기울기 중력 센서; 상기 기울기 중력 중력 센서를 통해 검출된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스피커부에서 발생하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조절이 용이한 이동 단말기.A tilt gravity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tilt of the terminal from horizontal; And a volume controller for adjusting a volume of the speaker unit according to a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terminal detected through the tilt gravity gravity sensor.
KR1020140030640A 2014-03-14 2014-03-14 Mobile device KR201501075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640A KR20150107534A (en) 2014-03-14 2014-03-14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640A KR20150107534A (en) 2014-03-14 2014-03-14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534A true KR20150107534A (en) 2015-09-23

Family

ID=5424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640A KR20150107534A (en) 2014-03-14 2014-03-14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53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6333B2 (en) Speakerphone control for mobile device
US8189429B2 (en) Microphone proximity detection
US10091590B2 (en) Hearing aid detection
EP2775693B1 (en) Automatic routing of call audio at incoming call
US9214913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otion dependent auto volume control
CN102843464A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distance sensor to adjust call audio output mode
JP4798218B2 (en) Telephone device
US10630830B2 (en) Microphone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100677321B1 (en) Speaker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O20120377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udio playing in handhold call device
US20150003634A1 (en) Audio Tuning Based Upon Device Location
JP2009004959A (en) Mobile terminal
KR20050120390A (en) Speaker phon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using proximity sensor
CN111556196A (en) Call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1331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of communication terminal
KR20150107534A (en) Mobile device
KR20150048065A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peakers, and method using electronic device
KR20150093489A (en) Speaker phone control apparatus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using proximity sensor and tilt sensor
JP200422180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0295318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30069156A (en) Auto volume controlor of audio after ring of phone
JP6669373B1 (en) Telephone terminal, telephone system, reception level correction method, and reception level correction program
JP303726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reception volume of mobile phone in which reception volume can be adjusted by shaking
JP2011254324A (en) Telephone apparatus
KR101011871B1 (en)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