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358A -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358A
KR20150107358A KR1020140030135A KR20140030135A KR20150107358A KR 20150107358 A KR20150107358 A KR 20150107358A KR 1020140030135 A KR1020140030135 A KR 1020140030135A KR 20140030135 A KR20140030135 A KR 20140030135A KR 20150107358 A KR20150107358 A KR 20150107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
electronic chip
human body
genetic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라
Original Assignee
이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라 filed Critical 이세라
Priority to KR102014003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358A/ko
Publication of KR2015010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3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를 이용한 인간을 제어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구상의 신체적 장애, 질병을 가진 인명을 치료하기 위하여 뇌 신경세포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을 분석하여 사물을 움직이는 뇌파연동기술(BIT)과 인간에게만 있는 고유의 염기 3백만개의 염색체 조합인 120-136 유전자코드(DNA Code)중 유전질환 및 세포현상을 조기 검진하여 치료하는 유전자조정기술(GAT)을 이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정보기술(IT)과 나노기술(NT)과 바이오기술(BT)의 융합기술(INBT)로서 인간 인터페이스(HI)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간의 인체에 삽입 또는 부착되어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제어하는 뇌파지도(BM)와 유전자지도(GM)와 식별코드(ID, RFID)가 입력되어 있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나노전자칩(NEC)과;
상기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신경세포와 인체세포에 전달하고, 인체의 온도,심장박동회수,혈당치수,혈압치수,혈액농도,세포현상치수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상기 전자칩에 내장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노바이오센서(NBS); 및
상기 나노전자칩과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와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을 이용한 3방향 이상 통신을 이루고, 상기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상기 나노전자칩에 무선신호를 보내어 인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 조정하는 유선인터넷 겸용의 메인슈퍼컴퓨터(MSC)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색인어]
마인드 콘트롤, 뇌파연동기술,뇌파지도, 유전자지도, 생체정보, 전자칩, 전자문신

Description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 Mind control system for human interfaces }
본 발명은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를 이용한 인간을 제어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구상의 신체적 장애, 질병을 가진 인명을 치료하기 위하여 뇌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을 분석하여 사물을 움직이는 뇌파연동기술(BIT, Brainwave Interlock Technology)과 인간에게만 있는 고유의 염기(Base) 3백만 염색체의 분류 조합인 120-136 유전자코드(DNA Code)중 유전질환 및 세포현상을 조기 검진하여 치료하는 유전자조정기술(GAT, Genetic Adjust Technology)을 사용하여 개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정보기술(IT)과 나노기술(NT)과 바이오기술(BT)의 융합기술(INBT)로서 인간 인터페이스(HI, Human Interfaces)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Mind control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선천적 기형, 사고 후의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과 각종 질병이 있는 사람은 각 대형 전문병원에서 일반검진, X-레이검사, MRI 검사, 혈액검사 등 각종 검사시스템을 통하여 질병이 있는 원인 부위를 수술, 기타 각종 치료를 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의료 형태인 것이다.
특히, 선천적 기형, 자폐아 등 태어날 때부터의 신체적 장애는 치료가 불가능하다 할 것이며, 각종 암, 바이러스 감염, 녹내장 등의 세포변형에 의한 세포현상은 완치가 어려워 해마다 천문학적인 의료수가가 투입되고 있으며, 또한 인간의 수명을 단축하고 있는 현실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의료 현실에 대하여 각 국가의 병원, 의과대학, 제약회사, 연구소 등 의료 관련기관에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많은 눈부신 성과가 있었다.
허나, 특정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실험의 성과는 한정된 환자 또는 특정 분야에서만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전세계의 많은 장애자, 질병환자들에게 혜택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다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현 시대는 지구상의 모든 지식을 포함한 정보기술, 나노기술, 바이오기술, 특히, 의료임상정보 등을 공유하여 융합기술화 함으로서 세계 최고의 의료기술에 대하여 모든 사람들이 그 혜택을 받아야 할 것이라 본다. 즉, 인간 인터페이스(Human Interfaces)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Mind control system)이 반드시 이루어 질 것이라 예상된다.
뇌파연동기술이란(BIT, Brainwave Interlock Technology),
하나의 신경세포(Soma, neuron)는 케이블 역할을 하는 축색돌기를 통해 10,000여개의 세포와 연결된다.
뇌에 있는 신경세포가 작동할 때는 몇 가지 이유로 인해 전기 신호가 방출된다. 뇌파계(EEG)가 측정한 낮은 전압의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이 신호를 확대하여 인간의 생각, 행동 등을 분석한 프로그램화하여 명령어로 변환시켜 실제 3차원의 투사체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종합된 정보를 가지고 특정 대상을 움직이도록 공학적 설계를 하여 뇌파지도(Brain Map)가 작성 되어진다. 이 뇌파지도를 이용하여 뇌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신체적 장애자들이 의도하는 행위를 하게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기술인 것이다.
뇌 세포를 자극하는 기술로는 자기장을 급격히 변화하여 두뇌 조직에 전류를 삽입하여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자기장 기술과 초음파를 특정 세포 부위에 쏘아 초음파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미지를 변화하는 초음파 디바이스 등이 있다.
참조로, 뇌 세포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대뇌피질은 이성을 콘트롤하며, 대뇌변연계는 감정, 대뇌변연계 아래는 이성과 감성, 사상은 감각을 가상으로 감지(멀티미디어),해마는 기억(장기적), 사상하부는 본능, 뇌하수체는 호르몬 콘트롤(질병), 소뇌는 가상 현실에서의 모든 운동 학습, 뇌교는 원하는 꿈속에서 학습, 연수는 정신을 콘트롤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와 같이 뇌세포는 전기적 활동을 하기에 전기적 자극으로 뇌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님이나 귀머거리가 보고, 들을 수 있다.
즉,뇌와 기계간의 통신 인터페이스(BMI), 뇌와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BCI), 또는 신경 인터페이스(NI)라 할 것이다.
유전자지도(Genetic, geneme map)란,
수백에서 수천개의 단위로 염기(Base)가 모여 만든 유전자의 숫자와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써, 인간에게만 있는 고유의 염기 300만개 염색체의 분류 조합인 120-136 유전자 코드(DNA Code)를 말하며,
인간의 유전자 질환이나 변이된 유전자를 조기에 검진하여 유전자를 조정하여 우수한 두뇌, 완벽한 육체, 150년의 수명, 질병에 강한 인간(Post-human)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모든 사람은 유전가 코드가 99.9% 동일하다. 30억개의 염기가운데 0.1%인 300만개의 염기가 사람마다 다르다. 바로 이것이 눈과 피부색, 인종, 생김새, 질병의 감수성, 세포현상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즉, 염기 300만개 염색체의 분류 조합인 120-136 유전자 코드(DNA Code)중 유전질환, 변이된 세포현상을 찾아내어 특정 염기를 바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되는 것이다.
식별코드(ID, RFID)가 입력된 나노전자칩으로부터 3방향 통신을 이루고 있는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와 메인슈퍼컴퓨터(MSC)에 유전자 정보가 전송되면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조정 하고자 하는 유전자 프로그램을 상기 나노전자칩에 무선신호를 보내어 인체의 특정 유전자를 조정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한 인체를 유지하기 위한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기술인 것이다.
메인슈퍼컴퓨터(MSC)는 인간의 지능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으며, 지구상의 모든 정보,지식이 실시간 저장되며, 특히, 방대한 양의 환자 데이터에서 의료임상 정보를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고 처방을 하기에 인간이 범할 수 있는 진단상의 오류를 최대한 줄여 준다. 나노전자칩으로부터 송신되어온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를 분석하여 진단한 후 나노전자칩으로 다시 재전송하여 신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로 조정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기술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의 생체정보 인식에 있어서, 나노전자칩은 휴대폰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개인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을 이루고, 인체의 생체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이 지정하는 제 3의 병원 컴퓨터에서도 인터넷으로 스마트폰에 입력 저장된 개인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영상통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인 것이다.
매매수단 및 금융거래에 있어서, 상기 나노전자칩은 메인슈퍼컴퓨터 (MSC) 또는 지역망 제어컴퓨터(CC)와 제 3의 대형 매매업소 및 금융기관 컴퓨터와 3방향 이상 와이파이(Wi-Fi)통신을 이루고, 나노전자칩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매매 업소용 컴퓨터에 의한 구매물품을 정산 계산하는 매매수단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나노전자칩은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하여 은행 창구(입출기 포함)거래시 통장 또는 입출금카드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기술인 것이다.
본 발명은 뇌파지도에 의한 뇌세포를 자극하는 기술로 자기장을 급격히 변화하여 두뇌 조직에 전류를 삽입하여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자기장 기술과 초음파를 특정 신경세포 부위에 쏘아 초음파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이미지를 변화하는 초음파 디바이스의 프로그램을 나노전자칩에 저장하는 단계,
유전자지도에 의한 인간에게만 있는 고유의 염기 300만개 염색체의 분류 조합인 120-136 유전자 코드(DNA Code) 중 유전질환, 변이된 세포현상을 찾아내어 특정 유전자를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나노전자칩에 저장하는 단계,
인체의 전기력에 의한 생체충전 또는 인체 피부와 대기공기와의 온도변화에 의한 충전 또는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 또는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자파에 의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 밧데리를 전자칩에 내장하는 단계,
나노전자칩 회로는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의 정보기능이 저장되는 나노집적기술(NT)에 의한 극초소형(0.4mm/깨알 크기, 향후, 0.052mm, 파우더형)으로서 상기 나노칩이 인체에 삽입 또는 피부에 부착(문신,마크)함으로써 극초소형으로 모듈화 하는 단계,
인간의 지능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으며, 방대한 양의 환자 데이터에서 의료임상 정보를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고 처방을 할 수 있고, 나노전자칩으로부터 송신되어온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를 분석하여 진단한 후 나노전자칩으로 다시 재전송하여 인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로 조정하는 프로그램을 메인슈퍼컴퓨터(MSC)에 저장하는 단계,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개인용 스마트폰과 양방향 통신을 이루고, 인체의 생체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이 지정하는 제 3의 병원 컴퓨터에서도 인터넷으로 스마트폰에 입력 저장된 개인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나노전자칩에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매매 업소용 컴퓨터에 의한 구매물품을 정산 계산하는 매매수단과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하여 은행 창구(입출기 포함) 거래시 통장 또는 입출금카드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나노전자칩에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뇌파지도를 이용하여 뇌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자기장 기술 또는 초음파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뇌신경을 조정하여 신체적 장애자들이 의도하는 행위를 할 수 있게 하기에, 장님이 사물을 볼 수 있으며, 귀머거리가 들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인간에게만 있는 고유의 염기 300만개 염색체의 분류 조합인 120-136 유전자 코드(DNA Code) 중 인간의 유전자 질환을 조기에 검진하여 유전자를 조정을 하여 우수한 두뇌, 완벽한 육체, 150년의 수명, 질병에 강한 인간(Post-human)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즉, 유전질환, 변이된 세포현상을 찾아내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를 조정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기타로, 인체의 생체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한 매매수단, 금융거래에도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FLOW SHEET
도 2는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LOGIC DIAGRAM
도 3은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나노전자칩 구조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개념도(FLOW SHEET)를 도시한 것으로,
식별코드(ID, RFID)가 입력된 나노전자칩과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31)와 메인슈퍼컴퓨터(MSC)(30)와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 위성을 이용한 3방향 이상 통신(39)을 이루고,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한 후 나노전자칩에 무선신호를 보내어 인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 조정하여 신체 장애자와 각종 질병을 치료한다.
여기서,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한 후 명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메인슈퍼컴퓨터(MSC)(30)는 인간 지능 수준의 소프트웨어를 갖고 있으며, 협약에 의한 공유하는 있는 각 국가 및 기업에서 보내온 지구상의 모든 정보,지식이 실시간 저장되며, 특히, 방대한 양의 환자 데이터에서 의료임상 정보를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하고 처방을 하기에 인간이 범할 수 있는 진단상의 오류를 최대한 줄여 준다. 즉, 나노전자칩으로부터 송신되어온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를 광범위한 자료에 의하여 분석하여 진단한 후 나노전자칩으로 다시 재전송하여 신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로 조정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인 것이다.
또한, 나노전자칩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개인용 스마트폰(34)과 양방향 통신을 이루고, 인체의 온도, 심장박동회수, 혈당치수, 혈압치수, 혈액농도, 세포현상치수의 생체정보를 스마트폰(34)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이 지정하는 제 3의 병원 컴퓨터(33)에서도 인터넷(37)을 통한 스마트폰(34)에 입력 저장된 개인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스마트폰(34)을 조정하여 상기 나노전자칩에 내장된 인체 근육운동의 압전효과에 의한 나노발전기(NG)(54)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력을 인체의 각 장기에 보내어 전기력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력을 공급전원으로 하여 인체의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혈관으로 이동하는 나노바이오로봇(NBR)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다른 기능으로는, 나노전자칩은 메인슈퍼컴퓨터(MSC)(30) 또는 제어컴퓨터(CC)(31)와 제 3의 대형 매매업소 컴퓨터(35) 및 금융기관 컴퓨터(36)와 3방향 이상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루고,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매매 업소용 컴퓨터(35)에 의한 구매물품을 정산 계산하는 매매수단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노전자칩은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하여 은행 창구(입출기 포함) 거래시 통장 또는 입출금카드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고자 로직다이아그램(LOGIC DIAGRAM)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어컴퓨터(CC)(31)와 메인슈퍼컴퓨터(MSC)(30)가 나노전자칩에 무선신호를 보내어 인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 조정하여 신체장애자와 유전자 질병을 포함한 각종질병을 치료하며. 나노전자칩은 생체정보를 스마트폰(34)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나노발전기(NG)(54) 또는 나노충전기 배터리(53)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력을 인체의 각 장기에 보내어 전기력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력을 공급전원으로 하여 인체의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혈관으로 이동하는 나노바이오로봇(NBR)이 구비되는 것이며, 구매물품을 정산 계산하는 매매수단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노전자칩은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하여 은행 창구(입출기 포함) 거래시 통장 또는 입출금 카드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인 것이다.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식별코드(ID, RFID)가 입력된 나노전자칩으로부터 인체의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에 의한 개인의 생체정보가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에서 전송되는 극초단파 등 전자파를 이용하여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31)와 메인슈퍼컴퓨터(MSC)(30)로 무선 전송되며,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한 후, 나노전자칩에 무선신호를 보내면 신호를 받은 나노전자칩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나노바이오센서(NBS)를 통해 인체의 특정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 조정하는 마인드 콘트롤을 실행한다.
지역망의 제어컴퓨터(31)는 상기 메인슈퍼컴퓨터와는 별도로 나노접자칩과 단독으로 상기 마인드 콘트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에서 전송되는 전자파 대신 블루빕(Blue Beam)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나노전자칩은 휴대폰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개인용 스마트폰(34)과 양방향 통신을 이루고, 나노바이오센서(55)를 통하여 인지되는 인체의 온도, 심장박동회수, 혈당치수, 혈압치수, 혈액농도, 세포현상치수의 생체정보를 스마트폰(34)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스마트폰(34)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이 지정하는 제 3의 병원 컴퓨터(33)에서도 인터넷(37)을 통한 스마트폰(34)에 입력 저장된 개인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과 병원과의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바이오센서(55)가 인지한 생체정보를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에서 발송되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지역망의 제어컴퓨터(31)와 메인슈퍼컴퓨터(30)에 정보를 발송하여 저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를 전송받은 제어컴퓨터(31)와 메인슈퍼컴퓨터(30)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하여 질병이 발생되는 세포현상 정보를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을 통하여 개인이 보유한 스마트폰(34)에 전송하여 개인이 자신의 생체정보를 인식하고 질병이 발생되는 부위를 직접 개인이 치료할 수 있게 한다.
즉, 개인이 스마트폰(34)을 이용하여 인체 근육운동의 압전효과에 의한 나노전자칩에 내장된 나노발전기(NG)(54) 또는 충전기 배터리(53)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력을 인체의 특정 장기(근육, 관절, 대장,소장,위 등)에 보내어 전기력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력을 공급전원으로 하여 혈관으로 이동하는 나노바이오로봇(NBR)을 작동하여 세포변이가 된 혈관내의 암세포,코레스톨, 이물질 등을 분쇄,중화하여 체외로 배출할 수 있다.
또다른 기능으로는, 나노전자칩은 메인슈퍼컴퓨터(MSC)(30) 또는 지역망 제어컴퓨터(CC)(31)와 제 3의 대형 매매업소 컴퓨터(35) 및 금융기관 컴퓨터(36)와 3방향 이상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루고,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매매 업소용 컴퓨터(35)에 의한 구매물품을 정산 계산하는 매매수단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노전자칩은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하여 은행 창구(입출기 포함)거래시 통장 또는 입출금카드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이 역시 매매거래와 금융거래의 정보를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 위성을 통하여 메인슈퍼컴퓨터(MSC)(30)와 제어컴퓨터(CC)(31)에 실시간 정보를 저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나노전자칩을 도시한 것으로,
10여년 전에 외부의 리더기((Reader)와 무선통신하여 식별코드(ID code)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베리칩(VeriChip)(마이크로칩)이 개발되었으나 인식 거리가 약 5cm(저주파;1.8m, 고주파;27m 사용 가능)에 불과하여 출입 신원확인카드, 은행카드, 동물 식별카드 등 일상생활의 일부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더 이상 제 3의 분야의 활용에 한계가 있다.
허나, 요사이는 반도체 분야에서 나노집적기술(NT)의 발달로 방대한 자료,프로그램를 저장,분석,실행할 수 있는 극초소형으로 발전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의 나노전자칩은 인간의 인체에 삽입 또는 부착되어 신경세포와 유전자,세포현상을 제어하는 뇌파지도(BM)와 유전자지도(GM)와 식별코드(ID, RFID)가 입력되어 있으며, 송수신장치(52), 나노발전기(54)와 충전밧데리(53), 나노바이오센서(55)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수적으로 나노바이오로봇이 구비되어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신경세포와 유전자,세포현상을 제어하는 뇌파지도(BM)와 유전자지도(GM)와 식별코드(ID, RFID)(50)가 입력되어 있기에, 뇌세포에서 발생되는 뇌파정보와 유전자의 분석정보와 기타 생체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충전 배터리(53)를 포함한 송수신장치(52)가 있어 제어컴퓨터(CC)(31)와 메인슈퍼컴퓨터(MSC)(30)에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 (Wi-Fi)위성을 통하여 무선신호로 전달되며, 전달 받은 메인슈퍼컴퓨터(30)는 저장, 분석 후 특정 뇌세포 또는 특정 유전자를 조정할 수 있는 신호를 재차 GPS 또는 와이파이위성를 거쳐 나노전자칩에 무선 전송되며 전송받은 나노전자칩은 재차 분석하여 전기신호를 바이오센서(55)에 전달하여 뇌세포 또는 유전자를 조정하여 나노전자칩을 보유한 개인의 신체장애자 치료,각종 질병치료 등 질병을 콘트롤 할 수 있다.
(뇌파지도와 유전자지도의 프로그램은 도면도시 생략)
또한,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신경세포와 인체세포에 전달하고, 인체의 온도,심장박동회수,혈당치수,혈압치수,혈액농도 외에 암세포,바이러스 등의 칩입으로 단백질 변화에 의한 세포현상치수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나노전자칩에 내장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노바이오센서(NBS)(55)가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나노전자칩은 송수신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인체의 손,팔,어깨,이마, 머리, 목의 피부 속에 삽입 또는 피부 위에 마크, 문신 형태로 부착되며, 나노집적기술(NT)에 의한 극초소형 구조로서 인체근육의 압전효과에 의한 나노발전기(NG)(54)가 내장되며, 나노발전기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한 생체충전 또는 인체 피부와 대기공기와의 온도변화에 의한 충전 또는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 (Wi-Fi)위성 또는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으로부터 송출되는 전자파에 의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53)가 내장되어 있는 구성이며,
별도로, 나노전자칩은 휴대폰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개인 스마트폰(34)과 양방향 통신을 이루고, 인체의 생체정보를 스마트폰(34)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이 지정하는 제 3의 병원 컴퓨터(33)에서도 인터넷(37)으로 스마트폰(34)에 입력 저장된 개인의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구성이다.
부수적으로, 개인이 스마트폰(34)을 조정하여 상기 나노전자칩에 내장된 나노발전기(54)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력 또는 충전기 배터리(53)의 전기력을 인체의 각 장기에 보내어 전기력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력을 공급전원으로 하여 인체의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혈관으로 이동하는 나노바이오로봇(NR)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나노전자칩은 생명공학, 생화학, 의학, 전자공학, 제어공학, 통신공학, 신경망 통신, 유전자공학, 재료공학의 결정체라 할 것이다.
상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여러 가지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 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인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은 우리의 생활분야에서 아직은 활용되지 않고 있으나 향후 와이파이(Wi-Fi)위성의 기술개발이 되면 지구상의 어디에서도 무선 인터넷으로 통합이 될 것이므로, 지구상의 모든 지식, 특히 광범위한 의료정보를 통하여 나노전자칩의 소유자에게 질병치료 및 신체적 장애자에게 건강한 삶을 부여할 수 있으며, 개인 신분증의 도난, 도용방지용으로 신분 확인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현금,통장, 은행카드가 없어도 상거래에서의 매매수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향후 우리의 일상생활에 반드시 활용될 것이라 예상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메인슈퍼컴퓨터(MSC, Main super computer)
31; 제어컴퓨터(CC, Control computer)
33; 병원컴퓨터
34; 스마트폰
35; 매매업소컴퓨터
36; 금융기관컴퓨터
37; 유선인터넷
39; 와이파이(Wi-Fi)
50; 식별코드(ID, RFID)
51; 나노프로그램모듈
52; 송수신기
53; 나노충전기(배터리)
54; 나노발전기(Nano generator)
55; 나노바이오센서(Nano bio sencer)

Claims (4)

  1. 인간의 인체에 삽입 또는 피부에 부착되어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제어하는 뇌파지도(BM)와 유전자지도(GM)와 식별코드(ID, RFID)가 입력되어 있는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나노전자칩(NEC)과;
    상기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신경세포와 인체세포에 전달하고, 인체의 온도,심장박동회수,혈당치수,혈압치수,혈액농도,세포현상치수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상기 나노전자칩에 내장 또는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나노바이오센서(NBS)(55); 및
    상기 나노전자칩과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31)와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Wi-Fi)위성을 이용한 3방향 이상 통신을 이루고, 상기 나노전자칩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분석한 후 상기 나노전자칩에 무선신호를 보내어 인체의 신경세포와 유전자를 임의 조정하는 유선인터넷 겸용의 메인슈퍼컴퓨터(MSC)(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전자칩은 인체의 손,팔,어깨,이마,머리,목의 피부 속에 삽입 또는 피부 위에 스킨, 문신 형태로 부착되며, 나노집적기술(NT)에 의한 극초소형 구조로서 인체 근육운동의 압전효과에 의한 나노발전기(NG)(54)가 내장되며, 상기 나노발전기(54)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력에 의한 생체충전 또는 인체피부와 대기공기와의 온도변화에 의한 충전 또는 위성항법장치(GPS) 또는 와이파이 (Wi-Fi)위성 또는 지역망의 제어컴퓨터(CC)(55)로부터 송출되는 전자파에 의한 무선충전을 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53)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전자칩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하여 개인 스마트폰(34)과 양방향 통신을 이루고, 인체의 상기 생체정보를 스마트폰(34)으로 전송하여 개인이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개인이 지정하는 제 3의 병원컴퓨터(33)에서도 인터넷(37)으로 스마트폰(34)에 입력 저장된 개인의 상기 생체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스마트폰(34)을 조정하여 상기 나노전자칩에 내장된 나노발전기(NG)(54)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력 또는 충전 배터리(53)의 전기력을 인체의 각 장기에 보내어 전기력 자극으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전기력을 공급전원으로 하여 인체의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혈관으로 이동하는 나노바이오로봇(NBR)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전자칩은 메인슈퍼컴퓨터(MSC)(30) 또는 지역망 제어컴퓨터(CC)(31)와 제 3의 대형 매매업소 컴퓨터(35) 및 금융기관 컴퓨터(36)와 3방향 이상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루고, 상기 나노전자칩은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매매 업소용 컴퓨터(35)에 의한 구매물품을 정산 계산하는 매매수단에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나노전자칩은 개인신분 확인을 포함하여 은행 창구(입출기 포함)거래시 통장 또는 입출금카드 없이도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KR1020140030135A 2014-03-14 2014-03-14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KR201501073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35A KR20150107358A (ko) 2014-03-14 2014-03-14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35A KR20150107358A (ko) 2014-03-14 2014-03-14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52A Division KR20160094908A (ko) 2016-07-26 2016-07-26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358A true KR20150107358A (ko) 2015-09-23

Family

ID=5424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35A KR20150107358A (ko) 2014-03-14 2014-03-14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3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2021A (zh) * 2018-03-16 2018-09-04 前海梧桐(深圳)数据有限公司 基于人脑神经网络模型的企业要素群表示方法及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2021A (zh) * 2018-03-16 2018-09-04 前海梧桐(深圳)数据有限公司 基于人脑神经网络模型的企业要素群表示方法及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a et al. Progress in brain computer interfa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ndersen et al. From thought to action: The brain–machine interface in posterior parietal cortex
Miranda et al. DARPA-funded efforts in the development of novel brain–computer interface technologies
Moritz et al. New perspectives on neuroengineering and neurotechnologies: NSF-DFG workshop report
Nam et al.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brains: A systematic PRISMA review of brain-to-brain interface
Golshan et al. An FFT-based synchronization approach to recognize human behaviors using STN-LFP signal
KR20150107358A (ko)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KR20170090373A (ko)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KR20160094908A (ko) 인간 인터페이스의 마인드 콘트롤 시스템
Minati et al. Thoughts turned into high-level commands: Proof-of-concept study of a vision-guided robot arm driven by functional MRI (fMRI) signals
Fares et al. In the realm of hybrid Brain: Human Brain and AI
Klauer et al. A muscle model for hybrid muscle activation
Contreras et al. Neuromorphic Neuromodulation: Towards the next generation of on-device AI-revolution in electroceuticals
US202401395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magnetic Treatment Protocol Based on Readings of Biophysical Signals
Loitz et al. Impact of electrode geometry on force generation dur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han et al. Integration of bioelectronics and bioinformatics: future direction of bioengineering research
Warwick Cyborgs–the Neuro‐Tech Version
Rau et al. Tubular manipulators: a new concept for intracochlear positioning of an auditory prosthesis
EP3610916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losed-loop model-based electrical brain stimulation
Warwick The diminishing human-machine interface
Szwargulski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different weighting schemes in magnetic particle imaging reconstruction
Kumar Brain-informed deep learning of human movements with neur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Khasnobish et al. Analysing vibrotactually stimulated EEG signals to comprehend object shapes
Stieglitz Therapies of the Future
Isernhagen et al. Three-dimensional anisotropic regularization for limited angle tom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438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726

Effective date: 2018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