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216A -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216A
KR20150107216A KR1020140029770A KR20140029770A KR20150107216A KR 20150107216 A KR20150107216 A KR 20150107216A KR 1020140029770 A KR1020140029770 A KR 1020140029770A KR 20140029770 A KR20140029770 A KR 20140029770A KR 20150107216 A KR20150107216 A KR 20150107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pplica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essage
exec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혁
김수진
김강태
김철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7216A/ko
Publication of KR20150107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window of a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에서 알림을 통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알림 바(Notification Bar)의 알림 메시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기에서 다른 작업을 진행 중일 때 알림 메시지가 알림 바에 등록되면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여 알림 메시지를 확인하고 이전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 그러나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에서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기존 사용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사용자가 일시적인 용도로 사용하고자 했던 알림 메시지에 의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 강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은 이전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어 원래 목적하던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없고 다시 여러 절차를 거쳐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노말 윈도우 및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알림을 통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은,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 배치 방법은, 상기 배치된 적어도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최대화 및 종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노말 윈도우인지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인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노말 윈도우인지 멀티 윈도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멀티 윈도우일 경우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지 아니면 화면의 일부를 차지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멀티 윈도우일 경우 윈도우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이고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일 경우 스플리트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이고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가려지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 알림 바에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는,
상기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 해당 윈도우에 타이틀 바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타이틀 바에 최대화 및 종료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대화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는,
두 개의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일 경우 제1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서 제거되면 제2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화면 전체를 차지하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는, 상기 팝-업 형태로 배치된 해당 윈도우에 타이틀 바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타이틀 바에 최대화 및 종료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대화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림 바에 등록된 알림이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타이틀 바를 정해진 윈도우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하는 윈도우 정보 체크부; 상기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윈도우 배치부;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윈도우 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처리부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하는 윈도우 정보 체크부; 상기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윈도우 배치부;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윈도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도 이다.
도 3은 도 2의 정보 처리부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러 형태의 윈도우 배치 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전환 방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윈도우 배치 방법을 보이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환경(100)은 단말 장치(110), 네트워크(120) 및 서버(130)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110)는 네트워크(120)을 통해 서버(130)에 연결되어 있다. 단말 장치(110)의 예로는 카메라, 스마트 폰, 모바일 장치, 태블릿 장치, 랩 탑(laptop),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120)의 예로는 로칼 영역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는다.
단말 장치(110)는 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윈도우를 배치하고, 배치된 복수개의 윈도우를 제어한다.
서버(130)는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알림 정보에 기반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110)로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의 블록도이다.
도 2의 단말 장치(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정보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저장부(240), 입력부(25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양 방향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20)를 통해 단말 장치(110)와 서버(130) 사이를 연결한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전화선의 해당 타입으로 데이터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모뎀 또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카드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호환 LAN에 데이터 통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LAN(local area network) 카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2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신된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배치하고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정보 처리부(220)에서 처리되는 영상이나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고, 정보 처리부(220)에서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표시한다.
저장부(240)는 정보 처리부(22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을 저장하거나 각종 정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한다. 저장부(2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50)는 복수개의 숫자 및 기능 버튼을 구비하며, 정보 처리부(230)로 정보 및 명령 선택을 전달한다.
도 3은 도 2의 정보 처리부(220)의 상세 블록도 이다.
도 3의 정보 처리부(22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10), 윈도우 정보 체크부(320), 윈도우 배치부(330), 윈도우 조정부(340)를 구비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10)는 알림 바에 등록된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면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윈도우 정보 체크부(320)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한다.
윈도우 배치부(330)는 윈도우 정보 체크부(320)에서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배치한다.
윈도우 조정부(340)는 윈도우 배치부(330)에서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전체 흐름도이다.
이 방법은 단계 410에서 시작한다.
단계 420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바에 등록된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면 알림 메시지에 의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430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한다. 일 실시예로, 단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노말 윈도우인지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인지를 체크한다.
단계 440에서, 단말 장치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한다. 일 실시 예로, 단말 장치는 API를 이용하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노말 윈도우인지 멀티 윈도우인지를 체크한다.
단계 450에서, 단말 장치는 체크된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상에 여러 가지 형태의 윈도우를 적절하게 배치한다. 일 실시 예로, 단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과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 인지 또는 멀티 윈도우 인지에 따라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 또는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한다.
단계 460에서, 단말 장치는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한다. 일 실시 예로,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은 노말 윈도우 및 멀티 윈도우 여부에 관계 없이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그러나 알림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시적인 사용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해야 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자동으로 발생하여 알림 바에 등록하거나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타이틀 바를 표시하며, 알림 바 또는 아이콘 또는 타이틀 바가 선택될 시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한다.
단계 470에서, 단말 장치는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의 최대화 버튼 및 종료 버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최대화 및 종료를 제어한다.
이 방법은 단계 480에서 종료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을 설명하는 상세 흐름도이다.
도 5의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계(단계 505 - 510), 윈도우 정보 판단 단계(단계 515-525), 윈도우 배치 단계(단계 530 -540), 윈도우 전환 단계(단계 545 - 580)로 구분된다.
이 방법은 단계 500에서 시작한다.
단계 505에서, 단말 장치는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알림 메시지를 발생한다. 일 실시 예로, 알림 메시지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이벤트가 일어났을 때(예를 들면, 문자메시지가 도착했을 때, SD카드를 삽입했을 때)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 주기 위하여 알림 바에 표시되고, 지우기 전까지는 계속 남아 있게 된다. 알림 바는 알림이 발생했을 때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알림 바는 화면 최 상단에 고정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단말 장치는 리스트에서 알림 메시지의 항목을 클릭하면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한다. 동시에 복수 개의 알림 메시지가 알림 바에 존재할 수 있다.
단계 510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바에 등록된 알림 메시지가 선택되면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단계 515에서, 단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노말 윈도우인지 또는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인지를 체크한다. 윈도우(Window)는 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 실제적으로 나타나는 영역이다.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가진다. 노말 윈도우(Normal Window)는 화면 전체를 차지하는 일반적인 윈도우를 의미한다. 멀티 윈도우(Multi Window)는 크기와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윈도우를 의미한다. 윈도우는 상단에 타이틀 바를 가질 수 있고 타이틀 바에 최대화 버튼 및 종료 버튼이 존재할 수 있다. 윈도우는 전체 화면을 나누어 서로 다른 크기와 위치를 보유하면 동시에 실행된 상태로 공존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멀티 윈도우 API로써 멀티 윈도우 지원 여부가 태그 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API를 이용하여 멀티 윈도우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520에서, 단말 장치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노말 윈도우인지 멀티 윈도우인지를 확인한다.
단계 525에서, 단말 장치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멀티 윈도우일 경우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지 아니면 화면의 일부를 차지하는 지 확인하고, 윈도우 개수를 더 확인한다.
단계 530에서, 단말 장치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고 있을 경우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로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한다. 일 실시 예로,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는 멀티 윈도우의 일종으로 전체 화면을 분할하여 복수 개의 멀티 윈도우가 채워지는 형태이다.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는 일반적으로 2분할 형태가 있을 수 있으나 분할 방식에 따라 3분할, 4분할 등이 가능하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A)와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B)가 스플리트 형태로 배치된다.
단계 535에서, 단말 장치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화면의 일부를 차지하는 있을 경우 캐스케이드 형태의 윈도우로 어플리케이션을 배치한다. 일 실시 예로, 캐스케이드 형태의 윈도우는 멀티 윈도우의 일종으로 자유롭게 크기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는 윈도우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항상 상위 속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도 6b를 참조하면,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A)와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B)가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다.
단계 540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이고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된다. 일 실시 예로, 팝-업 형태의 윈도우는 멀티 윈도우의 일종으로 기존 윈도우상에 항상 상위 속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른 윈도우를 선택하여 포커스를 잃어도 화면에서 사라지지 않는 멀티 윈도우를 의미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A)가 원래 상태로 유지되면서 알림에 의해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B)가 팝-업 형태로 배치된다.
단계 545에서, 단말 장치는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 해당 윈도우에 타이틀 바를 표시하고, 표시된 타이틀 바에 최대화 및 종료 버튼을 표시하며, 최대화 버튼이 선택되는 가를 검출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팝-업 형태로 배치된 해당 윈도우에 타이틀 바를 표시하고, 표시된 타이틀 바에 최대화 버튼 및 종료 버튼을 표시하며, 그 중에서 최대화 버튼이 선택되는 가를 검출한다. 두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멀티 윈도우일 경우 타이틀 바에 있는 최대화 버튼 및 종료 버튼에 의해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팝-업 형태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멀티 윈도우이므로 최대화 버튼 및 종료 버튼에 의해서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전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550에서, 단말 장치는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 윈도우에서 최대화 버튼이 선택되면 알림에 의해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으로 차지하게 된다. 또한 단말 장치는 팝-업 형태로 배치된 윈도우에 서 최대화 버튼이 선택될 경우 알림을 통해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게 된다.
단계 555에서, 단말 장치는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 윈도우에서 종료 버튼이 선택되는 가를 검출한다.
단계 560에서, 단말 장치는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 윈도우에서 종료 버튼이 선택될 경우 알림을 통해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팝-업 형태로 배치된 윈도우에 종료 버튼이 선택될 경우 알림을 통해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일 실시예로, 두 개의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일 경우 제1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서 제거되면 제2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화면 전체를 차지하게 된다.
단계 565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가려지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알림 바에 등록한다. 일 실시 예로,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노말 윈도우나 멀티 윈도우 여부에 관계없이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가려져 화면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알림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시적인 사용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해야 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A)에서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B)가 실행될 경우 윈도우(B)의 알림 바에 알림 메시지(A)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만약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로 여러 개 실행 중이었다면 알림도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 개수만큼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 570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바에 등록된 알림이 선택되었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555 단계부터 동일한 단계를 수행한다.
단계 575에서, 단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타이틀 바를 윈도우의 정해진 영역에 표시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A)에서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B)가 실행될 경우 윈도우(B)의 정해진 영역에 아이콘(A) 또는 타이틀 바(A)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단계 580에서, 단말 장치는 아이콘 또는 타이틀 바가 선택되었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515 단계부터 동일한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를 실행했을 때 현재 실행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과 실행될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윈도우 모드(노말 윈도우 및 멀티 윈도우)에 따라 적절하게 여러 형태의 윈도우를 배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윈도우를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윈도우 배치 방법을 보이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알림 메시지가 발생되면 알림 바(810)에 알림 메시지가 등록된다. 또한 단말 장치의 전체 화면(820)은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알림 바를 아래로 드래그하여 알림바(830)가 선택된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알림 바(830)가 선택되면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가 배치된다. 즉, 제1윈도우(A)는 알림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제2윈도우(B)는 기존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윈도우 배치를 컴퓨터로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기록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써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배치 방법은,
    상기 배치된 적어도 어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최대화 및 종료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노말 윈도우인지 크기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멀티 윈도우인지를 체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노말 윈도우인지 멀티 윈도우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멀티 윈도우일 경우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지 아니면 화면의 일부를 차지하는 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가 멀티 윈도우일 경우 윈도우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이고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일 경우 스플리트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멀티 윈도우이고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가려지면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알림을 생성하여 알림 바에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는,
    상기 스플리트 형태 또는 캐스케이드 형태로 배치된 해당 윈도우에 타이틀 바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타이틀 바에 최대화 및 종료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대화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는,
    두 개의 스플리트 형태의 윈도우일 경우 제1어플리케이션이 화면에서 제거되면 제2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화면 전체를 차지하게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팝-업 형태의 윈도우로 배치되는 단계는,
    상기 팝-업 형태로 배치된 해당 윈도우에 타이틀 바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타이틀 바에 최대화 및 종료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최대화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전체 화면을 차지하는 단계; 및
    상기 종료 버튼이 선택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바에 등록된 알림이 선택되었을 경우 상기 판단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배치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이 노말 윈도우일 경우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또는 타이틀 바를 정해진 윈도우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배치 방법.
  11.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하는 윈도우 정보 체크부;
    상기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윈도우 배치부;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윈도우 조정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장치.
  12.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부는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상기 알림 메시지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와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를 체크하는 윈도우 정보 체크부;
    상기 체크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를 배치하는 윈도우 배치부; 및
    상기 배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서 상기 기존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전환하는 윈도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29770A 2014-03-13 2014-03-13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KR20150107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70A KR20150107216A (ko) 2014-03-13 2014-03-13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770A KR20150107216A (ko) 2014-03-13 2014-03-13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216A true KR20150107216A (ko) 2015-09-23

Family

ID=5424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770A KR20150107216A (ko) 2014-03-13 2014-03-13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72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9627B2 (en) 2017-01-0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istory of executed application thereof
WO2024090959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멀티 윈도우 기반의 알림 정보 표시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9627B2 (en) 2017-01-04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istory of executed application thereof
US10963131B2 (en) 2017-01-04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istory of executed application thereof
US11287954B2 (en) 2017-01-04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istory of executed application thereof
US11630553B2 (en) 2017-01-04 2023-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history of executed application thereof
WO2024090959A1 (ko) * 2022-10-26 2024-05-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멀티 윈도우 기반의 알림 정보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35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345992B2 (en) Method for displaying unread message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944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IM message
EP2990939B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adding widget thereof
US1023495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mess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5956725B2 (ja) コンテキスト認識型ヘルプ・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US94912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KR102062309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17517996A (ja) アプリメッセージの表示方法、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112953B (zh) 信息处理设备
US20120204125A1 (en)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sliding panels for listing records and presenting record content
KR20110074426A (ko)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터치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운용 방법 및 장치
US10331327B2 (en) Message display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KR20230093487A (ko) 메시지 처리 방법, 장치 및 전자 장치
CN105630490A (zh) 消息通知显示页面的布局调整方法及装置
EP2485129A1 (en) Information terminal,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me stored thereupon
US20140380213A1 (en) Location adjustment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170161098A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switching operating systems
US9565141B2 (en) Method for providing messenger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800916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managing notifications
KR20150107216A (ko) 단말기의 윈도우 배치 방법 및 장치
EP374848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notification on mobile terminal
CN105653143B (zh) 应用程序操作界面的处理方法及实现该方法的移动终端
CN105320707B (zh) 基于即时通信的热词提示方法及装置
CN110825287A (zh) 终端显示控制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