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7170A -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 Google Patents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7170A
KR20150107170A KR1020140029682A KR20140029682A KR20150107170A KR 20150107170 A KR20150107170 A KR 20150107170A KR 1020140029682 A KR1020140029682 A KR 1020140029682A KR 20140029682 A KR20140029682 A KR 20140029682A KR 20150107170 A KR20150107170 A KR 2015010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box
electrical equipment
temperature sensor
sens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709B1 (ko
Inventor
한상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2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0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여부를 초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뿐만 아니라 화재 예방도 가능한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내부에 분전반 및 배전반이 구비된 전기설비박스의 화재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부;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감습저항을 측정하는 결로센서가 구비된 결로센서부; 상기 온도센서부, 상기 가스센서부 및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등신호, 위험 경보신호 또는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 시에 사용되며,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초기 가스 농도값과 저항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SYSTEM FOR DETECTING FIRE AND ELECTRIC APPLIANCE BOX USING MULTI-SENSOR}
본 발명은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온도센서, 가스센서 또는 결로센서를 배치하여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발생여부를 초기에 정확하게 감지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을 예방 할 수 있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생하는 화재 중 전기화재의 점유비율이 점차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로 전기설비의 누전, 합선, 절연열화 등이 발화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발전소, 제철, 석유화학, 플랜트 설비 또는 빌딩 등에는 전력을 인입하고 각 부하설비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전기설비박스가 설치되어 있고, 각 전기설비박스의 내부에 있는 분전반, 배전반 및 이들의 내부의 전선들은 절연을 위하여 절연물질로 피복되어 있거나 매립되어 있다. 이러한 절연물질은 구조적 불량, 위치 불량, 시공 불량, 설비 노후, 취급 불량 내지는 접촉 불량과 관리소홀로 과열 시에 화재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전기설비박스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였다.
다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주간 및 야간, 계절별, 우기 및 건기 등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측정된 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와 비교함으로써 화재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초기에는 온도의 변화가 크지 않아 화재 여부를 초기에 감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및 외부에 온도센서를 각각 배치하고 내부에 가스센서와 결로센서를 더 배치하여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발생 여부를 초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을 예방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은, 내부에 분전반 및 배전반이 구비된 전기설비박스의 화재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부;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감습저항을 측정하는 결로센서가 구비된 결로센서부; 상기 온도센서부, 상기 가스센서부 및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 시에 사용되며,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초기 가스 농도값과 저항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이상 점등 또는 위험 경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 및 상기 전기설비박스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부 온도센서 및 상기 외부 온도센서는 저항식, 열전대식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전기설비박스의 내부에 접촉식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외부에 비접촉식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부, 상기 가스센서부, 및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값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면 각각에 대한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온도센서부 및 상기 가스센서부의 위험 경보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결로센서부의 위험 경보신호가 발생하면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0.1℃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 보다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가 초기 가스 농도보다 1.0 ppm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ppm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저항값이 초기 저항값보다 2%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는, 내부에 분전반 및 배전반이 구비된 전기설비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및 외부에 배치되어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 감습저항을 측정하는 결로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상기 가스센서 및 상기 결로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등신호, 위험 경보신호 또는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설비박스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의 구성에 대한 설명 중 상기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온도센서, 가스센서를 이용함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의 온도 상승 및 가스 발생을 감지하여 전기설비박스에서의 화재 여부를 초기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로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설비박스에서의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온도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주간 및 야간, 계절별, 우기 및 건기 등의 다양한 외부 조건에 의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전기설비박스의 화재로 오인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이하 "화재감지시스템"이라 함, 100)은 온도센서부(110), 가스센서부(120), 결로센서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한다.
온도센서부(110)는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송하며,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111)과 전기설비박스의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112)로 이루어진다. 내부 온도센서(111) 및 외부 온도센서(112)는 전기 저항이 온도에 관련된 소자인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열전대식 온도센서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등 일 수 있으며,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는 광 온도센서 또는 적외선 온도센서일 수 있다. 특히 내부 온도센서(111)는 접촉식 온도센서이고, 외부 온도센서(112)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센서부(120)는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송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는 공지의 가스센서를 특별한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전기선이 합선이나 누전 등에 의해 과전류가 흐르면 주울열이 발생한다. 이 열이 일정 온도가 넘으면 전선은 열분해 되기 시작하면서 가스를 내며, 더 온도가 올라가면 불완전 연소가스를 발생하므로, 이 초기 가스는 화재의 초기징조로 볼 수 있다.
결로센서부(130)는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송하며, 결로가 생기면 저항이 급격히 감소하는 부정특성식 결로센서 또는 저항이 급격히 상승하는 정특성식 결로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결로는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일정한 요인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면 물체 표면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상기 결로센서는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전선 또는 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140)는 온도센서부(110), 가스센서부(120) 및 결로센서부(130)를 통해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등신호, 위험 경보신호 또는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온도센서부(110), 가스센서부(120) 및 결로센서부(130)를 통해 측정된 값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면 각각에 대한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온도센서부(110) 및 가스센서부(120)의 위험 경보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결로센서부(130)의 위험 경보신호가 발생하면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140)에 의한 화재 발생여부 판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50)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의 본 발명이 속하는 공지의 메모리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가스센서부(120) 또는 결로센서부(130)에서 측정한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초기 가스 농도 또는 초기 저항 값이나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가스 농도 또는 저항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140)에 의한 화재 발생여부 판단 시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LED(Light Emitted Diode)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부(110), 가스센서부(120) 및 결로센서부(130) 각각에 대한 이상 점등신호 및 위험 경보신호에 대한 표시와 하나의 종합 경보신호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온도센서부(110), 가스센서부(120) 및 결로센서부(130)에서 각각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온도센서부(110), 가스센서부(120) 및 결로센서부(130) 각각에 대한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온도센서부(110)와 가스센서부(120)의 위험 경보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결로센서부(130)에서 위험 경보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의 동작을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온도센서부(110)를 통해 측정된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0.1℃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 보다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설비박스가 설치되는 지역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가스센서부(120)를 통해 측정된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가 초기 가스 농도보다 1.0 ppm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ppm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설비박스가 설치되는 지역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결로센서부(130)를 통해 측정된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저항값이 초기 저항값보다 2%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설비박스가 설치되는 지역의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다.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다면 화재 초기에는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비해 약간 상승함과 동시에 전선이나 절연재질의 불완전 연소로 인해 가스가 발생한다.
종래의 화재감지시스템은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온도센서만을 구비하거나 또는 가스센서만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센서에 의한 이상 신호가 화재발생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외부 조건 등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화재감지시스템은 전기설비박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온도센서 또는 가스센서를 구비하여 화재발생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과 가스 발생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온도센서부(110)의 위험 경보신호와 가스센서부(120)의 위험 경보신호가 동시에 발생되면 종합 경보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여부와 관계없이 외부 조건 등에 의해 위험 경보신호가 발생되어 화재로 오인하는 부작용의 해소가 가능하다.
다만, 온도센서부(110) 및 가스센서부(120)와 달리 결로센서부(130)에서 발생된 위험 경보신호의 경우에는 전기설비박스에 결로가 발생되면 누전이나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전기설비박스의 화재 예방차원에서 종합 경보신호가 발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200)는 내부에 분전반 및 배전반(201)이 구비된 전기설비박스에 있어서, 온도센서(210), 가스센서(220), 결로센서(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며,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있다.
온도센서(210)는 내부 온도센서(211)와 외부 온도센서(212)로 이루어진다. 내부 온도센서(211)는 전기설비박스(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전기설비박스(2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며, 특히 전기설비박스(200)에 연결되는 전기입력선(250)에 결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온도센서(211)가 전기입력선(250) 또는 전기출력선(260)에 결착되면 과전류센서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외부 온도센서(212)는 전기설비박스(200)와 연결된 비금속 지지대(270)에 부착되어 전기설비박스(200) 외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내부 온도센서(211) 및 외부 온도센서(212)는 전기 저항이 온도에 관련된 소자인 저항식, 열전식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비접촉식 온도센서는 광 온도센서 또는 적외선 온도센서일 수 있다. 특히 내부 온도센서(211)는 접촉식 온도센서이고, 외부 온도센서(212)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센서(220) 및 결로센서(230)는 전기설비박스(200) 내부에 배치되며, 배치되는 위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다만, 결로센서(230)는 결로가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 일정한 요인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면 물체 표면에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전선 또는 내부 표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설명한 화재감지시스템(100)의 제어부(14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100: 화재감지시스템 200: 전기설비박스
110: 온도센서부 210: 온도센서
120: 가스센서부 220: 가스센서
130: 결로센서부 230: 결로센서
140, 240: 제어부 250: 전기입력선
150: 메모리부 260: 전기출력선
160: 디스플레이부

Claims (15)

  1. 내부에 분전반 및 배전반이 구비된 전기설비박스의 화재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부;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부;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감습저항을 측정하는 결로센서가 구비된 결로센서부;
    상기 온도센서부, 상기 가스센서부 및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등신호, 위험 경보신호 또는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화재 발생 여부 판단 시에 사용되며,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초기 가스 농도값과 저항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부는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내부 온도센서 및 상기 전기설비박스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온도센서 및 상기 외부 온도센서는 저항식, 열전대식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온도센서는 접촉식 온도센서이고, 상기 외부 온도센서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부, 상기 가스센서부, 및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값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면 각각에 대한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온도센서부 및 상기 가스센서부의 위험 경보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결로센서부의 위험 경보신호가 발생하면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0.1℃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 보다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가 초기 가스 농도보다 1.0 ppm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ppm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로센서부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저항값이 초기 저항값보다 2%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8. 내부에 분전반 및 배전반이 구비된 전기설비박스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 및 외부에 각각 배치되어 내부 및 외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 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센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 감습저항을 측정하는 결로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상기 가스센서 및 상기 결로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기준으로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이상 점등신호, 위험 경보신호 또는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저항식, 열전대식 또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기설비박스의 내부에 접촉식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외부에 비접촉식 온도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 상기 가스센서, 및 상기 결로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 중 어느 하나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에 해당하면 각각에 대한 이상 점등신호 또는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가스센서의 위험 경보신호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결로센서의 위험 경보신호가 발생하면 종합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0.1℃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 보다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가스 농도가 초기 가스 농도보다 1.0 ppm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ppm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로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전기설비박스 내부의 저항값이 초기 저항값보다 2% 이상 높으면 이상 점등신호를 발생하고, 20% 이상 높으면 위험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센서를 이용한 전기설비박스.
KR1020140029682A 2014-03-13 2014-03-13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KR10157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82A KR101574709B1 (ko) 2014-03-13 2014-03-13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82A KR101574709B1 (ko) 2014-03-13 2014-03-13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7170A true KR20150107170A (ko) 2015-09-23
KR101574709B1 KR101574709B1 (ko) 2015-12-04

Family

ID=5424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682A KR101574709B1 (ko) 2014-03-13 2014-03-13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6633A (zh) * 2016-06-05 2016-11-09 丁旭秋 煤矿瓦斯浓度测量方法
KR102189670B1 (ko) * 2019-09-17 2020-12-11 이문수 스마트 배전반에서 센서데이터 스트림 처리 방법 및 그 스마트 배전반
KR20210036545A (ko) * 2019-09-26 2021-04-05 한국광기술원 복합센서를 이용한 ess 화재 및 운영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661329B1 (ko) * 2023-05-11 2024-04-26 삼화디에스피주식회사 화재 선행 탐지 기능을 갖는 장치 보호 계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678B1 (ko) 2018-05-03 2018-10-11 주식회사 소암컨설턴트 DTHi(디티하이) 센서모듈 및 이를 이용한 ICT기반 화재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23046A (ko) 2020-10-08 2020-10-28 명성종합소방설비 주식회사 화재경보장치의 전체 단락을 방지하는 개량된 자동화재 감지시스템
KR102298627B1 (ko) 2020-12-04 2021-09-07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화재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87B1 (ko) 2008-10-31 2009-12-16 주식회사 아이파워 고압 전기시설물의 접속부 열화 검출에 의한 수배전반 불량감시장치 및 방법
KR100927959B1 (ko) * 2009-03-25 2009-11-24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기능을 가진 배전반
KR101104519B1 (ko) * 2011-06-20 2012-01-12 황수명 비접촉식 통합 화재 감지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6633A (zh) * 2016-06-05 2016-11-09 丁旭秋 煤矿瓦斯浓度测量方法
KR102189670B1 (ko) * 2019-09-17 2020-12-11 이문수 스마트 배전반에서 센서데이터 스트림 처리 방법 및 그 스마트 배전반
KR20210036545A (ko) * 2019-09-26 2021-04-05 한국광기술원 복합센서를 이용한 ess 화재 및 운영환경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2661329B1 (ko) * 2023-05-11 2024-04-26 삼화디에스피주식회사 화재 선행 탐지 기능을 갖는 장치 보호 계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709B1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709B1 (ko) 다중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및 전기설비박스
JP6614101B2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出火箇所特定方法
US20170131117A1 (en) Method and appartus for monitoring a condition of a meter
KR101533439B1 (ko) 전기화재 감시진단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BR102013011735A2 (pt) Método de detecção de condição de alarme para um sistema de sensoreamento por fibras ópticas, e, sistema de sensoreamento de fibra óptica
US2581213A (en) Temperature responsive signaling and locating system
US765473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 temperature sensor connected to a control unit
KR20180106318A (ko) 복합 센서를 이용한 화재방지장치
US9733285B2 (en) Dynamic thermal mapping
US9812879B2 (en) Battery thermal monitoring system
WO2007035928A3 (en) Portable electrical appliance with diagnostic system
US9888526B2 (en) Detecting heater failure in a group of electric heaters in a process equipment heating system
JP6206735B2 (ja) 故障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US20180143081A1 (en) Identifying a temperature anomaly
CN106504461B (zh) 一种电气火灾监控装置和方法
US20130207549A1 (en) Device for outputting temperature information
CN111366245A (zh) 提升红外测温对异常发热检出能力的方法
GB2491970A (en) Detecting a loose connection in an electricity meter
CN103630255B (zh) 对运行中的不间断电源的电容温度进行在线监测的系统
JP2008083923A (ja) 火災警報器
KR101502705B1 (ko) 화재 경보 방법
US11867569B2 (en) Temperature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temperature abnormality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6763669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故障検出方法および表示装置を備えたオンライン装置
WO2018083901A1 (ja) 電力量計及び電力量計出火箇所特定方法
KR20210117519A (ko)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 점검 기능을 구비한 정온식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