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208A -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208A
KR20150106208A KR1020140028431A KR20140028431A KR20150106208A KR 20150106208 A KR20150106208 A KR 20150106208A KR 1020140028431 A KR1020140028431 A KR 1020140028431A KR 20140028431 A KR20140028431 A KR 20140028431A KR 20150106208 A KR20150106208 A KR 20150106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highlight
layout
texts
menu 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필
김보민
임성희
임장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케이티미디어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케이티미디어허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028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208A/ko
Publication of KR20150106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되,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는 것인, 단계,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되,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는 것인, 단계,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되,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ING LAYOUT OF MENU AND COMPUTER LEGIBLE MEDIUM}
본 발명은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란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영화와 방송프로그램과 같은 동영상 콘텐츠와 인터넷 검색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양방향 방송 및 통신 장치이다.
이러한 IPTV는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 기능은 점차 다양화되는데 이러한 서비스를 표시하는 IPTV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텍스트 기반 레이아웃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또는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복수의 메뉴 아이콘과, 해당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와, 해당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는 것인, 단계,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는 것인, 단계,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고,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며,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고,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며,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과, 해당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디바이스는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와, 해당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메뉴 레이아웃, 제 2 메뉴 레이아웃 및 멀티채널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뉴 레이아웃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메뉴 레이아웃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및,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제 1 하이라이트(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된 액센트임)의 이동 명령을 수신할 경우,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배열된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시켜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는 예를 들어, 최신 또는 인기 있는 VOD 콘텐츠, 프로모션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추천 콘텐츠의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상 또는 하 방향키 입력으로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할 경우, 제 1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배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및,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된 액센트임)의 이동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시켜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및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VOD 콘텐츠, 실시간 방송 콘텐츠, 프로모션 콘텐츠 등)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는 예를 들어, '채널 가이드', '오늘의 추천', TV 다시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 메뉴 텍스트가 '오늘의 추천'을 포함하는 텍스트일 경우, 해당 상위 메뉴 텍스트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는 '인기 TOP 10', '최신 영화', '테마 영화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메뉴 레이아웃 호출 입력(제 1 메뉴 레이아웃 및 제 2 메뉴 레이아웃의 호출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경우, 메뉴 레이아웃 호출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영역에 제 1 메뉴 레이아웃 또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화면 영역에 표시될 제 1 메뉴 레이아웃 또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메뉴 레이아웃 호출 입력에 대응하여, 화면 영역에 콘텐츠 재생 영역과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수신할 경우, 제 1 하이라이트의 이동 상황을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배열된 복수의 메뉴 아이콘 또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또는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의 이동)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화면 영역에 제 1 메뉴 레이아웃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을 수신할 경우, 화면 영역을 제 2 메뉴 레이아웃으로 변경하고, 해당 제 2 메뉴 레이아웃에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임)의 결과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일 예로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V) 및 커넥티드 TV(Connected TV), 셋탑박스(STB, Set Top Box)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 1 및 2 하이라이트 이동을 위한 상 또는 하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메뉴 레이아웃 전환(제 1 메뉴 레이아웃과 제 2 메뉴 레이아웃 간의 전환)을 위한 좌 또는 우 방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 또는 하 방향키에 대응하는 제 1 하이라이트(또는 제 2 하이라이트)의 이동 명령을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배열된 복수의 메뉴 아이콘 또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상에서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제 2 메뉴 레이아웃에 배열된 상위 메뉴 텍스트 또는 하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좌 또는 우 방향키에 대응하는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을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와 페어링된 리모트 컨트롤러로서,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제어를 위한 신호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를 위한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전원을 ON 또는 OFF하거나, 볼륨을 높이거나 낮추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예를 들어, TV 리모콘 또는 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00)와 Bluetooth, NFC, RFID 등을 통해 페어링 되어있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와 페어링하기 위한 페어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메뉴 레이아웃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메모리(110) 및, 메모리(110)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컴퓨팅 장치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컴퓨팅 장치와 컴퓨팅 장치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10)의 일 예에는 컴퓨팅 장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과, 해당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1 메뉴 레이아웃에서, 복수의 메뉴 아이콘 및 해당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배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위치를 복수개의 템플릿에 기초하여 배열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위치를 복수의 템플릿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변경하거나,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해당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는 예를 들어, 콘텐츠 포스터(예를 들어, VOD 콘텐츠의 썸네일 등) 또는 프로모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와 해당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를 포함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및, 해당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의 배열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생성된 제 1 메뉴 레이아웃 또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기 전에, 콘텐츠(실시간 방송 콘텐츠 또는 VOD 콘텐츠 등)를 재생하고, 해당 재생 결과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0)은 방송국 서버로부터 수신된 방송 콘텐츠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생성된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 1 영역과 해당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2 영역, 및 콘텐츠 재생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재생 영역은 콘텐츠의 재생 결과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생성된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재생중인 콘텐츠 위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3 영역과, 해당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4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의 기설정된 영역 위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연관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 및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메뉴 아이콘은 방송 콘텐츠 또는 VOD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1 메뉴 레이아웃이 화면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연관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 1 연관 메뉴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2 레이아웃이 표시된 상태에서 연관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 2 연관 메뉴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관 메뉴 및 제 2 연관 메뉴는 팝업 형태로 화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연관 메뉴 및 제 2 연관 메뉴에는, 예를 들어, 방송 서비스 공지사항, 포인트 조회, 마이메뉴, 초기 화면 설정, 콘텐츠 검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입력받을 경우,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아이콘 또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상 또는 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제 1 하이라이트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아이콘 또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 이미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액센트(예를 들어, 명암 조절을 통한 입체감 또는 배경색과 대조되는 색상 등)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하이라이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된 액센트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하이라이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의해 선택된 메뉴 아이콘 또는 콘텐츠 이미지 위에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즉, 순차적으로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또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배열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대응된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제 1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메뉴 아이콘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를 삭제하고, 실시간 시청률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이 포함된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0)은 기설정된 시간에 따라, 실시간 시청률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실시간 방송 콘텐츠가 배열된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복수개의 페이지 형태로,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중,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콘텐츠 이미지(즉, 제 1 하이라이트가 오버랩된 콘텐츠 이미지)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경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 및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에 관한 장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장르 표시 영역에는, 예를 들어, '홈쇼핑 방송 콘텐츠', '지상파 방송 콘텐츠', 'VOD 콘텐츠', '스포츠 콘텐츠' 등 복수개의 장르 텍스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채널 동시 채널'이 선택될 경우, 프로세싱 유닛(120)은 장르가 동일한 N개의 방송 콘텐츠를 N의 콘텐츠 재생 영역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120)은 장르 표시 영역에서 제 3 하이라이트(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여 표시된 액센트임)가 이동될 때, 제 3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장르 텍스트(장르 표시 영역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를 멀티채널 레이아웃에 포함시키고, 이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싱 유닛(120)은 장르 텍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포함된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수신할 경우,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2 메뉴 레이아웃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명령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제 2 메뉴 레이아웃에 반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또는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배열 위치 중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시킬 때, 제 2 하이라이트를 제 4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1 메뉴 레이아웃이 화면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을 수신할 경우, 수신한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에 대응하여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제 2 메뉴 레이아웃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좌 또는 우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좌 방향키 입력을 수신할 경우,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제 2 메뉴 레이아웃으로 변경시켜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우 방향키 입력을 수신할 경우,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제 1 메뉴 레이아웃으로 변경시켜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제 2 메뉴 레이아웃이 화면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을 수신할 경우, 수신한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에 대응하여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제 1 메뉴 레이아웃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해당 제 2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위 메뉴 텍스트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를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유닛(120)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의 이동에 따라,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유닛(120)에서 수행되는 메뉴 레이아웃 생성 및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a 내지 도 3f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메뉴 레이아웃, 제 2 메뉴 레이아웃 및 멀티채널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의 예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302)과,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301) 및 연관 메뉴 아이콘(30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301)는 콘텐츠 재생 영역(303), 멀티 채널 영역(304) 및 추천 콘텐츠 이미지 영역(305)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콘텐츠 재생 영역(303)에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멀티 채널 영역(304)은 다양한 콘텐츠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4채널 동시 시청', '게임 ', 'TV 장보기', '스마트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콘텐츠 이미지 영역(305)에는 VOD 콘텐츠의 썸네일, 프로모션 콘텐츠의 포스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302) 및 복수의 메뉴 아이콘(30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301)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을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생성된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을 사용자 디바이스(100)의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1 하이라이트(306)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302)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306)가 이동될 때,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301)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연관 메뉴 아이콘(307)이 선택된 경우, 제 1 연관 메뉴(308)를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된 제 1 연관 메뉴(308)는 제 1 연관 메뉴(308)에 포함된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 사항', '포인트 조회', '마이메뉴', '설정' 등의 메뉴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연관 메뉴(308)에서 사용자가 '마이 메뉴', 및 '포인트 조회'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에 사용자가 선택한 제 1 연관 메뉴(308)를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제 2 메뉴 레이아웃(309)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 2 메뉴 레이아웃(309)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 및,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는 복수의 콘텐츠를 대표하는 텍스트(즉, 콘텐츠 검색의 편리성을 위해, 복수의 콘텐츠를 주제별로 분류한 카테고리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는 '채널 가이드', '오늘의 추천', 'TOP 100', '영화', 'TV 다시보기' 등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311)는 상위 메뉴 텍스트(310)가 '채널 가이드' 텍스트일 경우, '전체 편성표', '고화질 HD 채널 편성표', '오디오 채널 편성표', '선호 채널 편성표' 등의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가 배열되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311)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309)을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 또는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311)에서 제 2 하이라이트(312)의 이동)을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제 1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부분과 관련된 메뉴 텍스트의 위치로 제 2 하이라이트(312)가 이동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화면 영역에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이 표시되어 있고,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제 1 메뉴 레이아웃(300)과 제 2 메뉴 레이아웃(309) 간의 전환 명령임)이 입력되면, 제 2 메뉴 레이아웃(309)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메뉴 레이아웃(309)은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310)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312)가 이동될 때,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316)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c는 복수의 템플릿을 이용한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의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배열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도 3a의 복수의 메뉴 아이콘(302)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위치를 복수의 템플릿에 기초하여 배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템플릿을 선택하고, 해당 콘텐츠 이미지를 선택된 템플릿에 배열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d는 제 1 연관 메뉴(308)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이 화면 영역에 표시된 상태에서 연관 메뉴 아이콘(307)이 선택된 경우, 제 1 연관 메뉴(308)를 팝업 형태로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관 메뉴(308)는 콘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부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연관 메뉴(308)에는 방송 서비스 공지사항, 포인트 조회, 마이메뉴, 초기 화면 설정, 콘텐츠 검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e는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313)을 포함한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e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302)에서 제 1 하이라이트(306)가 이동할 경우, 실시간 시청률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313)을 제 1 메뉴 레이아웃(300)에 포함시키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f는 멀티채널 레이아웃(314)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f를 참조하면, 멀티채널 레이아웃(314)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315) 및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에 관한 장르 표시 영역(316)을 포함할 수 있다. 장르 표시 영역(316)에는 예를 들어, '홈쇼핑 방송 콘텐츠', '지상파 방송 콘텐츠', 'VOD 콘텐츠', '스포츠 콘텐츠' 등의 장르 텍스트를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하이라이트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멀티채널 레이아웃(314)를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선택 입력된 제 1 하이라이트는 도 3a의 멀티 채널 영역(304)에 포함된 서비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채널 동시 시청'(멀티 채널 영역(304)에 포함된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장르별로 분류된 실시간 방송 콘텐츠 각각을 분할된 화면에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장르 텍스트(장르 표시 영역(316)에 표시된 텍스트)에 대응하여,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315)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f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f의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과,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복수의 하위 메뉴 테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409에서 사용자 (100)는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11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00)는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단계 S409에서 생성된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11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Claims (15)

  1.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는 것인, 단계;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는 것인, 단계;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되,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3 영역, 및 상기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제 4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것이되,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를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되,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는 상기 제 2 하이라이트가 상기 제 4 위치에 표시되는 것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 또는 하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되,
    상기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좌 또는 우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것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은 콘텐츠 재생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이전에, 콘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재생 결과를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 재생 영역은 상기 재생 결과에 대응하는 동영상을 표시하되,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재생 결과에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인 것인,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 사이에서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명령인 경우,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은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상기 제 2 하이라이트를 이동시키는 명령인 것인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가 삭제되고, 실시간 시청률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이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에 포함되는 것인,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는 복수의 템플릿에 기초하여 배열되는 것인,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이라이트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는 경우, 멀티채널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멀티채널 레이아웃은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에 관한 장르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르 표시 영역에서 제 3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재생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의 표시가 변경되는 것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 및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연관 메뉴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연관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 1 연관 메뉴가 표시되되, 상기 제 2 레이아웃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연관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 2 연관 메뉴가 표시되는 것인, 방법.
  14.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인터페이싱하도록 정렬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고,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며,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팅 장치.
  15. 어플리케이션에서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복수의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가 배열되는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며,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각각에 대응하는 하위 메뉴 텍스트가 배열되는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메뉴 레이아웃을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상기 제 1 하이라이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고,
    제 1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이 입력될 때,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을 생성하고,
    메뉴 레이아웃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을 상기 화면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되,
    상기 복수의 메뉴 아이콘 사이에서 제 1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콘텐츠 이미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고, 상기 복수의 상위 메뉴 텍스트 사이에서 제 2 하이라이트가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위 메뉴 텍스트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변경되며,
    상기 제 2 메뉴 레이아웃은 상기 제 2 하이라이트 이동 명령의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0028431A 2014-03-11 2014-03-11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20150106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431A KR20150106208A (ko) 2014-03-11 2014-03-11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431A KR20150106208A (ko) 2014-03-11 2014-03-11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208A true KR20150106208A (ko) 2015-09-21

Family

ID=5424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431A KR20150106208A (ko) 2014-03-11 2014-03-11 메뉴 레이아웃을 제어하는 방법, 컴퓨팅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2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736A1 (zh) * 2020-05-28 2021-12-02 深圳市酷开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界面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8736A1 (zh) * 2020-05-28 2021-12-02 深圳市酷开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界面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98340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isplaying content
CN105814898B (zh) 数字电视
CN104683862B (zh) 数字设备和处理其服务的方法
CN105657465B (zh) 多媒体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77915B1 (ko) 추천되는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들을 제시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
CN102761786B (zh) 数字接收器和用于控制该数字接收器的方法
CN102835124B (zh) 图像显示设备和用于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US201100787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media guidance application navigation
US2015033446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N109564574A (zh) 用于将交互式特征传送到另一个设备的方法和系统
MX2007015899A (es) Listas de guia de medios dinamicos.
US20150289024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1176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ng a media guidance application with multiple perspective views
CN104427376A (zh) 信息显示装置、信息显示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201301742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objects in an interactive media guidance application
AU20102766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ociating and providing media content of different types which share attributes
CN106507159B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WO2013151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ng content on a user equipment having multi- region touch sensitive display
CN107852531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40085931A (ko) 손 움직임 감지를 통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413373A (zh) 一种生成数字电视菜单导航页的方法和装置
CN103209349A (zh) 用于执行至少一个功能的计算装置及其控制方法
GB252666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volume of a media asset based on navigation distance
US906976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users receiving a common media asset
US20160295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sound logos for media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