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516A -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516A
KR20150105516A KR1020140026636A KR20140026636A KR20150105516A KR 20150105516 A KR20150105516 A KR 20150105516A KR 1020140026636 A KR1020140026636 A KR 1020140026636A KR 20140026636 A KR20140026636 A KR 20140026636A KR 20150105516 A KR20150105516 A KR 20150105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nit
lamp unit
turn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090B1 (ko
Inventor
이성아
진솔
이선혜
박민지
이채린
김소담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090B1/ko
Publication of KR20150105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성 치매 등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재활연습용 램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점등 시 소정 칼라(color)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상기 램프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램프덮개부, 상기 램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램프부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연습용 램프장치{Lamp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본 발명은 재활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매는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에서 5~10% 정도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약 8.2~10.8%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치매 유병률은 연령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여 65세 기준으로 나이가 5세 많아질 때마다 2배씩 증가하여 65~69세의 연령층에서 약 2~3% 정도지만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70~74세에서 4~6%, 75~80세에서 약 8~12%, 80세 이상에서는 20%가 넘는 노인들이 치매에 걸리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44만명의 노인성 치매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산되지만,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2020년에는 환자 수가 약 8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성 치매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이들 중 가장 많은 것은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이며, 상대적으로 빈도는 낮으나 루이체 치매, 전측두엽 퇴행, 파킨슨병 등의 다른 퇴행성 뇌질환들과 정상압 뇌수두증, 두부 외상, 뇌종양, 대사성 질환, 결핍성질환, 중독성 질환, 감염성 질환 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인성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루에 30분 이상 간단한 운동을 즐기고, 즐겁게 뇌를 사용하는 일이나 취미활동을 지속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종래에는 이와 같은 노인성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개발된 재활 연습기구가 거의 없어 노인성 치매 환자들에 대한 재활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소수의 재활 연습기구의 경우, 단순한 사용 방법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재활 연습기구는 장기적인 사용에 따른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가장 중요하나, 종래의 운동 치료기구는 노인성 치매 환자가 지속적으로 사용하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운영에 게임 형식을 가미하여 흥미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는 재활연습용 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단기기억력을 향상시키고, 균형능력 및 상지의 동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활연습용 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재활연습용 램프장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점등 시 소정 칼라(color)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상기 램프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램프덮개부, 상기 램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램프부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램프덮개부와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덮개부를 가압 누름 시 상기 램프부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램프부는 점등되었다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는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두 개 이상의 상기 램프부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경우, 상기 선순위 램프부가 점등된 후 상기 후순위 램프부가 점등 시 상기 선순위 램프부가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성 치매 환자 등의 사용자에게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운영에 게임 형식을 가미하여 사용자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다양한 색깔의 버튼을 누르게 하는 게임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지 동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손을 최대한 뻗은 상태에서도 스스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균형 유지 능력을 함께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신체능력뿐 아니라 기억력, 집중력 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에 있어서, 램프부 및 연관 구성요소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에 있어서, 제어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100)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100)는 몸체부(110)와, 램프부(120)와, 램프덮개부(130)와, 스위치부(15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베이스 역할을 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부(1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몸체부(110)의 둘레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후술할 램프부(120)를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 외에 다양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램프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구비되며, 점멸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부(12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에 다수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원케이블이 구비된다.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상기 램프부(120)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상기 램프부(12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램프부(120)의 점등 시 소정 칼라(color)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상기 램프부(120)의 점등에 따라 다양한 색깔을 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램프덮개부(130)가 다양한 색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램프부(120)가 점등 시 해당 색깔을 인지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사용자가 터치하기 용이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몸체부(110)와의 연결 부분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램프부(120)를 점멸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스위치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램프부(120)는 점등 또는 소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스위치부(150)의 작동에 의해 램프부(120)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스위치부(150)의 작동에 의해 램프부(120)가 소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순차적으로 점등 및 소등을 번갈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램프부(120) 및 이와 관련된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에 있어서, 램프부(120) 및 연관 구성요소의 구조를 자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부(120)는 몸체부(1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상기 램프부(120)를 덮어 감싸는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부(120)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부(150)는 상기 램프덮개부(130)와 상기 몸체부(110)의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램프부(120)의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상기 스위치부(1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상기 스위치부(150)에 다양한 방법으로 착탈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억지끼움 방식, 나사산에 의한 회전 결합 방식, 자력에 의한 결합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50)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부재(165)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150)에는 제1단자부(1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10) 측에는 제2단자부(153)가 구비되어 상기 스위치부(150)가 후방으로 이동 시 상기 제1단자부(152) 및 제2단자부(153)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램프부(120)를 점등시키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램프덮개부(130)를 누르게 되면 스위치부(15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고, 제1단자부(152) 및 제2단자부(153)의 접촉에 의해 램프부(120)가 점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지시된 색깔 순서대로 램프덮개부(130)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등의 다양한 게임 방법을 통해 기억력 및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매 등의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깔의 버튼을 누르게 하는 게임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지 동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손을 최대한 뻗은 상태에서도 스스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균형 유지 능력을 함께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게임 형식을 가미하여 사용자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메인덮개부(131)와 단열차폐부(1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이중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단열차폐부(132)는 램프덮개부(130)의 표면이 상기 램프부(120)의 발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상기 램프덮개부(130)를 터치할 때 화상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실리콘 등의 전도율이 낮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덮개부(130) 중 외부에 노출된 단열차폐부(132)가 다양한 색깔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단열차폐부(132)는 투명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메인덮개부(131)가 다양한 색깔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램프덮개부(130)는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적절한 시점마다 상기 램프덮개부(130)의 위치를 다양하게 섞도록 하여 사용자가 미리 위치를 기억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의 각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램프부(120)의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에 있어서, 제어부(170) 및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연습용 램프장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램프부(120) 및 상기 스위치부(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부(120)의 점멸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의 전기적 제어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램프부(120)가 점등되었을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는 소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필요 이상의 오랜 시간 동안 램프부(120)가 점등되어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램프덮개부(13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램프부(120)가 제1램프부, 제2램프부 등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부(150)가 제1스위치부, 제2스위치부 등 상기 램프부(12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램프부(120)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상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램프부(120)를 설정 시간에 따라 소등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선순위의 램프부(120)가 점등된 후 후순위의 램프부(120)가 점등 시 상기 선순위 램프부(120)가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마찬가지로 램프덮개부(130)의 과열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선순위의 램프부(120) 점등 이후 후순위의 램프부(120)를 찾는 과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경우, 선순위의 램프부(120)가 미리 소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즉 사용자가 후순위의 램프부(120)를 찾는 동안 선순위의 램프부(120)는 지속적으로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억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후순위의 램프부(120)를 점등시키는 순간 선순위의 램프부(120)가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110: 몸체부
120: 램프부 130: 램프덮개부
131: 메인덮개부 132: 단열차폐부
150: 스위치부 152: 제1단자부
153: 제2단자부 165: 탄성부재
170: 제어부

Claims (4)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램프부;
    상기 램프부의 점등 시 소정 칼라(color)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되도록 상기 램프부를 덮어 감싸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램프덮개부;
    상기 램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램프부를 점멸시키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램프덮개부와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램프덮개부를 가압 누름 시 상기 램프부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램프부는 점등되었다가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에는 소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되,
    두 개 이상의 상기 램프부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는 경우,
    상기 선순위 램프부가 점등된 후 상기 후순위 램프부가 점등 시 상기 선순위 램프부가 소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KR1020140026636A 2014-03-06 2014-03-06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KR10159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36A KR101592090B1 (ko) 2014-03-06 2014-03-06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636A KR101592090B1 (ko) 2014-03-06 2014-03-06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516A true KR20150105516A (ko) 2015-09-17
KR101592090B1 KR101592090B1 (ko) 2016-02-05

Family

ID=54244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636A KR101592090B1 (ko) 2014-03-06 2014-03-06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0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9176A (zh) * 2019-09-23 2020-01-03 中南大学湘雅二医院 一种可调节的平衡及反应力训练板
KR20200097911A (ko) * 2019-02-11 2020-08-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장애 재활 치료장치
KR20210032045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비라이프 퇴행성 뇌질환 예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3017A1 (en) * 2004-03-26 2005-12-08 Evian Gordon Collective brai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911A (ko) * 2019-02-11 2020-08-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지장애 재활 치료장치
KR20210032045A (ko) * 2019-09-16 2021-03-24 주식회사 비라이프 퇴행성 뇌질환 예방 시스템
CN110639176A (zh) * 2019-09-23 2020-01-03 中南大学湘雅二医院 一种可调节的平衡及反应力训练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090B1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371998U (zh) 一种肌肉锻炼仪
KR102120386B1 (ko) 전위 치료 장치
KR101592090B1 (ko) 재활연습용 램프장치
WO2002030349A1 (fr) Procede et appareil d'accumulation du niveau de fatigue oculaire
CN108653996A (zh) 一种具有按摩放松功能的仰卧起坐板
JP2021074504A (ja) マッサージャー
US20160101010A1 (en) Physiotherapeutic energy wave generating device
CN205019382U (zh) 一种无线智能瘦身按摩腰带
CN203280918U (zh) 一种多功能视力矫正保健仪
CN203710332U (zh) 一种多功能双目按摩治疗仪
CN208212194U (zh) 一种眼科用近视纠正按摩器
KR20200139414A (ko) 미세전류 괄사기
CN104473755A (zh) 多色光视力训练仪
CN206007804U (zh) 低频脉冲理疗仪
CN203302707U (zh) 一种健康座垫
JP3186084U (ja) 理学療法用エネルギー発生装置
WO2018126779A1 (zh) 无线可穿戴功能性电刺激系统辅助下的神经网络重建训练方法
CN203790253U (zh) 一种神经内科用手腕活动装置
CN105943328A (zh) 视力运动机
CN219699288U (zh) 带按摩功能的美甲灯
JP2016043228A (ja) 有機el照明装置高照度光療法補助器具
CN204033756U (zh) 一种踏毯式网络游戏太阳能红外磁疗药浴足底按摩健身器
CN203253028U (zh) 一种视听音乐训练系统
CN215536502U (zh) 一种砭石导入按摩仪
CN205339508U (zh) 一种多功能按摩足浴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