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5125A -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 Google Patents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5125A
KR20150105125A KR1020140027382A KR20140027382A KR20150105125A KR 20150105125 A KR20150105125 A KR 20150105125A KR 1020140027382 A KR1020140027382 A KR 1020140027382A KR 20140027382 A KR20140027382 A KR 20140027382A KR 20150105125 A KR20150105125 A KR 2015010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ad
air chamber
pocke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동
Original Assignee
배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동 filed Critical 배기동
Priority to KR102014002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5125A/ko
Publication of KR2015010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1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42Filling materials located between the insole and outer sole; Stiffen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시 사용자의 발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에어포켓이 변형 또는 복원되고, 상기 변형 또는 복원에 의해 상기 에어포켓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의 공기가 착화공간으로 토출되거나 상기 착화공간의 공기가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되면서 사용자 발바닥 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Shoe insole and shoes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기성이 좋고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일상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으로서, 그 종류만도 수십 가지에 이르고 있으며, 또한 신발은 그 용도와 기능에 따라 운동화, 구두, 슬리퍼, 농구화, 축구화 및 등산화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된다.
최근 들어서는 각종 기능을 추가하여 편안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신발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아침에 공원 등에서 조깅 등의 운동을 많이 하고 있는바, 상기한 조깅을 하는 사람은 비교적 가벼운 신발과 트레이닝을 착용하고 달리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워킹이나 조깅 시 발생되는 하중을 완충하기 위해, 신발에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신발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땀을 식히기 위한 통기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일반적으로는 발의 등을 감싸는 부분을 통해 통기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은 발 바닥에 중창에 밀착되기 때문에, 발 바닥에 통기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낸 등록특허 10-0481701
본 발명은 통기성이 좋고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는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착화공간(11)이 형성된 갑피(10); 상기 갑피(10)에 저면에 고정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20); 상기 갑피(10) 및 밑창(20) 사이에 배치되고, 보행 시 사용자의 발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고, 상기 하중에 의해 발바닥 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중창(30)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30)은 중창바디(40);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바디(40)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착화공간(11)으로 토출시키거나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를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하는 포켓바디; 상기 포켓바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되며, 상기 발바닥 면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커버(70)를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상기 통기커버(70)는 상기 중창바디(40) 상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에어챔버 및 착화공간(11)을 연결시키는 통기홀(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켓바디는 상기 착화공간(11)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신발에 설치되는 중창에 있어서, 중창바디(40);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바디(40)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착화공간(11)으로 토출시키거나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를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하는 포켓바디; 상기 포켓바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되며, 상기 발바닥 면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커버(70)를 포함하는 중창을 제공한다.
상기 포켓바디는 상기 착화공간 측으로 공기를 토출 또는 흡입시키는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행 시 사용자의 발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에어포켓이 변형 또는 복원되고, 상기 변형 또는 복원에 의해 상기 에어포켓 내부에 형성된 에어챔버의 공기가 착화공간으로 토출되거나 상기 착화공간의 공기가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되면서 사용자 발바닥 면에서 공기를 순환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된 에어포켓을 통해 완충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포켓이 형성된 중창을 교체할 수 있고, 원하는 신발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창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멀티펑션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멀티펑션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가-가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나-나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창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멀티펑션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 2 멀티펑션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가-가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나-나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갑피(10)와, 상기 갑피(10)에 저면에 고정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20)과, 상기 갑피(10) 및 밑창(20) 사이에 배치되고, 보행 시 사용자의 발로 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중창(30)을 포함한다.
상기 신발은 운동화 또는 구두 등 다양한 기능성 신발일 수 있다.
상기 갑피(10)는 사용자의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착화공간(11)이 형성되고, 저면은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밑창(20)은 지면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구두일 경우 굽이 형성될 수 있고, 신발일 경우 별도의 완충기능을 갖는 쿠션(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창(30)은 사용자의 발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 및 복원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창(30)은 내측에 삽입홀(42)이 형성된 중창바디(40)와, 상기 중창바디(40)에 결합되고, 에어포켓이 형성된 멀티펑션부재(60)와, 발바닥 측으로 공기가 통과되도록 통기홀(72)이 형성되고, 상기 중창바디(40)의 상측면에 부착되는 통기커버(70)를 포함한다.
상기 통기커버(70)는 사용자의 발과 직접 접촉되는 면으로서 상기 멀티펑션부재(60)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사용자의 발에 전달되도록 다수개의 통기홀(7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홀(72)은 상기 멀티펑션부재(6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커버(70) 섬유 재질로 형성되어 발에서 발생된 땀을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멀티펑션부재(60)의 공기유동을 통해 흡수된 땀이 보다 신속하게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중창바디(40)는 상기 멀티펑션부재(6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42)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42)은 사용자의 발바닥 하측 및 뒷굼치 하측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바닥 하측에 배치된 제 1 삽입홀(43)에는 후술하는 제 1 멀티펑션부재가 결합되고, 뒷굼치 하측에 배치된 제 2 삽입홀(44)에는 후술하는 제 2 멀티펑션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멀티펑션부재(60)는 보행 시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완충을 실시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는 과정에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에어포켓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멀티펑션부재(60)는 에어포켓(8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삽입홀(43)에 결합되는 제 1 멀티펑션부재(80)와, 에어포켓(9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삽입홀(44)에 결합되는 제 2 멀티펑션부재(9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멀티펑션부재(80)는 상기 중창바디(40)에 밀착되는 쿠션베이스(82)와, 상기 쿠션베이스(82)에서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삽입홀(43)에 삽입되며 내부에 에어챔버(84)가 형성된 에어포켓(8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멀티펑션부재(80)는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포켓(85)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쿠션베이스(82)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바디(40)의 저면에 접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삽입홀(43)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중창바디(40)의 내부에 위치되거나 상기 중창바디(40)의 상면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쿠션베이스(82)는 하측으로 돌출된 쿠션돌출부(83)가 더 형성되고, 상기 쿠션돌출부(83)는 상기 밑창(20)에 형성된 밑창홈(23)에 끼워진다.
상기 에어포켓(85)은 상기 쿠션베이스(8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쿠션베이스(82)의 일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84)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바디(40)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착화공간(11)으로 토출시키거나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를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하는 포켓바디(86)과, 상기 포켓바디(86)에 형성된 에어홀(87)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포켓(85)은 각각 독립적으로 완충 및 공기순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멀티펑션부재(80)에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바디(8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켓바디(86)의 상측면에 상기 에어홀(8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켓바디(86)는 하중에 의해 변형된 후 재질의 탄성에 의해 복원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바디(86)의 변형 및 복원의 과정을 통해 상기 에어챔버(84)의 공기가 상기 통기커버(70)로 토출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의 하중이 상기 에어포켓(85)에 가해지면, 상기 포켓바디(86)가 압축되고, 상기 압축과정에서 상기 에어챔버(84)가 찌그러지면서 상기 에어챔버(84) 내부의 용적을 축소시키며, 이로 인해 상기 에어챔버(84)의 공기가 상기 에어홀(87)을 통해 통기홀(72)로 토출된다.
반대로, 사용자의 하중이 제거되면, 상기 포켓바디(86)가 재질의 탄성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가 상기 통기홀(72)을 통해 상기 에어챔버(84) 내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펑션부재는 보행 시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에어챔버(84) 및 착화공간(11)이 공기가 순환되게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발바닥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 2 멀티펑션부재(90)는 상기 제 1 멀티펑션부재(80)와 같은 원리로 공기를 순환시키되, 그 형태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멀티펑션부재(90)는 상기 중창바디(40)에 밀착되는 쿠션베이스(92)와, 상기 쿠션베이스(92)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94)가 형성된 포켓바디(96)와, 상기 포켓바디(96)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챔버(94)와 연통되게 형성된 에어홀(9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켓바디(96) 내부에는 다수개의 에어챔버(94)가 형성되고, 각 에어챔버(94)는 독립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멀티펑션부재(9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창바디(40)의 상측에서 조립되도록 상기 쿠션베이스(92)가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쿠션베이스(92)는 상기 중창바디(40)의 상측면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포켓바디(96)는 상기 제 2 삽입홀(44)에 끼워져 고정된다.
한편, 보행 시, 뒷굼치에는 발바닥 보다 큰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포켓바디(96)에 복수개의 상기 에어챔버(94)를 형성시킨다.
그래서 상기 제 2 멀티펑션부재(9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에어챔버(94)를 형성시키는 각 격벽(99)이 변형되면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변형 또는 복원과정에서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기커버(70)는 상기 중창바디(40)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멀티펑션부재(80)(90) 상측에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상기 멀티펑션부재(80)(90)가 상기 중창바디(40)의 삽입홀(42)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중창바디(40) 상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기커버(70)에 통기홀(72)이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통기커버(70)가 섬유사를 이용해 직조된 경우, 섬유사 사이의 공간이 통기홀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10 : 갑피 20 : 밑창
30 : 중창 40 : 중창바디
42 : 삽입홀 60 : 멀티펑션부재
70 : 통기커버 72 : 통기홀
80 : 제 1 멀티펑션부재 82 : 쿠션베이스
84 : 에어챔버 85 : 에어포켓
86 : 포켓바디 87 : 에어홀
90 : 제 2 멀티펑션부재 92 : 쿠션베이스
94 : 에어챔버 96 : 포켓바디
97 : 에어홀

Claims (5)

  1. 발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착화공간(11)이 형성된 갑피(10); 상기 갑피(10)에 저면에 고정되어 지면과 접촉되는 밑창(20); 상기 갑피(10) 및 밑창(20) 사이에 배치되고, 보행 시 사용자의 발로 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하고, 상기 하중에 의해 발바닥 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중창(30)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30)은
    중창바디(40);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바디(40)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착화공간(11)으로 토출시키거나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를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하는 포켓바디;
    상기 포켓바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되며, 상기 발바닥 면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커버(70)를 포함하는 신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기커버(70)는 상기 중창바디(40) 상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에어챔버 및 착화공간(11)을 연결시키는 통기홀(72)이 형성된 신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바디는 상기 착화공간(11)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에어홀이 형성된 신발.
  4. 신발에 설치되는 중창에 있어서,
    중창바디(40);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중창바디(40)에 결합되며, 상기 하중에 의해 변형 또는 복원되면서 상기 에어챔버 내부의 공기를 상기 착화공간(11)으로 토출시키거나 상기 착화공간(11)의 공기를 상기 에어챔버 내부로 흡입하는 포켓바디;
    상기 포켓바디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바닥과 접촉되며, 상기 발바닥 면으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통기커버(70)를 포함하는 중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켓바디는 상기 착화공간 측으로 공기를 토출 또는 흡입시키는 에어홀이 형성된 중창.

KR1020140027382A 2014-03-07 2014-03-07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20150105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82A KR20150105125A (ko) 2014-03-07 2014-03-07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7382A KR20150105125A (ko) 2014-03-07 2014-03-07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125A true KR20150105125A (ko) 2015-09-16

Family

ID=5424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382A KR20150105125A (ko) 2014-03-07 2014-03-07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51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97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perforated midsole
US7730635B2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US826682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US749370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late dividing a support column
US8621767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pport structure
US5815949A (en) Footwear insert providing air circulation
US7200955B2 (e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sole structure with compressible inserts
US701358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spended footbed
US20090282704A1 (en) Shoes and Shoes Insole Capable of Buffering Shock by Air Circulation
KR20120006123A (ko) 공기순환기능을 가지는 신발
JP2012525862A (ja) 靴用インサート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200474565Y1 (ko)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100825008B1 (ko) 신발창
KR101139441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KR20150105125A (ko) 중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200440536Y1 (ko) 신발
KR200477324Y1 (ko) 스프링을 구비하는 덧버선 타입 실내화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101583568B1 (ko) 신발 밑창
KR100997150B1 (ko) 신발 깔창
KR200433362Y1 (ko) 신발의 에어장치
KR200481007Y1 (ko) 통기성과 충격흡수기능이 향상된 신발창
KR200468139Y1 (ko)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