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4905A -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4905A
KR20150104905A KR1020140026854A KR20140026854A KR20150104905A KR 20150104905 A KR20150104905 A KR 20150104905A KR 1020140026854 A KR1020140026854 A KR 1020140026854A KR 20140026854 A KR20140026854 A KR 20140026854A KR 20150104905 A KR20150104905 A KR 2015010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pil
user
display
or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4933B1 (ko
Inventor
신형철
전혁준
장언동
전병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933B1/ko
Priority to PCT/KR2014/010559 priority patent/WO2015133700A1/ko
Publication of KR2015010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로 입력되는 눈동자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검출된 눈동자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의 순서와 미리 설정된 방향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키 입력 등보다 편리한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unlocking user equipment based on eye location, user equipment releasing lock based on eye locatio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눈동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좌표값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을 포함한 휴대 단말기는 이제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단순한 호출기능으로 등장한 휴대 단말기는 급격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즉석에서 사진을 찍어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즉, 카메라폰으로 진화하였으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휴대폰들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폰의 인기가 급격히 확산되면서, 그 수요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맞춰 카메라폰의 진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과 어플리케이션의 탑재가 가능하고 그 사용범위가 넓은 만큼 사용자(소유자)의 신상 정보나 금융정보와 같은 다양한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그에 따라 개인의 사적인 정보가 보장되어야 하지만, 종래 폰 비밀번호나 암호키를 설정하는 보안방식은,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개인 전용 단말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개인의 사적인 정보의 안전을 보장하기 어렵다.
최근 카메라를 이용한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으로 얼굴 인식을 이용한 잠금 해제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사진을 이용하여 우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눈을 깜박이거나 동일하지 않은 이미지가 연속으로 입력되는지 확인하는 개선책이 등장하였으나 역시 동영상 재생을 통하여 우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2117호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의 홍채 패스워드에 의한 보안관리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장치에 대한 제3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잠금 해제를 위해 단말에 대한 별도의 터치없이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동자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조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이 향상된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는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사용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눈동자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 눈동자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눈동자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순차 검출하는 위치 측정부; 및 검출된 눈동자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의 순서와 미리 설정된 방향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더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눈동자의 이동 길이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암호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식별하여 눈동자가 응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순차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측정된 눈동자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의 순서와 미리 설정된 방향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표시 단계는 암호 구성요소가 디스플레이에 임의의 배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암호 구성요소는 상징, 사진, 도형,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표시 단계는 암호 구성요소를 복수 설정하고 복수 설정된 암호 구성요소는 각각 다른 패스워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패스워드는 암호 구성요소의 입력 순서 또는 눈동자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해제 단계는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더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검출 단계는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는 눈동자에 의한 입력에 대한 피드백을 실현하도록 구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사람의 눈동자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키 입력에 기반한 잠금 해제 방법보다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동자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조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인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XY 좌표계가 적용된 사용자의 눈동자 촬영 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눈동자 위치의 검출을 위한 눈동자 서술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인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눈동자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장치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 방법은 사용자 장치에 필요한 다른 본인 인증 절차 또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인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는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무선 단말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본인 인증을 거쳐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사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눈동자(200)의 위치 신호를 입력받아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순서대로 암호 구성요소(120)를 응시하는 눈동자(200)의 이동을 입력하고, 사용자 장치(100)는 이를 분석하여 잠금 상태를 해제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100)는 수신한 눈동자(200)의 이동 방향의 순서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입력되어야 하는 미리 설정된 눈동자의 방향의 순서를 비교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눈동자의 이동 방향의 순서는 문자 또는 도형의 순서를 따라 이동하는 눈동자의 방향의 순서일 수 있고, 문자 또는 도형에 관계없이 화면의 특정 영역을 순서대로 이동하는 눈동자의 방향의 순서일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카메라부(130)를 포함한다. 카메라부(130)는 외부로부터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부(130)는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 및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위한 영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05)에는 사용자 장치(100)를 구동,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5)에는 잠금 상태에서 이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 구성요소(120)가 표시될 수 있다. 암호 구성요소(120)는 암호 설정에 사용되는 이미지 심볼(상징, 사진, 도형, 숫자, 문자, 기호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암호 구성요소(120)는 일정한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잠금 화면에서 랜덤으로 매번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심볼로 사용되는 상징, 사진, 도형, 숫자, 문자, 기호는 복수의 형식이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5)에는 암호 입력 화면(110)이 표시될 수 있다. 패스워드는 암호 구성요소의 입력 순서 또는 눈동자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패스워드가 암호 구성요소의 입력 순서로 설정되는 경우, 눈동자(200)에 의해 입력되는 암호 구성요소(120)의 입력 순서가 미리 설정된 순서와 일치하면 잠금이 해제된다. 패스워드가 눈동자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되는 경우, 눈동자의 이동 패턴이 미리 설정된 순서와 일치하면 잠금이 해제된다.
보안을 위하여 입력되는 암호 구성요소(120)는 암호 입력 화면(110)에 입력된 구체적인 내용이 표시되지 않거나, 마지막에 입력된 암호 구성요소(120)의 내용이 암호 입력 화면(110)에 일정시간 표시된 후, 일정시간 경과된 후에는 입력된 내용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빛, 소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에 대한 피드백은 설정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잠금 해제를 위한 패스워드가 3457인 경우, 사용자는 패스워드의 순서대로 3, 4, 5 및 7의 숫자를 차례로 응시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눈동자는 중앙 영역을 시작으로 좌상, 우하, 좌, 우상의 순으로 이동하게 된다. 카메라부(130)는 이러한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가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암호 구성요소(120)는 잠금 화면이 표시될 때마다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잠금 해제를 위한 패스워드가 3457인 경우, 각 숫자의 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잠금 해제에 필요한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는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잠금 해제에 필요한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순서는 고정되고, 암호 구성요소(120)가 잠금 화면이 표시될 때마다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잠금 해제에 필요한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순서가 좌상, 우하, 좌, 우상인 경우 암호 구성요소(120)의 배열에 관계없이 사용자는 눈동자를 좌상, 우하, 좌, 우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00)가 눈동자 이동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눈동자 이동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설정을 해제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XY 좌표계가 적용된 사용자의 눈동자 촬영 화면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눈동자 위치의 검출을 위한 눈동자 서술자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카메라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눈동자가 촬영된 촬영 화면에는 XY 좌표계가 적용될 수 있다. XY 좌표계에서 원점은 디스플레이(105)의 중심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105)의 소정의 지점이 될 수도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촬영 화면에 XY 좌표계가 적용되면, XY 좌표계의 원점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위치한 지점의 좌표를 산출한다. 좌표의 산출을 위해 X축 및 Y축은 각각 일정한 간격의 좌표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200)는 -4의 X축 좌표값(x1)을 가질 수 있고, 4의 Y축 좌표값(y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위치한 지점의 좌표값은 (-4,4)로 산출될 수 있다.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위치한 지점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디스플레이(105)에서 9개 영역(예를 들면, 9개로 등분된 R1 내지 R9) 중 어디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눈동자(200) 위치의 X축 좌표값(x1)이 -3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200) 위치가 X축을 기준으로 3등분하여 좌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3 이상 3 미만인 경우 X축을 기준으로 중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3 이상인 경우 X축을 기준으로 우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눈동자(200) 위치의 Y축 좌표값(y1)이 -3 미만인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200) 위치가 Y축을 기준으로 하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3 이상 3 미만인 경우 Y축을 기준으로 중앙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3 이상인 경우 Y축을 기준으로 상단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영역의 분할수 및 디스플레이(105)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눈동자(200) 위치의 X축 좌표값 및 Y축 좌표값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디스플레이(105)에서 9개 영역(9개로 등분된 R1 내지 R9) 중 어디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패스워드가 3457인 경우,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R1, R9, R7 및 R3의 순으로 이동되어야만 잠금이 해제된다. 패스워드가 3457이고 각 숫자의 위치가 변경되면 잠금 해제를 위한 눈동자(200)의 위치도 변경된 3, 4, 5, 7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순서에 대응하여 변경된다.
패스워드에 관계없이 잠금 해제에 필요한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가 좌상, 우하, 좌, 우상인 경우, R1, R9, R7 및 R3의 순서 외에도, (R5, R9, R7, R3), (R1, R5, R4, R2), (R5, R9, R8, R6) 등의 다른 순서로도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패스워드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로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눈동자 이동 정보에 이동 방향 외에도 눈동자(200)의 이동 길이 및 위치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다.
또한 눈동자(200)의 위치 이동에 따라 대응되는 영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영역에 대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입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눈동자(200)가 특정 영역을 주시하면 입력으로 인정되기까지 필요한 시간을 나타내는 로딩바(미도시)가 표시될 수 있다. 로딩바는 사용자의 눈동자(200)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05)에 표시될 수 있으나, 보안 및 정확한 입력을 위해 화면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정에 따라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눈동자(200) 위치가 입력으로 인정되는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어,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한 암호 구성요소(120)가 입력된 것으로 인정되면, 이에 대한 피드백으로 진동, 빛, 소리 등으로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카메라부(130), 눈동자 위치 측정부(140), 저장부(150), 사용자 설정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외부의 영상을 촬영, 수집할 수 있으며, 눈동자(200)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동자(200)를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부(130)는 사용자의 얼굴을 중심으로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들이 사용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사용자 장치(100)를 자신의 얼굴과 근접한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므로, 카메라부(130)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중심으로 하여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눈동자(200) 위치의 실시간 추적을 위하여, 사용자를 계속하여 촬영한다.
또한 카메라부(130)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스워드를 알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얼굴 인식을 통한 본인 인증이 완료되지 않으면 잠금을 해제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자의 얼굴 인식을 연동하여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눈동자 위치 측정부(140)는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의 눈동자(200)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데이터화한다.
눈동자 위치 측정부(140)는 카메라부(130)로부터 양쪽 눈 방향의 각도와 양쪽 눈 사이의 거리 등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인 눈동자의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눈동자 위치 측정부(140)는 계산된 실제 기하학적인 눈 위치에 대한 눈동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한다.
눈동자 위치 측정부(140)는 카메라부(130)로부터 촬영된 사용자의 눈동자를 포함하는 촬영 화면의 소정의 기준점을 원점으로 설정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눈동자(200)의 중심점 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고,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눈동자의 X축 좌표값 및 Y축 좌표값을 산출한다.
원점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105)의 특정 지점을 응시하는 때의 눈동자(200)의 중심을 기준점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지점은 디스플레이(105)의 중앙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잠금 해제를 위한 초기 화면에서 디스플레이(105)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는 특정 영역을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응시하는 것으로 기준점이 설정될 수 있고, 기준점을 이용하여 눈동자(200)의 X축 좌표값 및 Y축 좌표값을 산출하여 눈동자(200)의 위치를 측정한다. 기준점은 사용자가 초기에 한번 설정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 설정부(160)에 의해 설정된 패스워드 등을 저장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카메라부(130), 눈동자 위치 측정부(140), 저장부(150) 및 사용자 설정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눈동자 위치 측정의 분석 결과 입력된 눈동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170)는 눈동자 위치 측정의 분석 결과 입력된 눈동자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지 않고 사용자의 눈동자 위치에 관한 정보를 다시 입력할 것을 명령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치(100)는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암호 구성요소(120)를 디스플레이(105)에 표시한다(S100). 암호 구성요소(120)는 암호 설정에 사용되는 이미지 심볼로서, 상징, 사진, 도형, 숫자, 문자, 기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암호 구성요소(120)는 디스플레이(105)에 일련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고, 임의의 순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5)의 좌측 상단에서 시작하여 우측 하단을 향해 서수로 표시될 수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임의의 순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05)에 표시되는 암호 구성요소(120)의 배열 순서에 따라 잠금 해제를 위해 필요한 사용자 눈동자(200)의 이동 정보도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부(130)는 눈동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S200). 눈동자(2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소정의 기준점을 원점으로 설정하여 촬영 화면에 XY 좌표계를 적용하는 단계, 촬영된 사용자의 눈동자(200) 위치의 X축 좌표값 및 Y축 좌표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카메라부(130)가 수집한 눈동자(200)의 위치 정보와 잠금 해제에 필요한 눈동자의 위치를 비교하여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S300),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S400). 잠금 상태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눈동자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 외에, 사용자의 안면 인식 인증 절차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패스워드는 암호 구성요소의 입력 순서 또는 눈동자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패스워드가 암호 구성요소의 입력 순서로 설정되는 경우, 눈동자(200)에 의해 입력되는 암호 구성요소(120)의 입력 순서가 미리 설정된 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잠금이 해제된다. 패스워드가 눈동자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되는 경우, 눈동자의 이동 패턴이 미리 설정된 순서와 일치하는 경우 잠금이 해제된다.
또한, 눈동자(200)의 위치 정보와 잠금 해제에 필요한 눈동자의 위치를 비교하여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장치(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고 판단 단계가 종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인증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디스플레이(105)에 표시되는 암호 구성요소(120)는 복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암호 구성요소(120-1), 제2 암호 구성요소(120-2) 및 제3 암호 구성요소(120-3)로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암호 구성요소는 상이한 패스워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1 암호 구성요소(120-1)의 패스워드는 1674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암호 구성요소(120-2)의 패스워드는 8194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3 암호 구성요소(120-3)의 패스워드는 눈동자의 이동 패턴이 중앙에 표시된 별의 도형을 기준으로 눈동자의 이동이 우, 상, 좌, 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암호 구성요소(120-1), 제2 암호 구성요소(120-2) 및 제3 암호 구성요소(120-3)는 디스플레이(105)의 색상, 페이지 표시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05)가 청색인 경우, 제1 암호 구성요소(120-1)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05)가 적색인 경우, 제2 암호 구성요소(120-2)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05)가 황색인 경우, 제3 암호 구성요소(120-3)의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5)가 청색인 경우, 제1 암호 구성요소(120-1)의 패스워드는 1674이므로 사용자는 눈동자(200)를 1674의 순으로 이동시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암호 구성요소(120-1)는 순차적으로 표시되었으나, 제2 암호 구성요소(120-2)와 같이 임의의 순서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1 암호 구성요소(120-1)의 패스워드인 1674를 입력하여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5)가 적색인 경우, 제2 암호 구성요소(120-2)의 패스워드는 8194이므로 사용자는 눈동자(200)를 8194의 순으로 이동시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5)가 황색인 경우, 제3 암호 구성요소(120-3)의 패스워드는 눈동자의 이동 패턴이 중앙에 표시된 별의 도형을 기준으로 우, 상, 좌, 하이므로 사용자는 눈동자(200)를 우, 상, 좌, 하의 순으로 이동시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암호 구성요소에 따라 패스워드가 다르게 설정됨으로써, 보안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기술인 사람의 눈동자 위치의 이동을 인식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 키 입력 등보다 편리한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눈동자 위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는 다양한 장치의 잠금 해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사용자 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잠금 상태 해제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로 입력되는 눈동자의 위치 정보가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 키 입력 등보다 편리한 사용자 친화적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 장치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장치에 활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에 눈동자 위치 정보 외에도 사용자의 안면 인식 인증 과정을 병용함으로써 보안성의 정도를 사용자가 결정하여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여부를 상황에 맞게 적응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100: 사용자 장치 105: 디스플레이
110: 암호 입력 화면 120: 암호 구성요소
130: 카메라부 140: 눈동자 위치 측정부
150: 저장부 160: 사용자 설정부
170: 제어부 200: 눈동자

Claims (11)

  1. 사용자의 눈동자가 응시하는 사용자 장치의 위치에 대한 눈동자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부;
    상기 눈동자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눈동자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순차 검출하는 위치 측정부; 및
    상기 검출된 눈동자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의 순서와 미리 설정된 방향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더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눈동자의 이동 길이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4. 암호 구성요소를 디스플레이의 상이한 위치에 표시하는 표시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는 사용자의 눈동자를 식별하여 상기 눈동자가 응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순차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눈동자가 응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의 순서와 미리 설정된 방향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암호 구성요소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임의의 배치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구성요소는 상징, 사진, 도형, 숫자, 문자,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암호 구성요소를 복수 설정하고 복수 설정된 상기 암호 구성요소는 각각 다른 패스워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워드는 상기 암호 구성요소의 입력 순서 또는 상기 눈동자의 이동 패턴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인식을 더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는 상기 눈동자에 의한 입력에 대한 피드백을 실현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40026854A 2014-03-06 2014-03-07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24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54A KR102224933B1 (ko) 2014-03-07 2014-03-07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CT/KR2014/010559 WO2015133700A1 (ko) 2014-03-06 2014-11-05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854A KR102224933B1 (ko) 2014-03-07 2014-03-07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4905A true KR20150104905A (ko) 2015-09-16
KR102224933B1 KR102224933B1 (ko) 2021-03-08

Family

ID=54244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854A KR102224933B1 (ko) 2014-03-06 2014-03-07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9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103A1 (ko) * 2017-08-04 2019-02-07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인식을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및 방법
KR20190066316A (ko) * 2017-12-05 2019-06-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 움직임 인식을 이용한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117A (ko) 2004-12-03 2006-06-12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홍채 패스워드에 의한 보안관리 방법
US20130342672A1 (en) * 2012-06-25 2013-12-26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gaze determination with device input
US20140020091A1 (en) * 2011-03-21 2014-01-16 Blackberry Limited Login method based on direction of gaz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117A (ko) 2004-12-03 2006-06-12 브이케이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홍채 패스워드에 의한 보안관리 방법
US20140020091A1 (en) * 2011-03-21 2014-01-16 Blackberry Limited Login method based on direction of gaze
US20130342672A1 (en) * 2012-06-25 2013-12-26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gaze determination with device inpu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7103A1 (ko) * 2017-08-04 2019-02-07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선 인식을 이용한 잠금해제 장치 및 방법
KR20190066316A (ko) * 2017-12-05 2019-06-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안구 움직임 인식을 이용한 안전한 비밀번호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933B1 (ko) 202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09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pplication software start-up system, and application software start-up method
US20170372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virtual card
CN104376248B (zh) 一种在密码输入界面进行用户验证的方法及装置
JP2014206932A (ja) 認証装置、認証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2012717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user interface
US20140133715A1 (en) Display screen with integrated user biometric sensing and verification system
US20130067566A1 (en) Device to perform authentication according to surrounding informat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US20070242887A1 (en) Portable Terminal, Image Information Matching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Image Information Match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32399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JP2016105261A (ja) 勤怠監視装置、勤怠管理方法、勤怠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73724A (ja) 携帯端末、ユーザ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76246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80053177A1 (en) Resource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119638B2 (en) Using face detection to update user interface orientation
CN104156071A (zh) 设置屏幕密码、解锁屏幕的方法及装置
CN108431821B (zh) 用于移动装置的用户接口
CN103902029A (zh) 一种移动终端及其解锁方法
CN105894042A (zh) 检测证件图像遮挡的方法和装置
JP4943127B2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US9645731B2 (en) Unlocking method and device using same
US10095911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mediums for verifying a fingerprint
KR102224933B1 (ko)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24934B1 (ko) 눈동자 위치 및 정지 시간에 기반한 잠금 해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장치, 눈동자 위치 및 정지 시간에 기반한 사용자 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9156948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RU262389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шифр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