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841A -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841A
KR20150102841A KR1020140024605A KR20140024605A KR20150102841A KR 20150102841 A KR20150102841 A KR 20150102841A KR 1020140024605 A KR1020140024605 A KR 1020140024605A KR 20140024605 A KR20140024605 A KR 20140024605A KR 20150102841 A KR20150102841 A KR 20150102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gas
gas sensor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227B1 (ko
Inventor
김종헌
윤득중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22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한 소형고효율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스마트 단말기에 연결하여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검출되는 경우 배기장치가 자동으로 배기하도록 할 수 있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설비(300); 상기 유해가스를 센싱하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된 가스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가스정보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인 경우 상기 배기설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단말기(20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상기 배기설비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설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내에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작업공간의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신호를 응급구조센터(500)로 발생시키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auto exhaust with emergency calling using smart device with gas sensor}
본 발명은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에 관한 것으로, 휴대가 가능한 소형고효율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스마트 단말기에 연결하여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검출되는 경우 배기장치가 자동으로 배기하도록 할 수 있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스 누출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많은 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인명피해는 소규모 사업장은 물론 대규모 사업장에서도 발생하는 등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58911호(발명의 명칭 : 에너지 절감 및 장비보호와 사고방지 기능이 있는 변유량 펌프 제어 시스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의 배관과 함께 설치되는 변유량 펌프와 밸브 및 센서들로 이루어져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원의 유체를 부하측으로 공급 및 환수하는 현장 펌프 패키지; 상기 현장 펌프 패키지로부터 온도, 압력, 유량, 장비상태 및 장비경보를 입력받아 판넬PC로 전달하고 통신망을 통해 중앙감시반에 보고하며 중앙감시반의 제어명령이나 판넬PC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현장 펌프 패키지의 펌프와 밸브를 제어하는 현장제어반; 현장 펌프 패키지를 운전하기 위한 제어로직을 포함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판넬PC; 운영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현장의 설비 동작상태를 표출하고 운영자의 조작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현장제어반으로 전달하며, 현장의 운영상태를 운영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중앙감시반; 및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관리 앱이 탑재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감시반과 연결되는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현장에서 긴급상황 발생시 현장제어반에 설치된 판넬PC를 통해 펌프 제어 현황 및 운전상태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어 긴급 복구 및 A/S가 가능해지고, 현장 시설물의 단말기 점검이 용이해짐에 따라 장비를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하면 대부분의 대규모 사업장의 경우 자체적으로 환기 시스템 등을 가동시키고 있지만, 소규모 사업자의 경우 그러한 환기 시스템을 가동시키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대규모 사업장의 경우에도 갑작스러운 사고에 대하여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곳에서 갑작스럽게 발생한 가스사고 등에 대하여는 갑작스러운 환기가 어려운 문제가 여전히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 측정기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무게가 무겁고 크기가 커서 상시 휴대하는데 불편함이 따른다.
측정기에 실장되는 가스센서의 경우 종래 기술의 제품은 소비전력이 150㎽정도로 소비전력이 매우 크며 한 개의 센서칩에 한 개의 가스감지를 할 수 있는 단일센서로 구동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시 이동 단말기에 장착하여 가스를 측정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스 누출에 대한 측정 및 배기를 작업자의 스마트 단말기에서 측정하여 이를 통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고효율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스마트 단말기에 연결하여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스마트 단말기에서 분석하여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검출되는 경우 배기장치가 자동으로 배기하도록 할 수 있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는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설비; 유해가스를 센싱하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에서 센싱된 가스정보를 분석하며, 가스정보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인 경우 배기설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단말기; 및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배기설비 구동신호에 따라 배기설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내에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작업공간의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신호를 응급구조센터로 발생시키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는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설비; 유해가스를 센싱하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에서 센싱된 가스정보를 분석하며, 센싱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공중(air)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가스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가스정보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인 경우 상기 배기설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내에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작업공간의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신호를 응급구조센터로 발생시키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은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과 응급구조를 위한 응급구조센터 연락처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설정하는 단계; 배기설비에 배기설비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와 배기설비 제어장치간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 통신이 원활하다면 스마트 단말기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센싱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결과 안전농도를 초과한다면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배기설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기로부터의 제어신호 전송에 따라 배기설비 제어장치는 배기설비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및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에 입력되지 않으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는 응급구조센터로 응급구조를 자동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은 작업자 및 작업내용과 응급구조를 위한 응급구조센터 연락처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설정하는 단계; 배기설비에 배기설비 제어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와 배기설비 제어장치간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기와 배기설비 제어장치간 통신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면 스마트 단말기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단계; 스마트 단말기에서는 센싱한 가스정보를 배기설비 제어장치로 전송함과 함께 가스정보를 분석하고, 배기설비 제어장치 역시 전송된 가스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된 가스정보와 비교하여 가스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결과 스마트 단말기와 배기설비 제어장치 각각은 안전농도를 초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안전농도를 초과한다면 배기설비 제어장치에서는 배기설비를 구동제어하고, 스마트 단말기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에 입력되지 않으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는 응급구조센터로 응급구조를 자동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필요시 스마트 단말기에 가스센서를 부착하여 이용하고, 갑작스러운 가스 누출사고시 자동적으로 가스를 배출하고, 신속하게 구조요청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어 각종 사고를 예방하는 것은 물론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일반 국민이 대부분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단말기을 이용하므로 추가적인 제품 구입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다.
셋째, 유해가스가 발생할 수 있는 불안한 작업 공간에 투입되는 작업자가 안심하면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가스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가스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스마트 단말기로 구현한 경우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의 배기설비와 배기설비 제어 및 구조요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의 배기설비와 배기설비 제어 및 구조요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의 기본 개념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스마트 단말기(20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은 가스를 센싱하고, 이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이를 분석하고, 표시하도록 한다.
또 다른 방식으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가스를 센싱 및 분석한 후 분석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스마트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은 가스센서 접속부(110), 가스센서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센서부(140 : 141, 142, 143) 및 전원관리부(150)로 구성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휴대용 컴퓨터, 팜PC 및 PDA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로써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가 구성되어 있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가스센서 접속부(110)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 및 분석한 가스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가스센서 접속부(110)는 스마트 단말기(200)에 따라서 젠더의 구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피처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 중 하나라면 해당 표준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PC 계열이라면 USB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스센서 제어부(120)는 가스분석 프로그램(121)을 내장하고 있고,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가스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가스센서 접속부(11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30)는 분석결과를 저장한다.
센서부(140 : 141, 142, 143)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황산화물(SOx ; Sulfur Oxides), 질소산화물(NOx ; Nitrogen Oxides), 산화물(Oxidant), 탄화수소(Hydrocarbons), 불소화합물(Fluoride), 일산화탄소(CO ; Carbon Monoxide), 이산화탄소(CO₂; Carbon dioxide) 및 암모니아(NH3) 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검출한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때, 여러 개의 센서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센서 구동 시 필요한 센서를 선택하도록 하는 별도의 선택 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15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상태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상태는 예를 들면, Normal, Idle, Stop, Sleep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정상동작의 Normal, 유휴상태의 Idle, 멈춤 상태의 Stop 또는 슬립상태의 Sleep 상태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이용을 최적화하여 저전력으로 스마트 단말기(20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Normal, Idle, Stop, Sleep 선택)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및 전원부(250)로 구성된다.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 및 분석한 가스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는 스마트 단말기(200)에 따라서 젠더의 구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피처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 중 하나라면 해당 표준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PC 계열이라면 USB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20)는 스마트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메모리부(23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이 접속되면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가스정보 데이터를 표시부(2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원부(250)는 스마트 단말기(200) 및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스마트 단말기(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은 가스센서 접속부(110), 가스센서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센서부(140 : 141, 142, 143), 전원관리부(150) 및 프로그램 저장부(160)로 구성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전원부(250) 및 프로그램 구동부(2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휴대용 컴퓨터, 팜PC 및 PDA 등의 휴대용 전자장치로써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전원부(250) 및 프로그램 구동부(260)가 구성되어 있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는데 여기서 프로그램 구동부(260)는 가스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이다.
가스센서 접속부(110)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가스센서 접속부(110)는 스마트 단말기(200)에 따라서 젠더의 구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 중 하나라면 해당 표준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PC 계열이라면 USB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스센서 제어부(120)는 센서부(140)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가스센서 접속부(11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130)는 분석결과를 저장한다.
센서부(140 : 141, 142, 143)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황산화물(SOx ; Sulfur Oxides), 질소산화물(NOx ; Nitrogen Oxides), 산화물(Oxidant), 탄화수소(Hydrocarbons), 불소화합물(Fluoride), 일산화탄소(CO ; Carbon Monoxide), 이산화탄소(CO₂; Carbon dioxide) 및 암모니아(NH3) 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인체에 유해한 가스를 검출한다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때, 센서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개 중 하나의 센서를 선택하기 위한 별도의 선택 버튼 또는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전원관리부(15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상태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적절히 조절한다. 이러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상태는 예를 들면, Normal, Idle, Stop, Sleep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Normal, Idle, Stop, Sleep 등의 상태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이용을 최적화하여 저전력으로 스마트 단말기(20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별도의 스위치(Normal, Idle, Stop, Sleep 선택)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60)는 가스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하여 이를 가스센서 접속부(11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리드하여 프로그램을 구동하도록 한다.
스마트 단말기(200)는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 표시부(220), 메모리부(230),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전원부(250) 및 프로그램 구동부(260)로 구성된다.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전송받는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는 스마트 단말기(200)에 따라서 젠더의 구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패드라면 해당 표준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PC 계열이라면 USB와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20)는 스마트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메모리부(23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이 접속되면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가스정보 데이터를 표시부(2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데 이때,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프로그램 구동부(260)를 통해 구동 한 후 이를 표시부(220)에서 표시하도록 한다.
전원부(250)는 스마트 단말기(200) 및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프로그램 구동부(260)는 가스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한다. 이러한 구동부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스마트 단말기(200)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이 접속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리드하여 저장한 후 실행하거나 바로 실행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GPS가 내장된 장비(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라면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이 가능하고,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해당 결과를 미리 설정된 서버로 바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가스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가스측정 방법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200)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을 접속한다(S110).
그러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한다(S130).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는 동작상태(Normal, Idle, Stop, Sleep)에 따라 전원온되고, 노말상태이면 가스를 센싱한다(S150).
그 다음 센싱된 가스를 분석 및 가공한다(S170).
그리고 분석 및 가공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90).
그러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210).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가스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가스측정 방법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200)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을 접속한다(S310).
그러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한다(S330).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는 동작상태(Normal, Idle, Stop, Sleep)에 따라 전원온되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가스분석 프로그램을 스마트 단말기(100)에서 리드한다(S350).
스마트 단말기(100)에서는 리드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370).
그리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가스를 센싱하고(S390), 센싱된 가스정보를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410).
그러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실행된 프로그램에 따라 센싱된 가스를 분석 및 가공한다(S430).
그다음 분석 및 가공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200)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45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스마트 단말기로 구현한 경우의 이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을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패드로 구현한 경우의 이용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비닐하우스나 아파트, 주택, 학교 및 공공기관과 같은 건물, 버스 및 자가용, 전철, 기차 등의 교통수단, 버섯 등 재배농가, 돈사, 축사, 양계사, 가스 누출 가능성이 있는 작업장 등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가스를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를 통해 센싱한다. 그리고 스마트폰(또는 스마트 패드)의 표시부를 통해 센싱된 가스측정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은 또한 열쇠고리나 핸드폰 고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개념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하나 이상의 중계기와 배기설비 및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마트 단말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중계기는 작업공간이 외부와의 통신이 불안정한 공간인 경우 스마트폰과 지상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설비는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배기해 주기 위한 것으로, 배기펌프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는 배기설비에 연결되고, 스마트폰으로부터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전송된 스마트폰으로부터의 유해가스정보(데이터)에 따라 배기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설정된 시간내에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자체에서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응급구조센터로 자동적으로 구조요청을 하도록 한다. 이때, 배기설비는 기존의 일반적인 펌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배기장치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를 새롭게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휴대용 컴퓨터, 팜PC 및 PDA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과 연결된 스마트폰에서 유해가스 검출 및 측정하여 이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해 배기설비 제어장치에 전송하고, 배기설비 제어장치에서는 해당 유해가스정보(데이터)에 따라 이상상황이 발생하면 배기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유해가스를 배기하도록 하고, 설정된 시간내에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배기설비 제어장치에 직접적으로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응급센터로 작업내용과 작업자 및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배기설비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배기설비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부(310)와 구동부(320)로 구성되는 배기설비(300) 및 통신부(410) 및 제어부(420)로 구성되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기설비(300)의 전원부(310)는 구동부(320)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부(320)는 도 7에 나타낸 배기호스에 연결되어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응급구조센터(500)와 통신하는 통신부(410)와,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배기설비(300)의 구동부(320)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420)로 구성된다.
이때,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작업장의 유해가스 수준(위험수준) 및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30)와, 스마트 단말기(200)로으로부터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가 설정된 위험수준인 경우와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440), 작업내용, 작업자, 작업 위치 및 구조요청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50) 및 입력부(450)에서 입력된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420)는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통신부(410)로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를 메모리부(460)에 저장된 유해가스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수준인 경우 배기설비(300)를 구동시키고, 알람부(44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이 원활한가를 체크하고,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입력부(450)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410)를 통해 응급구조센터(500)로 자동으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표시부(430)에 표시하는 경우 유해가스에 노출되는가를 외부의 관리자가 적절히 판단할 수 있고, 알람부(440)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외부의 관리자가 보다 정확히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배기설비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배기설비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부(310)와 구동부(320)로 구성되는 배기설비(300) 및 통신부(410), 제어부(420), 표시부(430), 알람부(440), 입력부(450), 메모리부(460) 및 배기설비 제어부(470)로 구성되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기설비(300)의 전원부(310)는 구동부(320)에 전원을 공급하고, 구동부(320)는 도 7에 나타낸 배기호스에 연결되어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하거나, 응급구조센터(500)와 통신하는 통신부(410)와,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작업장의 유해가스 수준(위험수준) 및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30)와,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가 설정된 위험수준인 경우와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440)와, 작업내용, 작업자, 작업 위치 및 구조요청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50), 입력부(450)에서 입력된 내용과 유해가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60), 배기설비(300)의 구동부(320)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배기설비 제어부(470)와,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통신부(410)로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를 메모리부(460)에 저장된 유해가스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수준인 경우 배기설비 제어부(470)를 제어하여 배기설비(300)를 구동시키고, 알람부(44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이 원활한가를 체크하고,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입력부(450)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통신부(410)를 통해 응급구조센터(500)로 자동으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표시부(420)에 표시하는 경우 유해가스에 노출되는가를 외부의 관리자가 적절히 판단할 수 있고, 알람부(440)를 통해 경고음이 발생되므로 외부의 관리자가 있는 경우 정확히 위험을 판단할 수 있고 필요한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 제1, 제2실시예에서의 배기설비(3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은 도 10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과 응급구조시 연락할 연락처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의 입력부(450)를 이용해 메모리부(460)에 설정(입력)한다(S500).
배기설비(300)에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연결한다(S510).
그 다음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을 확인한다(S520).
확인결과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는가를 판단한다(S530).
판단결과(S530), 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지 않는다면 통신이상 경고를 출력하고(S540), 신호가 원활하게 중계될 수 있도록 중계기를 설치한다(S550).
그리고 신호가 원활하다면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한다(S560).
그러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센싱정보를 분석한다(S570).
그리고 분석결과 안전농도를 초과했는지를 판단한다(S580).
판단결과(S580) 안전농도를 초과한다면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배기설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경고신호를 출력한다(S590). 그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 중 안전에 위험이 발생할생하고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작업을 중단하고, 유해가스에 대한 후속조처(대피 등)를 취한다.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제어신호 전송에 따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배기설비(300) 구동을 제어한다(S600). 그에 따라 작업장의 유해가스는 배기된다.
한편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스마트 단말기(200)이나 자신의 입력부를 통해 안전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610).
판단결과(S610) 안전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작업장의 유해가스 농도가 안전농도로 복귀했는가를 판단하여(S620), 복귀하였다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배기설비 정지제어를 한다(S630). 이때 작업시 스마트 단말기를 현장에 놓은채 대피할 수 있도록 작업자 개인의 스마트 단말기가 아닌 별도의 작업용 스마트 단말기를 지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판단결과(S610) 안전농도에 복귀하지 않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자신의 메모리부(450)를 참조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한 응급구조요청을 설정된 번호로 자동요청한다(S650).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배기와 구조요청 장치에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은 도 12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과 응급구조시 연락할 연락처를 입력부(450)를 통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의 메모리부(460)에 설정(입력)한다(S500).
그 다음 배기설비(300)에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연결한다(S710).
그 다음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을 확인한다(S720).
확인결과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는가를 판단한다(S730).
판단결과(S730), 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지 않는다면 통신이상 경고를 출력하고(S740), 신호가 원활하게 중계될 수 있도록 중계기를 설치한다(S750).
그러나 판단결과(S730) 신호가 원활하다면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한다(S760).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센싱한 가스정보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로 전송함과 함께 가스정보를 분석한다(S770).
또한,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 역시 전송된 가스정보를 메모리부(450)에 저장된 가스정보와 비교하여 가스정보를 분석한다(S780).
그리고 분석결과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 각각은 안전농도를 초과했는지를 판단한다(S790).
판단결과(S790) 안전농도를 초과한다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에서는 배기설비(300)를 구동제어하고, 스마트 단말기(200)는 경고신호를 출력한다(S800). 그에 따라 작업장의 유해가스는 배기된다. 또한 작업자는 작업 중 안전에 위험이 발생할생하고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작업을 중단하고, 유해가스에 대한 후속조처(대피 등)를 취한다.
한편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스마트 단말기(200)이나 자신의 입력부를 통해 안전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810).
판단결과(S810) 안전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작업장의 유해가스 농도가 안전농도로 복귀했는가를 판단하여(S820), 복귀하였다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배기설비 정지제어를 한다(S830). 이때 작업시 스마트 단말기를 현장에 놓은채 대피할 수 있도록 작업자 개인의 스마트 단말기가 아닌 별도의 작업용 스마트 단말기를 지급할 수도 있다.
그러나 판단결과(S810) 안전농도에 복귀하지 않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다면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자신의 메모리부(460)를 참조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한 응급구조요청을 설정된 번호로 자동요청한다(S850).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110 : 가스센서 접속부
120 : 가스센서 제어부 130 : 메모리부
140, 141, 142, 143 : 센서부 150 : 전원관리부
160 : 프로그램 저장부
200 : 스마트 단말기 210 :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
220 : 표시부 230 : 메모리부
240 :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 250 : 전원부
260 : 프로그램 구동부
300 : 배기설비 310 : 전원부
320 : 구동부
400 : 배기설비 제어장치 410 : 통신부
420 : 제어부 430 : 표시부
440 : 알람부 450 : 입력부
460 : 메모리부 470 : 배기설비 제어부

Claims (18)

  1.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설비(300);
    상기 유해가스를 센싱하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된 가스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가스정보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인 경우 상기 배기설비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단말기(20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상기 배기설비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설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내에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작업공간의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신호를 응급구조센터(500)로 발생시키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2.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배기설비(300);
    상기 유해가스를 센싱하는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된 가스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센싱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공중(air)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단말기(20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상기 가스정보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상기 가스정보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인 경우 상기 배기설비의 구동을 제어하고, 설정된 시간내에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작업공간의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신호를 응급구조센터(500)로 발생시키는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로 중계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설비(3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설비(300)는 배기호스에 연결되어 작업공간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320)와 상기 구동부(3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 또는 상기 응급구조 센터(500)와 통신하는 통신부(41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기설비(300)의 상기 구동부(320)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4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작업장의 유해가스 수준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3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가 설정된 위험수준인 경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440)와, 작업내용, 작업자, 작업 위치 및 구조요청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50) 및 입력부(450)에서 입력된 내용을 저장하는 메모리부(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상기 통신부(410)로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460)에 저장된 유해가스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수준인 경우 상기 배기설비(300)를 구동시키고, 상기 알람부(44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이 원활한가를 체크하고,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상기 입력부(450)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410)를 통해 상기 응급구조센터(500)로 자동으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 또는 상기 응급구조센터(500)와 통신하는 통신부(41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작업장의 유해가스 수준(위험수준)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43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가 설정된 위험수준인 경우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연결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440)와, 작업내용, 작업자, 작업 위치 및 구조요청에 필요한 정보(전화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50), 상기 입력부(450)에서 입력된 내용과 유해가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460), 상기 배기설비(300)의 구동부(320) 구동 온/오프를 제어하는 배기설비 제어부(47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상기 통신부(410)로 전송된 유해가스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460)에 저장된 유해가스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 수준인 경우상기 배기설비 제어부(470)를 제어하여 상기 배기설비(300)를 구동시키고, 상기 알람부(44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통신이 원활한가를 체크하고, 작업자의 스마트폰이나 상기 입력부(450)로부터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410)를 통해 상기 응급구조센터(500)로 자동으로 응급구조를 요청하는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은,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부(14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센서부(140)에서 센싱 및 분석한 가스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가스센서 접속부(110);
    가스분석 프로그램(121)을 내장하고, 상기 가스분석 프로그램에 따라 가스를 분석하고 분석한 데이터를 상기 가스센서 접속부(110)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가스센서 제어부(120); 및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상태에 따라 정상동작의 Normal, 유휴상태의 Idle, 멈춤 상태의 Stop 또는 슬립상태의 Sleep 중 하나 이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Normal, Idle, Stop, Sleep의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이용을 최적화하여 저전력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스위치 또는 버튼이 더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은,
    가스를 센싱하는 센서부(14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센서부(140)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가스센서 접속부(110);
    상기 센서부(140)에서 센싱된 가스 정보를 상기 가스센서 접속부(110)를 통해 스마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가스센서 제어부(120);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상태에 따라 정상동작의 Normal, 유휴상태의 Idle, 멈춤 상태의 Stop 또는 슬립상태의 Sleep 중 하나 이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Normal, Idle, Stop, Sleep의 상태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이용을 최적화하여 저전력으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스위치 또는 버튼이 더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관리하는 전원관리부(150); 및
    상기 센싱된 가스를 분석하기 위한 가스분석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저장된 가스분석 프로그램이 상기 가스센서 접속부(110)를 통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리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 및 분석한 가스정보를 전송받는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이 접속되면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가스정보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2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는,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센싱한 가스정보를 전송받는 스마트 단말기 접속부(21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2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가스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3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이 접속되면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고, 가스정보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2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구동 한 후 상기 표시부(220)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240)와,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 및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50) 및
    상기 가스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구동부(260)로 구성되되,
    상기 프로그램 구동부(260)는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프로그램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이 접속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리드하여 저장한 후 실행하거나 바로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휴대용 컴퓨터, 팜PC 및 PDA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14.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과 응급구조를 위한 응급구조센터(500) 연락처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에서 설정하는 단계(S500);
    배기설비(300)에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연결하는 단계(S510);
    설정된 주기로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S520);
    상기 통신이 원활하다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단계(S56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센싱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570);
    상기 분석결과 안전농도를 초과한다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배기설비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전송하고,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59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의 제어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상기 배기설비(300)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S600); 및
    설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상기 응급구조센터(500)로 응급구조를 자동요청하는 단계(S6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
  15. 작업위치, 작업자 및 작업내용과 응급구조를 위한 응급구조센터(500) 연락처를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에서 설정하는 단계(S700);
    배기설비(300)에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를 연결하는 단계(S710);
    설정된 주기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을 확인하는 단계(S72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통신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면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단계(S76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는 센싱한 가스정보를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로 전송함과 함께 가스정보를 분석하고(S770),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 역시 전송된 가스정보를 메모리부(450)에 저장된 가스정보와 비교하여 가스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780);
    상기 분석결과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 각각은 안전농도를 초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790);
    상기 안전농도를 초과한다면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에서는 상기 배기설비(300)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스마트 단말기는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800); 및
    정된 시간내에 설정된 안전신호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에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는 상기 응급구조센터(500)로 응급구조를 자동요청하는 단계(S8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배기설비 제어와 구조요청 장치(400)간 신호가 원활하게 송수신되지 않는다면 신호가 원활하게 중계될 수 있도록 중계기를 설치하는 단계(S550)(S7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접속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의 가스센서에서는 가스를 센싱하는 단계(S560)(S760)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을 접속하는 단계(S110)(S310);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에서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S130)(S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100)에서는 정상동작의 Normal, 유휴상태의 Idle, 멈춤 상태의 Stop 또는 슬립상태의 Sleep 중 하나 이상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상기 Normal, Idle, Stop, Sleep의 상태에 따라 전원온되고, Normal이면 가스를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방법.
KR1020140024605A 2014-02-28 2014-02-28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KR10162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05A KR101629227B1 (ko) 2014-02-28 2014-02-28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4605A KR101629227B1 (ko) 2014-02-28 2014-02-28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841A true KR20150102841A (ko) 2015-09-08
KR101629227B1 KR101629227B1 (ko) 2016-06-10

Family

ID=5424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4605A KR101629227B1 (ko) 2014-02-28 2014-02-28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2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568B1 (ko) 2015-09-30 2017-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센서모듈
KR102080533B1 (ko) * 2018-12-21 2020-02-24 (주)제이지파워넷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KR102311973B1 (ko) * 2021-01-12 2021-10-13 (주) 에코베이스 원격지 드라이빙 조절을 통한 선택적 가스 농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1266B1 (ko) * 2020-11-20 2022-05-24 (주)레이다앤스페이스 소형 군사 기지용 화생방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406729B1 (ko) * 2021-12-29 2022-06-10 유원컨설턴트 주식회사 관 내부 갱생작업을 위한 환기 및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595A (ja) * 2000-08-15 2002-02-28 Nec Saitama Ltd 移動体通信端末機及び移動体通信救援システム
KR20070043374A (ko) * 2005-10-21 2007-04-25 신철식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17613B1 (ko) *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362430B1 (ko) *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4595A (ja) * 2000-08-15 2002-02-28 Nec Saitama Ltd 移動体通信端末機及び移動体通信救援システム
KR20070043374A (ko) * 2005-10-21 2007-04-25 신철식 네트워크와 연동된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117613B1 (ko) * 2010-07-19 2012-03-08 주식회사 파인시스 컬버트내 작업자의 안전을 관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362430B1 (ko) * 2013-09-09 2014-02-21 (주)소하테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저전력 가스센서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가스 측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568B1 (ko) 2015-09-30 2017-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 센서모듈
KR102080533B1 (ko) * 2018-12-21 2020-02-24 (주)제이지파워넷 지하 작업공간에 대한 안전진단 시스템
KR102401266B1 (ko) * 2020-11-20 2022-05-24 (주)레이다앤스페이스 소형 군사 기지용 화생방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11973B1 (ko) * 2021-01-12 2021-10-13 (주) 에코베이스 원격지 드라이빙 조절을 통한 선택적 가스 농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6729B1 (ko) * 2021-12-29 2022-06-10 유원컨설턴트 주식회사 관 내부 갱생작업을 위한 환기 및 유해물질 제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227B1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227B1 (ko)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와 구조요청 장치 및 방법
US20150171928A1 (en) Usb memory device connected with smart phone
US11902851B2 (en) Smart cord for corded power tools
KR200416195Y1 (ko) 가스 경보 장치
US9118753B2 (en) Autonomous systems for remote control of handheld devices
CN104654023A (zh) 一种便于用户自助控制的燃气管道安全检测联控设备
KR102133180B1 (ko)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50102566A (ko) 가스센서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 배기장치 및 방법
KR102019723B1 (ko) 가스감지장치와 감지방법 및 운용방법
KR100530584B1 (ko) 가스누출 원격 경보장치
KR101149018B1 (ko)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684146B2 (en) Parasitic gas detection system
KR101947100B1 (ko) 다른 관리 시스템과 연계되는 실시간 변전설비 안전관리 시스템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JP5164214B2 (ja) 無線検針システムおよび無線検針用ハンディターミナル
CN208922132U (zh) 一种超声波液化气罐液位监测方案及系统
CN206995638U (zh) 一种移动式危险源保护系统
KR102082858B1 (ko) 밀폐공간 저전력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70009146A (ko) 실시간 기준값을 가지는 악취 측정 시스템
CN214409665U (zh) 一种集成矿山安全监控装置
CN219370450U (zh) 一种有毒气体检测报警系统
CN214150973U (zh) 一种燃料电池监控系统
CN110796821A (zh) 智能烟雾探测报警器及智能烟雾探测报警控制系统
KR20230085890A (ko) 스마트 멀티 가스 측정기를 이용한 레저활동 안전 관리 시스템
CN208937557U (zh) 便携式氨气监测设备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