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2282A -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2282A
KR20150102282A KR1020140023961A KR20140023961A KR20150102282A KR 20150102282 A KR20150102282 A KR 20150102282A KR 1020140023961 A KR1020140023961 A KR 1020140023961A KR 20140023961 A KR20140023961 A KR 20140023961A KR 20150102282 A KR20150102282 A KR 20150102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quiz
lock
user
cor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필성
Original Assignee
강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필성 filed Critical 강필성
Priority to KR102014002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2282A/ko
Publication of KR2015010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2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03Challenge-response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퀴즈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Method for restricting use of Smart device by Quiz}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퀴즈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기술이 발전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게임 등이 다양해지면서, 스마트폰에 중독되는 사용자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절제력이 부족한 학생들이 스마트폰에 중독되어 공부를 소홀히 하거나 교우관계가 나빠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렇다고 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을 전적으로 제한하지도 못하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들은 과도한 부모의 간섭이 필요하고, 학생들의 반발과 부모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사용자 작업 추론을 통한 지능형 인터넷 중독 방지 방법(한국등록특허 10-1284892)' 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퀴즈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잠금설정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거나, 상기 단말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잠금설정조건이 상기 단말에 저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일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들 중,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이 임계치 이상이거나,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또는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 또는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시간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을 중지하거나, 미리 설정된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퀴즈에 대한 해설을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퀴즈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하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퀴즈를 풀며 성취감을 가질 수 있고, 학습지 등과 연계하여 학습지 사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개요 혹은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은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은 미리 설정된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함으로써, 단말 사용 중독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퀴즈를 풀어야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말 사용 중독 방지 및 학습능력 향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110 단계는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면 단말에 잠금을 설정한다. 상기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상기 잠금설정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거나, 상기 단말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수업시간 또는 등교시간과 같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잠금을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의 반발을 일으킬 수 있는바, 단말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이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학교 또는 학원과 같이, 단말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 상기 단말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GPS와 같은 위치정보시스템을 이용하거나, 상기 단말이 접속된 통신기지국 또는 와이파이 등을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고, 상기 위치가 잠금설정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한다. 나아가, 상기 단말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게임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등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여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시간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사용 허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잠금설정조건들을 조합할 수도 있다. 시간 및 위치가 모두 만족하거나, 시간 또는 위치와 어플리케이션 조건을 만족하는 등, 상기 잠금설정조건을 조합하여 새로운 잠금설정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가 제한하고자 하는 잠금설정조건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잠금설정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단말에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부모 등이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여 사용자의 단말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을 중지하거나, 미리 설정된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중지할 수 있다.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순히 잠금을 설정할 수도 있으나,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을 중지함으로써 사용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필수 어플리케이션를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중지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에 잠금이 설정되면,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다.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선 퀴즈를 풀어야 하는바, 상기 퀴즈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단말의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퀴즈는 사용자의 학업 능력 향상을 위한 문제로써, 학습지의 문제 등일 수 있다. 상기 퀴즈의 양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퀴즈는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학습지 회사와 같이, 외부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퀴즈는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들 중,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단말의 화면의 크기가 퀴즈를 표시하는데 작을 수 있는바,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문제들은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상기 문제들 중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정보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풀어야 할 문제들을 지정해줄 수 있다.
120 단계는 110 단계에서 화면에 표시된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퀴즈의 정답을 맞추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의 답이 정답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말의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퀴즈에 대한 답을 입력받는다. 미리 사용자에게 문제가 제공된 경우, 문제는 별도로 풀고, 정답만을 입력받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컴퓨터 단말과 연동하여 다른 컴퓨터 단말에서 문제를 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외부 단말과 서로 잠금 설정을 공유하여, 하나의 단말에 잠금이 설정되면 공유된 다른 단말에도 잠금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컴퓨터 중독도 함께 방지할 수 있고, 인터넷 또는 게임 중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30 단계는 120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상기 퀴즈의 정답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퀴즈의 답은 단말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답이 정답인지, 해당 점수가 얼마인지를 판단하여, 퀴즈에 대한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정답률을 산출할 수 있다.
140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상기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답이 정답인 경우, 일정 시간 동안만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퀴즈 난이도를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퀴즈 난이도에 따라 잠금이 해제되는 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퀴즈의 난이도가 어려울수록 잠금 해제 시간이 길도록 하여, 사용자의 학습 능력 향상과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퀴즈에 대한 하루 할당량을 설정하여, 상기 하루 할당량의 퀴즈를 모두 풀면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이 임계치 이상이거나,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퀴즈의 문제가 복수인 경우, 퀴즈에 대한 정답률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퀴즈를 정확히 풀지 않고 오답을 적어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퀴즈에 대한 정답률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퀴즈를 풀 수 있는 시간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단말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퀴즈를 푸는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 또는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 또는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잠금을 해제하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정답률을 높이는 노력을 하거나, 빠르게 풀 수 있는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 또는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시간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퀴즈를 푸는 정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
사용자의 학습 능력 향상 및 성취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잠금설정조건이 상기 단말에 저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일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게임에 필요한 게임머니를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보상은 퀴즈의 난이도, 퀴즈에 대한 정답률, 퀴즈를 푸는 시간 등에 따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더 많은 보상을 받기 위하여, 난이도 높은 퀴즈를 선택하거나, 퀴즈에 대한 정답률을 높이도록 노력하거나, 퀴즈를 빠르게 푸는 노력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능력 향상 및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또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수행 중에, 학습지 이벤트와 같이 특정 이벤트를 선택하면 퀴즈를 풀도록 하고, 퀴즈를 다 푸는 경우, 아이템 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게임 어플리케이션 제공 업체와 퀴즈를 제공하는 업체간의 제휴를 통해, 게임과 학습을 연계할 수도 있다.
퀴즈를 풀지 않거나, 퀴즈의 정답률이 낮은 경우와 같이 잠금을 해제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잠금설정조건을 벗어나야 단말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이 지나거나, 특정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단말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경우, 단말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210 단계는 상기 퀴즈에 대한 해설을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단순히 퀴즈를 푸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해당 퀴즈에 대한 해설을 단말의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해설을 통해 오답인 문제에 대한 복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학습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은 스터디 그룹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스터디 그룹원간 연동되어, 스터디 그룹에서 문제를 서로 올릴 수 있다. 그룹이 정한 시간이 되면 화면이 문제로 잠금화면이 설정되고, 해당 문제의 정답을 맞추거나, 정답률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잠금화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문제를 풀거나 정답을 맞춘 경우, 해당 문제를 낸 사람의 해설을 볼 수 있는 해설 페이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방과 후 선생님이 학생들의 과제를 확인하는데 활용되거나, 원격과외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에게 퀴즈를 내고, 퀴즈를 푸는 학생들만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퀴즈의 정답 및 해설을 제공할 수 있고,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 부가적으로 필요한 경우, 해당 단말의 화상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전화로 바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방법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잠금설정조건인 시간, 위치, 어플리케이션 실행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의 화면이 퀴즈를 표시하고, 퀴즈를 풀어야만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단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고자 하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나 특정 장소에 위치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하여, 퀴즈를 풀도록 하여, 사용자의 학업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사용 제한 장치는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처리부,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퀴즈 또는 퀴즈에 대한 정답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사용 제한 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 내지 도 2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단말에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퀴즈에 대한 답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설정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거나, 상기 단말이 소정의 장소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설정조건이 상기 단말에 저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일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퀴즈를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미리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들 중, 상기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답이 정답인 경우,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이 임계치 이상이거나,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이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퀴즈에 대한 정답률 또는 상기 퀴즈를 푸는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 상기 단말의 잠금을 해제하는 시간이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설정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을 중지하거나, 미리 설정된 필수 어플리케이션을 제외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퀴즈에 대한 해설을 상기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사용 제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40023961A 2014-02-28 2014-02-28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KR20150102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61A KR20150102282A (ko) 2014-02-28 2014-02-28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961A KR20150102282A (ko) 2014-02-28 2014-02-28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2282A true KR20150102282A (ko) 2015-09-07

Family

ID=5424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961A KR20150102282A (ko) 2014-02-28 2014-02-28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22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823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에듀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EP3471989A4 (en) * 2016-06-17 2020-04-01 Predictive Safety Srp, Inc. LOC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210073266A (ko) * 2019-12-10 2021-06-18 강주혁 퀴즈 형식의 휴대폰 잠금화면을 통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619562B1 (ko) * 2023-03-27 2023-12-29 주식회사 트리거스 잠금화면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리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1989A4 (en) * 2016-06-17 2020-04-01 Predictive Safety Srp, Inc. LOCK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867272B2 (en) 2016-06-17 2020-12-15 Predictive Safety Srp, Inc. Geo-fencing system and method
US10867271B2 (en) 2016-06-17 2020-12-15 Predictive Safety Srp, Inc. Compute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0956851B2 (en) 2016-06-17 2021-03-23 Predictive Safety Srp, Inc. Adaptive alertness testing system and method
US10970664B2 (en) 2016-06-17 2021-04-06 Predictive Safety Srp, Inc. Impairmen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074538B2 (en) 2016-06-17 2021-07-27 Predictive Safety Srp, Inc. Adaptive alertness testing system and method
US11282024B2 (en) 2016-06-17 2022-03-22 Predictive Safety Srp, Inc. Timeclock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90132823A (ko) * 2018-05-21 2019-11-29 주식회사 에듀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잠금화면에서 구동되는 리워드형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073266A (ko) * 2019-12-10 2021-06-18 강주혁 퀴즈 형식의 휴대폰 잠금화면을 통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10095819A (ko) * 2019-12-10 2021-08-03 강주혁 퀴즈 형식의 휴대폰 잠금화면을 통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619562B1 (ko) * 2023-03-27 2023-12-29 주식회사 트리거스 잠금화면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리워드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grum Mobile learning: Languages, literacies and cultures
Petrucci et al. Leading growth through the digital leader
KR20150102282A (ko) 퀴즈를 이용한 스마트폰 사용 제한 방법
US20190026482A1 (en) Device access control based on task completion
Mahesh et al. A smart phone integrated smart classroom
Mupinga School-wide and classroom policies on the use of mobile technologies: An exploratory study
Hunter The virtual university: Digital tools for e‐learning and remote learning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tool for teaching at universities
McGencey The time is now: Creating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to succeed
Sankey et al. Perspective chapter: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of 2028 and how we start planning for this now
US20160260347A1 (en) Method for providing psychological inspection service
Banks Reflections on a Decade of Mobiles in Development
Cochrane Mobile cloud services as catalysts for pedagogical change
Johnson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Completion Agenda.
Gay et al. Measuring technological e-learning readiness and effectivenes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ande Taking charge of change with confidence
Ercolino et al. Could smartphone in science teaching foster motivation and positive attitudes in students
CN111861645A (zh) 付费电子书籍解锁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Servaes Introduction to the 3 A’s
KR101814907B1 (ko)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oskinen How a university domesticated the iPhone
Shearer et al. Hacking the Algorithm: TikTok and Outreach for Science Libraries
KR101650627B1 (ko) 모바일 단말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락킹 앱 프로그램 및 모바일 단말
Liyanagunawardena et al. MOOCs and retention: does it really matter?
Liao Project-based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with Social Network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Marintcheva Looking for the forest and the trees: exercises to provoke abstract thin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