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791A -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791A
KR20150101791A KR1020140023499A KR20140023499A KR20150101791A KR 20150101791 A KR20150101791 A KR 20150101791A KR 1020140023499 A KR1020140023499 A KR 1020140023499A KR 20140023499 A KR20140023499 A KR 20140023499A KR 20150101791 A KR20150101791 A KR 20150101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or
hair growth
light emitting
hair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3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791A/ko
Publication of KR20150101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61N5/0617H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발의 성장촉진 및 탈모를 방지하도록 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에 있어서, 발광소자가 탑재된 어플리케이터를 콘케이브 형상으로 포밍하여 어플리케이터를 착용구와 결합하여 두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이다.

Description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APPARATUS FOR TREATING AND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발의 발모 촉진, 성장 촉진, 탈모 방지 등을 위해 두피의 세포조직을 활성화 하도록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이용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피부 밖으로 나온 모간(Hair Shaft)과 피부 속에 묻혀 있는 모근(Hair Root)으로 구성된다. 모발은 모낭 주머니에서 만들어진다. 모발을 생성하는 모낭은 각각 독립적으로 주기를 가진다. 모낭에서 모발을 생성하고 성장하는 주기는 약 3년의 성장기, 약 2~3주의 퇴행기, 약 3개월의 휴지기를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모발은 탈모 후 다시 발모하지만, 건강하지 못한 모낭에 있는 모발은 휴지기에서 다시 발모하지 않는다. 건강한 모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모낭 주위의 생체 조직을 활성화 시키면 모낭에서 다시 발모가 일어난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 LLLT) 기술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생체 조직에 조사하면 그 부위의 신진대사가 촉진되고 조직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파장이 600nm~1300nm 범위이고, 에너지 강도가 10~1000mW 의 레이저 광을 사용한다. 이 영역의 광은 생체에 조사하면 생체 조직 내에 침투하여 세포의 이온들을 활성화 함으로서 모세혈관의 생성 증가, 혈액의 산소담지량의 증가, 콜라겐과 ATP(Adenosine Triphosphate )의 생성 촉진, 임파류의 활동증가, 육아발생(tissue granulation)의 촉진,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의 활성화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이용하여 두피에 광을 조사할 경우, 모낭 및 모낭 주위의 생체 조직이 활성화되어 발모 촉진, 성장 촉진, 탈모 방지를 할 수 있다.
한편, 생체조직에 초저주파수의 미약한 진동을 주게 되면, 그 기계적 자극에 의해 혈류의 증가, 조직 온도의 상승, 교감신경계의 활성화 등의 효과가 난다. 결과적으로 그 부분의 신진대사가 촉진되고 기능이 활성화 된다. 따라서 이 방법을 두피에 적용하면, 역시 모발의 육모에 기여하게 되며, 이때의 진동수는 대체로 수~수십Hz 범위이며, 강도는 0.3~2W/cm2 범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저출력 레이저 요법 및 저주파 진동요법을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발모 촉진, 성장 촉진, 탈모 방지에 더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저출력 레이저 요법기술로 특정 파장의 광선을 생체 조직에 효과적으로 조사 하기위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 평면부를 콘케이브(Concave 오목한)형상으로 포밍(Forming)하기 위하여 특정부는 벤딩(Bending)되는 구조를 갖추고 벤딩(Bending)으로 곡면부가 되는 부분을 제외한 평면부에는 발광소자를 취부 할 수 있는 랜드부(Land,납땜부)가 구비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은 발광소자가 취부되는 평면부와 회로부품이 탑재되지 않는 부분이 구분되게 인쇄회로 기판의 패턴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회로부품이 탑재되지 않는 부분은 곡면부 즉 콘케이브형의 형상으로 가공하여 두부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체질, 건강상태, 두피조직과 모발의 상태, 그리고 환경조건 등에 맞게 시술 시간을 최적으로 맞추어 최적의 발모 촉진, 성장 촉진,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일상생활을 하면서 치료를 할 수 있다. 또한 평판형으로 발광소자를 취부후 콘케이브형으로 포밍한 어플리케이터의 적용으로 작업이 단순해 지고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결합부를 가질 필요가 없어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방식의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어플리케이터 도면
도 3은 종래의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베이스판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어플리케이터의 평면상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어플리케이터의 콘케이브 상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어플리케이터의 전면에 부착이 가능한 집속/확산 렌즈 어셈블리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방식의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를 설명한 것으로 착용구(101), 어플리케이터(102) 및 두부에 장착했을 때 두부 고정 역할 및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해 탄성재질로 하는 탄성패드장착부(103)을 포함한다. 상기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의 어플리케이터(102)는 다수개의 어플리케이터를 고정하며 연결시켜주기위한 컨넥팅용 연결보드(201), 관통관(202)을 통해 발광소자가 장착되는 베이스판(203), 베이스판(203)을 고정하고 발광소자 및 발광소자 구동 소자가 장착된 PCB판이 장착된 베이스판고정자(20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베이스판(203)은 관통관(301, 308)을 통해 발광소자가 장착되고 베이스판(203)을 베이스판고정자(204)에 삽입해서 고정하는 베이스판삽입고정자(305)로 구성되어 있다. 곡면을 가지고 있는 베이스판(203)을 베이스판연결홈(610, 607)을 통해 베이스판(203)을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베이스판(203) 및 베이스판고정자(204)를 결합하기 위해서 탄성이 있는 재질로 한다. 베이스판(203) 및 베이스판고정자(204)을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서 베이스판연결홈(610, 607) 주위를 눌러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판(203)의 관통관(301)을 통해 장착된 발광조사는 두피에 사용시 두피 표면에 접촉하여 광을 조사한다. 발광소자는 가시광선 영역에서 근 적외선 영역까지의 파장을 갖는 것을 사용하며, 파장 600nm ~ 880nm 범위의 레이저 다이오드(LD), 파장 600nm ~ 880nm 범위의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을 혼합한 형태일 수 있다. 도 3은 베이스판앞면(303), 베이스판뒷면(304), 베이스판측면(307)을 보여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방식에서의 모발 성장촉진 치료장치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발 성장촉진 치료장치의 어플리케이터(400)를 평면상태로 나타낸 것으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의 평평한 부분에 발광소자(402)를 탑재하고 회로부품이 탑재되지 않는 부분을 벤딩(Bending)(403) 하여 두부의 곡면형상과 유사하게 도 5에서와 같이 콘케이브(Concave) 형태로 포밍(Forming)하여 어플리케이터(500)를 구성한다. 벤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벤딩되는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홀(Hole, 구멍)(404)이 가공되어 있다.
발광소자(402)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적용한 사례를 들면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삽입 · 납땜 하는 경우 와 표면실장기술을 적용한 SMD(surface-mount devices) 부품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발광소자의 전면에는 사용목적 즉 저출력 레이저 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 LLLT)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저출력광을 확산 시키거나 집속시킬 수 있는 렌즈(Lens)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을 적용하여 확산/집속 렌즈를 사출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a)는 광 투과율이 높아 렌즈 용도로 사용가능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출품(601)을 도시한 것으로 확산/집속 렌즈(602)를 상술한 어플리케이터(500)의 발광소자(402)에서 발생한 광이 조사되는 위치와 일치시키면서 일정한 위치에 홀가공/두께를 얇게 사출 하여 벤딩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어플리케이터(500)와 형합 될수 있는 콘케이브 형상(b)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어플리케이터(500)를 두부에 착용시 인쇄회로기판(400)에 탑재된 발광소자(402)들이 두부 전체에 골고루 저출력광을 조사하게 된다. 전술한 내용에서와 같이 종래방식에서는 여러 종류의 부품들이 필요하고 이들부품을 조합하기위한 부가적인 결합구조물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부품 점수가 대폭 감소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 LLLT)의 효과에 대하여 발표된 논문에 의하면,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사용하기 전 시험군과 대조군의 단위 면적당 모발 수 및 평균 모발 굵기를 나타낸 임상시험에서는, 시험군의 기기 사용 전 단위 면적당 모발 수의 평균은 117.20(SD=19.56)이고, 대조군의 단위 면적당 모발 수의 평균은 124.79(SD=24.45)이었다. 두 투여군의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수행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시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p-value=0.3628로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시험군의 기기 사용 전 모발 굵기의 평균은 56.20(SD=17.90)이고, 대조군의 모발 굵기의 평균은 55.14(SD=12.85)이었다. 두 투여군의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지 않아 Wilcoxon rank sum test를 수행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시험군과 대조군간에 통계적으로 p-value=0.8958로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결론적으로 단위 면적당 모발 수 증가 와 모발의 굵기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착용구 102: 어플리케이터
103: 탄성패드장착부
201: 컨넥팅용 연결보드 202: 관통관
203: 베이스판 204: 베이스판고정자
301: 관통관 303: 베이스판앞면
304: 베이스판뒷면
305, 306: 베이스판삽입고정자
307: 베이스판측면 308: 관통관
309: 베이스판고정자연결부
40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
402: 발광소자로 LED 탑재
403: 벤딩(Bending)부
404: 벤딩이 용이하도록 길이로 가공된 구멍(Hole)
500: 포밍(Forming)된 어플리케이터
601: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사출품
602: 확산/집속 렌즈(Lens) 603: 벤딩(Bending)부
604: 벤딩이 용이하도록 길이로 가공된 구멍(Hole)

Claims (5)

  1. 모발의 성장촉진 및 탈모를 방지하도록 한 모발성장 촉진 레이저 치료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발광소자를 탑재하고 회로부품이 탑재되지 않는 부분은 벤딩 처리되어 콘케이브 형태로 포밍되는 어플리케이터;
    를 구비하고, 상기 어플리케이터와 착용구가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2. 위1항에 있어서,
    벤딩 처리되는 부분은 벤딩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가공된 홀을 구비한 어플리케이터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3. 위 1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4. 위 1항에 있어서,
    발광소자는 레이저 다이오드(LD)를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5. 모발의 성장촉진 및 탈모를 방지하도록 한 모발성장 촉진 레이저 치료기에 있어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에 발광소자를 탑재하고 회로부품이 탑재되지 않는 부분은 벤딩 처리되어 콘케이브 형태로 포밍되는 어플리케이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하여 확산/집속 렌즈를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발광소자에서 발생한 광이 조사되는 위치와 일치시키면서 상기 어플리케이터와 형합 될수 있는 콘케이브 형상의 렌즈 어셈블리;
    를 구비하고 상기 확산/집속렌즈 어셈블리 와 어플리케이터 및 착용구가 결합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1020140023499A 2014-02-27 2014-02-27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20150101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99A KR20150101791A (ko) 2014-02-27 2014-02-27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499A KR20150101791A (ko) 2014-02-27 2014-02-27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791A true KR20150101791A (ko) 2015-09-04

Family

ID=5424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499A KR20150101791A (ko) 2014-02-27 2014-02-27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7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1682B2 (ja) レーザー脱毛症治療器
KR200335313Y1 (ko) 레이저와 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탈모치료기
US20170235131A1 (en) Multiple aperture hand-held laser therapy apparatus
KR20180135256A (ko) 광을 이용한 감염방지 및 광역학 약물 침투 강화 하이드로겔 마스크팩 또는 감염방지 드레싱 패치
KR100671943B1 (ko) 두발성장을 돕는 두피조직 활성화 캡
CN106237531A (zh) 光疗仪的层状结构、柔性可穿戴式光疗仪及光疗系统
KR20150101709A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US20220072331A1 (en) Stimulating device for growth plate
KR20150037007A (ko) 광섬유 발광시트를 이용한 광요법 치료모자
ATE417646T1 (de) Vorrichtung zur akupunktur mittels laserstrahlung
KR20150101766A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20150101791A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200453658Y1 (ko) 저출력 레이저 치료용 마사지기
KR20140147215A (ko) 탈모 치료기
US20150297915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treatment of peripheral neuropathy
KR20150101717A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WO2004105876A1 (ja) 循環促進用レーザー照射装置
KR20100022605A (ko) 모발 관리용 레이저 브러시
KR101217176B1 (ko) 인체 삽입용 광섬유 케이블을 구비한 색광 치료용 패치
KR20150101715A (ko) 모발성장 촉진 치료장치
KR20160085014A (ko)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된 탈모 치료장치
KR101724079B1 (ko) 광섬유 유닛을 이용한 레이저 조사 두피 관리 장치
KR101466447B1 (ko) 광역학 다중파장 피부염 치료 장치
KR102580868B1 (ko) 성장판 자극 장치
KR102357552B1 (ko) 성장판 자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