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355A -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355A
KR20150099355A KR1020140021630A KR20140021630A KR20150099355A KR 20150099355 A KR20150099355 A KR 20150099355A KR 1020140021630 A KR1020140021630 A KR 1020140021630A KR 20140021630 A KR20140021630 A KR 20140021630A KR 20150099355 A KR20150099355 A KR 20150099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oupler
work
tool
attachment
work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자
Original Assignee
최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자 filed Critical 최정자
Priority to KR102014002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9355A/ko
Publication of KR20150099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퀵커플러의 일부위 또는 여러 부위에 구멍을 형성한 부착구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견인고리의 위치에 부착구를 구비토록 한 것이며 별도로 이 부착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구와 맞물리어 결합되는 결합부위와 작업공구부위를 구비한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작업공구는 상기 부착구와 맞물리어 결합되도록 한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으며 기타 결합부위이외의 부분은 여러가지 작업에 필요한 형태를 띄고 있다.
그러한 대표적인 작업공구로서 본발명에서는 견인고리공구와 투쓰를 가진 리퍼작업공구 또는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견인고리공구는 통상의 견인고리이다. 나아가 투쓰작업공구는 하나 또는 두개의 뚜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목보호대는 완충작용이 고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철에 고무를 덧씌운 수목보호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큰 힘이 필요하나 작업량이 많치 않은 경우에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지 않고도 퀵커플러 몸체에 직접 작업공구를 쉽게 탈부착하여 작업이 가능할 수 있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QUICK COUPLER HAVING THE ATTACHABLE TOOLS THEREON}
본 발명은 굴삭기 등 중장비기의 붐대끝에 장착되 사용되는 퀵커플러의 몸체에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하도록 한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퀵커플러의 몸체 외부에 직접 작업형태에 맞는 작업공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량이 많치 않은 경우 작업현장에서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지 않고도 퀵커플러 몸체에 직접 작업공구를 부착한 채로 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어태치먼트의 교체로 인한 시간낭비를 줄일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형태에 맞는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탈부착 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퀵커플러의 견인고리는 떼어낼 수 없는 고정된 것으로 생각하였으며 그러한 결과 종래의 퀵커플러에는 견인고리가 고정된 퀵커플러만 존재하였다.
도1은 종래기술의 퀵커플러를 도시한 것으로 견인고리(5)는 퀵커플러의 골격을 형성하는 양프레임(91,92)사이의 커버패널에 용접 또는 주조방법으로 커버패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퀵커플러를 사용할 경우 토사작업을 하는 등 특정작업의 경우 견인고리가 없는 것이 더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경우에도 견인고리를 떼어내 작업을 할 수 가 없어 견인고리가 고정된 불편한 상태를 그대로 감수하고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으며 결국 견인고리가 마모 및 파손에 노출된 채로 작업을 하게 되는 등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없었다.
도2는 종래의 퀵커플러에서 견인고리가 과도하게 마모되어 이를 산소절단후 교체한 퀵커플러의 사진이다.
도2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퀵커플러에서 견인고리는 견인작업외에 다른 작업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 과정에서 견인고리의 마모 또는 파손은 피할 수 없는 것이었고 또 이로 인해 또 다른 위험가능성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작업형태에 따른 융통성 있는 작업을 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가진 것이었다.
한편, 소형굴삭기의 경우 필연적으로 많은 어태치먼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왜냐하면 비교적 좁은공간에서 다양한 작업을 하나의 굴삭기가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 필수불가결하게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수시로 교체해가면서 사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인데 그렇기에 소형굴삭기를 운전하는 운전자는 필요한 다양한 어태치먼트를 가지고 다니면서 그때 그때 어태치먼트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하는 수 밖에 없다.
그런데 이같이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면 어태치먼트를 교체하는데 많은 시간이 들 뿐만 아니라, 작업자는 항상 여러 가지 어태치먼트를 가지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어태치먼트를 작업현장에 이동시키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히게 된다.
특히 해야할 작업이 많아 다짐기, 버켓, 크라샤, 와이드 버켓 천공기및 리퍼 등 여러가지 어태치먼트를 모두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이동수단을 동원하여 어태치먼트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작업이 이루어 질 수 없는 경우까지 있어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한편, 소형 굴삭기의 경우 대형중장비와 달리 다양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동원되는 경우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힘이 들지만 작업량이 매우 적은 작업에 동원될 때도 많다.
예를들어 도로의 간단한 아스팔트를 파쇄하는 정도의 작업일이라면 마땅히 퀵커플러에 전문 리퍼어태치먼트를 장착해 사용해야 하나 작업대상이 좁은도로의 낡은 아스팔트의 잔해를 소음없이 파쇄하는 정도라면 한개의 투쓰나 두개의 투쓰를 가진 리퍼작업공구를 퀵커플러에 직접 부착시켜 작업하더라도 통상적으로 그러한 작업은 힘이 그다지 많이 드는 지속적인 리퍼작업이 아니기 때문에 퀵커플러의 일체형으로 장작한 간편한 리퍼작업공구로도 충분히 그러한 작업을 완료할 수 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퀵커플러의 몸체중 일부위 예를 들면 견인고리 위치에 견인고리 대신에 탈부착이 가능한 1개투쓰 또는 2개투쓰를 가진 리퍼작업공구를 부착할 수 있다면 번거롭게 퀵커플러에 장착해 써야 하는 어태치먼트의 교체작업이 굳이 필요없게 될 것이고 따라서 소형 굴삭기 운전자는 작업에 맞는 어태치먼트를 작업현장에 이동시켜 쉽게 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시간적 낭비가 없는 경제적인 고효율의 작업이 가능한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퀵커플러에서는 견인고리만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을 뿐 기타 유용한 작업공구를 탈부착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작업형태에 걸맞는 융통성있는 작업이 실현될 수 없었다.
위와 같이 종래의 퀵커플러는 퀵커플러자체에 탈부작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할 수 없는 것이었기에 불편한 것일뿐만 아니라 비효율적인 퀵커플러로서 개선되어야 할 퀵커플러라고 아니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견인고리를 포함한 작업공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를 제공함으로서 견인고리가 오히려 다른 작업에 방해가 경우를 방지하여 원하는 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견인고리를 포함한 작업공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를 제공함으로서 견인고리와 관계없는 작업이 이루어질 때 견인고리가 마모 또는 파손되어 쓸모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견인고리 대신에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목작업시 수목이 퀵커플러에 부착된 수목보호대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착탈가능한 수목보호대착탈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를 제공함으로서 수목과 퀵커플러사이에 완충역활을 하도록 하여 수목작업시 고가의 수목이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목의 고사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견인고리대신에 리퍼작업공구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큰 힘이 필요한 아스팔트 파쇄작업의 경우에도 퀵거플러의 장착한 리퍼 공구만으로 쉽게 파쇄하여 아스팔트를 걷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퀵커플러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를 제공함으로써 큰힘이 필요하지만 작업량이 많치 않은 경우에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지 않고도 퀵커플러몸체에 작업공구를 탈부착 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시간적 낭비를 줄이고 경제적으로 고효율의 작업이 이루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퀵커플러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용도의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를 제공함으로써 굴삭기 작업자가 많은 어태치먼트를 별도 구매 하거나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지 않고서도 충분히 작업이 원하는 대로 빠르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퀵커플러에 어태치먼트로 구성하기에는 여러가지 불합리한 경량의 공구를 쉽게 퀵커플러에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여러가지 작업공구를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퀵커플러의 일부위 또는 여러 부위에 구멍을 형성한 부착구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견인고리의 위치에 부착구를 고정한 것이며 별도로 이 부착구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부착구와 맞물리어 결합되는 결합부위를 가진 작업공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작업공구는 상기 부착구와 맞물리어 결합되도록 한 결합부위를 가진 것으로 결합부위를 제외한 나머지는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작업공구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한 대표적인 작업공구로서는 견인고리작업공구와 투쓰를 가진 리퍼작업공구 또는 퀵커플러르 에워싸도록 형성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퍼작업공구는 하나 또는 두개의 투쓰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수목보호대작업공구는 완충작용이 고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강철에 고무를 덧씌운 수목보호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퀵커플러에 탈부착되는 착탈공구를 사용하면 많은 힘이 필요하나 그 양이 많치 않은 간단한 작업인 경우 어태치먼트를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 넓은 곳으로 이동하여 어태치먼트를 교체한 후에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없이 작업공구를 퀵커플러에 직접 장착하여 작업을 할 수 있어 쉽고 빠르게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시간적인 낭비를 줄이고 작업형태에 맞는 고효율의 경제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퀵커플러의 견인고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견인고리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모나 파손시에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또 견인고리를 제거한 채 다른 작업을 할 때 더욱 효율적으로 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나아가, 중장비작업자가 많은 어태치먼트를 갖고 다닐 필요가 없이 작업양이 많은 작업에 해당하는 것만 어태치먼트를 가지고 다니고 기타 작업량이 적은 작업의 경우에 필요한 공구는 퀵커플러에 부착해 가지고 다닐 수 있기 때문에 이동상의 번거로움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의 퀵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기술의 퀵커플러에서 견인고리가 과도하게 마모되어 이를 산소절단후 교체한 퀵커플러의 사진이다.
도3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와 견인고리작업공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도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부착구 및 견인고리작업공구의 상세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부착구 와 견인고리 작업공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도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부착구 및 수목보호대작업공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사시도면이다.
도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대작업공구의 사시도면이다.
도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부착구 및 리퍼작업공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퍼작업공구의 사시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부착구와 견인고리 착탈공구의 분리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정되어 있는 견인고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커버패널(50)의 일부위에 부착구(51)가 퀵커플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구(51)에 착탈가능하도한 한 별도의 작업공구가 제공되어 있는 것으로 이 작업공구는 상기 부착구(51)에 결합되는 결합부위(63)와 그외 작업공구부위를 가진 것으로 도시된 도면에는 견인고리작업공구(61)된 탈부착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부착구(51)는 견인고리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나 반드시 견인고리의 위치에 있을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부착구가 굳이 견인고리의 위치에 있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부착구는 바람직하게는 견인고리의 위치가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그위치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퀵거플러의 양 프레임(91,92)사이에 위치한 커버패널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프레임(91,92)의 외면 일부위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도시된 퀵커플러의 앞 커퍼패널인 A 로 표시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부착구(51)은 반드시 한개만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다. 필요하다면 퀵거플러의 양 프레임(91,92)사이에 위치한 커버패널상 또는 양 프레임(91,92)의 외면에 두개 이상의 부착구(51)가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부착구(51)은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며 그 가운데에는 부착구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51)에 결합되는 견인고리작업공구(61)에는 결합구멍(62)이 형성된 결합부위(6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착구(51)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고리작업공구(61)및 퀵커플러의 부착구(51)를 좀 더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퀵커플러(10)의 양 프레임(91,92)사이에는 커버패널(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패널(50)은 퀵커플러(10)의 커버를 구성하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부착구(51)가 용접 또는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부착구(51)은 여기에 착탈되는 작업공구(61)가 쉽게 결합되도록 상단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띄고 있는데 그 이유는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취할 경우 쉽게 견인고리착탈공구(61)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형태는 반드시 그래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만약 부착구(51)와 착탈공구(61)의 접촉면적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면 사각형의 형태도 구성하여 접촉면적을 늘릴 수가 있는 것이다.
부착구(51)에는 부착구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작업공구(61)의 결합부위(63)의 내부에는 부착구(51)이 결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공구의 결합부위에는 결합구멍(62)이 있어 작업공구가 부착구(51)에 결합되었을때 볼트나 쇠막대핀 또는 공지된 결합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볼트나 쇠막대핀 또는 공지된 결합구를 삽입하여 작업공구와 부착구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동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으로 작업공구와 부착구를 관통한 볼트의 나사산에 너트를 결합해 끼우거나 또는 작업공구와 부착구를 관통한 결합구에 구멍을 형성하여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어느방법으로 하던 가능한 것이며 이중 어떤 방법을 사용하던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아니라고 할 것이다.
한편 작업공구에는 작업시 요동을 없도록 부착구의 형태와 동일한 공간이 결합부위(63)내에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작업공구가 부착구에 결합되었올때 부착구의 부착구구멍(52)과 일치하는 작업공구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공구의 결합부위(63)는 퀵커플러의 부착구(51)와 결합하는 것이므로 모든 용도의 작업공구는 이 결합부위(63)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고리 작업공구(61)는 부착구(5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위(63)를 가지고 있으며 이 결합부위(63)의 나머지 부분이 견인고리 형태를 띄고 있는 것으로 이 견인고리가 작업공구의 역할을 하게 되며 작업자는 이 작업공구부위를 이용하여 물건을 견인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작업자가 만약 토사작업등 견인작업이 아닌 다른 작업을 할 때 견인고리작업공구가 방해된다고 생각하면 이를 제거하고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럴경우 토사작업등 다른 작업을 해도 견인고리가 토사와 마찰하는 일이 생기지 않으므로 견인고리 작업공구의 파손이나 마모는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작업자는 버켓등 어태치먼트를 결합한 상태로 작업을 할 수 도 있고 그렇치 않으면 버켓을 완전히 제거하고 가동후크를 완전히 닫은후에 작업공구만으로 작업을 할 수 있는 데 작업의 성격을 그 때 그 때 고려하여 어느 일 부분이 방해가 되면 그부분을 제거하고 작업하면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고리 작업공구(61)가 퀵커플러의 부착구(5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결합상태는 견인고리작업공구(61)가 퀵커플러의 부착구(51)와 완전히 밀착 결합한 상태이다. 이 결합상태는 견인고리작업공구(61)의 결합구멍(62)와 부착구(51)의 부착구멍(52)를 관통하는 결합부재가 체결됨으로서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도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퀵커플러의 부착구 및 수목보호대작업공구(71)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보호대작업공구(71)도 상기 견인고리작업공구와 마찬가지로 결합부위(73)를 가지고 있으며 퀵커플러(10)에 결합시에는 퀵커플러의 부착구(51)에 수목보호대작업공구(71)의 결합부위를 결합하고 결합부위구멍(72)에 볼트나 쇠막대핀 또는 공지된 결합구를 관통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목보호대작업공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보호대작업공구는 결합부위(73)를 가지고 있는데 이 결합부위(73)는 퀵커플러의 부착구(51)에 결합되며 결합부위외 다른 부분은 퀵커플러를 에워싸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수목보호대작업공구(71)는 작업하는 수목을 보호하기 위해서 수목보호대의 작업공구부위는 원형으로 되어 있어 수목이 부딪히더라도 수목에 상처가 나지 않토록 하고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철위에 고무나 플라스틱이 코팅되어 있어 설사 수목작업중에 수목과 수목보호대가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을 코팅재가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8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퍼작업공구가 구비된 퀵커플러를 도시하고 있다.
도8에 도시된 리퍼작업공구(81)도 상기 견인고리작업공구와 마찬가지로 결합부위(83)를 가지고 있으며 퀵커플러에 결합시에는 퀵커플러의 부착구(51)에 리퍼(81)의 결합부위(83)를 결합하고 결합부위구멍(82)에 볼트나 쇠막대핀 또는 공지된 결합구를 관통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도9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리퍼작업공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퍼는 투쓰라는 작업공구부위와 그 반대편에 퀵커플러(10)의 부착구(51)을 삽입고정할 수 있는 결합부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소형굴삭기의 붐대에 붙어 있는 퀵커플러에 손쉽게 작업공구를 교체 착탈시킴으로서 어태치먼트를 교체하는 데 낭비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작업량이 많치 않은 경우에 굳이 큰 어태치먼트를 운반하여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공구만을 쉽게 바꿔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형태에 걸맞는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견인고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작업을 할때 견인고리의 파손 및 마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굴삭기 작업자가 많은 어태치먼트를 굴삭기와 함께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으며 작업자는 주요작업의 경우에만 어태치먼트를 이동 시키면 되므로 이동 비용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질적으로 규모나 힘의 강도가 본질적으로 작아 굳이 어태치먼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는 여러가지 형태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10: 퀵커플러 11.12: 어태치먼트 결합부
13:고정후크 14:가동후크
15:가동후크축
51: 부착구 52:부착구구멍
61: 견인고리작업공구
71: 수목보호대작업공구
81: 투쓰작업공구
91,92: 퀵커플러 프레임
93,94: 어태치먼트결합핀

Claims (5)

  1. 중장비의 붐대끝에 매달려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두개의 프레임 사이에 가동후크와 유압실린더 그리고 고정후크로 구비하고 있으며 프레임사이에 커버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퀵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퀵커플러의 상기 두개의 프레임사이의 커버패널 또는 프레임의 외면상에 구멍이 형성된 부착구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구에 삽착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 구멍을 가진 결합부위와 작업을 위한 형태를 가진 작업공구부위로 이루어진 작업공구로서
    상기 작업공구와 상기 부착구는 작업의 필요에 따라 결합부재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퀵커플러에 다수 형성되어 있어 다수개의 작업공구를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는 견인고리작업공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는 수목보호대작업공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는 한개 또는 그 이상의 투쓰를 구비하고 있는 투쓰작업공구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가능한 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KR1020140021630A 2014-02-21 2014-02-21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KR20150099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30A KR20150099355A (ko) 2014-02-21 2014-02-21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630A KR20150099355A (ko) 2014-02-21 2014-02-21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355A true KR20150099355A (ko) 2015-08-31

Family

ID=5406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630A KR20150099355A (ko) 2014-02-21 2014-02-21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93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89A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경원테크 안전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789A (ko) * 2019-09-17 2021-03-25 주식회사 경원테크 안전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9732A1 (en) Pin assembly for a two-part ground engaging tooth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components of a two-part ground engaging tooth system to each other
JP4546832B2 (ja) 一つのあごセットの複数のツールのアタッチメント装置
US9416520B2 (en) Wear pad assembly
US20070107274A1 (en) Ground engaging tool retention system
US20120222335A1 (en) Disassembly of inter-fitting components
KR200469473Y1 (ko) 굴삭기용 퀵커플러
CN105899739B (zh) 工具保持系统
JP2006015484A (ja) 破砕ハンマと、破砕ハンマの固定要素、側板および保護ケーシング
CA2686897A1 (en) Ground engaging tool retention system
KR20150099355A (ko) 탈부착가능한 수목보호대작업공구를 구비한 퀵커플러
KR101949101B1 (ko)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KR20130107705A (ko) 굴삭기 버켓용 장삽날 탈부착구조
KR20200060134A (ko) 굴착기용 안전 집게 가위
JP2013002151A (ja) 作業機械バケットの横ピン抜き工具及び横ピン抜き工具セット
KR101254193B1 (ko)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EP3045591B1 (en) Cutting edge for a work tool
CA2985604C (en) Grapple tip device and method
US20220161407A1 (en) Dust cover for hammer work tool
KR101956515B1 (ko)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JP3171159U (ja) 作業機械バケットの横ピン抜き工具及び横ピン抜き工具セット
US11466436B1 (en) Wear part removal system
KR102105204B1 (ko) 굴착기용 안전 집게 장치
CN217308178U (zh) 一种高寿命的农耕机用犁刀
CN208214927U (zh) 一种易于拆装刀具的扣手装置
KR20030095207A (ko) 파쇄기의 버킷 주위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