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875A - Ice maker - Google Patents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875A
KR20150098875A KR1020140020227A KR20140020227A KR20150098875A KR 20150098875 A KR20150098875 A KR 20150098875A KR 1020140020227 A KR1020140020227 A KR 1020140020227A KR 20140020227 A KR20140020227 A KR 20140020227A KR 20150098875 A KR20150098875 A KR 20150098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space
ice mak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8229B1 (en
Inventor
장부백
배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Priority to KR1020140020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2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98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8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2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n ice making tray. The disclosed ice making tray comprises: an ice making body including an injection unit which is open so that water can be injected thereinto, an ice making space which makes ice from a lower side of the injection uni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ice from the ice making space is collected; an ice making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 ice making container which is arranged in the ice making space and accommodates water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unit; a support unit for rotationally supporting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an ice-separation lever for rotating the support unit.

Description

제빙트레이{ICE MAKER}Ice-making tray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밀폐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에 넣거나 빼기 편리한 구조로 개선하여 서랍 내에서 분리없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빙트레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ing tr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making tray capable of supplying water without being separated in a drawer by being improved in a convenient structure to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a drawer provided slidably in a sealed room of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싸이클을 이용하여 저장물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보관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구성을 보면, 일반적으로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거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Generally,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can store refrigerated goods or refrigerated goods using refrigerant cycles.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door that is rotatably or slid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and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한편, 저장실이나 도어에는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제빙장치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제빙장치의 경우, 외부로 그 상면이 노출되어 있었고, 한편으로는 그 내부가 복수의 구획벽으로 구획되는 제빙공간을 구비하고 있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ice maker, an upper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on the other hand an ice-making space in which the inside thereof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is provided .

종래에는 제빙트레이에 자동으로 제빙수가 공급되거나, 사용자가 제빙수를 직접 제빙트레이에 공급하였으며, 이와 같이 제빙수가 수용된 상태로 도어나 냉동실 또는 제빙실에 일정시간 노출되면 제빙수가 얼어서 얼음이 되었다.Conventionally, the ice-making water is automatically supplied to the ice-making tray or the user supplies the ice-making water directly to the ice-making tray. When the ice-making water is received in the door, the freezing chamber or the ice-making chamber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리고, 얼음을 이빙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이빙장치가 구동하여 얼음을 이빙시키거나 아니면 제빙트레이를 뒤틀어서 이빙을 시키는 경우가 통상적이었다.When ice is to be removed, a separate ice machine is driven to ice the ice, or the ice tray is twisted to ice.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6293호 (2012. 06. 27. 공개, 발명의 명칭 :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및 이 냉장고의 제빙방법) 가 있다.Related Prior Ar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56293 (published on June 27, 2012, entitled " Ice maker, refrigerator equipped with the same, and ice maker for this refrigerator) is available.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밀폐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에 넣거나 빼기 편리한 구조로 개선하여 서랍 내에서 분리없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빙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ce-making tray capable of supplying water without being separated in a drawer by being improved in a convenient structure to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a drawer provided slidably in a sealed room of a refrigerator.

본 발명에 따른 제빙트레이는 물이 투입되도록 개구된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측에서 상기 얼음을 만드는 제빙공간과, 상기 제빙공간의 얼음이 모아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빙바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빙도어; 상기 제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빙용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이빙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ce mak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ortion opened to allow water to be introduced; an ice making body forming an ice making space for making ice at the lower side of the introducing portion; and a storage space for collecting ice of the ice making space; An ice-mak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 ice-making container provided in the ice-mak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A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a lifting lever for rotating the support portion; And a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제빙공간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ce making space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space;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빙바디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first latching por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and a second latch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latching portion.

여기서, 상기 경사부에는, 배수홀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여기서, 상기 제빙바디에는, 상기 얼음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판;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ice making body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ing plate fo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floo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제빙 트레이는 냉장고의 밀폐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에 넣거나 빼기 편리한 구조로 개선하여 서랍 내에서 분리없이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ice-mak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a drawer which is slidably provided in an air-tight room of a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서랍의 기능을 보존하면서 얼음을 만들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ice while preserving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drawer.

또한, 본 발명은 제빙트레이에서 얼음을 꺼낼 때, 서랍의 인출공간을 이용하여 제빙바디의 인출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상부 개폐방식으로 서랍의 인출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xtracting ice from the ice-making tray, the draw-out space of the drawer can be used to save the draw-out space of the ice-making body, and the draw-out space of the draw-out can be saved by the upper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제빙공간의 얼음을 제빙도어 측으로 이동시켜 수납할 수 있고, 얼음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in the ice-making space can be moved to the ice-making door side for storage, and the ice can be taken out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은 제빙공간에서 얼음의 잔류를 억제하고, 수납공간으로의 얼음 이동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residual of ice in the ice making space, and can make the ice move to the storing space quick and smooth.

또한, 본 발명은 제빙바디 내부의 청소를 편리하게 하고, 제빙 후의 잔류물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lean the inside of the ice-making body, and the residue after the ice-making can be convenient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의 낙하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 파편과 얼음을 간편하게 분리하고, 얼음 파편과 얼음이 서로 얼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ice fragments and ice that are generated as the ice falls, and prevent ice fragments and ice from freezing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이 녹을 때, 생성되는 물과 얼음을 분리시키고, 물이 다시 얼면서 얼음을 뭉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ce is melt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generated water and ice, and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frozen and causing the ice to clum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에서 제빙바디와 경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ce-making body and an inclined portion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에서 제빙바디와 경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ice-making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ce-making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ce-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100)는 냉장고의 밀폐룸(R)에 결합되는 서랍(S)에 안착되고, 얼음을 수납한다. 여기서, 밀폐룸(R)은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냉장고의 내부를 구획하고 있다. 또한, 서랍(S)은 밀폐룸(R)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랍(S)을 전면으로 인출함에 따라 서랍(S)에 음식물 또는 용기류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1 to 5, an ice-making t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a drawer S coupled to a sealed room R of a refrigerator and houses ice. Here, the enclosed room R divides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to form a storage space. The drawer S is slidably coupled to the enclosure R to draw the drawer S to the front of the drawer S so that the drawer S can receive or draw food or containers.

이때, 제빙트레이(100)는 제빙바디(110)와, 제빙도어(120)와, 제빙용기(130)와, 지지부(140)와, 이빙레버(150)를 포함하고, 경사부(160)와, 받침판(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ce-making tray 100 includes an ice-making body 110, an ice-making door 120, an ice-making container 130, a support 140, and an ice- , And a support plate 170. [0035]

제빙바디(110)는 서랍(S)에 안착되어 얼음이 수납된다. 제빙바디(110)에는 투입부(111)와, 제빙공간(112)과, 수납공간(113)을 형성한다. 투입부(111)는 물이 투입되도록 제빙바디(110)의 상부에 개구된다. 투입부(111)는 제빙용기(130)의 크기 또는 제빙용기(130)의 형상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공간(112)은 투입부(111)의 하측에서 얼음을 만든다. 일예로, 제빙공간(112)은 밀폐룸(R)의 냉각 작용에 의한 냉기로 제빙공간(112)에서 얼음을 만들 수 있다. 제빙공간(112)의 상부는 개구되어 투입부(111)를 형성한다. 수납공간(113)은 제빙공간(11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모아진다. 수납공간(113)의 상부는 개구되어 수납공간(113)에 수납된 얼음을 인출할 수 있고, 제빙도어(120)가 구비된다.The ice-making body 110 is seated in the drawer S and stores ice. The ice making body 110 is provided with a loading section 111, an ice making space 112, and a storage space 113. The inlet portion 111 is opened at the top of the ice-making body 110 so that water is injected. A plurality of the input units 111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ce tray 130 or the shape of the ice tray 130. The ice making space 112 makes ice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111. For example, the ice making space 112 can make ice in the ice making space 112 with cool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action of the enclosed room R. An upper portion of the ice-making space 112 is opened to form a charging portion 111. In the storage space 113, ice made in the ice making space 112 is collected.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13 is opened to draw 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3, and an ice-making door 120 is provided.

제빙도어(120)는 개구된 수납공간(113)의 상부를 개폐한다. 제빙도어(120)는 회동부(121)에 의해 제빙바디(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공간(113)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빙도어(120)는 수납공간(113)의 상부에서 서랍(S)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동일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빙바디(110)에는 제빙도어(12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슬라이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빙도어(120)에는 슬라이딩부(미도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더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ice-making door (120) opens and closes the upper part of the opened storage space (113). The ice-making door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ce-making body 110 by the rotation unit 121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3. The ice-making door 120 can be sli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lide movement direction of the drawer S in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13. [ At this time, a sliding portion (not shown) for forming a sliding movement path of the ice making door 120 is formed in the ice making body 110, and a slider portion (not shown) for sliding the ice making door 120 along the slid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제빙용기(130)는 제빙공간(112)에 구비되어 투입부(111)를 통해 투입되는 물을 수용한다. 제빙용기(13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제빙용기(130)를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제빙용기(130)는 복수의 구획벽으로 상호 구획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각각의 수용공간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수용공간은 서랍(S)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The ice-making container 130 is provided in the ice-making space 112 and receives water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111. The ice making container 130 may be any of various known ice making containers 130. For example, the ice-making container 130 may contai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each of which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o as to receive wat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may be form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drawer S.

지지부(140)는 제빙바디(110)에서 제빙용기(1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부(140)는 제1지지부(141)와 제2지지부(14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지지부(141)는 제빙바디(110)에 결합되어 제빙용기(130)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41)는 제빙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지지부(142)는 제빙바디(110)에 결합되어 제빙용기(130)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142)는 제빙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40)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빙레버(1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빙용기(130)를 뒤집을 수 있다.The support part 140 rotatably supports the ice-making container 130 in the ice-making body 110. The supporting portion 140 can be divided into a first supporting portion 141 and a second supporting portion 142. The first support portion 141 is coupled to the ice-making body 110 and rotatably supports one side of the ice-making container 130. The first support part 14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ce making body 110.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 may be coupled to the ice-making body 110 to rotatably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ice-making container 130. The second support portion 14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ce-making body 110. Here, the support portion 140 is not limited, and the ice-making container 130 can be rever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ce-making lever 150.

이빙레버(150)는 지지부(140)를 회전시킨다. 이빙레버(150)는 투입부(111) 또는 제빙도어(120)의 일측에서 제빙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은 물론 지지부(140)에 연결되어 이빙레버(1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제빙용기(130)를 뒤집을 수 있다.The idle lever (150) rotates the support portion (140). The ice-making lever 1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ce-making body 110 at one side of the input unit 111 or the ice-making door 120 a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140 so that the ice- The container 130 can be reversed.

경사부(160)는 제빙트레이(100)의 하측에서 제빙바디(110)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다. 경사부(160)는 제빙공간(112)에 형성되고, 수납공간(113)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한다. 경사부(160)는 제빙트레이(100)에서 낙하되는 얼음을 수납공간(113)으로 안내하여 얼음이 수납공간(113)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The inclined portion 160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ce-making body 110 below the ice-making tray 100. The inclined portion 160 is formed in the ice-making space 112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space 113. The inclined portion 160 guides the ice dropped from the ice-making tray 100 into the storage space 113 so that the ic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3.

일예로, 경사부(160)는 제빙바디(110)에서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부(160)의 상단부(경사부(160)가 경사를 이룰 때, 경사부(160)에서 제빙용기(130)와 가까운 부분을 나타냄)에는 제1걸림부(161)가 형성되고, 제빙바디(110)에는 제1걸림부(161)와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걸림부(115)는 제빙바디(110) 내벽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됨으로써, 경사부(16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clined portion 16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ice making body 110. The first engaging portion 161 is formed 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60 (a por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60 closer to the ice tray 130 when the inclined portion 160 is inclined) And a second latching part 115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latching part 161 may be formed on the ice making body 110. Here, a plurality of the second latching portions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ice-making body 110,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portion 160 can be adjusted.

또한, 경사부(160)에는 배수홀(162)이 다수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60)에 형성되는 배수홀(162)은 얼음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배수홀(162)은 얼음의 낙하에 따른 얼음 파편 또는 얼음이 녹으면서 생기는 물 또는 얼음의 생성 및 얼음의 인출에 따라 제빙바디 내부에 형성되는 이물질 등의 잔류물이 통과됨으로써, 얼음과 잔류물을 분리할 수 있다.Also, a plurality of drain holes 162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160. The drain hole 162 formed in the slope portion 160 prevents the ice from moving. The drain hole 162 is formed in the drain hole 162. The drain hole 162 allows the ice and debris generated when the ice drops and the ice, Can be separated.

받침판(170)은 제빙트레이(100)의 하측에서 제빙바디(110)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다. 받침판(170)은 제빙바디(110)의 내측 바닥에 형성되고, 얼음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받침판(170)은 제빙공간(112)과 수납공간(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70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ce-making body 110 below the ice-making tray 100. The support plate 170 is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ice-making body 110 and separates the ice from the floor. The support plate 170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at least one of the ice-making space 112 and the storage space 113.

받침판(170)은 받침부(173)와, 이격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73)는 수납공간(113)에 수납되는 얼음이 안착되고, 이격부(171)는 받침부(173)에서 돌출되어 받침부(173) 또는 얼음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이때, 받침부(173)에는 홀부(174)가 다수 관통 형성되어 잔류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홀부(174)는 배수홀(162)과 마찬가지로 얼음과 잔류물을 분리할 수 있다. 받침판(170)의 이격부(171) 또는 홀부(174)는 탈부착되는 경사부(16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경사부(160)의 이탈 또는 경사부(160)의 요동과 같은 경사부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170 may include a support portion 173 and a spacing portion 171. The receiving portion 173 seats the ice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113 and the separating portion 171 protrudes from the receiving portion 173 and separates the receiving portion 173 or the ice from the floor. At this time, a large number of hole portions 174 are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173 to allow the residue to pass therethrough. The hole portion 174 can separate the ice and the residue like the drain hole 162. The spacing portion 171 or the hole portion 174 of the support plate 170 support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lanting portion 160 to be detached or attached to prevent the slanting portion 160 from moving or the movement of the slanting portion such as the swinging of the slanting portion 160 can do.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트레이(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ice-making t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서랍(S)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서랍(S)의 상측에서 투입부(111)가 노출되도록 하고, 투입부(111)에 물을 투입한다. 투입부(111)로 투입된 물은 제빙용기(130)에 수용된다. 다시 서랍(S)을 반대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서랍(S)이 밀폐룸(R) 안에 안착되도록 하면, 밀폐룸(R)의 냉각 작용에 따른 냉기에 의해 제빙용기(130)에서 얼음이 만들어진다.The drawer S is slid so that the loading unit 111 is expos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S and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ading unit 111. [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put unit 111 is received in the ice-making container 130. The drawer S is reversely slid back and the drawer S is seated in the sealed room R. Ice is produced in the ice making container 130 by the cold air according to the cooling action of the sealed room R. [

제빙용기(130)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이빙레버(150)의 동작에 따라 제빙공간(112)의 하측으로 낙하된 다음 경사부(160)를 따라 이동하여 수납공간(113)에 수납된다. 이때, 얼음은 제빙공간(112)의 경사부(160)에도 존재할 수 있다.Ice produced in the ice-making container 130 is dropped to the lower side of the ice-making space 11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ce-making lever 150 and then moved along the inclined portion 160 an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3. At this time, ice may also be present in the inclined portion 160 of the ice-making space 112.

수납공간(113)에 수납된 얼음은 제빙도어(120)를 통해 수납공간(113)의 상부를 개방하여 인출할 수 있고, 얼음의 인출이 없는 경우, 제빙도어(120)를 통해 수납공간(113)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The i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3 can be opened by open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3 through the ice making door 120. When the ice is not drawn out, Can be closed.

상술한 제빙트레이에 따르면, 냉장고의 밀폐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랍에 넣거나 빼기 편리한 구조로 개선하여 서랍 내에서 분리없이 물을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ice-making tray, it is possible to supply water without separation in a draw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to be easily inserted into or pulled out from a drawer provided slidably in a sealed room of a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서랍의 기능을 보존하면서 얼음을 만들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ice while preserving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drawer.

또한, 본 발명은 제빙트레이에서 얼음을 꺼낼 때, 서랍의 인출공간을 이용하여 제빙바디의 인출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상부 개폐방식으로 서랍의 인출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xtracting ice from the ice-making tray, the draw-out space of the drawer can be used to save the draw-out space of the ice-making body, and the draw-out space of the draw-out can be saved by the upper opening-

또한, 본 발명은 제빙공간의 얼음을 제빙도어 측으로 이동시켜 수납할 수 있고, 얼음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in the ice-making space can be moved to the ice-making door side for storage, and the ice can be taken out conveniently.

또한, 본 발명은 제빙공간에서 얼음의 잔류를 억제하고, 수납공간으로의 얼음 이동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residual of ice in the ice making space, and can make the ice move to the storing space quick and smooth.

또한, 본 발명은 제빙바디 내부의 청소를 편리하게 하고, 제빙 후의 잔류물을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clean the inside of the ice-making body, and the residue after the ice-making can be convenient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의 낙하에 따라 생성되는 얼음 파편과 얼음을 간편하게 분리하고, 얼음 파편과 얼음이 서로 얼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eparate ice fragments and ice that are generated as the ice falls, and prevent ice fragments and ice from freezing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은 얼음이 녹을 때, 생성되는 물과 얼음을 분리시키고, 물이 다시 얼면서 얼음을 뭉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ce is melt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generated water and ice, and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frozen and causing the ice to clump.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R: 밀폐룸 S: 서랍
100: 제빙트레이 110: 제빙바디
111: 투입부 112: 제빙공간
113: 수납공간 115: 제2걸림부
120: 제빙도어 121: 회동부
130: 제빙용기 140: 지지부
141: 제1지지부 142: 제2지지부
150: 이빙레버 160: 경사부
161: 제1걸림부 162: 배수홀
170: 받침판 171: 이격부
173: 받침부 174: 홀부
R: Enclosed room S: Drawer
100: Deicing tray 110: Deicing body
111: input portion 112: ice making space
113: storage space 115: second latching part
120: ice-making door 121:
130: ice tray 140: support
141: first support portion 142: second support portion
150: Eating lever 160:
161: first latching part 162: drain hole
170: Support plate 171:
173: receiving portion 174:

Claims (5)

물이 투입되도록 개구된 투입부와, 상기 투입부의 하측에서 상기 얼음을 만드는 제빙공간과, 상기 제빙공간의 얼음이 모아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제빙바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는 제빙도어;
상기 제빙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빙용기;
상기 제빙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이빙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트레이.
An ice making body for forming a storage space for collecting the ice of the ice making space, an ice making chamber for making the ice at the lower side of the ice making chamber,
An ice-making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 ice-making container provided in the ice-making space for receiving water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A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ice making container; And
An idle lever for rotating the support portion; Wherein the ice tray is provided with an ice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공간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트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ice making spac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ice tray is provided with an ice tr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빙바디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트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latch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inclined portion,
Wherein the ice making body is formed with a second engaging portion engageably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배수홀이 다수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트레이.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inclined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ice tra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바디에는,
상기 얼음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판;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트레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In the ice making body,
A base plate for separating the ice from the floor; Wherein the ice tray is provided with an ice tray.
KR1020140020227A 2014-02-21 2014-02-21 Ice maker KR102188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27A KR102188229B1 (en) 2014-02-21 2014-02-21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227A KR102188229B1 (en) 2014-02-21 2014-02-21 Ic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875A true KR20150098875A (en) 2015-08-31
KR102188229B1 KR102188229B1 (en) 2020-12-09

Family

ID=5406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227A KR102188229B1 (en) 2014-02-21 2014-02-21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2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725A (en) * 2016-11-18 2017-08-18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A kind of door of refrigerator system ice m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660Y1 (en) * 1994-11-09 1998-07-15 구자홍 Ice breaking separatiy apparatus for automatic ice-maker
JP2003042608A (en) * 2001-07-30 2003-02-13 Matsushita Refrig Co Ltd Icemaking apparatus
KR20050033295A (en)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s ice maker and extractor
JP2006105574A (en) * 2004-12-16 2006-04-20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ing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660Y1 (en) * 1994-11-09 1998-07-15 구자홍 Ice breaking separatiy apparatus for automatic ice-maker
JP2003042608A (en) * 2001-07-30 2003-02-13 Matsushita Refrig Co Ltd Icemaking apparatus
KR20050033295A (en) * 2003-10-06 2005-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s ice maker and extractor
JP2006105574A (en) * 2004-12-16 2006-04-20 Sanyo Electric Co Ltd Automatic ice maker and freezing refrigerator equipped there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725A (en) * 2016-11-18 2017-08-18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A kind of door of refrigerator system ic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229B1 (en)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806B1 (en) Refrigerator
EP2381195B1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KR101584805B1 (en) Refrigerator
KR101621578B1 (en) Refrigerator
KR101392596B1 (en) Refrigerator
US9188377B2 (en) Ice maker and method,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934389B2 (en) Ice tray assembly for refrigerator
EP2428755A2 (en) Refrigerator
KR102373219B1 (en) Refrigerator
KR102417751B1 (en) Refrigerator
US20060162369A1 (en) Refrigerator
KR101761739B1 (en)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KR20110112377A (en) Refrigerator
JP5478365B2 (en) refrigerator
KR20110138777A (en) Refrigerator
KR101350056B1 (en) Refrigerator
CN107208955B (en) Refrigerator with ice bucket on door
KR20150098875A (en) Ice maker
KR101838065B1 (en) Refrigerator
JPH03263570A (en)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king device
KR101053849B1 (en) Refrigerator
KR101871713B1 (en) A ice making tray and a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KR20070093611A (en) Dispensor in refrigerator
KR20110055860A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JP2011247550A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