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489A -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489A
KR20150098489A KR1020140019836A KR20140019836A KR20150098489A KR 20150098489 A KR20150098489 A KR 20150098489A KR 1020140019836 A KR1020140019836 A KR 1020140019836A KR 20140019836 A KR20140019836 A KR 20140019836A KR 20150098489 A KR20150098489 A KR 2015009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information
us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이경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재 filed Critical 이경재
Priority to KR102014001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489A/ko
Publication of KR2015009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개인화 칩,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패스워드 확인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상기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옵션 수신부,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신하는 결제 승인 확인부, 상기 결제 승인 확인부가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에 상기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전력 공급 요청부, 상기 개폐기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하는 에너지 공급정보 생성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하는 충전 종료 확인부 및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결제 정보, 상기 개폐기 ID 및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충전자와 충전 장소의 인증을 통해 과금하는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엔진 구동 자동차는 수십년에 걸쳐 오일 주유소 및 가스 충전소가 구축되어 대부분 불편함 없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자동차의 보급으로 새로운 운송수단의 근간이 됨으로써 전력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급 수단의 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시범적 또는 부분적으로 구축되고 있는 급속충전소의 장치는 비용적인부담과 장소의 공간적인 부담이 있어 차량 증가율을 생각하지 않고 무한정 늘리 수가 없다. 또한 기존의 개인 휴대용 충전기는 공공 장소의 콘센트를 과금 장치 없이 이용하게 될 경우 도전의 위험이 있다.
공개 특허 10-2011-0118227(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방법)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QR코드를 스캔하고 사용자 위치를 휴대용 단말기의 GPS로 확인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 QR코드 스캔의 부정행위와 휴대용 단말기의 GPS위치 확인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 제 10-2011-0118227 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속충전기 인프라 증설 없이도 기존 콘센트를 활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전기 사용량과 충전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과금 시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 및 사용처에 제시할 수 있는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개인화 칩,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패스워드 확인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상기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옵션 수신부,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신하는 결제 승인 확인부, 상기 결제 승인 확인부가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에 상기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전력 공급 요청부, 상기 개폐기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하는 에너지 공급정보 생성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하는 충전 종료 확인부 및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결제 정보, 상기 개폐기 ID 및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칩은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고, 탈착이 가능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고,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및 단말기 국제고유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 옵션 정보는 상기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옵션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에 관한 정보에 따른 충전 시간과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불식 결제방법을 등록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상기 선불식 결제방법을 통해 결제가 실행되었음을 승인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사용자가 후불식 결제방법을 등록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에게 미납정보가 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사용자가 충전식 결제방법을 등록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기 충전한 금액에서 소정의 액수가 차감되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ID는 상기 개폐기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기에 연결된 콘센트가 복수인 경우, 상기 개폐기 ID는 복수의 상기 콘센트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저장된 배터리 잔량, 충전량, 충전 시간 및 충전 요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기 전,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충전 종료 확인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가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소에 전송할 때, 상기 무선 통신망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하여,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소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핫스팟(Hotspot),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선 통신망은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상기 개폐기 ID가 개폐기에 부여된 개폐기 ID와 동일한 개폐기 ID인지 확인하고, ID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개폐기 ID 확인부, 상기 ID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개시부 및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충전과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개폐기가 상기 콘센트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부를 포함하는 개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상기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에 상기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기 전,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하여,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개폐기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 ID가 상기 개폐기에 부여된 개폐기 ID와 동일한 개폐기 ID인지 확인하고 ID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D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충전과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개폐기가 상기 콘센트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은 급속충전기 인프라 증설 없이도 기존 콘센트를 활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은 사용자의 전기 사용량과 충전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과금 시 정확한 정보를 사용자 및 사용처에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은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에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에너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요청부가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 배터리(100),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 및 개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100)는 전기 자동차(110)에 구비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100)는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 변환하여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100)라면 가능하다.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충전 배터리(100)와 콘센트(3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충전 배터리(100)와 콘센트(30) 사이에 연결되기 위해,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충전 배터리 연결부(20)와 콘센트 연결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 연결부(20)는 전기 자동차(110)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100)와 연결되고, 콘센트 연결부(21)는 콘센트(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배터리 연결부(20) 및 콘센트 연결부(21)는 표준화된 규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력 공급소(400)는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분배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
전력 공급소(400)는 에너지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기관 또는 단체가 운용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콘센트(30)는 전력 공급소(400)가 에너지를 에너지 제공소(900)에 공급하기 위한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에너지 제공소(900)에 설치된 콘센트(30)에 콘센트 연결부(21)를 연결하는 방법으로 에너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30)는 공공 주차장에 설치된 220V 콘센트 또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220V 콘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전력 공급소(400)가 공급하는 에너지를 콘센트(30)를 통해서 제공받고, 소정의 과정을 거쳐 충전 배터리(100)에 전달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받은 후, 결제 인증 서버에 결제 승인 메시지를 요청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결제 인증 서버를 통해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300)에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개폐기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충전 배터리(100)에 공급하고,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하여,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수 있다.
충전 배터리(100)에 충전이 종료되면,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사용자로부터 기 입력한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개인화 칩(211), 패스워드 확인부(213), 충전옵션 수신부(215), 결제 승인 확인부(217), 전력 공급 요청부(219), 배터리 관리 시스템(221), 에너지 공급정보 생성부(223),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225), 충전 종료 확인부(227) 및 표시부(229)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 칩(211)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화 칩(211)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인화 칩(210)은 탈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고유정보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의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및 단말기 국제고유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고유 정보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패스워드 확인부(213)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30)와 전기 자동차(110)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100)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수신한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수신한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하면, 충전 옵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충전옵션 수신부(215)는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충전 옵션 정보는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옵션 수신부(215)는 사용자로부터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에 관한 정보에 따른 충전 시간과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옵션 정보는 효율적인 충전을 위해 소비가 많은 과부하 시간대를 피하여 전기를 분산 공급하는 충전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충전 옵션 정보를 습득하여 선택적으로 충전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옵션 정보는 시간제 충전방식, 요금제 충전 방식, 전력 종량제 충전방식에 대한 정보와 충전 배터리(100)의 충전량, 충전 시간 및 충전 요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승인 확인부(217)는 충전 옵션 정보,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전송하고,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불식 결제방법(예를 들어, 신용카드 결제 방법)을 결제 인증 서버에 등록한 경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신용카드를 통해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승인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후불식 결제방법(예를 들어, 고지서에 의한 전기요금 납부 방법)을 등록한 경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전기요금 미납정보가 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충전식 결제방법(예를 들어, T-money에 의한 결제 방법)을 등록한 경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사용자가 기 충전한 금액에서 소정의 액수가 차감되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결제 승인 확인부(217)는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으로 충전 옵션 정보,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핫스팟(Hotspot),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은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력 공급 요청부(219)는 결제 승인 확인부(217)가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300)에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잠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결제 승인 확인부(217)는 결제 승인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02에서 결제 승인 확인부(217)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메시지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력 공급 요청부(219)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전력 공급 요청부(219)는 표시부에 개폐기 ID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입력받을 때까지 대기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기 ID는 개폐기(300)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개폐기(300)에 연결된 콘센트(30)가 복수인 경우, 개폐기 ID는 복수의 콘센트(30)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사용자는 전력 공급소(900)에 구비된 개폐기 ID를 확인하고, 단계 S405에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개폐기 ID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기 ID는 GATEN1394가 될 수 있고, 개폐기 ID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406에서 전력 공급 요청부(219)는 개폐기 ID를 획득하고, 단계 S407에서 획득한 개폐기 ID를 개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개폐기(300)가 개폐기 ID를 수신하면, 개폐기(300)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21)은 개폐기(300)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충전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21)은 외부전원 입력부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압 라인을 따라 충전 배터리(100)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221)은 충전 배터리(100)의 방전 전류를 감지하고, 충전 배터리(100) 방전 전류에 상응하는 한계전압 데이터로부터 감지된 방전 전류에 상응하는 충전 배터리(100)의 한계 전압을 추출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정보 생성부(223)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21)을 통해 충전 배터리(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공급정보는 충전 배터리(100)에 저장된 배터리 잔량, 충전량, 충전 시간 및 충전 요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225)는 에너지 공급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공급소(400)는 수신한 에너지 공급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225)는 에너지 공급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거리에서도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에너지 공급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 충전 진행 상태와 종료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228)가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에너지 공급정보를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때, 무선 통신망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하여, 전력 공급소(400)가 에너지 공급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전력 공급소(400)가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에너지 공급정보를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228)는 전력 공급소(400)가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는지 확인하기 위해, 전력 공급소(400)로부터 정상 수신 메시지(예를 들어, ACK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주기적 또는 비 주기적으로 에너지 공급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 종료 확인부(227)는 충전 배터리(100)에 충전이 종료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충전을 시작할 때 입력한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충전을 개시하기 위해 입력한 패스워드가 ABCD1234인 경우, 충전 종료 확인부(227)는 ABCD1234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것을 표시부(229)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ABCD1234를 다시 입력하면, 충전 종료 확인부(227)는 패스워드의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충전 과정이 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사용자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를 콘센트(30) 또는 충전 배터리(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정상적인 종료 여부를 알려주기 위해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는 충전 배터리(100)에 충전이 종료되기 전,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30)에서 분리되거나. 충전 배터리(100)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하는 경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는 충전 배터리(100)에 충전이 종료된 후, 충전 종료 확인부(227)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지 못하고,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30) 및 충전 배터리(1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229)는 충전 옵션 정보, 결제 정보, 개폐기 ID 및 에너지 공급정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29)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에 일체형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29)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 싱글-칩 디엘피 프로젝터(Single-chip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쓰리-칩 디엘피 프로젝터(Three-chip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 씨알티(CRT,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엘씨에스(LCS, Liquid Crystal on Silicon), 투명 스크린 홀로그래픽 이미지(Holographic Images on Transparent Screen),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ED 및 플렉서블 LED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는 개폐기 ID 확인부(301), 전력 공급 개시부(303) 및 전력 차단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기 ID 확인부(301)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 ID가 개폐기(300)에 부여된 개폐기 ID와 동일한 개폐기 ID인지 확인하고, ID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전력 공급 개시부(303)는 ID 확인 메시지에 따라,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차단부(305)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30)에서 분리되거나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충전과정이 종료된 경우, 개폐기(300)가 콘센트(30)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1에서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30)와 전기 자동차(110)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100)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충전 옵션 정보,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하고,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300)에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 공급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개폐기(300)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충전 배터리(100)에 공급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충전 배터리(1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에너지 공급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너지 공급정보를 무선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때, 무선 통신망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하여, 전력 공급소(400)가 에너지 공급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전력 공급소(400)가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에너지 공급정보를 전력 공급소(4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509에서 충전 배터리(100)에 충전이 종료되기 전,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 또는 충전 배터리(100)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된 후,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지 못하고,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 또는 충전 배터리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701에서 개폐기(300)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개폐기 ID가 개폐기(300)에 부여된 개폐기 ID와 동일한 개폐기 ID인지 확인하고 ID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ID 확인 메시지에 따라,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200)가 콘센트(30)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충전과정이 종료된 경우, 개폐기가 콘센트(30)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결합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상기 두 가지의 결합에서 직접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부착 가능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어떤 다른 형상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와 결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래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그리고 정보를 그 저장 매체에 쓸 수 있도록 한다. 대안으로, 상기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그 ASIC은 사용자 단말 내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 별도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모든 프로세스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들이나 프로세서들에 의해서 실행된 소프트웨어 코드 모듈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그 소프트웨어 코드 모듈들을 경유하여 완전히 자동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코드 모듈들은 임의 유형의 컴퓨터-독출가능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의 집합 상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방법들 중 몇몇 또는 모두는 전문화된 컴퓨터 하드웨어 내에서 대안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모든 방법들 및 태스크들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서 실행되고 그리고 충분히 자동화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몇몇의 경우들에서, 상기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고 그리고 상호 동작하는 다중의 개별 컴퓨터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물리적인 서버들, 워크스테이션들, 저장 어레이들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컴퓨팅 디바이스 각각은 메모리 또는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독출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어들 또는 모듈들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 (또는 다중 프로세서들 또는 회로 또는 회로들의 집합, 예를 들면 모듈)를 포함하는 것이 보통이다. 비록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 중 몇몇 또는 모두는 컴퓨터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특정 회로 (예를 들면, ASIC들 또는 FPGA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지만, 그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은 그런 프로그램 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여러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때에, 이 디바이스들은 같은 장소에 배치되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같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개시된 방법들 및 태스크들의 결과들은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칩들 및/또는 자기 디스크들과 같은 변환 물리 저장 디바이스들에 의해서 상이한 상태로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 콘센트
20 : 충전 배터리 연결부
21 : 콘센트 연결부
100 : 충전 배터리
110 : 전기 자동차
200 :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211 : 개인화 칩
213 : 패스워드 확인부
215 : 충전옵션 수신부
217 : 결제 승인 확인부
219 : 전력 공급 요청부
221 : 배터리 관리 시스템
223 : 에너지 공급정보 생성부
225 :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
227 : 충전 종료 확인부
229 : 표시부
300 : 개폐기
301 : 개폐기 ID 확인부
303 : 전력 공급 개시부
305 : 전력 차단부
400 : 전력 공급소
500 : 사용자 단말기
900 : 에너지 제공소

Claims (15)

  1.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개인화 칩;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패스워드 확인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상기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옵션 수신부;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신하는 결제 승인 확인부;
    상기 결제 승인 확인부가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에 상기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의 공급을 요청하는 전력 공급 요청부;
    상기 개폐기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전력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하는 에너지 공급정보 생성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하는 충전 종료 확인부; 및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결제 정보, 상기 개폐기 ID 및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칩은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고, 탈착이 가능한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고,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의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ESN),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및 단말기 국제고유 식별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옵션 정보는 상기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옵션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전력의 시간대별 가격에 관한 정보에 따른 충전 시간과 충전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선불식 결제방법을 등록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상기 선불식 결제방법을 통해 결제가 실행되었음을 승인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사용자가 후불식 결제방법을 등록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에게 미납정보가 검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는 메시지이고,
    상기 사용자가 충전식 결제방법을 등록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는 상기 사용자가 기 충전한 금액에서 소정의 액수가 차감되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ID는 상기 개폐기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기에 연결된 콘센트가 복수인 경우, 상기 개폐기 ID는 복수의 상기 콘센트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저장된 배터리 잔량, 충전량, 충전 시간 및 충전 요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기 전,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충전 종료 확인부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하는 경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 전송부가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소에 전송할 때,
    상기 무선 통신망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하여,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핫스팟(Hotspot),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유선 통신망은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10.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상기 개폐기 ID가 개폐기에 부여된 개폐기 ID와 동일한 개폐기 ID인지 확인하고, ID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개폐기 ID 확인부;
    상기 ID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개시부; 및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에서 분리되거나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충전과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개폐기가 상기 콘센트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 차단부;
    를 포함하는 개폐기.
  11.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와 전기 자동차에 구비된 충전 배터리 사이에 연결되면,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고, 상기 패스워드가 기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상기 기 등록된 패스워드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충전 옵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충전 옵션 정보, 상기 고유정보 및 결제 정보를 결제 인증 서버에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결제 인증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결제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고, 개폐기에 상기 개폐기 ID를 전송하여 전력 공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충전 배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에너지 공급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와 동일한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여 충전과정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되기 전,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충전이 종료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패스워드를 다시 수신하지 못하고,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상기 콘센트 및 상기 충전 배터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서 분리된 경우,
    경보음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망 및 상기 유선 통신망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망의 일시적인 장애로 인하여,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전력 공급소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때까지, 상기 에너지 공급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소에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4. 개폐기가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로부터 개폐기 I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폐기 ID가 상기 개폐기에 부여된 개폐기 ID와 동일한 개폐기 ID인지 확인하고 ID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ID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가 콘센트에서 분리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충전과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개폐기가 상기 콘센트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의 전기 자동차 충전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140019836A 2014-02-20 2014-02-20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150098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36A KR20150098489A (ko) 2014-02-20 2014-02-20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836A KR20150098489A (ko) 2014-02-20 2014-02-20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89A true KR20150098489A (ko) 2015-08-28

Family

ID=5405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836A KR20150098489A (ko) 2014-02-20 2014-02-20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4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2005A1 (ko) * 2016-05-02 2017-11-09 주식회사 차지인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70124456A (ko) * 2016-05-02 2017-11-10 주식회사 차지인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90103925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제이에스데이터시스템즈(주)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2005A1 (ko) * 2016-05-02 2017-11-09 주식회사 차지인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70124456A (ko) * 2016-05-02 2017-11-10 주식회사 차지인 충전 방법 및 장치
KR20190103925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제이에스데이터시스템즈(주)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KR20210007021A (ko) * 2018-02-28 2021-01-19 박지호 차량 충전 방법, 단말기 및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6873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using an SAE standard and user terminal
US9688155B2 (en) Authentication and pairing of a mobile device to an external power source
US20140375247A1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US20110221389A1 (en) Wireless power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107040026B (zh) 无线充电方法和装置、微基站及移动终端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TW202002459A (zh) 無線充電的電源管理系統及其方法
US20120143423A1 (en) Determination of amounts of energy drawn
US20180278091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ES2475565T3 (es) Provisión inalámbrica de datos de medición de electricidad a partir de un evento de carga de electricidad
WO2017025020A1 (zh) 电动汽车智能充电系统和方法
JP2012098798A (ja) 充電システム
US2014031284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communication
JP2012161241A (ja) 電動車両用給電システム
CN103956788A (zh) 一种充电装置、充电系统及方法
KR101948774B1 (ko) 전기 자동차 충전용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활용한 충전 방법
EP2685585A1 (en)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battery
KR20160088135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검침시스템 및 그 검침방법
EP4215406A1 (en) Active pairing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lan-based smart charging or smart charging and discharging
KR20150098489A (ko) 휴대용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9096137B2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battery
KR20180003996A (ko) 전기차 충전 케이블에 탑재되는 인-케이블 컨트롤 박스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140116047A (ko)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 전력 요금 결제 시스템을 위한 전력량 계량 장치,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21973A1 (en) Method of electrical charging
CN204131147U (zh) 一种充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