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435A -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435A
KR20150098435A KR1020140019710A KR20140019710A KR20150098435A KR 20150098435 A KR20150098435 A KR 20150098435A KR 1020140019710 A KR1020140019710 A KR 1020140019710A KR 20140019710 A KR20140019710 A KR 20140019710A KR 20150098435 A KR20150098435 A KR 2015009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information
data characteristic
mode
synta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435A/ko
Priority to US15/115,088 priority patent/US20160345056A1/en
Priority to PCT/KR2015/001535 priority patent/WO2015126113A1/ko
Priority to EP15752171.7A priority patent/EP3110163A4/en
Publication of KR2015009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1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using Advanced Video Coding [AV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합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상술한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합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멀티미디어 컴퓨터 응용 및 멀티미디어 통신 등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에 기초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영상 신호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매우 중요한 미디어이다.
최근에 차세대 동영상 압축 기술로써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H.263, MPEG-4 Visual 비디오 압축 부호화 표준보다 압축성능이 향상된 H.264/AVC 비디오 부호화 표준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H.264/AVC 비디오 부호화 표준은 디지털 TV, 위성 및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차세대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연동하면서 다채널 고화질의 영상압축, 인터넷, 케이블 모뎀,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전달, 디지털 데이터 방송 등과 같은 동영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동영상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의 하나로 복수의 동영상을 합성 또는 결합하여 제공하는 동영상 합성 서비스가 있다. 동영상 합성 서비스에서는 동일한 코덱(예컨대, H.264/AVC)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복수의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서, 소정의 포맷으로 배치된 합성 영상의 비트스트림을 제공한다. 출력되는 합성 영상의 비트스트림도 입력되는 비트스트림과 동일한 코덱으로 부호화된 데이터이다. 합성 영상은 입력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합성 영상을 구성하는 각 입력 영상의 위치 및 크기 등, 즉 합성 영상의 포맷은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입력 영상의 합성은 미리 결정된 합성 영상의 포맷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복수의 입력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합성 영상의 비트스트림을 출력하기 위한 종래의 동영상 합성 방식으로는,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들을 복호한 후에 재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H.264/AVC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동영상 비트스트림을 이용하여 합성 영상의 비트스트림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 우선 입력되는 N개의 비트스트림을 복호하여 각 영상을 복원한 다음, 복원된 N개의 영상 전부 또는 일부를 가지고 소정의 포맷을 갖는 합성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합성 영상을 다시 H.264/AVC에 기초하여 부호화함으로써 부호화된 합성 영상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화소영역 처리방식은 합성하는 영상의 개수만큼 비트스트림을 복호한 후에 이를 소정의 포맷으로 합성하며 합성 영상을 다시 부호화한다. 따라서 화소영역 처리방식에 의하면, 복호화/부호화 처리를 거치므로 영상 합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며, 복호화와 부호화를 모두 수행하여 하므로 하드웨어도 복잡해지고, N개의 영상에 대한 복호화/부호화 연산으로 합성하는 시간이 저하될 수가 있다. 또한, 합성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복호된 동영상을 저장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버퍼를 사용해야 하므로 버퍼 사용량이 많아질 수 있다.
종래에는 서로 디코딩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인지 확인하는 과정 없이, 재인코딩(reencoding) 혹은 트랜스코딩(transcoding) 기법을 통해 합성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다. 재인코딩은 N개의 디코더와 1개의 인코더를 동작시켜야 하기 때문에 모바일 환경에서는 소모전류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헤더의 구문(syntax)을 비교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할 시 재인코딩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헤더의 구문(syntax)을 비교하여, 합성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헤더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비디오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헤더의 구문(syntax)을 비교하여, 재인코딩 없이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할 수 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할 시 재인코딩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재인코딩 횟수를 최소화함으로써, 디코더 및 인코딩에 따른 소모전류와 CPU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내의 상세한 비디오 처리 모듈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헤더를 비교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위한 헤더를 비교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N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N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 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101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 100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 101은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통신 인터페이스 160 및 비디오처리 모듈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110은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술한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 신호(예: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120는,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전술한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 170)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 170은 상기 프로세서 120 내부에 포함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와 독립적인 구성요소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는,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상기 디스플레이 15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비디오처리 모듈 17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30는, 예를 들면, 커널 131, 미들웨어 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33 또는 어플리케이션 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널 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 131은 상기 미들웨어 132,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이 상기 전자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이 상기 커널 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 13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상기 버스 110, 상기 프로세서 120 또는 상기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 133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이 상기 커널 131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합성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는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상기 전자장치 101와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 102 또는 전자장치 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전자장치 101 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 102 또는 전자장치 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 102 또는 전자장치 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장치 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 102 또는 전자장치 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턴 온(turn on)/턴 오프(turn off)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을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상기 외부 전자장치(예: 전자장치 102 또는 전자장치 104)의 속성(예: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134은 전자장치 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장치(예: 서버 106, 전자장치 102 또는 전자장치 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센서(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입력 장치(예: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비디오처리 모듈 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서 1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예를 들면, 상기 버스 110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또는 상기 비디오처리 모듈 17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은 상기 프로세서 120를 통하여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상기 전자장치 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2, 전자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네트워크 통신 162(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근거리 통신 164(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유선 통신(예: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 10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또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은 상기 API 133 또는 상기 미들웨어 132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 102, 104 각각은 상기 전자장치 101와 동일한 (예: 같은 타입의) 장치이거나 또는 다른 (예: 다른 타입의)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비디오처리 모듈 17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상기 프로세서 120, 상기 메모리 130,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 또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 등)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디오처리 모듈 170은 상기 프로세서 120를 이용하여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전자장치 101이 다른 전자 기기(예: 전자장치 102, 전자장치 104, 또는 서버 106)와 연동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하도록 상기 전자장치 101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예: 전자장치 101)의 비디오처리 모듈 170의 블록도 200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비디오처리 모듈 170은 획득 모듈 210, 파싱 모듈 220, 결정 모듈 230 및 결합 모듈 240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 모듈 210은, 예를 들면,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2)와의 제 1 근거리 통신(예: 근거리 통신 164)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2)에 촬영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2)의 메모리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획득 모듈 210은, 네트워크 162를 통해,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4, 서버 106)로부터 상기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4, 서버 106)에 촬영되고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장치(예: 전자장치 104, 서버 106)의 메모리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파싱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외부 장치(102, 104, 106)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비트스트림 헤더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하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코덱 정보를 검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264 콘텐츠의 경우, H.264 의 SPS(Sequence Parameter Set) 및 PPS(Picture Parameter Set) 정보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PPS는 연속된 여러 슬라이스(Slice)들을 포함한 한 장의 픽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SPS는 연속된 몇 장의 픽쳐들을 포함한 시퀀스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예컨대, PPS 정보는 SPS에서 정의하는 범위보다 세부적인 정보를(Picture 부호화 정보, Decoding Parameter 등)를 포함할 수 있고, SSP 정보는 H.264 프로파일(Profile), 레벨(Level) 등 시퀀스(sequence) 전체 부호화 정보로서 해상도(Resolution), 비디오 포맷(Video Format)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SPS 및 PPS 외에 다른 추가 헤더가 더 포함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파싱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그리고 SPS 및 PPS 정보는 메모리(130)나 별도의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결정 모듈 230은, 파싱 모듈 220로부터 파싱된 다수 데이터 스트림 정보(예컨대, SPS 정보 및 PPS 정보)를 비교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 또는 결합할 때, 재인코딩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파싱된 다수 SPS 정보 및 PPS 정보 중 기준 SPS 정보 및 PPS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SPS 정보 및 PPS 정보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SPS 정보 및 PPS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결합 모듈 240은, 상기 결정 모듈 230의 결과에 기반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비디오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가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3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모드는 적어도 한번의 재인코딩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재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와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특성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오거나, 혹은, 다른 전자장치 내에서 저장되어 있는 혹은 생성되고 있는 콘텐츠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들은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는 H.264/AVC 포맷의 비트스트림이거나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및 PPS(Picture Parameter Set) 헤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300 동작에서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는 근거리통신 혹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장치에 의해 촬영 중인 동영상 스트림 또는 다른 전자장치의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장치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로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302 동작에서 획득된 적어도 둘 이상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에 있는 데이터 스트림 헤더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예컨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로 파싱하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과 관련된 코덱 정보를 검출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H.264 콘텐츠의 경우, H.264 의 SPS 및 PPS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상기 파싱된 영상 및 오디오 데이터 그리고 SPS 및 PPS 정보는 메모리(130)나 별도의 저장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304 동작에서 파싱된 다수 디코딩 정보(예컨대, SPS 정보 및 PPS 정보)를 비교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 또는 결합할 때, 재인코딩을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로부터 파싱된 다수 SPS 정보 및 PPS 정보 중 기준 SPS 정보 및 PPS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된 SPS 정보 및 PPS 정보와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다른 SPS 정보 및 PPS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306 동작에서 재인코딩을 수행할지 여부에 따라,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디코딩 헤더를 비교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400 동작에서 코덱 고유정보(codec specific data)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n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예: H.264/AVC 데이터)는 각각 SPS/PPS 정보와 순수 동영상 압축데이터(이하, 페이로드라 칭함)를 포함하며, SPS/PPS 정보와 페이로드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파일포맷(예: MP4 file format)으로 먹싱(muxing)되며 파일포맷 내에 n개의 SPS/PPS는 코덱 고유정보로 칭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402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코덱 고유정보에서 헤더 정보(예컨대, SPS/PPS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404 동작에서 n개 SPS 데이터의 구문(syntax)을 각각 분석하여 그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406 동작에서 n개 PPS 데이터의 구문(syntax)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408 동작에서 하나의 SPS/PPS 데이터의 구문(syntax)을 선택하여, 선택된 SPS/PPS 데이터의 구분과 다른 n-1개 SPS/PPS 데이터의 구문을 각각 비교하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드는 제1 모드, 제2 모드, 제3 모드로 구분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3개의 모드로 제한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모드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가 모두 동일한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 중 일부 구문 값이 상이하지만 재인코딩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모드이고, 상기 제3 모드는 재인코딩을 수행해야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모드는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가 모두 상이하거나 혹은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 중 일부 구문 값이 상이하며 상기 상이한 일부 구문 값이 디코딩에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드이다.
다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 또는 결합할 시 재인코딩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 비디오 코어(Video Core)가 추가로 필요하지 않지만, 재인코딩 동작이 필요하게 되면 n개의 디코더와 1개의 인코더가 동작해야 한다.
또한, 재인코딩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되면 전송된 데이터 비트스트림을 단순히 연결하여 붙일 수 있다. 그리고, 많은 비디오 코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소모전류를 절약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410 동작에서 제3 모드인 경우 413 동작에서 재인코딩을 수행하고, 414 동작에서 상기 제3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410 동작에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인 경우 412 동작에서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예: SPS/PPS 정보)를 생성하고, 414 동작에서 결정된 모드와 상기 결정된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가 결정되면, 입력된 SPS/PPS 정보는 서로 다른 구문은 존재하나 디코딩 시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일부 구문은 디코딩 시 도움을 주기 위한 부가정보(예: 비디오의 표시정보에 관한 데이터인 VUI(video usability information) 파라미터)이므로 서로 상이해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VUI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SPS/PPS 정보와 VUI 파라미터가 없는 SPS/PPS 정보가 같이 존재할 경우 VUI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VUI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SPS/PP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디코딩 호환성을 위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SPS/PPS 정보를 선택하거나 새롭게 SPS/PPS 정보를 모드에 따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새로운 SPS/PPS 정보를 생성할 때 모드에 따라, constraint_set0_flag, constraint_set1_flag, constraint_set2_flag, constraint_set3_flag, level_idc, num_ref_frames, vui_parameters_present_flag 구문들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상기 constraint_set_flag 값은 baseline, main, high profile에 적합한 비트스트림(bitstream)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로써, 인코더에 따라 constraint_set_flag 값이 다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인코더에서 constraint_set_flag를 잘못 생성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복호화시 전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입력된 n개의 비트스트림의 constraint_set_flag 는 비트스트림의 특정 프로파일에서 디코딩 가능성을 가리키지만 실제 디코더는 디코딩 시 이 값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dc는 인코딩된 비트스트림의 프로파일을 나타내며, baseline, main, extended, high, high 10 등이 있다. 프로파일에 따라 사용되는 툴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프로파일이 다르면 재인코딩을 해야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constraint_set0_flag 값이 true이면 baseline profile에 충족하는 비트스트림임을 나타내고, constraint_set1_flag 값이 true이면 main profile에 충족하는 비트스트림임을 나타내고, constraint_set2_flag 값이 true이면 extended profile에 충족하는 비트스트림임을 나타내고, constraint_set3_flag 값이 true이면 high profile에 충족하는 비트스트림임을 나타낸다.
상기 level_idc은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할 수 있는 시스템 사양(capability)를 나타내는 값으로, 입력된 n 개의 비트스트림에서 이 값이 다르더라도 새로 생성하는 SPS 정보에 가장 큰 값이 사용된다면 복호화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A영상은 레벨이 3.1이고 B영상은 4.0이라면 레벨을 4.0으로 설정해도 A영상 복호화는 문제가 발생할지 않을 수 있다.
상기 num_ref_frames는 참조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최대 값은 16 프레임이며 레벨에 따라 최대 값이 결정될 수 있다. n 개의 비트스트림에서 이 값이 다르다면 가장 큰 값으로 사용해도 복호화에 문제가 발생할지 않을 수 있다.
상기 vui_parameters_present_flag는 vui 구문이 존재하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써, vui 정보는 디코딩 시 메모리 효율이나 영상의 부가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디코딩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n 개의 비트스트림에 vui 데이터가 있는 비트스트림이 있다면 새로운 SPS에는 vui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 헤더를 비교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합성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전자장치는 500 동작에서 파싱된 n개 SPS/PPS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준이 되는 헤더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파싱된 n개 SPS/PPS 정보 중 하나는 랜덤하게 선택되거나, 상기 전자장치에서 촬영하고 있는 동영상 스트림 혹은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에 대응하는 SPS/PPS 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준이 되는 SPS/PPS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502 동작에서 기준 헤더(예: PPS/SPS)의 구문(예: constraint_set0_flag, constraint_set1_flag, constraint_set2_flag, constraint_set3_flag, level_idc, num_ref_frames, vui_parameters_present_flag, VUI 파라미터 등등)과 각각의 다른 헤더(예: 선택되지 않은 PPS/SPS)의 구문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504 동작에서 헤더의 일부 구문 또는 전체 중요한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512 동작에서 제3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는 재인코딩을 수행해야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모드는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가 모두 상이하거나 혹은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 중 일부 구문 값이 상이하며 상기 상이한 일부 구문 값(예: profile_idc, pic_order_cnt)이 디코딩에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드이다.
전자장치는 504 동작에서 헤더의 일부 구문 또는 전체 중요한 구문이 일치하는 경우, 506 동작에서 헤더의 일부 중요하지 않은 구문 또는 전체 중요하지 않은 구문(예: constraint_set0_flag, constraint_set1_flag, constraint_set2_flag, constraint_set3_flag, level_idc, num_ref_frames, vui_parameters_present_flag 등)이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헤더의 일부 중요하지 않은 구문 또는 전체 중요하지 않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510 동작에서 제2 모드로 설정하고 제2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를 새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 중 일부 구문 값이 상이하지만 재인코딩을 할 필요는 없는 모드이다.
상기 제2 모드가 결정되면, 입력된 SPS/PPS 정보는 서로 다른 구문은 존재하나 디코딩 시 큰 영향을 주지 않고, 일부 구문은 디코딩 시 도움을 주기 위한 부가정보(예: 비디오의 표시정보에 관한 데이터인 VUI(video usability information) 파라미터)이므로 서로 상이해도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VUI 파라미터가 존재하는 SPS/PPS 정보와 VUI 파라미터가 없는 SPS/PPS 정보가 같이 존재할 경우 VUI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VUI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 SPS/PPS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디코딩 호환성을 위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SPS/PPS 정보를 선택하거나 새롭게 SPS/PPS 정보를 모드에 따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VUI 파라미터, constraint_set0_flag, constraint_set1_flag, constraint_set2_flag, constraint_set3_flag, level_idc, num_ref_frames, vui_parameters_present_flag 구문들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두 개의 서로 다른 구문이 적용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는 디코딩 호환성을 위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SPS/PPS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입력된 n개의 비트스트림의 constraint_set_flag가 다를 경우, 기준 비트스트림 값을 사용하거나, profile_idc를 이용해 올바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vel_idc은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할 수 있는 시스템 사양(capability)를 나타내는 값으로, 입력된 n 개의 비트스트림에서 이 값이 다르더라도 새로 생성하는 SPS 정보에 가장 큰 값이 사용된다면 복호화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A영상의 상기 level_idc 레벨이 3.1이고 B영상의 상기 level_idc 레벨이 4.0이라면 상기 level_idc 레벨을 4.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num_ref_frames 값이 다르다면 가장 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vui_parameters_present_flag이 상이한 경우, VUI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는 506 동작에서 헤더의 일부 중요하지 않은 구문 또는 전체 중요하지 않은 구문(예: constraint_set0_flag, constraint_set1_flag, constraint_set2_flag, constraint_set3_flag, level_idc, num_ref_frames, vui_parameters_present_flag 등)이 일치하는 경우, 즉, 기준 헤더 정보의 구문과 다른 헤더 정보의 구문이 전체 일치하는 경우, 508 동작에서 제1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는 입력으로 들어온 n개의 SPS/PPS 정보가 모두 동일한 모드이다. 예컨대, 상기 제1 모드는 n개의 SPS/PPS 정보가 모두 동일할 경우로, 상기 제1 모드에 대응하는 헤더 정보는 기준 헤더 정보가 되거나 혹은 n개의 SPS/PPS 정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N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의 (a)는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600, 610, 630)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600)는 SPS(601), PPS(602), 제1 페이로드(603)를 포함하고,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610)는 SPS(611), PPS(612), 제2 페이로드(613)를 포함하고, 제n 멀티미디어 콘텐츠(630)는 SPS(631), PPS(632), 제n 페이로드(6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의 (b)는 SPS/PPS 헤더 정보를 비교하여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600, 610, 630)를 합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모드 혹은 제2 모드로 설정될 시, 재인코딩 없이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600, 610, 630)들은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SPS/PPS 정보가 생성되어 각각의 페이로드 앞에 첨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 6의 (c)는 SPS/PPS 헤더 정보를 비교하여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600, 610, 630)를 합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모드 혹은 제2 모드로 설정될 시, 재인코딩 없이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600, 610, 630)들은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대표 SPS/PPS 정보(601', 602')가 생성되어 제1 페이로드(603) 앞에 첨부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N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스트림을 합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의 (a)는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710, 730)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는 SPS(701), PPS(702), 제1 페이로드(703) 및 SPS(704), PPS(705), 제2 페이로드(705)를 포함하고,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710)는 SPS(711), PPS(712), 제2 페이로드(713)를 포함하고, 제n 멀티미디어 콘텐츠(730)는 SPS(731), PPS(732), 제n 페이로드(7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7의 (b)는 SPS/PPS 헤더 정보를 비교하여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710, 730)를 합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모드 혹은 제2 모드로 설정될 시, 재인코딩 없이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710, 730)들은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SPS/PPS 정보가 생성되어 각각의 페이로드 앞에 첨부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는 두 개의 SPS/PPS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2 페이로드(706) 다음에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710)가 결합되는 경우에,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의 SPS(704) 및 PPS(705)와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710)의 SPS(711) 및 PPS(712)가 비교되어, 재인코딩이 필요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내에 다수의 SPS 및 PPS가 존재하는 경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내에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710)가 결합될 위치에 따라, 비교될 SPS 및 PPS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도 7의 (b)에서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의 제1 페이로드(703) 중간에 혹은 제1 페이로드(703) 다음에 바로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710)가 결합될 경우,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의 SPS(701) 및 PPS(702)와 제2 멀티미디어 콘텐츠(710)의 SPS(711) 및 PPS(712)가 비교될 수 있다.
상기 도 7의 (c)는 SPS/PPS 헤더 정보를 비교하여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710, 730)를 합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모드 혹은 제2 모드로 설정될 시, 재인코딩 없이 n개의 H.264/AVC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700, 710, 730)들은 해당 모드에 대응하는 대표 SPS/PPS 정보(704', 705')가 생성되어 제1 멀티미디어 콘텐츠(700)의 제2 페이로드(706) 앞에 첨부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를 이용한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비교하는 동작;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가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3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모드는 적어도 한번의 재인코딩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재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와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특성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오는 동작; 혹은, 다른 전자장치 내에서 저장되어 있는 혹은 생성되고 있는 콘텐츠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들은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는 H.264/AVC 포맷의 비트스트림이고,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및 PPS(Picture Parameter Set) 헤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 801의 블록도 800를 도시한다. 상기 전자장치 80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장치 8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810,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814, 메모리 820, 통신 모듈 830, 센서 모듈 840, 사용자 입력 모듈 850, 디스플레이 모듈 860, 인터페이스 870, 오디오 코덱 880, 카메라 모듈 891, 전력관리 모듈 895, 배터리 896, 인디케이터 897 또는 모터 89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810(예: 상기 프로세서 120)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811 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8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AP 811 및 상기 CP 813가 프로세서 810 내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AP 811 와 상기 CP 813는 서로 다른 IC 패키지들 내에 각각 포함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811 및 상기 CP 813는 하나의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AP 811는 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AP 811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 811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 8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P 813는 상기 전자장치 800(예: 상기 전자장치 101)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른 전자장치들(예: 전자장치 102, 전자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에서 데이터 링크를 관리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P 813는, 예를 들면,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P 813는 멀티미디어 제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CP 813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 81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 813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메시지 또는 패킷 데이터(packet data) 등의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P 813는 상기 통신 모듈 83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CP 813, 상기 전력관리 모듈 895 또는 상기 메모리820 등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AP 811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811가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적어도 일부(예: 상기 CP 813)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P 811 또는 상기 CP 813는 각각에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 811 또는 상기 CP 813는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814는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일 수 있으며, 전자장치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SIM 카드 814는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820(예: 상기 메모리 130)는 내장 메모리 822 또는 외장 메모리 8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장 메모리 82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예를 들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AND flash memory, NOR flash memory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장 메모리 822는 Solid State Drive (SSD)일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824는 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또는 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 82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전자장치 801과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 801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또는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 830(예: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160)은 무선 통신 모듈 831 또는 RF 모듈 8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모듈 831은, 예를 들면, WiFi 833, BT(bluetooth) 835, GPS 837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83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 831은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 모듈 831은 상기 전자장치 800를 네트워크(예: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telecommunication network, cellular network, satellite network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와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 LAN card) 또는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834은 데이터의 송수신, 예를 들면, RF 신호의 송수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 834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또는 LNA(low noise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모듈 834은 무선 통신에서 자유 공간상의 전자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부품, 예를 들면, 도체 또는 도선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장치 8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840A, 자이로 센서 840B, 기압 센서 840C, 마그네틱 센서 840D, 가속도 센서 840E, 그립 센서 840F, 근접 센서 840G, color 센서 8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840I, 온/습도 센서 840J, 조도 센서 8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840M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센서 모듈 8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미도시),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미도시),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미도시),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미도시), IR(infra red) 센서(미도시), 홍채 센서(미도시) 또는 지문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 8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 모듈 850은 터치 패널(touch panel) 8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854, 키(key) 8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8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 8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 8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8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패널 852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펜 센서 854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또는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키 8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키패드, 또는 터치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858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하는 입력 도구를 통해, 전자장치에서 마이크(예: 마이크 888)로 음파를 감지하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서, 무선 인식이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장치 800는 상기 통신 모듈 830를 이용하여 이와 연결된 외부 장치(예: 네트워크, 컴퓨터 또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860(예: 상기 디스플레이 150)은 패널 862, 홀로그램 864, 또는 프로젝터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은, 예를 들면, LCD(liquid-crystal display) 또는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일 수 있다. 상기 패널 8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패널 862은 상기 터치 패널 852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로그램 864은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8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예를 들면, 상기 전자장치 8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860은 상기 패널 862, 상기 홀로그램 864, 또는 프로젝터 86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870는,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872, USB(universal serial bus) 874,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 단자 876 또는 D-sub(D-subminiature) 87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87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6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인터페이스8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미도시)), SD(secure Digital)/MMC(multi-media card)(미도시)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은 소리(sound)와 전기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4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모듈 8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882, 리시버 884, 이어폰 886 또는 마이크 8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891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미도시), ISP(image signal processor, 미도시) 또는 플래쉬 (flash, 미도시)(예: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관리 모듈 895은 상기 전자장치 800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력 관리 모듈 895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예를 들면, 집적회로 또는 SoC 반도체 내에 탑재될 수 있다. 충전 방식은 유선과 무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IC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며, 충전기로부터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전 IC는 유선 충전 방식 또는 무선 충전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충전 IC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으로는,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이 있으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의 회로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8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896는 전기를 저장 또는 생성할 수 있고, 그 저장 또는 생성된 전기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 8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8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또는 태양 전자(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 897는 상기 전자장치 800 혹은 그 일부(예: 상기 AP 811)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모터 8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장치 800는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TV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우(media flow)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상기 프로세서 2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 220가 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밍 모듈 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들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는,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네트워크 환경 101: 전자장치
104: 전자장치 106: 서버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31: 커널
132: 미들웨어 13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134: 어플리케이션 140: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 디스플레이 160: 통신 인터페이스
162: 네트워크 170: 전원 인터페이스

Claims (24)

  1. 전자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비교하는 동작;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가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3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6. 제3항, 제4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는 적어도 한번의 재인코딩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재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와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특성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오는 동작;
    혹은, 다른 전자장치 내에서 저장되어 있는 혹은 생성되고 있는 콘텐츠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들은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H.264/AVC 포맷의 비트스트림이고,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및 PPS(Picture Parameter Set) 헤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전자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도록 설정된 전자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제1 모드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2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1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가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과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3 모드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의 설정된 제2 일부 구문은 디코딩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8. 제15항, 제16항,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는 적어도 한번의 재인코딩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이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를 재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결합하는 모드인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 또는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을 변경하여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데이터 특성 정보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콘텐츠와 상기 다른 데이터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특성 정보인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처리 모듈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전자장치 내에 저장된 콘텐츠를 읽어오거나,
    혹은, 다른 전자장치 내에서 저장되어 있는 혹은 생성되고 있는 콘텐츠를 상기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특성 정보의 구문들은 중요도에 따라 다수의 등급으로 구분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H.264/AVC 포맷의 비트스트림이거나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는 SPS(Sequence Parameter Set) 및 PPS(Picture Parameter Set) 헤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24.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를 획득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데이터 특성 정보들에 일부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재인코딩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19710A 2014-02-20 2014-02-20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98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710A KR20150098435A (ko) 2014-02-20 2014-02-20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US15/115,088 US20160345056A1 (en) 2014-02-20 2015-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PCT/KR2015/001535 WO2015126113A1 (ko) 2014-02-20 2015-02-16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EP15752171.7A EP3110163A4 (en) 2014-02-20 2015-02-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710A KR20150098435A (ko) 2014-02-20 2014-02-20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435A true KR20150098435A (ko) 2015-08-28

Family

ID=5387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710A KR20150098435A (ko) 2014-02-20 2014-02-20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45056A1 (ko)
EP (1) EP3110163A4 (ko)
KR (1) KR20150098435A (ko)
WO (1) WO20151261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2874A2 (en) * 2003-11-28 2006-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or decoding a bitstream
CN101253777A (zh) * 2005-07-01 2008-08-27 极速决件公司 用于在多媒体信号编码中使用的方法、装置和系统
US8320450B2 (en) * 2006-03-29 2012-11-27 Vidy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coding between scalable and non-scalable video codecs
KR101099784B1 (ko) * 2008-12-05 2011-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H.264 svc 데이터의 계층적 부호화를 이용한 mpeg-2 ts 파일 포맷 장치 및 그 방법
KR101053161B1 (ko) * 2009-07-22 2011-08-02 주식회사 엠씨넥스 H.264/avc 압축 영역에서의 동영상 합성 방법 및 장치
TWI415397B (zh) * 2010-05-19 2013-11-11 Mstar Semiconductor Inc 媒體編碼系統、量化係數編碼裝置及量化係數編碼方法
JP5341952B2 (ja) * 2011-05-30 2013-11-13 株式会社東芝 ビデオサーバ及びデータ収録再生方法
EP2568711A1 (en) * 2011-09-12 2013-03-13 Thomson Licensing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ve format-preserving data encry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0163A4 (en) 2017-08-09
EP3110163A1 (en) 2016-12-28
US20160345056A1 (en) 2016-11-24
WO2015126113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666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thereof
KR102031874B1 (ko) 구도 정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촬영 방법
CN104869305B (zh) 处理图像数据的方法及其装置
CN105075241B (zh) 电子装置和处理图像的方法
US1006932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based on a plurality of power sources
KR20180059440A (ko) 후처리 표시를 이용하는 비디오 코딩 방법 및 시스템
KR102149448B1 (ko)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81754A (ko) 전자장치를 위한 충전방법 및 장치
KR20160003450A (ko) 전자장치의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00112709A1 (en) Carriage of pcc in isobmff for flexible combination
KR20150099280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50051070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8299A (ko) 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장치
KR102192674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187227B1 (ko)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424548A (zh) 播放高动态范围视频的电子装置及其方法
US104404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media data
KR102133012B1 (ko) 미디어 스트리밍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82041A (ko)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70023484A (ko)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60058627A (ko) 컨텐트들을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951016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alarm mode
US20150147962A1 (en)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326630A1 (en) Method for streaming video images and electrical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50128302A (ko) 전자 장치 및 그 연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