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273A - Display divece - Google Patents

Display dive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273A
KR20150098273A KR1020140019118A KR20140019118A KR20150098273A KR 20150098273 A KR20150098273 A KR 20150098273A KR 1020140019118 A KR1020140019118 A KR 1020140019118A KR 20140019118 A KR20140019118 A KR 20140019118A KR 20150098273 A KR20150098273 A KR 20150098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layer
moving jig
display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화
이승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273A/en
Publication of KR20150098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2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region and a variable bezel region. The variable bezel region is variably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the rear sid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shows various display effect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IVECE}DISPLAY DEVICE {DISPLAY DIVE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및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이 있을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is a device for visually displaying data. 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 inorganic EL display device,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Display, a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a plasma display, and a cathode ray display (Cathode Ray Display).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 표시 영역과 화상 표시 영역(1)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2)을 포함하며, 베젤 영역에 각종 구동부, 배선 등이 형성되어 있었다. 최근에는 전면부에 베젤이 없는(Bezel-less)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개발되었다.1, this display device includes a bezel area 2 surrounding an image display area and an image display area 1, and various driving parts, wiring, and the like are formed in the bezel area. In recent years, a bezel-less display device having no bezel on the front side has been developed.

하지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베젤 영역을 능동적으로 사용하는 구조의 디스플레이는 개시된 바가 없어, 이에 대한 요구가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display having a structure that actively uses the bezel area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변식 베젤을 사용하여 전면부에서 베젤이 보이거나 안보이게 할 수 있고, 베젤이 화상 표시 영역을 포함하여 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hich can display a bezel in a front part using a variable bezel and can not display a bezel, and can display various display effects including an image display area .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1 표시 영역, 및 가변식 베젤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가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region and a variable bezel region, wherein the variable bezel region include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can be variably positioned on the backside.

상기 가변식 베젤은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bezel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area.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가변식 베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쌀 수 있다.The first display are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the variable bezel may surround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variable bezel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상기 가변식 베젤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이드부 및 절곡부를 포함하는 코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riable bezel may include a corner portion including a straight side portion and a bent portion.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가로 : 세로 비율이 12 : 9인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가변식 베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가로 방향 양 측면에 형성되고, 가로 : 세로 비율이 2 : 9인 직사각형 형상의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display area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to height ratio of 12: 9, the variable bezel is formed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to height ratio of 2: 9 And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area.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서 이동 지그로 연결될 수 있다.The variable bezel area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ji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상기 이동 지그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지그, 상기 제1 이동 지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평행하게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지그,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2 이동 지그와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 지그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이동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moving jig includes: a first moving jig connected to a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a second moving jig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jig,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jig are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jig and the variable bezel region, respectively, and the second moving jig mo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oving jig And a third moving jig that moves to the second moving jig.

상기 이동 지그는 단면이 동심원인 원통 관을 통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moving jig can be adjusted through a cylindrical tube whose cross section is concentric.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화상 표시 영역의 배면에서 경첩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variable bezel area may be connected to a hinge at the back of the first image display area.

상기 경첩은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의 배면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hinge may be connected to a back surface of the variable bezel area and a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respectively.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내부와 전기 회로로 연결될 수 있다.The variable bezel area may be connected to an inside of the first display area by an electric circuit.

상기 전기 회로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The electrical circuit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즉, 보다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exhibit a variety of display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종래 기술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젤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각 단계별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그의 수축 상태에서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이동 지그의 연장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과 표시 영역과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계별 배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2 is a front view of the variable bezel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bled state.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2 in a state where the variable bezel is activated.
FIG. 4 is a rear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2 with the variable bezel in an inactive state.
5 is a front view of a variable bezel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bled state.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bezel is activated.
FIG. 7 is a rear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5 with the variable bezel in an inactive state.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steps of activating a variable bez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jig in a contrac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jig in the extended state of Fig. 12;
FIG. 14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ariable bezel and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5; FIG.
FIGS. 15 to 16 are rear views of steps of a process of deactivating the variabl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All included. On the other hand, a device being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 indicates that no other device or layer is interposed in 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May be used to readily describe a device or a relationship of components to other device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배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bezel is inactivate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2 in a state where the variable bezel is activated, FIG. 5 is a rear view of the apparatus with the variable bezel deactivated.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 영역(10), 커버(11) 및 제1 표시 영역(10)의 외주면을 둘러 싸는 가변식 베젤 영역(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10 for displaying an image, a cover 11, and a variable bezel area 10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display area 10, (2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추가적으로 지지부(31) 및 받침부(32)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벽걸이형의 경우에는 지지부(31) 및 받침부(32)가 없는 경우도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may additionally include a support 31 and a support 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of a wall mount, the support 31 and support 32 may be omitted There are also cases.

가변식 베젤 영역(20)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이드부(21) 및 절곡부를 포함하는 코너부(22)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가변식 베젤 영역(20)이 활성화 되었을 때,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가변식 베젤 영역(20)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 사이드부(21)와 코너부(22)는 서로 겹치지 않으면서 커버(11)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11)의 표면에 사이드부(21)와 코너부(22)가 안착할 수 있도록 그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The variable bezel region 20 includes a side portion 21 formed in a linear shape and a corner portion 22 including a bent portion. In this case, when the variable-shaped bezel region 20 is activated, the first bezel region 2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The side portion 21 and the corner portion 22 can be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11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when the variable bezel region 20 is inactivated.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21 and the corner portion 2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11. [

가변식 베젤 영역(20)이 활성화 되었을 때, 전면부에 해당하는 면은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은 가변식 베젤 영역(20)의 전면부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When the variable bezel region 20 is activated,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ront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display region. The second display area may be formed on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variable bezel area 20, or may be formed on a part thereof.

제2 표시 영역은 특정 색상을 표시할 수도 있고, 제1 표시 영역과 함께 화상을 보다 크게 표시할 수도 있다.The second display area may display a specific color or may display an image larger than the first display area.

제1 표시 영역(1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에는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first display region 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is generally used in recent year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기판, 각 화소(pixel)에 대응하는 복수의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 상에 각각 배치되는 유기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includes a substrate, a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corresponding to each pixel, and an organic layer and a cathode electrod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anode electrode.

기판은 판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기판 상에 형성되는 타 구조물들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은 유리, PET(polyethyeleneterep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sulfone), PI(polyimide) 또는 PMMA(polymethylmetharcylat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ubstrate may have a plate-like shape and may support other structures formed on the substrate. Th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substrate may be formed of glass, polyethyelene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ethersulfone (PES), polyimide (PI), or polymethylmethacrylate (PMM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substrat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복수의 애노드 전극은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애노드 전극 각각은 후술할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될 수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유기층에 흐르는 전류가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애노드 전극은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애노드 전극은 Ag/ITO(Indium Tin Oxide), ITO/Ag/ITO, Mo/ITO, Al/ITO 또는 Ti/ITO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애노드 전극은 반사형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유기층에서 생성된 빛을 상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A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Each of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may be connected to a thin film transistor (TFT) to be described later, and a current flowing to the organic layer may be controlled by a signal applied from the thin film transistor.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may be formed of Ag / ITO, ITO / Ag / ITO, Mo / ITO, Al / ITO, or Ti / IT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may be formed of a reflective conductive material so that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ayer may be reflected upward.

복수의 애노드 전극은, 예를 들어, 제1 애노드 전극, 제2 애노드 전극 및 제3 애노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애노드 전극은 제1 화소에 배치되고, 제2 애노드 전극은 제2 화소에 배치되고, 제3 애노드 전극은 제3 화소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anode electrode, a second anode electrode, and a third anode electrode. The first anode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ixel, the second anode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ixel, and the third anode electrode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pixel.

유기층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층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할 수 있다.The organic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The organic layer can emit light at a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flowing between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and the cathode electrode.

또한 유기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유기 발광층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rganic layer may include a hole injecting layer, a hole transporting layer,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 electron injecting lay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정공 주입층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주입층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는 경우, 정공이 용이하게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The hole injection layer may be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The hole injection layer can assist the holes to be easily injected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between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and the cathode electrode.

정공 수송층은 정공 주입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전달된 정공이 정공 수송층을 통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수송될 수 있다.The hole transport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s transferred from the hole injection layer can be transpor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전자 수송층은 정공 수송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주입층으로부터 전달된 전자가 전자 수송층을 통하여 유기 발광층으로 수송될 수 있다.The electron transporting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hole transporting layer. Electrons transferred from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can be transported to the organic emission layer through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은 전자 수송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주입층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는 경우, 전자가 용이하게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between a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and a cathode electrode,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can assist electrons to be easily injected in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 이상의 층은 생략될 수도 있으며, 유기층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의 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may be omitted, and the organic layer may include only one layer of the hole injection layer, the hole transport layer,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You may.

유기 발광층은 정공 수송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층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대응되는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정공과 전자가 만나 형성되는 엑시톤의 에너지 준위의 변화에 따라 방출되는 에너지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층은 발광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 또는 프린팅 방법에 의하여, 복수의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제1 화소에 배치되는 제1 유기 발광층, 제2 화소에 배치되는 제2 유기 발광층 및 제3 화소에 배치되는 제3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기 발광층은 제1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되며, 적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제2 유기 발광층은 제2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되며, 녹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제3 유기 발광층은 제3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되며, 청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ole transporting layer and the hole transporting layer.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emit light with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 field applied between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and the cathode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emit light corresponding to the energy emit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nergy level of the excitons formed by the holes and electrons.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can be formed on the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by a deposition or printing method using a mask.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may include a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first pixel, a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second pixel, and a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in the third pixel. The first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first anode electrode and can emit red light. The secon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second anode electrode and can emit green light. The third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on the third anode electrode and can emit blue light.

캐소드 전극은 유기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은 광학적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은 ITO, IZO(Indium Zinc Oxide), 마그네슘(Mg)와 은(Ag)의 화합물, 칼슘(Ca)과 은(Ag)의 화합물 또는 리튬(Li)과 알루미늄(Al)의 화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층에서 생성된 빛은 캐소드 전극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캐소드 전극의 광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캐소드 전극의 두께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소드 전극의 두께는 200Å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thode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organic layer.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formed of an optically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formed of ITO, IZO (Indium Zinc Oxide), a compound of magnesium (Mg) and silver (Ag), a compound of calcium (Ca) and silver (Ag) , But is not limited thereto. Light generated in the organic layer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athode electrode. In order to improve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cathode electrode,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made thin.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less than 200 ANGSTROM.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는 버퍼층, 박막 트랜지스터(TFT), 평탄화층 및 화소 정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layer, a thin film transistor (TFT), a planarization layer, and a pixel defining layer.

버퍼층은 기판의 상부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기판의 상부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버퍼층은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으로서 질화 규소(SiNx)막, 산화 규소(SiO2)막, 산질화 규소(SiOxNy)막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버퍼층은 생략될 수도 있다.A buffer lay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buffer layer prevents penetration of impurities and can flatt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buffer layer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performing such functions. For example, any one of a silicon nitride (SiN x ) film, a silicon oxide (SiO 2 ) film, and a silicon oxynitride (SiO x N y ) film can be used as the buffer laye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buffer layer may be omitted.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액티브층, 게이트 절연층, 게이트 금속층,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과, 층간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may include an active layer, a gate insulating layer, a gate metal layer, a source electrode, a drain electrode,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액티브층은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ct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구체적으로, 액티브층은 버퍼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은 예를 들어, 폴리실리콘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티브층은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채널 영역, 채널 영역의 양 측에 배치되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층에 도핑되는 불순물은 붕소(B)를 포함하는 P형 불순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2H6 등이 불순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티브층에 도핑되는 불순물의 종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액티브층은 산화 반도체층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active layer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buffer layer. The active layer may, for example, include a polysilicon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active layer may include a channel region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 source region and a drain region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hannel region and in contact with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respectively. The impurity to be doped in the active layer may be a P-type impurity including boron (B), for example, B 2 H 6 or the like may be used as an impurity. The kinds of impurities to be doped into the active layer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active layer may be replaced by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게이트 절연층은 액티브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은 후술할 게이트 전극층과 액티브층을 상호 절연시킬 수 있고, 액티브층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층은 액티브층과 오버랩되는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gat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active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can isolate the gate electrode layer and the active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rom each other, and can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active layer. The gat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silicon nitride (SiN x ) or silicon oxide (SiO 2 ). The gate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overlapping the active lay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게이트 전극층은 게이트 절연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층은 액티브층과 오버랩되는 범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액티브층이 도전성 또는 비도전성을 갖는지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층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액티브층이 도전성을 가져,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층에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액티브층이 비도전성을 가져, 드레인 전극 및 소스 전극이 상호 절연되도록 할 수 있다.A gate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The gate electrode layer may be formed within a range overlapping the active layer.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layer, it can be controlled whether or not the active layer has conductivity or non-conductivity. For example, when a relatively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layer, the active layer may have conductivity, and the drain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a relatively low voltage is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layer, The active layer is non-conductive, so that the drain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can be mutually insulated.

층간 절연층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전극층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게이트 전극층을 커버하여, 게이트 전극층을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절연시킬 수 있다. 층간 절연층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so as to cover the gate electrode layer on the substrate.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covers the gate electrode layer and can isolate the gate electrode layer from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of silicon nitride (SiN x ), silicon oxide (SiO 2 ) or the like.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층간 절연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층간 절연층과 게이트 절연층을 관통하여 형성된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통하여 각각 액티브층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관통홀은 액티브층의 소스 영역 상에 형성되고, 제2 관통홀은 액티브층의 드레인 영역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는 각각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ctive layer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and the gate insulating layer, respectively. A first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the source region of the active layer, a second through hole may be formed on the drain region of the active layer, and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may be form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respectively .

결과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층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소스 전극에 전달되는 신호를 드레인 전극에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thin film transistor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o transfer a signal transmitted to the source electrode to the drain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layer.

평탄화층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층간 절연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기층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평탄화층의 상부면은 단차가 없이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평탄화층은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탄화층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및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평탄화층에는 컨택홀이 형성될 수 있다. 컨택홀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상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컨택홀을 통하여 애노드 전극과 드레인 전극은 연결될 수 있다.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In order to increase the luminous efficiency of the organic layer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without a step. The planarization layer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planarizing layer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polyacrylates resin, an epoxy resin, a phenolic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imide resin,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but are not limited to, one or more of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polyphenylenethers resin, polyphenylenesulfides resin, and benzocyclobutene (BCB). It is not. A contact hole may be formed in the planarization layer. The contact hole can expose the drain electrod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he anod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hole.

화소 정의층은 평탄화층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층은 평탄화층 상부의 전면을 커버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애노드 전극을 상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화소 정의층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복수의 애노드 전극의 영역 및 그 상부의 유기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영역이 복수의 화소로 정의될 수 있다.The pixel defining layer may be disposed on top of the planarization layer. The pixel defining layer does not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can be exposed upward. An area of a plurality of anode electrodes not covered by the pixel defining layer and an area including the organic layer and the cathode electrode thereon may be defined as a plurality of pixel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활성화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된 상태의 배면도이다.5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bezel is inactivated,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5 in a state in which the variable bezel is activated, FIG. 5 is a rear view of the apparatus with the variable bezel deactivated.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 세로 비율이 12 : 9 비율인 직사각형 형상인 제1 표시 영역(10), 커버(11) 및 제1 표시 영역(10)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가로 : 세로 비율이 2 : 9인 가변식 베젤(2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isplay area 10, a cover 11, and a first display area 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with a 12: 9 aspect ratio, And a variable bezel 23 having a width to height ratio of 2: 9.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로 : 세로 비율이 4 : 3 인 것을 사용하기도 하고, 영화 등에서는 화상 비율이 16 : 9 비율을 사용하기도 한다. 기존 4 : 3 비율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화를 시청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의 위아래 부분이 검게 되고 화상 사이즈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폭을 기준으로 되어 작게 볼 수밖에 없었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uses a 4: 3 aspect ratio, and a 16: 9 ratio image ratio is used in a movie or the like. When a movie was viewed with a conventional 4: 3 ratio display devic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screen became black and the image size had to be small relative to the width of the display device.

도 5 내지 도 7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표시 영역을 전면부에 포함하는 가변식 베젤(23)이 활성화 되는 경우, 전체 가로 : 세로 비율이 16 : 9가 되어 영화 등을 시청하기에 알맞은 비율이 된다.5 to 7, when the variable bezel 23 including the second display area in the front portion is activated, the total aspect ratio becomes 16: 9, and a ratio suitable for watching movies and the like do.

가변식 베젤(23)이 비활성화 되는 경우에는, 기존 12 : 9(4 : 3) 비율의 제1 표시 영역만 사용하므로, 문서 작업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4 : 3 비율로 해상도가 설정된 게임 등에서도 화면 왜곡 없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variable bezel 23 is inactivated, only the first display area of the conventional 12: 9 (4: 3) ratio is used, so that document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and resolution can be set at a 4: 3 ratio It can be used without any screen distortion even in a game or the like.

상기에서는 4 : 3 및 16 : 9 비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비율 관계는 상기 비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비율로 선택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atios of 4: 3 and 16: 9 are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ratio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atios but may be selected in various ratios as necessary.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젤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각 단계별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그의 수축 상태에서의 투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이동 지그의 연장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FIGS. 8 to 11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steps of activating the variable bez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jig in a contracted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jig in the extended state of Fig. 12.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사이드부(21)는 커버(11)의 표면에서 제1 이동 지그(41), 제2 이동 지그(42) 및 제3 이동 지그(43)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side portions 21 can be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cover 11 through the first moving jig 41, the second moving jig 42 and the third moving jig 43. [

구체적으로, 제1 이동 지그(41)는 일단이 커버(11)에 연결되고, 커버(11) 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 지그(42)는 그 일단이 제1 이동 지그(41)의 타단에 연결되고, 커버(11) 면에 수평 방향으로 제1 표시 영역(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이동 지그(43)는 그 일단이 제2 이동 지그(42)의 타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사이드부(21)의 배면에 연결되며, 제1 이동 지그(41)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pecifically, one end of the first moving jig 41 is connected to the cover 11 and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cover 11. [ One end of the second moving jig 4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moving jig 41 and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cover 11. The third moving jig 43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oving jig 4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ide portion 21, have.

제1 이동 지그(41), 제2 이동 지그(42) 및 제3 이동 지그(43)의 경우,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모터(401), 스크루(402), 제1 원통(403), 제2 원통(404) 및 제3 원통(405)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401)가 회전하면서, 모터(401)에 연결된 스크루(40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서로 직경이 다른 동심원으로 단면이 이루어진 제1 원통(403), 제2 원통(404) 및 제3 원통(405)이 겹쳐져 있는 상태를 벗어나 그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moving jig 41, the second moving jig 42 and the third moving jig 43, any of the lengths of the first moving jig 41, the second moving jig 42 and the third moving jig 43 can be used, 402, a first cylinder 403, a second cylinder 404, and a third cylinder 405. As the motor 401 rotates, the screw 402 connected to the motor 401 rotates so that the first cylinder 403, the second cylinder 404, and the third cylinder 403, which have a cross- The length of the cylinder 405 is increased beyond the overlapping state.

도 8은 가변식 베젤 영역의 사이드부(21)가 비활성화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제1 이동 지그(41), 제2 이동 지그(42) 및 제3 이동 지그(43) 모두 수축되어 있는 상태이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side portion 21 of the variable bezel region is deactivated. When both of the first moving jig 41, the second moving jig 42 and the third moving jig 43 are contracted to be.

도 9는 제1 이동 지그(41)이 도 13에서와 같이 길이가 증가하면서 커버(11) 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이드부(21), 제2 이동 지그(42) 및 제3 이동 지그(43)가 모두 제1 이동 지그(41)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9, the first moving jig 41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ver 11 surface with increasing length as shown in Fig. 13, and the side portions 21, the second moving jig 42, (43) mov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moving jig (41).

도 10은 제1 이동 지그(41)가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이동 지그(42)가 도 13에서와 같이 길이가 증가하면서 커버(11) 면에 수평 방향으로 제1 표시 영역(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이드부(21), 제3 이동 지그(43)가 제2 이동 지그(42)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한다.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jig 41 is moved and the second moving jig 42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rst display area 10 So that the side portion 21 and the third moving jig 43 mov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moving jig 42. As shown in Fig.

도 11은 제1 이동 지그(41) 및 제2 이동 지그(42)가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3 이동 지그(43)가 도 13에서와 같이 길이가 증가하면서 제1 이동 지그(41)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이드부(21)가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한다.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moving jig 41 and the second moving jig 42 are moved while the third moving jig 43 is moved to the first moving jig 41 while the length of the third moving jig 43 is increased as shown in Fig. So that the side portion 21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이동 지그(43)가 없이, 제1 이동 지그가 도 12에서와 같이 그 길이가 줄어들면서 사이드부(21)가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without the third moving jig 43, the length of the first moving jig may be reduced as shown in Fig. 12, and the side portion 21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Of course.

도 14는 도 5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변 베젤과 표시 영역과의 연결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배면도이다.FIG. 14 is a rea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variable bezel and a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5; FIG.

도 14를 참조하면, 사이드부(21)는 회로기판(50)으로 커버(11) 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표시 영역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구동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side portion 2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ver 11 by the circuit board 50. Fig. Thus, a power source, a drive signal, and the like for driving the second display area can be received.

회로기판(50)은 연성 재질의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연성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가변 과정에서 회로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5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y using a soft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ircuit from being broken in the variable process.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커버(11) 내부 또는 사이드부(21) 내부에서 회로기판(50)에 일정한 장력을 형성하여 당기는 힘을 걸어주면서 감겨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부(21)의 이동 과정에서 힘이 가해지면 회로기판(50)이 풀리면서 그 외부 길이가 증가하고, 이동 과정에서 사이드부(21)와 커버(11)의 간격이 줄어들면 내부의 장력에 의해 회로기판(50)이 감기면서 외부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회로기판(50)의 외부 길이가 불필요하게 나와있어 끼이거나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 predetermined tension may be formed on the circuit board 50 inside the cover 11 or inside the side portion 21 so that the circuit board 50 may be wound while applying a pulling force. In this case, if a force is appli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side portion 21, the external length of the circuit board 50 is increased while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portion 21 and the cover 11 is reduced. The outer length of the circuit board 50 is reduced as the circuit board 50 is wou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length of the circuit board 50 from unnecessarily coming out and being caught or protruded.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 베젤이 비활성화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단계별 배면도이다.FIGS. 15 to 16 are rear views of steps of a process of deactivating the variable bez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사이드부(21)는 별도의 이동 지그 대신 경첩(44)으로 커버(11)와 연결되어 있다. 경첩(44) 내부에는 모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어, 이를 통하여 활성화/비활성화 상태로 가변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side portion 21 is connected to the cover 11 by a hinge 44 instead of a separate moving jig. A motor (not shown) is built in the hinge 44 so that the hinge 44 can be activated / deactivated.

이 경우, 활성화 상태(도 15)에서 제2 표시 영역이 위치하는 전면부는 비활성화 상태(도 16)에서는 배면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ront portion in which the second display region is located in the activated state (Fig. 15) is positioned to face the backside in the inactive state (Fig. 16).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any vari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above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 표시 영역
2: 베젤
10: 제1 표시 영역
11: 커버
20, 23: 가변 베젤
21: 사이드부
22: 코너부
31: 지지부
32: 받침부
41: 제1 이동 지그
42: 제2 이동 지그
43: 제3 이동 지그
44: 경첩
401: 모터
402: 스크루
403: 제1 원통
404: 제2 원통
405: 제3 원통
50: 연성인쇄회로기판
1: display area
2: Bezel
10: first display area
11: cover
20, 23: Variable bezel
21: Side portion
22:
31: Support
32:
41: first movement jig
42: second moving jig
43: third movement jig
44: Hinges
401: Motor
402: Screw
403: first cylinder
404: Second cylinder
405: Third cylinder
5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12)

제1 표시 영역; 및
가변식 베젤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가변적으로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first display area; And
Including a variable bezel region,
Wherein the variable bezel area is variably position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베젤은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variable bezel includes a second display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가변식 베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에 위치할 때,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play area has a rectangular shape,
Wherein the variable bezel surrounds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when the variable bezel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베젤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사이드부 및 절곡부를 포함하는 코너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ariable bezel includes a corner portion including a straight side portion and a ben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가로 : 세로 비율이 12 : 9인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가변식 베젤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가로 방향 양 측면에 형성되고, 가로 : 세로 비율이 2 : 9인 직사각형 형상의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splay area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width to height ratio of 12: 9,
Wherein the variable bezel includes a second display area formed on both lateral sides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to height ratio of 2: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서 이동 지그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variable bezel region is connected to a moving jig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그는,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동 지그;
상기 제1 이동 지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평행하게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외주면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동 지그;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2 이동 지그와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의 배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이동 지그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3 이동 지그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ving jig includes:
A first moving jig connected to a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mov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A second moving jig connected to the first moving jig and moving in a direction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in parallel with a back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And
The first and second ends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moving jig and the rear surface of the variable bezel region, and the third moving jig, which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moving jig,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그는 단면이 동심원인 원통 관을 통하여 그 길이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ving jig adjusts its length through a cylindrical tube whose cross section is concent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화상 표시 영역의 배면에서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variable bezel area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image display area by a hing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의 배면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배면에 각각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hinge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variable bezel area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area,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베젤 영역은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내부와 전기 회로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variable bezel region is connected to an inside of the first display region by an electric circui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회로는 연성인쇄회로기판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electric circuit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140019118A 2014-02-19 2014-02-19 Display divece KR201500982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118A KR20150098273A (en) 2014-02-19 2014-02-19 Display dive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118A KR20150098273A (en) 2014-02-19 2014-02-19 Display dive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273A true KR20150098273A (en) 2015-08-28

Family

ID=5405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118A KR20150098273A (en) 2014-02-19 2014-02-19 Display dive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2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489A (en) * 2019-01-29 2020-08-28 신상철 Smart device for variabling bezel based on cloud 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489A (en) * 2019-01-29 2020-08-28 신상철 Smart device for variabling bezel based on cloud o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92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peripheral area including metal-containing layer and plurality of dams
EP2963687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9331301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TWI299585B (en) Organic e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0019377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111369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416718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00081772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000426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37703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3460850B1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uxiliary electrode
KR102640114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6005472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JP2015049949A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isplay device
US10784459B2 (en) Display device
US1093072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KR102037487B1 (en) Method for fabrica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fabricated by the method
KR2016005534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50098273A (en) Display divece
KR20150075188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687985B2 (en) Double-side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834341B1 (en) an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8006177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O2014174804A1 (en) Method for producing el display device
JP5402481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