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303A -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7303A
KR20150097303A KR1020140018648A KR20140018648A KR20150097303A KR 20150097303 A KR20150097303 A KR 20150097303A KR 1020140018648 A KR1020140018648 A KR 1020140018648A KR 20140018648 A KR20140018648 A KR 20140018648A KR 20150097303 A KR20150097303 A KR 20150097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shaft
rotary
rotation
lev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조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태 filed Critical 조성태
Priority to KR102014001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7303A/ko
Publication of KR2015009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3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8Reversible ice-spik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젠의 회전축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바닥창의 측면으로 설치함으로써 아이젠의 전후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측면에만 다수의 징(hobnail)이 돌출 형성되어 신발 바닥창의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회전축이 연장 형성된 판상의 아이젠, 신발 바닥창 하부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힌지홈이 양측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 및 힌지 브라켓의 양측 힌지홈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탄성력을 통해 아이젠의 전후 회전에 따른 드러누운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이 구비된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되어 아이젠을 필요에 의해 전후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아이젠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신발 바닥창의 측방향으로 회전 노출시키거나 원터치형 버튼식으로 출몰되도록 하여 아이젠을 회전시켜 징(hobnail)이 형성된 면이 출몰되도록 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Crampons for shoes rotat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젠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필요에 의한 회전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젠의 출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나 노약자 특히 노인들의 경우 다리에 힘이 부족하거나 병약한 신체로 인하여 보행 중 쉽게 미끄러져 낙상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더구나, 굽이 높은 신발 사용자들의 경우 겨울철 눈이나 결빙으로 인하여 미끄러짐에 매우 취약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험난한 산을 오르기 위하여 사용되는 신발로서의 등산화는 등산하는 사람들이 바위나 암벽 및 빙벽 등 험로를 오를 때 발을 보호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가죽 혹은 특수한 방수천 등으로 신발 본체를 만들고, 저면에는 두꺼운 합성고무 등의 등산화 밑창 또는 미끄럼방지기능을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등산화에서 밑창의 표면은 비탈면이나 바위 등을 걸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용 요철면이 다수 형성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지만 눈 또는 얼음이 형성된 빙판에서는 마찰력이 현저하게 떨어져 쉽게 미끄러지고 이러한 낙상에 의한 골절 등의 손상을 입게 됨이 비일비재하고 특히 바위 등에서 미끄러지는 경우 생명의 위험성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얼음 또는 눈 쌓인 산이나 빙벽을 오르기 위하여서는 등산화의 밑창에 미끄럼방지핀이 돌출되는 아이젠(Eisen)을 이용하게 되고, 이러한 아이젠은 대개가 금속제로 된 미끄럼방지핀이 하향 돌출된 부재를 등산화에 묶음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아이젠을 장착하는 구성은 빙판을 걸을 때 착용하고 빙판을 지난 후에는 다시 분리하게 되며 이러한 착용과 분리는 사용자가 바닥에 앉은 상태로 신체를 구부려서 끈으로 아이젠을 등산화에 묶어서 고정하고 또는 매듭을 풀어 분리하게 되는 번잡함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착탈식 아이젠의 경우 어느 정도의 부피가 있기 때문에 착용하여 외부 활동 중에 필요치 않아 신발로부터 아이젠을 탈거할 경우 아이젠을 보관하거나 운반에 따른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 따른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의 스크류로 연동되는 캠에 의해 아이젠이 출몰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등산화 바닥부재 중심 부분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한 캠의 연동을 통해 미끄럼방지핀이 밑창에서 출몰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이 매우 복잡함은 물론, 제조의 어려움과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스크류 연동식 캠에 의한 아이젠의 출몰 기술은 아이젠을 연동시키기 위해 회전축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출몰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실사용에서 개선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따른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의 기술로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설치되어 필요에 의해 아이젠의 장착시 전방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아이젠을 후방측으로 회전시켜 징(hobnail)이 노출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아이젠이 구비된 기술은 손가락의 힘만으로 전방측으로 회전된 상태의 아이젠을 후방측으로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눈이나 흙 등의 이물질이 손에 묻을 수 있음은 물론,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의 탄성력이 강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에게는 이를 회전시키는데 따른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3826호(2003.11.17.자 공고)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8682호(2005.09.07.자 공개)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4764호(2011.12.15.자 공개)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82481호(2013.07.19.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젠의 회전축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바닥창의 측면으로 설치함으로써 아이젠의 전후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젠의 회전축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바닥창의 측면으로 설치함으로써 아이젠의 전후 회전시 회전레버를 통해 회전시켜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젠의 회전축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바닥창의 측면으로 설치함으로써 아이젠을 손으로 직접 조작하지 않도록 하여 아이젠으로 인한 손의 찢어짐이나 긁힘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는 일측면에만 다수의 징(hobnail)이 돌출 형성되어 신발 바닥창의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회전축이 연장 형성된 판상의 아이젠, 신발 바닥창 하부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힌지홈이 양측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 및 힌지 브라켓의 양측 힌지홈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탄성력을 통해 아이젠의 전후 회전에 따른 드러누운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이 구비된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되어 아이젠을 필요에 의해 전후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아이젠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신발 바닥창의 측방향으로 회전 노출시키거나 원터치형 버튼식으로 출몰되도록 하여 아이젠을 회전시켜 징(hobnail)이 형성된 면이 출몰되도록 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조작수단은 회전축과 동일 선상의 측방향으로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 회전 지지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이 구비된 회전축 연결로드; 회전축 연결로드 타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절결홈이 형성되어지되 회전축 연결로드의 회전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 회전축 연결로드를 회전 지지체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 및 회전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신발 바닥창의 측면으로 회전 은닉시키는 경우 회전레버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회전레버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회전축 조작수단의 구성에서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은 회전 지지체의 양단에 인접한 회전축 연결로드 외주면 각각에 형성되는 링홈; 및 링홈에 결합되어 회전 지지체에 관통되어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 연결로드를 회전 지지하는 E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축 조작수단의 구성에서 회전레버 고정수단은 회전레버를 회전 지지하는 힌지에 인접된 절결홈 내부 상·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볼(ball) 형태의 고정돌기; 및 회전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은닉시키기 위해 신발 바닥창의 측면으로 회전시의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회전축 연결로드 타단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회전 지지체의 외주면 상에는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회전축 연결로드를 축으로 하는 회전레버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회전레버의 끝단부 양측으로 레버윙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신발 바닥창의 측면에 형성되어지되 회전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신발 바닥창의 측면으로 회전시 회전레버의 삽입이 이루어져 은닉되는 레버 은닉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회전축 조작수단의 다른 특징은 회전축과 동일 선상의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 회전 지지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과 타단이 개구된 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회전축 연결통체; 회전축 연결통체의 내부공간에 삽입 결합되어 반복적인 누름에 의해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직선 출몰되는 구조의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 및 회전축 연결통체를 회전 지지체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은 회전 지지체의 양단에 인접한 회전축 연결통체 외주면 각각에 형성되는 링홈; 및 링홈에 결합되어 버튼 회전 지지체에 관통되어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 연결통체를 회전 지지하는 E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회전축 조작수단의 구성에서 회전 지지체의 외주면 상에는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축 조작수단의 구성에는 회전축 연결통체를 축으로 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의 끝단부 양측으로 레버윙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회전축 조작수단은 신발 바닥창의 앞굽과 뒷굽 중어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신발 바닥창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젠의 회전축을 필요에 따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바닥창의 측면으로 설치함으로써 회전레버를 통해 아이젠의 전후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아이젠의 전후 회전시 회전레버를 통해 회전시켜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회전레버를 통해 아이젠을 전후 회전시켜 아이젠으로 인한 손의 찢어짐이나 긁힘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작용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적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작용을 전개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자른 실시 예를 전개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뒷굽에 적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전개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작용을 전개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적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적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작용을 전개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이젠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만 다수의 징(hobnail : 12)이 돌출 형성되어 신발 바닥창(50)의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회전축(14)이 연장 형성된 판상의 아이젠(10), 신발 바닥창(50) 하부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회전축(14)을 회전 지지하는 힌지홈(22)이 양측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20) 및 힌지 브라켓의 양측 힌지홈(2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탄성력을 통해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에 따른 드러누운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아이젠 장치는 대체적으로 신발 바닥창(50)의 뒷굽 하부면 상에 설치되어 아이젠(10)이 전방측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는 징(hobnail : 12)이 신발 바닥면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은닉된 상태이다. 반면, 아이젠(10)의 후방측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는 징(hobnail : 12)이 지면을 향하게 되어 눈이나 결빙 구간에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아이젠 장치의 아이젠(10) 하단에는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14)이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축(14)은 양측에 힌지홈(22)이 형성되어 신발 바닥창(50)의 바닥면에 결합 고정되는 힌지 브라켓(20)의 힌지홈(22) 상에 결합되어 회전 지지된다. 이때, 힌지 브라켓(20)의 힌지홈(22) 사이의 공간에는 힌지 브라켓(20)에 일체로 판스프링(30)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판스프링(30)은 양측의 회전축(14) 사이인 아이젠(10)의 하단 중심부를 상시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전후로 회전되는 아이젠(10)이 수직에서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일정 각도 회전이 이루어지면 해당 회전 방향으로 아이젠(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100) 앞서와 같이 기술한 아이젠(10)을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에서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100)는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되어 아이젠(10)을 필요에 의해 전후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14)의 회전을 통해 아이젠(10)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130)를 신발 바닥창(50)의 측방향으로 회전 노출시키는 가운데 아이젠(10)을 회전시켜 징(hobnail : 12)이 형성된 면이 출몰되도록 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젠(10)을 회전 조작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의 실시 예는 회전축(14)과 동일 선상의 측방향으로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110), 회전 지지체(1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회전축(14)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122)이 구비된 회전축 연결로드(120),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타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절결홈(132)이 형성되어지되 회전축 연결로드의 회전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130),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회전 지지체(110)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140) 및 회전레버(130)를 힌지를 중심으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 은닉시키는 경우 회전레버(13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회전레버 고정수단(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100)의 회전축 조작수단은 회전 지지체(110)의 중공에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140)을 통해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회전 지지체(110)에 회전 지지되도록 한 다음,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외측단인 끝단에 힌지(132)를 통해 회전레버(130)가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회전레버(130)는 회전축 연결로드(1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지지체(110)를 신발 바닥창(50)의 제조시 인서트 몰딩한 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100)의 회전축 조작수단은 회전 지지체(110) 부분이 신발 바닥창(50)의 제조시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된다. 이처럼 회전축 조작수단을 인서트 몰딩한 후에는 신발 바닥창(50) 하부면 상에 힌지 브라켓(20)을 통해 아이젠(10)을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 다음, 회전축(14)의 일단을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회전축 결합홈(122) 상에 삽입 결합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조작수단이 인서트 몰딩된 신발 바닥창(50) 하부면 상에 아이젠(10)을 결합하여 회전축(14)의 일단을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회전축 결합홈(122) 상에 삽입 결합하게 되면 회전축(14)과 회전축 연결로드(120)는 동일 횡방향 선상에 배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전축 조작수단은 회전레버(130)를 통해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전후 회전시켜 회전축(14)을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우 회전레버(130)는 힌지(134)를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어 회전축 연결로드(120)와 일직선상으로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회전축 조작수단의 구성에서 회전레버(130)는 평상시 힌지(134)를 기준으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되어 은닉되어진다. 이때, 회전축 연결로드(120)와 회전레버(130)는 "ㄱ"자의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젠(10)을 전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신발 바닥창(50) 측면에 은닉된 회전레버(130)를 힌지(134)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회전축 연결로드(120)와 회전레버(130)가 일직선으로 배열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축으로 하여 회전레버(130)를 전후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축으로 하여 회전레버(130)를 전후 회전시켜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회전레버(130)를 힌지(134)를 기준으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시켜 은닉시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레버(130)로 인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100)의 회전축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체(110)는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회전 지지체(11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 선상의 측방향으로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체(110)가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아이젠(10)의 회전축(14)은 신발 바닥창(50) 하부면 상에 회전 지지체(110)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아이젠(10)이 설치되는 신발 바닥창(50)의 하부면에는 홈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4) 선상의 측방향으로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110)는 인서트 몰딩 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 지지체(110)의 외주면 상에 다수의 유동방지돌기(112)를 더 형성하였다. 물론, 회전 지지체(110)의 외관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축 연결로드(120)는 아이젠(10)의 회전축(14)을 연결하여 후술하는 회전레버(130)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회전축(14)에 전달하여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축 연결로드(12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체(1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축 연결로드(120)는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회전축(14)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122)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축 연결로드(12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축 연결로드(120)는 회전축 결합홈(122)이 형성된 일단이 회전 지지체(110)을 관통하여 아이젠(10)의 회전축(14) 일단 방향으로 노출되어진다. 이처럼 결합된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회전축 결합홈(122) 상에 아이젠(10)의 회전축(14)이 삽입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회전축 결합홈(122) 상에 삽입 결합된 회전축(14)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회전축(14)의 단면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레버(130)는 사용자의 의지에 의한 회전을 통해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회전시켜 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한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레버(130)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타단이 삽입 결합되는 절결홈(132)이 일단에 형성되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134) 결합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로드(120) 타단에 절결홈(132)을 통해 결합되는 회전레버(13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힌지(134)를 기준으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된 상태로 회전축 연결로드(120)와 "ㄱ"자의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젠(10)을 전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신발 바닥창(50) 측면에 은닉된 회전레버(130)를 힌지(134)를 기준으로 회전시켜 회전축 연결로드(120)와 회전레버(130)가 일직선으로 배열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축으로 하여 회전레버(130)를 전후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140)은 회전 지지체(110) 상에서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140)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체(110)의 양단에 인접한 회전축 연결로드(120) 외주면 각각에 형성되는 링홈(142) 및 링홈(142)에 결합되어 회전 지지체(110)에 관통되어 회전 결합되는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회전 지지하는 E링(14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140)은 회전 지지체(110)의 양단에 인접한 회전축 연결로드(120) 외주면 각각에 형성된 링홈(142)에 E링(144)을 체결함으로써 회전 지지체(110)로부터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회전 지지체(110) 상에 회전축 연결로드(12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레버 고정수단(150)은 회전레버(130)를 힌지(132)를 중심으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 은닉시키는 경우 회전레버(13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레버 고정수단(15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 고정수단(150)은 회전레버(130)를 회전 지지하는 힌지(134)에 인접된 절결홈(132) 내부 상·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볼(ball) 형태의 고정돌기(152) 및 회전레버(130)를 힌지(13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은닉시키기 위해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시의 고정돌기(152)에 대응하여 회전축 연결로드(120) 타단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5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레버(130)를 힌지(132)를 중심으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레버(130)의 절결홈(132) 내측의 상·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52)가 회전축 연결로드(120) 타단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154)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회전레버(130)를 구속 고정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레버 고정수단(150)은 회전레버(130)가 인위적인 힘에 의하지 않고는 고정홈(154)으로부터 고정돌기(152)의 고정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회전레버(130)가 자유롭게 움직임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걸리적거림이나 소음 및 걸림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축으로 하는 회전레버(130)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회전레버(130)의 끝단부 양측으로 레버윙(136)이 더 형성된다. 즉, 회전레버(130) 끝단부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넓게 한 구조의 레버윙(136)을 더 형성하여 회전축 연결로드(120)를 축으로 하는 회전레버(130)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에 형성되어지되 회전레버(130)를 힌지(132)를 중심으로 하여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시 회전레버(130)의 삽입이 이루어져 은닉되는 레버 은닉홈(160)이 더 형성된다. 즉, 회전레버(130)를 힌지(132)를 중심으로 하여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레버(130)가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레버 은닉홈(160)은 회전레버(130)를 힌지(132)를 중심으로 하여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 회전시 신발 바닥창(50)의 측면으로부터 회전레버(130)가 외측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은닉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시 회전레버(130)가 타측 신발에 걸리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 조작수단은 신발 바닥창(50)의 앞굽 또는 뒷굽 중어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신발 바닥창(50)의 압굽과 뒷굽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는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자른 실시 예를 전개하여 보인 평면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뒷굽에 적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전개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200)는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되어 아이젠(10)을 필요에 의해 전후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축(14)의 회전을 통해 아이젠(10)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230)를 원터치형 버튼식으로 출몰되도록 하여 아이젠(10)을 회전시켜 징(hobnail : 12)이 형성된 면이 출몰되도록 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200)를 구성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은 아이젠(10)의 회전축(14)과 동일 선상의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210), 회전 지지체(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222)과 타단이 개구된 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회전축 연결통체(220),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에 삽입 결합되어 반복적인 누름에 의해 회전축(14)과 동일 방향으로 직선 출몰되는 구조의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 및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회전 지지체(210)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24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200)의 구성에서 회전축 연결통체(220)와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의 구성은 잠금장치 중에서 한 번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나오는 출몰구조의 원터치 버튼식 잠금장치를 채용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200)의 회전축 조작수단은 회전 지지체(210)의 중공에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이 구성된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240)를 통해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회전 지지체(210)에 회전 지지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 조작수단은 회전 지지체(210) 부분이 신발 바닥창(50)의 제조시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다른 실시 예의 회전축 조작수단이 인서트 몰딩된 신발 바닥창(50) 하부면 상에 아이젠(10)을 결합하여 회전축(14)의 일단을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회전축 결합홈(222) 상에 삽입 결합하게 되면 회전축(14)과 회전축 연결통체(220)는 동일 횡방향 선상에 배열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회전축 조작수단은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통해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전후 회전시켜 회전축(14)을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기준으로 전후 회전되도록 회전축 연결통체(220)와 일직선상으로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 조작수단의 구성에서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는 평상시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로 들어가 있는 상태로 은닉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젠(10)을 전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신발 바닥창(50) 측면에 은닉된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을 눌러 회전축 연결통체(220)로부터 튀어나오도록 하여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축으로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전후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축으로 하여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전후 회전시켜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다시 눌러 회전축 연결통체(230)의 내부로 들어가 은닉되도록 함으로써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로 인한 걸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200)의 회전축 조작수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체(210)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회전 지지체(210)는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 선상의 측방향으로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 지지체(210)가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아이젠(10)의 회전축(14)은 신발 바닥창(50) 하부면 상에 회전 지지체(210)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도록 아이젠(10)이 설치되는 신발 바닥창(50)의 하부면에는 홈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14) 선상의 측방향으로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210)는 인서트 몰딩 후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 지지체(210)의 외주면 상에 다수의 유동방지돌기(212)를 더 형성하였다. 물론, 회전 지지체(110)의 외관 형상을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는 아이젠(10)의 회전축(14)을 연결하여 후술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의 회전에 따른 회전력을 회전축(14)에 전달하여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축 연결통체(220)는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체(210)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는 일단에 회전축(14)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222)이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지되 타단은 개구된 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는 회전축 결합홈(222)이 형성된 일단이 회전 지지체(210)을 관통하여 아이젠(10)의 회전축(14) 일단 방향으로 노출되어진다. 이처럼 결합된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회전축 결합홈(222) 상에 아이젠(10)의 회전축(14)이 삽입 결합된다. 이때,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회전축 결합홈(222) 상에 삽입 결합된 회전축(14)의 회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회전축(14)의 단면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는 사용자의 의지에 의한 회전을 통해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회전시켜 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한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는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통체(220) 타단의 개구부를 통해 내부공간 상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통체(220) 내부공간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아이젠(10)을 전후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의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다시 한 번 누르게 되면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가 튀어나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에 들어가 있는 상태의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다시 한 번 눌러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가 튀어나오게 되면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축으로 하여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아이젠(10) 하단에 구성된 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한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와 회전축 연결통체(22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 중에서 한 번 누르면 들어가고 다시 한 번 누르면 나오는 출몰구조의 원터치 버튼식 잠금장치를 채용한 것으로,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를 눌러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내부공간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자연스럽게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의 은닉이 이루어져 보행시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서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240)은 회전 지지체(210) 상에서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240)은 도 7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체(210)의 양단에 인접한 회전축 연결통체(220) 외주면 각각에 형성되는 링홈(242) 및 링홈(242) 각각에 결합되어 회전 지지체(210)에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회전 지지하는 E링(24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240)은 회전 지지체(210)의 양단에 인접한 회전축 연결통체(220) 외주면 각각에 형성된 링홈(242)에 E링(244)을 체결함으로써 회전 지지체(210)로부터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운데 회전 지지체(210) 상에 회전축 연결통체(220)의 회전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에는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축으로 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의 끝단부 양측으로 레버윙(232)이 더 형성된다. 즉,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 끝단부에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을 넓게 한 구조의 레버윙(232)을 더 형성하여 회전축 연결통체(220)를 축으로 하는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230)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술을 구성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은 신발 바닥창(50)의 앞굽 또는 뒷굽 중어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신발 바닥창(50)의 압굽과 귓굽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신발 바닥창(50)에 인서트 몰딩되는 회전축 조작수단을 구성하여 필요시 회전레버(130, 230)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아이젠(10)의 하단에 구성된 회전축(14)을 전후로 회전시켜 아이젠(10)의 전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젠의 전후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아이젠의 전후 회전시 회전레버를 통해 회전시켜 손에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회전레버를 통해 아이젠을 전후 회전시켜 차갑고 날카로운 아이젠(10)의 징(hobnail)으로 인한 손의 찢어짐이나 긁힘 등의 부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 아이젠 12. 징(hobnail)
14. 회전축 20. 힌지 브라켓
30. 판스프링 50. 신발 바닥창
100, 200.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110. 회전 지지체 120. 회전축 연결로드
122. 회전축 결합홈 130. 회전레버
132. 절결홈 134. 힌지
136. 레버윙 140.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
142. 링홈 144. E링
150. 회전레버 고정수단 152. 고정돌기
154. 고정홈 160. 레버 은닉홈
210. 회전 지지체 220. 회전축 연결통체
222. 회전축 결합홈 230.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
240.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 242. 링홈
244. E링

Claims (12)

  1. 일측면에만 다수의 징(hobnail)이 돌출 형성되어 신발 바닥창의 하부면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양측으로 회전축이 연장 형성된 판상의 아이젠, 상기 신발 바닥창 하부면 상에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회전축을 회전 지지하는 힌지홈이 양측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 및 상기 힌지 브라켓의 양측 힌지홈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아이젠의 전후 회전에 따른 드러누운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이 구비된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되어 상기 아이젠을 필요에 의해 전후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아이젠을 전후로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신발 바닥창의 측방향으로 회전 노출시키거나 원터치형 버튼식으로 출몰되도록 하여 아이젠을 회전시켜 징(hobnail)이 형성된 면이 출몰되도록 하는 회전축 조작수단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조작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동일 선상의 측방향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설치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
    상기 회전 지지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이 구비된 회전축 연결로드;
    상기 회전축 연결로드 타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절결홈이 형성되어지되 회전축 연결로드의 회전을 통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축 연결로드를 상기 회전 지지체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 및
    상기 회전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측면으로 회전 은닉시키는 경우 회전레버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 유지시키는 회전레버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 회전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 지지체의 양단에 인접한 상기 회전축 연결로드 외주면 각각에 형성되는 링홈; 및
    상기 링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지지체에 관통되어 회전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 연결로드를 회전 지지하는 E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 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 지지하는 힌지에 인접된 절결홈 내부 상·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볼(ball) 형태의 고정돌기; 및
    상기 회전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은닉시키기 위해 상기 신발 바닥창의 측면으로 회전시의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 연결로드 타단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연결로드를 축으로 하는 상기 회전레버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회전레버의 끝단부 양측으로 레버윙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바닥창의 측면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회전레버를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신발 바닥창의 측면으로 회전시 회전레버의 삽입이 이루어져 은닉되는 레버 은닉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조작수단은 상기 회전축과 동일 선상의 상기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을 통해 고정되는 중공의 회전 지지체;
    상기 회전 지지체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일단에 일정 깊이로 절결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 결합홈과 타단이 개구된 형태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회전축 연결통체;
    상기 회전축 연결통체의 내부공간에 삽입 결합되어 반복적인 누름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동일 방향으로 직선 출몰되는 구조의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 및
    상기 회전축 연결통체를 상기 회전 지지체에 회전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체 회전 지지수단은 상기 회전 지지체의 양단에 인접한 상기 회전축 연결통체 외주면 각각에 형성되는 링홈; 및
    상기 링홈에 결합되어 상기 버튼 회전 지지체에 관통되어 회전 결합되는 상기 회전축 연결통체를 회전 지지하는 E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체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신발 바닥창에 인서트 몰딩시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연결통체를 축으로 하는 상기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원터치 버튼식 회전레버의 끝단부 양측으로 레버윙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조작수단은 상기 신발 바닥창의 앞굽과 뒷굽 중어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KR1020140018648A 2014-02-18 2014-02-18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KR20150097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48A KR20150097303A (ko) 2014-02-18 2014-02-18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48A KR20150097303A (ko) 2014-02-18 2014-02-18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303A true KR20150097303A (ko) 2015-08-26

Family

ID=5405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48A KR20150097303A (ko) 2014-02-18 2014-02-18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73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4532B2 (en) Combination shoe that can be transformed into a shoe with different heel heights
US6684533B1 (en) Pivotal back for a sandal style shoe
ES2773862T3 (es) Zapato del apriete automatizado
US8112908B2 (en) Shoe with removable/interchangeable heel and related method
US20060021254A1 (en) Footwear with retractable studs
US20040035024A1 (en) Dual functions outsole structure for use on level and sloping ground
US20080000102A1 (en) Shoe covering for traction and/or sports
US8104193B1 (en) Spinning shoe
KR100779881B1 (ko) 회전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KR200414224Y1 (ko) 회전 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
KR20150097303A (ko) 신발용 아이젠 회전 조작장치
US20090064537A1 (en) Rotating anti-slip device for soles for footwear
KR101766395B1 (ko) 미끄럼 방지 신발
GB2556961B (en) Adjustable roller skates
US20080000103A1 (en) Shoes having deployable traction elements
US20080000104A1 (en) Traction element for shoes
CA2946374C (en) Shoe sole with a non-slip sole element and shoe
US20140331522A1 (en) Shoe having stool function
KR101775034B1 (ko) 골프화
KR200206131Y1 (ko)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KR102306791B1 (ko) 회전형 아이젠
KR200340757Y1 (ko) 미끄럼방지 신발
US10143273B2 (en) Multipurpose walking device
KR200324901Y1 (ko) 로울러가 구비된 신발
KR200467780Y1 (ko) 등산화에 탈부착이 가능한 미끄러짐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