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600A -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 Google Patents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600A
KR20150096600A KR1020140017559A KR20140017559A KR20150096600A KR 20150096600 A KR20150096600 A KR 20150096600A KR 1020140017559 A KR1020140017559 A KR 1020140017559A KR 20140017559 A KR20140017559 A KR 20140017559A KR 20150096600 A KR20150096600 A KR 20150096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arphone
head portion
us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1565B1 (ko
Inventor
이준민
Original Assignee
이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민 filed Critical 이준민
Priority to KR102014001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5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된 개방구의 조절을 통해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의 예방과 함께 음색의 청취를 조절할 수 있어 난청예방과 함께 음색의 보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피커가 내장된 헤드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구와, 상기 헤드부의 끝단에서 상기 개방구의 개방성을 제어하여 조절하는 후면 조절기를 구성하는데 있다.

Description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Air opening adjustable of the earphone speaker box}
본 발명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난청장애 없는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에서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은 귀에 장착할 수 있게 소형으로 설계된 수화기로서,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이다.
종래의 이어폰의 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스피커가 장착된 헤드부(100)와, 라디오 등의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헤드부(100)의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3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로 귀에 지지되면서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도 귀가 아프지 않도록 편안함을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100)의 외주 부분을 탄성력이 있는 고무 소재의 이어팁(200)으로 감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최근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이어폰의 밀폐성을 높여 음질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어폰의 사용으로 인해 난청장애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난청장애의 원인이 볼륨의 요소보다도 그 밀폐로 인한 외이와 내이의 압력 역전현상으로 인한 내이의 파괴파장의 도달 곧 내이의 미세압력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특히, 최근 연구결과에서 모든 이어폰 청취자중 무려 70프로가 소음성 난청장애로 인한 청력저하 증세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발전할 경우 청소년과 아이들이 중년 노년기에 거의 모두 난청장애 청각장애자가 될 위험에 처하고 있다.
한편, 보청기에 사용되는 이어폰의 경우는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이어폰과 달리 장시간에 걸쳐 사용하여야 함에 따라, 밀폐성이 높은 경우 사용자가 답답함(먹먹함)을 더욱 느끼게 되어 장시간 사용에 큰 부담을 느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1163호 : 난청장애 없는 개방구가 설치된 안전한 세인트이어피스 등록특허공보 제10-2010-0125151호 : 형상 가변형 이어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어폰 스피커통에 개방구를 설치하여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을 없애고, 밀폐감을 줄여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어폰 스피커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설치된 개방구의 조절을 통해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의 예방과 함께 음색의 청취를 조절할 수 있어 난청예방과 함께 음색의 보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의 특징은 스피커가 내장된 헤드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구와, 상기 헤드부의 끝단에서 상기 개방구의 개방성을 제어하여 조절하는 후면 조절기를 구성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 조절기는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의 끝단 홀이 형성된 후면에 밀착 회전하여, 상기 회전각의 크기를 기반으로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홀을 차단정도를 조절하여 밀폐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 조절기는 상기 헤드부의 끝단 홀이 형성된 후면에 밀착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거리를 기반으로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홀을 차단정도를 조절하여 밀폐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개방구를 설치하여 오랜 시간동안 이어폰 사용 시에도 소음성 난청장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밀폐감을 줄여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설치된 개방구의 조절이 가능하여 필요시 더 큰 음색이나, 맑고 깔끔한 음색의 청취를 조절할 수 있어 난청예방과 함께 음색의 보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이어폰을 나타낸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a의 후면 조절기를 이용한 개방구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a 내재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a 내재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어폰은 스피커(110)가 내장된 헤드부(100)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100)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130)와, 라디오 등의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110)와 연결하는 케이블(300)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130)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2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130)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100)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개방구(120)와, 상기 헤드부(100)의 끝단에서 상기 개방구(120)의 개방성을 제어하여 조절하는 후면 조절기(410)가 추가로 구성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개방구(120)를 한 개만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개방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방구(120)가 개방된 헤드부(100)의 끝단 홀(120b)은 헤드부(100)의 뒷단에 구성되고 있지만, 이는 사용자가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 밀폐성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끝단 홀(120b)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끝단 홀(120b)의 구성 위치가 헤드부(100)의 옆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면 조절기(410)는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된 끝단 홀(120b)이 위치하는 단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끝단 홀(120b)이 헤드부(100)의 후면이 아닌 옆면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후면 조절기(410)도 헤드부(100)의 옆면에 구성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기 끝단 홀(120b)이 헤드부(100)의 뒷단에 구성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의 개방구(120)는 정면, 즉 결합부(130)의 정면은 도 2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결합부(130)의 내부 일 측에 하나의 앞단 홀(120a)로 구성되며, 후면, 즉 헤드부(100)의 후면은 도 2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앞단 홀(120a)과 공기 통로로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끝단 홀(120b)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 조절기(410)는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410)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100)의 끝단 홀(120b)이 형성된 후면에 밀착 회전한다.
이에 따라, 도 3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후면 조절기(410)에 형성된 홀(410)의 위치와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홀(120b)의 위치가 서로 불일치되는 경우는 이어폰 스피커통에 구성되는 개방구의 공기의 흐름이 완전 차단되어 완전 밀폐성을 나타낼 수 있어 음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후면 조절기(410)에 구비된 홀(410)의 위치와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끝단 홀(120b)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는 경우는 이어폰 스피커통에 구성되는 개방구의 공기의 흐름이 완전 개방되어 밀폐감을 줄일 수 있어,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소음성 난청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끝단 홀(120b)의 개수를 2개 이상으로 구성하거나, 바(bar)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후면 조절기(410)의 회전각의 크기를 조절하여 차단되는 끝단 홀(120b)의 차단정도를 조절하면, 이어폰의 발생 밀폐성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향향상이 필요한 경우에는 밀폐성을 높이고, 이어폰의 편안함을 위해서는 밀폐성을 낮추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재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에서 도시하고 있는 이어폰 스피커통의 구성은 헤드부(100)의 끝단 홀(120b)이 형성된 후면에 구성되는 후면 조절기(410)의 구성을 제외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며,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동일한 구성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후면 조절기(500)는 상기 헤드부(100)의 끝단 홀(120b)이 형성된 후면에 밀착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인다.
이에 따라, 도 4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후면 조절기(500)가 상부로 이동하여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끝단 홀(120b)을 차단하면, 이어폰 스피커통에 구성되는 개방구의 공기의 흐름이 완전 차단되어 완전 밀폐성을 나타낼 수 있어 음향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도 4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후면 조절기(500)가 하부로 이동하여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끝단 홀(120b)을 개방하면, 이어폰 스피커통에 구성되는 개방구의 공기의 흐름이 완전 개방되어 밀폐감을 줄일 수 있어, 보청기와 같이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소음성 난청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헤드부(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끝단 홀(120b)의 개수를 2개 이상으로 구성하거나, 바(bar)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후면 조절기(500)의 상하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차단되는 끝단 홀(120b)의 차단정도를 조절하면, 이어폰의 발생 밀폐성 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향향상이 필요한 경우에는 밀폐성을 높이고, 이어폰의 편안함을 위해서는 밀폐성을 낮추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스피커가 내장된 헤드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헤드부의 외주 부분에 연결 구성되는 결합부, 음향 기기와 접속하는 잭을 스피커와 연결하는 케이블로 구성되는 이어폰 스피커통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되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소재의 이어팁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이어폰 스피커통은 사용자의 귀와 접촉하는 결합부에서부터 사용자의 귀와 접촉되지 않는 헤드부의 끝단까지를 내부 공기 통로로 연결하여 개방성을 보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구와,
    상기 헤드부의 끝단에서 상기 개방구의 개방성을 제어하여 조절하는 후면 조절기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끝단에 형성되는 홀은 헤드부의 뒷단 또는 옆단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의 홀은 바(bar) 형태로 구성되거나, 원형의 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조절기는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의 끝단 홀이 형성된 후면에 밀착 회전하여, 상기 회전각의 크기를 기반으로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홀을 차단정도를 조절하여 밀폐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조절기는 상기 헤드부의 끝단 홀이 형성된 후면에 밀착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거리를 기반으로 헤드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홀을 차단정도를 조절하여 밀폐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KR1020140017559A 2014-02-15 2014-02-15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KR10155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59A KR101551565B1 (ko) 2014-02-15 2014-02-15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59A KR101551565B1 (ko) 2014-02-15 2014-02-15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600A true KR20150096600A (ko) 2015-08-25
KR101551565B1 KR101551565B1 (ko) 2015-09-18

Family

ID=5405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559A KR101551565B1 (ko) 2014-02-15 2014-02-15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58A (ko) * 2022-04-2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67B1 (ko) * 2016-04-19 2017-08-11 주식회사 오르페오사운드웍스 소음 차폐 이어셋 및 이의 제조방법
US10602260B2 (en) 2016-04-19 2020-03-24 Orfeo Soundworks Corporation Noise blocking bluetooth earset with integrated in-ear micropho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225Y1 (ko) 2003-12-11 2004-03-02 주식회사 대림음향 음향 조절 가능한 이어폰
KR101091560B1 (ko) 2011-11-04 2011-12-13 필스전자 주식회사 외부음 유입형 이어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158A (ko) * 2022-04-2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운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565B1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1200A1 (en) Sub tragic ear unit
US9743168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US10791390B2 (en) Flex-fit ear tip for headphones
US11323795B2 (en) In-ear earphone
CN110679160B (zh)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JP2005323363A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US20180338194A1 (en) Earplug structure and earphone device
CN102123334A (zh) 带有周向麦克风狭槽的通信头戴式耳麦
EP1661432A2 (e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US11266531B2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human sensory hearing system while retaining quality sound
KR101551565B1 (ko) 개방구 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스피커통
CN113692748A (zh) 具有改进的外耳贴合度的个人音频设备
KR101562129B1 (ko) 이어폰의 청력 보호 장치
US9282390B1 (en) Dual mode in-ear headphone
KR101551564B1 (ko) 개방구가 설치된 이어폰 스피커통
CN203761557U (zh) 一种耳塞型半入耳闭塞式耳机
KR20160129379A (ko) 통기 구조를 갖는 이어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팁
CN103747386A (zh) 一种耳塞型半入耳闭塞式耳机
KR102430360B1 (ko) 멀티 이어팁
KR102315063B1 (ko)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CN211378226U (zh) 耳塞转接构件及耳塞
CN210274457U (zh) 一种可调节音量的耳机
KR101703519B1 (ko) 양방향 공기흐름 커널형 이어폰
TW202315418A (zh) 包含在耳道內提供可控制緊固機構之經改良耳機墊系統的無線耳機
KR101171699B1 (ko) 리시버 및 이를 사용한 이어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