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488A -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 Google Patents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488A
KR20150096488A KR1020157018967A KR20157018967A KR20150096488A KR 20150096488 A KR20150096488 A KR 20150096488A KR 1020157018967 A KR1020157018967 A KR 1020157018967A KR 20157018967 A KR20157018967 A KR 20157018967A KR 20150096488 A KR20150096488 A KR 20150096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ing
slit
sidewall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엠. 베치네
존 씨. 온더-코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721,572 external-priority patent/US912553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721,633 external-priority patent/US9889963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3/777,728 external-priority patent/US10435229B2/en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9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4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05Dispensers provided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recharge or pouch located within th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티슈 용기는 상단 및 하단 벽, 제1 및 제2 측벽, 및 제1 및 제2 말단 벽을 정의하는 분배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단 벽은 분배 오리피스(orifice)를 포함한다. 복수의 티슈는 내부 공간 속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말단 벽을 제거하여 노출되는 리필 오리피스를 통해서 리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뚜껑 조립체는 링 및 플립 탑을 포함한다. 링은 내부 영역 길이를 갖는 내부 영역을 정의한다.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이 내부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분배 슬릿을 포함한다. 슬릿의 일 말단은 사용자가 리필 오리피스에 도달해서 분배 슬릿을 통해 티슈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용이성을 개선하도록 위치된다.The tissue container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defining upper and lower walls, first and second sidewalls, and first and second end walls. The top wall includes a dispensing orifice. The plurality of tissues may be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and refilled through the exposed orifice to remove the end wall. The lid assembly includes a ring and a flip top. The ring defines an inner region having an inner region length. The thermoplastic elastomer distribution bulkhead extends substantially over the interior region and includes a dispensing slit. The one end of the slit is positioned to improve the ease with which the user can reach the refill orifice and exit the tissue through the dispensing slit.

Figure P1020157018967
Figure P1020157018967

Description

개선된 리필 용이성을 가진 티슈 분배 용기{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0001] Description [0002]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0003]

본 발명은 개선된 리필 용이성을 가진 티슈 분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ssue dispensing container with improved refillability.

본 출원은 둘 다 2012년 12월 20일에 출원된 선행 출원번호 13/721,633 및 선행 출원번호 13/721,572의 일부 계속출원이며, 2013년 2월 26일에 출원된 출원번호 13/777,728의 일부 계속 출원으로, 이들 각각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prior application number 13 / 721,633 and prior application number 13 / 721,572 both filed on December 20, 2012 and is a continuation-in-part of application number 13 / 777,728 filed February 26, Each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시장에는 다양한 보관 및 분배 용기들이 존재하며, 특히, 티슈형 제품(wipe-type product)을 보관하고 분배하기 위한 용기들이 존재한다. 티슈형 제품 또는 티슈는, 사용시 건식 또는 습식일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제조되어 왔다. 습식 티슈는 다양한 적절한 세정 용액으로 수분을 가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습식 티슈는 접지된 구성 또는 미접지된 구성으로 용기 내에 적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내에 적층된 습식 티슈들의 각각은, 당해 분야 숙련자에게 주지되어 있듯이, c형 접지, z형 접지, 또는 1/4 접지 구성 등의 접지된 구성으로 배열된 습식 티슈용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때때로, 각각의 접힌 물티슈는 티슈들의 적층(stack)에 있어서 해당 티슈의 바로 위와 아래에 있는 습식 티슈들과 맞접지되어 있다(interfolded). 대안적인 구성에서, 습식 티슈들은, 당기는 힘의 인가시에 재료의 연속 웹으로부터 개별적인 습식 티슈들이 분리될 수 있게 하기에 적합한 천공부들을 포함하는 재료의 연속 웹의 형태로 용기 내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습식 티슈들은 아기 티슈, 손 티슈, 개인 위생 티슈, 가정 청소용 티슈, 산업용 티슈 등에 사용되었다. There are various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s on the market, especially containers for storing and dispensing wipe-type products. Tissue-like products or tissues have been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be dry or wet during use. The wet tissue may have moisture in a variety of suitable cleaning solutions. Typically, the wet tissue is laminated in a container in a grounded configuration or ungrounded configuration. For example, each of the wet tissue papers stacked in a container may be used with a wet tissue container arranged in a grounded configuration, such as c-type ground, z-type ground, or 1/4 ground configuration,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Occasionally, each folded wet tissue is interfolded with wet tissue immediately above and below the tissue on a stack of tissues. In alternative arrangements, the wet tissues have been placed in a container in the form of a continuous web of material containing perforations suitable for allowing individual wet tissue to be separated from a continuous web of material upon application of a pulling force. These wet tissues were used in baby tissues, hand tissues, personal hygiene tissues, home cleaning tissues, industrial tissues, and the like.

종래의 티슈 패키지는, 통상적으로, 조리대, 테이블 등의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패키지는, 티슈가 더러워지거나 과도하게 마르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티슈에 밀봉된 환경을 제공하는 플라스틱 용기, 통, 또는 패키지를 종종 포함하였다. 종래의 패키지들 중 일부는, 또한, 패키지가 개방된 후 한 손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각 물티슈를 “한 번에 한 장씩”분배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한 손에 의한 한 번에 한 장 분배는, 사용자 또는 돌보는 사람의 나머지 손이 통상적으로 다른 기능들을 위해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아의 기저귀 제품을 교체하는 경우, 돌보는 사람은, 통상적으로, 한 손을 사용하여 유아를 원하는 위치에서 잡고 유지하는 한편 나머지 한 손을 사용하여 아기 티슈를 분배하여 유아를 닦는다. Conventional tissue packages are typically designed to lie on a plane such as a countertop, table, or the like. Such conventional packages often include plastic containers, vats, or packages that provide a sealed environment for the tissue to ensure that the tissue is not dirty or excessively dry. Some of the conventional packages were also configured to distribute each wet tissue one at a time, which could be achieved with one hand after the package was opened. This one hand dispensing at a time by one hand is particularly desirable since the rest of the user or caregiver hand must normally be used simultaneously for other functions. For example, when replacing an infant's diaper product, the carer typically uses one hand to hold and hold the infant in the desired location while dispensing the baby tissue using the other hand to clean the infant.

물티슈 분배기의 “팝-업(pop-up)”구성은, 유리하게도, 상기 언급한 한 손에 의한 한 번에 하나씩의 분배를 제공할 수 있다. “팝-업”구성에서, 분배기로부터 티슈를 분리하는 경우, 티슈는, 맞접지, 접착제 접합, 또는 절취선을 따라 일체 연결을 통해서, 패키지의 후행 티슈가 선행 티슈와 동작가능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후행 티슈의 선단을 따라 당긴다. 바람직하게는, 선행 티슈가 패키지 밖으로 멀어지면서 당겨지면서, 선행 티슈의 후단이 후행 티슈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행 티슈의 선단이 패키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후행 티슈의 선단은 붙잡고 패키지로부터 후속 인출하기 위해 즉시 자동 위치하게 되며, 이전에 후행 티슈는 이제는 선행 티슈가 된다. The " pop-up " configuration of the wet tissue dispenser can advantageously provide one dispensing at a time with the above-mentioned one hand. In the " pop-up " configuration, when separating the tissue from the dispenser, the tissue is in contact with the preceding tissue through an integral connection along an abutment, adhesive bond or perforation line, Pull along the tip of the trailing tissue. Preferably, the trailing edge of the preceding tissue is separated from the leading edge of the trailing tissue while the leading tissue is pulled away from the package, and the leading edge of the trailing tissue is projected from the package. In this way, the leading edge of the trailing tissue is immediately positioned automatically to catch and withdraw from the package, and the trailing tissue before it is now the leading tissue.

Bechyne 등의 이름으로 특허 출원번호 제13/721,633호에 개시되고,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사에 양도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람직한 분배기에서, 티슈는 일 말단 벽의 리필 개구를 통해 분배기에 로딩되지만 상단 벽의 분배 개구를 통하여 분배된다. 그러한 분배기의 특정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말단 벽의 리필 개구에 도달해서, 티슈 적층 속 상단 티슈를 잡고, 상기 분배 개구를 통해 상기 상단 티슈를 빠져나가게 해서, 상기 상단 분배 개구를 통해 상기 상단 티슈를 빠져나가게 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기존의 아기 티슈 분배기에서는, 분배 개구가 길이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상단 벽의 중앙에 있다. 그러나, 그렇게 중앙에 위치하는 것은, 심미적으로 이상적이지만, 특정 실시예들에서 평균 손가락 길이를 가진 성인이 도달해서 상기 분배 개구를 통해 상기 상단 티슈를 효율적으로 빠져나가게 하기에는 상기 분배 개구가 말단 벽 리필 개구로부터 너무 멀리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분배 개구를 통해 티슈를 더욱 쉽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는 말단-로딩, 상단-분배 분배기이다.In one preferred dispenser, a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3 / 721,633, to Bechyne et al., And assigned to Kimberly-Clark Worldwide, the tissue is loaded into the dispenser through the refill opening of the one- Is distributed through the distribution opening of the wall. In certain embodiments of such dispensers, it is possible to reach the refill opening of the end wall, grab the upper tissue in the tissue stack, and allow the upper tissue to escape through the dispensing opening, It may be necessary to let go. In conventional baby tissue dispensers, the dispensing opening is at the center of the top wall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However, being so centrally positioned is aesthetically ideal, but in certain embodiments, to allow an adult having an average finger length to reach and effectively escape the upper tissue through the dispensing opening, As shown in FIG. Thus, what is needed is a distal-loading, top-distributing dispenser that can more easily drain the tissue through the dispensing opening.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층된 물티슈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는 하단 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단 벽에 대략 평행한 상단 벽, 제2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벽에 대략 평행한 제1 측벽, 및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말단 벽에 대략 평행한 제1 말단 벽을 정의하는 분배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모든 벽들은 함께 내부 공간을 정의한다. 상기 제1 말단 벽은 리필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벽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티슈들이 추출될 수 있는 분배 오리피스(orific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말단 벽은 길이 치수로 상기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상단 벽은 높이 치수로 상기 하단 벽으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상단 벽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하단 벽의 내면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 높이를 갖는다. 상기 분배 오리피스는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를 정의한다. 상기 용기는 상기 높이 치수로 서로 위에 적층되며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물티슈들의 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물티슈는, 상기 분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추출되기에 적합하다.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of stacked wipes. The container includes a top wall spaced from the bottom wall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bottom wall, a first sidewall spaced from and parallel to the second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spaced from the second sidewall, And a distributor housing defining a generally parallel first end wall. All of the walls together define an interior space. The first end wall may be re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a refill orifice. The top wall includes a dispensing orifice through which the tissues can be extracted from the interior space. The first end wall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in length dimension and the top wall is spaced from the bottom wall in height dimension. The inner space has an inner space height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wall. The dispensing orifice defines a dispensing orifice periphery. The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tack of wet tissues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in the height dimension and disposed in the interior space. Each wet tissue is adapted to be extracted from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dispensing orifice.

상기 분배 오리피스는 뚜껑 조립체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뚜껑 조립체는 링(ring)과 플립 탑(flip top)을 포함한다. 상기 링은 상기 상단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플립 탑은 상기 링에 경첩으로(hingedly) 연결된다. 상기 링은 상기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와 중첩되며, 이러한 주변부를 따라 대략 연장된다. 상기 링은 내부 영역 길이를 갖는 내부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링은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가까운 제1 링 말단 및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먼 제2 링 말단을 갖는다.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이 상기 내부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분배 슬릿이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배 슬릿은 상기 제1 링 말단에서 가까운 제1 슬릿 말단, 상기 제2 링 말단에서 가까운 제2 슬릿 말단, 및 슬릿 길이를 갖는다. 상기 슬릿 길이는 상기 길이 치수를 따라 연장된다. The dispensing orifice is covered by the lid assembly. The lid assembly includes a ring and a flip top. The ring is permanently fixed to the top wall, and the flip top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ring. The ring overlaps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distribution orifice and extends approximately along the peripheral portion. The ring defines an inner region having an inner region length. The ring has a first ring end near the refill orifice and a second ring end far from the refill orifice. A thermoplastic elastomer distribution bulkhead extends substantially over the inner region and a distribution slit is form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distribution bulkhead. The distribution slit has a first slit end near the first ring end, a second slit end near the second ring end, and a slit length. The slit length extends along the length dimens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릿 말단은 상기 제1 말단 벽으로부터 제1 길이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슬릿 말단은 상기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제2 길이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작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lit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d wall by a first length, the second slit end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by a second length, 2 length.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 길이의 적어도 60%는 상기 제1 링 말단, 및 상기 내부 영역 길이의 중간 지점에서 내부 영역 길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등분선 사이에 위치한다.In another embodiment, at least 60% of the slit lengt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ing end and a bisector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inner region at a midpoint of the length of the inner region.

본 발명의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이해할 것이며 추가 특징부들이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은, 예시일 뿐이며, 청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 도시한 패키지의 유사한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참조된다.
도 1a는 플립 탑(flip top)이 밀폐 위치에 있고 양쪽 말단 벽 탈착식 캡들이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전방 좌측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플립 탑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a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다.
도 1c는 한 개의 말단 벽 탈착식 캡이 미부착되어 있는 도 1a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한 개의 말단 벽 탈착식 탭이 미부착되어 있는 도 1a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후방 우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전방도이다.
도 4는 4-4 선을 따라 절취한 도 3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말단 벽 탈착식 캡이 없는 도 1c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말단도이다.
도 6은 6-6 선을 따라 절취한 도 5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양쪽 말단 벽 탈착식 캡들이 부착되어 있는, 6-6 선을 따라 절취한 도 5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한 개의 말단 벽 탈착식 말단 캡과 물티슈들의 적층이 있는 도 1a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7b는 티슈가 부분적으로 분배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b와 동일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사용하는 데 적절한 물티슈들의 적층의 전방도와 함께, 도 6과 동일한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참조 번호 9로 표시된 도 8의 부분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참조 번호 9로 표시된 도 8의 부분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양쪽 말단 벽 탈착식 말단 캡들과 뚜껑 조립체가 구비된 도 1a의 실시예를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사용하는 데 적절한 뚜껑 조립체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b는 도 12a의 뚜껑 조립체의 하부도를 도시한다.
도 12c는 도 12a의 뚜껑 조립체의 후방도를 도시한다.
도 12d는 도 12a의 뚜껑 조립체의 상부도를 도시한다.
도 12e는 도 12a의 뚜껑 조립체의 말단도를 도시한다.
도 12f는 12F 선을 따라 절취한 도 12d의 뚜껑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1 말단 벽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3b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1 말단 벽의 내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c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1 말단 벽의 외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d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1 말단 벽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3e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1 말단 벽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a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말단 벽의 내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b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말단 벽의 내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c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말단 벽의 외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d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말단 벽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4e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제2 말단 벽의 측면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5a는 제1 배향인 표면 상에 위치한 도 1-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b는 제2 배향인 표면 상에 위치한 도 1-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c는 제3 배향인 표면 상에 위치한 도 1-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d는 제4 배향인 표면 상에 위치한 도 1-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e는 제4 배향인 표면 상에 위치한 도 1-3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6a는 플립 탑이 없고 하단 말단 벽 탈착식 캡이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도 16b는 플립 탑이 없고 하단 말단 벽 탈착식 캡이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도 16c는 플립 탑이 없고 하단 말단 벽 탈착식 캡이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도 16d는 플립 탑이 없고 하단 말단 벽 탈착식 캡이 부착되어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and further features will become apparent when reference is made to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rawings are illustrative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Similar parts of the package shown in the figures are referred to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igure 1a shows a front left perspective view representativ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lip top is in the closed position and both end wall detachable caps are attached.
1B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A in which the flip top is in the open position; FIG.
Fig. 1C is an exemplary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 1A in which one end wall detachable cap is not attached.
Figure 2 is a rear right side perspective view representative of the embodiment of Figure Ia in which one end wall detachable tab is not attached.
Fig. 3 is a front view exemplarily showing an embodiment of Fig. 1a.
4 is a cross-sectional view exemplarily showing the embodiment of Fig. 3 cut along line 4-4.
5 is an end view representatively showing an embodiment of Fig. 1C without a terminal wall detachable cap.
6 is a cross-sectional view typically showing the embodiment of Fig. 5 taken along line 6-6.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representative of the embodiment of Figure 5 cut along line 6-6 with both end wall detachable caps attached.
FIG. 7A is an exploded view representative of the embodiment of FIG. 1A with one end wall detachable end cap and a stack of wet tissues. FIG.
Figure 7b is the same view as Figure 1b, except that the tissue is shown in a partially dispensed position.
Fig. 8 is an illustration diagrammatically showing the same embodiment as Fig. 6, along with the front view of the stacking of wet tissues suitable for use 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detail view of the portion of Figure 8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9.
Figure 10 shows a detail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ortion of Figure 8,
11 is an exploded view representative of the embodiment of FIG. 1A with both end wall detachable end caps and a lid assembly.
Figure 12a show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id assembly suitable for use 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b shows a bottom view of the lid assembly of Figure 12a.
Figure 12c shows a rear view of the lid assembly of Figure 12a.
Figure 12d shows a top view of the lid assembly of Figure 12a.
Figure 12E shows an end view of the lid assembly of Figure 12A.
12F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d assembly of FIG. 12D cut along line 12F.
Figure 13A show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3b shows an internal top view of the first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3c shows an external top view of the first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3d shows a top plan view of the first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3E shows a side plan view of the first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4A show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4b shows an internal top view of the second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 14C shows an external top view of the second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s. 1-3.
Figure 14d shows a top plan view of the second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Figure 14E shows a side plan view of the second end wall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1-3.
15A shows an embodiment of FIGS. 1-3 located on a surface that is a first orientation.
Fig. 15B shows an embodiment of Figs. 1-3 located on a surface that is a second orientation.
Fig. 15C shows an embodiment of Figs. 1-3 located on a surface that is a third orientation.
Fig. 15d shows an embodiment of Figs. 1-3 located on a surface that is a fourth orientation.
Fig. 15E shows the embodiment of Figs. 1-3 located on the surface which is the fourth orientation.
16A is an exemplary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re is no flip top and a bottom end wall detachable cap is attached.
Figure 16b represents a top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re is no flip top and a bottom end wall detachable cap is attached.
16C illustrates a top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re is no flip top and a bottom end wall detachable cap is attached.
16D representatively shows a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re is no flip top and a bottom end wall detachable cap is attached.

도 1 내지 도 16를 참조해 보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물티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20)는, 분배기 하우징(22), 및 물티슈들(52)의 적층(50)을 포함한다. 분배기 하우징(22)은, 하단 벽(26)으로부터 이격되고 하단 벽에 대략 평행한 상단 벽(24)을 포함한다. 분배기 하우징(22)은, 제2 측벽(30)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측벽에 대략 평행한 제1 측벽(28)을 더 포함한다. 분배기 하우징(22)은, 제2 말단 벽(34)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말단 벽에 대략 평행한 제1 말단 벽(32)을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대략 평행”은, 서로에 대해 0도 내지 30도 사이에 배치됨을 의미한다. 벽들(24, 26, 28, 30, 32, 34)은 함께 연결해서 내부 공간(36)을 정의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제2 측벽(30), 및 제2말단 벽(34)의 적어도 한 층은 서로 일체로 성형된다. 벽들(24, 26, 28, 30, 32, 34)이 모두 연결되면, 내부 공간은 바람직하게는 수분이 투과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내부 공간 내의 물티슈들(52)이 건조해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2)은 직육면체 등의 다면체이다. Referring to Figures 1-16, in certain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tissue container. Container 20 includes a dispenser housing 22 and a laminate 50 of wipes 52. The dispenser housing 22 includes a top wall 24 spaced from the bottom wall 26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bottom wall. The dispenser housing 22 further includes a first sidewall 28 spaced from the second sidewall 30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second sidewall. The dispenser housing 22 further includes a first end wall 32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34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second end wall. As used herein, " approximately parallel " means that it is disposed between 0 and 30 degrees relative to each other. The walls 24, 26, 28, 30, 32, 34 are connected together to define an interior space 36. [ In certain embodiments, at least one of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the second sidewall 30, and the second end wall 34 are integrally molded with one another . When all the walls 24, 26, 28, 30, 32 and 34 are connected, the inner space is preferably not permeable to moisture, and therefore the wet tissues 52 in the inner space are not dried. Preferably, the housing 22 is a polyhedron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하우징은 강성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강성”이란, 물티슈 및 물티슈의 일부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들에 흔히 연관된 일정 수준의 단단함을 의미한다. 수치적으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재료들은, (ASTM D790 “Test Method for Flexural Properties of Unreinforced and Reinforced Plastics and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s”에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은) 굴곡 계수(flexural modulus)인, 약 100N/mm2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100 내지 약 1550N/mm2을 갖는다. The housing is rigid. As used herein, " stiffness " means a certain level of rigidity commonly associated with materials used to make part of a wet tissue and a wet tissue. Numerically, in certain embodiments, these materials have a flexural modulus (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ASTM D790 " Test Method for Flexural Properties of Reinforced Plastics and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s ") of about 100 N / mm < 2 > or more,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1100 to about 1550 N / mm < 2 >.

제1 말단 벽(32)은 리필 오리피스(38)를 통해 내부 공간(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벽은,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또는 제2 측벽(30) 중 하나에 경첩으로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벽(32)은 하우징 구조의 나머지로부터 완전하게 탈착 가능하다. The first end wall 32 can be 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36 through the refill orifice 38. For example, in specific embodiments, the first end wall is hingedly connected to one of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or the second sidewall 30.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end wall 32 is completely removable from the rest of the housing structure.

예시한 실시예들에서, 리필 오리피스(38)는,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및 제2 측벽(30)의 말단들에 또는 이러한 말단들 근처에 존재하는 하우징 개구이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the refill orifices 38 are located at or near the ends of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and the second sidewall 30 Is an existing housing opening.

상단 벽(24)은, 개별 티슈들(52)이 내부 공간(36)으로부터 추출(즉, 분배)될 수 있는 분배 오리피스(40)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분배 오리피스(40)는 뚜껑 조립체(42)에 의해 커버된다. 뚜껑 조립체(42)는, 도 12a와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44)과 플립 탑(flip top, 46)을 포함한다. 링(44)은 상단 벽(24)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플립 탑(46)은 하나 이상의 경첩(45)에서 링에 경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top wall 24 includes a dispensing orifice 40 through which individual tissues 52 can be extracted (i.e., dispensed) from the interior space 36. In certain embodiments, the dispensing orifice 40 is covered by the lid assembly 42. The lid assembly 42 includes a ring 44 and a flip top 46, as shown in Figures 12A and 12B. The ring 44 may be permanently fixed to the top wall 24 and the flip top 46 may be hinged to the ring at one or more hinges 45. [

상단 벽(24)은 두께를 갖고 내면(25)을 정의한다. 하단 벽(26)은 두께를 갖고 내면(27)을 정의한다. 상단 벽(24)은 하단 벽(26)으로부터 높이 치수(29)로 이격되어 있다. 높이 치수는, 상단 벽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의된 면 및 하단 벽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의된 면 모두에 수직한다. 내부 공간(36)은, 상단 벽(24)의 내면(25)으로부터 하단 벽(26)의 내면(27)으로 높이 치수(29)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 높이(37)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내부 공간 높이”는, 상단 벽 내면(25)과 하단 벽 내면(27) 간에 높이 치수(29)로 존재하는 최대 거리를 의미한다. 제1 말단 벽(32)은 길이 치수(79)로 제2 말단 벽(3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The top wall 24 has a thickness and defines an inner surface 25. The bottom wall 26 has a thickness and defines an inner surface 27. The top wall 24 is spaced from the bottom wall 26 by a height dimension 29. The height dimension is perpendicular to both the plane substantially defined by the top wall and the plane substantially defined by the bottom wall. The inner space 36 has an inner space height 37 that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25 of the top wall 24 to the inner surface 27 of the bottom wall 26 to a height dimension 29. As used herein, "interior space height" means the maximum distance that exists as a height dimension 29 between the top wall inner surface 25 and the bottom wall inner surface 27. The first end wall 32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34 by a length dimension 79.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물티슈들(52)은 높이 치수(29)로 서로 적층되며 내부 공간(36) 내에 배치되고, 각 물티슈(52)는, 분배 오리피스(40)를 통해 내부 공간(36)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한 번에 하나씩 추출되는 데 적합하다. 티슈들은, 바람직하게는, “팝업”분배를 제공하도록 적층(50) 내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티슈가 분배기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절취선을 따른 맞접지(interfolding), 접착제 접합, 또는 일체 연결 등에 의해, 후행 티슈가 선행 티슈와 동작가능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선행 티슈가 패키지의 후행 티슈의 선단을 따라 당긴다. 바람직하게는, 선행 티슈가 패키지로부터 밖으로 멀어지며 당겨지면서, 선행 티슈의 후단이 후행 티슈의 선반으로부터 분리되며, 후행 티슈의 선단이 패키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남게 된다. 이러한 식으로, 후행 티슈의 선단이 붙잡고 패키지로부터의 후속 분리를 위해 즉시 자동 위치하게 되며, 이전의 후행 티슈는 이제는 선행 티슈가 된다. 대안적으로, 용기(20)는, “손이 미치는 방식(reach-in)”분배를 위해, 비-맞접지(non-interfolded) 구성으로 된 티슈들(52)의 적층(5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맞접지 티슈의 경우, 다른 티슈의 어떠한 부분도 인접하는 티슈(들)의 접지부들의 어떠한 부분 사이 또는 아래에 위치되지 않고 각 티슈가 그 자신 위에 접혀 있을 수도 있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wet tissues 52 are stacked on each other at a height dimension 29 and disposed within the interior space 36, and each wipe 52 extends from the interior space 36 through a dispensing orifice 40 Preferably by the user, one at a time. The tissues are preferably configured within the stack 50 to provide a " pop-up " distribution.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tissue is separated from the dispenser, the leading tissue is in operable contact with the leading tissue by interfolding, adhesive bonding, or integral connection along the perforation line, Pull along the tip of the tissue. Preferably, the leading tissue of the leading tissue is separated from the shelf of the trailing tissue while the leading tissue is pulled away from the package, leaving the leading edge of the trailing tissue protruding from the package. In this way, the leading edge of the trailing tissue is held and immediately automatically positioned for subsequent separation from the package, and the previous trailing tissue is now the leading tissue. Alternatively, the container 20 may include a laminate 50 of non-interfolded tissue 52 for " reach-in " It is possible. In the case of such a non-interfacing grounded tissue, no portion of the other tissue may be folded over itself, without being located between or under any of the grounded portions of the adjacent tissue (s).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적층(50)의 물티슈들(52)의 각각은, c-접지, z-접지, 또는 다른 지그재그 접지 등처럼 서로와 맞접힌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층(50)의 물티슈들(52)은 취약한 절취선을 따라 상호 연결된다. 예를 들어, 티슈들은, 아코디온형 적층 구성으로 접힌 상호 연결된 티슈들의 연속 웹으로서 하우징에 배열될 수 있다. 개별 티슈들은 천공선 등의 절취선을 따라 함께 연결되어서, 선행 티슈가 분리된 후 후행 티슈가 사용자가 붙잡기 위한 위치에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들은, 연속적인 재료의 웹의 폭에 걸쳐서 연장되는 일련의 절취선들을 갖는 연속적인 재료의 웹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연속되는 절취선들 사이에 있는 재료의 웹의 각 부분이 하나의 개별 티슈를 구성한다. 절취선들은, 재료의 웹에서의 천공, 압입, 괘선, 또는 절말단 등, 당해 분야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In certain embodiments, each of the wet tissues 52 of the laminate 5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another, such as c-ground, z-ground, or other zigzag ground. In other embodiments, the wet tissues 52 of the laminate 50 are interconnected along a weak perforation line. For example, the tissues may be arranged in the housing as a continuous web of folded interconnected tissues in an accordion-like laminated configuration. The individual tissues may be connected together along a perforation line such as a perforated line to ensure that the trailing tissue is in a position for the user to catch after the preceding tissue has been detached. For example, the tissues may be provided by a web of continuous material having a series of perforations extending across the width of the web of continuous material. Each part of the web of material between successive perforations constitutes one individual tissue. The perforations may be provided by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perforation, indentation, ruling, or sheathing of the material in the web.

본 발명의 용기는, 원하는 패키징과 최종 용도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개별 티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는, 적어도 5개의 티슈, 바람직하게는 약 8개 내지 약 320개의 개별 티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개 내지 약 64개의 티슈의 적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티슈는,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대략 직사각형이다.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ny suitable number of individual tissues depending on the desired packaging and end use. For example, the container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ack of at least 5 tissues, preferably from about 8 to about 320 individual tissues, more preferably from about 16 to about 64 tissues. Each tissue, in certain embodiments, is approximately rectangular.

본 발명에서 채택되는 티슈에 적절한 재료들은 당해 분야 숙련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티슈들(52)은, 멜트블로운 재료, 코폼 재료, 에어레이드 재료, 또는 본디드카디드 웹 재료, 수력엉킴 재료, 고 습윤 강도 티슈 등의 부직포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고,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측면들의 티슈들은, 티슈들 내에 흡수될 수 있거나 연행(entrain)되어 티슈를 “젖은 티슈(wet wipe)”로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용액일 수 있는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젖은 티슈들 내에 함유된 액체는, 원하는 닦기 특성을 제공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분들은, 물, 완화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pH 완충제, 향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는 로션, 연고, 및/또는 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젖은 티슈 내에 함유된 액체의 양은, 젖은 티슈를 제공하도록 사용되는 재료의 유형, 사용되는 액체의 유형, 젖은 티슈들의 적층을 보관하도록 사용되는 용기의 유형, 및 젖은 티슈의 원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젖은 티슈는, 티슈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약 150 내지 약 6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0 내지 약 400 중량%의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Materials suitable for the tissue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tissues 52 may be fabricated from nonwoven materials such as meltblown materials, coform materials, airlaid materials, or bonded carded web materials, hydroentangled materials, high wet strength tissue, Synthetic fibers or natural fiber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liquids that can be absorbed or entrained within the tissues to be any solution that can make the tissue a " wet wipe ". The liquid contained within the wetted tissues may contain ingredients that provide the desired wipe characteristics. For example, the ingredients may include water, an emollient, a surfactant, an antiseptic, a chelating agent, a pH buffer, a flavoring,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liquid may also include lotions, ointments, and / or medicaments. The amount of liquid contained in each wet tissue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aterial used to provide the wet tissue, the type of liquid used, the type of container used to store the stack of wet tissues, and the desired end use of the wet tissue It can be different. Generally, each wet tissue may contain from about 150 to about 600 wt%, preferably from about 200 to about 400 wt%, of liquid, based on the dry weight of the tissue.

하우징(22) 및/또는 뚜껑 조립체(42)는, 불투명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용기 내에 남아 있는 티슈들의 양을 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할 수 있다. 하우징 및/또는 뚜껑 조립체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다양한 중합체, 공중합체, 및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housing 22 and / or the lid assembly 42 may be opaque or, alternatively,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so that the amount of tissue remaining in the container can be visually inspected. The housing and / or lid assembly may be made from a variety of polymers, copolymers, and mixtures including, for examp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and polystyrene.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말단 벽(32)은 내부 공간(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벽(32)은 탈착식 캡(60)을 구성한다. 탈착식 캡(60)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또는 제2 측벽(30)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탈착식 캡(60)과 하우징(22)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홈 이음(tongue-and-groove) 또는 볼록 오목(rib-and-recess) 관계로 함께 잠궈(snap)지도록 구성된다. As discussed above, the first end wall 32 may be re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36.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end wall 32 constitutes a removable cap 60. The removable cap 60 is not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or the second sidewall 30,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movable cap 60 and the housing 22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snap together, for example, in a tongue-and-groove or a rib-and-recess relationship.

특정한 실시예들에서는, 제2 말단 벽(34)을 제거해서 내부 공간(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제2 말단 벽(34)은 탈착식 캡(62)을 포함한다. 탈착식 캡(62)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또는 제2 측벽(30)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탈착식 캡(62)과 하우징(22)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홈 이음 또는 볼록 오목 관계로 함께 잠궈지도록 구성된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second end wall 34 may be re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36. In certain embodiments, the second end wall 34 includes a removable cap 62. The removable cap 62 is not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or the second sidewall 30,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movable cap 62 and the housing 22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locked together, for example, in a grooved or convex concave relationship.

탈착식 제1 말단 벽(32), 탈착식 제2 말단 벽(34), 또는 양쪽 말단 벽 모두를 통해 내부 공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분배기 하우징(22)은, 이전의 티슈들의 적층이 소모된 후에 새로운 티슈들의 적층(50)으로 리필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운 티슈들의 적층(50)이 리필 방향(64)으로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리필 방향(64)은, 도 6, 도 6a, 도 8에 대표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분배 방향(41)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다. By providing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both the removable first end wall 32, the removable second end wall 34, or both end walls, the dispenser housing 22 can be removed after the stack of previous tissues is exhausted Can be refilled with a stack of new tissues 50. 7A, a stack of new tissue 5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n the refill direction 64. As shown in FIG. The refilling direction 64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spensing direction 41 as exemplified in Figs. 6, 6A and 8.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제2 말단 벽(34)은,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및 제2 측벽(30)과 일체로 형성된 영구층(permanent layer; 35)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1 측벽(32)은, 제1 탈착식 캡(60)(바람직하게는,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또는 제2 측벽(30)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말단 벽(34)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영구층(35)을 구비하는 것과 더불어, 제2 탈착식 캡(62)(바람직하게는,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또는 제2 측벽(30)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음)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탈착식 캡(62)은 제1 탈착식 캡(6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식으로, 제1 말단 벽(32)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전하게 탈착가능하며, 이에 따라, 내부 공간(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지만, 제2 말단 벽(34)은 일체형 영구층을 포함함으로써 용기(20)에 개선된 구조적 무결성 및/또는 개선된 수분 보유 기능을 제공한다. 동시에,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용기의 각 말단 상에 유사하거나 동일한 캡들(60, 62)을 포함함으로써, 용기에는, 완전히 조립되는 경우 구조적 대칭성을 갖는 외관이 제공되는데, 이는 특정 상황에서 개선된 기능과 바람직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맥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제1 및 제2 탈착식 캡들이 충분히 구조적으로 유사해서, 그것들이 스위칭되고 하우징의 대향 말단들에 부착될 수 있지만, 성형된 브랜드명이나 손가락 탭이 한 캡 상에는 존재하지만 나머지 한 캡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서로에 대하여 약간 차이점이 있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second end wall 34 includes a permanent layer 34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and the second sidewall 30, ; 35). In such embodiments, the first sidewall 32 includes a first detachable cap 60 (preferably a top wall 24, a bottom wall 26, a first sidewall 28, 30), and the second end wall 34 may include a second detachable cap 62 (preferably a second detachable cap), as well as having the integral permanent layer 35 as described above (Not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top wall 24, the bottom wall 26, the first sidewall 28, or the second sidewall 30). Preferably, the second detachable cap 62 is of substantially the same construction as the first detachable cap 60. In this way, the first end wall 32, in certain embodiments, is completely removable and thus can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36, but the second end wall 34 By including an integral permanent layer, the container 20 provides improved structural integrity and / or improved moisture retention. At the same time, by including similar or identical caps 60, 62 on each end of the container in certain embodiments,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appearance that has structural symmetry when fully assembl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esirable aesthetic sense. As used herein, " substantially identical in structure " means that the first and second detachable caps are sufficiently structurally similar that they can be switched and attached to opposite ends of the housing, It means that brand names or finger tapes may exist on one cap, but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as they do not exist in the other cap.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36)은, 상단 벽(24)의 내면(25)으로부터 하단 벽(26)의 내면(27)까지 연장되는 내부 공간 높이(37)를 갖는다. 티슈들(52)의 적층(50)은 적층 높이(51)를 정의한다. 적층 높이(51)가 내부 공간 높이(37)와 동일하다면, 일부 상황에서 두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첫째, 적층(50)의 상단(53)이 상단 벽(24)의 내면(25)에 대하여 너무 단단히 눌러져 있으면, 적층(50)의 상단 티슈 또는 티슈들 분배가 방해받을 수 있다. 둘째, 뚜껑 조립체(42)가 본 발명의 특정한 측면들에서 분배 오리피스(40)를 통해 내부 공간(36) 내로 약간 돌출될 수 있다(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함).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적층 높이(51)가 내부 공간 높이(37)와 동일하면, 티슈들(52)의 적층(50)은, 적층(50)이 리필 오리피스(38)를 통해 내부 공간(36) 내로 삽입되는 경우 뚜껑 조립체(4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충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 내에서의 티슈들이 구겨지거나 티슈들의 움직임이 방해받을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용기(20)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용기(20)를 리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적층(50)의 적층 높이(51)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space 36 has an inner space height 37 that extends from the inner surface 25 of the top wall 24 to the inner surface 27 of the bottom wall 26 as described above. The laminate 50 of the tissues 52 defines a laminate height 51. It has been found that if the stack height 51 is the same as the inner space height 37, two problems may occur in some situations. First, dispensing of the top tissue or tissues of the laminate 50 may be impeded if the top 53 of the laminate 50 is pressed too tightly against the inner surface 25 of the top wall 24. Second, the lid assembly 42 may protrude slightly into the interior space 36 through the dispensing orifice 40 in certain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The stacking 50 of the tissues 52 is such that the stacking 5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36 through the refill orifices 38. In this embodiment, , It collides with the inwardly protruding portion of the lid assembly 42, so that the tissues in the container may be wrinkled or the movement of the tissues may be disturbed. For these two reasons, in some embodiments of the container 20, it is desirable to control the stack height 51 of the stack 50 that can be used to refill the container 20. [

이를 충족하기 위해, 적층 높이(51)를 제한하는 구성이 발명되었다. 리필 오리피스(38)는 높이 치수(29)로 연장되는 리필 오리피스 높이(39)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리필 오리피스 높이(39)는, 내부 공간 높이(37)의 95% 미만, 더욱 구체적으로는 90% 미만이다. 내부 공간 높이(37) 보다 작은 리필 오리피스 높이(39)를 제공하기 위한 한 가지 적절한 기술은 말단 플랜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와 도 8에 대표적으로 예시한 일 실시예에서, 리필 오리피스(38)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플랜지(70)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 지어진다. 말단 플랜지(70)는, 상단 벽(24)으로부터 하단 벽(26)을 향하여 연장되며, 말단 플랜지 에지(71)에서 종결된다. 말단 플랜지(70)는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상단 벽(24)과 일체로 형성된다. To satisfy this requirement, a configuration for restricting the stack height 51 was invented. The refill orifice 38 has a refill orifice height 39 that extends to a height dimension 29.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fill orifice height 39 is less than 95% of the interior space height 37, and more specifically less than 90%. One suitable technique for providing a refill orifice height 39 that is less than the inner space height 37 is to use a distal flange.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which i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S. 5 and 8, the refill orifice 38 is partially bounded by at least one end flange 70. The distal flange 70 extends from the top wall 24 toward the bottom wall 26 and terminates at the distal flange edge 71. The end flange 7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wall 24 in certain embodiments.

계속 도 5와 도 8을 참조해 보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리필 오리피스(38)는 연속 말단 플랜지(72)에 의해 둘러싸인다. 연속 말단 플랜지(72)의 상측 부분(74)은 상단 벽(24)으로부터 하단 벽(26)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측 부분 에지(75)에서 종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측 부분(74)은 상단 벽(24)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연속 말단 플랜지(72)의 하측 부분(76)은 하단 벽(26)으로부터 상단 벽(24)을 향하여 연장되며, 하측 부분 에지(77)에서 종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부분(76)은 하단 벽(26)과 일체로 형성된다. 연속 플랜지는 측면 부분들(78, 78)도 포함한다. 하우징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적층(50)의 높이(51)를 제한하는 것과 더불어, 연속 말단 플랜지(72)는,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구조적 무결성을 하우징(22)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Continuing with FIGS. 5 and 8,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fill orifice 38 is surrounded by a continuous end flange 72. The upper portion 74 of the continuous terminal flange 72 extends from the upper wall 24 toward the lower wall 26 and terminates at the upper partial edge 75.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7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wall 24. [ The lower portion 76 of the continuous end flange 72 also extends from the lower end wall 26 toward the upper wall 24 and terminates at the lower partial edge 77. Preferably, the lower portion 7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wall 26. The continuous flange also includes side portions 78,78. In addition to limiting the height 51 of the stack 50 that may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the continuous end flange 72 may additionally provide structural integrity to the housing 22, in certain embodiments.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뚜껑 조립체(42)는, 링(44)과 플립 탑(46)을 포함하고, 링(44)은 상단 벽(24)에 바람직하게는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도 8 내지 도 10 및 도 12a 내지 도 12f를 참조해 보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링(44)은 상측 부분(47)과 완충 플랜지(48)를 포함한다. 상측 부분(47)은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43)와 중첩되며, 이러한 주변부를 따라 대략 연장된다. 상측 부분(47)은, 상단 벽(2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링(44)의 부분이다(여기서 사용하는 바와 같은 “외측으로”는 내부 공간(36)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완충 플랜지(48)는 상측 부분(47)으로부터 내부 공간(36)으로 돌출된다. 상단 벽(24)은 두께(23)를 갖고, 완충 플랜지는 높이(49)를 갖는다. 본원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상단 벽(24)의 두께(23)는,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43)로부터 약 1cm 떨어져 측정되는 (캘리퍼 등의)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두께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완충 플랜지(48)의 높이(49)는, 상측 부분(47)의 아래측(57)으로부터 완충 플랜지(48)의 원위 말단(58)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충 플랜지 높이(49)는 상단 벽 두께(23)보다 크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충 플랜지(48)의 높이(49)는, 상단 벽(24)의 두께(23) 보다 적어도 20% 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50% 크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100% 크다. As described above, in certain embodiments, the lid assembly 42 includes a ring 44 and a flip top 46, and the ring 44 is preferably permanently fixed to the top wall 24 . 8-10, and 12A-12F, in certain embodiments, the ring 44 includes an upper portion 47 and a buffer flange 48. As shown in FIG. The upper portion 47 overlaps the distribution orifice periphery 43 and extends approximately along this periphery. The upper portion 47 is a portion of the ring 44 that extends outwardly from the top wall 24 ("outwardly" as used herein means away from the interior space 36). The buffer flange 48 protrudes from the upper portion 47 to the inner space 36. The top wall 24 has a thickness 23 and the buffer flange has a height 49. [ The thickness 23 of the top wall 24 as referred to herein means the thickness measured by any suitable means (such as a caliper) measured about 1 cm from the dispensing orifice periphery 43. The height 49 of the cushioning flange 48 as referred to herein means the distance from the lower side 57 of the upper portion 47 to the distal end 58 of the cushion flange 48. In certain embodiments, the buffer flange height 49 is greater than the top wall thickness 23. For example, in certain embodiments, the height 49 of the buffer flange 48 is at least 20% greater, more specifically at least 50% greater than the thickness 23 of the top wall 24, Is at least 100% greater.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충 플랜지(48)는 완충 플랜지 외측 주변부(59)를 정의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충 플랜지 외측 주변부(59)의 길이는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43)의 길이보다 짧다. 바람직하게는, 완충 플랜지 외측 주변부(59)의 길이는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43)의 길이보다 약간 짧아서(예를 들어, 0% 내지 2% 짧음), 완충 플랜지(48)가 분배 오리피스(40) 내에 딱 맞게 끼워지게 된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cushion flange 48 defines a cushion flange outer periphery 59. In certain embodiments, the length of the buffer flange outer periphery 59 is less than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orifice periphery 43. Preferably, the length of the buffer flange outer periphery 59 is slightly less than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orifice periphery 43 (e.g., 0% to 2% shorter), so that the buffer flange 48 is positioned within the distribution orifice 40 It will fit snugly.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벽을 제거해서 리필 오리피스(38)를 통해 내부 공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고, 리필 오리피스(38)는 적어도 하나의 말단 플랜지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 지어질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말단 플랜지(70)는 말단 플랜지 높이(73)를 갖는다. 본원에서 참조하는 바와 같은 말단 플랜지 높이는, 도 9와 도 10에 대표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상단 벽 내면(25)으로부터 말단 플랜지 에지(71)까지의 길이이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말단 플랜지 높이(73)와 상단 벽 두께(23)의 합은, 완충 플랜지 높이(49)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리필 오리피스(38)는 연속 말단 플랜지(72)에 의해 둘러싸인다. 연속 말단 플랜지(72)의 상측 부분(74)은, 상단 벽 내면(25)으로부터 상측 부분 에지(75)까지 측정되는 연속 말단 플랜지 상측 부분 높이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연속 말단 플랜지 상측 부분 높이와 상단 벽 두께(23)의 합은 완충 플랜지 높이(49)보다 큰다. 이러한 식으로,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용기(20)를 리필하는 데 사용되는 적층(50)의 적층 높이(51)는, 리필이 삽입될 때 또는 리필이 내부 공간(36) 내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 적층(50)이 완충 플랜지(48)와 충돌하지 않거나 완충 플랜지에 대하여 가압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end wall may be re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the refill orifice 38, and the refill orifice 38 may be provided by at least one end flange, . ≪ / RTI > In certain embodiments, the end flange 70 has a distal flange height 73. [ The distal flange height as referenced herein is the length from the top wall inner surface 25 to the distal flange edge 71,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s.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m of the end flange height 73 and the top wall thickness 23 is greater than the buffer flange height 49. Likewise, as noted above,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fill orifices 38 are surrounded by a continuous end flange 72. The upper portion 74 of the continuous terminal flange 72 has a continuous distal flange upper portion height measured from the upper wall inner surface 25 to the upper partial edge 75.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m of the height of the continuous terminal flange upper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upper wall 23 is greater than the buffer flange height 49. [ In this way, in certain embodiments, the stack height 51 of the stack 50 used to refill the container 20 is such that when the refill is inserted or after the refill is ful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36 The lamination 50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buffer flange 48 or to not be pressed against the buffer flange.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해 보면, 완충 플랜지(48)는, 상단 벽(24)의 내면(25)을 지나 플립 탑 상측 부분(47)으로부터 내부 공간(36) 내로 돌출되어 있다. 도 10에 대표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은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상단 벽(24)은, 상단 벽(24)과 일체로 형성된 상단 벽 플랜지(66)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상단 벽 플랜지(66)는 분배 오리피스(40)를 둘러싸며, 내부 공간(36) 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용기(20)를 상업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한 가지 바람직한 프로세스에 있어서, 분배기 하우징(22)을 블로우 성형하고(blow-molded), 재료의 일부를 절단하거나 스탬핑하여 분배 오리피스(40)를 생성한다. 이러한 절단 또는 스탬핑 단계는 상단 벽(24)에 플랜지(66)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플랜지(66)는,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거칠거나 들쭉날쭉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충 플랜지(48)는, 상단 벽 플랜지(66)가 내부 공간(36) 내로 연장되는 것보다 더욱 내부 공간(36) 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특정한 실시예들에서, 완충 플랜지(48)는, 적어도 1mm의 거리(61) 만큼, 더욱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2mm 만큼 상단 벽 플랜지(66)를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식으로, 티슈(52)가 분배 오리피스(40)를 통해 내부 공간(36)으로부터 추출될 때, 완충 플랜지(48)는, 티슈가 상단 벽 플랜지(66) 상에 걸리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티슈가 매끄럽고 방해받지 않으면서 용기 밖으로 통과할 수 있다. 8-10, the cushioning flange 48 projects from the top portion 47 of the flip top over the inner surface 25 of the top wall 24 into the interior space 36. In some embodiments, . 10, the top wall 24 includes an upper wall flange 66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wall 24. The top wall 24 includes a top wall flange 66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wall 24. As shown in FIG. In certain embodiments, the top wall flange 66 surrounds the dispensing orifice 40 and extends into the interior space 36. For example, in one preferred process for commercially fabricating the container 20, the dispenser housing 22 is blow-molded and a portion of the material is cut or stamped to form a dispensing orifice 40 . This cutting or stamping step can create a flange 66 in the top wall 24 which, in certain embodiments, can be rough or jagged. In certain embodiments, the buffer flange 48 extends into the interior space 36 more than the top wall flange 66 extends into the interior space 36. For example, in certain embodiments, the cushion flange 48 extends beyond the top wall flange 66 by a distance 61 of at least 1 mm, and more specifically by at least 2 mm. In this way, when the tissue 52 is extracted from the interior space 36 through the dispensing orifice 40, the absorbent flange 48 prevents the tissue from catching or tearing on the top wall flange 66 So that the tissue can pass smoothly through the container without being interrupted.

도 1, 2, 13 내지 15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티슈 용기(20)는 평평한 표면(21)에 설치되도록 되어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벽(32)은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를 가지며, 제2 말단 벽(34)은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를 가진다. 각 미끄럼 방지 주변부(80, 90)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TPE)는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비록 고무가 그들의 용어가 당 업계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대로 기술적으로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로 간주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는 고무 재료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2, 13-15, preferably the tissue container 20 is mounted on a flat surface 21.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end wall 32 has a first non-slip peripheral portion 80 and the second end wall 34 has a second non-slip peripheral portion 90. Each non-slip peripheral portion 80, 90 includes a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TPE) is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as used herein includes rubber materials, although rubber is not technically considered a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as their terminology is conventionally used in the art.

도 15a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와,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하단 벽(26)이 평평한 표면(21)과 대면할 때 각각 평평한 표면(21)과 접촉한다. 또한, 도 15b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와,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제2 측벽(30)이 평평한 표면(21)과 대면할 때 각각 평평한 표면(21)과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도 15c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와,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제1 측벽(28)이 평평한 표면(21)과 대면할 때 각각 평평한 표면(21)과 접촉한다. 또한, 도 15d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는 제1 말단 벽(32)이 평평한 표면(21)과 대면할 때 평평한 표면(21)과 접촉한다. 마지막으로, 도 15e에 대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제2 말단 벽(34)이 평평한 표면(21)과 대면할 때 평평한 표면(21)과 접촉한다. 15A,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kid circumference 80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92 of the second non-skid circumferential portion 90 are positioned such that the bottom wall 26 is fla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21 when facing the surface 21, respectively. 15B, the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kid circumferential portion 80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92 of the second non-skid circumferential portion 90 are disposed on the second side wall 30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21 when facing the flat surface 21, respectively. 15C,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lip peripheral portion 80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92 of the second non-slip peripheral portion 90 are disposed on the first side wall 28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21 when facing the flat surface 21, respectively. 15d,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kid circumference 80 has a flat surface 21 when the first end wall 32 faces the flat surface 21, / RTI > 15E,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92 of the second anti-slip peripheral portion 90 has a flat surface 21 when the second end wall 34 faces the flat surface 21 ).

이런 식으로 제1 및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80, 90)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용기의 배향과 관계없이 평탄면(예컨대, 테이블, 책상, 카운터, 드레서, 상점 선반, 옷장 선반, 바닥, 자동차 대시보드 등) 상에서의 미끄러짐 또는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티슈 용기(2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환언하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말단 벽의 주변부들 전체에 열가소성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용기의 취급자(예컨대 상점 선반 정리자, 쇼핑객, 또는 최종 사용자)는 그것의 하단 벽이나, 측벽 중 하나에든지, 또는 말단 벽 중 하나에, 용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용기는 이 배향들 중 각각에서의 미끄러짐 또는 슬라이딩에 저항할 것이다. 다양항 소매점 또는 다양한 최종 사용자가 선반, 테이블 또는 다른 표면에 다양한 방식으로 분배기를 배향할 것을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끄럼 방지 범용성은 바람직하다. 또한, 최종 사용자가 물티슈를 분배기에서 추출하는 경우, 상기 티슈 분배기는 추출 중에 아래에 있는 테이블, 카운터 또는 다른 표면 상에서의 미끄러짐과 슬라이딩에 저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말단 벽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탈착식 캡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미끄럼 방지 주변부는 상기 캡(들)의 그립감(grip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non-skid peripheral portions 80 and 90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in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surface (e.g., a table, a desk, a counter, a dres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issue container 20 that resists slipping or sliding on a wardrobe shelf, floor, car dashboard, etc.). In other words, by placing the thermoplastic material throughout the peripheries of the first and second end walls as described, the container handler (e.g., a store shelf organizer, shopper, or end user) can be placed on either the bottom wall thereof, , Or one of the end walls, and the container will resist sliding or sliding in each of these orientations. This anti-slip versatility is desirable because a variety of retail outlets or various end-users may choose to orient the dispenser in a variety of ways on a shelf, table, or other surface. Further, when the end user extracts the wet tissue from the dispenser, the tissue dispenser preferably resists sliding and sliding on the underlying table, counter or other surface during extraction. Also, in embodiments in which one or both of the end walls include a removable cap, the non-slippery periphery may improve gripability of the cap (s).

도 13 및 14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는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 주위에 연속식 끊김없는 루프(84)를 형성하고,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 주위에 연속식 끊김없는 루프(94)를 형성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공정의 용이성, 유선형의 모양 및 말단 벽(32, 34)의 취급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는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 주위에 비연속식 간헐적 패턴을 형성하고,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 주위에 비연속식 간헐적 패턴을 형성한다(도시하지 않음). 13 and 14,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lip peripheral portion 80 in certain embodiments includes a continuous non-slip loop 84 (FIG. 8) around the first non-slip peripheral portion 80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92 of the second non-slip peripheral portion 90 forms a continuous seamless loop 94 around the second non-slip peripheral portion 90. This approach can provide ease of processing, a streamlined shape, and ease of handling of the end walls 32,34. In other embodiments,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kid circumferential portion 80 forms a discontinuous intermittent pattern around the first non-skid circumferential portion 80 and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second non- The elastomeric material 92 forms a discontinuous intermittent pattern around the second non-slip peripheral portion 90 (not shown).

도 1 및 도 13을 참조하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를 포함하는 제1 그립 탭(86)을 포함한다. 제1 그립 탭(86)은 제1 말단 벽(32)으로부터 제2 말단 벽(34)을 향하여 상단 벽(24)의 부분 위에 연장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를 포함하는 제2 그립 탭(8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그립 탭(88)은 제1 말단 벽(32)으로부터 제2 말단 벽(34)을 향하여 하단 벽(26)의 부분 위에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그립 탭 또는 탭들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특정 실시예들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1 말단 벽(32)을 잡고 제거해서 내부 공간(3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말단 벽 탈착식 캡(60) 및 제2 말단 벽 탈착식 캡(62)이 포함되고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관을 가졌을 실시예들에서, 제1 말단 벽 탈착식 캡 상의 하나 이상의 그립 탭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말단 벽들 간을 구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티슈를 보충하기 위해서 실내 공간에 접근해서 어느 쪽 말단 벽 탈착식 캡을 제거해야 할지 알 수 있게 한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13,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non-slip peripheral portion 80 includes a first grip tab 86 that includes a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The first grip tab 86 extends over the portion of the top wall 24 from the first end wall 32 toward the second end wall 34.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anti-slip perimeter 80 may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include a second grip tab 88 comprising a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The second grip tab 88 extends over the portion of the lower end wall 26 from the first end wall 32 toward the second end wall 34. By including these grip tabs or tabs, the user can more easily grasp and remove the first end wall 32 in certain embodiments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36. Also, in embodiments where the first end wall detachable cap 60 and the second end wall detachable cap 62 are included and otherwise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ppearanc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grip tabs on the first end wall detachable cap Allows the user to distinguish between the end walls,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approach the interior space to compensate for the tissue and know which end wall detachable cap to remove.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미끄럼 방지 주변부(8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는 제1 말단 벽(32)의 비-탄성체 열가소성부(83)와 일체로 성형된다. 마찬가지로, 제2 미끄럼 방지 주변부(90)의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92)는 제2 말단 벽(34)의 비-탄성체 열가소성부(93)와 일체로 성형된다. 비-탄성체 열가소성부에 적절한 재료의 예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D), 사출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에 적합한 것으로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 92)는 그들이 배치되는 비-탄성체 열가소성부(83, 93)에 일체로 성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82, 92)는 마찰 시험 ASTM D1894-11e1의 계수에 기초하여, 그들이 배치되는 비-탄성체 열가소성부(83, 93) 보다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다. 13 and 14, in certain embodiments,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of the first non-shrouded peripheral portion 80 is molded integrally with the non-elastomeric thermoplastic portion 83 of the first end wall 32 . Likewise,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92 of the second anti-slip peripheral 90 is molded integrally with the non-elastomeric thermoplastic portion 93 of the second end wall 34. Examples of suitable materials for the non-elastomeric thermoplastic part include polypropylene, polyethylen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D), and other materials known in the art as suitable for injection molding or blow molding. In other embodiments,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92 is not integrally molded into the non-elastomeric thermoplastic portions 83, 93 in which they are disposed. Preferably,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82, 92 has a high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non-elastomeric thermoplastic portions 83, 93 on which they are placed based o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est ASTM D1894-11e1.

도 1, 2, 13, 14를 참조하면, 특정 실시예들에서 용기(20)는 제1 말단 벽(32)에 가까운 제1 말단(31), 및 제2 말단 벽(34)에 가까운 제2 말단(33)을 갖는다. 용기는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및 제2 측벽(30)을 따라 용기(20)의 제1 말단(31) 주위로 포장하는 제1 열가소성 탄성체 루프(85)를 포함한다. 용기는 상단 벽(24), 하단 벽(26), 제1 측벽(28), 및 제2 측벽(30)을 따라 용기(20)의 제2 말단(33) 주위로 포장하는 제2 열가소성 탄성체 루프(95)를 더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열가소성 탄성체 루프(85)는 연속식 끊김없는 루프(도 1 및 13)이고, 그리고/또는 제2 열가소성 탄성체 루프(95)는 연속식 끊김없는 루프(도 2 및 14)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열가소성 탄성체 루프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의 비연속식 간헐적 패턴이고, 그리고/또는 제2 열가소성 탄성체 루프는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의 비연속식 간헐적 패턴이다(도시하지 않음). Referring to Figures 1, 2, 13 and 14, in certain embodiments the container 20 has a first end 31 near the first end wall 32 and a second end 31 near the second end wall 34. [ (33). The container includes a first thermoplastic elastomeric loop (12) wrapped around a first end (31) of the container (20) along a top wall (24), a bottom wall (26), a first side wall (85). The container includes a second thermoplastic elastomeric loop wrapping around the second end 33 of the container 20 along a top wall 24, a bottom wall 26, a first side wall 28, (95). 1 and 13) and / or the second thermoplastic elastomeric loop 95 is a continuous seamless loop (FIGS. 2 and 14), and / or the second thermoplastic elastomeric loop 95 is a continuous continuous loop )to be. In other embodiments, the first thermoplastic elastomeric loop is a discontinuous intermittent pattern of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and / or the second thermoplastic elastomeric loop is a discontinuous intermittent pattern of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 (not shown).

특정 실시예들에서, 도 9 내지 11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44)은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43)와 중첩되며, 이러한 주변부를 따라 대략 연장된다. 도 16a 내지 16d를 참조하면, 플립 상단이 제거된 용기를 도시하며, 링(44)은 내부 영역(102)을 정의한다. 내부 영역(102)은 링(44)의 내부 에지(97)에 의해 경계지어진 영역이다. 내부 영역(102)은 내부 영역 길이(104)를 갖는다. 링은 리필 오리피스(38)에 가까운 제1 링 말단(106), 및 리필 오리피스(38)에 먼 제2 링 말단(108)을 갖는다. In certain embodiments, as shown for example in FIGS. 9-11, the ring 44 overlaps the distribution orifice periphery 43 and extends approximately along this periphery. Referring to Figs. 16A-16D, the flip top is shown with the vessel removed, and the ring 44 defines an interior region 102. Fig. The inner region 102 is an area bounded by the inner edge 97 of the ring 44. The inner region 102 has an inner region length 104. The ring has a first ring end 106 near the refill orifice 38 and a second ring end 108 far from the refill orifice 38.

특정 실시예들에서,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110)은 내부 영역(102)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분배 격벽(110)은 용기(20)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 공간(36) 내에 수용된 티슈를 분리하는 배리어 층이다. 분배 슬릿(100)이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110)에 형성되어 있다. 티슈는 분배 슬릿(100)을 통해 내부 공간(36)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분배 격벽(110)을 형성하기 위해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슬릿(100)을 통해 인출되는 티슈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상기 격벽이 일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thermoplastic elastomer distribution barrier 110 extends substantially over the interior region 102. The distribution barrier 110 is a barrier layer separating the tissues received in the interior space 36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container 20. A distribution slit 100 is form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 distribution barrier 110. The tissue can be extracted from the interior space 36 through the dispensing slit 100. [ By using a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to form the distribution bulkhead 110, the bulkhead can be temporarily deformed to allow the passage of the tissue pulled through the slit 100 by the user.

특정 실시예들에서, 분배 슬릿(100)은 제1 링 말단(106)에 가까운 제1 슬릿 말단(101) 및 제2 링 말단(108)에 가까운 제2 슬릿 말단(103)을 갖는다. 또한 슬릿(100)은 길이 치수(79)를 따라 대략 연장되는 전체 슬릿 길이(105)를 갖는다. 도 16a 및 16b에 대표적으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 길이(105)는 제1 슬릿 말단(101)의 길이 방향 위치로부터 제2 슬릿 말단(103)의 길이 방향 위치까지의 길이 치수(79)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상 직선의 길이이다. 제1 슬릿 말단(101)은 제1 말단 벽(32)으로부터 제1 거리(112)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2 슬릿 말단(103)은 제2 말단 벽(34)으로부터 제2 거리(114) 만큼 이격되어 있다. 본원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슬릿 말단으로부터 각각의 해당하는 말단 벽까지의 거리는 슬릿 말단(101, 103)으로부터 각각의 해당하는 말단 벽(32, 34)의 길이 방향 최내측 표면에 의해 정의된 평면까지의 최단 거리이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하면, 제1 말단 벽(32)의 길이 방향 최내측 표면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탈착식 캡(60)의 내면(113)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재차 도 6a를 참조하면, 말단 벽의 길이 방향 최내측 표면은 제2 말단 벽(34)의 영구층(35)의 내면(115)일 수 있다. The distribution slit 100 has a first slit end 101 near the first ring end 106 and a second slit end 103 near the second ring end 108. In certain embodiments, The slit (100) also has an overall slit length (105) that extends generally along the length dimension (79). 16A and 16B, the slit length 105 has a length dimension 79 from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first slit end 101 to th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second slit end 103 It is the length of a virtual straight line extending in parallel. The first slit end 101 is spaced a first distance 112 from the first end wall 32 and the second slit end 103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34 by a second distance 114 Are spaced apart. As referred to herein, the distance from the slit end to the respective corresponding end wall extends from the slit end 101, 103 to the plane defined by the longitudinally innermost surface of each corresponding end wall 32, 34 Is the shortest distance.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A, the longitudinally innermost surface of the first end wall 32 may be the inner surface 113 of the detachable cap 60 in certain embodiments. 6A, the longitudinally innermost surface of the end wall may be the inner surface 115 of the permanent layer 35 of the second end wall 34. In another example, referring again to FIG.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거리(112)는 제2 거리(114) 보다 작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거리는 길어봐야 제2 거리의 80%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거리(112)는 최대 약 8cm,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7cm, 가장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6cm이다. 특히, 제1 거리(112)는 2 내지 7cm 사이이다. 제1 슬릿 말단(101)이 제1 말단 벽(32)에 대해서, 그에 따라 리필 오리피스(38)에 대해서 이런 방식으로 위치할 때,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리필 오리피스(38) 속에 그의 손가락 또는 손가락들을 삽입하고, 적층(50)의 상단 티슈(52)를 잡고, 분배 슬릿(100)을 통해 티슈(52)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도 16a 및 16b에서 대표적으로 예시된 것들과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링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제1 말단 벽(32) 및 제2 말단 벽(34) 사이에서 중앙에 있다. 도 16c에서 대표적으로 예시된 것과 같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거리(112)가 제2 거리(114) 보다 작더라도, 슬릿(100)은 길이 방향으로 제1 링 말단(106)과 제2 링 말단(108) 사이에서 중앙에 있다. 이는 둘 다 제1 말단 벽(32)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되어 있는 분배 오리피스(40) 및 링(44)에 의해 달성된다. 도 16a 및 16c의 실시예들에서, 슬릿의 사인파 부분(117)은 제1 링 말단(106)과 제2 링 말단(108)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있다. 도 16b에서는, 반대로, 슬릿의 사인파 부분(117)은 제1 링 말단(106)과 제2 링 말단(108)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있지 않고, 그 대신 제1 말단 벽(32)을 향해 상쇄되어 있다. 도 16a의 실시예에서, 슬릿(100)의 사인파 부분(117)과 링(44) 모두 제1 및 제2 말단 벽(32, 34)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여전히 그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사용해서 리필 오리피스(38)에 도달하고 슬릿(100)의 사인파 부분에서 연장되는 슬릿(100)의 빠져나가게 하는 지선 부분(spur portion; 118) 덕분에 분배 슬릿(100)을 통해 티슈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도 16a 및 16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서, 슬릿 길이(105)의 적어도 60%, 특히 적어도 70%은 제1 링 말단(106)과, 내부 영역 길이(104)의 중간 지점에서 내부 영역 길이(104)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등분선(107) 사이에 위치한다. In certain embodiments, the first distance 112 is less than the second distance 114. In one embodiment, the first distance is at least 80% of the second distance. Preferably, the first distance 112 is at most about 8 cm, more preferably at most about 7 cm, and most preferably at most about 6 cm. In particular, the first distance 112 is between 2 and 7 cm. When the first slit end 101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first end wall 32 and thus the refill orifice 38 in this manner the user can more easily locate his or her fingers or fingers in the refill orifice 38 To hold the upper tissue 52 of the stack 50 and to exit the tissue 52 through the dispensing slit 100. [ In certain embodiments, such as those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s. 16A and 16B, the ring is substantially centrally between the first end wall 32 and the second end wall 3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though the first distance 112 is less than the second distance 114, in other embodiments, as exemplarily illustrated in FIG. 16C, the slit 100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ring end 106 and the second And is centered between the ring ends 108. This is accomplished by the distribution orifice 40 and the ring 44, both of which are displaced longitudinally toward the first end wall 32. In the embodiments of Figures 16A and 16C, the sine wave portion 117 of the slit is longitudinally centered between the first ring end 106 and the second ring end 108. 16B, conversely, the sinusoidal portion 117 of the slit is not longitudinally centered between the first ring end 106 and the second ring end 108, but instead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end wall 32 Is offset. 16A, although both the sine wave portion 117 of the slit 100 and the ring 44 are longitudinally center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walls 32, 34, Or by the use of her fingers to reach the refill orifices 38 and through the dispensing slit 100 by virtue of the spur portion 118 allowing the slit 100 to extend from the sinusoidal portion of the slit 100. [ You can get the tissue out. In certain embodiments, as shown in Figures 16a and 16b, at least 60%, and in particular at least 70%, of the slit length 105 is formed by the first ring end 106 and the inner region length 104, Is positioned between the bisector 107 extending perpendicularly to the length 104.

도 16d를 참조하면, 특정 실시예들에서, 리필 말단 표시기(120)는 제1 슬릿 말단(101) 및 제1 링 말단(106)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말단 벽 탈착식 캡(60) 및 제2 말단 벽 탈착식 캡(62)이 포함되고, 그렇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관을 가지게 되는 실시예들에서, 리필 말단 표시기(120)의 존재는 용기의 말단이 리필 오리피스(38)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티슈를 보충하기 위해 어느 말단 벽 탈착식 캡을 제거해서 내부 공간(36)에 접근해야 할지 알 수 있게 한다. 리필 말단 표시기(120)는 인쇄된 그래픽, 열가소성 탄성체 재료로 양각된 패턴, 스티커, 또는 다른 적당한 표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필 말단 표시기(120)는 도 16d에서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필 오리피스에서 표시된 화살표이다. Referring to FIG. 16D, in certain embodiments, the refill terminal 120 is longitudinally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it end 101 and the first ring end 106. In embodiments in which the first end wall detachable cap 60 and the second end wall detachable cap 62 include, or otherwise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ppearance, the presence of the refill end indicator 120 is such that the end of the container By informing the user that it contains a refill orifice 38, the user is able to see which end wall detachable cap is removed to supplement the tissue and to approach the interior space 36. The refill tip indicator 120 may be a printed graphic, a pattern embossed with a thermoplastic elastomeric material, a sticker, or other suitable indicia. In one embodiment, the refill tip indicator 120 is an arrow marked in the refill orifice, as is typically shown in Figure 16D.

예시를 위해 주어진 상술한 실시예들의 세부사항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해 분야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신규한 사상과 장점으로부터 물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많은 수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모든 수정을, 다음에 따르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 모두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하려는 것이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장점들 모두를 달성하지 않는 많은 실시예들을 고려할 수도 있지만, 특정한 장점이 없다는 점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인식하기 바란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detail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given for illustration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lthough a few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exemplary embodiments without materially departing from the novel concept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many embodiments which do not achieve all of the advantages of some embodiments, in particular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ut the absence of particular advantages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se embodiments are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lease be aware that

Claims (13)

하단 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단 벽에 대략 평행한 상단 벽, 제2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벽에 대략 평행한 제1 측벽, 및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말단 벽에 대략 평행한 제1 말단 벽을 정의하는 분배기 하우징으로, 여기서 상기 모든 벽들은 함께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말단 벽은 리필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상단 벽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티슈들이 추출될 수 있는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말단 벽은 길이 치수로 상기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상단 벽은 높이 치수로 상기 하단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상단 벽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하단 벽의 내면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 높이를 가지고, 상기 분배 오리피스는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를 정의하는, 분배기 하우징; 및
상기 높이 치수로 서로 위에 적층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물티슈들의 적층으로, 각 물티슈는 상기 분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추출되는 구조인, 물티슈들의 적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분배 오리피스는 뚜껑 조립체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뚜껑 조립체는 링과 플립 탑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상단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플립 탑은 상기 링에 경첩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은 상기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와 중첩되고, 상기 주변부를 따라 대략 연장되고, 상기 링은 내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내부 영역 길이를 가지고, 상기 링은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가까운 제1 링 말단 및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먼 제2 링 말단을 가지고,
여기서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이 상기 내부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분배 슬릿이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에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분배 슬릿은 상기 제1 링 말단에서 가까운 제1 슬릿 말단, 상기 제2 링 말단에서 가까운 제2 슬릿 말단, 및 슬릿 길이를 가지되, 상기 슬릿 길이는 상기 길이 치수를 따라 연장되고, 여기서 상기 제1 슬릿 말단은 상기 제1 말단 벽으로부터 제1 길이 만큼 이격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슬릿 말단은 상기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제2 길이 만큼 이격되고, 여기서 상기 제1 길이는 상기 제2 길이보다 작은, 적층된 물티슈 용기.
A first sidewall spaced from the bottom wall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bottom wall, a first sidewall spaced from the second sidewall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second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spaced from the second endwall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endwall A first end wall defining a first end wall, wherein all the walls together define an interior space, wherein the first end wall can be re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a refill orifice, wherein Wherein the top wall includes a dispensing orifice through which tissues can be extracted from the interior space, wherein the first end wall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in length dimension, wherein the top wall has a height dimension Wherein the inner space extend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to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wall, The dispensing orifice defining a dispensing orifice periphery; a dispenser housing; And
Wherein the wipe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in the height dimension and stacked on the wipe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wherein each wipe is extracted from the inner space through the dispensing orifices,
Wherein the dispensing orifice is covered by a lid assembly, the lid assembly including a ring and a flip top, the ring being permanently fixed to the top wall, the flip top being hinged to the ring, Wherein said ring defines an inner region, said inner region has an inner region length, said ring having a first ring end near said refill orifice and a second ring end adjacent said refill orifice, Having a second ring distal end remote from the refill orifice,
Wherein a thermoplastic elastomeric partition wall extends substantially throughout the interior region, wherein a distribution slit is form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partition wall,
Wherein the distribution slit has a first slit end near the first ring end, a second slit end near the second ring end, and a slit length, the slit length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mension, Wherein the first slit end is spaced from the first end wall by a first length wherein the second slit end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by a second length wherein the first length is less than the second length , Stacked wet tissue contai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최대 약 8cm인, 용기.2. The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tance is at most about 8 c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2 내지 7cm인, 용기.The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istance is between 2 and 7 c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제1 링 말단과 상기 제2 링 말단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있는, 용기.4.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lit is longitudinally centered between the first ring end and the second ring end. 하단 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하단 벽에 대략 평행한 상단 벽, 제2 측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측벽에 대략 평행한 제1 측벽, 및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 말단 벽에 대략 평행한 제1 말단 벽을 정의하는 분배기 하우징으로, 여기서 상기 모든 벽들은 함께 내부 공간을 정의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말단 벽은 리필 오리피스를 통해 내부 공간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제거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상단 벽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티슈들이 추출될 수 있는 분배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말단 벽은 길이 치수로 상기 제2 말단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상단 벽은 높이 치수로 상기 하단 벽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되,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상단 벽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하단 벽의 내면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 높이를 가지고, 상기 분배 오리피스는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를 정의하는, 분배기 하우징; 및
상기 높이 치수로 서로 위에 적층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물티슈들의 적층으로, 각 물티슈는 상기 분배 오리피스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추출되는 구조인, 물티슈들의 적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분배 오리피스는 뚜껑 조립체에 의해 커버되되, 상기 뚜껑 조립체는 링과 플립 탑을 포함하고, 상기 링은 상기 상단 벽에 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플립 탑은 상기 링에 경첩으로 연결되고, 상기 링은 상기 분배 오리피스 주변부와 중첩되고, 상기 주변부를 따라 대략 연장되고, 상기 링은 내부 영역을 정의하고, 상기 내부 영역은 내부 영역 길이를 가지고, 상기 링은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가까운 제1 링 말단 및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먼 제2 링 말단을 가지고,
여기서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이 상기 내부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여기서 분배 슬릿이 상기 열가소성 탄성체 분배 격벽에 형성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분배 슬릿은 상기 제1 링 말단에서 가까운 제1 슬릿 말단, 상기 제2 링 말단에서 가까운 제2 슬릿 말단, 및 슬릿 길이를 가지되, 상기 슬릿 길이는 상기 길이 치수를 따라 연장되고, 여기서 상기 슬릿 길이의 적어도 60%는 상기 제1 링 말단, 및 상기 내부 영역 길이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내부 영역 길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등분선 사이에 위치하는, 적층된 물티슈 용기.
A first sidewall spaced from the bottom wall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bottom wall, a first sidewall spaced from the second sidewall and generally parallel to the second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spaced from the second endwall a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econd endwall A first end wall defining a first end wall, wherein all the walls together define an interior space, wherein the first end wall can be removed to provide access to the interior space through a refill orifice, Wherein the top wall includes a dispensing orifice through which tissues can be extracted from the interior space, wherein the first end wall is spaced from the second end wall in length dimension, wherein the top wall has a height dimension Wherein the inner space has an inner space extending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wall to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wall, The dispensing orifice defining a dispensing orifice periphery; And
Wherein the wipes a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in the height dimension and stacked on the wipe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wherein each wipe is extracted from the inner space through the dispensing orifices,
Wherein the dispensing orifice is covered by a lid assembly, the lid assembly including a ring and a flip top, the ring being permanently fixed to the top wall, the flip top being hinged to the ring, Wherein said ring defines an inner region, said inner region has an inner region length, said ring having a first ring end near said refill orifice and a second ring end adjacent said refill orifice, Having a second ring distal end remote from the refill orifice,
Wherein a thermoplastic elastomeric partition wall extends substantially throughout the interior region, wherein a distribution slit is formed in the thermoplastic elastomeric partition wall,
Wherein the distribution slit has a first slit end near the first ring end, a second slit end near the second ring end, and a slit length, the slit length extending along the length dimension, Wherein at least 60% of the slit lengt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ing end and a bisector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inner region at a midpoint of the length of the inner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 말단은 상기 제1 말단 벽으로부터 제1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제1 거리는 최대 약 8cm인, 용기.6. The container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lit end is spaced a first distance from the first end wall, wherein the first distance is at most about 8 c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2 내지 7cm인, 용기.6. The container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distance is between 2 and 7 cm.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상기 제1 말단 벽과 상기 제2 말단 벽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중앙에 있는, 용기.8. A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claim 5, wherein said ring is longitudinally centered between said first end wall and said second end wall.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필 말단 표시기는 상기 제1 슬릿 말단 및 상기 제2 슬릿 말단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용기.9. A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a refill terminal is disposed longitudinally between the first slit end and the second slit e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말단 표시기는 상기 리필 오리피스에서 표시된 화살표인, 용기.10. The container of claim 9, wherein the refill tip indicator is an arrow displayed in the refill orific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말단 벽은 상기 상단 벽, 하단 벽,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에 대한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탈착식 캡을 포함하는, 용기.11. The container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wherein the first end wall comprises a permanently unattached detachable cap to the top wall, bottom wall, first sidewall, or second sidewall.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말단 벽은 상기 상단 벽, 하단 벽,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과 일체로 형성된 영구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말단 벽은 상기 상단 벽, 하단 벽,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에 대한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1 탈착식 캡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 말단 벽은 상기 상단 벽, 하단 벽, 제1 측벽, 또는 제2 측벽에 대한 영구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제2 탈착식 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탈착식 캡은 상기 제1 탈착식 캡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 용기.12.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second end wall comprises a permanent lay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wall, bottom wall, first sidewall, or second sidewall, The wall includes a first detachable cap that is not permanently connected to the top wall, the bottom wall, the first sidewall, or the second sidewall, wherein the second end wall includes a top wall, a bottom wall, Or a second detachable cap permanently unconnected to the second sidewall, the second detachable cap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detachable cap.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 오리피스는 상기 높이 치수로 연장되는 리필 오리피스 높이를 가지되, 상기 리필 오리피스 높이는 상기 내부 공간 높이의 95% 미만인, 용기.13. A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refill orifice has a refill orifice height extending to the height dimension and the refill orifice height is less than 95% of the interior space height.
KR1020157018967A 2012-12-20 2013-12-12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KR2015009648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21,572 2012-12-20
US13/721,572 US9125532B2 (en) 2012-12-20 2012-12-20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wipes
US13/721,633 US9889963B2 (en) 2012-12-20 2012-12-20 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US13/721,633 2012-12-20
US13/777,728 2013-02-26
US13/777,728 US10435229B2 (en) 2012-12-20 2013-02-26 Slip-resistant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US13/780,861 US20140174975A1 (en) 2012-12-20 2013-02-28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US13/780,861 2013-02-28
PCT/IB2013/060884 WO2014097080A1 (en) 2012-12-20 2013-12-12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488A true KR20150096488A (en) 2015-08-24

Family

ID=5097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967A KR20150096488A (en) 2012-12-20 2013-12-12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174975A1 (en)
KR (1) KR20150096488A (en)
AU (1) AU2013365854A1 (en)
BR (1) BR112015013365A2 (en)
GB (1) GB2523964A (en)
WO (1) WO201409708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7298B2 (en) * 2017-03-31 2020-10-14 大王製紙株式会社 Film packaging tissue
USD912514S1 (en) *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USD912513S1 (en) 2018-06-29 2021-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d with push-button
US11118828B2 (en) * 2018-07-25 2021-09-14 Clayton Spoor Cooler with barri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5221A (en) * 1986-07-30 1989-09-12 Kimberly-Clark Corporation Wet wipe and wipe dispensing arrangement
US6585131B2 (en) * 2001-05-31 2003-07-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orifice for wet wipes dispenser
US7303092B2 (en) * 2004-12-28 2007-12-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package
US20060249524A1 (en) * 2005-05-05 2006-11-09 Parry Headrick Personal sanitary wipe dispensing device
US8944279B2 (en) * 2010-12-22 2015-0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wipe dispenser with improved arc-shaped dispensing part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74975A1 (en) 2014-06-26
GB2523964A (en) 2015-09-09
GB201512355D0 (en) 2015-08-19
WO2014097080A1 (en) 2014-06-26
BR112015013365A2 (en) 2017-07-11
AU2013365854A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952B1 (en) Slip-resistant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KR101838327B1 (en) Wet wipe dispenser with improved arc-shaped dispensing partition
KR101627986B1 (en)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wipes
US8016155B2 (en) Dispenser capable of dispensing sheet-like articles
KR20150099553A (en) 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US7232040B2 (en) Dispenser capable of dispensing sheet-like articles
KR102054325B1 (en)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product
ZA200208457B (en) Refillable towelette dispensing article.
KR20090045298A (en) Package for wipes
KR20130110155A (en) Dispenser with a wide lid-activation button having a stabilizing rib
US20080054011A1 (en) Package for wipes
JP7183179B2 (en) Container system with locking system for hinged lid
KR20150096488A (en) Wipes dispensing container having improved ease of refill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