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265A -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 Google Patents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265A
KR20150096265A KR1020140017502A KR20140017502A KR20150096265A KR 20150096265 A KR20150096265 A KR 20150096265A KR 1020140017502 A KR1020140017502 A KR 1020140017502A KR 20140017502 A KR20140017502 A KR 20140017502A KR 20150096265 A KR20150096265 A KR 20150096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aphragm
refractive power
optical system
objectiv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5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18866B1 (en
Inventor
윤병선
김평현
황병설
Original Assignee
(주)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1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6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2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Abstract

An objective lens system for a thermal image detection device includes a first lens group and a second lens group from the object side in order. The first lens group includes a first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a second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general. The second lens group includes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fif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general. At least one lens among lenses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lens groups is a diffractive aspheric lens. The first lens has the greatest refractive index among the lenses.

Description

비열화 대물 광학계{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0001]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0002]

본 발명은 대물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열화 대물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non-totalizing objective optical system.

온도는 군사 및 항공용 전자 광학 장비에 사용되는 광학계에 중요한 환경적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온도에 따른 렌즈의 열확장 계수의 변화는 광학계의 초점거리의 변화를 야기하며, 초점 심도를 벗어난 초점 거리의 변화량은 열상 성능의 저하로 연결된다. Temperature is one of the important environmental influences on optical systems used in military and aeronautical electro-optical equipment. The change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lens with temperature causes the change of the foc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and the change of the focal distance beyond the depth of focus leads to the degradation of the thermal performance.

초점 보정을 위해 모터를 사용하는 능동적(active) 방법과, 렌즈 재질의 열적 변화가 서로 상쇄되도록 광학계를 설계하거나 광기구적으로 초점을 보상하도록 하는 수동적(passive) 방법이 사용된다. An active method using a motor for focus correction and a passive method for designing an optical system such that the thermal change of the lens material is canceled with each other or for compensating the focus by photodetection is us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시계를 가지면서 온도 변화에 의한 성능 저하가 없는 비열화 대물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heat-dissipative objective optical system having an optical clock and without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due to a temperature change.

위의 기술적 과제를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대물 광학계는, 열상 검출 장치용 대물 광학계에 있어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 그리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에 포함되는 렌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회절 비구면 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가 렌즈들 중에서 가장 큰 굴절률을 가진다.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for a thermal image detection apparatus includes a first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a second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ng power A first lens group having a positive refracting power as a whole; And a second lens group having a positive refracting power as a whole and including a third lens having negative refracting power, a four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ng power, and a fifth lens having positive refracting power, At least one of the lens group and the lenses included in the second lens group is a diffractive aspheric lens, and the first lens has the largest refractive index among the lenses.

상기 제1 렌즈, 제3 렌즈, 그리고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절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 제3 렌즈, 그리고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게르마늄(G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 또는 제4 렌즈는 황화아연(ZnS) 및 셀렌화아연(ZnSe)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the third lens, and the fifth lens may be a diffractive aspherical lens.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the third lens, and the fifth lens may be made of germanium (Ge). The second lens or the fourth lens may be formed of one of zinc sulfide (ZnS) and zinc selenide (ZnSe).

한편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비구면 렌즈이고, 상기 제2 렌즈구는 양볼록 형태의 구면 렌즈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렌즈는 오목 형태의 회절패턴을 포함한 회절 비구면 렌즈이고, 상기 제4 렌즈는 양볼록 형태의 구면 렌즈이며, 상기 제5 렌즈는 물체쪽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The first lens may be a convex meniscus aspherical lens convex on the object side, the second lens may be a convex spherical lens, and the third lens may be a diffracted aspheric lens including a concave diffraction pattern, The fourth lens may be a spherical lens having a biconvex shape, and the fifth lens may be an aspherical lens having a meniscus shape concave toward the object side.

이러한 대물 광학계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Such an objective optical system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77 ≤ F1/f ≤ -1.61-1.77? F1 / f? -1.61

+2.25 ≤ F2/f ≤ +2.42+2.25? F2 / f? +2.42

-2.74 ≤ F3/f ≤ -2.58-2.74? F3 / f? -2.58

+2.58 ≤ F4/f ≤ +2.74+2.58? F4 / f? +2.74

+2.25 ≤ F5/f ≤ +2.42+2.25? F5 / f? +2.42

+1.45 ≤ T12/f ≤ +1.77+1.45? T12 / f? +1.77

+0.16 ≤ T23/f ≤ +0.48+0.16? T23 / f? +0.48

+0.16 ≤ T34/f ≤ +0.48+0.16? T34 / f? +0.48

+1.13 ≤ T45/f ≤ +1.61+1.13? T45 / f? +1.61

여기서, f는 전체 대물 광학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 F1, F2, F3, F4, F5는 각각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그리고 제5 렌즈의 유효초점거리, T12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T23은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T34는 제3 렌즈와 제4 렌즈 사이의 거리, T45는 제4 렌즈와 제5 렌즈 사이의 거리를 나타냄.F1, f2, f3, f4 and f5 are effective focal distances of the first lens, the second lens, the third lens, the fourth lens and the fifth lens, respectively, and T12 T23 is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T34 is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T45 is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ens and the fifth lens, Lt; / RTI >

이외에도,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물 광학계는 +0.64 ≤ D/f ≤ +1.01의 조건(여기서, f는 전체 대물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 D는 조리개의 구경을 나타냄)을 추가적으로 만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aphragm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In this case,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satisfies the condition of +0.64? D / f? +1.01 (where f is the effective focus of the entire objective optical system Distance, and D represents the aperture of the aperture).

또한 상기 조리개의 위치는 상기 제3 렌즈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조리개의 위치는 -2 ≤ P1 ≤ 0 , 0 ≤ P2 ≤ +2 (여기서, P1은 조리개가 제3 렌즈의 물체측면 쪽에 위치할 경우의 조리개 위치를 나타내며, P2는 조리개가 제3 렌즈의 상측면 쪽에 위치할 경우의 조리개 위치를 나타냄)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Further,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can be se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hird lens, and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is -2? P1? 0, 0? P2? + 2 And P2 denotes a diaphragm position when the diaphragm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lens).

또한 상기 제2 렌즈와 조리개 사이의 거리 Dxx, 상기 조리개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dxx는 +0 ≤ Dxx/f ≤ +0.33, +0 ≤ dxx/f ≤ +0.33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A distance Dxx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diaphragm, and a distance dxx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third lens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0 Dxx / f? +0.33, +0? Dxx / f? +0.33.

한편 상기 제2 렌즈군의 상측쪽에 영상 보정용 셔터가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image correction shutt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ns group.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각 90° 이상의 광시계를 가지며 온도 변화에 의한 성능 저하가 없는 대물 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시계에 따른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bjective optical system having an optical clock of a diagonal 90 DEG or more and having no performance deterioration due to a temperature change. In addition, distortion according to the optical clock can be minimiz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초점 거리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왜곡 수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graphs showing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a focal length variation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a distortion aberration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열화된 대물 광학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non-thermalized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100)는 열상 검출 장치(200)의 광학부로 기능하며, 열상 검출 장치(200)의 감응면 즉, 열상 검출부(220)의 전단에 위치된다. 여기서 전단은 상(또는 빛)이 입력되는 측을 나타낸다. 대물 광학계(100)와 열상 검출부(220) 사이에 보호 유리창(210)이 배치되어 있다. 대물 광학계(100)에 의하여 피사체의 상이 열상 검출 장치(200)의 열상 검출부(220)에 결상된다.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as an optical part of the thermal image detecting apparatus 200 and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thermal image detecting unit 220. Here, the front end represents the side to which the image (or light) is input. A protective glass window 210 is disposed between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and the thermal image detecting unit 220. The image of the object is imaged by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on the thermal image detector 220 of the thermal imaging apparatus 200. [

대물 광학계(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렌즈군(I)과 제2 렌즈군(II)으로 이루어진다. 제1 렌즈군(I)과 제2렌즈군(II) 사이에 조리개(A)가 위치되어 있으며, 제1 렌즈군(I)은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렌즈군(II)은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진다. As shown in Fig. 2,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compris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group I and a second lens group II. A diaphragm A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I and the second lens group II and the first lens group I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nd the second lens group II is entirely It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제1 렌즈군(I)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비구면 렌즈로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10)와, 양볼록 형태의 구면 렌즈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20)를 포함한다. The first lens group I include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10 having a negative meniscus shape aspherical lens convex on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10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second lens 20.

제2렌즈군(II)은 양오목 형태의 회절 패턴을 포함한 회절 비구면 렌즈이며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30), 양볼록 형태의 구면 렌즈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40), 그리고 물체쪽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비구면 렌즈로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50)를 포함한다.The second lens group II includes a third lens 30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40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convex spherical lens, And a fifth lens 50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which is a meniscus-shaped aspherical lens concave toward the object sid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대물 광학계(100)에서, 제1 렌즈(10)는 비구면 렌즈로서, 렌즈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1렌즈(10)의 재질은 게르마늄(Ge)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having such a structure, the first lens 10 is an aspherical lens, and both surfaces of the lens may be aspherical. The first lens 10 may be made of germanium (Ge).

제1 렌즈(10)의 굴절률이 높을수록 광각을 구현하기 용이하며, 가공이 용이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10)는 굴절률이 3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렌즈(10)의 파장 10um에서의 굴절률은 4.003이다. The higher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10 is, the easier it is to realize a wide angle and the shape can be easily proces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ens 1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3 or mo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10 at a wavelength of 10 um is 4.003.

이때, 제1렌즈(10)의 유효 초점 거리 F1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At this time, the effective focal length F1 of the first lens 10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한편 제2 렌즈(20)는 양볼록 형태로 양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2 렌즈(20)는 구면 렌즈이며, 재질은 셀렌화아연(ZnSe) 또는 황화아연(ZnS)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ens 2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a biconvex shape. The second lens 20 is a spherical lens, and may be made of zinc selenide (ZnSe) or zinc sulfide (ZnS).

이때, 제2 렌즈(20)의 유효 초점 거리 F2, 제1 렌즈(10)와 제2 렌즈(20) 사이의 거리 T12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 At this time, the effective focal length F2 of the second lens 20, and the distance T12 between the first lens 10 and the second lens 20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제3 렌즈(30)는 양오목 형태로 음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3 렌즈(30)는 회절 패턴을 포함한 회절 비구면 렌즈이며, 재질은 제 1 렌즈(10)와 같이 게르마늄(Ge)을 사용할 수 있다. 패턴을 가공하는 레벨이 증가할수록 회절 효율이 높아짐으로, 회절 패턴의 수 및 간격을 다양화할 수 있다. The third lens 30 has negative refractive power in both concave shapes. The third lens 30 is a diffracted aspheric lens including a diffraction pattern, and germanium (Ge)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lens 10. As the level of processing the pattern increases, the diffraction efficiency increases, so that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diffraction patterns can be vari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3 렌즈(30)의 상측면에 회절 비구면이 적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절 비구면은 제1 렌즈(10), 제3 렌즈(30), 그리고 제5 렌즈(50)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ractive aspherical surface i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lens 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ffractive aspherical surface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10, the third lens 30, and the fifth lens 50.

이때, 제3 렌즈(30)의 유효 초점 거리 F3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At this time, the effective focal length F3 of the third lens 30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제2렌즈(20)와 제3렌즈(30)사이에 거리 T23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The distance T23 between the second lens 20 and the third lens 30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한편, 제2 렌즈(20)와 제3 렌즈(30) 사이에 조리개(A)가 형성되어 있는데, 조리개(A)의 위치는 제3 렌즈(30)의 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식을 만족한다.A diaphragm A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lens 20 and the third lens 30 and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A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third lens 30.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여기서, P1은 조리개가 제3 렌즈(30)의 물체측면 쪽에 위치할 경우의 조리개 위치를 나타내며, P2는 조리개가 제3 렌즈(30)의 상측면 쪽에 위치할 경우의 조리개 위치를 나타낸다. 조리개 위치가 위의 수학식 5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의 크기가 커져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Here, P1 represents the diaphragm position when the diaphragm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bject side of the third lens 30, and P2 represents the diaphragm position when the diaphragm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lens 30. When the diaphragm position does not satisfy the above expression (5), the size of the lens constituting the optical system becomes large, making miniaturization difficult.

제2 렌즈(20)와 조리개(A) 사이의 거리 Dxx, 조리개(A)와 제 3렌즈(30) 사이의 거리 dxx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The distance Dxx between the second lens 20 and the diaphragm A and the distance dxx between the diaphragm A and the third lens 30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또한 조리개(A)의 구경이 다음 식을 만족한다.Further, the aperture of the diaphragm A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여기서, f는 전체 대물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나타내고, D는 조리개의 구경을 나타낸다. Here, f represents the effectiv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bjective optical system, and D represents the aperture of the diaphragm.

한편 제4 렌즈(40)은 양볼록 형태로 양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4 렌즈(40)는 구면 렌즈이며, 재질은 셀렌화아연(ZnSe) 또는 황화아연(ZnS)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ourth lens 40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in a biconvex shape. The fourth lens 40 is a spherical lens, and may be made of zinc selenide (ZnSe) or zinc sulfide (ZnS).

이때, 제4 렌즈(40)의 유효 초점 거리 F4, 제3 렌즈(30)와 제4 렌즈(40)사이의 거리 T34은 다음 식을 만족한다.At this time, the effective focal length F4 of the fourth lens 40, and the distance T34 between the third lens 30 and the fourth lens 40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제5 렌즈(50)는 물체측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태로 이루어져 양의 굴절력을 가진다. 제5 렌즈(50)는 비구면 렌즈로서, 렌즈 양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5 렌즈(50)의 재질은 역시 제1 렌즈 또는 제3 렌즈와 같이 게르마늄(Ge)을 사용할 수 있다.The fifth lens 50 has a meniscus shape concave toward the object side and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fifth lens 50 is an aspherical lens, and both surfaces of the lens may be aspherical. The material of the fifth lens 50 may be germanium (Ge) as in the first lens or the third lens.

이때, 제5 렌즈(50)의 유효 초점 거리 F5, 제4 렌즈(40)과 제5 렌즈(50)사이의 거리 T45는 다음 식을 만족한다.At this time, the effective focal length F5 of the fifth lens 50, and the distance T45 between the fourth lens 40 and the fifth lens 50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대물 광학계(100)의 제5 렌즈(50)와 열상 검출 장치(200) 사이에는 영상 보정용 셔터가 배치될 수 있다. An image correcting shutt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fth lens 50 and the thermal imaging apparatus 200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having such a structure.

열상 검출 장치(200)는 가시광 검출기에 비하여 감응면(영상 검출기)의 각 화소들의 신호 이득값(감도)에 따라 영상의 밝고 흐림이 크게 달라져서 검출되는 영상이 불균일해진다. 이러한 영상 불균일은 각 검출 소자의 신호 이득률을 측정하여 전자적으로 오프셋 값을 조정함으로써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은 열상 검출 장치를 켤 때 매번 해야 하고, 열상 검출 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도 열상장치의 온도가 급격히 변하는 경우에는 검출 소자의 이득값이 비선형적으로 되어 영상이 불균일해지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영상의 불균일을 보정하는 경우에는 열상 검출 장치(200)의 광경로에 영상 보정용 셔터를 배치하여 셔터가 순간적으로 광로를 차단할 때 오프셋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셔터가 순간적으로 광로를 차단하면 광검출기에서 오프셋 값을 측정하고 다시 셔터가 개방되면 영상 불균일을 조정하여 외부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In the thermal image detecting apparatus 200, the brightness and the blur of the image are larg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gnal gain value (sensitivity) of each pixel of the sensitive surface (image detector) as compared with the visible light detector, and the detected image is uneven. Such image unevenness can be corrected by measuring the signal gain ratio of each detection element and electronically adjusting the offset value. Such correction must be performed each time the luminescence detecting apparatus is turned on. In the case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lasing apparatus is suddenly changed even during the use of the lasing detecting apparatus, the gain of the detecting element becomes nonlinear and the image becomes uneven. Therefore, in the case of correcting the unevenness of the image, the image correction shutter can be disposed in the optical path of the thermal imaging apparatus 200, and the offset value can be calculated when the shutter momentarily blocks the optical path. That is, if the shutter momentarily blocks the optical path, the photodetector measures the offset value, and if the shutter is opened again, the external image can be detected by adjusting the image unevenness.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보정용 셔터가 제5 렌즈(50)와 열상 검출 장치(20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제5 렌즈(50)는 열상 검출 장치(200)의 보호 유리창(210)의 두께와 영상 보정용 셔터가 삽입될 공간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 긴 후초점거리를 가지도록 설계해야 한다.When the image correcting shutter that performs such a func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fth lens 50 and the thermal image detecting device 200, the fifth lens 50 is placed between the fifth protective film 50 and the thermal image detecting device 200,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image correction shutter to have a long focal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to be inser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굴절률 변화의의 결과인 초점 거리의 변화량을, 굴절률이 다른 재질을 조합하면서 회절 비구면을 사용하여 넓은 온도 범위 내에서 초점거리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렌즈(10)를 광각으로 인한 곡률 반경 및 NA 값을 고려하여 굴절률이 큰 게류마늄 재질을 사용하고, 제2 렌즈(20) 및 제4 렌즈(40)에 셀렌화아연(ZnSe) 렌즈를 적용하여 수차 제어 및 비열화에 따른 초점거리 변화를 최소화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ocal length, which is a result of a change in refractive index with temperature, The change can be minimized. Specifically, the first lens 10 is made of a germanium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in consideration of the radius of curvature and the NA value due to the wide angle and the second lens 20 and the fourth lens 40 are made of zinc selenide (ZnSe ) Lens to minimize the change in focal length due to aberration control and non - heating.

초점 거리 변화량은 렌즈 물질의 열확장 계수와 연관되어 있는데, 굴절 렌즈의 경우에는 온도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가 초점 거리의 변화량에 큰 영향을 미쳐서, 영상 검출 장치(200)에 의하여 검출되는 영상의 성능 저하가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회절 렌즈 및 비구면 렌즈를 통해 온도에 따른 초점거리 변화를 초점심도 내에 있도록 하는 수동적 비열화 방식을 사용한다. In the case of the refractive lens,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greatly affects the variation of the focal length,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image detected by the image detecting device 200 Degrad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ssive non-thermalization method is used in which the variation of the focal length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is made to be in the depth of focus through the diffractive lens and the aspheric lens.

회절 렌즈의 초점거리 변화량은 렌즈의 열 팽창 계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는데, 굴절률의 변화에 대한 영향이 없기 때문에 수동적 비열화 방식에 적합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2렌즈군(II)의 제3 렌즈(30)를 회절 비구면 렌즈로 구성하였다. 제3 렌즈(30)의 물체측면은 구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측면의 비구면에 회절면을 추가한 형태이며, 특히, 일반적인 광학 유리 재질 대신에 게르마늄 재질로 제3 렌즈(30)를 구현하여, 사용 파장이 길고 비구면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The focal length variation of the diffractive lens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lens, which is suitable for the passive non-thermalization method because it has no influence on the change of the refractive index.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hird lens 30 of the second lens group II is composed of the diffractive aspheric lens. The third lens 30 is formed of a germanium material in place of a general optical glass material, and the third lens 30 is used. The wavelength is long and the aspherical surface is easily processed.

다음에는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수학식들을 만족하도록 구현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to satisfy the above equations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여기서 f는 초점 거리를 나타내며, ri(i=1~14)은 렌즈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길이를 나타내는 값의 단위는 mm이다. Here, f represents the focal length, and ri (i = 1 to 14) represent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ens surface. The unit of the length value is mm.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구분division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 두께 또는 간격(Ti)Thickness or spacing (Ti) 유효경Effective diameter 타입type 재질material r1r1 29.68729.687 55 11.311.3 비구면Aspherical surface GeGe r2r2 13.41413.414 9.459.45 7.37.3 비구면Aspherical surface r3r3 92.92492.924 5.85.8 6.36.3 구면Spherical ZnSeZnSe r4r4 -25.154-25.154 0.10.1 5.85.8 구면Spherical r5r5 무한대infinity 1.91.9 5.25.2 조리개iris   r6r6 -134.88-134.88 44 5.75.7 구면Spherical GeGe r7r7 7070 22 6.26.2 회절비구면Diffraction aspherical surface r8r8 185.546185.546 66 8.18.1 구면Spherical ZnSeZnSe r9r9 -25.546-25.546 8.88.8 9.39.3 구면Spherical r10r10 -200-200 77 10.610.6 비구면Aspherical surface GeGe r11r11 -36.991-36.991 88 11.411.4 비구면Aspherical surface r12r12 무한대infinity 1One 7.37.3 센서창(물체측면)Sensor window (object side) GeGe r13r13 무한대infinity 0.920.92 7.27.2 센서창(상측면)Sensor window (upper side) r14r14 무한대infinity   6.86.8 센서면Sensor face  

이러한 표 1에 따라 실시되는 대물 광학계(100)의 전체 유효 초점 거리는 6.2 mm이고, 모든 분석 및 수치 계산의 기준이 되는 주 파장은 10 ㎛이며, 8~12㎛ 영역까지 수차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2 및 r13은 열상 검출 장치(200)의 보호 유리창(210)의 물체측면 및 상측면이다. r14는 영상 검출기(220)의 감응면으로 대물 광학계의 초점면이다. The total effective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according to Table 1 is 6.2 mm, and the principal wavelength is 10 m, which is a standard for all the analysis and numerical calculations, and aberration correction is possible up to the range of 8 to 12 m. 2, r12 and r13 are the object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protective window glass 210 of the thermal image detecting apparatus 200, respectively. r 14 is the focal plane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s the sensitive surface of the image detector 220.

이러한 대물 광학계(100)와 연계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검출 장치(200)는 영상 검출기(220)는 비냉각 방식의 검출기로서, 그 화소 크기는 대략 17um 이다. 영상 검출기(220)는 640x480의 화소 배열 구조로 이루어진다. In the image dete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ociated with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100, the image detector 220 is an uncooled detector, and its pixel size is approximately 17 um. The image detector 220 has a pixel array structure of 640 x 480 pixels.

위의 표 1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는 한계 해능(Nyquist Frequency)인 29 cy/mm에 맞추어 설계되었다.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1 is designed to have a Nyquist frequency of 29 cy / mm.

영상 검출 장치(200)의 화소 사이즈(17㎛×17㎛)를 고려하여, 전체 광학계 성능을 나타내는 변조 전달 함수(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가 분해능 29cycles/㎜에서 25% 이상으로 결정하였으며, 회절한계 MTF는 56%이다. Considering the pixel size (17 mu m x 17 mu m) of the image detecting apparatus 200,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indicating the total optical system performance was determined to be 25% or more at a resolution of 29 cycles / mm, The MTF is 56%.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변조 전달 함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표준화된 변조 전달 함수값이며, 가로축은 분해능(cy/mm)을 나타낸다. 3 to 5 are graphs showing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characteristics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raph,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normalize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value,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resolution (cy / mm).

첨부한 도 3을 살펴보면, 상온(+20℃)을 기준으로 설계된 대물 광학계의 MTF는 모든 시야각에서 설계 목표보다 높은 성능인 30%이상을 만족함을 알 수가 있다. 이는 온도변화에 따른 MTF 성능저하 없이 광학 성능이 유지됨을 예측할 수 있다. 3, it can be seen that the MTF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designed based on the room temperature (+ 20 ° C) satisfies 30% or more, which is higher than the design target at all viewing angles. It can be predicted that optical performance is maintained without degradation of MTF performance due to temperature change.

한편, 도 4는 저온(-40도)에서의 대물 광학계의 변조 전달 함수(MTF)의 특성을 나타내며, 도 5는 고온(+80도)에서의 대물 광학계의 변조 전달 함수(MTF)의 특성을 나타낸다. FIG. 4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t low temperature (-40 degrees), and FIG. 5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t high temperature .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는, 저온(-40℃)와 고온(+80℃)에서도 모든 시야각에서 MTF가 30% 이상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른 MTF 성능저하 없이 광학 성능이 유지됨을 예측할 수 있다. 4 and 5, it can be seen that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an MTF of 30% or more at all viewing angles even at a low temperature (-40 DEG C) and a high temperature (+80 DEG C). Therefor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optical performance is maintained without degrading the MTF performanc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초점 거리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FIG. 6 is a graph showing a focal length variation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원적외선 파장 영역(8 ∼ 12㎛), 초점거리, 퍼짐원(circle of confusion) 및 제작공차를 고려하여 초점 심도의 설계목표를 ±15um 이내로 선정할 경우,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온도 변화에 따른 초점거리의 변화량은 설계 목표 이내에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esign target of the depth of focus is selected within ± 15 μm in consideration of the far-infrared wavelength region (8 to 12 μm), the focal length, the circle of confusion and the manufacturing tolerance,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variation amount of the focal length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design targe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의 왜곡 수차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showing a distortion aberration of an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서는 화각이 90도 이상 일 때, 왜곡 수차가 ±5% 이내(실시예 -3.5%)의 값에 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물 광학계는 90도 이상의 광각에서 분해능 및 비열화 수차 보정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In FIG. 7, when the angle of view is 90 degrees or more, it is found that the distortion aberration is within a range of ± 5% (Example -3.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resolution and non-aberration correction of aberration at a wide angle of 90 degrees or mor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대각 90° 이상의 광시계를 가지며 온도 변화에 의한 성능 저하가 없는 대물 광학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시계에 따른 왜곡을 최소화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bjective optical system having an optical clock with a diagonal 90 DEG or more and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a temperature change. In addition, distortion according to the optical clock can be minimized.

이상에서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특정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도 여러 가지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clear.

Claims (10)

열상 검출 장치용 대물 광학계에 있어서,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 및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 렌즈군; 및
음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 렌즈,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 그리고,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렌즈군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에 포함되는 렌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회절 비구면 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가 렌즈들 중에서 가장 큰 굴절률을 가지는, 대물 광학계.
An objective optical system for a lattice detection apparatus,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A first lens group including a first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a second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s a whole; And
A third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fourth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a fifth lens having a positive refractive power,
/ RTI >
At least one of the lenses included i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is a diffractive aspherical lens, and the first lens has the largest refractive index among the len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제3 렌즈, 그리고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절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지는, 대물 광학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the third lens, and the fifth lens is a diffractive aspherical le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제3 렌즈, 그리고 제5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게르마늄(Ge)으로 이루어지는, 대물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the third lens, and the fifth lens is made of germanium (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또는 제4 렌즈는 황화아연(ZnS) 및 셀렌화아연(ZnSe)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대물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d the second lens or the fourth lens is made of one of zinc sulfide (ZnS) and zinc selenide (Zn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비구면 렌즈이고, 상기 제2 렌즈구는 양볼록 형태의 구면 렌즈이며,
상기 제3 렌즈는 오목 형태의 회절패턴을 포함한 회절 비구면 렌즈이고, 상기 제4 렌즈는 양볼록 형태의 구면 렌즈이며, 상기 제5 렌즈는 물체쪽으로 오목한 메니스커스 형태의 비구면 렌즈인, 대물 광학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Wherein the first lens is an aspherical lens having a convex meniscus shape on the object side, the second lens is a spherical lens having a convex shape,
Wherein the third lens is a diffraction aspherical lens including a concave diffraction pattern, the fourth lens is a biconvex spherical lens, and the fifth lens is a meniscus aspherical lens concave toward the object sid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대물 광학계.
-1.77 ≤ F1/f ≤ -1.61
+2.25 ≤ F2/f ≤ +2.42
-2.74 ≤ F3/f ≤ -2.58
+2.58 ≤ F4/f ≤ +2.74
+2.25 ≤ F5/f ≤ +2.42
+1.45 ≤ T12/f ≤ +1.77
+0.16 ≤ T23/f ≤ +0.48
+0.16 ≤ T34/f ≤ +0.48
+1.13 ≤ T45/f ≤ +1.61
여기서, f는 전체 대물 광학 광학계의 유효초점거리, F1, F2, F3, F4, F5는 각각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그리고 제5 렌즈의 유효초점거리, T12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거리, T23은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T34는 제3 렌즈와 제4 렌즈 사이의 거리, T45는 제4 렌즈와 제5 렌즈 사이의 거리를 나타냄.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objective optical system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
-1.77? F1 / f? -1.61
+2.25? F2 / f? +2.42
-2.74? F3 / f? -2.58
+2.58? F4 / f? +2.74
+2.25? F5 / f? +2.42
+1.45? T12 / f? +1.77
+0.16? T23 / f? +0.48
+0.16? T34 / f? +0.48
+1.13? T45 / f? +1.61
F1, f2, f3, f4 and f5 are effective focal distances of the first lens, the second lens, the third lens, the fourth lens and the fifth lens, respectively, and T12 T23 is 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third lens, T34 is a distance between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T45 is a distance between the fourth lens and the fifth lens, Lt; / RTI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군과 상기 제2 렌즈군 사이에 조리개가 위치하며, 다음의 조건을 추가적으로 만족하는, 대물 광학계.
+0.64 ≤ D/f ≤ +1.01
여기서, f는 전체 대물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 D는 조리개의 구경을 나타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n aperture stop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lens group and the second lens group, and further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0.64? D / f? +1.01
Here, f represents the effective focal length of the entire objective optical system, and D represents the aperture of the diaphrag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의 위치는 상기 제3 렌즈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되며, 조리개의 위치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대물 광학계.
-2 ≤ P1 ≤ 0
0 ≤ P2 ≤ +2
여기서, P1은 조리개가 제3 렌즈의 물체측면 쪽에 위치할 경우의 조리개 위치를 나타내며, P2는 조리개가 제3 렌즈의 상측면 쪽에 위치할 경우의 조리개 위치를 나타냄.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is set with reference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lens, and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2? P1? 0
0? P2? +2
Here, P1 represents a diaphragm position when the diaphragm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bject side of the third lens, and P2 represents the diaphragm position when the diaphragm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le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와 조리개 사이의 거리 Dxx, 상기 조리개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거리 dxx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대물 광학계.
+0 ≤ Dxx/f ≤ +0.33
+0 ≤ dxx/f ≤ +0.33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distance Dxx between the second lens and the diaphragm, and a distance dxx between the diaphragm and the third lens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
+0? Dxx / f? +0.33
+0? Dxx / f? +0.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의 상측쪽에 영상 보정용 셔터가 배치되는, 대물 광학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d an image correction shutt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ens group.





KR1020140017502A 2014-02-14 2014-02-14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KR1016188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02A KR101618866B1 (en) 2014-02-14 2014-02-14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02A KR101618866B1 (en) 2014-02-14 2014-02-14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265A true KR20150096265A (en) 2015-08-24
KR101618866B1 KR101618866B1 (en) 2016-05-09

Family

ID=5405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502A KR101618866B1 (en) 2014-02-14 2014-02-14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9982A (en) * 2023-05-11 2023-06-23 宁波永新光学股份有限公司 Long-focus receiving optical system of low-temperature drift laser rad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216A (en) 2016-12-12 2018-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Optic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0091A (en) * 1999-09-30 2001-04-13 Casio Comput Co Ltd Photographic le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9982A (en) * 2023-05-11 2023-06-23 宁波永新光学股份有限公司 Long-focus receiving optical system of low-temperature drift laser radar
CN116299982B (en) * 2023-05-11 2023-09-05 宁波永新光学股份有限公司 Long-focus receiving optical system of low-temperature drift laser rad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66B1 (en)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776B1 (en) Image pickup lens
KR100888922B1 (en) Fisheye lens
KR101946262B1 (en) Optical Imaging System
US8817392B2 (en) Wide field athermalized orthoscopic lens system
KR20190058033A (en) Optical system
KR102004798B1 (en) Lens module
KR20180064179A (en) Image Capturing Lens System
KR20160059348A (en) Lens module
KR101838988B1 (en) Wide Viewing Athermalized Infrared Lens Module
KR20220026345A (en) Imaging Lens System
KR20200084181A (en) Image Capturing Lens System
KR20190128902A (en) Image Capturing Lens System
KR20200007219A (en) Image Capturing Lens System
KR20180067216A (en) Optical system
KR20180072975A (en) Optical system
KR20190067607A (en) Optical system
KR101618866B1 (en) Athermalized diffractive lens system
KR101008704B1 (en) Objective lens system for thermal image device
KR20200036395A (en) Image Capturing Lens System
KR20160051185A (en) Optical system
KR20180073904A (en) Optical Imaging System
KR20190124693A (en) Optical Imaging System
KR102642903B1 (en) Optical Imaging System
KR20220062464A (en) Imaging Lens System
KR101624873B1 (en) Camera optical module of athermalization far infra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