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234A -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234A
KR20150096234A KR1020140017414A KR20140017414A KR20150096234A KR 20150096234 A KR20150096234 A KR 20150096234A KR 1020140017414 A KR1020140017414 A KR 1020140017414A KR 20140017414 A KR20140017414 A KR 20140017414A KR 20150096234 A KR20150096234 A KR 2015009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pipe
bop
unit
wel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상경
전동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6234A/ko
Publication of KR2015009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41/00Equipment o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E21B15/00 - E21B40/00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E21B33/035Well heads; Setting-up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installations
    • E21B33/038Connectors used on well heads, e.g. for connecting blow-out preventer and ris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E21B33/06Blow-out preventers, i.e. apparatus closing around a drill pipe, e.g. annular blow-out preventers
    • E21B33/061Ram-type blow-out preventers, e.g. with pivoting ram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E21B33/02Surface sealing or packing
    • E21B33/03Well heads; Setting-up thereof
    • E21B33/06Blow-out preventers, i.e. apparatus closing around a drill pipe, e.g. annular blow-out preventers
    • E21B33/064Blow-out preventers, i.e. apparatus closing around a drill pipe, e.g. annular blow-out preventer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well 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Abstract

본 발명은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BOP 장비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BOP 장비에 투입하는 테스트 파이프를 상호 나사 결합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로 분리하고, 별도의 랜딩 파이프를 회전 조작하여 단위 파이프에 나사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 내부에 투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특히, 랜딩 파이프의 회전 조작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에 대한 결합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치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Test Pipe for BOP, Installing and Removing Method Thereof and BOP Tes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BOP 장비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BOP 장비에 투입하는 테스트 파이프를 상호 나사 결합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로 분리하고, 별도의 랜딩 파이프를 회전 조작하여 단위 파이프에 나사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 내부에 투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특히, 랜딩 파이프의 회전 조작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에 대한 결합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치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석유와 같은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일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심해 유전의 개발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근해의 일 지점에 정박하여 시추 작업을 하는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3,000m 이상의 심해에서 시추 작업이 가능한 부유식 시추 설비가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추 설비에는 해저의 지하에 존재하는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할 수 있도록 데릭 시스템, 라이저, 드릴 스트링 등의 각종 시추 관련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심해 유전의 개발에서는 안전이 최우선 목표가 되어야 하는데, 유전의 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최후 안전수단으로 BOP(Blowout Preventer) 장비가 해저 유정의 상단에 설치된다. BOP 장비는 해상에 부유하는 시추선의 라이저에 연결되어 해저 유정의 상단 웰헤드에 안착 결합되는데, 유정 내부로부터 오일 또는 가스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램 장치 및 애뉼라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BOP 장비는 일반적으로 시추선 내에서 또는 지상에서 그 테스트 작업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테스트 작업은 실제 환경과 유사한 조건이 되도록 BOP 장비 내에 별도의 테스트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때, BOP 장비의 수직 높이 및 그 상단에 결합된 라이저 등의 높이를 고려할 때, 테스트 파이프를 라이저를 통해 BOP 장비 내부에 투입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은 별도의 고공 크레인 등을 이용해야 하는 등 그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BOP 장비가 전체 조립된 상태에서 이와 같이 테스트 파이프를 삽입하여 BOP 장비에 대한 내압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전무한 상태로서, 실제 환경과 같은 조건에서 다양한 방식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85286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BOP 장비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BOP 장비에 투입하는 테스트 파이프를 상호 나사 결합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로 분리하고, 별도의 랜딩 파이프를 회전 조작하여 단위 파이프에 나사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 내부에 투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특히, 랜딩 파이프의 회전 조작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에 대한 결합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치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BOP 장비가 테스트 웰헤드에 래칭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BOP 장비의 상단에 결합된 라이저를 통해 상기 BOP 장비의 내부 BOP 보어홀에 투입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에 있어서, 각각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랜딩 파이프를 포함하고,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는 수나사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나사 결합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과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를 제공한다.
이때,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와 상기 테스트 웰헤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가 나머지 단위 파이프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보다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수나사부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의 수나사부보다 나사산의 피치가 더 크거나 또는 나사산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하단에는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테스트 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테스트 핀블록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끼워맞춤 삽입됨으로써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가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를 상기 BOP 장비의 BOP 보어홀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분리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설치 단계는, (a) 상기 라이저의 상부에서 상기 단위 파이프를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하여 상기 BOP 보어홀에 투입되도록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b)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 상단에 상기 랜딩 파이프를 나사 결합하고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가 상기 테스트 웰헤드와의 결합 위치에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랜딩 파이프를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랜딩 파이프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로부터 풀림 방향 회전시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를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및 (d)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된 상기 랜딩 파이프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설치 단계는 (e)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로부터 상기 랜딩 파이프를 분리 제거한 이후, 상기 라이저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폐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단계는, (f) 상기 라이저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개방 작동시키는 단계; (g) 상기 랜딩 파이프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에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h) 상기 랜딩 파이프를 조임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를 상기 테스트 웰헤드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및 (i)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랜딩 파이프를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와 상기 테스트 웰헤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가 나머지 단위 파이프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보다 더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BOP 장비가 투입될 수 있도록 테스트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테스트 챔버에는 상기 BOP 장비가 잠기도록 액체가 저장되며, 하부에는 상기 BOP 장비가 래칭 결합될 수 있도록 테스트 웰헤드가 고정 장착되는 압력 용기; 상기 테스트 웰헤드를 통해 상기 BOP 장비에 내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내압 공급 유닛; 및 상기 BOP 장비가 상기 압력 용기에 투입되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래칭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BOP 장비의 내부 BOP 보어홀에 투입되는 테스트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파이프는, 각각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랜딩 파이프를 포함하고,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는 수나사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나사 결합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과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BOP 테스트 장치는, 상기 테스트 챔버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심해 압력에 도달하도록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외압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하단에는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테스트 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는 상기 테스트 핀블록이 끼워맞춤 삽입되도록 테스트 슬롯이 형성되며,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는 상기 테스트 핀블록이 상기 테스트 슬롯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핀블록과 상기 테스트 슬롯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는 상기 테스트 슬롯과 연통되도록 별도의 블리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블리드 유로는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BOP 장비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BOP 장비에 투입하는 테스트 파이프를 상호 나사 결합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로 분리하고, 별도의 랜딩 파이프를 회전 조작하여 단위 파이프에 나사 결합시키거나 결합 해제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 내부에 투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테스트 파이프를 BOP 장비에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고, 특히, 랜딩 파이프의 회전 조작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에 대한 결합력 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더욱 정확하고 안전하게 설치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가 구비된 BOP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가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파이프의 설치 과정을 동작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파이프의 제거 과정을 동작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가 구비된 BOP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가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BOP 장비의 테스트를 위해 BOP 장비의 내부에 투입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와,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먼저, BOP 테스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및 이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구성은 도 4 내지 도 9를 중심으로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P 테스트 장치는 심해 환경에서 사용되는 BOP 장비(200)를 심해 환경과 유사한 환경 조건에 노출시켜 다양한 방식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압력 용기(100)와, 외압 공급 유닛(400)과, BOP 장비(200)의 내부 BOP 보어홀(201)에 투입되는 테스트 파이프(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 용기(100)는 내부에 BOP 장비가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에 테스트 챔버(C)가 형성되고, 테스트 챔버(C)에는 BOP 장비가 잠기도록 액체가 저장된다.
이러한 압력 용기(100)는 내부에 테스트 챔버(C)가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압력 용기(100)의 내부 압력에 대한 지지 강도를 고려할 때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 용기(100)는 부식 방지를 위해 음극 전원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테스트 챔버(C)가 형성되도록 상단면 일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110)와, 용기 본체(110)의 개방된 부분에 밀봉 결합되는 용기 커버(120)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용기 커버(120)를 개방한 상태로 용기 본체(110)의 테스트 챔버(C)에 액체를 투입하여 저장할 수 있고, 용기 커버(120)를 개방한 상태에서 BOP 장비(200)를 액체에 잠기도록 테스트 챔버(C)에 투입할 수 있다. 용기 본체(110)에는 후술하는 외압 공급 유닛(400)과 내압 공급 유닛(500)으로부터 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외압 공급 포트(111)와 내압 공급 포트(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0)와 용기 커버(120)는 내부 테스트 챔버(C)에 저장된 액체가 외압 공급 유닛(400)에 의한 압력 공급을 통해 고압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호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압 공급 유닛(400)은 압력 용기(100)의 테스트 챔버(C)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심해 조건에서의 압력, 예를 들면 4,300 psi 이상의 압력에 도달하도록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외압 공급 유닛(400)은 압력 용기(100)의 테스트 챔버(C)에 유체를 고압으로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외압 공급 펌프(410)와, 고압의 유체가 외압 공급 펌프(410)로부터 테스트 챔버(C)로 공급되도록 외압 공급 펌프(410)와 테스트 챔버(C)를 연결하는 외압 연결 라인(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압 공급 펌프(410)는 일반적으로 액체를 공급하며, 가스를 공급하는 컴프레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외압 연결 라인(420)은 외압 공급 펌프(410)로부터 압력 용기(100)의 외압 공급 포트(111)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압력 용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육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에 일부 또는 전부 매립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육상 구조물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 용기(100)가 육상에 고정 설치되면, 해상과 비교하여 그 설치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BOP 장비(200)에 대한 테스트 작업 또한 육상에서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 작업 또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BOP 장비(200)를 압력 용기(100) 내부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BOP 장비(200)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BOP 장비(200)의 투입 과정을 더욱 신속하고 단순화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압력 용기(100)는 해상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실제 BOP 장비(200)를 설치하는 과정과 동일한 설치 과정을 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테스트 웰헤드(300)는 BOP 장비(200)가 압력 용기(100)의 테스트 챔버에 투입된 상태에서 BOP 장비(200)의 하단이 래칭 결합되도록 압력 용기(100)의 바닥 부분에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테스트 웰헤드(300)는 내부에 웰헤드 보어홀(301)이 형성되고, 웰헤드 보어홀(301)은 BOP 장비(200)의 내부 BOP 보어홀(201)과 연통되며, 이와 동시에 전술한 내압 공급 포트(112)를 통해 내압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테스트 웰헤드(300)에는 웰헤드 보어홀(301)과 연통되도록 내압 공급 유로(3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OP 테스트 장치는 테스트 웰헤드(300)를 통해 BOP 장비(200)에 내압이 전달되도록 테스트 웰헤드(300)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내압 공급 유닛(5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압 공급 유닛(500)은 BOP 장비(200)에 대한 내압이 심해 유정에서 가스 폭발시 발생하는 압력, 예를 들면 15,000 psi 이상의 압력에 도달하도록 고압 유체를 공급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압 공급 유닛(500)은 테스트 웰헤드(300)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도록 작동하는 내압 공급 펌프(510)와, 고압의 유체가 내압 공급 펌프(510)로부터 테스트 웰헤드(300)의 웰헤드 보어홀(301)로 공급되도록 내압 공급 펌프(510)와 테스트 웰헤드(300)를 연결하는 내압 연결 라인(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내압 공급 펌프(510)는 액체를 공급하는 펌프의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고, 유정 내 고압의 가스 발생 상황을 재현하기 위해 액체와 가스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다상 펌프(multi-phase pump)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압력 용기(100)의 용기 본체(110)에 내압 공급 포트(112)가 형성되고, 테스트 웰헤드(300)가 별도의 연결 라인을 통해 내압 공급 포트(112)에 연통 결합되는 형태가 도시되는바, 이 경우, 내압 연결 라인(520)은 내압 공급 포트(112)와 연결될 수 있다.
테스트 파이프(700)는 BOP 장비(200)가 압력 용기(100)의 테스트 웰헤드(300)에 래칭 결합된 상태에서 BOP 장비(200)의 상단에 결합된 라이저(200)를 통해 BOP 장비(200)의 내부 BOP 보어홀(201)에 투입된다. 이러한 테스트 파이프(700)는 BOP 보어홀(201)에 투입되어 하단이 테스트 웰헤드(300)에 결합 고정되며, 이와 같이 테스트 파이프(700)가 BOP 보어홀(201)에 투입된 상태에서 BOP 장비(200)에 대한 내압 테스트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는 별도의 압력 용기(100) 내부 액체의 압력을 외압 공급 유닛(400)에 의해 해저 3,000 m 이상의 심해 압력 상태로 상승시킴으로써, BOP 장비(200)에 대한 외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BOP 장비(200)가 심해 압력에 노출된 경우 구조적으로 안정적인지 여부 또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 또는 누출(Leakage)이 발생하는지 여부 등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내압 공급 유닛(500)을 통해 BOP 장비(200)에 15,000 psi 이상의 내부 압력을 제공함으로써, BOP 장비(200)에 대한 심해 환경의 내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OP 장비(200)를 구성하는 램(Ram), 애뉼라(Annular) 및 각종 밸브 등에 대한 내부 압력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BOP 장비(200)에 대한 테스트 과정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압력 용기(100)의 용기 본체(110)를 육상에 설치한 후, 테스트 챔버(C)에 액체를 저장한다. 테스트 챔버(C)에 액체를 저장하는 과정은 외압 공급 유닛(400)을 통해 해수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펌프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테스트 챔버(C)에 액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BOP 장비(200)를 액체에 잠기도록 테스트 챔버(C)에 투입한 후, 용기 커버(120)를 밀봉 결합한다.
이때, BOP 장비(200)는 용기 커버(120)의 하단에 결합된 상태로 장착되어 용기 커버(120)의 밀봉 과정에서 이와 동시에 테스트 챔버(C)에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기 커버(120)와 BOP 장비(200)가 일체로 운반되도록 상호 결합되고, 크레인에 의해 용기 커버(120)를 용기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시킴으로써, 이와 동시에 BOP 장비(200)가 테스트 챔버(C)로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때 BOP 장비(200)는 테스트 챔버(C)로 투입됨과 동시에 용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 하부에 위치한 테스트 웰헤드 어셈블리(300)에 래칭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 커버(120)를 용기 본체(110)에 밀봉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BOP 장비(200)의 투입 작업 및 테스트 웰헤드 어셈블리(300)와의 결합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이 단순화되어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BOP 장비(200)는 실제 해저 유정에 설치되는 경우, 라이저를 통해 해상의 시추 설비와 연결되므로, 테스트 챔버(C)에 투입되는 BOP 장비(200)에는 별도의 라이저(220)를 연결하고, 이는 별도의 제어실(6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실(600)은 BOP 장비(200), 외압 공급 유닛(400) 및 내압 공급 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BOP 장비(200)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압력 용기(100)와 인접한 위치의 육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실(600)에서 BOP 장비(200)를 제어하기 위해,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먹스 케이블(Mux Cable)이 제어실로부터 BOP 장비로 2개 연결되며, HPU(Hydraulic Power Unit)와 같은 유압 공급 장치로부터 BOP 장비에 구비된 2개의 유압 라인(conduit line)을 통해 BOP 장비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먹스 케이블을 통해 전력 및 밸브 조작 신호가 전달되며, BOP 장비의 램 및 에뉼라는 공급된 유압을 사용하여 닫히고 열리는 동작이 수행된다. 다시 말하면, 제어실(600)은 제어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먹스 케이블과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라인으로 BOP 장비와 연결되어 BOP 장비를 동작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 케이블과 유압 라인은 라이저(220)의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BOP 장비의 램 또는 애뉼라를 작동시킨 상태로 BOP 장비(200)에 대한 내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내압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BOP 장비(200)의 내부에 형성된 BOP 보어홀(201) 및 테스트 웰헤드(300)에 형성된 웰헤드 보어홀(301)에 별도의 테스트 파이프(700)가 삽입된다. 실제 시추 과정에서는 시추를 위한 드릴 파이프가 삽입되는데, 테스트 파이프(700)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테스트 파이프(7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램 또는 애뉼라를 작동시켜 BOP 장비(200)에 대한 내압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테스트 파이프(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가 상하 방향으로 일렬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BOP 장비(200)의 상단에 결합된 라이저(200)를 따라 BOP 보어홀(201) 및 웰헤드 보어홀(301)에 투입된다. 이러한 테스트 파이프(700)는 그 하단이 웰헤드 보어홀(301)의 바닥면에 결합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BOP 장비(200)의 램 장치(203)가 BOP 보어홀(201)을 폐쇄하도록 작동하며, 이후 내압 공급 유로(302)를 통해 웰헤드 보어홀(301) 및 BOP 보어홀(201)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내압 테스트를 수행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테스트 파이프(7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수나사부(M)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암나사부(F)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와, 하단부에 수나사부(M)가 형성되어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의 암나사부(F)에 나사 결합되는 랜딩 파이프(7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는 수나사부(M)에 의해 테스트 웰헤드(300)에 나사 결합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의 상단부에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과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F)가 형성된다. 즉, 랜딩 파이프(702)와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의 나사 결합 방향은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 사이의 나사 결합 방향과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랜딩 파이프(702)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는 조임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되고, 랜딩 파이프(702)를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는 풀림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때, 랜딩 파이프(702)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BOP 보어홀(201) 및 웰헤드 보어홀(301)에 삽입한 이후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분리 제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BOP 보어홀(201) 및 웰헤드 보어홀(301)에 삽입 및 제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조작 파이프로서 기능한다. 압력 용기(100)의 상단에는 라이저(200)가 결합되는데, 라이저(200)의 상단에는 내부 밀봉을 위해 별도의 개폐 밸브(221)가 장착된다. 이때, 개폐 밸브(221)가 폐쇄 작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BOP 보어홀(201)에 투입한 이후에는 랜딩 파이프(702)를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분리 제거하며, 다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BOP 보어홀(201)로부터 견인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개폐 밸브(221)를 개방 작동하고 랜딩 파이프(702)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701)에 결합시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견인 인출한다.
한편,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의 수나사부(M)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의 수나사부(M)보다 나사산(S2)의 피치가 더 크거나 또는 나사산(S2)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와 테스트 웰헤드(300)와의 나사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약하게 형성된다. 즉, 회전 조작시 요구되는 토크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가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랜딩 파이프(702)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 토크에도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는 풀림 또는 조임 방향으로 가장 먼저 회전하게 된다.
즉, 랜딩 파이프(70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로부터 가장 먼저 풀림 또는 잠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들은 그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나사 체결력이 강하여 풀림 또는 잠기 방향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랜딩 파이프(702)를 조임 회전시키면,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는 테스트 웰헤드(300)로부터 풀림 회전하게 되고,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층에 결합되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들은 각각의 연결 부위에서 풀림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모두가 일체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와 함께 풀림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는 모두 상하 적층 결합한 상태에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로부터 분리되므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로부터 분리된 이후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동시에 상향 견인하여 테스트 파이프(700)를 BOP 보어홀(201)로부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M)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F)가 형성되는 별도의 테스트 핀블록(710)이 결합될 수 있으며,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는 이러한 테스트 핀블록(710)이 테스트 웰헤드(300)에 끼워맞춤 삽입됨으로써 테스트 웰헤드(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테스트 웰헤드(300)에는 테스트 핀블록(710)이 끼워맞춤 삽입될 수 있도록 테스트 슬롯(31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는 테스트 핀블록(710)과 나사 결합하며, 이 상태에서 테스트 핀블록(710)이 테스트 웰헤드(300)에 끼워맞춤 삽입되는 방식으로 테스트 웰헤드(3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웰헤드(300)에는 테스트 슬롯(310)과 연통되도록 별도의 블리드 유로(320)가 형성되고, 블리드 유로(320)는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배치 구조상 블리드 유로(320)의 끝단이 그 자체로 외부 대기압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 라인을 통해 블리드 유로(320)가 외부 대기압에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리드 유로(320)는 테스트 파이프(700)가 삽입 결합되는 테스트 슬롯(310)과 연통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압 테스트 과정에서 테스트 파이프(700)가 테스트 슬롯(310)에 밀봉되게 결합되지 않으면, 내압 공급 유닛(500)으로부터 공급된 고압 유체가 블리드 유로(320)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테스트 파이프(700)의 밀봉 결합 상태 및 고압 유체 누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블리드 유로(320)가 외부 대기압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테스트 파이프(700)를 테스트 슬롯(310)에 삽입 결합하는 과정에서 압력 저항이 발생하지 않아 테스트 파이프(700)의 결합이 용이하며, 내압 공급 유닛(500)에 의해 웰헤드 보어홀(301)에 고압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테스트 파이프(700)가 압력 저항 없이 테스트 슬롯(310)에 더욱 밀착 결합될 수 있으므로, BOP 장비(200)에 대한 테스트 작업을 더욱 정확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테스트 핀블록(710)과 테스트 슬롯(310) 사이에는 밀봉 결합을 위한 별도의 실링 부재(720)가 삽입 개재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파이프의 설치 과정을 동작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파이프의 제거 과정을 동작 흐름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테스트 파이프(700)는 BOP 장비(200)에 대한 다양한 테스트를 위해 서로 다른 종류의 테스트 파이프(700)가 반복적으로 교체 투입될 수 있다. 최초로 테스트 파이프(700)를 투입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에 테스트 핀블록(710)을 결합한 상태로 투입할 수 있으며, 이후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핀블록(710)을 테스트 웰헤드(3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테스트 파이프(700)만 투입하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테스트 핀블록(710)이 테스트 웰헤드(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테스트 파이프(700)를 설치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따라서, 테스트 파이프(700)의 최하층 단위 파이프(701)는 엄밀하게는 테스트 핀블록(710)의 암나사부(F)에 결합되지만, 이러한 암나사부(F)는 테스트 웰헤드(30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테스트 핀블록(710)을 통해 테스트 웰헤드(300)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200)의 상단 개폐 밸브(221)를 개방한 상태에서 라이저(200)의 상부로부터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를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단위 파이프(701)를 BOP 보어홀(201) 내부로 하향 투입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에 인접하게 하향 이동하게 되면,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701) 상단에 랜딩 파이프(702)를 나사 결합하고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와의 결합 위치에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 및 랜딩 파이프(702)를 하향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가 테스트 웰헤드(3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결합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이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딩 파이프(702)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랜딩 파이프(702)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과정에서 랜딩 파이프(702)는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체결 해제됨과 동시에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들은 이와 반대 방향인 조임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랜딩 파이프(702)를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랜딩 파이프(702)가 최상층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체결 해제됨과 동시에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를 포함한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 들이 조임 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스트 웰헤드(300)에 나사 결합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701)의 상단 암나사부(F)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이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과 다른 나사산 방향을 갖기 때문이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 단위 파이프(701)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된 랜딩 파이프(702)를 분리하여 라이저(200)로부터 제거하고, 이 상태에서 라이저(200)의 상단 개폐 밸브(221)를 폐쇄 작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로 이루어진 테스트 파이프(700)를 BOP 보어홀(201) 및 웰헤드 보어홀(301) 내부에 투입한다.
이후, 테스트 파이프(700)를 BOP 보어홀(201) 및 웰헤드 보어홀(301)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저(200)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221)를 개방 작동하고, 랜딩 파이프(702)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701) 상단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랜딩 파이프(702)를 최상층 단위 파이프(701)에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를 포함한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들은 설치 과정과 마찬가지 원리로 풀림 방향의 회전력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에 형성된 수나사부(M)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701)의 수나사부(M)보다 나사산의 피치가 더 크거나 또는 나사산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조작시 요구되는 회전 토크가 작으므로,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가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중간 연결 부위에서는 단위 파이프(701)가 서로 풀림 방향으로 상대 회전하지 않고 단지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만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의 풀림 방향 회전시 나머지 다른 단위 파이프(701)들도 모두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701)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가 각각 나사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체로 테스트 웰헤드(300)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후,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 및 랜딩 파이프(702)를 상향 인출하여 전체 테스트 파이프(700)를 BOP 보어홀(201)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전체 테스트 파이프(700)를 상향 인출하는 과정에서 랜딩 파이프(702) 및 각각의 단위 파이프(701)를 순차적으로 각각 분리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701)로 이루어진 테스트 파이프(700)를 단순히 랜딩 파이프(702)를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BOP 장비(200) 내부에 투입 결합시키거나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압력 용기 110: 용기 본체
120: 용기 커버 200: BOP 장비
201: BOP 보어홀 220: 라이저
221: 개폐 밸브 300: 테스트 웰헤드
301: 웰헤드 보어홀 310: 테스트 슬롯
320: 블리드 유로 400: 외압 공급 유닛
500: 내압 공급 유닛 600: 제어실
700: 테스트 파이프 701: 단위 파이프
702: 랜딩 파이프 710: 테스트 핀블록
720: 실링 부재 M: 수나사부
F: 암나사부 S1: 암나사산
S2: 수나사산

Claims (13)

  1. BOP 장비가 테스트 웰헤드에 래칭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BOP 장비의 상단에 결합된 라이저를 통해 상기 BOP 장비의 내부 BOP 보어홀에 투입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에 있어서,
    각각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랜딩 파이프
    를 포함하고,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는 수나사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나사 결합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과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와 상기 테스트 웰헤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가 나머지 단위 파이프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보다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수나사부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의 수나사부보다 나사산의 피치가 더 크거나 또는 나사산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하단에는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테스트 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테스트 핀블록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끼워맞춤 삽입됨으로써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가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5. 제 1 항에 기재된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를 상기 BOP 장비의 BOP 보어홀에 설치하는 설치 단계와, 분리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으로서,
    상기 설치 단계는,
    (a) 상기 라이저의 상부에서 상기 단위 파이프를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하여 상기 BOP 보어홀에 투입되도록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b)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 상단에 상기 랜딩 파이프를 나사 결합하고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가 상기 테스트 웰헤드와의 결합 위치에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랜딩 파이프를 하향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랜딩 파이프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로부터 풀림 방향 회전시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를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및
    (d)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된 상기 랜딩 파이프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단계는
    (e)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로부터 상기 랜딩 파이프를 분리 제거한 이후, 상기 라이저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폐쇄 작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f) 상기 라이저의 상단에 설치된 개폐 밸브를 개방 작동시키는 단계;
    (g) 상기 랜딩 파이프를 최상층의 단위 파이프에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 결합시키는 단계;
    (h) 상기 랜딩 파이프를 조임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켜 최하층의 단위 파이프를 상기 테스트 웰헤드로부터 나사 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및
    (i)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랜딩 파이프를 상향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와 상기 테스트 웰헤드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가 나머지 단위 파이프 사이에서 발생하는 나사 풀림 토크보다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설치 및 제거 방법.
  9. 내부에 BOP 장비가 투입될 수 있도록 테스트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테스트 챔버에는 상기 BOP 장비가 잠기도록 액체가 저장되며, 하부에는 상기 BOP 장비가 래칭 결합될 수 있도록 테스트 웰헤드가 고정 장착되는 압력 용기;
    상기 테스트 웰헤드를 통해 상기 BOP 장비에 내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고압의 유체를 공급하는 내압 공급 유닛; 및
    상기 BOP 장비가 상기 압력 용기에 투입되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래칭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BOP 장비의 내부 BOP 보어홀에 투입되는 테스트 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 파이프는
    각각 순차적으로 나사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위 파이프; 및
    하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랜딩 파이프
    를 포함하고,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는 수나사부에 의해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나사 결합되고, 최상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나머지 단위 파이프에 형성된 나사산 방향과 다른 방향의 나사산을 갖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테스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챔버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심해 압력에 도달하도록 액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외압 공급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테스트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의 하단에는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테스트 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는 상기 테스트 핀블록이 끼워맞춤 삽입되도록 테스트 슬롯이 형성되며,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 파이프는 상기 테스트 핀블록이 상기 테스트 슬롯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테스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핀블록과 상기 테스트 슬롯 사이에는 별도의 실링 부재가 삽입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테스트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웰헤드에는
    상기 테스트 슬롯과 연통되도록 별도의 블리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블리드 유로는 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OP 테스트 장치.
KR1020140017414A 2014-02-14 2014-02-14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KR20150096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14A KR20150096234A (ko) 2014-02-14 2014-02-14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414A KR20150096234A (ko) 2014-02-14 2014-02-14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234A true KR20150096234A (ko) 2015-08-24

Family

ID=5405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414A KR20150096234A (ko) 2014-02-14 2014-02-14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62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8693A (zh) * 2016-04-25 2016-09-07 西南石油大学 一种检测防喷器关断性能的试验装置
DE102016212035A1 (de) 2015-07-07 2017-01-12 Mando Corporation Abstandsberechungsvorrichtung, Abstandsberechungsverfahren, Fahrunterstützungsvorrichtung und Fahrunterstützungs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12035A1 (de) 2015-07-07 2017-01-12 Mando Corporation Abstandsberechungsvorrichtung, Abstandsberechungsverfahren, Fahrunterstützungsvorrichtung und Fahrunterstützungssystem
CN105928693A (zh) * 2016-04-25 2016-09-07 西南石油大学 一种检测防喷器关断性能的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3991T3 (es) Sistema de perforación de presión controlada que presenta un modo de control de pozo
US10012044B2 (en) Annular isolation device for managed pressure drilling
EP0709545A2 (en) Deep water slim hole drilling system
NO339202B1 (no) Lett og kompakt havbunnsintervensjonspakke samt fremgangsmåte
US903872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verting fluids from a wellhead by using a modified horizontal christmas tree
NO345526B1 (no) Svakt ledd i stigerør
KR20150096234A (ko) Bop 장비용 테스트 파이프, 이의 설치 및 제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US10385641B2 (en) Flushing a tool for closed well operation and an associated method
KR20150040519A (ko) 시추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101527838B1 (ko) 시추 장비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101599315B1 (ko) 테스트 웰헤드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AU2016259436B2 (en) Side entry flow spool and use thereof
WO2016133401A1 (en) Tool for closed well operation
KR200484979Y1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102033532B1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0483819Y1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20140122163A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50041528A (ko) 시추 장비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0515A (ko) 시추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KR20140122159A (ko) 시추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50040514A (ko) Bop 테스트 제어 시스템
KR20150097965A (ko) Bop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50009093A (ko) Bop 테스트 장치용 압력 용기와 이를 이용한 bop 장비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50057439A (ko) Bop 장비 테스트용 압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bop 테스트 장치
KR20140145248A (ko) Bop 테스트 파이프와 bop 테스트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