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369A -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369A
KR20150095369A KR1020140016603A KR20140016603A KR20150095369A KR 20150095369 A KR20150095369 A KR 20150095369A KR 1020140016603 A KR1020140016603 A KR 1020140016603A KR 20140016603 A KR20140016603 A KR 20140016603A KR 20150095369 A KR20150095369 A KR 2015009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ition data
illumination
location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수
강현철
강현주
박성희
성정식
최종우
강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6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5369A/ko
Priority to US14/622,374 priority patent/US9609726B2/en
Publication of KR2015009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존하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변경없이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는 조명제어기구로부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조명제어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전달하는 단계,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다르게 작성하는 단계 및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LIGHTING CONTROL NETWORK}
본 발명은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존하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변경없이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시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반도체소자인 LED(Light-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이용한 조명장치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조명장치를 통한 정보의 전달을 위한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LED 조명을 이용한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ing Communication, 이하 "VLC"라고도 함) 시스템은 조명에서 나오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VLC의 특징 중 하나는 가시광이 도달하는 범위에만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것이고, 이를 이용하면 위치가 고정된 조명의 가시광으로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재 조명제어에는 네트워크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조명 네트워크는 조명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0540호 "음영 지역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조명기구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건물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GPS의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GPS의 신호는 천정이 있는 폐쇄된 공간에서는 수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GPS의 신호는 상대적으로 고도 측정치의 정확도가 떨어져서 이를 보완하는 다른 기술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는 복층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은 실내공간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내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내 위치 정보 제공 기술의 구현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존하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변경없이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은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가 조명제어기구로부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다르게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작성하는 단계에서,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와 상기 위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검사하여,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된 경우,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와 조명의 설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조명의 설치 위치를 토대로 위도와 경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수정한 위치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헤더의 목적지는 상기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에서 시간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값을 이용하여 시간동기 프레임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는
조명제어기구로부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데이터 수신부; 조명 배치 저장부에 저장된 조명의 위치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정하고, 수정한 위치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 또는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스케줄링부에서 스케줄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 또는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전달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헤더는 상기 조명 배치 저장부에서 추출한 조명의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조명 배치 저장부는 조명제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조명의 물리적인 조명의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GPS 데이터 수신부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자신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다르게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좌표가 갱신된 경우, 상기 조명의 설치 위치를 토대로 위도와 경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정하여, 수정한 위치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좌표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에서 시간값을 추출하고, 상기 시간값을 이용하여 시간동기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명기구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인지 위치데이터 프레임인지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처리하는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에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이 다른 위치조명기구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는 상기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에 해당하는 경우, 조명제어 프레임에 해당하는 조명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는 상기 제어 프레임이 위치데이터 프레임에 해당하는 경우, 가시광 전송을 위한 가시광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현존하는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기존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변경없이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중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명기구에서 자신을 목적지로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경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조명제어 네트워크에는 조명제어기구(100),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명기구 1~n(300) 및 GPS 위성(400)을 포함한다.
조명제어기구(100)는 조명의 기본기능을 제어하는 조명제어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한 조명제어프레임을 조명제어 네트워크 회선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명기구1~n(300)로 전송한다.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는 조명제어기구(100)와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명기구1~n(300) 사이에 위치하며, 조명제어기구(100)로부터 수신한 조명제어프레임을 해당 위치 조명기구로 전송함과 동시에, GPS 위성(400)으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수신하여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는 위치데이터 프레임 형태로 변형한 후 위치 조명기구로 전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위치 조명기구1~n(300) 각각(이하 "위치조명기구(300)"라고도 함)은 조명제어기구(100)로부터 조명제어프레임을 수신하여 제어될 수 있고, 필요시 가시광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가시광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조명기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명기구(300)와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는 조명제어 네트워크 회선으로 연결된다.
다음,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는 신호 수신부(210), 스케줄링부(220), 신호 송신부(230), GPS 데이터 수신부(240), GPS 데이터 추출부(250), 데이터 저장부(260), 프레임 생성부(270) 및 조명 배치 저장부(28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210)는 조명제어 네트워크 입력 회선(도 2의 ①)을 통하여 조명제어기구(도 1의 100)로부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한다.
스케줄링부(220)는 신호 수신부(210) 또는 프레임 생성부(270)에서 수신한 조명제어 프레임 또는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스케줄링한다.
신호 송신부(230)는 스케줄링부(220)에서 스케줄링한 결과에 따라 조명제어 프레임 또는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조명제어 네트워크 출력회선(도 2의 ②)을 통하여 송신한다.
GPS 데이터 수신부(240)는 GPS 인터페이스(도 2의 ③)을 통하여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GPS 데이터 추출부(250)는 GPS 데이터 수신부(240)에서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데이터 저장부(260)에 저장한다.
프레임 생성부(270)는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서 하나의 위치조명기구(300)의 위치를 추출하여 데이터 저장부(260)에 있는 위치 데이터를 수정한 후, 조명제어 네트워크 회선을 통과할 수 있는 헤더를 추가하여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 여기서, 헤더는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서 추출한 해당 위치조명기구의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 생성부(270)는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위치조명기구에게만 전달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프레임 생성부(270)는 조명 배치 저장부(280) 내의 모든 위치조명기구(300)에 위치데이터 프레임이 전달될 때까지 차례차례 다른 위치조명기구의 위치를 읽어내어 상기 동작을 수행한다.
조명 배치 저장부(280)는 조명제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위치조명기구(300)의 물리적인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설치 위치정보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또는 위치조명기구(300)의 절대적 좌표를 포함한다.
다음,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의 스케줄링부(220)는 신호 수신부(210)에서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검사한다(S301).
스케줄링부(220)는 신호 수신부(210)에서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조명제어 프레임에서 조명제어 데이터를 분석하고(S302),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조명제어 프레임을 스케줄링하여 전송한다(S303).
스케줄링부(220)는 신호 수신부(210)에서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으면,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가 있는지 확인한다(S304).
프레임 생성부(270)는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가 있는 경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의 좌표와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데이터가 일치하는지 검사함으로써,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의 좌표가 갱신되지는 않았는지 검사한다(S305).
프레임 생성부(270)는 S305 단계에서 좌표가 갱신된 경우 즉,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의 좌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의 좌표와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모두 추출한다(S306).
프레임 생성부(270)는 S306 단계에서 추출한 위치 데이터를 각각의 위치조명기구에 전송하기 위하여,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서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와 설치 위치를 차례로 추출한다(S307).
프레임 생성부(270)는 위치조명기구의 설치 위치를 토대로 위도와 경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토대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데이터를 수정한 후, 조명제어 네트워크 회선을 통과할 수 있는 헤더를 추가하여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작성한다(S308).
신호 송신부(230)는 S308 단계에서 작성한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위치조명기구로 유니캐스트 전송된다(S309).
스케줄링부(220)는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위치조명기구로 위치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되었는지를 검사한 후(S310), 아직 위치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은 위치조명기구에 대하여 S307 단계에서 S309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스케줄링부(220)는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위치조명기구로 위치데이터 프레임이 전송되었으면, 종료한다.
프레임 생성부(270)는 S305 단계에서 좌표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즉,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200)의 좌표와 GPS 위성(도 1의 4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데이터가 일치하면, 위치데이터에서 시간값을 추출한다(S311).
프레임 생성부(270)는 S311 단계에서 추출한 시간값을 위치데이터 프레임 형태 즉, 시간동기 프레임을 생성한다(S312).
신호 송신부(230)는 시간동기 프레임을 네트워크상의 모든 조명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S313).
다음,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중 S307 단계 및 S308 단계와 같이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중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프레임 생성부(270)는 위치정보를 신규할당하거나 갱신해야하는 위치조명기구의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와 물리적인 설치위치를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서 추출한다(S410).
프레임 생성부(270)는 해당 위치조명기구의 정확한 고도정보를 위치 데이터에 설정하기 위하여, 해당 위치조명기구가 설치된 층 정보를 바탕으로 고도를 계산한다(S420).
프레임 생성부(270)는 S420 단계에서 계산한 고도를 위치 데이터에 삽입한다(S430).
프레임 생성부(270)는 해당 위치조명기구의 정확한 좌표를 계산하기 위하여, 해당 위치조명기구가 설치된 건축물 상의 위치나 물리적 좌표를 조명 배치 저장부(280)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결과를 위도와 경도로 재계산한다(S440).
프레임 생성부(270)는 S440 단계에서 재계산한 위도와 경도를 위치 데이터에 삽입한다(S450).
프레임 생성부(270)는 위도, 경도 및 고도가 새로 계산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위치조명기구로 위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위치데이터 프레임의 헤더를 생성한다(S460). 여기서, 위치데이터 프레임의 헤더의 목적지는 재계산한 위도, 경도 및 고도를 가지는 위치조명기구의 조명제어 네트워크상의 식별자를 사용한다.
프레임 생성부(270)는 S460 단계에서 생성한 위치데이터 프레임의 헤더 뒤에 수정된 위치데이터를 페이로드로 삽입하여 위치데이터 프레임 작성을 완료한다(S470).
다음, 위치조명기구(300)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명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위치조명기구(300)는 수신부(310), 판별부(320), 송신부(330),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340),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350), 메모리(360), 구동신호 처리부(370) 및 LED 드라이버(380)를 포함한다.
수신부(310)는 조명제어 네트워크 입력 회선(①)으로부터 제어 프레임을 수신한다.
판별부(320)는 수신부(310)에서 수신한 제어 프레임이 해당 위치조명기구를 목적지로 하는 프레임인가를 판별한다.
판별부(320)는 제어 프레임이 해당 위치조명기구를 목적지로 하는 제어프레임이 아니면 모두 송신부(330)로 전달하며, 해당 위치조명기구를 목적지로 하는 제어프레임이면 조명제어 네트워크 동작방식에 따라 프레임의 종류를 확인한다.
판별부(320)는 프레임의 종류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조명제어 프레임을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340)로,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350)로 전달한다.
송신부(330)는 판별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제어 프레임을 조명제어 네트워크 출력회선(②)을 통하여 송신한다.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340)는 조명제어 프레임 내부의 제어 데이터를 토대로 위치조명기구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 데이터 중 LED 광원을 제어하는 데이터는 구동신호 처리부(370)를 거쳐 LED 드라이버(380)로 전달되어 광원을 제어한다.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350)는 위치데이터 프레임에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36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된 위치 데이터는 구동신호 처리부(370)에서 모듈레이션 되어 LED 드라이버(380)를 통해 가시광 무선 통신 프레임으로 전송된다.
다음, 위치조명기구에서 자신을 목적지로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경우의 처리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명기구에서 자신을 목적지로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을 경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위치조명기구(300)의 판별부(320)는 수신부(310)를 통해 제어 프레임을 수신한다(S610).
판별부(320)는 수신한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인가를 검사한다. 판별부(320)는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에 해당하는 경우, 조명제어 프레임에 해당하는 조명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630).
판별부(320)는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이 아닌 위치데이터 프레임이라면 시간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시간동기 프레임인가 좌표를 포함한 프레임인가를 검사한다(S640).
판별부(320)는 S640 단계에서 검사한 결과 시간동기 프레임인 경우 위치조명기구가 저장하고 있는 위치데이터의 시간을 갱신한다(S650).
판별부(320)는 S640 단계에서 검사한 결과 좌표를 포함한 프레임인 경우 위치조명기구가 저장하고 있는 위치데이터의 시간, 위도, 경도, 고도값을 모두 갱신한다(S660).
판별부(320)는 S650 단계 또는 S660 단계에서 메모리 내의 위치데이터의 갱신이 완료되면 가시광 전송을 위한 가시광 프레임을 생성한다(S670). 여기서, 가시광 프레임은 위치데이터를 포함한다.
위치조명기구(300)는 가시광 프레임을 가시광 통신으로 전송(S680)함으로써, 위치정보를 가시광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명제어기구
200; 조명제어기구
210; 신호 수신부 220; 스케줄링부
230; 신호 송신부 240; GPS 데이터 수신부
250; GPS 데이터 추출부 260; 데이터 저장부
270; 프레임 생성부 280; 조명 배치 저장부
300; 위치조명기구
310; 수신부 320; 판별부
330; 송신부 340;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
350;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 360; 메모리
370; 구동신호 처리부 380; LED 드라이버

Claims (14)

  1.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는 조명제어기구로부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검사하는 단계;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다르게 작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성하는 단계에서,
    이전에 설정되어 있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와 상기 위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검사하여,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된 경우,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와 조명의 설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조명의 설치 위치를 토대로 위도와 경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
    수정한 위치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더의 목적지는 상기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의 좌표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에서 시간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값을 이용하여 시간동기 프레임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방법.
  6. 조명제어기구로부터 조명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데이터 수신부;
    조명 배치 저장부에 저장된 조명의 위치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정하고, 수정한 위치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부;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 또는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스케줄링하는 스케줄링부; 및
    상기 스케줄링부에서 스케줄링한 결과에 따라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 또는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해당 조명으로 전달하는 신호 송신부
    를 포함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상기 조명 배치 저장부에서 추출한 조명의 조명제어 네트워크 프로토콜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명 배치 저장부는
    조명제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조명의 물리적인 조명의 설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GPS 데이터 수신부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자신의 좌표가 갱신되었는지 확인하고, 확인한 결과에 따라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다르게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좌표가 갱신된 경우, 상기 조명의 설치 위치를 토대로 위도와 경도를 계산하고, 계산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정하여, 수정한 위치 데이터에 헤더를 추가하여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부는
    상기 좌표가 갱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데이터에서 시간값을 추출하고, 상기 시간값을 이용하여 시간동기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12.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어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인지 위치데이터 프레임인지 판별하는 판별부;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을 처리하는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에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위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이 다른 위치조명기구를 목적지로 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프레임을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위치조명기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명제어 프레임 처리부는
    상기 제어 프레임이 조명제어 프레임에 해당하는 경우, 조명제어 프레임에 해당하는 조명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명기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위치데이터 프레임 처리부는
    상기 제어 프레임이 위치데이터 프레임에 해당하는 경우, 가시광 전송을 위한 가시광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조명기구.
KR1020140016603A 2014-02-13 2014-02-13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5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603A KR20150095369A (ko) 2014-02-13 2014-02-13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4/622,374 US9609726B2 (en) 2014-02-13 2015-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location information using lighting contro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603A KR20150095369A (ko) 2014-02-13 2014-02-13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369A true KR20150095369A (ko) 2015-08-21

Family

ID=5377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603A KR20150095369A (ko) 2014-02-13 2014-02-13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09726B2 (ko)
KR (1) KR20150095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8730A (zh) * 2017-02-07 2017-05-31 中国科学技术大学 室内可见光通信定位网络构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0112B2 (en) 2015-08-14 2017-08-29 Cree, Inc. Lighting fixture sensor network
EP3229037B1 (en) * 2016-04-08 2020-07-01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positioning
KR102345964B1 (ko) 2016-04-08 2022-01-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b 기반 조명기기 시험 장치 및 방법
US10129698B2 (en) 2016-07-14 2018-11-13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Internal location address and automatic routing of intra-facility movement
CN107071991A (zh) * 2016-12-13 2017-08-18 广州市浩洋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舞台灯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8519088A (zh) * 2018-03-05 2018-09-11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人工神经网络的可见光视觉定位方法
CN109089212B (zh) * 2018-09-05 2023-07-18 华南理工大学 基于多层感知机的室内三维可见光指纹定位方法及其系统
CN110601760A (zh) * 2019-08-20 2019-12-20 深圳第三代半导体研究院 一种基于可见光通信的室内定位系统及定位方法
CN112164113B (zh) * 2020-09-17 2022-02-25 北京邮电大学 一种室内定位中新颖的可见光通信辅助的透视四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1659B2 (en) * 2000-07-12 2005-11-01 Ricoh Company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remote position reporting device
WO2007094708A1 (en) * 2006-02-15 2007-08-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curacy assessment in assisted gps positioning
US20090164174A1 (en) * 2007-12-21 2009-06-25 James Bears Solar system automatic sizing and failure identification on location using resident gps receiver
KR100957537B1 (ko) 2008-02-21 2010-05-11 주식회사 에치에프알 음영 지역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를위한 시스템, 조명기구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18673B1 (ko) 2009-01-14 2012-03-06 주식회사 아이디폰 실내 항법시스템
KR20120064543A (ko) 2010-12-09 2012-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명 지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8730A (zh) * 2017-02-07 2017-05-31 中国科学技术大学 室内可见光通信定位网络构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0322A1 (en) 2015-08-13
US9609726B2 (en)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369A (ko) 조명제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실내 위치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EP3048747B1 (en) Positioning method based on visible light source, mobile terminal and controller
KR101878712B1 (ko) 가시광 통신과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 확인 장치 및 방법
US20140062774A1 (en) Performing seamless positioning using various location techniques
AU2013254834B2 (en) Road and path lighting system
US10425220B2 (en)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ynchronization sig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4176173A1 (en) Real-time locating system using gps time difference of arrival with digital off-air access units and remote units
US9476984B2 (en) Feedback based indoor localization using digital off-air access units
US20060241816A1 (en) Lamp provided with communications network element
JP2009250932A5 (ko)
MX2013004987A (es) Sistema y metodo para estimar una ubicacion en interiores, usando un dipositivo generador de señal satelital.
JP2006220465A (ja) 位置特定システム
US20180329068A1 (en) Indoor trilateralization using digital off-air access units
JP2012172912A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41507A1 (en) Position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CN104703274B (zh) 一种带内伪卫星无线定位方法、系统及装置
CN104837284B (zh) 航空障碍灯的无线同步控制系统及方法
BR112022002573A2 (pt) Dispositivo de recepção, dispositivo de transmissão, método de recepção e método de transmissão
JP4259497B2 (ja) サイトダイバーシティ運用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892194A (zh) 一种无线移动同播系统及同步方法和同步设备
KR20150026619A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등록 방법
KR20100021325A (ko) 지피에스 생성기를 활용한 실내 네비게이션 구현방법
JP200917751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及び、可視光通信端末装置
Marin-Garcia et al. Indoor location technique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nd ultrasound emitters
US20210120516A1 (en) Control system, control program, control method, and transmitter used i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