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084A -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084A
KR20150095084A KR1020140016166A KR20140016166A KR20150095084A KR 20150095084 A KR20150095084 A KR 20150095084A KR 1020140016166 A KR1020140016166 A KR 1020140016166A KR 20140016166 A KR20140016166 A KR 20140016166A KR 20150095084 A KR20150095084 A KR 20150095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external
period
transmission time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56663B1 (en
Inventor
조운선
박재규
김승연
박인순
고경세
오승석
이형주
최준수
곽동혁
곽준호
이광복
최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16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663B1/en
Publication of KR20150095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0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6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a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eviously measures the beacon period of another access point when access points are located in an overlapped communication region and can change beacon period to transmit a beacon to a period for avoiding it. An access point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n external beacon period to the external beacon when the externa beacon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beacon, and transmits a beacon to a transmission time by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time which is overlapped with the external beacon period.

Description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beacon transmission time,

본 발명은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송시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첩되는 통신영역에 복수의 액세스포인트가 위치하는 경우 다른 액세스포인트의 비컨 주기를 미리 측정하고, 이를 회피하는 주기에 비컨을 송신하도록 비컨 전송주기의 변경이 가능한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a beacon transmission time point and a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access point. More particularly, when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re located in an overlapping communication area, beacon periods of other access points are measured in advance, To a beacon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capable of changing a beacon transmission period so as to transmit a beacon in a period, and a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랜은 사용의 편리성으로 인해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사용에 필수적인 요소로 이용되고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와이파이는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무선 통신채널을 제공하며, 이를 위한 액세스 터미널 또는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 AC)가 필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Wireless LANs such as WiFi are increasingly used due to their ease of use and are being us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use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smart pads, and notebooks. As is known, Wi-Fi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an access terminal or an access point (AC) is constituted as an essential component.

액세스포인트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여, 자신의 통신 영역에 진입한 모바일기기 또는 무선기기(이하에서 "무선기기"라 통칭하기로 함)의 진입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무선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액세스포인트는 통상 무선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영역에서는 무선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자신은 유선에 의해 상위 장치들과 연결되어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위 장치에 전달하고, 상위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무선기기에 전달하게 된다.The access point plays a rol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firms entry of a mobile device or a wireless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reless device") enterin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access point, It exchanges data with the device. To this end, the access point typically performs communication by radio in an area where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wireless device. The access point itself is connected to the host devices by the wire, transfers the data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host device, To the wireless device.

이러한 액세스포인트는 통상 10m 또는 100m와 같이 제한된 통신반경을 갖는다. 그러나 액세스포인트에 의한 통신반경은 벽, 구조물, 철골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제한받는 경우가 많고 건물의 층이 달라지면 통신을 할 수 없는 등의 제한이 있다. 또한, 액세스포인트는 무선 통신채널의 형성을 위한 주파수 또는 주파수 대역이 하나 또는 한정된 범위로 제공되기 때문에 동시 접속자가 많은 경우 효율적인 이용이 다소 곤란해진다.These access points typically have a limited communication radius, such as 10m or 100m. However, the radius of the communication by the access point is often restricted by obstacles such as walls, structures, and steel frames,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communication can not be performed when the floor of the building is changed. In addition, since the access point is provided with a frequency or a frequency band for 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in one or a limited range, it is somewhat difficult to use the access point efficiently when there are many simultaneous users.

때문에 넓은 범위의 공간에 무선 통신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장애물등에 의해 통신 반경이 좁아지는 경우, 동일한 공간 내에 통신채널을 이용하는 복수의 무선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와 같이 무선환경이 열악한 경우 복수의 액세스포인트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Therefore, when wireless communication is provided in a wide range of space, when a communication radius is narrowed due to an obstacle or the like, and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u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 the same space, And the like.

그러나, 허용된 아이에스엠 주파수 대역의 크기가 한정적이고, 한정적 공간에 통신사업자 개인사용자 등의 필요로 다수의 액세스포인트가 운용되어, 복수의 액세스포인트가 동일한 공간에 겹치는 주파수 대역으로 중첩되는 통신반경에 배치됨으로 인해 기대와는 달리 통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스포인트는 주기적으로 자신의 통신반경에 비컨을 송신하고 비컨을 통해 진입한 단말의 확인 및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슬립 모드의 무선기기에 대해 알리는 등 접속한 단말의 관리를 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allowed ISM frequency band is limited and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re operated in a limited space in need of a personal user of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and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overlap a frequency band overlapping with the same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is lowered unexpectedly due to the arrangement. Specifically, the access point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to its own communication radius, notifies the sleep mode wireless device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and confirmed by the beacon, and manages the connected terminal.

하지만, 단일 주파수 또는 단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복수의 액세스포인트가 유사한 시간 단위로 비컨을 송신함으로 인해 비컨의 충돌(Collision) 및 과도한 네트워크 점유에 따른 실제 전송 시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비컨은 매우 중요한 메시지이나 브로트캐스트 메시지의 성격상 충돌 여부를 파악하기 힘들며, 특히 액세스포인트의 밀집에 따라 비컨이 전체 네트워크의 전송 용량 대부분을 차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using a single frequency or a single frequency band transmit beacons in a similar time unit, collision of beacons and actual transmission time due to excessive network occupation are insufficient. Such a beacon is difficult to grasp the nature of a very important message or a broadcast message. In particular, beacon occupies most of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the entire network due to dense access poin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첩되는 통신영역에 복수의 액세스포인트가 위치하는 경우 다른 액세스포인트의 비컨 주기를 미리 측정하고, 이를 회피하는 주기에 비컨을 송신하도록 비컨 전송주기의 변경이 가능한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 beacon period of a different access point in advance when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re located in an overlapping communication area, And a method of managing a transmission time using the access poi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는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의 외부 비컨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비컨에 대한 외부비컨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외부비컨주기와 중첩되지 않는 송신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송신시점에 비컨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a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n external beacon period for the external beacon when an external beacon from an external access point is received, Calculates a transmission time point and transmits the beacon at the transmission time point.

상기 비컨은 전송 트래픽 표시 메시지(DT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eacon includes a transmission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상기 송신시점은 상기 외부비컨주기에서 외부비컨 수신시점 간의 간격이 가장 긴 기간에 상기 비컨이 발송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ransmission time is determined so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in a period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external beacon reception time points is the longest in the external beacon period.

상기 외부비컨은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xternal beacon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상기 송시시점은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각각의 상기 외부비콘이 모두 수신된 1주기 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transmission time point is determined within one period in which all the external beac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re received.

상기 송신시점 간의 간격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ransmission timings is variable.

상기 송신시점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송신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time is a transmission period having a constant period.

상기 외부비컨은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는 나머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external beacon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nd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is different from a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the remaining access point .

상기 외부비컨주기는 상기 외부비컨 중 가장 긴 주기를 가지는 상기 외부비컨의 한 주기 길이에 대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xternal beacon period is calculated for one cycle length of the external beacon having the longest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s.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의 트래픽정보를 전달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rnal access poin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epeaters for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상기 송신시점은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의 상기 외부비컨 발송시점 사이에 상기 비컨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특징으로 한다.And the transmission time is determined such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external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the external access point in which traffic is relatively small among a plurality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은 액세스포인트가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의 외부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 비컨에 대한 외부비컨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비컨주기와 중첩되지 않는 송신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송시시점에 비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using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a beacon transmission time point, including: receiving an external beacon from an external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calculating an external beacon period for the external beacon; Calculating a transmission time at which the access point does not overlap the external beacon period; And transmitting the beacon at the transmitting time point by the access point.

상기 비컨은 전송 트래픽 표시 메시지(DT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beacon includes a transmission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상기 송신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비컨주기에서 상기 외부비컨 수신시점 간의 간격이 가장 긴 기간에 상기 비컨이 발송되도록 상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alculating of the transmission time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so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in a period in which the access point has a longest interval between the external beacon reception times in the external beacon period.

상기 외부비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비컨이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tep of receiving the external beacon includes receiving the external beacon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to the access point.

상기 송신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각각의 상기 외부비콘이 모두 수신된 1주기 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culating of the transmission time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point is determined within one period in which all of the external beac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re received.

상기 송신시점 간의 간격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ransmission timings is variable.

상기 송신시점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송신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time is a transmission period having a constant period.

상기 외부 비컨 수신단계는 상기 외부비컨이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는 나머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external beacon receiving step includes receiving the external beacon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nd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nd has a period different from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o be transmitted.

상기 외부 비컨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비컨 중 가장 긴 주기를 가지는 상기 외부비컨의 한 주기 길이에 대해 상기 외부 비컨주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alculating the external beacon peri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point calculates the external beacon period with respect to one cycle length of the external beacon having the longest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s.

상기 외부 비컨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중계기가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각각의 트래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정보를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external beacon period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nd transmitting the traffic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상기 송신시점 결정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는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의 상기 외부비컨 발송시점 사이에 상기 비컨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ess poin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point so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external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the external access point hav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traffic among a plurality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및 이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은 중첩되는 통신영역에 복수의 액세스포인트가 위치하는 경우 다른 액세스포인트의 비컨 주기를 미리 측정하고, 이를 회피하는 주기에 비컨을 송신하도록 비컨 전송주기를 변경하여 전송함으로써 비컨 송신에 따른 충돌 및 충돌에 의한 재전송, 이로 인한 액세스포인트의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can measure beacon periods of other access points in advance when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re located in an overlapping communication area, The beacon transmission period is changed and transmitted so as to prevent retransmission due to collision and collision due to beacon transmission and thus waste of resources of the access poi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의 설명을 위한 와이파이망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
도 2는 비컨신호의 중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외부 비컨주기가 동일한 경우의 주기 스펙트럼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외부 비컨주기가 액세스포인트별로 상이한 경우의 주기 스펙트럼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중계기를 구비하는 와이파이망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6은 트래픽을 고려한 송신시점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비컨주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Fi network for explaining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uperposition of beacon signals;
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eriodic spectrum when the external beacon periods are the same;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eriodic spectrum when an external beacon period differs from one access point to another.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Fi network having a repeater.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eacon period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a transmission time point in consideration of traffic;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using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양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이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in other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And certain features shown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not limiting, or reduced, or simplified, and the drawings and elements thereof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se detail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의 설명을 위한 와이파이망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예시도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Fi network for explaining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액세스포인트(20 : 20a, 20b, 20c, 20d)는 상위 장치(10 : 10a, 10b)와 영역 내의 무선 단말(30)을 중계하는 무선 통신 영역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포인트(2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위장치(10)와 연결된다.1, an access point 20 (20a, 20b, 20c, 20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area for relaying a wireless terminal 30 within an area with an upper apparatus 10 (10a, 10b) . For this, the access point 20 may be configured as one or more and connected to the parent device 10 as shown.

상위장치(10)는 액세스포인트(20)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단말(30)에 대해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들이며, 상위장치(10)는 복수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위장치(10)는 ePDG(11 : 11a, 11b), DHCP(12 : 12a, 12b), 게이트웨이(13 : 13a, 13b)와 같은 장치들일 수 있다. ePDG(11, Enhanced Packet Datagateway)는 액세스포인트(20) 및 액세스포인트(20)를 통해 연결되는 무선담라(30)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 가능해지도록 와이파이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과 인증을 수행한다. DHCP(12,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는 액세스포인트(20) 또는 액세스포인트(20)를 통해 접속되는 무선단말(30)에 대해 동적 IP(Internet Protocol)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13, Gateway)는 무선단말(30)과 액세스포인트(20) 및 상위장치(10)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위장치(10)는 일부 예를 제시한 것으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The host device 10 is a device that provides data communication such as the Internet to the wireless terminal 30 connected through the access point 20, and the host device 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groups. For example, the host device 10 may be an ePDG 11 (11a, 11b), a DHCP 12 (12a, 12b), a gateway 13 (13a, 13b). The Enhanced Packet Datagram (ePDG) 11 performs security and authentication for the Wi-Fi network so that the wireless network 30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20 and the access point 20 can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server 12 provides a dynamic IP (Internet Protocol) to the wireless terminal 30 connected through the access point 20 or the access point 20. The gateway 13 serves to connect a network formed by the wireless terminal 30, the access point 20 and the host device 10 to another network. Here, the host device 10 is shown as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무선단말(30)은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노트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각종 무선 통신 단말을 의미한다. 이 무선단말(30)은 액세스포인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무선 통신 영역에 진입하여 액세스포인트(2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단말(30)은 액세스포인트(20)로부터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비컨신호를 수신하여 접근가능한 액세스포인트(20)의 유무, 위치등을 확인하게 된다.The wireless terminal 30 is a smart phone, a smart pad, a mobile phon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 notebook,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The wireless terminal 30 enters a wireless communication area formed by the access point 2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access point 20,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The wireless terminal 30 receives the beacon signal broadcasted periodically from the access point 20 and confirms the presence, the location, and the like of the accessible access point 20. [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 AP : 20)는 무선단말(30)과 상위장치(10)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액세스포인트(20)는 무선단말(30)과 무선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반경을 가지며,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진입 또는 위치하는 무선단말(30)과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단말(30)이 데이터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액세스포인트(20)는 자기의 무선 통신 반경 내에 주기적으로 비컨(beacon) 신호를 송출한다. 이 비컨 신호는 액세스포인트(20)의 존재를 무선단말(30)에 알림과 아울러, 통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방송된다. 무선단말(30)은 이 비컨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접근 가능한 액세스포인트(20)를 확인하고, 비컨 신호의 내용에 의해 액세스포인트(20)에 접근하게 된다. 특히, 이 비컨 신호에는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가 포함된다. DTIM은 특정 무선단말(30)에 대해 전달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액세스포인트(20)는 지정된 대역 또는 단일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단말(30)과 통신을 수행하게 되고, 지정 주파수(이하에서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는 의미로 통칭하기로 한다.)를 통해 비컨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An access point (AP) 20 plays a role of relaying the wireless terminal 30 and the upper apparatus 10. For this purpose, the access point 20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 that has a wireless communication radius capable of 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 and enters or positions with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radius, 30) can use the data communication. The access point 20 periodically transmits a beacon signal within its radio communication radius. This beacon signal is broadcast to notify the wireless terminal 30 of the presence of the access point 20, as well as to provide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The wireless terminal 30 confirms the accessible access point 20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beacon signal and accesses the access point 20 by the contents of the beacon signal. In particular, the beacon signal includes a 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The DTIM informs the specific wireless terminal 30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The access point 20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 using a designated band or a single frequency, and transmits the beacon signal through a designated frequenc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equency band). .

특히, 본 발명의 액세스포인트(20)는 인접한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 간의 비컨 신호 송신에 따른 충돌(Collision)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의 비컨신호 전송 주기를 확인하고 충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시점에 비컨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비컨 송신 주기를 결정하는 주체를 하나의 액세스포인트(20a)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나머지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는 이에 대한 외부 액세스포인트로 간주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모든 액세스포인트(20)가 이와 같이 다른 액세스포인트의 비콘신호를 수힌하여 자신의 비컨 전송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ccess point 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access points 20a, 20b, 20c, 20d (or 20a, 20b, 20c, 20d) to prevent collision due to beacon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djacent access points 20a, ) Beacon signal transmission period and transmits the beacon signal at a time when the collision can be minimized.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body for receiving a different beacon signal to determine a beacon transmission perio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access point 20a, and the remaining access points 20b, 20c,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ternal access poin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all the access points 20 can thus determine the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own by accumulating the beacon signal of the other access point.

특히, 액세스포인트(20a)는 자신에게 지정된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한 외부액세스포인트(20b, 20c, 20d)로부터 전달되는 비컨신호를 수신하고,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송신시점을 결정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access point 20a receives the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access points 20b, 20c, and 20d us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frequency assigned to the access point 20a, and determines a transmission time point for avoiding a collision.

이 액세스포인트(20a)는 외부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로부터 송신되는 외부 비컨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비컨주기 또는 비컨 스펙트럼을 산출한다. 그리고, 액세스포인트(20a)는 산출된 비컨주기 또는 비컨 스펙트럼에서 비컨신호간 간격이 가장 긴 기간에 자신의 비컨신호가 송신되도록 송신시점을 결정하거나, 가장 긴 주기의 외부 비컨신호에 대응하여 송신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하기에서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ccess point 20a receives an external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access points 20b, 20c, and 20d, and calculates a beacon period or a beacon spectrum therefrom. Then, the access point 20a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so that the beacon signal of its own is transmitted in the calculated beacon period or the beacon spectrum in the longest interval between the beacon signals, or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비컨신호의 중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superposition of beacon signals.

도 2를 참조하면, 액세스포인트(20)는 무선단말(30)의 수가 많은 곳, 건물에 의한 회절, 차단, 반사와 같이 음영지역이 다수 발생하는 곳 등에는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0)가 설치되어 운영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access point 20 includes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20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wireless terminals 30 exist, where a plurality of shaded areas such as diffraction, blocking, .

이때,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 간의 통신반경(21)이 도 2에서와 같이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반경이 중첩되는 경우 특히,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이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뿐만 아니라 비컨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도 데이터프레임 또는 비컨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주파수를 점유해야만 통신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액세스포인트(20a, 20b, 20c, 20d) 중 어느 하나가 비컨신호 또는 데이터프레임을 전송하는 경우 다른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는 비컨신호 또는 데이터프레임을 전송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야 비컨신호 또는 데이터프레임의 송수신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radius 21 between the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may be overlapped as shown in FIG. If the communication radius is overlapped in this manner, a problem may arise, especially when the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use the same frequency. Specifically, the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using the same frequency need to occupy the frequency during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or the beacon signal, not only for transmission of the data frame but also for transmission of the beacon signal, . That is, when one of the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transmits a beacon signal or a data frame, the other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do not transmit beacon signals or data frames The beacon signal o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the data frame can be performed smoothly.

특히, 비컨신호의 경우 주기적으로 통신반경(21) 내에 전송되게 되며, 이는 각각의 액세스포인트(20)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비컨 주기의 중첩에 따른 충돌은 액세스포인트들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충돌을 야기 시킬 수 있으며, 비컨의 전송실패에 따른 단말의 전송 주기 오류, 슬립모드 단말의 전송 실패 등 해당 액세스포인트에 속한 모든 단말의 전송에 악영향을 미치고, 망전체의 부담을 증가 시키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eacon signal, it is periodically transmit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dius 21, which is performed by each access point 20. Such a collision due to superposition of beacon periods may cause a continuous collision in a situation where the access points have a certain period, and may cause a collision between the access point and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such as a transmission period error of the terminal due to the beacon transmission failure, It adversely affects the transmission of all the terminals to which it belongs and increases the burden on the entire network.

도 2에서와 같이 액세스포인트(20a)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외부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의 통신반경 내에 위치하는 경우 액세스포인트(20a)는 외부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로부터 전달되는 비컨신호를 모두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비컨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 때문에 액세스포인트(20a)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동일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로부터 전송되는 비컨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기록함으로써, 각 외부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들에 대한 비컨 송신주기 또는 모든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의 비컨신호 수신 시점을 순서대로 나열한 스펙트럼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 비컨의 송신(또는 수신주기)나 스펙트럼을 이용하면 자신의 비컨 송신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2, when the access point 20a is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radius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20b, 20c, and 20d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the access point 20a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access points 20b, 20c, And can analyze the beacon signal. Therefore, the access point 20a receives and records all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ccess points 20b, 20c, and 20d using the same frequency band in which a collision may occur, so that each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20b, 20c, and 20d ), Or a beacon signal reception time point of all the access points 20b, 20c, and 20d, in that order. By using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period) or the spectrum of the external beacon, the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time can be determin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 및 도 4는 외부 비컨주기에 따른 비컨 송신 시점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써, 도 3은 외부 비컨주기가 동일한 경우의 주기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외부 비컨주기가 액세스포인트별로 상이한 경우의 주기 스펙트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beacon transmission time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external beacon period. FIG. 3 shows a periodic spectrum when the external beacon periods are the same, and FIG. 4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external beacon period is different for each access point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eriodic spectrum in the case of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 외부 비컨의 수신시점을 표시하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형태와 같아진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시점(A)의 사이에는 비컨신호가 발송되지 않는 시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액세스포인트는 이러한 비컨신호가 발송되지 않는 시간을 찾아 비컨 송신시점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비컨 송신시점에 비컨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액세스포인트(20)가 동일 주파수를 사용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돌을 회피 또는 방지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4, when the reception timing of each external beacon is indicated with the lapse of time, it becomes the same as that shown in FIG. 3 and FIG. As can be seen from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time during which the beacon signal is not transmitted between each time point A. The access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a beacon transmission time by searching for a time when the beacon signal is not sent, and transmits a beacon signal at the determined beacon transmission time point, thereby generating a collision caused by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20 using the same frequency Can be avoided or prevented.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도 3은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의 비컨전송 주기가 동일한 경우에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액세스포인트(20a)가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p9)로부터 수신한 비컨 신호의 수신시점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스펙트럼 형태로 나타내면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more specifically,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transmission time when the beacon transmission periods of the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are the same. When the reception point of the beacon signal received by the access point 20a from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9 is represented in a spectrum form according to the time, it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이때, AP1과 AP2의 사이 AP2와 AP3의 비컨신호 수신시점 사이와 같이 비컨신호의 수신시점 사이에는 비컨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공백기간(B)이 형성된다. 액세스포인트는 이 수신되는 외부비컨 사이에 형성되는 공백기간(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비컨 송신시점으로 이용하게 된다. 일례로 AP3과 AP4 사이에 형성되는 공백기간(B1)이 다른 공백기간에 비해 긴 시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액세스포인트(20a, Target AP)는 공백기간 중 가장 긴 기간을 선택하여 선택된 기간에 자신의 송신시점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더불어, 공백기간(B) 중 비교적 긴 시간을 가지는 공백기간(B)을 여러 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액세스포인트(20a)는 미리 정해진 시간간격 또는 다른 조건을 충족하는 시간간격 이상의 공백기간(B) 중 어느 하나를 임의로 선택하여 송신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a blank period B in which a beacon signal is not received is formed between AP1 and AP2 and between AP2 and AP3 when the beacon signal is received, such as between AP2 and AP3. The access point selects any one of the empty periods (B) formed between the received external beacons and uses it as its beacon transmission point. For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blank period B1 formed between AP3 and AP4 is longer than the other blank periods. In this way, the access point 20a (Target AP) can select the longest period of the blank period and allow its transmission point to be located in the selected peri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a plurality of blank periods (B) having a relatively long time in the blank period (B). 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20a) B may be arbitrarily selected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transmission time may var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이러한 공백기간(B)의 확인을 위해서 액세스포인트(20a)는 외부 액세스포인트 모두에 대한 비컨신호를 최소 1회 즉, 전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P9)의 모든 비컨신호를 수신한 후 공백기간(B)을 판단 및 선택하게 된다.Particularly, in order to confirm such a blank period B, the access point 20a receives all the beacon signals for all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at least once, that is, after receiving all the beacon signals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9, And judges and selects the period (B).

한편, 도 4는 각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9)의 비컨신호 송신주기가 상이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P9)로부터 송신되는 비컨신호는 같은 주기일 수 있으며, 송신시점도 같을 수 있다. 일례로 비컨신호 송신주기가 100ms이고 같은 시점에 100ms의 주기로 대부분의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P9)들이 같은 주파수를 통해 비컨을 송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 3에서와 같은 방법에 의해 액세스포인트(20a)가 자신의 송신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 is an example of an example in which beacon signal transmission periods of the respectiv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9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 3, the beac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9 may have the same period, and the transmission time may be the same. For example, most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9 may transmit beacons at the same frequency with a beacon signal transmission period of 100 ms and a period of 100 ms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access point 20a can determine its own transmission time by the method as shown in FIG.

도 4에서와 같이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P3)의 전부 또는 일부의 비컨 송신주기가 다르게 구성될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로 AP1의 비컨주기가 가장길고, AP2, AP3의 비컨 주기는 상대적으로 짧은 송신주기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는 가장 긴주기를 가지는 액세스포인트(AP1)의 비컨을 1주기 수신한 뒤 외부 액세스포인트(AP1 내지 AP3)들의 비컨 주기와 겹치지 않는 공백기간(B)을 선택하여 송신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beacon transmission period of all or some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3 may be different. As a concrete example, it can be assumed that the beacon period of AP1 is the longest, and the beacon periods of AP2 and AP3 are of relatively short transmission periods. In this case, after one period of the beacon of the access point AP1 having the longest period is received, the transmission time point can be determined by selecting a blank period B which does not overlap with the beacon period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3.

구체적으로 외부 액세스포인트들(AP1 내지 AP3)의 비컨주기가 다른 경우 가장긴 비컨주기의 비컨 신호를 적어도 한 주기 즉, 2회 수신하여 송신시점의 선택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주기가 짧은 비컨신호의 1주기 동안의 시간에 긴 비컨주기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액세스포인트(20a, Target AP)에 의해 선택된 시간이 긴 비컨주기를 가지는 외부 액세스포인트(AP1)의 비컨주기와 충돌될 수 있기 때문이다.Specifically, when the beacon periods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AP1 to AP3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transmission time point by receiving the beacon signal having the longest beacon period at least one cycle, that is, twice. This is because a signal of a long beacon period may not be received at a time during one period of the beacon signal having a short period and an external access point AP1 having a beacon period longer in time selected by the access point 20a Of the beacon period.

즉, 액세스포인트(AP1)는 가장 긴 비컨주기를 가지는 외부액세스포인트(AP1)의 1회 비컨주기 동안 외부비컨을 수신하여 비컨신호 간의 공백기간(B)을 확인하고, 가장 긴 공백기간(B)에 자신의 비컨이 송신되도록 결정하게 된다.That is, the access point AP1 receives the external beacon during one beacon period of the external access point AP1 having the longest beacon period to check the blank period B between the beacon signals, Lt; RTI ID = 0.0 > beacon < / RTI >

그리고, 제안한 비컨 송신시점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송신주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일정한 주기를 가지지 않고 송신시마다 시점이 정해지는 가변 시점일 수도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proposed beacon transmission point may be configured as a transmission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or may be a variable point in time not having a constant period and fixed at each transmiss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이러한 송신시점은 액세스포인트들(20a, 20b, 20c, 20d AP1 내지 AP9)의 트래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액세스포인트(20a, 20b, 20c, 20d, AP1 내지 AP9)에 트래픽이 집중되는 경우 데이터 프레임의 전송으로 인해 주파수 점유, 비컨 전송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송신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the transmission time may be affected by the traffic of the access points 20a, 20b, 20c, and 20d AP1 to AP9. Specifically, when traffic is concentrated on specific access points 20a, 20b, 20c, 20d, AP1 to AP9, frequency occupation and beacon transmission delay may occur due to transmission of data frames. Therefore, the transmission tim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is. A specific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s. 5 and 6. Fig.

도 5 및 도 6은는 트래픽을 고려한 송신시점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써, 도 5는 중계기를 구비하는 와이파이망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고, 도 6은 트래픽을 고려한 송신시점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한 비컨주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termination of a transmission time in consideration of traffic.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Fi network having a repeater, and FIG.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beacon cycle for explanation.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를 포함하는 와이파이망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트래픽 정보를 액세스포인트(120 : 120a, 120b, 120c, 120d)로부터 수집하여 필요로 하는 액세스포인트(120)에 전달하기 위한 중계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의해 제2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5 and 6, a Wi-Fi network including a repeater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from the access points 120 (120a, 120b, 120c, and 120d) in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And a repeater 150 for delivering the signal to the base station. Hereinafter,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nd FIG. 6,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omitted.

중계기(150)는 각 액세스포인트(120)와 통신을 수행하여 액세스포인트(120)에 대한 통신요청 즉, 무선단말(30)에 의한 접속요청, 무선단말(30)과의 통신에 따른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중계기(150)는 수집된 정보를 통해 트래픽이 집중되는 액세스포인트(120)와 집중정도를 트래픽데이터로 작성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액세스포인트(120)에 전달한다.The repeater 150 communicates with each access point 120 to request a communication to the access point 120, that is, a connection request by the wireless terminal 30, Collect information. Then, the repeater 150 generates the traffic data of the access point 120 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of traffic through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traffic data to the access point 120 that requires the traffic data.

액세스포인트(120)는 중계기(150)로부터 트래픽데이터를 전달받고 전술한 도 1 내지 4의 방법에 적용하여 송신시점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별도로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ccess point 120 receives the traffic data from the repeater 150 and applies it to the method of FIGS. 1 to 4 to determine the transmission time poin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separately.

여기서, 중계기(150)는 단순히 트래픽정보를 수집하여 트래픽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를 액세스포인트(120)에 전달하는 중계장치이거나, 액세스포인트(120) 중 어느 하나가 이런 역할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일 수 있다.Here, the repeater 150 may be a relay device that simply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to generate traffic data and transmits the traffic data to the access point 120, or the access point 1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uch a role.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AP1 내지 AP3 중 AP1 및 AP2는 트래픽이 집중되는 액세스포인트를 나타낸 것이다. AP1과 AP2는 트래픽이 집중됨에 따라 비컨을 송신되는 시간이 지연되거나, 비컨 송신간의 시간이 비교적 긴 공백기간(B)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AP1과 AP2, AP2와 다른 비컨신호 수신 시점 사이에 송신시점을 결정하게 되면, AP1 내지 AP2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로 인해 비컨 신호와 데이터가 충돌되어 비컨신호의 전송이 실패 및 지연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P1 and AP2 among AP1 to AP3 denote access points where traffic is concentrated. AP1 and AP2 have delayed beacon transmission time due to concentration of traffic or have a relatively long vacancy period B between beacon transmission. When the transmission time is determined between AP1, AP2, and AP2 and another beacon signal reception time, the beacon signal and data collide due to the data transmitted by AP1 to AP2, so that transmission of the beacon signal can be failed and delayed.

때문에 액세스포인트(120a)는 트래픽데이터를 전달받으며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으로 외부 액세스포인트(120b, 120c, 120d, AP1 내지 AP3)들 중 상대적으로 트래픽 집중이 적은 외부 액세스포인트들로부터 수신되는 비컨신호 또는 비컨주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백기간(Bx)에 자신의 송신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송신시점에 비컨신호를 송신하게 된다.Therefore, the access point 120a receives the beacon signal or the beacon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access points relatively less traffic concentration among the external access points 120b, 120c, 120d, and AP1 to AP3, Determines its own transmission time point in a blank period Bx formed between beacon periods, and transmits a beacon signal at a determined transmission time point.

이를 통해 액세스포인트(120a)는 외부 액세스포인트(120b, 120c, 120d, AP1 내지 AP3)와 무선단말(30) 사이에 교환되는 데이터 또는 비컨신호들과의 충돌을 회피하면서 효율적으로 자신의 비컨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access point 120a can efficiently transmit its own beacon signal while avoiding collision with data or beacon signals exchanged between the external access points 120b, 120c, 120d, AP1 to AP3 and the wireless terminal 30 It becomes possible to transmit i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using an access point capable of managing beacon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시점 관리 방법은 외부 비컨 수신단계(S10), 외부비컨 주기 산출 단계(S20) 및 송신시점 산출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트래픽 데이터 수신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beacon reception step S10, an external beacon period calculation step S20, and a transmission time calculation step S30, S40). ≪ / RTI >

외부 비컨 수신단계(S10)는 액세스포인트(20a, 120a)가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20b, 20c, 20d, 120b, 120c, 120d)로부터 송신되는 외부비컨을 모두 수신하는 단계이다.The external beacon reception step S10 is a step in which the access points 20a and 120a receive all the external beacons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20b, 20c, 20d, 120b, 120c and 120d.

외부비컨 주기 산출 단계(S20)는 액세스포인트(20a, 120a)가 복수의 외부비컨을 이용하여 외부비컨주기 또는 외부비컨의 수신시점 스펙트럼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특히, 이 외부비컨 주기 산출 단계(S20)에서는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계기(150)에 의해 수집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external beacon period calculating step S20 is a step in which the access points 20a and 120a calculate the external beacon period or the reception time spectrum of the external beacon using a plurality of external beacons. Particularly, in the external beacon period calculating step S20, the traffic data collected by the repeater 150 can be received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송신시점 산출단계(S30)는 산출된 외부비컨주기 또는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액세스포인트가 자신의 비컨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이 송신시점 산출단계(S30)에서 액세스포인트(20a, 120a)는 공백기간(B)이 가장 큰 시구간의 어느 한 시점 또는 미리 정해진 조건(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상의 시간 길이를 가지는 공백기간)을 충족하는 여러 공백기간(B) 중 어느 하나의 공백기간에 송신시점이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이때 액세스포인트(20a, 120a)는 트래픽 데이터 수신단계(S40)에서 중계기에 의해 수집 및 전달되는 트래픽 데이터에 따라 트래픽이 적은 외부 액세스포인트(20, 120)의 비컨 송신시점 사이에 자신의 송신시점이 위치하도록 송신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time calculating step S30 is a step in which the access point determines its own beacon transmission time point using the calculated external beacon period or spectrum. In the transmission time calculating step S30, the access points 20a and 120a transmit the transmission data to the mobile station at any one time point or at a predetermined condition (for example, a blank period having a time length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transmission time point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blank periods B that satisfy. Particularly, the access points 20a and 120a transmit the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time between the beacon transmission points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20 and 120 having low traffic according to the traffic data col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repeater in the traffic data reception step S40 Can be determined.

트래픽 데이터 수신단계(S40)는 중계기가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20, 120)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여 각 액세스포인트(20, 120)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를 액세스포인트(20a, 120a)에 전달하는 단계이다.The traffic data reception step S40 is a step in which the repeater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20 and 120 to create traffic data for each of the access points 20 and 120 and transmits the traffic data to the access points 20a and 120a .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상위장치
11 : EPDG
12 : DHCP
13 : GW
20, 120 : 액세스포인트
21 : 통신반경
30 : 무선단말
150 : 중계기
10: host device
11: EPDG
12: DHCP
13: GW
20, 120: access point
21: Communication radius
30: wireless terminal
150: Repeater

Claims (22)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의 외부 비컨이 수신되면, 상기 외부 비컨에 대한 외부비컨주기를 산출하고, 상기 외부비컨주기와 중첩되지 않는 송신시점을 산출하여 상기 송신시점에 비컨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And when the external beacon from the external access point is received, calculates an external beacon period for the external beacon, calculates a transmission time not overlapping with the external beacon period, and transmits the beacon at the transmission time point Point-of-access-capable access poi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은 전송 트래픽 표시 메시지(DT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con includes a transmission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은
상기 외부비컨주기에서 외부비컨 수신시점 간의 간격이 가장 긴 기간에 상기 비컨이 발송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mission time
And the beacon is determined to be transmitted in a period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external beacon reception points in the external beacon period is the longes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비컨은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external beacon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은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각각의 상기 외부비콘이 모두 수신된 1주기 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ransmission time
Wherein the external beac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is determined within one cycle in which all of the external beacons are receiv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 간의 간격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n interval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s is variab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송신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ssion time is a transmission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비컨은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는 나머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ernal beacon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Wherein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is different from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the other access points. poin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비컨주기는 상기 외부비컨 중 가장 긴 주기를 가지는 상기 외부비컨의 한 주기 길이에 대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xternal beacon period is calculated for one period length of the external beacon having the longest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는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의 트래픽정보를 전달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ternal access point comprises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Further comprising: a repeater for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은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의 상기 외부비컨 발송시점 사이에 상기 비컨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ransmission time
Wherein the beacon transmission time point is determined such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external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the external access point in which traffic is relatively small among a plurality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액세스포인트가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의 외부 비컨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 비컨에 대한 외부비컨주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비컨주기와 중첩되지 않는 송신시점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송시시점에 비컨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Receiving an external beacon from an external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calculating an external beacon period for the external beacon;
Calculating a transmission time at which the access point does not overlap the external beacon period; And
And transmitting the beacon at the time of transmission of the beacon from the access poi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컨은 전송 트래픽 표시 메시지(DTI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eacon includes a transmission traffic indication message (DTIM).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비컨주기에서 상기 외부비컨 수신시점 간의 간격이 가장 긴 기간에 상기 비컨이 발송되도록 상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time
Wherein the beacon transmission tim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point so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in a period in which the access point has a longest interval between the external beacon reception time points in the external beacon period.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비컨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비컨이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receiving the external beacon
And the external beacon is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at the access poin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각각의 상기 외부비콘이 모두 수신된 1주기 내에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tep of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time
Wherein the access point is determined within one cycle of the reception of all of the external beac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 간의 간격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ransmission time points is variabl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은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송신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transmission time is a transmission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perio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컨 수신단계는
상기 외부비컨이 복수의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는 나머지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외부비컨의 주기와 다른 주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xternal beacon receiving step
Wherein the external beacon i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Wherein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external access points is different from the period of the external beacon transmitted from the other access point. A method for managing transmission time using a point.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컨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상기 외부비컨 중 가장 긴 주기를 가지는 상기 외부비컨의 한 주기 길이에 대해 상기 외부 비컨주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xternal beacon period
Wherein the access point calculates the external beacon period for one cycle length of the external beacon having the longest period among the external beacon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비컨주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중계기가 복수로 구성되는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각각의 트래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정보를 상기 액세스포인트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calculating the external beacon period
Collecting traffic information of each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having a plurality of repeaters; and
And transmitting the traffic information to the access point.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eacon transmission time management method comprises: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시점 결정단계는
상기 액세스포인트는 복수의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 중 트래픽이 상대적으로 적은 상기 외부 액세스포인트의 상기 외부비컨 발송시점 사이에 상기 비컨이 송신되도록 상기 송신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컨 전송 시점 관리가 가능한 액세스포인트액세스포인트한 전송 시점 관리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transmitting time determining step
Wherein the access point determines the transmission time point so that the beac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external beacon transmission point of the external access point in which traffic is relatively small among a plurality of the external access points Point Access Point A method of managing one transmission point.
KR1020140016166A 2014-02-12 2014-02-12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566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166A KR101556663B1 (en) 2014-02-12 2014-02-12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166A KR101556663B1 (en) 2014-02-12 2014-02-12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084A true KR20150095084A (en) 2015-08-20
KR101556663B1 KR101556663B1 (en) 2015-10-02

Family

ID=5405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166A KR101556663B1 (en) 2014-02-12 2014-02-12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66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30B1 (en) * 2015-09-21 2017-01-02 국방과학연구소 A ground control equipment for tracking a pilotless aircraft and method thereof
CN113966632A (en) * 2019-04-12 2022-01-21 昕诺飞控股有限公司 Wireless mesh network system
US11582772B2 (en) 2019-08-23 2023-02-1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Advanced dual band virtual concurrent for WiFi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30B1 (en) * 2015-09-21 2017-01-02 국방과학연구소 A ground control equipment for tracking a pilotless aircraft and method thereof
CN113966632A (en) * 2019-04-12 2022-01-21 昕诺飞控股有限公司 Wireless mesh network system
US11582772B2 (en) 2019-08-23 2023-02-1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Advanced dual band virtual concurrent for WiF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663B1 (en)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39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 optimum communication route in a wireless network
TWI507069B (en) Resource management method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9247394B2 (en) Using neighboring access points to provide client device location data
US20170367029A1 (en) Dynamically-Selectable Multi-Modal Modulation in Wireless Multihop Networks
CN103209492B (en) A kind of radio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communication equipment
EP3298710B1 (en) Low power sensor node operation for wireless network
US9854565B2 (en)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s for transmitting beacon frames
WO2017005047A1 (en) Spectrum sharing method and device
US9693270B2 (e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3026774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with collision avoidance protocol
KR101861522B1 (en) Wireless Backhaul Apparatus using Mobile TVWS for Bus Communication Network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100278117A1 (en) Wireless channel switching using co-located radios
EP2445277A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JP2015188207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data relay method
TW201739297A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82375A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JP6008730B2 (en) Gatewa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565455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556663B1 (en) AP To control Beacon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Time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14143A (en) A system for connecting a beacon device and a gateway device
Choi et al. Blend: BLE beacon-aided fast wifi handoff for smartphones
KR102079553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of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CN107027182B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40071966A1 (en) Wireless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17041B2 (en) Method for discovering radio access technology b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 access syste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