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865A -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865A
KR20150094865A KR1020140015417A KR20140015417A KR20150094865A KR 20150094865 A KR20150094865 A KR 20150094865A KR 1020140015417 A KR1020140015417 A KR 1020140015417A KR 20140015417 A KR20140015417 A KR 20140015417A KR 20150094865 A KR20150094865 A KR 2015009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nel
absorbing
signal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원근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865A/en
Publication of KR2015009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nce frequency-changeable sound-absorbing device and a nois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onance frequency-changeable sound-absorbing device includes a sound-absorbing panel comprising a fixed panel including a number of first sound-absorbing holes and a moving panel including a number of second sound-absorbing holes in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ound-absorbing holes and moving up and down or left or right on the fixed panel; a motor for moving the moving panel; and a control part controlling the motor to adjust an opening rate of the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a degree of overlapping by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ne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ound-absorbing holes in order to control the size of a specific frequency in a preset frequency band and to analyze a noise environment of a space to which the sound-absorbing panel is applied.

Description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및 소음 제어방법{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및 소음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absorbing panel for absorbing noise generated from the outsi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absorbing device with variable resonance frequency and a noise control method.

소음진동 공해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접하는 공해 중의 하나로 심리적, 정신적, 신체적으로 피로와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소음을 제어하기 위한 흡음장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Noise and Vibration Pollut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 pollutants in everyday life, and psychological, mental, and physical stress and fatigue are added to it, so sound absorbing devices for controlling noise are widely used.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음만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 특성화된 흡음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음이 문제되는 경우 해당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 주파수 대역에 특성화된 흡음장치를 복수 개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한정된 공간을 감안할 때 장점보다 단점이 더 많게 된다.In order to reduce only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a sound absorb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e frequency band may be used. However, in case of noise in various frequency bands, it is necessary to use a plurality of sound-absorbing devices, which are characterized in each frequency band, in order to reduce the noise of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한편, 실내에서 발생하는 정재파(standing wave)로 인해 실내에서는 저주파에서 일정 대역이 과도하게 크게 들이는 부밍(booming)이 생기게 된다.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standing wave generated in the room, a certain frequency band is excessively increased in the room.

이러한 저주파의 흡음에는 헬름홀츠(Helmholtz) 공명기의 원리를 이용한 공명기형 흡음재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Resonant sound absorbing materials using the principle of Helmholtz resonator are usefully used for such low frequency sound absorption.

공명기용 흡음재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가 있으며, 실내에서 사용되는 판(panel) 형태의 구조물을 베이스 트랩(bass trap) 이라고 일컫는다. Sound absorbing materials for resonators have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and a panel type structure used in the room is referred to as a bass trap.

베이스 트랩은 스튜디오, 녹음실, 홈 씨어터 등 음향특성이 중요한 실내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Bass traps are used indoors in studios, recording rooms, and home theaters where sound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이러한 베이스 트랩은 크기와 설치 위치 등에 따라 흡음(공명) 주파수가 고정되며 최적의 설치를 위해서는 시행착오를 거쳐야 한다.
These base traps are fixed in frequency depending on the size and installation location, and must be trial and error for optimum install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의 한계와 단점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및 소음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nce frequency tunable sound absorbing device capable of substantially solving various problems caused by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noise.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목적은, 공명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 absorbing apparatus capable of varying the resonance frequency.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목적은, 실내 공명으로 인한 저주파 증폭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공명 주파수를 자동으로 가변하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및 소음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nt frequency variable sound absorbing apparatus and a noise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varying a resonance frequency of a structure so as to vary low frequency amplification due to room resona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는 다수의 제1 흡음공이 형성된 고정패널과, 상기 제1 흡음공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제2 흠음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패널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이동패널로 구성된 흡음패널과;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흡음패널이 적용되는 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특정 주파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흡음공과 상기 제2 흡음공의 겹칩 정도에 따라 상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o this end, the resonant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panel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ound absorbing holes, and a plurality of second sound absorbing hole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sound absorbing holes, A sound absorbing panel composed of a moving panel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 motor for moving the moving panel; And a control unit for analyzing a noise environment of the space to which the sound-absorbing panel is applied and controlling the size of a specific frequency with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by adjusting the degree of overlapping of the first sound-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so as to adjust the aperture ratio of the sound-absorbing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에서, 상기 흡음패널은 상기 이동패널이 상기 고정패널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길이 방향 양측 또는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absorbing panel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panel and the fixed panel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xed panel so that the movable panel can slide upward, And a pair of guide rails and guides formed respectively on the guide rai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음패널이 적용되는 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원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흡음패널이 적용되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원시신호를 포함하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환하는 스펙트럼분석부; 및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소음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가 강조되는 경우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켜 상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상기 모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resonant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aw signal for analyzing a noise environment of a space to which the sound absorbing panel is applied; A signal detecting unit installed in the room to which the sound-absorbing panel is applied and detecting a noise signal generated in the room including the raw signal; A spectrum analyzer for frequency-converting the nois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or;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so as to adjust the aperture ratio of the sound-absorbing panel by moving the mobile panel when a specific frequency is emphasized from the frequency-converted noise signal by the spectrum analyz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에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흡음패널의 공진주파수가 상기 소음신호의 최대 피크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the resonant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sound absorbing panel matches the maximum peak frequency of the noise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방법은 실내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원시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원시신호를 포함하는 소음신호를 검출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소음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제3 과정과; 공진 현상이 관찰되는 저주파 대역에서 피크와 딥을 검출한 다음 피크와 딥 간의 편차 조정이 필요한가를 판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 없다고 판별되는 경우 소음 제어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제4 과정에서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별되는 경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oise control method including: a first step of outputting a raw signal for analyzing a noise environment of a room; A second step of detecting a noise signal including the raw signal; A third step of frequency-converting the noise signal; A fourth step of detecting a peak and a dip in a low frequency band in which a resonance phenomenon is observed, and then determining whether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needs to be adjus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is not necessary in the fourth step, the noise control process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in the fourth process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needs to be adjusted, And a fifth step of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방법은, 상기 제 4 과정에서 최대 피크(p1)와 최소 딥(d1)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거나 피크와 딥 차이의 평균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별할 수 있다. In the nois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eak (p 1 ) and the minimum dip (d 1 )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et value or the average value of the peak-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dip and the dip is necessar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방법은, 상기 제5 과정 후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 없다고 판별될 때까지 상기 제1 과정 내지 상기 제5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The nois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eat the first to fifth steps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dip is not needed after the fifth step.

본 발명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및 소음 제어방법에 의하면, 흡음패널의 공진 주파수가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최대 피크 주파수와 일치되도록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가변시킴으로써 실내에서 발생하는 정재파로 인해 저주파에서 일정대역이 과도하게 크게 들리는 부밍(booming) 소음을 제어하며,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형상 변경이나 흡음장치의 위치 변경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resonant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and the nois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hanging the opening ratio of the sound absorbing panel so that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sound absorbing panel matches the maximum peak frequency of the space to which the resonant frequency variable sound absorbing apparatus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changing the shape of the space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device is applied 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ound absorb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onant frequency variable sound absorb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is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operator, or the precedent.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패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5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sound-absorbing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1)는 흡음패널(100)과, 모터(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1,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ound absorbing panel 100, a motor 200, and a control unit 300. As shown in FIG.

상기 흡음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패널(110)과 이동패널(120)로 구성되며, 고정패널(110)과 이동패널(120) 간의 개구 정도(개구율)에 따라 흡음패널(100)의 공명주파수를 가변시킨다. 2, the sound-absorbing panel 100 is composed of a fixed panel 110 and a movable panel 120. The sound-absorbing panel 100 is divided into a sound-absorbing panel 100 and a movable panel 120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aperture ratio) (100).

상기 고정패널(110)과 이동패널(120) 각각은 다수의 구멍(흡음공)(112, 122)이 뚫려있는 천공판으로서, 이동패널(120)이 고정패널(110)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Each of the fixed panel 110 and the movable panel 120 is a perforated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sound absorbing holes) 112 and 122 are formed and the movable panel 120 slide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fixed panel 110 .

이때, 이동패널(120)의 이동 정도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패널(100)의 개구율이 달라진다. At this time, the aperture ratio of the sound-absorbing panel 100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movable panel 120, as shown in FIG.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패널(120)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 즉, 고정패널(110)과 이동패널(120)이 완전히 포개어지는 경우 제1 흡음공(112)과 제2 흡음공(122)이 완전히 겹쳐져 개구(H)의 크기가 가장 크게 되며, 따라서 개구율이 가장 높다. When the movable panel 120 does not move, that is, when the fixed panel 110 and the movable panel 120 are completely overlapped as shown in FIG. 3 (a), the first sound absorbing hole 112 and the second The sound absorbing holes 122 are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size of the opening H is the largest, and therefore the opening ratio is the highest.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패널(120)이 고정패널 위쪽으로 조금 이동하는 경우, 제1 흠음공(112)과 제2 흡음공(122)이 일부 겹쳐져 도 3의 (a)에 비해 개구(H)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며 따라서 개구율도 낮아지게 된다. As shown in FIG. 3 (b), when the movable panel 120 moves a littl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panel, the first sound-deadening sound hole 112 and the second sound-absorbing hole 122 are partially overlapped, The size of the opening H becomes smaller, and the opening ratio becomes lower.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패널(120)이 고정패널 위쪽으로 더 이동하는 경우, 제1 흡음공(112)과 제2 흡음공(122)이 전혀 겹치지 않고 이에 따라 개구(H)가 형성되지 않으며 개구율은 0가 된다. 3 (c), when the mobile panel 120 moves further to the upper side of the fixed panel, the first sound absorbing hole 112 and the second sound absorbing hole 122 do not overlap at all, ) Is not formed and the opening ratio becomes zero.

한편, 상기 흡음공(112, 122)이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나, 흡음공의 형상, 크기는 적용 공간의 크기, 적용 주파수 대역 등에 따라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hape and size of the sound-absorbing holes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pplied space, the applied frequency band, and the like, while the sound-absorbing holes 112 and 122 are implemented as a rectangular shape.

흡음공(112, 122)을 본 실시예와 같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할 경우 원형에 비해 편차가 적어 개구율 조정이 용이하다.When the sound absorbing balls 112 and 122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rectangl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riation of the opening ratio is easy because the variation is smaller than the circular shape.

또한, 상기 흡음패널(100)은 이동패널(120)이 고정패널(110)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양측 또는 폭 방향 양측에 가이드 레일(130)과 가이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The sound-absorbing panel 100 may include a guide rail 130 and a guide (not show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panel 120 can slid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fixed panel 110 .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2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패널(12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Referring to FIG. 2 again, the motor 200 provides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mobile panel 120 up or down or left or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0.

상기 제어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발생부(310), 신호검출부(320), 스펙트럼분석부(330) 및 제어신호발생부(340)를 포함하며, 흡음패널(100)이 적용되는 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특정 주파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흡음공과 상기 제2 흡음공의 겹칩 정도에 따라 상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3, the control unit 300 includes a signal generating unit 310, a signal detecting unit 320, a spectrum analyzing unit 330,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340, The sound absorption pan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 sound absorption panel having a first sound absorption hole and a second sound absorption hole, And controls driving of the motor to adjust the aperture ratio.

상기 신호발생부(310)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실내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원시신호를 생성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음향신호는 백색잡음(white noise), 핑크잡음(pink noise) 외에도 스펙트럼 분석 가능한 신호는 모두 가능하다. The signal generating unit 310 generates a raw signal for analyzing the noise environment of the indoor space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is applied and outputs the raw signal through a speaker. Acoustic signals are all white noise, pink noise, and spectrum-capable signals.

상기 신호검출부(320)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실내에 설치되며,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신호를 검출하여 스펙트럼분석부(330)로 입력한다. 이러한 신호검출부(320)로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등이 될 수 있다. The signal detector 320 is installed in the room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 absorption apparatus is applied and detects the noise signal generated in the room and inputs the signal to the spectrum analyzer 330. The signal detector 320 may be, for example, a microphone.

상기 스펙트럼분석부(330)는 신호검출부(320)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신호의 스펙트럼을 분석한다. 스펙트럼분석부(330)는 FFT(Fast Fourier Transforms)변환기를 통해 신호검출부(320)에서 검출된 실내의 소음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환을 실행한다.The spectrum analyzer 330 analyzes a spectrum of a nois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or 320. The spectrum analyzer 330 performs frequency conversion on the noise signal of the room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 320 through an FFT (Fast Fourier Transforms) converter.

상기 제어신호발생부(340)는 스펙트럼분석부(330)에 의해 분석된 실내의 소음신호로부터 조정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특정 주파수가 강조(최대 피크 주파수)되는 경우 모터(2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개구율을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시켜 흡음패널의 공진주파수가 최대 피크 주파수와 일치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34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200 when a specific frequency is emphasized (maximum peak frequency) in the frequency band to be adjusted from the noise signal of the room analyzed by the spectrum analyzer 330 Thereby gradu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perture ratio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ound-absorbing panel matches the maximum peak frequenc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음패널의 공진 주파수가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최대 피크 주파수와 일치되도록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자동으로 가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erture ratio of the sound-absorbing panel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so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ound-absorbing panel matches the maximum peak frequency of the space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device is appli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서 발생하는 정재파로 인해 저주파에서 일정대역이 과도하게 크게 들리는 부밍(booming) 소음을 제어하고,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형상 변경이나 흡음장치의 위치 변경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ntrol a booming noise in which a certain frequency band is excessively heard at a low frequency due to a standing wave generated in a room, to change a shape of a space to which a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device is applied, You can flexibly cope with poetry.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를 이용한 소음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noise control method using the resonant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noise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흡음패널의 고정패널과 이동패널을 초기화한다(S410). 여기서, 초기화는 고정패널과 이동패널의 흡음공이 완전히 포개어져 개구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동패널이 이동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first, a fixed panel and a moving panel of a sound-absorbing panel are initialized (S410). Herein, the initialization means a state in which the sound absorbing holes of the fixed panel and the movable panel are completely overlapped and the openings are all opened, so that the movable panel may not move.

다음으로,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실내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신호발생부에서 원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S420). Next, in order to analyze the noise environment of the indoor space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 absorption apparatus is applied, a signal generator generates and outputs a raw signal (S420).

다음으로, 신호검출부에서 실내의 소음신호를 검출한다(S430). 이때, 소음신호에는 원시신호가 포함되어 있으며, 실내 정재파에 의한 공진현상으로 원시신호의 스펙트럼에 피크와 딥이 발생한다. Next, the signal detection unit detects the noise signal of the room (S430). At this time, the noise signal includes a raw signal, and a peak and a dip occur in the spectrum of the original signal due to the resonance phenomenon caused by the standing wave in the room.

다음으로, 스펙트럼분석부에서 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s) 변환기를 통해 주파수 변환한(S440) 다음 공진 현상이 관찰되는 저주파 대역인 f L ~ f H 에서 피크 레벨과 딥 레벨을 검출한다(S450). 여기서, 저주파 대역f L , f H 는 사용자가 설정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 레벨은 pi(i=1,2,3...n)로 나타내고, 딥 레벨은 di(i=1,2,3...n)로 나타낸다. Next, the peak level and the deep level of the nois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or from the spectrum analyzer in the low frequency band is f L ~ f H is the next resonance frequency conversion (S440) observed through a FFT (Fast Fourier Transforms) converter (S450). Here, the low frequency band f L, f H is a user-set, and the peak level, as shown in Figure 5 is represented by p i (i = 1,2,3 ... n ), deep level d i (i = 1, 2, 3 ... n).

도 5는 신호검출부에서 검출한 실내 소음의 스펙트럼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 p1은 최대 피크 레벨을 나타내고, d1은 최소 딥 레벨을 나타낸다. 5 shows a spectral type of the indoor noise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ng unit, p 1 represents the maximum peak level, and d 1 represents the minimum deep level.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S450 과정에서 피크 레벨과 딥 레벨을 검출한 다음 피크와 딥의 편차가 조정이 필요한 정도인지를 판별한다(S460). 이때, 판별기준은 다음 2가지가 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4, in step S450, a peak level and a deep level are detect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a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is necessary to be adjusted (S460). At this time, the discrimination criteria can be two kinds.

첫째, 최대 피크(p1)와 최소 딥(d1)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 즉, p1 - d1 > T인 경우 또는, First,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eak (p 1 ) and the minimum dip (d 1 ) exceeds the set value, that is, p 1 - d 1 > T or,

둘째, 피크와 딥 차이의 평균값이 설정값 이상 즉, average(p1 - d1) > T인 경우이다. Second, if the average value of the peak and dip difference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that is, average (p 1 - d 1 ) > T.

S460 과정에서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 없다고 판별되는 경우 제어과정을 종료하고,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별되는 경우 제어신호발생부에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모터로 전송한다(S47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60 that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the control process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needs to be adjuste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motor (S470) .

다음으로, 모터에서 제어신호에 따라 이동패널을 이동시켜 개구의 크기를 조절한다(S480). Next, the size of the opening is adjusted by moving the moving pane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from the motor (S480).

S480 과정 후 S420 과정으로 리턴하여 S480 과정까지를 다시 반복하며, 이러한 과정은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된다. After step S480,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20 and repeats the process up to step S480.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내부 공명으로 인한 저주파 증폭을 감소시키도록 흡음장치의 공명주파수를 자동으로 가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ound absorbing device can be automatically changed so as to reduce the low frequency amplification due to the internal resonance of the space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device is applied.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가 적용되는 공간의 형상 변경이나 흡음장치의 위치 변경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change of the shape of the space to which the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type sound absorbing apparatus is applied and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sound absorbing apparatu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not only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equivalents thereto.

1 :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100 : 흡음패널 110 : 고정패널
112, 122 : 흡음공 120 : 이동패널
130 : 가이드레일 200 : 모터
300 : 제어부 310 : 신호발생부
320 : 신호검출부 330 : 스펙트럼분석부
340 : 제어신호발생부
1: Resonant frequency adjustable sound absorbing device
100: sound-absorbing panel 110: fixed panel
112, 122: sound absorbing ball 120: moving panel
130: guide rail 200: motor
300: control unit 310:
320: Signal detector 330: Spectrum analyzer
340: control signal generator

Claims (7)

다수의 제1 흡음공이 형성된 고정패널과, 상기 제1 흡음공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제2 흠음공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패널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이동패널로 구성된 흡음패널과;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키는 모터; 및
상기 흡음패널이 적용되는 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고,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특정 주파수의 크기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이동패널의 이동에 따른 상기 제1 흡음공과 상기 제2 흡음공의 겹칩 정도에 따라 상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A sound absorbing panel comprising a fixed panel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ound absorbing holes and a movable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sound absorbing holes formed at positions facing the first sound absorbing holes and being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fixed panel; ;
A motor for moving the moving panel; And
The sound absorption panel may be configured to analyze the noise environment of the space to which the sound absorption panel is applied and to control the size of a specific frequency within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verlap of the first sound absorption hole and the second sound absorption hol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motor to adjust an aperture ratio of the sound-absorbing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패널은 상기 이동패널이 상기 고정패널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길이 방향 양측 또는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absorbing panel further includes a pair of guide rails and a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able panel and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panel and the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movable panel can slid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on the fixed panel Sound absorbing device with variable resonance frequenc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음패널이 적용되는 공간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원시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흡음패널이 적용되는 실내에 설치되며, 상기 원시신호를 포함하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소음신호에 대해 주파수 변환하는 스펙트럼분석부; 및
상기 스펙트럼분석부에 의해 주파수 변환된 소음신호로부터 특정 주파수가 강조되는 경우 상기 이동패널을 이동시켜 상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상기 모터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raw signal for analyzing a noise environment of the space to which the sound-absorbing panel is applied;
A signal detecting unit installed in the room to which the sound-absorbing panel is applied and detecting a noise signal generated in the room including the raw signal;
A spectrum analyzer for frequency-converting the noise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detector; And
An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to adjust the aperture ratio of the sound-absorbing panel by moving the mobile panel when a specific frequency is emphasized from the frequency-converted noise signal by the spectrum analyzer Resonant frequency adjustable sound absorb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흡음패널의 공진주파수가 상기 소음신호의 최대 피크 주파수와 일치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명주파수 가변형 흡음장치.
4. 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such that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sound-absorbing panel matches the maximum peak frequency of the noise signal.
실내의 소음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원시신호를 출력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원시신호를 포함하는 소음신호를 검출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소음신호를 주파수 변환하는 제3 과정과;
공진 현상이 관찰되는 저주파 대역에서 피크와 딥을 검출한 다음 피크와 딥 간의 편차 조정이 필요한가를 판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 없다고 판별되는 경우 소음 제어 과정을 종료하고, 상기 제4 과정에서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별되는 경우 흡음패널의 개구율을 조정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제어방법.
A first step of outputting a raw signal for analyzing a noise environment of a room;
A second step of detecting a noise signal including the raw signal;
A third step of frequency-converting the noise signal;
A fourth step of detecting a peak and a dip in a low frequency band where a resonance phenomenon is observed, and then determining whether a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needs to be adjus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is not necessary in the fourth step, the noise control process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in the fourth process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needs to be adjusted, And a fifth step of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에서
최대 피크(p1)와 최소 딥(d1)의 차이가 설정값 이상이거나 피크와 딥 차이의 평균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in the fourth step
Wherei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peak (p 1 ) and the minimum dip (d 1 )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or the average value of the peak and dip differe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value.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과정 후
피크와 딥의 편차 조정이 필요 없다고 판별될 때까지 상기 제1 과정 내지 상기 제5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제어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after the fifth step
Wherein the first step to the fifth step are repeat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peak and the dip need not be adjusted.
KR1020140015417A 2014-02-11 2014-02-11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94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17A KR20150094865A (en) 2014-02-11 2014-02-11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417A KR20150094865A (en) 2014-02-11 2014-02-11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65A true KR20150094865A (en) 2015-08-20

Family

ID=5405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417A KR20150094865A (en) 2014-02-11 2014-02-11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865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5033A (en) * 2017-05-23 2019-02-06 Kp Acoustics Ltd Acoustic resonators
KR20200048877A (en) * 2018-10-31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194483B1 (en) * 2019-08-05 2020-12-23 (주)환경에스엔텍 Apparatus for varying the reverberation time
KR20210126883A (en) * 2020-04-13 2021-10-21 정광민 System with remote control for varying the reverberation ti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5033A (en) * 2017-05-23 2019-02-06 Kp Acoustics Ltd Acoustic resonators
GB2565033B (en) * 2017-05-23 2021-12-01 Kp Enview Ltd Acoustic resonators
KR20200048877A (en) * 2018-10-31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194483B1 (en) * 2019-08-05 2020-12-23 (주)환경에스엔텍 Apparatus for varying the reverberation time
KR20210126883A (en) * 2020-04-13 2021-10-21 정광민 System with remote control for varying the reverberation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4865A (en) Resonance frequency variable sound-absorbing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58732B2 (e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US105231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based on an estimated loudness
CN105355213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directional recording
Xiang et al. Study of multi-chamber micro-perforated muffler with adjustable transmission loss
KR100805979B1 (en) The variable portable speaker resonator contrivance a low pitched and high pitched tone
KR101270358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oom noise
Kostek et al. Hybrid noise control in ducts
JP2008517512A (en) Vented speaker box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04555B1 (en) Active type noise attenuation device for transformer
US7249511B2 (en) Method of detecting resonant frequency, method of selecting resonance frequency, and device for detecting resonant frequency sensor
CN109196581A (en) The mute sound field in part forms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1015735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utput
KR20180069338A (en) Variable engine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332260A (en) One-piece signal channel feedback ANC system
CN109774629B (en) Vehicle sound effect automatic adjustment method and system and vehicle
TW201503619A (en) Channel selection method and channel selection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9783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moving noise defects from sound recordings
KR101401157B1 (en) A room equalizer
US10062394B2 (en) Voice band detection and implementation
KR101835070B1 (en) Sound absorbing apparatus with variable vibration plate
US20170353169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205081957U (en) Loudspeaker
US20230396924A1 (en)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n audio signal
KR101331121B1 (en) Automatic compass control app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