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486A -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 Google Patents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486A
KR20150094486A KR1020140101365A KR20140101365A KR20150094486A KR 20150094486 A KR20150094486 A KR 20150094486A KR 1020140101365 A KR1020140101365 A KR 1020140101365A KR 20140101365 A KR20140101365 A KR 20140101365A KR 20150094486 A KR20150094486 A KR 2015009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dhesive layer
guide plate
light guid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5203B1 (ko
Inventor
최연석
김왕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스마트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스마트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스마트엘이디
Priority to KR1020140101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5203B1/ko
Priority to PCT/KR2014/008575 priority patent/WO2016021760A1/ko
Publication of KR2015009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Abstract

상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가 개시된다. 상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는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로부터 굴절된 빛을 전방에 위치되는 투명판류로 확산시키기 위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상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 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상기 점착층에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UNIONS COMPRISING SHEET FOR LIGHT GUIDE PLATE AND RELEASE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백라이트유닛(Back Light Unit, BLU), 더욱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도광판 제작과정에서 투명판류에 부착되어 광원을 상부로 유도하는 도광판용 시트 및 상기 도광판용 시트에 이형장치가 부착된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현대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각종 전기적 신호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표 시장치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소개된 바 있다.
평판표시장치의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성 능을 보유하고 있어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들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동화상 표시에 우수하고 높은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로 인해 노트북, 모니터, 텔레비젼, 휴대용 단말기 등의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소자가 아닌 액정의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 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표시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후면에는 광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이 마련되어 액정패널 전면을 향해 광을 조사 하고, 이를 통해 식별 가능한 조도의 화상이 구현된다. 이 경우 백라이트 유닛에는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으로서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배치되는 구조에 따라 측광방식과 직하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하나 또는 한쌍의 광원이 도광판의 일측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2개 또는 2쌍의 광원이 도광판의 양측부 각 각에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후자인 직하방식은 수개의 광원이 광학시트의 하부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측광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1)은 반사시트(11), 도광판(12), 광원(냉음극형광램프)(15), 확산시트(13) 및 프리즘시트(14)를 포함한다. 확산시트(13)와 프리즘시트(14)는 백라이트 유닛(1)의 구성에 따라 서로 배치되는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1)의 동작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램프(15)로부터 도광판(12)에 입사된 광원은 도광판(12)의 반사 도트(미도시) 및 각 측면에서 반사되어 도광판(12) 전체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된다. 이처럼 도광판(12)은 마치 면광원처럼 작용하게 된다. 도광판(12)으로부터 전방으로 출사된 광원은 확산시트(13)에 입사되어 확산되고, 프 리즘시트(14)의 표면에 형성된 프리즘부(14a)에 의해서 대략 법선방향으로 피크를 나타내는 분포의 광선으로 굴 절된 후 전방의 액정패널(미도시)로 출사된다.
최근들어 액정표시장치는 조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광판의 전면 또는 배면에 프리즘 패턴의 형상을 가 진 도광판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 일례가 도 2에 도시되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백 라이트 유닛(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은 도광판(22)의 표면에 빛 유도 패턴(22a)을 형성하고, 도 광판(22)의 양측부(또는 일측부)에 광원(25)을 설치하며, 도광판(22)의 전면에는 확산시트(23)를 설치하고, 후면에는 반사시트(21)를 설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은 액정표시장치의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프리즘 패턴(빛 유도 패턴)을 도광판에 형성한다. 빛 유도 패턴(22a)은 삼각형(또는 V-자형) 모양의 입체적 패턴으로서 도광판(22)의 전면 또는 후면에 사출성형 방식, 레이저 가공방식 또는 기계 가공방식 등으로 형성하거나, 잉크 젯 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렌즈(microlens)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광판은 보통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표면에 빛 유도 패턴을 레이저 가공방식 또는 기계 가공방식을 이용하여 삼각형 모양의 V자 홈을 형성하거나, 혹은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 하는 경우 작업이 복잡하다.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도광판을 대량 생산하기에는 수율 측면에서 부적합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빛 확산 패턴을 구비한 기존의 도광판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조도 특성을 얻으면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도광판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상기한 도광판용 시트를 백라이트유닛에 부착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기존의 백 라이트 유닛에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된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를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고 백라이트 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도광판용 시트는 조도의 균일성을 위해 폭방향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확신비드의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광판용 시트는 방향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용 시트는 도광판용 시트의 점착력 및 보존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형장치(예컨대,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로써 보관되게 되는데,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 이형필름이 이용될 경우에는 육안으로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광판용 시트를 투명판류에 부착하는 작업의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이형장치를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필요에 따라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밀도가 전체 도광판용 시트 상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도광판용 시트는 방향성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이형장치를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점착측 또는 확산층의 배치(즉, 균일하개 배치된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광판용 시트의 불량률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는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로부터 굴절된 빛을 전방에 위치되는 투명판류로 확산시키기 위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상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 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상기 점착층에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유도된 빛을 상기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는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 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시트를 통해 굴절된 빛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점착층, 투명판류의 후면에 접착되어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유도된 빛을 상기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확산층, 및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층이 형성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 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는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 상기 지지시트로부터 굴절된 빛을 전방에 위치되는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시트 또는 상기 확산층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성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 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 또는 상기 점착층은 0.001mm~30mm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원과 인접한 영역에서는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투명판류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크기가 증가하여 상기 투명판류의 중앙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시트, 상기 확산층 또는 상기 점착층은 백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형장치는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장치는 이형필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형필름은 PET에 불소계 이형제, 실리콘 이형제, 우레탄계 이형제, 또는 아크릴계 이형제가 코팅이 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시트로부터 반사된 빛을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확산비드가 포함된 확산층 또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도광판용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지지시트로부터 반사된 빛을 투명판 류로 안정적으로 확산시켜 상기 투명판류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산비드가 포함된 확산층 또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도광판용 시트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백라이트 유닛에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된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를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고 백라이트유닛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광판용 시트를 투명판류에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하거나 도광판용 시트를 필요한 크기로 절단할 때에 실수를 줄일 수 있고, 도광판 제작을 위한 작업시에 이형장치를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어서 효율적으로 도광판용 시트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광판용 시트가 방향성이 없는 경우라도, 이형장치를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점착측 또는 확산층의 배치(즉, 균일하개 배치된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광판용 시트의 불량률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측광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가 이형장치에 부착될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들 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 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반사시트와 도광판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길이, 폭, 두께)는 이해를 돕고자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그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시트, 점착층과 확산층은 비교적 두껍게 도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반사시트의 지시시트와 도광판이 상호 밀착 되어 부착되는 경우 지지시트와 도광판이 상호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지지시트(31)와, 지지시트(31) 상에 형성된 확산층(32)과, 확산층(32) 상에 형성된 점착층(33)을 포함한다.
지지시트(31)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불투명 합성수지는 백색안료의 배합이나 미세 기포의 분산 등에 의해서 백색을 띄는 합성수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지시트(31)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아세 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 일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지지시트(31)는 그 표면 (단면 또는 양면)에 반사율을 증가시켜 조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기 충전제 또는 무기 충전제를 다량으로 사용한 경질 표면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시트(31)의 두께는 예를 들면 20~300㎛가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시트(31)의 두께가 20㎛ 미만이면 지지시트(31) 자체의 반사율이 부족하여 조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두께가 300㎛를 초과하는 경 우 코팅공정이나 보관 및 시트 공정시 롤 코팅방식(그라비아 코팅 방식) 및 실크스크린(SILK) 인쇄방식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백라이트 유닛의 두께가 증가하여 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지지시트(31)의 백색안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산화규소, 산화아연, 탄산납, 황산바륨, 탄산칼슘, 산화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이중에서도 은폐성 향상효과가 우수한 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백색안료의 평균입경은 0.05㎛~100㎛가 바람직하고, 0.05㎛~15㎛가 가장 바람직하다. 백색안료의 평균입경이 0.05㎛ 미만이면 도광판용 시트에 충분한 반사성 및 은 폐성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백색안료의 평균입경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 반사시트의 반사 성 및 은폐성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확산층(32)은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지지시트(31)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투명판류로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패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비드(32a)가 포함된다. 상기 패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마름모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확산층(32)은 지지시트(31) 내에서 균일하게 분포되고, 그 크기는 지지시트(31) 내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확산층(32)은 조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시트(31)의 폭방향으로 중앙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증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시트(31)의 폭방향은 측광방식의 백라이트 유닛 기준으로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2개의 광원(예를 들어, 램프)가 설치되는 경우 2개의 광원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지시트(31)의 폭방향은 광원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즉, 확산층(32)은 광원이 설치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지지시트(31)의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크기 또는 밀도를 일정 비율로 증가시킴으로써 조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광원은 백색 LED, RGB LED, CCFL 등 현존하는 광원이 모두 적용된다.
확산층(32)은 아크릴 수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확산비드(32a)는 아크릴계 비드를 사용할 수 있다. 확산비드(32a)는 교반(攪拌) 공정을 통해 확산층(32) 내에 분포하게 된다. 이러한 확산비드(32a)는 확산층(32) 내에 고루게 분포되어 입사된 빛을 상부로 반사 또는 산란시킨다. 확산비드(32a)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비드로는 알킬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의 단독 중합체 및 이들과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N-메틸롤(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의 공중합체수지로 이루어 진 비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점착층(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층(32)을 투명판류(34)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확산층 (32)을 통해 확산된 빛을 투명판류(34)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점착층(33)은 확산층(32)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며, 아크릴 에멀션으로 작업하거나, 혹은 아크릴 용제형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 및/또는 UV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판류(34)의 후면에 점착층(33)을 통해 접착되고, 점착층(33)을 통해 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안정적으로 투명판류(34)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투명판류(34)의 표면으로 조사되는 빛은 조도가 균일하게 된다. 또한, 확산층(32)을 포함하는 도광판용 시트를 실크스크린 인쇄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도광판용 시트 제조공정이 용이한 이점 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보완한 구조로서,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실크스크린 인쇄방식 또는 그라비아 인쇄방식으로 작업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확산층(32)과 점착층(33)이 패턴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실크스크린 인쇄 또는 그라비아 앤쇠공정시 확산층(32)과 점착층(33)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명판 류(34)로의 빛 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백라이트 유닛의 조도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시트(31)의 전면에 확산비드(42a)가 교반된 확산층(42)을 롤 코팅 방식(그라비아 코팅 방식) 및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한다. 즉, 실시예1에서와 같이 패턴 형상이 아닌 피막 형태로 지지시트(31)의 전면에 확산비드(42a)가 일정 한 비율로 혼합된 확산층(42)을 형성한다.
확산층(42) 상에는 아크릴 용제형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 및/또는 UV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층(43)을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여 패턴 형상으로 형성한다. 도 6과 같이 점착층(43)은 이형지(미도시)가 제거된 투명판류(34)의 후면에 접착되어 도광판용 시트를 투명판류(34)에 접착시킨다.
확산비드(42a)는 확산층(42) 내에서 균일한 밀도로 분포되거나, 혹은 지지시트(31)의 중앙부로 갈수록 밀도가 증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확산비드(42a)는 조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시트(31)의 폭방향으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확산비드(42a)는 광원이 설치되는 방향과 대응 되는 지지시트(31)의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를 일정한 비율로 증가시킴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의 조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확산층(42)을 패턴 구조에서 피막 구조로 변경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확산층과 점착층이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조도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실시예2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와 달리 지지시트(31) 상에 확산층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점착층(52)이 형성되고, 점착층(52) 상부에 확산비드(53a)가 혼합된 확산층(5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점착층(52)은 지지시트(31)의 전면에 롤 코팅 방식(그라비아 코팅 방식) 및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되고, 확산층(52)의 상면에는 잉크젯 방식으로 확산비드(53a)가 내부에 균일하게 분포된 확산층(53)이 형성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층(53)은 이형지(미도시)가 제거된 투명판류(34)의 후면에 접착되어 도광판용 시트를 투명판류(34)에 접착시킨다.
도 8에 도시된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다른 예로 확산층(53)은 점착층(52) 상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투명판류(34)의 후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되고, 점착층(52)만이 지지시트(31)의 전면면에 롤 코팅 방식(그라비아 코팅 방식) 및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점착층(52)의 후면에 부착된 이형지(미도시)를 제거한 후 점착층(52)과 확산층(53)을 상호 접착시켜 도광판용 시트와 투명판류(34)를 접착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2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실시예4에서는 액정패널이 상하에 각각 하나씩 2개로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액정 패널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지지시트(31)를 경계로 상하 대칭구조로 확산층(42-1, 42-2)과 점착층(43-1, 43-2)이 조합된 구조를 갖는다. 즉, 지지시트(31)의 전면에는 확산비드 (42a-1)가 포함된 제1 확산층(42-1)이 형성되고, 제1 확산층(42-1) 상면에는 제1 점착층(43-1)을 통해 제1 투명 판류(34-1)가 접착된다. 그리고, 지지시트(31)의 후면에는 확산비드(42a-2)가 포함된 제2 확산층(42-2)이 형성 되고, 제2 확산층(42-2) 상면에는 제2 점착층(43-2)을 통해 제2 투명판류(34-2)의 전면이 접착된다.
이러한 실시예4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 구조에서는, 광원이 제1 투명판류(34-1)와 제2 투명판류(34-2) 사이, 바람직하게는 제1 투명판류(34-1), 도광판용 시트 및 제2 투명판류(34-2)의 일측부(또는 양측부)에 위치하는 측광방식의 경우, 광원에서 방사된 빛은 지지시트(31)를 경계로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제1 및 제2 투 명판류(34-1, 34-2)를 통해 각 액정패널로 출사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광원을 이용하여 상하부에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된 액정패널에 균일한 빛을 출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5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도 광판 제작용 시트와 달리 확산비드를 포함하지 않고, 점착층(63)과 지지시트(31) 사이에 확산층(62)이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확산층(62)은 반구형, 타원형, 마름모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의 도광판용 시트는 20㎛~350㎛의 두께로 형성되며, 이러한 시트는 지지시트(31), 확산층(62) 및 점착층(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광판용 시트는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시트(31)는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 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예를 들어 백색, 은색, 금색, 회색 등의 안료로 배합되어 백색, 은색, 금색, 회색 등을 띄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6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실시예1에 따른 도광판 제작용 시트와 달리 점착층(72) 내에 확산비드(72a)가 포함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실시예1에서와 같이 별도로 확산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실시예1에 비해 작업이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1에 비해 도광판용 시트의 두께를 낮출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실시예7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도광판용 시트가 투명판류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실시예5 및 실시예6를 결합한 구조를 갖는다. 도광판용 시트는 지지시트(31)와, 확산층(82)과, 확산비드(83a)가 포함된 점착층(83)을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점착층(83)은 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 마름모, 육각형 등), 별 형상, 점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높이는 5㎛~500㎛로 적용하여 빛의 밝기와 균일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점착층(83)의 전면에는 투명판류(34)의 후면이 부착된다. 투명판류(34)는 도광판용 시트가 부착되어 광원을 상부, 즉 액 정패널이 위치되는 전방으로 전달하는 매개체인 도광판으로 기능하게 되며, 그 재질로는 아크릴, PMMA(Polymethylmethacrylate), PC(Polycarbonate), 글라스(glass),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에서 설명된 확산층 또는 점착층의 패턴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사각형, 마름모형, 육각형 등) 또는 특수 형상(예를 들면, 별형상, 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패턴들의 밀도, 즉 확산층 또는 점착층은 광원(예를 들면, LED)에 인접하게 배치된 영역에서는 그 밀도가 소밀하고,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밀도가 증가하여 중앙부에서는 대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광원이 2면, 4면, 다면, 원형으로 적용되는 방식에서도, 확산층 또는 점착층의 패턴밀도는 투명판류의 전영역에서 동일한 패턴 밀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혹은 광원에 근접한 영역에서는 그 밀도가 소밀하고,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밀도가 증가 하여 중앙부에서는 대밀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밀이라 함은 패턴의 개수가 적은 것을 의미하고, 대밀이라 함은 패턴의 개수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1 내지 실시예7에서 설명된 확산층 또는 점착층의 패턴 크기(직경)는 0.001mm~30mm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품별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에 근접한 영역에는 패턴의 최소 크기, 즉 0.001mm의 크기를 갖는 패턴을 배치하고, 중앙부로 갈수록 크기를 점차 증가시켜 중앙부에서는 최대 30mm의 크기를 갖는 패턴을 배치할 수 있다. 물론, 광원이 2면, 4면, 다면, 원형으로 적용되는 방식에서도, 확산층 또는 점착층의 패턴 크기는 광원에 근접한 영역에서는 그 크기가 가장 작고,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크기가 증가하여 중앙부에서는 가장 큰 크기의 패턴을 배치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실시예4와 마찬가지로 액정패널이 상하에 각각 하나씩 2개로 설치되는 경우에도 실시예5 내지 실시예7에서와 같은 시트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실시예4와 같이 하나의 광원을 이 용하여 액정패널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4에 따른 시트는 실시예2의 구조를 결합시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1 및 실시예3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확산층이 피막 구조가 아닌 패턴 구조로 형성되거나, 점착층과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현되는 도광판용 시트는 투명판류에 점착되는 점착력의 보존 및 이물질의 부착 등을 방지하기 위한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로 보존 및/또는 유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는 상기 도광판용 시트가 어떠한 크기의 투명판류에 부착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충분히 그 길이가 길게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용 시트가 제작되면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롤 형태로 감겨서 보관 또는 유통되게 되며, 도광판을 제작할 때에 투명판류의 크기에 맞추어 재단되어 사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판용 시트는 조도의 균일성을 위해 폭방향으로부터 중앙부로 갈수록 확신비드의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용 시트는 방향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무색의 투명한 이형필름을 시제품으로 생산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에 부착하여 보관하면서 다양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왔었다.
이때 무색의 투명한 이형필름을 부착한 상태에서는 이형필름 자체의 빛의 반사에 의해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상태에서도 매우 유심히 오랜기간 살펴보아야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도광판용 시트 및 사익 도광판용 시트에 포함된 점착층 또는 확산층이 빛의 반사율이 뛰어난 백색으로 구현될 경우에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투명판류의 크기에 맞추어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를 재단할 때 잘못된 방향으로 재단을 하거나 도광판용 시트를 투명판류에 부착한 후에 잘못된 방향으로 상기 도광판용 시트를 부착하는 등의 작업오류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특히 이러한 작업오류는 롤 형태로 보관된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로부터 미리 재단해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를 이용할 경우에 더욱 빈번히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러한 작업오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형장치를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로부터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 예의 도광판용 시트 특히 도광판용 시트의 폭방향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착측 또는 확산층의 패턴의 밀도가 높아지거나, 패턴의 크기가 커지도록 구현되어 상기 도광판용 시트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이형장치가 유채색을 갖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용 시트에 이형장치가 부착된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100)는 도광판용 시트(120) 및 상기 도광판용 시트(120)에 부착된 이형장치(110)를 포함하며, 일정한 폭과 충분한 길이롤 갖도록 제작되어 롤 형태로 보관 및/또는 유통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의 제작자는 상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100)로부터 필요한 크기만큼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를 재단하여 투명판류에 부착함으로써 도광판을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자는 무색(무채색)의 투명필름을 이형장치(110)로 채택하여 실험을 하였었는데, 작업 시에 방향성을 판단하기 어려워 전술한 바와 같은 작업오류가 빈번히 발생하였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7a는 무색의 투명필름을 이형장치(110)로 채택한 경우의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100)를 촬영한 영상인데, 점착층 또는 확산층이 육안으로 구분되기 힘들어서 도광판용 시트(110)의 방향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일반적으로 도광판용 지지시트 및 상기 지지시트 상에 형성된 점착층 또는 확산층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백색으로 구현되기 때문일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10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채색의 투명소재를 갖도록 형성된 이형장치(110)로 채택하여 상기 도광판용 시트(120)에 부착하였다. 이러한 경우,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형장치(110)가 부착된 상태 즉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200)에서 상기 이형장치(210)가 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확산층 또는 점착층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도광판의 제작자는 용이하게 도광판을 제작하면서 상기 도광판용 시트(120)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도광판용 시트(120)는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도광판용 시트(120)는 방향성이 없을 수 있는데,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유채색의 투명소재로 구현되는 이형장치(110)가 부착됨으로써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패턴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균일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상기 도광판용 시트(120)의 불량률의 확인 및 이를 통한 개선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색의 투명한 이형장치에 상기 도광판용 시트(220)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소정의 표시부(110-1)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이때 상기 표시부(110-1)는 상기 이형장치의 특정 축방향(예컨대, 폭 방향) 전체에 표시되도록 형성되어, 미리 일정한 크기로 재단된 상태에서도 상기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의 방향성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이형장치는 이형지로 구현되거나, 이형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정한 투명성을 갖도록 구현되어 상기 도광판용 시트에 형성된 점착층 또는 확산층의 패턴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투명성이 없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표시부가 상기 이형장치(예컨대,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에 형성됨으로써 이형장치를 박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형장치는 예컨대, 이형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이형필름은 PET에 불소계 이형제, 실리콘 이형제, 우레탄계 이형제, 또는 아크릴계 이형제가 코팅이 된 필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형제는 상기 도광판용 시트의 점착층과 다른 소재의 이형제로 선택됨으로써 박리력이 우수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각 실시예들은 독립 적 또는 이들 간의 결합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 위 내에서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로부터 굴절된 빛을 전방에 위치되는 투명판류로 확산시키기 위해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상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
    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상기 점착층에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유도된 빛을 상기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비드를 포함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3.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 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시트를 통해 굴절된 빛을 전방으로 유도하는 점착층;
    투명판류의 후면에 접착되어 상기 점착층으로부터 유도된 빛을 상기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확산층; 및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층이 형성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
    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4. 투명 합성수지, 불투명 합성수지, 또는 투명 합성수지와 불투명 합성수지가 조합된 합성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전방으로 굴절시키는 지지시트;
    상기 지지시트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층;
    상기 지지시트로부터 굴절된 빛을 전방에 위치되는 투명판류로 확산시키는 복수개의 확산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시트 또는 상기 확산층 상에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된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점착층 또는 상기 확산층에 부착되었다가 박리될 수 있는 이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성하는 상기 패턴은,
    상기 지지시트의 폭방향으로 외곽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밀도가 증가하도록 구현되거나, 상기 지지시트의 전체 영역에서 밀도가 균일하게 구현되며,상기 이형장치는,
    상기 이형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턴 또는 상기 패턴의 밀도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채색 투명소재로 구현되거나,
    상기 폭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 또는 상기 점착층은,
    0.001mm~30mm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광원과 인접한 영역에서는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투명판류의 중앙부로 갈수록 점점 크기가 증가하여 상기 투명판류의 중앙부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패턴이 배치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 상기 확산층 또는 상기 점착층은 백색으로 구현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장치는,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장치는 이형필름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형필름은 PET에 불소계 이형제, 실리콘 이형제, 우레탄계 이형제, 또는 아크릴계 이형제가 코팅이 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KR1020140101365A 2014-08-07 2014-08-07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KR10169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365A KR101695203B1 (ko) 2014-08-07 2014-08-07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PCT/KR2014/008575 WO2016021760A1 (ko) 2014-08-07 2014-09-15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365A KR101695203B1 (ko) 2014-08-07 2014-08-07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902 Division 2014-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86A true KR20150094486A (ko) 2015-08-19
KR101695203B1 KR101695203B1 (ko) 2017-01-12

Family

ID=5405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365A KR101695203B1 (ko) 2014-08-07 2014-08-07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95203B1 (ko)
WO (1) WO20160217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13A1 (ko) * 2016-05-26 201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0630A (zh) * 2017-07-28 2017-11-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背光模组、移动终端、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694B1 (ko) * 2011-04-26 2011-10-11 (주)케이앤씨엘이디 도광판 제작용 시트
JP2013031646A (ja) * 2011-06-29 2013-02-14 Kimoto & Co Ltd 痕跡採取方法、および痕跡保存セット、転写用シート
KR20130025744A (ko) * 2011-09-02 2013-03-12 (주)케이앤씨엘이디 도광판 제작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4519A (ja) * 1998-02-09 1999-08-17 Omron Corp 面光源装置
JP2010146784A (ja) * 2008-12-17 2010-07-01 Sony Corp 平面発光装置
KR20140022329A (ko) * 2012-08-13 2014-02-24 (주)케이앤씨엘이디 도광판 및 도광판 제작용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694B1 (ko) * 2011-04-26 2011-10-11 (주)케이앤씨엘이디 도광판 제작용 시트
JP2013031646A (ja) * 2011-06-29 2013-02-14 Kimoto & Co Ltd 痕跡採取方法、および痕跡保存セット、転写用シート
KR20130025744A (ko) * 2011-09-02 2013-03-12 (주)케이앤씨엘이디 도광판 제작용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4413A1 (ko) * 2016-05-26 201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21760A1 (ko) 2016-02-11
KR101695203B1 (ko)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4857B1 (en) Backlight unit
JP5285624B2 (ja) 少なくとも1つのledを含む照明デバイス
US817738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lanar optical diffusers and display panels for using the same
KR101243827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US8118470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20120102798A1 (en) Lighting device
WO2012144466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WO2009047891A9 (ja) 面光源素子アレイ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070694B1 (ko) 도광판 제작용 시트
KR20130025744A (ko) 도광판 제작용 시트
KR101695203B1 (ko) 도광판용 시트 결합체
US20160139324A1 (en)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light guide body for light source devices, and light source device
US20150253492A1 (en) Ligh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US11320574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210066224A (ko) 광 경로 제어 부재,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5442B1 (ko) 표시 장치
JP2007285934A (ja) 欠陥検査用ライトテーブル
KR20160015833A (ko) 양자점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lcd패널용 백라이트장치
KR2011002986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5831A (ko) 양자점 마이크로 캡슐을 이용한 lcd패널용 백라이트장치
JP2011064745A (ja) 光学シート、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0212083A (ja) 光源ユニット、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66902B2 (ja) 光学シート
KR20140143979A (ko) 도광판 부착용 패터닝 점착 테이프
KR20110035645A (ko)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