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470A -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470A
KR20150094470A KR1020140027441A KR20140027441A KR20150094470A KR 20150094470 A KR20150094470 A KR 20150094470A KR 1020140027441 A KR1020140027441 A KR 1020140027441A KR 20140027441 A KR20140027441 A KR 20140027441A KR 20150094470 A KR20150094470 A KR 20150094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erver
print
print job
telephone numb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국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65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849689B/zh
Priority to PCT/KR2014/009211 priority patent/WO2015047033A1/en
Priority to US14/503,238 priority patent/US9311038B2/en
Priority to EP14847212.9A priority patent/EP3039527A4/en
Publication of KR20150094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70A/ko
Priority to US14/982,447 priority patent/US9602683B2/en
Priority to US14/982,403 priority patent/US966116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서버가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고,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인쇄 데이터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서버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 SERVICE BASED ON PHONE NUMBER AND CLOUD SERVER AND CLOUD PRINT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에 업로드하고,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클라우드 서버에 요청하여 해당 데이터를 인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종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의하면, 송신자가 다이렉트 인쇄 명령과 함께 인쇄될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는 인쇄될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로 바로 전송하여 인쇄물을 출력하기 때문에, 수신자가 인쇄물이 출력되기를 원하는 시점을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송신자가 다이렉트 인쇄 명령과 함께 인쇄될 컨텐츠를 보내더라도 수신자가 인쇄물이 출력되기를 원하는 시점에 인쇄될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게 하는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은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상기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옵션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옵션을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클라우드 서버에서 옵션을 설정하도록 옵션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옵션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 상기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옵션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옵션을 설정하도록 상기 옵션 설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옵션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전화번호,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상기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쇄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전화번호, 상기 인쇄 데이터, 상기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작업 수행부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 작업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설정부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상기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옵션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리뷰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방법들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어 컴퓨터로 읽어 들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의 유저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의 클라우드 서버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의 화상형성장치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c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d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e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주소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주소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1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c 및 도 1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1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1 개인의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2 개인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이 제 1 개인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이 제 1 개인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이 제 1 개인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이 제 1 개인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이 제 1 개인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의 다이렉트 프린팅 및 풀 프린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제 2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인쇄될 컨텐츠가 도착된 경우, 컨텐츠의 도착을 통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administrator) 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에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 및 블랙 리스트(black list) 로 구분하여 개인, 회사 또는 집단의 전화번호들을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팩스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1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팩스 전송(facsimile transmit)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 및 도 2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풀 프린팅 방식에 따라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풀 프린팅 방식에 따라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9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 조건을 서버에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가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 및 인쇄 작업을 요청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
도 51a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그룹 설정 및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과정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일 형태인 HTTP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 및 카운트 테이블, 전화번호 및 자료 참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인쇄 작업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인쇄 작업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 전화번호 및 자료 참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인쇄 작업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2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3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서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1 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로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비가입자가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일부인 API 서버에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일부인 인증 서버에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6는 서비스 비가입자가 서비스 가입 유도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7은 서비스에 가입된 자가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8은 서비스에 가입된 자가 사용자 계정을 등록된 전화번호와 연동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9는 다른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0은 다른 사용자 B가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전화번호 또는 화상형성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체제(OS) 상의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로 실행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들 또는 화상형성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전화번호를 추가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3a, 도 93b 및 도 93c는 일 실시예들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하는 방식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연동시키는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를 웹 스토리지 서버에 연동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연동 설정시 모바일 앱에 나타나는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연동 설정시 동기화 폴더의 생성 과정에서 표시되는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0 및 도 10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웹 스토리지와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1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인쇄 데이터의 전송시 모바일 앱에 나타나는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인쇄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5 및 도 10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중 인쇄 데이터 목록을 열람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도 107 및 도 10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중 웹 스토리지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도 109a 및 10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0은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설정된 옵션을 수신하기 위한 HTTP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설정할 옵션을 전송하기 위한 HTTP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관한 옵션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6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9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주소록에서 인쇄 작업을 전송받을 수신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수신자 정보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31 내지 1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주소록에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3a, 도 133b, 및 도 13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주소록에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서버 주소록을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서버 주소록을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서버 주소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부착된 NFC 태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4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로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목록 및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클라우드 서버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NFC 태그에 정보를 라이트(write)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NFC 태그에 정보를 라이트(write)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NFC 태그로부터 정보를 리드(read)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NFC 태그로부터 정보를 리드(read)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8은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등록하는 전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또는 QR 코드 리딩을 통한 디바이스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2 및 도 153은 각각 화상형성장치에서 IPS 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및 불가능한 경우에 IPS 정보 및 MAC 주소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등록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에서 미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등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에서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수행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또는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제 1 개인(21)(예를 들어, “JOHN LEE”)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저장된 이미지, 문서 등의 컨텐츠를 제 2 개인(23)(예를 들어, “JANE KIM”)이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할 수 있도록,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저장된 컨텐츠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로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 및 13)은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들 또는 유저 디바이스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익히 알려진 2G 이동통신(secon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3G 이동통신(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또는 4G 이동통신(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등과 같은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PDA 등의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들에는 이동통신사들에 의해 디바이스들마다 각각 하나의 고유의 전화번호가 할당되고, 이를 통해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들 각각이 식별된다.
따라서,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 및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도 각각 하나씩의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즉, 전화번호는 개개의 모바일 디바이스(11 또는 13)의 고유의 식별 번호(ID number)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컨텐츠를 인쇄할 주체인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제 2 개인(23)에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31)를 이용하여, 전송된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제 1 개인(21) 및 제 2 개인(23)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 및 13)의 종류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전화번호가 할당된 유저 디바이스라면 어떠한 디바이스라도 본 실시예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 및 13)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형성 시스템(1)은 제 1 개인(21)(예를 들어, “JOHN LEE”)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1), 제 2 개인(23)(예를 들어, “JANE KIM”)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3), 제 3 개인(25)(예를 들어, “BRAD PITT”)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5), 제 4 개인(27)(예를 들어, “TOM CRUISE”)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7), 복수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 및 클라우드 서버(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 시스템(1)에 포함된 개인들(21, 23, 25 및 27)의 명수(number of persons),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의 개수는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된 것일 뿐,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 1 개인(21), 제 2 개인(23), 제 3 개인(25) 및 제 4 개인(27)의 이름들 “JOHN LEE”, “JANE KIM”, “BRAD PITT” 및 “TOM CRUISE”는,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임의로 정의된 것일 뿐,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개인(21)(“JOHN LEE”)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컨텐츠를 인쇄할 주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체(예를 들어,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에게도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제 2 개인(23)에게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 대해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사용 중인 또는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를 인쇄할 주체인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1)를 통해 입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선택된 컨텐츠 정보와 입력된 전화번호는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의 전화번호를 관리하는 서버에 해당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라우드 서버(40)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의 매핑 관계에 대한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의 전화번호와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들의 매핑 관계에 대한 정보 등을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0)는 인쇄 데이터 포맷이 아닌 컨텐츠를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렌더링 또는 변환하는 클라우드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와 컨텐츠 정보가 전송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는 전송된 컨텐츠를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렌더링 또는 변환하고, 컨텐츠에 매핑된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게 전송한다.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 경우,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의해 지정된(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에서 인쇄될 수 있다.
특히, 제 2 개인(23)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컨텐츠의 인쇄에 대한 다이렉트 프린팅(direct printing) 모드(또는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를 미리 설정한 경우,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에서 자동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렉트 프린팅에 대해서는 이하 해당 부분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개인(23)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컨텐츠의 인쇄에 대한 풀 프린팅(pull printing) 모드(또는 풀 프린팅 기능)를 미리 설정한 경우,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에서 자동적으로 바로 인쇄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제 2 개인(23)에 의해 처리 요청이 입력될 때까지 홀딩(대기)될 수 있다. 즉, 풀 프린팅은 다이렉트 프린팅과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제 2 개인(23)에게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고, 제 2 개인(23)에 의한 처리 요청이 입력될 때 컨텐츠의 처리가 진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제 2 개인(23)은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의해 지정된(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에서 인쇄되기 위한 인쇄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 2 개인(23)은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에 컨텐츠를 다시 포워딩하기 위한 포워딩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 2 개인(23)은 컨텐츠의 인쇄를 원하지 않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풀 프린팅에 대해서는 이하 해당 부분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풀 프린팅 및 다이렉트 프린팅에 대해서는 이하 해당 부분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매핑된 화상형성장치(31)에 대한 정보를 미리 관리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게 전송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3)에 매핑된 화상형성장치(31)에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31)는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인쇄함으로써,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컨텐츠 인쇄 요청이 완료된다.
다른 예들로서, 제 1 개인(21)이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제 3 개인(25) 또는 제 4 개인(27)에게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화상형성장치(31)만이 매핑된 것으로 관리할 수 있으나, 다른 화상형성장치들(33 또는 35)도 추가로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어떠한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이 현재 매핑되어 있지 않다 할지라도, 이하에서 설명될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의 등록(registration) 과정을 완료시킴으로써, 클라우드 서버(40)에 매핑 관계에 대한 등록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 시스템(1) 내에 존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 및 클라우드 서버(40)는 현재 알려진 많은 종류들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이동통신 네트워크 등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화상형성 시스템(1)은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또는 17)의 전화번호들만으로도 인쇄될 컨텐츠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 시스템(1)의 프린팅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웹페이지 제작자 등을 위한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er Interface)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웹페이지 제작자 등은 화상형성 시스템(1)의 오픈 API를 활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또는 17),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에서 실행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플랫폼에 기반하여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화상형성 시스템(1)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들간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1)의 유저 디바이스(1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유저 디바이스(10)는 도 2의 화상형성 시스템(1)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유저 디바이스(10)는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하는 송신측 단말인 모바일 디바이스(11)이거나, 또는 인쇄될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신측 단말들인 모바일 디바이스들(13, 15 또는 17)일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31, 33 또는 35)에 의해 제공되는 내장 웹페이지(embedded web page)에 접속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19)일 수 있다.
이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및 17)의 설명에서는, 도 3의 유저 디바이스(10)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유저 디바이스(1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입력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유저 디바이스(1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하는 개별적인 장치들을 모두 포함하고, 또한 터치스크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예를 들어, 유저 디바이스(10)로부터 외부로 전송되어 인쇄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컨텐츠의 인쇄 옵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목적지인,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유저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20)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printing 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WI-FI, 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과, 이더넷 등을 통한 유선 통신과, 또는 2G 이동통신, 3G 이동통신 또는 4G 이동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1)의 클라우드 서버(4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클라우드 서버(40)는 도 2의 화상형성 시스템(1)의 클라우드 서버(40)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의 클라우드 서버(40)의 설명에서는, 도 4의 클라우드 서버(40)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제어부(410), 저장부(4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한다. 다만, 도 4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20)는 개인들(11, 13, 15 및 17)의 전화번호의 매핑 정보를 관리 및 업데이터하거나, 컨텐츠를 렌더링 또는 변환하는 렌더러(render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다.
저장부(420)는 개인들(11, 13, 15 및 17)의 전화번호들의 목록, 전화번호들에 매핑된 컨텐츠들의 목록, 전화번호들에 매핑된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의 목록 등에 대한 전화번호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420)는 인쇄 데이터의 포맷으로 렌더링된 또는 변환된 컨텐츠들의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WI-FI, 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과, 이더넷 등을 통한 유선 통신과, 또는 2G 이동통신, 3G 이동통신 또는 4G 이동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1)의 화상형성장치(3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30)는 도 2의 화상형성 시스템(1)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이하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및 35)의 설명에서는, 도 5의 화상형성장치(30)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화상형성장치(3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310), 제어부(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 및 화상형성부(340)를 포함한다. 다만, 도 5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35)의 운영체제(OS) 상에는 앞서 설명된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인쇄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35)에 이와 같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지 않더라도, 화상형성장치(35)를 사용하고자 하는 어느 개인(11, 13, 15 또는 17)에 의해서 화상형성장치(35)의 운영체제(OS) 상에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새로 설치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입력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화상형성장치(3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키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하는 개별적인 장치들을 모두 포함하고, 또한 터치스크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30)에서 스캔될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컨텐츠의 인쇄 옵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외부로 전송될 목적지인,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형성장치(3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20)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화상형성부(340)의 인쇄 기능, 복사 기능, 스캔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WI-FI, 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과, 이더넷 등을 통한 유선 통신과, 또는 2G 이동통신, 3G 이동통신 또는 4G 이동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화상형성부(340)는 컨텐츠의 인쇄 기능 및 복사 기능, 또는 원고의 스캔 기능 등을 수행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도 6a 내지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1)에서 수신측 단말들에 해당되는 제 2 개인(23)(“JANE KIM”), 제 3 개인(25)(“BRAD PITT”) 또는 제 4 개인(27)(“TOM CRUISE”)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3, 15 또는 17)가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을 등록(registering)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10b에서는, 수신자인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를 중점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도 6a 내지 도 10b의 내용은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5 또는 1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개인(21)(“JOHN LEE”)의 모바일 디바이스(11)도 경우에 따라 수신측 단말에 해당될 수 있으므로,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도 도 6a 내지 도 10b에서 설명될 방법들에 따라 마찬가지로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31)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면, 61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61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61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는, 화상형성장치(31)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 IP 어드레스(IP address) 등의 네트워크 주소에 대한 정보와, 화상형성장치(31)의 시리얼 번호, 제품 사양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WI-FI, WI-FI Direct, NFC,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13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13)가 NFC 기능을 활성화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NFC-태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61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registration information)로서 클라우드 서버(40)로 함께 전송한다.
61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서로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로서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61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31)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notify)한다.
도 6c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31)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c를 참고하면, 62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62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62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획득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31)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623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13)가 NFC 기능을 활성화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NFC-태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62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로부터 획득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registration information)로서, 클라우드 서버(40)로 함께 전송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31)는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62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서로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로서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62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31)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notify)한다.
도 6d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31)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d를 참고하면, 63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63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63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633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13)가 NFC 기능을 활성화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NFC-태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63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클라우드 서버(40)에 접속한다. 634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접속 명령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31)는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63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63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registration information)로서, 클라우드 서버(40)로 함께 전송한다.
637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서로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로서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638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31)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notify)한다.
도 6e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3)에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다.
제 2 개인(23)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 및 화상형성장치(31)를 클라우드 서버(40)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 제 2 개인(23)은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제 2 개인(23)이 새로운 프린터를 등록하기 위하여 등록 아이콘(603)을 클릭하면, 제 1 화면(601)이 표시된다.
제 1 화면(601)에는, 화상형성장치(31)의 등록을 요청하는 항목, 다이렉트 프린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등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제 2 개인(23)가 등록을 요청하는 항목의 다이얼로그(604)를 클릭하면, 제 2 화면(602)가 표시된다.
제 2 화면(602)은 화상형성장치(31)의 등록을 안내하는 화면이다. 제 2 개인(23)은 제 2 화면(602)이 표시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3)와 화상형성장치(31) 간에 통신을 수립시킴으로써, 화상형성장치(31)의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3)와 화상형성장치(31) 간의 통신은 모바일 디바이스(13)가 화상형성장치(31)에 NFC-태깅됨으로써 수립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3)와 화상형성장치(31) 간의 통신은 WI-FI 또는 WI-FI Direct 등과 같은 다른 무선 통신 수단들로 연결됨으로써 수립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3)는 미리 설치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제 1 화면(601) 및 제 2 화면(602)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다만,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제 1 화면(601) 및 제 2 화면(602)의 화면 구성은 다르게 변경될 수 있고, 본 실시예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3)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다이렉트 프린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의 아이콘(606)을 통해,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만약,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31)(예를 들어, “CLP-680”)를 선택한 후 설정 버튼(607)을 클릭함으로써, 다이렉트 프린팅 모드를 수행할 화상형성장치(31)(예를 들어, “CLP-680”)를 지정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인쇄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된 등록 정보, 다이렉트 프린팅 모드 정보 등은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31)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711 단계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은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71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713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임의의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코드를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입력된 전화번호를 갖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40)는 PIN 코드에 제한되지 않고, PIN 코드 외에도 다른 형식의 임의 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71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SMS 또는 MMS에 의해 수신된 PIN 코드를 표시한다.
715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수신된 PIN 코드를 입력한다.
71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입력된 PIN 코드에 대한 정보와,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717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화상형성장치(31)로부터 전송된 PIN 코드와,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 PIN 코드를 비교하여,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718 단계에서, 만약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1)를 매핑하여 등록한다.
그러나, 만약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을 거절한다.
719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는, 화상형성장치(31)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도 6a 및 도 6b와는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13)와 화상형성장치(31)가 서로 통신하지 않으면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중개로만 등록이 완료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에 의한 등록 과정은, 모바일 디바이스(13) 및 화상형성장치(31) 중 어느 하나가, 모바일 디바이스(13) 및 화상형성장치(31)간에 무선 통신할 수 있는 NFC, WI-FI, WI-FI Direct, Bluetooth 등을 지원하지 않을 때,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3) 및 화상형성장치(31) 모두가 앞서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할 경우라도, 도 7a 및 도 7b와 같은 등록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31)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811 단계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은 컴퓨팅 디바이스(19)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페이지(embedded web page)(800)에 접속한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PC, 노트북 등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도 3의 유저 디바이스(10)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812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내장 웹페이지(8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813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81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임의의 PIN 코드를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입력된 전화번호를 갖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40)는 PIN 코드에 제한되지 않고, PIN 코드 외에도 다른 형식의 임의 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81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SMS 또는 MMS에 의해 수신된 PIN 코드를 표시한다.
816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내장 웹페이지(8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수신된 PIN 코드를 입력한다.
817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입력된 PIN 코드에 대한 정보와,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화상형성장치(31)의 내장 웹페이지(800)에 접속하면서,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818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컴퓨팅 디바이스(19)로부터 전송된 PIN 코드와,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 PIN 코드를 비교하여,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819 단계에서, 만약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1)를 매핑하여 등록한다.
그러나, 만약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을 거절한다.
8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31)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도 9a 및 도 9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주소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91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91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913 단계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은,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원하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91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획득된 전화번호와 입력된 이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91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서로 매핑하고, 매핑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등록 정보로서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91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메일 주소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앞서 도 6a 내지 도 8b와는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1)가 매핑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제 2 개인(23)의 이메일 주소가 매핑된다.
한편, 도 9a 및 도 9b에 따른 등록 과정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제 2 개인(23)의 이메일 주소가 매핑된 경우, 이하에서 설명될 도 14의 전송 및 인쇄 과정에 따라 컨텐츠가 전송 및 인쇄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이메일 주소에 매핑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면, 1011 단계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은 컴퓨팅 디바이스(19)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페이지(1000)에 접속한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PC, 노트북 등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도 3의 유저 디바이스(10)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1012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내장 웹페이지(1000)를 통해, 원하는 이메일 주소 및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1013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01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임의의 PIN 코드를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입력된 전화번호를 갖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40)는 PIN 코드에 제한되지 않고, PIN 코드 외에도 다른 형식의 임의 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015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SMS 또는 MMS에 의해 수신된 PIN 코드를 표시한다.
1016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내장 웹페이지(100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수신된 PIN 코드를 입력한다.
1017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입력된 PIN 코드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018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컴퓨팅 디바이스(19)로부터 전송된 PIN 코드와,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 PIN 코드를 비교하여,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1019 단계에서, 만약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매핑하여 등록한다.
그러나, 만약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을 거절한다.
1020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이메일 주소에 대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제까지 도 6a 내지 도 10b에서는, 화상형성 시스템(1)에서 수신측 단말들에 해당되는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가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31)를 등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설명되었다. 또한, 추가적인 방법들로서, 수신된 컨텐츠를 전송받을 이메일 주소가 등록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되었다. 도 6a 내지 도 10b에 따른 등록 과정들은 제 1 개인(21)(“JOHN LEE”)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컨텐츠가 전송되었을 때, 전송된 컨텐츠를 인쇄할 화상형성장치(31)를 지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도 6a 내지 도 10b에 따른 등록 과정들은,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컨텐츠가 전송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컨텐츠가 전송된 이후에 비로소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의 도 11a 내지 도 14는 화상형성 시스템(1)에서 송신자 제 1 개인(21)(“JOHN LEE”)이 인쇄될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도 11a 내지 도 14의 설명은, 송신자(제 1 개인(21))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수신자(제 2 개인(23)(“JANE KIM”))에 도착하기 전의 일부 과정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4에서는, 송신자인 제 1 개인(21)(“JOHN LEE”)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도 11a 내지 도 14의 내용은 다른 개인들(23, 25 또는 27)이 송신자에 해당될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1111 단계에서, 제 1 개인(21)(“JOHN LEE”)은,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인쇄될 컨텐츠를 수신할 목적지인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이용 중인 컨텐츠들 중, 제 2 개인(23)에게 전송되어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제 1 개인(21)에 의해 미리 설정된, 컨텐츠에 대한 인쇄 옵션들, 예를 들어 용지 사이즈, 컬러/흑백 옵션 등과 같은 일반적인 설정들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111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113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도 11c 및 도 11d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1c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연락처(contacts) 화면(1101)에는, 타인들의 이름과 전화번호에 대한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개인(21)(“JOHN LEE”)은 인쇄될 컨텐츠를 제 2 개인(23)(“JANE KIM”)에게 전송하고자 할 경우, 연락처 목록 중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을 선택한다. 다만, 이때, 연락처 목록 중에 제 2 개인(23)(“JANE KIM”)의 연락처 정보가 없는 경우, 제 1 개인(21)(“JOHN LEE”)은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선택된 경우, 인쇄될 컨텐츠의 유형을 선택하는 컨텐츠 유형 화면(1102)이 팝업으로 표시된다.
제 1 개인(21)(“JOHN LEE”)은 이미지 유형의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이미지 항목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연락처 화면(1101) 및 컨텐츠 유형 화면(1102)을 통해,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 및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전화번호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11d를 참고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1)의 카메라 이미지 화면(1105)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1)에 저장된 이미지들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미지들의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어, 꽃 이미지(1106))가 인쇄될 컨텐츠에 해당되는 경우, 제 1 개인(21)(“JOHN LEE”)은 꽃 이미지(1106)를 선택한다.
꽃 이미지(1106)가 선택된 경우, 연락처 화면(1107)이 팝업으로 표시된다.
꽃 이미지(1106)를 제 2 개인(23)(“JANE KIM”)에게 전송하고자 할 경우, 제 1 개인(21)(“JOHN LEE”)은 연락처 화면(1107)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카메라 이미지 화면(1105) 및 연락처 화면(1107)을 통해,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 및 인쇄될 컨텐츠(꽃 이미지(1106))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된 전화번호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한편, 도 11c 및 도 11d를 참고하면, 연락처 화면(1101) 및 연락처 화면(1107)에는 개인들(23 및 25)(“JANE KIM” 및 “BRAD PITT”)의 전화번호들 각각에 화상형성장치(31)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들(1103, 1104, 1108 및 1109)가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들(1103, 1104, 1108 및 1109)이 나타내는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전송된 매핑 정보에 기초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연락처 화면(1101) 및 연락처 화면(1107)의 표시가 활성화되기 전, 모바일 디바이스(11)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개인들(23 및 25)(“JANE KIM” 및 “BRAD PITT”)의 전화번호들 각각에 대한 매핑 정보를 미리 제공받는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연락처 화면(1101) 및 연락처 화면(1107)이 표시될 때, 개인들(23 및 25)(“JANE KIM” 및 “BRAD PITT”) 각각에 대해서는 아이콘들(1103, 1104, 1108 및 1109)을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화상형성장치(31)가 존재하는지 여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1c에 따르면, 연락처 화면(1101)이 먼저 표시되고 뒤이어 컨텐츠 유형 화면(1102)이 표시된다. 즉, 도 11c에 따르면, 전화번호가 먼저 선택되고 뒤이어 컨텐츠가 선택된다. 하지만, 도 11d에 따르면, 카메라 이미지 화면(1105)이 먼저 표시되고 뒤이어 연락처 화면(1107)이 표시된다. 즉, 도 11d에 따르면, 인쇄될 컨텐츠가 먼저 선택되고 뒤이어 전화번호가 선택된다.
도 11c 및 도 11d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전화번호 및 컨텐츠 각각을 선택하는 순서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및 컨텐츠 중에서 어느 것이 먼저 선택된다 할지라도, 무방하다.
한편, 도 11c 및 도 11d의 UI 화면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일 뿐, 본 실시예는 도 11c 및 도 11d의 UI 화면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a 및 도 12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5)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 121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5)의 화상형성부(340)는 문서를 스캔함으로써, 스캔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35)는 도 5의 화상형성장치(30)일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35)는 유저 인터페이스부(310), 제어부(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 및 화상형성부(340)를 포함한다.
1212 단계에서, 제 1 개인(21)(“JOHN LEE”)은, 화상형성장치(3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인쇄될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목적지인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35)에는 앞서 설명된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와 유사한 기능을 갖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화상형성장치(35)에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지 않더라도, 제 1 개인(21)은 화상형성장치(35)의 운영체제(OS) 상에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새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인(21)은 화상형성장치(3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표시된 인쇄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인쇄될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목적지인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즉, 1212 단계는, 화상형성장치(35)의 제어부(320)에 의해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제 1 개인(21)에 의해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가 화상형성장치(3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입력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121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5)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스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21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스캔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 도 11a 및 도 11b과 달리,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 없이도 인쇄될 컨텐츠(스캔 데이터)를 제 2 개인(23)에게 전달(전송)할 수 있다.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5)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35)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c를 참고하면, UI 화면들(1201 및 1203)은 화상형성장치(35)에서 실행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된 화면일 수 있다.
제 1 개인(21)(“JOHN LEE”)은 화상형성장치(3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에서 표시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제 1 UI 화면(1201)을 통해, 인쇄 애플리케이션에서 실행 가능한 화상형성 기능들의 목록을 식별할 수 있다.
앞서 도 12a 및 도 12b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개인(21)이 문서의 스캔 데이터를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1205)로 전송하고자 할 경우, 제 1 개인(21)은 “Scan to Phone” 아이콘(1202)를 클릭하여 “Scan to Phone” 기능을 실행한다.
제 2 UI 화면(1203)은 “Scan to Phone” 기능이 실행된 경우의 UI 화면이다. 제 2 UI 화면(1203)에는 스캔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1204)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또한 화상형성장치(35)에 저장된 주소록(address book)이 표시될 수 있다.
제 1 개인(21)은 주소록에 표시된 목록 중에서, 인쇄될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목적지인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1205)를 클릭함으로써, “Scan to Phone” 기능에 의해 전송될 목적지(전화번호(1205))를 확정시킬 수 있다.
다만, 제 2 UI 화면(1203)의 주소록에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 제 1 개인(21)은 화상형성장치(3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새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2c의 UI 화면들(1201 및 1203)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일 뿐, 본 실시예는 도 12c의 UI 화면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이라면, “Scan to Phone” 기능의 명칭은 다른 명칭으로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속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1 개인(21)의 컴퓨팅 디바이스(19)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1311 단계에서, 제 1 개인(21)(“JOHN LEE”)은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인쇄될 컨텐츠를 선택한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PC, 노트북 등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도 3의 유저 디바이스(10)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1312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제어부(120)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1301)를 실행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9)에서 실행된 프린터 드라이버(1301)는 예를 들어, 가상의 드라이버(virtual drive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린터 드라이버(1301)는, 일반적인 프린터 드라이버와는 달리, 컨텐츠에 대한 인쇄 목적지로서 프린터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다. 프린터 드라이버(1301)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인쇄 목적지로서 전화번호 목록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인쇄될 컨텐츠가 선택되고 프린터 드라이버(1301)이 실행된다면, 프린터 드라이버(1301)는 전화번호 목록으로서, “ME: +82-10-XXXX-9900”(제 1 개인(21)), “JANE KIM: +82-10-XXXX-8800”(제 2 개인(23), 또는 “BRAD PITT: +82-10-XXXX-7700”(제 3 개인(25))의 목록을 표시한다.
한편, 도 13a에 도시된 프린터 드라이버(1301)에는 전화번호 목록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프린터 드라이버(1301)는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일반적인 인쇄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도 포함할 수 있다.
1313 단계에서, 제 1 개인(21)은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할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82-10-XXXX-8800”)를 선택한다. 또는, 제 1 개인(21)은 프린터 드라이버(1301)에서 전화번호(“+82-10-XXXX-8800”)의 목록이 없는 경우에는, 전화번호(“+82-10-XXXX-8800”)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1314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31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도 11a 및 도 11b과 달리,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 없이도 인쇄될 컨텐츠(스캔 데이터)를 제 2 개인(23)에게 전달(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제 2 개인(23)의 이메일 주소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 도 14의 방법은, 유저 디바이스(10)나 또는 화상형성장치(30)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디바이스(10)는 도 2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1, 13, 15 또는 17)이나 앞서 설명된 컴퓨팅 디바이스(19)에 해당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30)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에 해당될 수 있다.
1411 단계에서, 제 1 개인(21)(“JOHN LEE”)은 유저 디바이스(1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화상형성장치(3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인쇄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제 2 개인(23)(“JANE KIM”)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선택 및 이메일 주소의 입력의 순서는 바뀌어도 무방하다.
1412 단계에서, 유저 디바이스(10)의 제어부(120) 또는 화상형성장치(30)의 제어부(320)는, 제 2 개인(23)의 이메일 주소에 컨텐츠가 첨부된, 이메일을 생성한다.
1413 단계에서, 유저 디바이스(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화상형성장치(3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생성된 이메일을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앞서 도 9a 내지 도 10b에서 설명된 과정들에 의하여, 제 2 개인(23)의 이메일 주소와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매핑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141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이메일 주소에 미리 매핑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및 이메일에 첨부된 컨텐츠 정보를 다시 매핑하여, 저장부(420)에 저장한다.
이제까지 도 11a 내지 도 14에서는, 화상형성 시스템(1)에서 송신자 제 1 개인(21)(“JOHN LEE”)이 인쇄될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40)에 전송(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설명되었다.
이하의 도 15a 내지 도 19는 화상형성 시스템(1)에서 수신자에 해당되는 제 2 개인(23)(“JANE KIM”)이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인쇄될 컨텐츠를 수신하고 컨텐츠를 인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즉, 도 15a 내지 도 19의 설명은, 송신자(제 1 개인(21)(“JOHN LEE”))로부터 전송된 컨텐츠가 수신자(제 2 개인(23)(“JANE KIM”))에 도착하기 전의 일부 과정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15a 내지 도 19는, 앞서 도 11a 내지 도 14에서 설명된 과정들의 이후에 수행될 과정들일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9에서는, 수신자인 제 2 개인(23)(“JANE KIM”)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으나, 도 15a 내지 도 19의 내용은 다른 개인들(21, 25 또는 27)이 수신자에 해당될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23)이 제 1 개인(21)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고하면, 1511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인쇄될 컨텐츠의 업로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인쇄될 컨텐츠는,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1 개인(21)(“JOHN LEE”)에 의해 업로드된 컨텐츠에 해당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인쇄될 컨텐츠의 업로드 정보를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전송하거나, 또는 인터넷 등의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151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될 컨텐츠가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로 도착하였다는 정보를 통지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될 컨텐츠(예를 들어, “Image001.JPG”)의 업로드 정보가 메시지를 통해서 전송된 경우, 도착 메시지(1501)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제 2 개인(23)에게 통지할 수 있다.
1513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Image001.JPG”)의 확인을 요청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는 컨텐츠(“Image001.JPG”)에 대한 정보를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리턴(return)한다.
151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 상에 현재 제 2 개인(23)에게 전달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된 컨텐츠 목록은 제 1 개인(21)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Image001.JPG”)를 포함한다.
1514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 목록에서 컨텐츠(“Image001.JPG”)를 선택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 상에 컨텐츠(“Image001.JPG”)의 프리뷰(preview)를 표시한다. 이때, 제 2 개인(23)은 인쇄 애플리케이션를 통해 컨텐츠(“Image001.JPG”)의 인쇄 옵션들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1515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컨텐츠(“Image001.JPG”)를 미리 매핑된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기 위한 인쇄 명령을 입력한다.
1516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입력된 인쇄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517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화상형성장치(31)로 컨텐츠(“Image001.JPG”)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1518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화상형성부(340)는 컨텐츠(“Image001.JPG”)를 인쇄한다.
1515 단계 내지 1518 단계는, 제 2 개인(23)이 컨텐츠(“Image001.JPG”)의 인쇄를 요청할 경우(1530)에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개인(23)은 컨텐츠(“Image001.JPG”)의 인쇄를 거부할 경우(1540)도 있을 수 있다.
1519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 목록에서 컨텐츠(“Image001.JPG”)의 삭제를 요청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컨텐츠(“Image001.JPG”)의 삭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5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저장부(420)에 저장된 컨텐츠(“Image001.JPG”)에 대한 정보를 삭제한다.
한편, 제 2 개인(23)은 컨텐츠(“Image001.JPG”)를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에게 전달하는 포워딩 요청(1550)을 입력할 수 있다.
1521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Image001.JPG”)를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에게 전달하는 포워딩 요청(1550)을 입력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컨텐츠(“Image001.JPG”)의 포워딩 요청(1550)을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이때, 제 2 개인(23)은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의 모바일 단말들(15 또는 17)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포워딩 요청(1550)을 명령할 수 있다.
1522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에 의해 요청된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에게 컨텐츠(“Image001.JPG”)를 포워딩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23)이 제 1 개인(21)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고하면, 1611 단계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은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1612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613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임의의 PIN 코드를 SMS 또는 MMS를 이용하여, 입력된 전화번호를 갖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40)는 PIN 코드에 제한되지 않고, PIN 코드 외에도 다른 형식의 임의 코드를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본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1614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SMS 또는 MMS에 의해 수신된 PIN 코드를 표시한다.
1615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수신된 PIN 코드를 입력한다.
161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입력된 PIN 코드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617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제어부(410)는 화상형성장치(31)로부터 전송된 PIN 코드와,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전송한 PIN 코드를 비교하여,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1618 단계에서,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매핑된 컨텐츠의 정보를 화상형성장치(31)에 리턴한다.
그러나, 두 PIN 코드들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는 제어부(410)는 리턴을 거부한다.
1619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는 현재 제 2 개인(23)에게 전달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1620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 목록에서 인쇄될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선택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31)로 전송한다.
162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화상형성부(340)는 컨텐츠를 인쇄한다.
다만,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제 2 개인(23)(“JANE KIM”)이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31) 및 클라우드 서버(40)에서 수행되는 1619 단계 내지 1621 단계 사이에는, 도 15b의 1514 단계 내지 1522 단계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단계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는 인쇄될 컨텐츠의 프리뷰를 표시하거나, 인쇄 옵션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 2 개인(23)은 컨텐츠의 인쇄를 거부하거나, 또는 풀 프린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15a 내지 도 16b의 인쇄 과정들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23)이 제 1 개인(21)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고하면, 1711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로 인쇄될 컨텐츠의 업로드 정보를 전송한다.
1712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될 컨텐츠가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로 도착하였다는 정보를 통지한다.
171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31)로 전송한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WI-FI, WI-FI Direct, NFC,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713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13)가 NFC 기능을 활성화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NFC-태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171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는,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3)로부터 획득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171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전화번호에 매핑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화상형성장치(31)로 리턴한다.
1716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는 현재 제 2 개인(23)에게 전달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1717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 목록에서 인쇄될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선택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31)로 전송한다.
1718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화상형성부(340)는 컨텐츠를 인쇄한다.
다만, 도 17b의 1716 단계 내지 1718 단계 사이에는, 도 15b의 1514 단계 내지 1522 단계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단계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개인(23)(“JANE KIM”)은 화상형성장치(31)의 유저 인터페이스부(310)는 인쇄될 컨텐츠의 프리뷰를 표시하거나, 인쇄 옵션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 2 개인(23)은 컨텐츠의 인쇄를 거부하거나, 또는 풀 프린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15a 내지 도 17b의 인쇄 과정들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23)이 제 1 개인(21)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고하면, 1811 단계에서, 제 2 개인(23)(“JANE KIM”)은 컴퓨팅 디바이스(19)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31)에 의해 제공된 내장 웹페이지(1801)에 접속한다. 여기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PC, 노트북 등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도 3의 유저 디바이스(10)일 수 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19)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1812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은 내장 웹페이지(1801)에 로그인한다.
1813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내장 웹페이지(1801)를 통해, 현재 제 2 개인(23)에게 전달된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1814 단계에서, 제 2 개인(23)이 컨텐츠 목록에서 인쇄될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0)는 선택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31)로 전송한다.
181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1)의 화상형성부(340)는 컨텐츠를 인쇄한다.
다만, 도 18b의 1713 단계 내지 1815 단계 사이에는, 도 15b의 1514 단계 내지 1522 단계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단계들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개인(23)(“JANE KIM”)은 컴퓨팅 디바이스(19)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될 컨텐츠의 프리뷰를 표시하거나, 인쇄 옵션들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 2 개인(23)은 컨텐츠의 인쇄를 거부하거나, 또는 풀 프린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도 15a 내지 도 18b의 인쇄 과정들은 서로 조합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2 개인(23)이 제 1 개인(21)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제어부(12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제 2 개인(23)(“JANE KIM”)에 의해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제 1 화면(1901) 상의 수신 컨텐츠 목록 아이콘(1902)이 클릭됨으로써, 제 2 화면(1903)이 표시된다.
제 2 화면(1903)에는, 제 1 개인(21)(“JOHN LEE”) 및 다른 개인들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들의 목록(1904)이 표시된다.
제 2 개인(23)(“JANE KIM”)은 목록(1904) 중에서, 제 1 개인(21)(“JOHN LEE”)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Image001.JPG”)를 선택하고, 인쇄 아이콘(1905)을 클릭함으로써, 컨텐츠(“Image001.JPG”)의 인쇄를 명령할 수 있다.
다만, 도 19의 UI 화면의 구성은 본 실시예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일 뿐, 본 실시예는 도 19의 UI 화면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9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40)는, 송신자 제 1 개인(21)(“JOHN LEE”)로부터 인쇄될 컨텐츠가 전송된 경우, 제어부(410)에 의해 컨텐츠를 인쇄 데이터 포맷으로 렌더링 또는 변환함으로써,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자 제 2 개인(23)(“JANE KIM”), 특히 수신자 제 2 개인(23)에 의해 지정된 화상형성장치(31)에 전송한다.
이제까지 도 15a 내지 도 19에서는, 화상형성 시스템(1)에서 수신자 제 2 개인(23)(“JANE KIM”)이 송신자 제 1 개인(21)(“JOHN LEE”)으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31)에서 인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설명되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1)의 다이렉트 프린팅 및 풀 프린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고하면, 수신자 제 2 개인(23)(“JANE KIM”)은, 송신자 제 1 개인(21)(“JOHN LEE”)으로부터 앞서 설명된 과정들을 이용하여,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먼저, 다이렉트 프린팅은, 제 2 개인(23)에게 인쇄될 컨텐츠가 도착한 경우, 미리 디폴트로서 설정된 대표(representative) 화상형성장치(31)로 컨텐츠가 바로 인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 2 개인(23)(“JANE KIM”)이 모바일 디바이스(13)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화상형성장치(31)로 바로 전송되어 화상형성장치(31)에서 자동적으로 인쇄된다.
앞서 도 6e를 참고하면, 제 2 개인(23)은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다이렉트 프린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항목의 아이콘(606)을 통해,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을 활성화(ON) 또는 비활성화(OFF)할 수 있다.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이 활성화(ON)된 경우,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31)(예를 들어, “CLP-680”)를 선택한 후 설정 버튼(607)을 클릭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31)를 대표 프린터로서 또는 디폴트 프린터로서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이 활성화(ON)된 경우, 제 2 개인(23)에게 도착된 컨텐츠는, 제 2 개인(23)의 확인 없이도, 화상형성장치(31)에서 바로 인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풀 프린팅은, 제 2 개인(23)에게 인쇄될 컨텐츠가 도착한 경우, 컨텐츠의 인쇄가 바로 시작되지 않고, 홀딩된 상태 또는 대기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풀 프린팅은, 다이렉트 프린팅 기능이 비활성화(OFF)된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풀 프린팅에 따르면, 제 2 개인(23)에게 인쇄될 컨텐츠가 도착한 경우, 제 2 개인(23)은 컨텐츠에 대한 인쇄 요청을 입력하거나,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인쇄에 사용될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을 새로 지정하거나, 또는 다른 개인들(25 또는 27)에게 컨텐츠를 포워딩할 수 있다. 즉, 제 2 개인(23)(“JANE KIM”)이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처리 요청을 입력하여야만, 컨텐츠에 대한 인쇄, 삭제, 포워딩 등의 처리가 수행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 시스템(1)은 다이렉트 프린팅 및 풀 프린팅을 모두 지원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자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인쇄될 컨텐츠가 도착된 경우, 컨텐츠의 도착을 통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고하면, 제 1 개인(21)(“JOHN LEE”)은 제 2 개인(23)(“JANE KIM”)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로,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SMS 또는 MMS에 의한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메시지가 도착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3)에 설치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은, 인쇄될 컨텐츠의 도착 통지(2101)를 표시한다.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3)에서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 메시지(2102)가 표시된다. 컨텐츠 정보 메시지(2102)는 제 1 개인(21)이 전송한 컨텐츠(“Image001.JPG”)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자(administrator)(29)의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화상형성장치(31)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고하면, 클라우드 서버(40)는 앞서 설명된 도 6a 내지 도 10b의 등록 과정들에 의하여, 관리자(29)의 모바일 디바이스(18)의 전화번호 및 화상형성장치(31)의 식별 정보를 미리 매핑하여 관리하고 있다. 여기서, 관리자(29) 및 모바일 디바이스(18)는 도 2의 화상형성 시스템(1) 내에 존재한다.
화상형성장치(31)에서 용지 걸림, 용지 부족, 토너 부족 등의 에러가 발생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는 화상형성장치(31)로부터 발생된 에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화상형성장치(31)에 매핑된 관리자(29)의 모바일 디바이스(18)로, 화상형성장치(31)의 에러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40)는 관리자(29)의 모바일 디바이스(18)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SMS 또는 MMS에 의한 메시지(2201)를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31)의 에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에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2301) 및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로 구분하여 개인, 회사 또는 집단의 전화번호들을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클라우드 서버(40)의 저장부(420)는,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2301) 및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를 저장하여 전화번호들을 관리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2301) 및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는, 수신측 개인들(13, 15 또는 17)로부터 요청되어 클라우드 서버(40)에 저장될 수 있다.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2301)는 허용된 특정 전화번호들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만을 수신하기 위한 관리 목록이다. 따라서,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2301)에 따르면, 허용되지 않은 전화번호들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는 수신측 개인들(13, 15 또는 17)에게 전송되지 않는다.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는 허용되지 않은 특정 전화번호들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만을 거부하기 위한 관리 목록이다. 따라서,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에 따르면,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에 포함되지 않은 전화번호들로부터 전달된 컨텐츠는 수신측 개인들(13, 15 또는 17)에게 전송될 수 있다.
앞서 도면들에서 예로 든 바와 같이, 수신자에 해당되는 제 2 개인(23)(“JANE KIM”)은,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13), 컴퓨팅 디바이스(19) 또는 화상형성장치들(31, 33 또는 35)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화이트 리스트(white list)(2301) 또는 블랙 리스트(black list)(2302)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31)의 팩스 전화번호에 기반하여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컨텐츠를 팩스 전송(facsimile transmit)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고하면, 제 1 개인(21)(“JOHN LEE”)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팩스 전송될 컨텐츠를 선택하고, 화상형성장치(31)의 팩스 전화번호(예를 들어, “+82-31-580-XXXX”)를 입력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1 개인(21)은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팩스 전송될 컨텐츠 및 팩스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서버(40)는 팩스 서버(fax server)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수신된 팩스 전화번호를 갖는 화상형성장치(31)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팩스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화상형성장치(31)는 팩스 전송된 컨텐츠를 인쇄한다.
즉, 도 24는 수신측 단말이 화상형성장치(31)로 변경되었고 팩스 전송된다는 점에 있어서만 앞서 설명된 도면들과 차이가 있을 뿐, 수신측 단말이 모바일 디바이스들(13, 15 또는 17)인 경우와 유사하게 앞서 설명된 도면들에 대한 동작 및 기능이 도 24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5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40)를 중심으로 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 환경을 개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화번호와 다양한 정보를 서로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와 이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 정보, 또는 전화번호와 인쇄 작업 및 그 인쇄 작업의 식별 정보 등과 같이 전화번호에 다른 정보를 대응시킨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5에서 클라우드 서버(40)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발신자 디바이스들(50), 우측에는 수신자 디바이스(60)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5에서 클라우드 서버(40)를 중심으로 좌측을 보면, 인쇄 작업을 전송하려고 하는 발신자가 다양한 종류의 발신자 디바이스들(5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후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를 선택하여 파일을 지정하거나,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랩톱이나 데스크톱과 같은 형태의 사용자 컴퓨터에서 인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쇄할 내용을 지정함으로써, 인쇄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인쇄 작업은 발신자 디바이스들(50) 각각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발신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40)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도 25에서 클라우드 서버(40)를 중심으로 우측을 보면, 인쇄 작업을 수행하려고 하는 수신자가 다양한 종류의 수신자 디바이스들(6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는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수신자 디바이스들(6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는 방식은 다이렉트 프린트(direct print) 방식과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두 가지 방식 중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이렉트 프린트(direct print) 방식은 클라우드 서버(40)에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 정보로 인쇄 작업을 전송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어, 수신자로부터 별도의 인쇄 작업 요청이 없더라도 클라우드 서버(40)에서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로 바로 인쇄 작업이 전송되어 인쇄 작업이 수행되는 방식이다.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은 발신자 디바이스들(5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된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40)에 등록해놓고, 수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등록된 인쇄 작업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버(40)에 인쇄 작업이 등록되었음을 수신자에게 알린 후, 수신자로부터 인쇄 작업 수행 요청이 있을 경우 비로소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수신자 디바이스(60)로 인쇄 작업이 전송되어 인쇄 작업이 수행되는 방식이다.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을 좀 더 살펴보면, 수신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후 화면에 표시된 인쇄 작업 리스트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 작업을 선택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인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추가로 더 선택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수신자로부터 인쇄 작업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또는 수신자가 선택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여 인쇄 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임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기존의 기업 서버와 같은 관리 서버를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이므로 도 25에서 설명한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그 기반을 달리한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통해 인쇄 작업을 수행하므로 인쇄 작업을 전송하거나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반드시 저장하게 하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를 저장할 필드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기업 서버와 같은 관리 서버 및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사용자 로그인을 통해 사용 가능한 유저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를 계속 이용하면서도, 앞에서 설명한 전화번화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이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연계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유저 디바이스(100)와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로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는 가지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전화 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장치들임을 전제한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화상형성장치, 데스크톱 또는 랩톱과 같은 사용자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유저 디바이스(100)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화상형성장치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사용자 로그인을 하면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량 관리, 사용자의 권한 설정, 사용자의 이력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를 중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앞서 말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인 유저 디바이스(100)와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인 모바일 디바이스(40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로써, 유저 디바이스(100)와는 달리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도 모바일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유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 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과 달리,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관리 서버(200)와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서버 또는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서 인쇄 작업이 등록되는 곳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는 클라우드 서버(300)의 종류에 따른 보안성 수준의 차이 때문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27a 및 도 27b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7a 및 도 2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 및 도 27b를 참고하면, 도 27a 및 도 27b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공통적으로 서버부(310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포함하고, 도 3b의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를 더 포함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에는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서버 또는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서버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public)인 경우,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나 보안이 취약하고,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인 경우, 비용 측면에서 불리하나 보안에 강하고 데이터 저장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public)인 경우,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인쇄 작업은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서 관리 서버(200) 측에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인 경우, 인쇄 작업은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서 클라우드 서버(300) 측에 등록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인 경우는 보통 관리 서버(200)에 인쇄 작업을 저장할 공간이 없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클라우드 서버(300) 측에 인쇄 작업이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7a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public)인 경우로써, 도 2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를 포함하지 않는다.
반면, 도 27b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인 경우로써,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관리 서버(200)에 인쇄 작업을 등록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인쇄 작업의 등록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에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가 존재하지 않거나, 관리 서버(200)에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를 새로 구축하기 어려운 경우,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를 포함하는 도 27b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300)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public)인 경우, 도 27a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클라우드 서버(300)임을 전제하고,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인 경우, 도 27b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클라우드 서버(300)임을 전제한다. 이하, 도 28 및 도 29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300)가 각각 퍼블릭(public)인 경우와 프라이빗(private)인 경우,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이다.
도 28을 참고하면,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40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8을 참고하면,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연동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는 클라이언트부(2100),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 인쇄 작업 허용부(2300),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2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27a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2400)는 관리 서버(200)에 포함된다.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부(310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디바이스(100)가 화상형성장치인 경우, 화상형성장치에서 스캔하여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사용 가능하고, 관리 서버(200)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때에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함께 전송하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는 사용자 계정을 비롯하여 각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 계정과 그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사용량에 관한 정보 또는 권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인쇄 작업 허용부(2300)는 관리 서버(200)로 수신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작업 허용부(2300)는 관리 서버(200)에 인쇄 작업과 함께 수신된 사용자 계정이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작업 허용부(2300)는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사용량 또는 권한 등을 더 고려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2400)는 인쇄 작업 허용부(2300)에 의해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에 관리 서버(2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을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클라이언트부(210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관리 서버(200)측 통신 모듈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 간의 보안성이 유지되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서버(200)측 통신 모듈이다.
관리 서버(200)의 클라이언트부(2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전송해야하는 정보나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유저 디바이스(100)에 전송해야하는 정보나 관리 서버(2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부(2100)는 인쇄 작업 허용부(2300)에 의해 판단된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 또는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2400)에 의해 등록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 등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 등을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때에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함께 전송하는,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전화번호가 함께 전송되는,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에 저장해놓음으로써, 사용자 계정과 상기 전화번호를 상호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는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에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디바이스의 정보를 더 대응시켜 저장한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의 서버부(3100)는 관리 서버(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300) 측 통신 모듈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 간의 보안성이 유지되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300) 측 통신 모듈이다.
클라우드 서버(300)의 서버부(3100)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전송해야하는 정보나 클라우드 서버(3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거나, 반대로 유저 디바이스(100)에 전송해야하는 정보나 관리 서버(2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부(3100)는 관리 서버(200)의 인쇄 작업 허용부(2300)에 의해 판단된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 또는 관리 서버(200)의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2400)에 의해 등록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 등을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거나,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 등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되거나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정보들은 관리 서버(200)에서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 계정에 기반한 정보들이어야 한다. 관리 서버(200)가 사용자 계정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이기 때문이다. 클라우드 서버(300)의 서버부(3100)는 관리 서버(200)의 클라이언트부(21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가 연동될 수 있도록,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과 전화번호를 상호 변환함으로써,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를 중개할 수 있다.
도 2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이다.
도 29를 참고하면,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400)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9를 참고하면,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가 연동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는 클라이언트부(2100),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 인쇄 작업 허용부(2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과 달리,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데이터 베이스(2400)를 포함하지 않는다.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부(310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27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포함된다. 도 28에서 설명했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포함됨으로써 도 28에서 설명한 내용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이하 설명한다.
클라우드 서버(300)의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는 관리 서버(200)의 인쇄 작업 허용부(2300)에 의해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또는 전화번호에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을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수신하거나, 모바일 단말기(400)로부터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에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해놓음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과 전화번호를 상호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계정 또는 전화번호에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을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28과 달리, 인쇄 작업 데이터베이스(3300)가 클라우드 서버(300)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관리 서버(200)로부터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 등을 수신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수신된 인쇄 작업을 등록하므로 관리 서버(200)에 인쇄 작업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30 내지 36의 도면을 참고하여,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유저 디바이스(100)가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다시 말해서,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가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사용자는 유저 디바이스(100)에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 3005) 이때,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기업 내에 있는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로그인 요청을 하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사용자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S 3010) 사용자의 로그인이 허용되면, 사용자는 유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015)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유저 디바이스(10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과 유저 디바이스(1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유저 디바이스(100)에서 실행한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 전체가 아닌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까지의 연결을 보장하는 것이라면,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까지 인쇄 작업이 재전송되도록 트리거(trigger)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유저 디바이스(100)의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S 3020) 주소록은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을 저장해두어, 발신자인 사용자가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용자 계정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생성하고, 그 인쇄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 3025) 예를 들어,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는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인쇄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 3030) 다시 말해서,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으로써,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3035)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에 포함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인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S 3040)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이기 때문에, 인쇄 작업은 관리 서버(200) 측에 등록되어야 함을 도 28에서 설명한 바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인쇄 작업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복수 개의 인쇄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인쇄 작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 인쇄 작업은 삭제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인쇄 작업 등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304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등록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인쇄 작업 등록 결과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을 식별하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는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에 포함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할 수 있다.(S 3050)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을 위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S 3055)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변환된 전화번호에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과정에 따라, 발신자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유저 디바이스(100)를 통해 처리 요청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을 거쳐,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되며,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수신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등록된 인쇄 작업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에 따라 수행하고자 하는 인쇄 작업을 선택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1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유저 디바이스(100)가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임을 전제로 설명한다. 다시 말해서,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자가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1은 앞에서 설명한 도 30과 클라우드 서버(300)의 종류 차이에 따른 것이므로, 앞에서 설명한 도 30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0에서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유저 디바이스(100)에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 3105)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로그인 요청을 하고,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거쳐 사용자의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S 3110)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115)
사용자는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유저 디바이스(100)의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S 3120)
사용자는 유저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생성하고, 그 인쇄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 3125)
이상의 S 3105 내지 S 3125의 내용은 도 30의 S 3005 내지 S 3025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 3130) 이때,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에는 사용자 계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인쇄 작업이 허용되는지 관리 서버(200)에 판단을 구하는 것이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 3135) 이때,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된 인쇄 작업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으로써,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S 3135의 클라우드 서버(300)로 인쇄 작업 전송은 S 3130의 관리 서버(200)로 인쇄 작업 허용 요청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이하 S 3140의 관리 서버(200)의 인쇄 작업 허용 여부 판단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3140)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인쇄 작업 허용 요청에 따라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인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314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및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S 3150)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확인하여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이기 때문에, 인쇄 작업이 클라우드 서버(300) 측에 등록될 수 있음을 도 29에서 설명한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인쇄 작업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복수 개의 인쇄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인쇄 작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된 인쇄 작업은 삭제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등록된 인쇄 작업에 대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할 수 있다.(S 3155)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을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 등록된 인쇄 작업에 대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S 3160)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변환된 전화번호에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과정에 따라, 발신자가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유저 디바이스(100)를 통해 처리 요청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을 거쳐,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되며,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수신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등록된 인쇄 작업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에 따라 수행하고자 하는 인쇄 작업을 선택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사용자가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205)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과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인쇄 작업을 위해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 3210)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에 대응되는 파일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연락처에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S 3215) 연락처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해두어, 발신자인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복수의 전화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 3220) 즉,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선택한 컨텐츠에 대한 파일을 연락처에서 선택한 수신자가 인쇄할 수 있도록, 인쇄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 322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으로써, 전화번호 및 인쇄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송된, 전화 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S 3230)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연결을 위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 3235) 다시 말해서, 관리 서버(200)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와 관리 서버(2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 인쇄 작업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으로써,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3240) 관리 서버(200)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에 포함된, 변환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인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S 3245)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이기 때문에, 인쇄 작업은 관리 서버(200) 측에 등록되어야 함을 도 28에서 설명한 바 있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인쇄 작업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복수 개의 인쇄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인쇄 작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은 삭제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인쇄 작업 등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3250)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등록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인쇄 작업 등록 결과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을 식별하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는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에 포함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S 3255)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을 위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S 3260)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S 3230에서 변환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다시 변환된 전화번호에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과정에 따라,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처리 요청한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을 거쳐, 전화번호의 사용자 계정으로의 변환과 사용자 계정의 전화번호로의 재변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되며,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변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재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수신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등록된 인쇄 작업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에 따라 수행하고자 하는 인쇄 작업을 선택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경우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사용자가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3은 앞에서 설명한 도 32와 클라우드 서버(300)의 종류 차이에 따른 것이므로, 앞에서 설명한 도 32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2에서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305)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인쇄 작업을 위해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 3310)
사용자는 발신자로서 인쇄 작업을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연락처에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S 3315)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S 3320)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 3325)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으로써, 전화번호 및 인쇄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송된, 전화 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S 3330)
이상의 S 3305 내지 S 3330의 내용은 도 32의 S 3205 내지 S 3230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 3335) 다시 말해서,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와 관리 서버(2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에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인쇄 작업이 허용되는지 관리 서버(200)에 판단을 구하는 것이다.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3340) 관리 서버(200)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인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334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및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S 3350)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이기 때문에, 인쇄 작업이 클라우드 서버(300) 측에 등록될 수 있음을 도 29에서 설명한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을 인쇄 작업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등록시킬 수 있다. 동일한 사용자 계정에 복수 개의 인쇄 작업이 존재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만약, 인쇄 작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라면,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된, 인쇄 작업은 삭제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등록된 인쇄 작업에 대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S 3355)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을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 등록된 인쇄 작업에 대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S 3360)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S 3330에서 변환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다시 변환된 전화번호에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과정에 따라,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처리 요청한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을 거쳐, 전화번호의 사용자 계정으로의 변환과 사용자 계정의 전화번호로의 재변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전송됨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되며,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하는 과정 및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변환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재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수신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등록된 인쇄 작업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에 따라 수행하고자 하는 인쇄 작업을 선택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풀 프린팅 방식에 따라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사용자가 인쇄 작업 등록이 있음을 확인하여,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405)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과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인쇄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S 3410)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등록된 인쇄 작업에 관한 인쇄 작업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인쇄 작업을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인쇄 작업의 인쇄에 이용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더 선택할 수 있다.(S 3415)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등록된 화상형성장치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를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S 3420) 즉,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선택한 인쇄 작업을 선택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할 수 있도록,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 수행에 관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 342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신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는 전화번호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쇄 작업을 식별하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화상형성장치를 식별하는 화상형성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송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S 3430)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와 연결을 위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 3435) 다시 말해서, 관리 서버(200)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포함하는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와 관리 서버(2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3440)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인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인쇄 작업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S 3445)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이기 때문에, 인쇄 작업은 관리 서버(200) 측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인쇄 작업이 허용된 경우라면, 관리 서버(200)에 연결된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작업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등록된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 인쇄 작업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사용 가능한 장치로서, 관리 서버(200)에 연결된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에 해당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인쇄 작업 수행 지시를 받고,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 3450)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345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인쇄 작업 수행 결과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서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수행 결과에 포함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S 3460)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을 위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 수행 결과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S 3465)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S 3430에서 변환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다시 변환된 전화번호에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값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3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풀 프린팅 방식에 따라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사용자가 인쇄 작업 등록이 있음을 확인하여,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35는 앞에서 설명한 도 34와 클라우드 서버(300)의 종류 차이에 따른 것이므로, 앞에서 설명한 도 34의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하게 설명하며,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4에서 설명한 내용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505)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인쇄 작업을 선택할 수 있다.(S 3510)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인쇄 작업의 인쇄에 이용하고자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더 선택할 수 있다.(S 3515)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인쇄 작업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S 3520)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 수행에 관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 3525)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송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S 3530)
이상의 S 3505 내지 S 3530의 내용은 도 34의 S 3405 내지 S 3430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 3535)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관리 서버(200)에 수신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에는 사용자 계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관리 서버(200)로 전송함으로써, 인쇄 작업이 허용되는지 관리 서버(200)에 판단을 구하는 것이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와 관리 서버(2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인쇄 작업을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 3540)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이기 때문에, 인쇄 작업은 클라우드 서버(300) 측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S 3540의 인쇄 작업 전송은 S 3535의 관리 서버(200)로 인쇄 작업 허용 요청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이하 S 3545의 관리 서버(200)의 인쇄 작업 허용 여부 판단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 3545)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0)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 계정인지 확인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인쇄 작업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S 3550)
유저 디바이스(100)의 일 예인 화상형성장치(100)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인쇄 작업 수행 지시를 받고,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 3555)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S 3560)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는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호 간 전송되는 데이터는 키(key)를 통해 암호화된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인쇄 작업 수행 결과는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값이 포함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에서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는 인쇄 작업 수행 결과에 포함된 수신자의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S 3565)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연결을 위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 수행 결과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시키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음을 앞에서 살펴본 바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알려줄 수 있다.(S 3570) 이때, 클라우드 서버(300)는 S 3530에서 변환된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다시 변환된 전화번호에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값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통해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연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유저 디바이스의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유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유저 디바이스(100)를 통해 관리 서버(2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전송하는 경우, 유저 디바이스(100), 관리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모바일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살펴본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3605) 다시 말해서,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면, 유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로그인이 우선 필요한데, 사용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유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로그인을 요청해 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400)는 유저 디바이스(100)와 NFC-태깅을 통해 유저 디바이스(100)로 전화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S 3610) 모바일 디바이스(400)와 유저 디바이스(100) 간의 데이터 통신은 NFC-태깅 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통신, Zigbee, bluetooth, WiFi-direct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전화번호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유저 디바이스(100)에 전송함으로써, 유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의 경우, 사용자 계정 기반의 사용자 로그인 및 사용자 인증을 허용하므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서는 관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인증을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유저 디바이스(100)는 전화번호를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유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유저 디바이스(1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한 전화번호를 다시 클라우드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유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S 3615) 이때, 사용자 로그인을 하고자하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S 3620).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가질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를 대신하여, 관리 서버(200)에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유저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을 요청할 수 있다.(S 3625) 이때, 사용자 로그인을 하고자하는 유저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 사용자 계정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 3630) 이를 위하여,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를 가질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계정이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계정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계정이 사용자 계정 데이터베이스(2200)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 로그인을 허용할 수 있다.(S 3635)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유저 디바이스(100)가 복수 개인 경우, 함께 전송된 유저 디바이스(1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요청한 유저 디바이스(100)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유저 디바이스(100)의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유저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7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을 통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인쇄 작업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 그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단계 371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관리 서버(2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저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을 수신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을 수신한 경우, 이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단계 372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에서 판단되므로, 수신된 인쇄 작업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 또는 전화번호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함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73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을 등록할 수 있다. 다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의 종류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이 등록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public)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 인쇄 작업은 관리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반대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private)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 인쇄 작업은 클라우드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 관리 서버(200)에서 인쇄 작업의 허용 요청에 따른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74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400)에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리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인 경우, 관리 서버(200)에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 결과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375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사용자 계정으로부터 변환된 전화번호로 허용된 인쇄 작업의 등록을 알려줄 수 있다.
단계 3710 내지 단계 3750의 과정을 거치면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되며,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사용자 계정을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도 3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8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4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풀 프린트(pull print) 방식으로 인쇄 작업 수행을 요청하는 경우, 그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단계 381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전화번호 및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인쇄 작업을 식별하는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디바이스(400)에서 사용자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는 화상형성장치를 식별하는 화상형성장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382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300)는 모바일 디바이스(400)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서로 대응시킨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가 연계될 수 있다.
단계 383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변환된 사용자 계정에 기초하여,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수신하거나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한 인쇄 작업의 허용을 요청받음으로써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일 경우, 등록된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200)에 있으므로, 변환된 사용자 계정 및 인쇄 작업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변환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인쇄 작업 수행 요청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200)가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일 경우, 등록된 인쇄 작업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있으므로, 변환된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인쇄 작업의 허용을 요청함으로써, 관리 서버(200)가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84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은 인쇄 작업의 허용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허용된 인쇄 작업의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관리 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에 허용된 인쇄 작업의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퍼블릭 클라우드 서버일 경우, 등록된 인쇄 작업이 관리 서버(200)에 있으므로, 관리 서버(200)가 허용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인쇄 작업의 수행을 지시할 수 있다. 반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500)에 포함된 클라우드 서버(300)가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버일 경우, 등록된 인쇄 작업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300)가 허용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인쇄 작업의 수행 지시는 관리 서버(200)가 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200)는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전송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를 거쳐 모바일 디바이스(400)로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전화번호로부터 변환한 사용자 계정을 다시 전화번호로 변환함으로써, 인쇄 작업 수행 결과를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모바일 디바이스(40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3810 내지 단계 3840의 과정을 거치면서, 전화번호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사용자 계정 기반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연계되며, 이를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전화번호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자는 인쇄작업 조건을 클라우드 서버에 설정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는 설정된 인쇄작업 조건에 따라 연결된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인쇄작업을 전송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서 수신자가 인쇄작업을 수신하기 적합하지 않거나 화상형성장치가 인쇄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하지 않은 경우 송신자가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하게 되면, 수신자는 인쇄작업을 확인하지 못하거나 화상형성장치가 인쇄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수신자가 인쇄작업 조건을 설정하고, 클라우드 서버가 설정된 인쇄작업 조건에 따라 연결된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에 인쇄작업을 전송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39 내지 5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9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은 모바일 단말(3900), 클라우드 서버(4000), 화상형성장치(4100) 및 모바일 단말(390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단말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는 노트북, 테블릿, PC, PDA 등 다양한 전자 기기가 모바일 단말을 대체하여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900)에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4000)에 업로드한다. 사용자는 이후에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클라우드 서버(4000)에 요청하여 해당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3905) 또는 화상형성장치(41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0)에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해당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4100)에서 인쇄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4000)에는 사용자별 저장 공간이 마련될 수 있는데, 각각의 사용자의 저장 공간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390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3905)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4000)에 전송한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4000)에서는 모바일 단말(3905)의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맵핑된 사용자의 저장 공간에 인쇄 작업을 저장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3905)을 이용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인쇄요청을 확인한다. 클라우드 서버(40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인쇄 작업을 모바일 단말(3905)로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3905)이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3905)을 이용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 내용을 프리뷰(preview)등을 통해 확인한다. 사용자는 이렇게 확인된 인쇄 작업을 모바일 단말(3905)과 연결된 화상형성장치(4100)에 전송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4000)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 별로 임의의 전화번호를 맵핑시키고, 맵핑된 전화번호를 데이터 전송의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4000)에 화상형성장치 별로 저장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의 저장 공간은 화상형성장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4100)에 대응되도록 전화번호(031-xxx-yyyy)를 맵핑시키고, 맵핑된 전화번호(031-xxx-yyyy)를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900)을 이용하여 맵핑된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4000)에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4000)는 화상형성장치(4100)의 저장 공간에 인쇄 작업을 저장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00)는 저장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4100)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4100)에서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41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4000)에 있는 화상형성장치(4000)의 저장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40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공간에 저장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40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000)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3905)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화상형성장치(4100)를 맵핑시키고, 맵핑된 전화번호를 데이터 전송의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000)는 사용자별 저장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이와 함께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3905)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사용자별 저장공간을 맵핑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3900)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3905)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4000)에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4000)는 인쇄 작업을 사용자의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클라우드 서버(4000)는 저장공간에 저장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4100)에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41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에서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에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모바일 단말(3905)의 사용자가 부재중인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인 경우에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임의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맵핑된 화상형성장치(4100)에 인쇄 작업이 전송될 때, 화상형성장치(4100)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화상형성장치가 고장난 경우 또는 컬러로 인쇄하기를 원하는데 화상형성장치가 흑백만을 지원하는 경우,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도 4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3900), 클라우드 서버(4000) 및 화상형성장치(41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3900)은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4000)에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40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에 따라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들 중 하나의 화상형성장치(4100)을 선택한다. 클라우드 서버(400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4100)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41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3900)은 전송부(3910), 수신부(3920) 및 제어부(3930)를 포함한다.
전송부(391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송부(3910)는 인쇄 작업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부(3920)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393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도록 전송부(39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 단말(39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930)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로부터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클라우드 서버(4000)에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전송부(3910)를 제어한다.
클라우드 서버(4000)는 수신부(4010), 전송부(4020), 제어부(4030), 조건 설정부(4040) 및 선택부(4050)를 포함한다.
수신부(4010)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401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수신부(4010)는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4010)는 ARS 커넥터를 포함하고 있어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ARS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402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전송부(4020)는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030)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도록 수신부(401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4030)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도록 수신부(40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30)는 선택된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작업을 전송하도록 전송부(40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30)는 모바일 단말(3900)로부터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수신부(40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30)는 ARS 서버로부터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수신부(40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30)는 수신된 인쇄 작업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하도록 조건 설정부(4040)를 제어할 수 있다.
조건 설정부(4040)는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하고, 선택부(4050)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4050)는 조건 설정부(4040)에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여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작업을 수신하기 적합한 인쇄 작업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선택부(4050)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작업을 수신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와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조건 설정부(4040)에 미리 지정된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선택부(4050)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을 전송하도록 전송부(4020)를 제어하고, 전송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수신부(4010)를 제어하여, 인쇄 작업을 수신하기 적합한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선택부(4050)는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capability) 정보를 확인하여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여기서 캐어퍼빌리티 정보는 화상형성장치의 현재 상태 또 화상형성장치의 칼라/흑백인쇄 지원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4050)는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도록 수신부(4010)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부(4050)는 수신부(4010)에서 수신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여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인지 판단한다. 또한 선택부(4050)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확인하여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와 다른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조건 설정부(4040)에 미리 지정된 화상형성장치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4100)는 수신부(4110), 전송부(4120), 제어부(4130) 및 인쇄 작업 수행부(4140)를 포함한다.
수신부(4110)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411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또는 수신부(4110)는 화상형성장치(4100)에 대한 캐이퍼빌리티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4110)는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412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송부(4120)는 화상형성장치(4100)에 대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4120)는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에 따른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130)는 수신부(4110) 및 전송부(4120)를 제어한다. 제어부(4130)는 인쇄 작업 수행부(4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30)는 서버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도록 수신부(4110)를 제어한다. 제어부(4130)는 화상형성장치(4100)에 대한 캐이퍼빌리티 정보의 요청 또는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수신부(4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30)는 화상형성장치(4100)에 대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00)에 전송하도록 전송부(41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30)는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도록 전송부(4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인쇄 작업 수행부(4140)는 수신부(411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작업을 바로 수신하여 수행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전자 기기에 먼저 인쇄 작업이 전송되고, 화상형성장치는 전자 기기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4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버에 인쇄 작업 조건을 미리 설정하고, 서버에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에 따라 적절한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도 4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S4101, S4102 및 S4103 단계에서 서버에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한다.
S4101 단계에서, 사용자 B는 자동 포워딩(Forwarding) 조건을 설정한다. 이 때, 자동 포워딩 조건이란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된 전자 기기 중에 인쇄 작업을 전송할 전자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 포워딩 조건은 모바일 단말이 인쇄 작업을 수신하기 적합하지 않거나 프린터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하지 않은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 포워딩 조건과 함께 자동 포워딩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쇄 작업이 전송될 전자 기기를 지정해둘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app)을 통하여 설정 하거나, 화상형성장치의 UI를 통하여 설정하거나, 전화자동응답서비스(ARS)를 통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B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10일 9시-11일 18시 중에 클라우드 서버(4000)에 수신되는 인쇄 작업이 키오스크(Kiosk) C로 전송되도록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와 함께 사용자B는 외근 중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4000)에 수신되는 인쇄 작업이 키오스크 C로 전송되도록 조건을 설정하였다. 이 때, 사용자 B는 사용자 B의 전화번호(010-AAAA-BBBB)를 목적지로 하여 클라우드 서버(4000)에 수신되는 인쇄 작업에 한하도록 설정한다.
S4102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00)는 설정된 자동 포워딩 조건에 따라 인쇄 작업을 키오스크 C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C에 승인 요청할 수 있다.
S4103 단계에서, 키오스크 C는 클라우드 서버(4000)의 승인 요청에 대해 승인하는 응답을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에서 응답을 수신하면, 서버에서는 사용자 B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수신되는 인쇄 작업에 대한 자동 포워딩 조건 설정이 완료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S4102 단계, S4103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4000)는 자동 포워딩 조건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42 를 참조하면, S4104 내지 S4108 단계에서, 사용자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4000)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4000)는 적절한 프린터에 인쇄 작업을 전송하여, 프린터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S4104 단계에서, 사용자 A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010-AAAA-BBBB)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S4105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00)는 S4101-S4103단계에서 설정된 포워딩 조건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A에 의해 인쇄 작업이 전송된 시점은 10일 10시이다. 서버는 설정된 자동 포워딩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한다. 서버는 키오스크 C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사용자A에게 전송할 수 있다.
S4106 단계에서, 사용자 A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키오스크 C로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것을 승인하는 메시지를 서버에 전송한다.
S4107 단계에서, 서버는 키오스크 C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키오스크 C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4108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키오스크 C로 인쇄 작업이 수행된 후에, 키오스크 C에서 인쇄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을 전송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4000)가 키오스크 C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때, 사용자 A에게 별도의 승인 요청을 전송하지 않고 키오스크 C로 바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인쇄 작업 조건을 서버에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앱을 실행하고, 자신의 전화번호 및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인쇄 작업이 배분될 전화번호를 선택한다. 또한 사용자는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한다. 인쇄 작업 조건은 시간에 따라(몇일부터 몇일까지),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부재중인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화상형성장치 고장 여부, 화상형성장치의 컬러 인쇄 지원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은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 UI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에 할당된 전화번호, 인쇄 작업이 배분될 전화번호 및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하고,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을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2의 (b)를 참조하면 ARS를 통하여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ARS 대표번호로 전화를 건다. 전화를 받는 ARS 서버는 음성으로 안내를 하게 되며, 사용자는 전화기의 버튼을 눌러 설정을 한다. 이러한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모바일 앱의 경우와 유사하다. 설정이 완료되면, 인쇄 작업 조건은 클라우드 서버의 ARS 커넥터를 통하여 ARS서버에서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 된다.
도 43 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가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 및 인쇄 작업을 요청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3을 참조하면, 인쇄 작업을 보내는 발신자A는 도 42의 수신자B와 유사하게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발신자 A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기에 앞서 인쇄 작업 조건을 미리 설정한다. 즉, 발신자 A는 작업을 보내기에 앞서 보내고자 하는 인쇄장치 그룹의 전화번호들을 설정한다. 모바일 앱 또는 ARS를 통하여, 오피스(Office) B,C,D의 화상형성장치 전화번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발신자 A는 즉시 인쇄 작업 수행 및 칼라 문서로 인쇄 작업이 수행될 것을 인쇄 작업 조건으로 하여 클라우드 서버(4000)에 설정한다.
S4301 단계에서, 발신자A는 하나의 그룹으로 오피스 B,C,D의 화상형성장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그룹으로 설정된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점검함으로써 발신자 A가 설정한 인쇄 작업 조건에 부합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확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재 상태가 인쇄 불가이고, 오피스 C의 화상형성장치는 칼라 인쇄 옵션을 지원하지 않으며, 오피스 D의 화상형성장치가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각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4302, S4304 및 S4306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상태를 점검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각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S4303, S4305및 S4307 단계에서 캐이퍼빌리티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S4308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오피스 D의 화상형성장치를 선택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오피스 D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도 44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B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앱을 실행하여 인쇄 작업 조건을 미리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B는 자신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되는 인쇄 작업에 대해 포워딩될 전화번호를 사용자 C(010-CCCC-DDDD)로 설정하였다. 또한 사용자 B는 사용자 B가 집에 부재중인 경우에 인쇄 작업이 포워딩될 수 있게 설정하였다.
S4401단계에서, 사용자A는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B의 전화번호(010-AAAA-BBBB)를 목적지로 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S4402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B의 모바일 단말에 인쇄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S4403 단계에서, 사용자B의 모바일 단말은 인쇄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에 대응하여, 집에 부재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S440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B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B가 집에 부재중임을 확인하고, 사용자C의 모바일 단말에 인쇄 작업 승인 요청을 전송한다.
S4405 단계에서, 사용자 C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승인 요청에 대해 승인하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S4406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C의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맵핑시킨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S4407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 C의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된 인쇄 작업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사용자 A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5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의 UI를 통해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하고, 클라우드 서버로 설정된 인쇄 작업 조건을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인쇄 작업 조건을 저장하였다고 한다. 이 때, 사용자는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가 고장난 경우 오피스 C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하도록 인쇄 작업 조건을 설정하였다고 한다.
S4501 단계에서, 사용자 A는 자신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의 전화번호(031-AAA-BBBB)를 목적지로 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S4502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에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을 전송한다.
S4503 단계에서,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작업 조건을 확인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화상형성장치가 고장났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한다.
S450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수신된 메시지를 통해 오피스 B의 화상형성장치가 고장났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는 오피스 C의 화상형성장치의 전화번호(031-CCC-DDDD)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즉, 클라우드 서버는 오피스 C의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오피스 C의 화상형성장치는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4600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 요청을 수신한다.
S46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연결된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를 선택한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확인하여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와 다른 전자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와 다른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S46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된 전자 기기로 인쇄 작업 요청을 전송한다.
도 47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47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고 그룹으로 인쇄 작업 요청을 수신한다.
S47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S47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된 전자 기기로 인쇄 작업 요청을 전송한다.
도 4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4800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고 그룹으로 인쇄 작업 요청을 수신한다.
S48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서 인쇄 작업 요청을 수신하기 적합한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48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전자 기기에서 인쇄 작업 요청을 수신하기 적합한 조건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다른 전자 기기를 선택한다. 이 때,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와 다른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자 기기일 수 있다.
S48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된 전자기기로 인쇄 작업 요청을 전송한다.
도 4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49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인쇄 작업 조건을 서버에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 또는 호스트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서버에 조건을 설정하거나, ARS로 서버와 연결된 ARS 서버에 전화를 걸어 서버에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S49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작업요청을 수신한다.
S49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연결된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S49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된 전자 기기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도 5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50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고 그룹으로 인쇄 작업 요청을 수신한다.
S50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확인하여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의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캐이퍼빌리티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조건을 확인하여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가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적합한 조건인지 판단할 수 있다.
S5020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S50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선택된 전자 기기로 인쇄 작업 요청을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자가 목적지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인쇄작업을 인쇄작업의 수명 정보와 함께 한번만 전송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인쇄작업의 수명 정보에 따라 전자 기기에 인쇄작업을 전송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서 송신자는 목적지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인쇄작업을 전송하기 위해 여러 번 동일한 인쇄작업을 전송하였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송 트래픽을 유발하고, 동일한 인쇄작업을 여러 저장공간에 개별적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저장공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자가 목적지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인쇄작업을 인쇄작업의 수명 정보와 함께 한번만 전송하면 클라우드 서버가 인쇄작업의 수명 정보에 따라 컨텐츠가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 기기에 인쇄작업을 전송하여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51 내지 도 6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1a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a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은 모바일 단말(5100), 클라우드 서버(5200), 화상형성장치(5300-5302)를 포함한다. 다만 모바일 단말(5100)에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는 노트북, 테블릿, PC, PDA 등 다양한 전자 기기가 모바일 단말(5100)을 대체하여 모바일 단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5100)을 이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5200)에 업로드한다. 사용자는 이후에 원하는 시간, 장소에서 클라우드 서버(5300)에 요청하여 해당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5200)는 화상형성장치 별로 임의의 전화번호를 맵핑시키고, 맵핑된 전화번호를 데이터 전송의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5200)에 화상형성장치 별로 저장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각각의 화상형성장치의 저장 공간은 화상형성장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5300)에 대응되도록 전화번호(031-xxx-yyyy)를 맵핑시키고, 맵핑된 전화번호를 목적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5100)을 이용하여 맵핑된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5200)에 요청하면, 클라우드 서버(5200)는 화상형성장치(5300-5302)의 저장 공간에 인쇄 작업을 저장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5200)는 저장된 인쇄 작업을 화상형성장치(5300-5303)로 전송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5300-5302)에서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5200)는 전화번호 별로 인쇄 작업 공간을 마련하고, 클라우드 서버(5200)는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에 대응되게 프린터를 맵핑시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모바일 단말 전화번호의 저장공간에 대응되게 A 프린터를 맵핑시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자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의 저장공간은 그 단말을 사용하는 사용자A에 의해 접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A내지 C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하려고 한다. 이때, 각 사용자에 대한 모바일 단말 전화번호의 저장공간에 각 프린터를 맵핑시켜 설정하였다고 가정한다.
S5101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A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5200)에 전송한다.
S5102 단계에서, 사용자는 B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S5103 단계에서, 사용자는 C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52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전화번호별로 마련된 저장공간에 인쇄 작업을 저장한다. 이 때, 인쇄 작업에 포함된 인쇄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각각의 인쇄 작업은 목적지만 달리할 뿐, 인쇄하려는 파일은 동일하다. 하지만 개별적으로 인쇄 작업을 요청하였기 때문에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에 개별적으로 같은 인쇄파일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인쇄파일 “a.doc”파일을 인쇄 요청하였기 때문에 인쇄파일 “a.doc”파일이 전화번호별 사용자의 저장공간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적지만을 달리하는 인쇄 작업을 여러 번 전송하게 되어, 불필요한 전송 트래픽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에 동일한 인쇄파일을 개별적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저장공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51b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S5111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A내지 C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520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5200)는 인쇄 작업에 포함된 인쇄파일을 하나만 저장하고, 인쇄횟수를 인쇄파일에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횟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되는 형태는 인쇄파일과 인쇄횟수를 맵핑시킨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doc”파일에 대응되게 인쇄횟수 “3”을 맵핑시킨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5200)는 도 51a와 달리, 하나의 저장된 인쇄파일을 참조하는 형태로 전화번호에 맵핑시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저장되는 형태는 인쇄파일 참조를 전화번호에 맵핑시킨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파일 “a.doc”를 가리키는 인쇄파일 참조 및 전화번호를 맵핑시킨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전화번호는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에 대응되게 맵핑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이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동일한 인쇄파일에 대한 인쇄 작업을 전송할 때, 하나의 인쇄 작업만을 전송하여 불필요한 전송 트래픽을 유발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는 동일한 인쇄파일에 대해 한번만 저장하기 때문에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을 불필요하게 낭비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5200)는 수신부(5210), 저장부(5220), 판단부(5230), 전송부(5240) 및 제어부(52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5200)는 인쇄 작업을 외부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인쇄 작업의 수명에 따라 인쇄 작업이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수신부(521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부(524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521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전송부(5240)는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저장부(522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5220)는 컨텐츠 및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을 저장한다.
판단부(5230)는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에 따라 컨텐츠가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5250)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도록 수신부(5210)를 제어한다. 제어부(5250)는 인쇄 작업에 포함된 컨텐츠를 하나의 파일로서 저장하도록 저장부(52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5250)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작업의 수명을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을 저장하도록 저장부(5240)를 제어한다. 제어부(5250)는 판단부(52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하도록 전송부(524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5250)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가능 횟수를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작업의 인쇄 가능 횟수를 저장하도록 저장부(5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5230)는 인쇄 가능 횟수가 0이 아닌 경우, 컨텐츠가 전송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50)는 컨텐츠가 전송된 경우, 인쇄 가능 횟수를 조정하도록 저장부(52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50)는 인쇄 가능 횟수가 0인 경우,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50)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가능 기간을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작업의 인쇄 가능 기간을 저장하도록 저장부(5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판단부(5230)는 인쇄 가능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인쇄 가능 기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가 전송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250)는 인쇄 가능 기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5250)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수신부(5210)를 제어한다. 판단부(5230)는 요청이 수신되면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에 따라, 컨텐츠를 요청한 전자 기기로 전송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제어부(5250)는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요청한 전자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전송부(5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50)는 컨텐츠에 대응되게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 맵핑시켜 저장하도록 저장부(5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50)는 적어도 하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인쇄 작업이 전송된 경우, 저장된 전화번호 중 전송된 목적지 전화번호를 삭제하도록 저장부(5220)를 제어한다. 제어부(5250)는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전송부(52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전자 기기에 여러 번 중복되어 컨텐츠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컨텐츠에 대응되게 전화번호를 맵핑시키는데 제한되지 않고, 제어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목적지에 대한 인쇄 작업에서 컨텐츠를 한번만 저장하고, 각각의 목적지에서 한번씩 인쇄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50)는 인쇄 가능 횟수가 인쇄 작업의 목적지인 전화번호의 개수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저장되도록 저장부(5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5250)는 인쇄 가능 횟수를 3으로 설정되고 저장되도록 저장부(5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5100), 클라우드 서버(5200) 및 화상형성장치(5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 포함된 모바일 단말(5100)은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5200)에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52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이러한 인쇄 작업의 수명을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5300)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530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5100)은 수신부(5110), 전송부(5120), 제어부(5130) 및 저장부(5140) 및 사용자 입력 수신부(5150)를 포함한다.
수신부(511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부(512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514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5140)는 컨텐츠를 저장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5150)는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515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신부(5150)는 저장부(5140)에 저장된 컨텐츠 중 인쇄요청에 포함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130)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입력 및 인쇄 작업에 포함될 컨텐츠를 선택하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사용자 입력 수신부(5150)를 제어하고, 수신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도록 전송부(5120)를 제어한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5200)는 도 52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5200)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화상형성장치(5300)는 수신부(5310), 전송부(5320), 인쇄 작업 수행부(5330) 및 제어부(5340)를 포함한다.
수신부(5310)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전송부(5320)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5310)는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전송부(5320)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340)는 클라우드 서버(5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수신부를 제어한다. 제어부(5340)는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5200)로 전송하도록 전송부(5320)를 제어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클라우드 서버(5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수신부(5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쇄 작업 수행부(5330)는 수신부(5310)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기초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컨텐츠를 바로 수신하여 수행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과 같은 전자 기기에 먼저 컨텐츠가 전송되고, 화상형성장치는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4은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서 그룹 설정 및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4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복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그룹을 설정할 수 있고,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그룹 설정 및 인쇄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그룹을 설정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인쇄요청 화면(5400)에서 그룹설정(5430)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그룹관리 화면(5410)에서 추가(5411)를 선택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그룹추가 화면(5420)에서 그룹이름 입력란(5421) 및 전화번호 입력란(5422)에 각각 생성할 그룹의 이름 및 그룹에 포함될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전화번호 “010-1111-1111” 및 “010-2222-2222”를 포함하는 “학습지 A그룹”을 생성한다. 입력한 후에, 사용자는 추가(5023)를 선택하여 그룹을 생성한다. 그룹관리 화면(5410)에서 “학습지 A그룹”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인쇄요청 화면(5400)에서 목적지 입력(5401)에 목적지 전화번호 또는 그룹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 “010-1111-1111”, “회사”그룹 및 “삼성아파트” 그룹을 입력하였다. 그 후에 사용자는 인쇄(5402)를 선택하면 목적지 입력(5401)에서 입력된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5 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과정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목적지 선택 화면(5500)에서 체크표시를 통해 전송될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인쇄 작업의 목적지로 “MY COMPANY”그룹을 선택하였다.
사용자는 이후에 표시되는 컨텐츠 타입 선택 화면(5510)에서 컨텐츠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문서를 인쇄하기 위해 “Documents”를 선택하였다.
사용자는 이후에 표시되는 인쇄파일 선택 화면(5520)에서 인쇄할 파일을 선택한다. 인쇄파일 선택 화면(5520)에는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다양한 파일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체크표시를 통해 이 중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쇄 작업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는 프리뷰 화면(5530)을 통해 인쇄할 데이터를 미리 확인하고,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6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일 형태인 HTTP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에서 인쇄 작업을 전송하는 일 형태인 HTTP 패킷(5600)에는 요청 URL(5610), 전화번호(5620) 및 인쇄파일(5630)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전화번호 “010-0000-0000”, “010-1111-1111” 및 “010-2222-2222”를 목적지로 하여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인 “http://xx.xx.xx.xx/transmit/”에 인쇄파일 “document.doc”에 대한 인쇄 작업을 전송한다고 한다.
모바일 단말은 요청 URL(5610)을 클라우드 서버의 주소인 http://xx.xx.xx.xx/transmit/”로 하여 HTTP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목적지 전화번호(5620)를 인쇄 작업이 전송될 전화번호 “010-0000-0000”, “010-1111-11111” 및 “010-2222-2222”로 하여 HTTP 패킷을 생성한다. 또한 인쇄파일(5630)을 “document.doc”로 하여HTTP패킷을 생성한다. 모바일 단말은 위와 같은 요청 URL(5610), 전화번호(5620) 및 인쇄파일(5630)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한 HTTP 패킷을 생성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전송하는 형태로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다만 HTTP 패킷 형태로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데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 및 카운트 테이블, 전화번호 및 자료 참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는 자료 및 카운트 테이블(5700) 및 전화번호 및 참조 테이블(5710)을 저장하고 있고, 이러한 테이블(5700,5710)을 이용하여 수신된 작업 요청을 관리할 수 있다.
자료 및 카운트 테이블(5700)은 “파일 이름” 및 “인쇄 가능 횟수”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외부로부터 3개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image.jpg”파일을 인쇄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자료 및 카운트 테이블(5700)의 하나의 행에서 “파일 이름”은 인쇄하려는 파일인 “image.jpg” 및 “인쇄가능 횟수”는 “3”으로 하여 저장된다.
전화번호 및 자료 참조 테이블(5710)은 “전화번호” 및 “문서 참조”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 때 전화번호는 전화번호별 저장공간에 대응되어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외부로부터 3개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image.jpg”파일을 인쇄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전화번호 및 참조 테이블(5710)에서 “문서 참조”는 인쇄하려는 파일인 “image.jpg”로 한다. 한편 전화번호 및 참조 테이블(5710)에서 “전화번호”는 목적지로 하는 각각의 전화번호로 하여 3행으로 저장된다.
이 때, 인쇄하려는 파일인 “image.jpg”는 클라우드 서버에 하나만이 저장된다. 즉, 클라우드 서버는 “image.jpg” 파일을 전화번호 별로 저장해두지 않는다. 따라서 “문서 참조”및 “파일 이름”에 표현된 “image.jpg”는 저장된 하나의 “image.jpg”를 가리키고 있다고 당업자는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즉 “문서 참조” 및 “파일 이름”은 저장된 문서 파일에 대응되게 맵핑될 수 있다.
도 58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인쇄 작업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a를 참조하면, S5810 단계에서, 프린터가 “image.jpg”에 대한 인쇄 작업을 요청한다. S5820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image.jpg” 파일을 프린터에 전송한다. 이 때, 인쇄 작업을 요청한 프린터에 대응되어 설정된 전화번호가 “010-4444-4444”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버(5200)는 전화번호 및 문서참조 테이블(5810)에서 전화번호가 “010-4444-4444”이고, 문서 참조가 “image.jpg”인 행을 삭제한다. 그러고 나서 자료 및 카운트 테이블(5800)에서 파일 이름이 “image.jpg”인 행의 “인쇄 가능 횟수”를 하나 감소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쇄 가능 횟수”가 3에서 2로 감소된다.
도 58b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인쇄 작업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8b를 참조하면, S5830 단계에서, 프린터가 “document.doc”에 대한 인쇄 작업을 요청한다. S58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document.doc” 파일을 프린터에 전송한다. 이 때, 인쇄 작업을 요청한 프린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010-4444-4444”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버는 전화번호 및 문서 참조 테이블(5830)에서 “문서 참조”가 “document.doc” 파일이고, 전화번호가 “010-4444-4444”인 행을 삭제한다. 도 5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 및 문서 참조 테이블(5830)은 클라우드 서버가 이러한 행을 삭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후에 클라우드 서버는 파일이름 및 카운트 테이블(5840)에서 “문서 파일”이 “document.doc”인 행의 “인쇄 가능 횟수”를 하나 감소시킨다. 이 때, 감소된 인쇄 가능 횟수는 0이므로, 테이블(5840) 상에서 “문서 파일”이 “document.doc”인 행을 삭제한다.
도 5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 전화번호 및 자료 참조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9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는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5900) 및 전화번호 및 참조 테이블(5910)을 저장하고 있고, 이러한 테이블(5900,5910)을 이용하여 수신된 작업 요청을 관리할 수 있다.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5900)은 “파일 이름”, “인쇄 가능 기간” 및 “등록 일시”를 맵핑하여 저장하고 있다. 이 때, “인쇄 가능 기간”은 클라우드 서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괄적으로 인쇄 가능 기간을 2일로 설정해 두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 외부로부터 3개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image.jpg”파일을 인쇄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5900)의 하나의 행에서 “파일 이름”은 인쇄하려는 파일인 “image.jpg” 및 “인쇄 가능 기간”는 “2일”로 하여 저장된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에 인쇄 작업이 등록(저장)될 때, 그 일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여, 등록 일시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록 일시가 “2013-12-02”라고 한다.
도 60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에서 인쇄 작업이 있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가 저장된 인쇄 작업을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0을 참조하면, S6010 단계에서, 프린터가 “image.jpg”에 대한 인쇄 작업을 요청한다. 이 때, 인쇄 작업을 요청한 프린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010-4444-4444”라고 한다. 클라우드 서버(5200)는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6000)에서 파일 이름이 “image.jpg”인 행의 “인쇄 가능 기간”을 확인한다. 인쇄 작업한 시점이 2013-12-03인 경우, 등록일시 “2013-12-02”로부터 인쇄 가능 기간인 2일이 도과한 상태가 아님을 확인한다. 따라서 S60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는 인쇄 작업을 프린터에 전송한다.
다만 인쇄 작업한 시점이 “2013-12-05”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는 등록일시 이미 인쇄 가능 기간이 도과한 상태임을 확인한다. 따라서 이 때는, S6020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자료 및 인쇄 가능 기간 테이블(6000)에서 “파일 이름”이 “image.jpg”인 행을 삭제한다. 이 때, 이와 연관된 전화번호 및 파일 참조 테이블(6010)에서 파일 참조가 “image.jpg”인 행을 함께 삭제할 수 있다.
도 6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6100 단계에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S611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작업에 포함된 컨텐츠를 하나의 파일로서 저장한다.
S6120 단계에서, 서버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작업의 수명을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을 저장한다.
S6130 단계에서, 서버는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에 따라 인쇄 데이터가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 기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설정된 인쇄 작업의 수명에 따라 컨텐츠를 요청한 전자 기기로 전송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S6130 단계에서, 서버는 판단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이 때, 서버는 판단된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요청한 전자 기기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2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6200 단계에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S621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작업에 포함된 컨텐츠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한다.
S6220 단계에서, 서버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가능 횟수를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가능 횟수를 저장한다. 이 때, 인쇄 가능 횟수는 인쇄 작업의 목적지인 전화번호의 개수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S623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가능 횟수가 0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가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버는 인쇄 가능 횟수가 0이 아닌 경우, 컨텐츠가 전송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6240 단계에서, 판단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한편, 컨텐츠가 전송된 경우, 인쇄 가능 횟수를 추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인쇄 가능 횟수가 0인 경우,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도 63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6300 단계에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S631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작업에 포함된 컨텐츠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한다.
S6320 단계에서, 서버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가능 기간을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가능 기간을 저장한다.
S633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가능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를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서버는 인쇄 가능 기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가 전송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6340 단계에서, 서버는 판단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복수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한다.
한편, 서버는 인쇄 가능 기간이 경과한 경우, 해당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도 64 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6400 단계에서, 서버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S641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작업에 포함된 컨텐츠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한다.
S6420 단계에서, 서버는 저장된 컨텐츠에 대응되도록 인쇄 가능 횟수를 맵핑시켜 설정하고, 설정된 인쇄 가능 횟수를 저장한다.
S6430 단계에서, 서버는 컨텐츠에 대응되게 복수의 전화번호를 각각 맵핑시켜 저장한다.
S6440 단계에서, 서버는 인쇄 가능횟수가 0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컨텐츠를 전송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S6450단계에서, 서버는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전자 기기에 컨텐츠를 전송한다.
S6460 단계에서, 서버는 전송된 경우, 전송된 목적지 전화번호를 삭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자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자에게도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고, 이때, 비가입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보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고 가입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었다. 따라서 송신자는 수신자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가 아니면 인쇄될 컨텐츠를 전달하지 못하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사용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을 하여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자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자에게도 인쇄될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고, 이때, 비가입자에게 초대 메시지를 보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가입을 유도하고 가입시에 전달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65 내지 도 8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6500), 클라우드 서버(6600) 및 디바이스(67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65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클라우드 서버(6600)에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하고,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며, 컨텐츠를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 디바이스(6700)는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한 서버 등록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6600)에 전송하게 되고,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저장된 컨텐츠를 디바이스(6700)에 전송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6500)의 사용자는 서버에 전송될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컨텐츠 및 전송될 전화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6600)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와 맵핑된 디바이스(6700)의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6600)로부터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서버 등록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6600)에 전송한다. 전송된 서버 등록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다. 따라서 비가입자가 손쉽게 전화번호에 기반한 프린팅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6700)의 사용자는 등록과 함께, 등록 이전에 저장된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6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6700)의 전화번호가 등록되기 전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되어, 끊김 없는(seamless) 서비스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디바이스(6500)의 사용자는 전송될 전화번호가 클라우드 서버(6600)에 등록되었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디바이스(6500)의 사용자는 컨텐츠가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송될 것이라는 신뢰를 가질 수 있다.
도 65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65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510) 및 제어부(65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51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510)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652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51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6520)는 클라우드 서버(6600)로부터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클라우드 서버(6600)에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51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6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66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610), 제어부(6620), 판단부(6630) 및 저장부(664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61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61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6700)로 저장부(664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저장부(6640)는 컨텐츠 및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6640)는 사용자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판단부(66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610)에서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판단부(6630)는 저장된 컨텐츠가 저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을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620)는 판단부(6630)의 판단 결과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라면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한 서버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610)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620)는 컨텐츠를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도록 저장부(664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6620)는 판단부(6630)에서 저장된 컨텐츠가 일정 기간을 도과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도록 저장부(66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6600)는 인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미도시)는 서버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제어부(662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게 복수의 전화번호를 매핑시켜 등록하도록 저장부(66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620)는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디바이스(6600)에 전송하고, 디바이스(6600)으로부터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 응답에 기초하여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610)를 제어할 수 있다.
디바이스(67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710) 및 제어부(6720)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710)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710)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하여 서버 등록 요청을 전송한다.
제어부(6720)는 서버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고,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하여 서버 등록 요청을 전송하고,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710)를 제어한다.
디바이스(6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미도시)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하여 서버 등록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바이스(6700)는 인쇄작업 수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작업 수행부(미도시)는 수신된 컨텐츠를 인쇄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6700)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은 USIM 칩 등에 고유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어 해당 전화번호로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서버에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인 경우라도 MMS 등을 이용하여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66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과 연결된 화상형성장치로 바로 컨텐츠를 전송하여 인쇄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화상형성장치를 맵핑시켜 등록하여, 클라우드 서버(6600)에서 맵핑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도록 모바일 단말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로 전송 요청을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바이스(6700)는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인쇄작업 수행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용 화상형성장치인 키오스크(kiosk)인 경우, 고유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전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어, 클라우드 서버(200)는 화상형성장치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서버 등록 요청을 하여 해당 화상형성장치를 등록하고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6600)는 도 65에 도시된 클라우드 서버(66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에서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6710 단계에서, 사용자 디바이스(65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클라우드 서버(6600)에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S67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S6730 단계에서,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디바이스(6700)는 클라우드 서버(6600)로부터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수신한다.
S67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를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
S6750 단계에서, 디바이스(6700)는 수신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응답하여 클라우드 서버(6600)로 서버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S676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670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68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S68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6820 단계에서,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를 전화번호에 맵핑되도록 저장한다.
S68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디바이스(6700)로 전송한다.
S68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한 서버 등록 요청을 디바이스(6700)로부터 수신한다. 수신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6700)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S68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컨텐츠를 등록된 전화번호에 맵핑되도록 저장한다.
S686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도 69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69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S69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6920 단계에서,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를 전화번호에 맵핑되도록 저장한다.
S69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S69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한 서버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S69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
S6960 단계에서,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이 성공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디바이스(6700)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하여 등록한다.
S697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된 디바이스(6700)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S698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2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라고 판단되면, 컨텐츠를 등록된 전화번호에 맵핑되도록 저장한다.
S699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6700)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도 70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70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S70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S7020 단계에서,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가 아니라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를 전화번호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
S70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6700)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S70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한 서버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S70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
S706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디바이스(6700)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하여 등록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전화번호를 사용자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매핑하여 등록한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6600)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등록할 수 있다.
S707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3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된 디바이스(6700)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S708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라면, 컨텐츠를 등록된 전화번호에 맵핑되도록 저장한다.
S709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된 디바이스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전화번호를 매핑하게 등록하게 되면,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인증을 통해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6600)는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자신의 전화번호로 수신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경우에,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컨텐츠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전화번호가 맵핑되었더라도,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컨텐츠만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복수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미리 설정해둘 수 있다.
도 71 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S71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 및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S71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S71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서버에 등록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전화번호에 맵핑되도록 수신된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S71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6700)로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를 전송한다
S71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가 저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도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S71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가 저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기간이 도과되지 않았다고 판단되고, 서버 등록 유도 메시지에 대응한 서버 등록 요청을 디바이스(6700)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된 디바이스(6700)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S7160 단계에서, 수신된 전화번호가 서버에 등록된 전화번호라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컨텐츠를 등록된 전화번호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
S717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매핑된 디바이스로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S718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저장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이 도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도 7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로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6600)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6600)에서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가 등록되지 않은 전화번호라고 판단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사용자 디바이스(6500)에 메시지(7210)를 전송한다. 메시지(7210)는 컨텐츠가 전송될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상대방에게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7210)에서 OK(7215)를 선택하면,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전송될 전화번호로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6600)는 디바이스(6700)에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전송한다. 디바이스(6700)는 휴대용 단말과 같이 고유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클라우드 서버(6600)가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디바이스(6500)가 모바일 단말인 경우, SMS 형태의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를 직접 디바이스(6700)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6700)는 서비스 가입 초대 메시지(7220)에 표시된 주소에서 어플레이케이션을 다운 받아 설치하여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서비스 가입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66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6600)에 서비스 가입 요청을 할 수 있다.
도 7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비가입자가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해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3의 (a)를 참조하면, 여기서 디바이스(6700)는 모바일 단말이다. 즉 모바일 단말은 고유의 전화번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에서 SMS를 수신하여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6700)는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하기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클라우드 서버(6600)에 인증번호를 요청(7310)한다.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6600)는 PIN 코드를 생성한다. 클라우드 서버(6600)는 생성된 PIN 코드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송된 PIN 코드를 확인하여 PIN 코드를 입력하고 인증(7320)을 선택하면 디바이스(6700)는 클라우드 서버(6600)에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생성된 PIN코드가 비교하여 같은지를 확인한다. 생성한 PIN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다.
도 73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을 입력란(7330)에 입력하고 나서, 비밀번호를 입력란(7340)에 입력하고 로그인(7350)를 선택하면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6600)에 전송하여 인증 요청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 “samsung”을 입력란(7330)에 입력하고, 비밀번호 4자리 “****”를 입력란(7340)에 입력하고 로그인(7350)을 선택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클라우드 서버(6600)는 저장된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의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완료한다.
도 7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6600)의 일부인 API 서버에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4를 참조하면, S7410단계에서, 디바이스(6700)는 API 서버에 PIN 코드 인증을 요청한다.
S7420 단계에서, API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시 계정을 같이 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는 디바이스(6700)를 이용하여 API 서버에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과 함께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같이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고, API 서버는 전화번호 인증시 계정을 같이 전달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같이 수행하려는지를 확인한다.
S7430 단계에서, 만약 전화번호 인증시 사용자 계정을 같이 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API 서버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API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할 때, 계정에 대한 인증을 함께 요청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API 서버는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S7440 단계에서, API 서버에서 전화번호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등록된 전화번호가 계정과 연동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S7450 단계에서, 등록된 전화번호가 계정과 연동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API 서버는 디바이스(6700)에 연동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것인지 사용자 디바이스(6500)에 요청한다. 이 때,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것을 나타내는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얻기 위해 해당 계정을 함께 전달하여 인증 서버에 요청한다. 반면, 해당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겠다는 것을 나타내는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계정 없이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 계정을 전달하지 않고,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얻기 위해 인증 서버에 요청한다.
S7460 단계에서, 등록된 전화번호가 계정과 연동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API 서버는 새로운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을 얻기 위해 인증 서버에 요청한다. 즉, API 서버는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권한을 얻기 위해 인증 서버에 액세스 토큰을 요청한다. S7470 단계에서, API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인증 결과를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 받는다. 예를 들어, 요청에 대해 인증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액세스 토큰을 리턴 받게 되고, 인증이 실패한 경우, 액세스 토큰이 아닌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값을 리턴받는다.
도 7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6600)의 일부인 인증 서버에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510 단계에서, 인증 서버는 API 서버로부터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S7520 단계에서, 인증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시 사용자 계정을 같이 전달 받는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S7530 단계에서, 사용자 계정을 같이 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인증 서버는 전화번호가 다른 계정과 연동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S7550 단계에서, 전화번호가 다른 계정과 연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인증 서버는 전달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PIN 코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 서버는 다른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한다.
S7540 단계에서, 인증 서버는 PIN 코드 인증이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한다.
S7560 단계에서, PIN 코드 인증을 성공하였다고 판단되면, 인증 서버는 액세스 토큰이 전화번호에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S7570 단계에서, 액세스 토큰이 전화번호에 할당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전화번호에 대한 모든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 환다.
S7590 단계에서, 액세스 토큰이 전화번호에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증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한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할당한다. 또한 액세스 토큰이 전화번호에 할당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증 서버는 전화번호에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할당한다. 한편, 다른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하면, 인증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한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전화번호가 다른 계정과 연동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계정에 대한 인증을 디바이스(300)에 요청한다. 또한 인증 서버는 PIN 코드에 대한 인증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 서버는 전화번호에 대한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할당한다.
S7580 단계에서, PIN 코드 인증하여 인증이 실패하면, 인증 실패를 알리는 값을 API 서버에 리턴한다.
도 76는 서비스 비가입자가 서비스 가입 유도 메시지에 대응하여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6a는 서비스 비가입자가 PIN 코드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A(76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사용장치(7610)으로 하고, 전화번호(7620)는 010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설치 상태(763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가입 메시지에 기초하여 관련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상태이며, 사용자 계정 연동 상태(7640) 관련하여 어떠한 ID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액세스 토큰 획득 상태(7650) 관련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지 않은 상태이다.
S7610 단계에서, 사용자 A(76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사용장치(7610)로 하여 PIN 코드를 API 서버(7660)에 요청한다.
S7620 단계에서, API 서버(7660)는 인증 서버(7670)에 PIN 코드를 요청한다.
S7630 단계에서, 인증 서버(76270)는 PIN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1280)에 저장한다.
S7640 단계에서, 인증 서버(7670)는 SMS로 생성된 PIN 코드를 모바일 단말 M1에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A(76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사용장치(7610)으로 하여, PIN 코드를 요청하여, 인증 서버로부터 SMS로 PIN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도 76b는 서비스 비가입자가 수신된 PIN 코드를 기초로 PIN 코드 요청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650 단계에서, 사용자 A(76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API 서버(7660)에 PIN 코드를 인증 요청한다.
S7660 단계에서, API 서버(7660)는 데이터 베이스(76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이 때, 사용자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자, 전화번호, 디바이스를 서로 대응되도록 매핑하여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것을 의미한다.
S7670 단계에서, 요청된 전화번호로 등록된 사용자가 없다면, API 서버(7660)는 인증 서버(7670)로 PIN 코드 인증 요청을 한다.
S7680 단계에서, 인증 서버(7670)는 PIN 코드 인증 요청에 대하여 액세스 토큰을 생성하여 데이터 베이스(7680)에 저장한다.
S7690 단계에서, 인증 서버(7670)는 생성된 토큰을 API 서버(7660)로 리턴한다.
S7695 단계에서, API 서버(7660)는 모바일 단말 M1에 액세스 토큰을 리턴한다.
따라서 사용자 A(7600)는 모바일 단말 M1에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
도 77은 서비스에 가입된 자가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 요청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7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A는 모바일 단말 M1이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여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사용자 A(7700)는 테블릿 T1을 사용장치(7715)로 하고, 전화번호(7725)는 010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설치 상태(7735) 관련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이며, 사용자 계정 연동 상태(7745) 관련하여 어떠한 ID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액세스 토큰 획득 상태(7755) 관련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7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PIN 코드를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710 단계에서, 사용자 A(7700)는 테블릿 T1을 이용하여 API 서버(7760)에 PIN 코드를 요청한다.
S7720 단계에서, API 서버(7760)는 인증 서버(1370)에 PIN 코드를 요청한다.
S7730 단계에서, 인증 서버(7770)는 PIN 코드 요청에 대해 PIN 코드를 생성하여, 생성된 PIN 코드를 데이터 베이스(7780)에 저장한다.
S7740 단계에서, 인증 서버(7770)는 생성된 PIN 코드를 모바일 단말 M1에 SMS로 전송한다. 하지만 테블릿 T1이 모바일 단말 M1과 다른 고유의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다면, 테블릿 T1으로 PIN 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PIN 코드에 대한 인증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750 단계에서,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 M1에 수신된 PIN 코드를 확인하여, 테블릿 T1을 이용하여 확인된 PIN 코드를 입력하여 API 서버(7760)에 PIN 코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S7760 단계에서, API 서버(7760)는 데이터 베이스(77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API 서버(7760)는 요청된 전화번호 “010”에 대해서는 이미 모바일 단말 M1이 대응되어 등록되어 있음을 확인한다.
S7770 단계에서, API 서버(7760)는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7770)에 전송한다.
S7780 단계에서, 인증 서버(7770)는 액세스 토큰을 생성하여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데이터 베이스(7780)에 저장한다.
S7790 단계에서, 인증 서버(7770)는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7760)에 리턴한다.
S7795 단계에서, API 서버(7760)는 테블릿 T1으로 액세스 토큰을 리턴한다.
테블릿 T1은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여 테블릿 T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잇는 상태이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 M1은 이전에 획득한 액세스 토큰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사용자 A(77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변경된다.
이 경우에 다시 사용자 A(77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PIN 코드를 요청하고 수신된 PIN코드를 입력으로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수행하여 모바일 단말 M1은 액세스 토큰을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증 서버(7770)는 테블릿 T1에게 수신된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하게 되어, 사용자 A(7700)는 모바일 단말 T1을 이용하여 서버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변경된다.
도 78은 서비스에 가입된 자가 사용자 계정을 등록된 전화번호와 연동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A(7800)는 사용자 계정을 등록된 전화번호와 연동시키고자 한다.
사용자 A(78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사용장치(7810)로 하고 있고, 전화번호(7820)는 “010”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설치 상태(7830) 관련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이며, 사용자 계정 연동 상태(7840) 관련하여 어떠한 ID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액세스 토큰 획득 상태(7850) 관련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한 상태이다.
도 78a는 모바일 단말 M1에서 사용자 아이디와 전화번호를 연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810 단계에서, 사용자 A(7800)는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계정 연동 요청을 API 서버(7860)에 전송한다. 이 때, 계정 연동 요청은 전화번호와 함께 계정을 하나의 파라미터로 하여 전송된다.
S7815 단계에서, API 서버(7860)는 데이터 베이스(78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S7820 단계에서,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하여 요청된 전화번호로 등록된 사용자 계정이 없다면, API 서버(7860)는 인증 서버(7870)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요청한다.
S7825 단계에서, 인증 서버(7870)로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한 모든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하고, 새로운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생성한다. 생성된 토큰은 데이터 베이스(7880)에 저장된다.
S7830 단계에서, 인증 서버(7870)는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7860)로 리턴한다.
S7835 단계에서, API 서버(7860)는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모바일 단말 M1으로 리턴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M1에서 사용자 계정 A와 전화번호 “010”이 연동된 상태가 된다.
도 78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테블릿 T1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PIN 코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840 단계에서, 사용자 A(7800)는 테블릿 T1에서 PIN 코드를 API 서버(7800)에 요청한다.
S7845 단계에서, API 서버(7860)는 인증 서버(7800)에 PIN 코드를 요청한다.
S7850 단계에서, 인증 서버(7870)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PIN 코드를 데이터베이스(7880)에 저장한다.
S7855 단계에서, 인증 서버(7870)는 SMS로 생성된 PIN 코드를 모바일 단말 M1에 전송한다.
도 7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PIN 코드를 인증 요청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860 단계에서, 사용자 A(7800)는 모바일 단말 M1에서 수신된 PIN 코드를 입력하여 PIN 코드 인증 요청을 API 서버(7860)에 전송한다.
S7865 단계에서, API 서버(7860)는 데이터베이스(78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API 서버(7860)는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하여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전화번호 “010”과 사용자 계정 “A”를 연동한 것을 확인한다.
S7870 단계에서, API 서버(7860)은 연동된 사용자 계정 “A”에 대해 인증할 것인지 여부를 테블릿 T1에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A(7800)는 연동된 사용자 계정 “A”를 소유하고 있으므로, 사용자 A(7800)는 테블릿 T1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 “A”와 함께 PIN 코드 인증 요청을 API 서버(7860)에 다시 전송한다.
S7875 단계에서, API 서버(7860)는 데이터베이스(78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API 서버(7860)는 요청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이 기존에 등록된 것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7880 단계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되면, API 서버(7860)는 사용자 계정 “A”를 포함하여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7870)에 전송한다.
S7885 단계에서, 인증 서버(7870)는 PIN 코드 인증 및 사용자 계정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기존의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 시키지 않고, 태블릿 T1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추가적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액세스 토큰은 데이터 베이스(7880)에 저장한다.
S7890 단계에서, 인증 서버(7870)는 생성된 추가적인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7860)에 전송한다.
S7895 단계에서, API 서버(7860)는 태블릿 T1에 액세스 토큰을 전송한다.
이전과 달리 기존의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 하지 않아 사용자 A(7800)는 테블릿 T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모바일 단말 M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9는 다른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A(7900)는 새로운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려고 한다. 즉, 사용자 A(7900)는 모바일 단말 M2를 사용장치(7918)로 하고 있고, 전화번호(7928)로 “011”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설치 상태(7938) 관련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며, 사용자 계정 연동 상태(7948) 관련하여 어떠한 ID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액세스 토큰 획득 상태(7958) 관련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지 않은 상태이다.
도 79a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PIN 코드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910 단계에서, 사용자 A(7900)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PIN 코드 요청을 API 서버(7960)에 전송한다.
S7915 단계에서, API 서버(7960)는 PIN 코드 요청을 인증 서버(7970)에 전송한다.
S7920 단계에서, 인증 서버(7970)는 PIN 코드 요청에 따라 PIN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PIN 코드를 데이터베이스(7980)에 저장한다.
S7925 단계에서, 인증 서버(7970)는 생성된 PIN 코드를 SMS로 모바일 단말 M2로 전송한다.
도 79b는 모바일 M2를 이용하여 PIN 코드 인증을 요청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930 단계에서, 사용자(7900)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수신된 PIN 코드를 입력하여 PIN 코드 인증 요청을 API 서버(7960)에 전송한다.
S7935 단계에서, API 서버(7960)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S7940 단계에서, 요청된 전화번호 “011”로 등록된 사용자가 없음을 확인하고, API 서버(7960)는 인증 서버(7970)로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전송한다.
S7945 단계에서, 인증 서버(7970)는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PIN 코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면, PIN 코드 인증 요청에 따라 액세스 토큰을 생성하고,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데이터베이스(7980)에 저장한다.
S7950 단계에서, 인증 서버(7970)는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7960)에 전송한다.
S7955 단계에서, API 서버(7960)는 액세스 토큰을 모바일 단말 M2로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A(7900)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전화번호 “010”으로 등록된 모바일 단말 M1 및 테블릿 M2의 경우, 액세스 토큰이 그대로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기들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9c는 모바일 M2를 이용하여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7960 단계에서, 사용자 A(7900)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 “A”와 함께 인증 요청을 API 서버(7960)에 전송한다.
S7965 단계에서, API 서버(7960)는 데이터베이스(79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요청된 전화번호 “011”가 사용자 계정과 연동이 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연동되어 있지 않다고 확인되는 경우, S7970 단계에서, API 서버(7960)는 사용자 계정 “A”와 함께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7970)으로 전송한다.
S7975 단계에서, 인증 서버(7970)는 인증 요청에 따라 사용자 계정 및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액세스 토큰을 생성한다. 이 때, 이전에 있던 액세스 토큰은 비활성화 되고, 대신 새로운 액세스 토큰이 생성된다. 생성된 액세스 토큰은 데이터베이스(7980)에 저장된다.
S7980 단계에서, 인증 서버(7970)는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7960)로 전송한다.
S7985 단계에서, API 서버(7960)는 모바일 단말 M2로 액세스 토큰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A(7900)는 모바일 단말 M2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0은 다른 사용자 B가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인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0a는 다른 사용자 B가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PIN 코드를 요청하여 PIN 코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0a를 참조하면, 사용자 A는 이용하던 모바일 단말 M1에 대해 해지를 신청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A는 모바일 단말 M1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해지함에 따라 해당 전화번호 “010”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을 전화번호 “010”로 개통하였다.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을 사용장치(8019)로 하고 있고, 전화번호(8029)는 “010”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설치 상태(8039) 관련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이며, 사용자 계정 연동 상태(8049) 관련하여 어떠한 ID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액세스 토큰 획득 상태(8050) 관련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지 않은 상태이다.
S8010 단계에서,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API 서버(8060)에 PIN 코드 요청을 전송한다.
S8015 단계에서, API 서버(8060)는 PIN 코드 요청을 인증 서버(8070)에 전송한다.
S8020 단계에서, 인증 서버(8070)는 PIN 코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PIN 코드 요청에 따라 PIN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PIN 코드를 데이터베이스(8080)에 저장한다.
S8025 단계에서, 인증 서버(8070)는 SMS로 생성된 PIN 코드를 모바일 단말 M3로 리턴한다.
도 80b는 다른 사용자 B가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PIN 코드 인증을 요청하여 인증을 수행하고,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8030 단계에서, 사용자 B(8005)는 수신된 PIN 코드를 확인하고 입력하여 API 서버(8060)에 PIN 코드 인증 요청을 API 서버(8060)에 전송한다.
S8035 단계에서, API 서버(8060)는 데이터 베이스(80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S8040 단계에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하여 전화번호 “010”이 사용자 계정 “A”와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API 서버(8060) 에 사용자 계정 “A”에 대해 인증을 할지 여부를 묻는 요청을 모바일 단말 M3에 전송한다.
S8045 단계에서, 사용자 B(1605)는 사용자 계정이 없기 때문에,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없이 PIN 코드 인증을 API 서버(8060)에 전송한다.
S8050 단계에서, API 서버(8060)는 PIN 코드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8070)에 전송한다.
S8055 단계에서, 인증 서버(8070)는 PIN 코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을 성공하면, 액세스 토큰을 생성한다. 이 때, 전화번호 “010”에 대응되도록 맵핑된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 토큰을 모두 비활성화 하기 때문에, 이전에 사용자 A(8000)이 사용하던 테블릿 T1의 액세스 토큰은 비활성화되어, 사용자 A(8000)는 더 이상 테블릿 T1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생성된 액세스 토큰은 데이터 베이스(8080)에 저장된다.
S8060 단계에서, 인증 서버(8070)는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1660)에 전송한다.
S8065 단계에서, API 서버(8060)는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 M3에 전송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M3는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여, 사용자 B(1605)는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0c는 사용자 B가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전화번호와 사용자 계정을 연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B(8005)는 전화번호 “010”과 사용자 계정 “B”를 연동하려고 한다.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을 사용장치(8019)로 하고 있고, 전화번호(8029)는 “010”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설치 상태(8039) 관련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이며, 사용자 계정 연동 상태(8049) 관련하여 어떠한 ID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이고, 액세스 토큰 획득 상태(8050) 관련하여 액세스 토큰을 획득한 상태이다.
S8070 단계에서,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과 함께 인증 요청을 API서버(8060)에 전송한다.
S8075 단계에서, API 서버(1660)는 데이터베이스(1680)에 저장된 사용자 테이블을 확인한다.
S8080 단계에서, 요청된 전화번호 “010”와 연동된 사용자 계정이 없으므로, API 서버(8060)는 사용자 계정과 함께 인증 요청을 인증 서버(8070)로 전송한다.
S8085 단계에서, 인증 서버(8070)에서 사용자 계정 “B” 및 전화번호 “0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성공하면, 이전의 액세스 토큰을 비활성화하고,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생성한다. 생성된 액세스 토큰은 데이터베이스(8080)로 전송된다.
S8090 단계에서, 인증 서버(8070)는 생성된 액세스 토큰을 API 서버(8060)에 전송한다.
S8095 단계에서, API 서버(8060)는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 M3에 수신된 액세스 토큰을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 M3는 액세스 토큰을 획득하고, 따라서 사용자 B(8005)는 모바일 단말 M3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컨텐츠를 보내는 입장에서 비가입자에게 초대 메시지뿐 아니라,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컨텐츠를 여러 번 전송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대방의 가입 여부에 관계없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문서를 전송할 수 있게 되어 서비스를 쉽게 확산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수신자 입장에서 비가입자는 서비스에 가입을 하고 난 후에 가입전 수신된 문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발신자에게 재전송을 요청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도 2 등에서 화상형성 시스템(1)의 화상형성장치(31)는, 자체적으로 앞서 설명된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31)의 지원 사양에 따라, 화상형성장치(31)는 클라우드 서버(40)와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 또는 단지 USB 포트만이 구비되어 어느 PC와 USB 연결을 이용한 1:1 통신만 가능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화상형성장치(31)는 독자적으로 클라우드 서버(40)에 연결될 수 없으므로, 화상형성장치(31)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참여할 수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31)가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클라우드 서버(40)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없는 환경 하에서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37)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 시스템(8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도 2의 화상형성 시스템(1)과 달리, 화상형성 시스템(8100)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agent application)(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가 추가된다. 여기서, 화상형성 시스템(8100)의 화상형성장치(37)는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지원되지 않아 독자적으로 클라우드 서버(40)에 연결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1의 화상형성장치(37)가 앞서 설명된 도 2 등의 화상형성장치(31)와 구분되도록, 서로 다른 참조 번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81을 참고하면, 제 1 개인(21)(예를 들어, “JOHN LEE”)은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사용 중인 또는 저장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를 수신할 주체인 제 2 개인(23)(예를 들어, “JANE KIM”)의 전화번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1)를 통해 입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1)에서 입력된 컨텐츠 정보와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는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정보와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들과, 이 전화번호들 각각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등록 정보를 관리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전화번호들과 화상형성장치들 간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의 인쇄 주체는 화상형성장치(37)인 것으로 판단한다.
나아가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전화번호들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들 각각에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들에 관한 경로 정보도 관리한다. 경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가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예를 들어, 도 2의 화상형성장치(31))에 바로 전송할 것인지, 또는 어느 화상형성장치(예를 들어, 도 81의 화상형성장치(37))에 연결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81의 컴퓨팅 디바이스(20))를 거쳐 전송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이다. 즉, 클라우드 서버(40)에 의해 관리되는 경로 정보는 어느 화상형성장치가 클라우드 서버(40)와의 네트워크 직접 연결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도 81에서 화상형성장치(37)는 클라우드 서버(40)와의 네트워크 직접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였는바, 클라우드 서버(40)는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37)에서 인쇄될 컨텐츠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를 거쳐 처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클라우드 서버(40)는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정보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실행 중인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전송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 목록과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와 화상형성장치(37)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관리되는 목록들에 기초하여,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전송된 컨텐츠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37)로 전달한다.
화상형성장치(37)는 전달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화상형성장치(37)에서 컨텐츠의 인쇄가 완료됨으로써, 제 1 개인(21)의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요청된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없는 화상형성장치(37)에 중개(intermediation)하기 위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기능 및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동작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81에서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없는 화상형성장치(37) 대신에,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갖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31)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더라도, 화상형성장치(31)는 마찬가지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31)는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한다면, 화상형성장치(31)에서 처리되어야 할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들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바, 화상형성장치(31)의 데이터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도 8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82를 참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도 81의 화상형성 시스템(8100)에서 화상형성장치(37)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서버(40)와 화상형성장치(37) 사이에 연결된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일반적인 PC, 노트북 등의 컴퓨터로서, 제어부(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 유저 인터페이스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다만, 도 82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82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210)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실행할 수 있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타겟 전화번호(예를 들어, 제 2 개인(23)(예를 들어, “JANE KIM”)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가 클라우드 서버 상에 업로드된 경우, 타겟 전화번호(예를 들어,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37)에서 컨텐츠가 인쇄되도록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 목록과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관리한다. 따라서, 타겟 전화번호(예를 들어,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목록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37)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관리되는 화상형성장치 목록에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목록과 화상형성장치 목록 사이에는 서로의 매핑 관계가 지정되어 있다.
한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도 13a 및 도 13b에서 설명된 프린터 드라이버(1301)의 기능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WI-FI, 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과, 이더넷 등을 통한 유선 통신과, 또는 2G 이동통신, 3G 이동통신 또는 4G 이동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타겟 전화번호(예를 들어,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전송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나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타겟 전화번호(예를 들어,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37)로 인쇄 데이터를 전달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30)는 입력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30)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하는 개별적인 장치들을 모두 포함하고, 또한 터치스크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230)는 사용자에게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20)에서 실행 중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의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특히, 저장부(240)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목록 및 화상형성장치 목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도 8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301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실행한다. 여기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클라우드 서버(40)에 미리 사용 등록이 완료된 것으로 가정한다.
8302 단계에서, 제 1 개인(21)(“JOHN LEE”)은, 모바일 디바이스(11)를 통해,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인쇄될 컨텐츠를 수신할 목적지인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는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제 2 개인(23)의 모바일 디바이스(13)에 할당된 전화번호일 수 있다.
8303 단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입력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1)는, 입력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업로드한다.
830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830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전화번호들과 화상형성장치들 간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의 인쇄 주체는 화상형성장치(37)인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는 화상형성장치들에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들에 관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형성장치(37)에서 인쇄될 컨텐츠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를 거쳐 처리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는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등록된 것으로 식별한다.
8306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로 모바일 디바이스(11)로부터 요청된 컨텐츠에 관한 업로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40)는, 컴퓨팅 디바이스(20)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관한 업로드 정보가 전송되는 시점과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가 전송되는 시점 사이에는,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인쇄 승인 과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관한 업로드 정보가 전송된 이후에 컴퓨팅 디바이스(20)가 컨텐츠의 인쇄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40)에 회신한 경우에만, 클라우드 서버(40)가 비로소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인쇄 승인 과정 없이, 업로드 정보의 전송에 뒤이어 바로 인쇄 데이터가 전송될 수도 있다. 즉, 8306 단계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40)는, 컨텐츠에 관한 업로드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URL 주소를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제공된 URL 주소에 접속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컨텐츠에 관한 업로드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저장부(240)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관한 업로드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다.
8307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실행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관리 중인 전화번호 목록 및 화상형성장치 목록에 기초하여,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전송된 컨텐츠를 인쇄할 대상으로서,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37)를 결정한다.
8308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37)로 전송한다.
이때,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FIFO 방식으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인쇄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저장된 인쇄 데이터가 바로 삭제되도록 저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화상형성장치(35)에서 인쇄 데이터의 재출력이 가능하도록,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가 바로 삭제되도록 저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8309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37)는,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인쇄함으로써,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를 이용한다면, 클라우드 서버(40)와의 네트워크 직접 연결이 불가능한 화상형성장치(37)라 할지라도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도 8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40)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사용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클라우드 서버(40)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도 84에 도시된 사용 등록의 과정이 요구된다.
8401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실행한다. 여기서, 8401 단계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후 최초로 실행된 경우이거나, 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이미 완료된 사용 등록을 초기화한 이후에 최초로 실행된 경우일 수 있다.
8402 단계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식별 정보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의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만 존재하는 고유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시스템 정보에 접근하여 MAC 어드레스 등을 획득한다. MAC 어드레스 등은 클라우드 서버(40) 상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20)에 다수의 MAC 어드레스들이 할당되어 있다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모든 MAC 어드레스들을 획득할 수 있다.
8403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를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8404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 및 클라우드 서버(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인증을 수행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인증에 관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클라우드 서버(40)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회원 가입을 완료한 경우, 사용자는 실행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인증에 관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발급된 인증키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반적인 상용 소프트웨어의 사용을 인증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인증에도 적용될 수 있다.
840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사용 등록을 완료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사용 등록이 완료된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전화번호들의 목록 또는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에 대한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20)의 기존의 MAC 어드레스가 다르게 변경된 경우라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도 84의 과정에 따른 사용 등록을 다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도 8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전화번호 또는 화상형성장치를 설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8501, 8502, 8503 및 8504)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5를 참고하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8501, 8502, 8503 및 8504)은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표시된 화면들이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501) 상에는 아직 어떠한 전화번호 목록 및 화상형성장치 목록도 등록되지 않았으므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501)은 도 84에서 설명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사용 등록이 완료된 직후의 화면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85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사용자는 제 2 개인(23)(“JANE KIM”)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개인(23)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501)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표시하는 다이얼로그를 활성화한다. 이후에,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502)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로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추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제 2 개인(23)은 표시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장치(37)(예를 들어, “SCX-6401n”)를 선택한다.
화상형성장치(37)가 선택된 경우, 제 2 개인(23)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503) 상에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예를 들어, “+82-10-ABCD-ABCD”)를 입력하고, 등록 버튼을 클릭한다.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및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82-10-ABCD-ABCD”)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504)은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가 화상형성장치(37)에 지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등록 정보를 표시한다.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화상형성장치(37) 및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에 이와 같은 등록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화상형성장치(37)의 명칭인 “SCX-6401n”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관리할 수 있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82-10-ABCD-ABCD”) 및 화상형성장치(37)(“SCX-6401n”)가 매핑되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40)는 제 2 개인(23)의 전화번호(“+82-10-ABCD-ABCD”)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37)(“SCX-6401n”)를 제어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도 8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운영체제(OS) 상의 시스템 서비스(system service)로 실행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6을 참고하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운영체제(OS) 상의 시스템 서비스로 등록된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20)가 부팅된 이후에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온/오프와 관계없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항상 실행 중일 수 있다. 즉, 컴퓨팅 디바이스(20)가 부팅되어 운영체제(OS)가 시작되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자동으로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사용자는 번거롭게 운영체제(OS)의 로그온 이후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매번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면서 새로 등록된 전화번호 목록, 화상형성장치 목록 등의 정보들은 운영체제(OS)의 사용자 계정 로그온 이후에 처리된 정보들일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시스템 서비스에 해당되어 사용자 계정의 로그온/로그오프와 관계없이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계정의 로그온 이전에 실행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처리된 정보들은, 사용자 권한에 제한이 없는 파이프 통신(PIPE communic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계정의 로그온 이후에 실행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처리된 정보들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운영체제(OS)의 시스템 계정으로 접근 가능한 저장부(240)의 일부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과 함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관리 애플리케이션(Agent Management Application)(102)도 시스템 서비스로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애플리케이션(102)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과 마찬가지로 저장부(240)에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이다. 관리 애플리케이션(102)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복원되거나 재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다만, 도 86에서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시스템 서비스로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시스템 서비스가 아닌, 운영체제(OS)의 사용자 계정 로그온 이후에 실행되는 일반적인 상용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실행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실행 방식은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8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들 또는 화상형성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40)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701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실행한다.
8702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등록될 전화번호 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제 2 개인(23)(“JANE KIM”)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등록될 전화번호 정보로서 “+82-10-ABCD-ABCD”를 입력하고, 등록될 화상형성장치 정보로서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을 입력할 수 있다.
8703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한다.
870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40)는 전송된 전화번호 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40)는 이 정보들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관리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로 정보도 등록한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40)는 전화번호 정보(예를 들어, 제 2 개인(23)(“JANE KIM”)), 화상형성장치 정보(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정보를 모두 연계하여 관리한다.
도 8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전화번호를 추가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8801 및 8802)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80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는 이미 다른 개인들의 전화번호들 “+82-10-AAAA-BBBB” 및 “+82-10-CCCC-DDDD”이 지정되어 있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자신의 전화번호 “+82-10-ABCD-ABCD”를 추가하고자 할 경우, 제 2 개인(23)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801) 상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그 결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802)에 따르면,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 “+82-10-ABCD-ABCD”는 추가됨과 동시에,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 지정되어 등록된다.
추가된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 “+82-10-ABCD-ABCD”에 대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되고, 클라우드 서버(40)에도 등록된다. 즉, 클라우드 서버(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현재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는 전화번호들 “+82-10-AAAA-BBBB”, “+82-10-CCCC-DDDD” 및 “+82-10-ABCD-ABCD”가 지정된 것으로, 기존에 등록되었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도 8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8901, 8902 및 8903)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90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는 이미 개인들의 전화번호들 “+82-10-AAAA-BBBB”, “+82-10-CCCC-DDDD” 및 “+82-10-ABCD-ABCD”이 지정되어 있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자신의 전화번호 “+82-10-ABCD-ABCD” 및 다른 개인의 전화번호 “+82-10-AAAA-BBBB”를 삭제하고자 할 경우, 제 2 개인(23)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901) 상에서 삭제할 전화번호들을 선택하고 삭제 버튼을 클릭한다.
그 결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902) 상에는, 전화번호를 삭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팝업 창(8904)이 표시된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팝업 창(8904)에서 “예” 버튼을 클릭하면,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 “+82-10-ABCD-ABCD”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삭제된다.
결국,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8903) 상에는 “+82-10-CCCC-DDDD”의 전화번호만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 지정된 것으로 표시된다.
삭제된 전화번호들에 대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된다. 즉, 클라우드 서버(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해 현재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는 전화번호 “+82-10-CCCC-DDDD”만이 지정된 것으로, 기존에 등록되었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도 9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화상형성장치(37)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9001, 9002, 9003 및 9004)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00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는 이미 전화번호 “+82-10-CCCC-DDDD”가 지정되어 있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화상형성장치(37)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제 2 개인(23)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001) 상에서 설정 버튼을 클릭한다.
그 결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002) 상에는, 프린터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팝업 창(9005)이 표시된다.
제 2 개인(23)은 화상형성장치(37)의 명칭 “SCX-6401n”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새로운 명칭 “Printer A”를 입력한 후 팝업 창(9005)의 변경 버튼(9006)을 클릭함으로써 명칭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 2 개인(23)은 팝업 창(9005)의 초기화 버튼(9007)을 클릭함으로써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화상형성장치(37)의 등록을 삭제 및 초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37)에 대한 초기화는, 화상형성장치(37)가 아닌 다른 화상형성장치들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등록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 이후에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003) 상에는, 화상형성장치(37)의 등록을 초기화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팝업 창(9008)이 표시된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팝업 창(9008)에서 “예” 버튼을 클릭하면,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00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 대한 등록 정보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삭제된다.
삭제된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 대한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40)로 전송된다. 즉, 클라우드 서버(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 관리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기존에 등록되었던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91도 9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40)에 등록된 정보를 기초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등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9101, 9102 및 9103)을 도시한 도면이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10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는 이미 개인들의 전화번호들 “+82-10-AAAA-BBBB”, “+82-10-CCCC-DDDD” 및 “+82-10-ABCD-ABCD”이 지정되어 있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등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고자 할 경우, 제 2 개인(23)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101) 상에서 새로고침 버튼을 클릭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1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클라우드 서버(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대하여 현재 클라우드 서버(40)에서 관리 중인 전화번호 목록 및 화상형성장치 목록에 대한 정보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전송한다.
그 결과,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1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서는 등록되어 있지 않았으나 클라우드 서버(40)에만 등록되어 있던 전화번호 “+82-10-XXXX-YYYY”(9104)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새로 추가된다. 여기서, 새로운 전화번호 “+82-10-XXXX-YYYY” (9104)는,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이 아닌, 예를 들어 다른 외부의 디바이스(예를 들어, 도 2의 모바일 디바이스(17))가 화상형성장치(37)(“SCX-6401n”)에 지정하여 클라우드 서버(40) 상에 등록한 것일 수 있다.
도 91에서는 클라우드 서버(40)에 의해 새로운 전화번호“+82-10-XXXX-YYYY” (9104)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추가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클라우드 서버(40)에 의해 화상셩성장치 명칭 등의 다른 다양한 정보들도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9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화상형성장치들의 목록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2를 참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주변에 존재하는 화상형성장치들(37, 38 및 39) 중에서 연결 가능한 것은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및 화상형성장치(38)(“ML-2525m”)이다.
제 2 개인(23)(“JANE KIM”)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201)을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2에서는 화상형성장치(37) 및 화상형성장치(38)가 연결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201)에는 “SCX-6401n” 및 “ML-2525m”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 2 개인(23)(“JANE KIM”)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화상형성장치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discovery)할 필요가 있다.
도 93a, 도 93b 및 도 93c는 일 실시예들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될 화상형성장치들을 디스커버리하는 방식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3a를 참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운영체제(OS)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들에 기초하여, 운영체제(OS)의 인쇄 관리(Print Management)의 다이얼로그 박스(9301)를 실행하여 프린터 큐(printer queue)를 조회함으로써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및 화상형성장치(38)(“ML-2525m”)을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도 93b를 참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운영체제(OS)의 인쇄 서버 속성(Print Server Properties)의 다이얼로그 박스(9302)을 실행하여 포트 리스트(port list)를 조회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및 화상형성장치(38)(“ML-2525m”)가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연결 가능한 것으로 디스커버리될 수 있다.
도 93c를 참고하면, 컴퓨팅 디바이스(20)는 컴퓨팅 디바이스(20) 주변의 장치들을 검색하기 위한 자동 검색의 다이얼로그 박스(9303)를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및 화상형성장치(38)(“ML-2525m”)을 디스커버리할 수 있다.
도 93a, 도 93b 및 도 93c에서 설명된 디스커버리 방식들에 의해 디스커버리된 화상형성장치(37)(“SCX-6401n”) 및 화상형성장치(38)(“ML-2525m”)의 목록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으로 제공되어 도 12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9201)과 같이 제 2 개인(23)에게 표시될 수 있다.
도 9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2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4의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 81의 화상형성 시스템(8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도 81 및 관련 도면들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94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9401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제어부(21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9402 단계에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20)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타겟 전화번호(예를 들어, 제 2 개인(23)(“JANE KIM”)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가 클라우드 서버(40) 상에 업로드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40)로부터 컨텐츠의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9403 단계에서, 제어부(210)는 타겟 전화번호에 지정된 화상형성장치(37)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37)에서 컨텐츠가 인쇄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 연동시킴으로써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사용자는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의 서버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일정한 시간 동안만 인쇄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전송자에 의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업로드된 인쇄 데이터는 수신자가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이를 확인하거나 인쇄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삭제되는 방식이다. 이렇게 일정한 시간 동안만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이유는 리소스 활용의 유연성이라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을 극대화 하면서 저장 공간 확보에 따르는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사용자는 인쇄 데이터가 시간 제한 없이 저장되기를 원할 수도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자 입장에서는 사용자별로 원하는 만큼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되어 부담이 된다. 게다가, 서비스 제공자가 비용의 증가를 감수하고 개인별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고 해도 서비스의 사용자 입장에서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저장 공간에 대한 신뢰도가 기존에 개인적으로 사용하던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비해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웹 스토리지 서비스를 연동시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사용된 인쇄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95 내지 도 10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9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 웹 스토리지 서버(9520) 및 모바일 단말들(9540, 95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1(9530) 및 사용자 2(9560)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로서 모바일 1(9540) 및 모바일 2(9550)에는 모바일 단말에서 클라우드 프린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모바일 앱(mobile app)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 1(9530) 및 사용자 2(9560)는 각각 모바일 1(9540) 및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를 통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며, 각각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 1(9530) 및 사용자 2(9560)의 사용자 계정은 각각 모바일 1(9540) 및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맵핑되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등록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 2(9560)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도 가입된 사용자로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가지고 있다. 이때, 웹 스토리지 서비스란 클라우드상의 서버에 개인별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 2(9560)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자신의 사용자 계정을 통해 PC, 노트북 또는 모바일 단말 등의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 2(9560)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연동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2(9560)의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를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연동시키기 위해서 모바일 2(955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전송한다. 이때, 수신되는 액세스 토큰은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2(9560)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액세스 토큰으로서 사용자 2(9560)의 사용자 계정으로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토큰이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수신한 액세스 토큰을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맵핑시켜 저장한다. 이때, 전화번호와 함께 사용자 2(9560)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도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이후에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된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1(9530)이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인쇄 데이터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업로드하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해당 인쇄 데이터에 대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장된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해당 인쇄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한다.
이때, 제공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는 해당 인쇄 데이터에 대한 다이렉트 인쇄일 수도 있고, 또는 인쇄 데이터의 업로드 사실을 모바일 2(9550)에 통지하고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지정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바로 인쇄하거나, 또는 사용자 2(9560)는 인쇄 데이터가 업로드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는 모바일 2(955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모바일 앱을 통해 업로드된 인쇄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인쇄를 할 수 있다.
사용자 2(956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1(9530)은 모바일 1(9540)에 설치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 2(9560)에게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면 인쇄 데이터는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맵핑되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업로드된다.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모바일 2(9550)에 인쇄 데이터가 업로드 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 2(9560)는 해당 메시지를 확인하고 모바일 2(9550)에 설치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모바일 앱을 통해 자신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이에 대한 인쇄를 요청할 수 있다.
앞서 도 94 이하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업로드된 인쇄 데이터는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만 저장되었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삭제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쇄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동시에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시간 제한 없이 저장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인쇄 데이터의 목적지인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웹 스토리지 서버(9520)가 연동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업로드된 인쇄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한다. 이때,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맵핑되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세스 토큰이 사용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액세스 토큰을 전송하여 인쇄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2(9560)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액세스 토큰을 전송하므로 인쇄 데이터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 내의 사용자 2(9560)의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공간에 저장된다. 따라서, 사용자 2(9560)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통해서 직접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통해서도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통해서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접근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2(9560)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인쇄 데이터에의 접근을 요청하고 요청된 인쇄 데이터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미리 저장된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인쇄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때 인쇄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의 메타 데이터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요청받은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사용자 2(9560)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인쇄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액세스 토큰을 이용하여 획득한 인쇄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렌더링된 인쇄 데이터를 사용자 2(9560)가 지정한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2(9560)가 미리보기를 요청하는 경우 획득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미리보기를 모바일 2(955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2(95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를 통하지 않고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직접 접근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 2(956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직접 인쇄 데이터를 업로드 할 수도 있으며,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사용자 2(9560)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직접 접근하여 인쇄 데이터를 업로드 또는 변경하는 경우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도 변경사항을 알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웹 스토리지 서버(9520) 내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와 동기화되는 동기화 폴더를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를 통해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는 인쇄 데이터는 동기화 폴더에 저장되고, 만약 사용자 2(9560)가 직접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접근하여 동기화 폴더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하는 경우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도 변경사항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2(9560)가 모바일 2(9550)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해 본인에게 수신된 인쇄 데이터의 목록을 요청하는 경우,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동기화 폴더 내 변경사항을 요청하고, 변경사항을 수신하면 이를 반영하여 업데이트된 인쇄 데이터 목록을 모바일 2(9550)에 전송한다.
이러한 동기화 폴더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웹 스토리지 서비스의 연동 설정시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새로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미리 저장된 폴더들 중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수신자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연동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송자의 선택에 따라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지 않고 일반적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만 저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전송자의 입장에서 어떤 데이터의 경우 수신자의 개인 저장 공간에 저장되기를 원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사용자 1(9530)은 모바일 1(9540)에 설치된 모바일 앱을 통해서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해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연동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할지 여부에 대한 선택 요청을 모바일 1(9540)에 전송한다. 사용자 1(9530)이 모바일 1(9540)에 표시된 선택 요청 화면에서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의 저장을 선택하면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인쇄 데이터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일정 시간 동안만 임시로 저장한다.
도 9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연동시키는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9601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해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를 웹 스토리지 서버와 연동시킨다. 9602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연동이 설정된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9603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리트 서버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쇄 데이터를 연동된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연동시키는 방법의 전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서비스의 연동 설정, 인쇄 데이터의 전송, 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열람 및 인쇄 등의 각 과정에 대해서 상세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97 내지 도 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중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연동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즉, 도 96의 9601 단계에 대응되는 상세 도면들이다.
도 9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를 웹 스토리지 서버에 연동시키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7을 참조하면, 9701 단계에서 모바일 2(9550)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에서 웹 스토리지 연동 기능을 온(on) 시킨다. 웹 스토리지 연동 기능이 온 상태가 되면 9702 단계에서 연동 가능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모바일 앱의 UI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 중 연동하고자 하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연동할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선택되면 9703 단계에서 모바일 2(9550)는 선택된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웹 스토리지 서버(9520)로 전송한다. 이때,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전송되는 사용자 계정은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은 모바일 2(955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연동 신청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계정이 모바일 2(955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모바일 앱은 모바일 2(9550)의 계정 관리자로부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만약 선택된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이 복수개 존재한다면, 모바일 앱은 계정 관리자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사용자 계정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 계정을 웹 스토리지 서버(9520)로 전송한다.
웹 스토리지 서버(9520)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수신하면 9704 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계정에 대응되는 액세스 토큰을 모바일 2(9550)에 전송한다. 9705 단계에서 모바일 2(9550)는 수신한 액세스 토큰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9706 단계에서 모바일 2(9550)의 전화번호에 맵핑시켜 수신한 액세스 토큰을 저장한다. 저장된 액세스 토큰은 이후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획득할 때 사용된다.
한편, 액세스 토큰은 일반적으로 생성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유효하고 기간이 만료된 토큰은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기간이 만료된 토큰은 갱신이 필요한데 자동으로 갱신이 가능한 형태와 유효한 토큰을 새로 발급 받아야 하는 형태가 존재한다. 만약,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저장되는 토큰이 자동 갱신이 가능한 형태라면 토큰 기간 만료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가 자체적으로 액세스 토큰을 갱신할 수 있다. 하지만, 유효한 토큰을 새로 발급 받아야 하는 형태라면 토큰의 기간 만료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모바일 2(9550)에 새로운 토큰을 요청한다. 모바일 2(955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사용자 계정을 전송하여 새로운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전송한다.
도 9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웹 스토리지와의 연동 설정시 모바일 앱에 나타나는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8을 참조하면, 제1 UI 화면(9800a)에서 사용자는 9801 부분을 터치함으로써 웹 스토리지 연동 기능을 온(on) 시킬 수 있다. 웹 스토리지 연동 기능이 온 상태가 되면 UI 화면(9800a)의 아래쪽에 선택 가능한 웹 스토리지 서비스의 목록(9810)이 표시된다. 도 98에는 Google Drive, Dropbox 및 Sky Drive가 선택 가능한 웹 스토리지 서비스로서 표시되었다.
제2 UI 화면(9800b)에서 사용자가 Google Drive(9811)를 선택하면 모바일 앱은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Google Drive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획득한다. 모바일 앱은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계정 관리자를 통해 Google Drive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획득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Google Drive에 대한 사용자 계정이 하나만 존재한다면 이를 바로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전송한다. 하지만,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Google Drive에 대한 사용자 계정이 복수개 존재한다면 제3 UI 화면(9800c)과 같이 사용자 계정을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계정 선택창(9820)에는 Google Drive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계정들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 선택창(9820)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계정(aceruky@gmail.com)을 터치하고 OK 버튼을 터치한다.
이와 같이 웹 스토리지 서비스 및 사용자 계정이 선택되면 Google Drive의 항목 옆의 9813 부분에 선택된 사용자 계정에 대해서 연동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된다.
도 9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웹 스토리지와의 연동 설정시 동기화 폴더의 생성 과정에서 표시되는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9의 제1 UI 화면(9900a)은 웹 스토리지 서비스 선택 후 사용자 계정을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이다. 즉, 도 98의 제3 UI 화면(9800c)과 동일한 화면이다. 제1 UI 화면(9900a)에서 원하는 사용자 계정(aceruky@gmail.com)을 선택한 후 OK 버튼을 터치하면 제2 UI 화면(9900b)과 같이 동기화 폴더를 생성하기 위한 UI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동기화 폴더 생성창(9930)의 입력란(9931)에 동기화 폴더의 명칭을 입력하면, 입력된 명칭의 동기화 폴더가 웹 스토리지 서버에 생성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를 통해서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동기화 폴더에 저장되고, 웹 스토리지 서버로의 직접적인 접근에 의한 동기화 폴더 내 데이터의 변경사항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 전달되어 업데이트된다.
한편, 연동 설정시 새로운 동기화 폴더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웹 스토리지 서버에 이미 저장된 폴더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폴더를 동기화 폴더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00 및 도 10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웹 스토리지와의 연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100을 참조하면, 100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전송한다. 이어서 100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웹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0003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액세스 토큰을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에 맵핑시켜 저장한다.
도 101을 참조하면, 101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모바일 앱에서 웹 스토리지 연동 기능을 활성화한다. 10102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에 저장된 웹 스토리지 서비스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 계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10103 단계에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 연동될 동기화 폴더를 생성하면 101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선택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함께 생성된 동기화 폴더에 대한 정보를 웹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한다. 즉, 10103 단계에서 모바일 앱을 통해 생성될 동기화 폴더의 명칭이 입력되면, 10104 단계에서 입력된 동기화 폴더의 명칭을 웹 스토리지 서버로 전송한다. 그러면 웹 스토리지 서버는 수신한 명칭의 동기화 폴더를 생성한다.
10105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이 웹 스토리지 서버로부터 액세스 토큰을 수신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하고, 10106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액세스 토큰을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에 맵핑시켜 저장한다.
도 102 내지 도 10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중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즉, 도 96의 9602 단계 및 9603 단계에 대응되는 상세 도면들이다.
도 1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0201 단계에서 모바일 1(9540)에서 인쇄 데이터의 선택 및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즉, 사용자는 모바일 1(954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전송 요청을 한다. 전송 요청을 받은 모바일 1(9540)은 10202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10203 단계에서 수신자의 웹 스토리지 설정을 확인한다. 즉, 인쇄 데이터의 전송 목적지로 지정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연동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연동이 설정되는 전화번호에 대해서 연동되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 대응되는 액세스 토큰을 맵핑시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해서 웹 스토리지 연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203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수신자에 대하여 웹 스토리지 연동이 설정된 것으로 확인되면, 10204 단계에서 모바일 1(9540)에 웹 스토리지의 사용 여부에 대한 선택을 요청한다. 즉, 전송되는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도록 할 지 여부를 전송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전송자의 선택에 따라 인쇄 데이터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거나 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만 임시로 저장될 수도 있다.
10205 단계에서 전송자에 의해 웹 스토리지의 사용이 선택되면 10206 단계에서 모바일 1(9540)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선택 결과를 전송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웹 스토리지를 사용한다는 선택 결과를 수신하면, 10207 단계에서 미리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액세스 토큰을 전송하며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인쇄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한다.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되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10208 단계에서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인쇄 데이터의 작업 ID(job ID),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 및 인쇄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나타내는 URL을 메타 데이터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도 10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인쇄 데이터의 전송시 모바일 앱에 나타나는 UI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3을 참조하면, 제1 UI 화면(10300a)에서 사용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들의 목록(10310)에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3에서는 “USER#B”가 수신자로서 선택되었다.
수신자로 선택된 “USER#B”에 대해서 연동된 웹 스토리지가 있는 경우 제2 UI 화면(10300b)과 같이 저장 공간 선택창(10320)을 표시한다. 저장 공간 선택창(10320)에는 “USER#B”에 대해서 연동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인쇄 데이터를 연동된 “USER#B”의 개인 웹 스토리지에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만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저장 공간 선택창(10320)에서 “USER#B”의 개인 웹 스토리지 서버에의 저장을 선택하고 전송 버튼을 선택하면 인쇄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프로세스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를 거쳐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다.
도 10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서 인쇄 데이터의 전송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4를 참조하면, 10401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10402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인쇄 데이터의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해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연동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10402 단계의 확인 결과, 연동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있다면 10403 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자에게 웹 스토리지 사용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한다. 10404 단계에서는 웹 스토리지의 사용이 선택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웹 스토리지의 사용이 선택되었다면 10405 단계로 진행한다. 10405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웹 스토리지 서버에 액세스 토큰을 전송하며 인쇄 데이터의 저장을 요청한다.
한편, 10402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해서 웹 스토리지 서비스가 연동되어 있지 않거나, 10404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웹 스토리지의 사용이 선택되지 않았다면 10406 단계로 진행하여 인쇄 데이터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임시로 저장한다.
도 105 및 도 10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중 인쇄 데이터 목록을 열람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도 105를 참조하면, 10501 단계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2(9550)에서 인쇄 데이터 목록의 열람을 요청하면, 모바일 2(9550)는 10502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 목록 요청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로 전송한다. 인쇄 데이터 목록 요청을 수신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10503 단계에서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동기화 폴더 내 변경사항의 확인을 요청한다. 웹 스토리지 서버(9520)가 이에 응답하여 10504 단계에서 변경사항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전송하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10505 단계에서 변경사항을 업데이트한다.
이어서 10506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가 업데이트된 인쇄 데이터 목록을 모바일 2(9510)에 전송하면, 모바일 2(9510)는 10507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06을 참조하면, 10601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가 모바일 단말로부터 인쇄 데이터 목록의 요청을 수신하면, 10602 단계에서 동기화 폴더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변경사항을 웹 스토리지 서버에 요청하여 확인한다. 10603 단계에서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가 인쇄 데이터 목록의 변경사항을 업데이트하고, 10604 단계에서는 업데이트된 인쇄 데이터의 목록을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도 107 및 도 10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중 웹 스토리지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도 107을 참조하면, 10701 단계에서 모바일 2(9550)에서 사용자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인쇄를 요청하면, 10702 단계에서 모바일 2(9550)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인쇄 요청을 전송한다.
10703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미리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저장된 것으로 확인되면, 10704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미리 저장된 액세스 토큰을 전송하며 웹 스토리지 서버(9520)에 인쇄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에 응답하여 웹 스토리지 서버(9520)는 10705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웹 스토리지 서버(952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10706 단계에서 인쇄 데이터를 렌더링하고, 10707 단계에서는 렌더링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
도 108을 참조하면, 10801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인쇄 데이터의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10802 단계에서 미리 저장된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의 저장 경로를 확인한다. 확인한 저장 경로에 기초하여 10803 단계에서는 인쇄 요청된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면 10805 단계로 진행하여 웹 스토리지 서버에 액세스 토큰을 전송하며 인쇄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반면, 인쇄 데이터가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되어 있지 않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임시로 저장되어 있다면 10804 단계로 진행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어서 10806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하고, 10807 단계에서는 렌더링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
도 109a 및 109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들이다. 도 10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9511), 저장부(9512), 제어부(9513), 렌더링 수행부(9514) 및 동기화 관리부(95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9513), 렌더링 수행부(9514) 및 동기화 관리부(9515)는 둘 이상의 구성이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09b에는 도 109a의 저장부(951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109b를 참조하면, 저장부(9512)는 연동 정보 저장부(9512a), 메타 데이터 저장부(9512b) 및 임시 저장부(9512c)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9511)는 외부의 모바일 단말 또는 웹 스토리지 서버 등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네트워크 모듈일 수 있다.
저장부(9512)는 다양한 종류의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951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연동 정보 저장부(9512a)에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와의 연동에 필요한 연동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된 전화번호에 대해서 연동되는 웹 스토리지 서비스 및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액세스 토큰이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메타 데이터 저장부(9512b)에는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메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작업 ID, 웹 스토리지 서비스 및 저장 경로 URL이 맵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임시 저장부(9512c)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쇄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만 임시로 저장된다.
제어부(9513)는 다른 모든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9513)는 특히 웹 스토리지와의 연동이 설정된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면, 인쇄 데이터에 대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저장부(9512)에 저장된 연동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데이터를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한다.
렌더링 수행부(9514)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렌더링을 수행한다.
동기화 관리부(9515)는 웹 스토리지 서버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의 동기화를 관리한다.
한편, 도 109a 및 109b에 도시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510)의 구체적인 동작은 앞서 도 95 내지 도 108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자가 다이렉트 인쇄 명령과 함께 인쇄될 컨텐츠를 보내더라도 수신자가 인쇄물이 출력되기를 원하는 시점에 인쇄될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서 송신자가 다이렉트 인쇄 명령과 함께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바로 화상형성장치로 바로 전송하여 인쇄물을 출력하였다. 따라서 수신자가 인쇄물이 출력되기를 원하는 시점을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자가 다이렉트 인쇄 명령과 함께 인쇄될 컨텐츠를 보내더라도 수신자가 인쇄물이 출력되기를 원하는 시점에 인쇄될 컨텐츠를 인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10 내지 도 12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0은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0을 참조하면, 송신자는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바로 컨텐츠가 인쇄될 수 있게 하려고 한다.
송신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이용하여 수신될 목적지를 화상형성장치로 하여 다이렉트 인쇄 명령 및 인쇄될 컨텐츠를 클라우드 서버(11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다이렉트 인쇄 명령이란 클라우드 서버에 인쇄될 컨텐츠를 저장하지 않고,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수신될 목적지로 바로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하여 인쇄하도록 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명령 및 인쇄될 컨텐츠를 수신하면,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해석하여,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한다. 인쇄될 컨텐츠를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11200)는 인쇄될 컨텐츠를 인쇄한다. 이 때, 인쇄될 컨텐츠가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바로 인쇄되기 때문에, 컨텐츠가 인쇄되기를 원하는 시점을 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의 경우, 송신자는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여 인쇄될 컨텐츠 및 인쇄 명령을 클라우드 서버(11100)로 전송하고,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목적지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있는 화상형성장치로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 때, 다이렉트 인쇄 명령이 인쇄될 컨텐츠와 함께 전송되지 않은 경우,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될 컨텐츠를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하고, 수신자는 해당 전화번호로 개통된 모바일 단말 또는 클라우드 서버(11100)에 미리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지어 두었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인쇄하기를 원하는 시점에 인쇄될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를 요청하여 컨텐츠를 확인한 후에 인쇄 요청하고,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목적지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될 컨텐츠를 전송하여 인쇄될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이렉트 인쇄 명령이 인쇄될 컨텐츠와 함께 전송된 경우, 클라우드 서버(11100)는 클라우드 서버(11100)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될 컨텐츠를 바로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자는 원하는 시점에 인쇄될 컨텐츠가 인쇄되도록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한편,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이후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면,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이 수신되면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도 111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 옵션 설정부(11120), 판단부(11130), 저장부(11140) 및 제어부(1115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옵션 설정부(1112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옵션 설정부(1112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옵션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판단부(1113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11130)는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11130)는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1140)는 전화번호, 인쇄 데이터 및 옵션을 저장한다. 저장부(240)는 인쇄 데이터 및 옵션을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판단부(11130)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하도록 저장부(11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1150)는 옵션 설정부(11120)에서 설정된 옵션을 저장하도록 저장부(11140)를 제어한다. 이 때, 설정된 옵션은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150)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고,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수신된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요청에 따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클라우드 서버(11100)에서 옵션을 설정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하여 옵션을 설정하고, 수신된 옵션을 저장한다.
도 1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0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 및 제어부(110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1000)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터치 패널을 통해 다양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는 클라우드 서버(11100)에서 옵션을 설정하도록 옵션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는 클라우드 서버(11100)로부터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설정된 옵션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설정된 옵션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확인하고 설정된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103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를 제어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클라우드 서버(11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를 제어한다. 제어부(1103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해 설정된 옵션을 클라우드 서버(11100)로부터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3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해 설정된 옵션을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요청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설정된 옵션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1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 옵션 설정부(11120), 저장부(11140) 및 제어부(1115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는 옵션 설정부(11120)에 설정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 전송할 수 있다.
옵션 설정부(11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에서 수신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한다.
저장부(11140)는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저장한다. 이 때,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은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소정의 전화번호는 모바일 단말인 사용자 디바이스(11000)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수신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도록 옵션 설정부(11120)를 제어하고, 수신된 옵션을 저장하도록 저장부(11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옵션 설정부(11120)에 설정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150)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설정된 옵션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다설정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3a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고,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1120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한편,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서버에 저장한다. 이후에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이 수신되면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화상형성장치(1120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할 수 있다.
도 113a를 참조하면, 도 113a의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도 111의 클라우드 서버(11100)의 기능을 포함하므로, 클라우드 서버(11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화상형성장치(112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210), 인쇄작업 수행부(11220) 및 제어부(1123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21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쇄작업 수행부(11220)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제어부(11230)는 클라우드 서버(111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210)를 제어하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인쇄 작업 수행부(11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3b를 참조하면, 도 113b의 클라우드 서버(11100) 및 화상형성장치(11200)는 도 113a의 클라우드 서버(11100) 및 화상형성장치(11200)의 기능을 포함하므로, 클라우드 서버(11100) 및 화상형성장치(11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3b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100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 및 제어부(1103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는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전송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는 프리뷰 요청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수신한다. 프리뷰 데이터는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프리뷰(preview)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프리뷰 데이터는 인쇄 데이터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프리뷰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프리뷰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는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프리뷰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인쇄 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인쇄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1030)는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도록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를 제어하고, 프리뷰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11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서버(11100)의 제어부(11150)는 프리뷰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수신하면,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 전송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1000)의 제어부(11030)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010)로부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인쇄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11100)로 전송하도록 사용자 디바이스(110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0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서버(11100)의 제어부(11150)는 인쇄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4를 참조하면, S114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14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S1142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200)로 전송할 수 있다.
S1143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도 1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500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15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를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에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이 포함되는지를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152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200)에 전송한다.
S1153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도 1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6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16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와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를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S1162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S1163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도 1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7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S117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172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S1173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S1174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도 1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8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18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S1182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가 인쇄되도록 할 수 있다.
S1183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할 수 있다.
S118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수신한다.
S118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S11900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19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S1192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한다.
S1193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S1194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수신한다.
S1195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 전송한다.
S1196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수신한다.
S1197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20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다.
S120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이 때,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이용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로부터 설정된 옵션을 수신하여,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S1202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한다.
S1203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11200)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S12040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1200)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도 12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설정된 옵션을 수신하기 위한 HTTP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1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1100)의 주소인 “http://xx.xx.xx.xx/pp/settings/”로부터 설정된 옵션에 관한 HTTP 패킷(12110)을 수신한다. HTTP 패킷(12110)은 현재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서 수신한 패킷이다.
HTTP 패킷(12110)은 현재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설정된 옵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HTTP 패킷(12110)은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지에 대한 옵션을 포함하고 있다. 옵션 부분(12120)은 “phoneNumber” 및 “time”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phoneNumber”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의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time”은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시간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옵션 부분(12120)의 “phoneNumber”부분은 “01012345678”,”01023456789”, “0103456789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010-1234-5678”, “010-2345-6789”, “010-3456-7890”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전송자가 보내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다이렉트 인쇄를 가능하게 하겠다는 옵션이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어, 옵션 부분(12120)의 “time”부분은 “0000_0000”, “1000_1200”, “1000_1200”, “1000_1200”, “1000_1200”, “1000_1200”, “0000_0000”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월요일 00:00부터 00:00까지, 화요일 10:00부터 12:00까지, 수요일 10:00부터 12:00까지, 목요일 10:00부터 12:00까지, 금요일 10:00부터 12:00까지, 토요일 10:00부터 12:00까지, 일요일 00:00부터 12:00까지 수신되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가능하게 하겠다는 옵션이 설정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에 설정할 옵션을 전송하기 위한 HTTP 패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1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1100)의 주소인 “http://xx.xx.xx.xx/transmit/pp/”로 옵션 설정에 관한 요청 패킷인 HTTP 패킷(12130)을 전송한다.
HTTP 패킷(12130)은 현재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설정할 옵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HTTP 패킷(12130)은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지에 대한 옵션을 포함하고 있다.
허용시간 부분(12140)은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에 관한 옵션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월요일은 00:00부터 00:00까지, 화요일은 10:00부터 12:00까지, 수요일은 10:00부터 12:00까지, 목요일은 10:00부터 12:00까지, 금요일은 10:00부터 12:00까지, 토요일은 10:00부터 12:00까지, 일요일은 00:00부터 00:00까지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하는 옵션을 설정한다.
허용 전송자 부분(12145)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전송자에 관한 옵션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 “010-1234-5678”, “010-2345-6789” 및 “010-3456-7890”을 사용하는 전송자가 보내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하는 옵션을 설정한다.
도 1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2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설정(12210)을 선택하고, 개인화된 인쇄 설정(12220)을 선택한다. 도 122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개인화된 인쇄 설정(12220)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옵션 활성화 여부(1223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토글 버튼을 ON또는 OFF하여 옵션 활성화 여부(12230)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122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옵션 활성화 여부(12230)를 “ON”으로 선택하면, 사용자는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시간대(12240) 및 요일(12245)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타임 피커(Time Picker)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요일별로 선택이 가능하다. 선택한 후에 사용자가 NEXT(12250)을 선택하면 다이렉트 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전송되고,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수신된 옵션이 설정되도록 한다.
도 1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3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설정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호출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이 중에 어떠한 전송자에 대한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토글 버튼을 ON또는 OFF하여 각 전송자에 대해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에 대한 설정을 완료하고, DONE(12310)을 선택하면 해당 전송자가 보내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만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전송되고, 클라우드 서버(11100)에 해당 옵션이 설정된다. 한편, 도123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EVERYONE(12320)을 선택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에 있는 모든 전송자에 대해서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23의 (c)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1100)에서 해당 옵션이 설정되고 저장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해당 옵션이 성공적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12330)를 사용자 디바이스(110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관한 옵션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4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테이블 형태로 옵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테이블을 통해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관한 옵션을 관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 “010-AAAA-BBBB”를 사용하는 자에 대한 옵션이 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전화번호 “010-AAAA-BBBB”에 대응되어 와 활성화 테이블(12410), 허용시간 테이블(12420), 허용 전송자 테이블(12430)과 같은 형태의 테이블로 옵션이 저장될 수 있다.
활성화 테이블(12410)은 개인화된 인쇄 설정을 활성화 할 것인지에 대한 테이블로 “TRUE” 또는 “FALSE” 값을 가질 수 있다.
허용시간 테이블(12420), 은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시간대에 대한 테이블로 요일 및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날짜를 설정할 수도 있다.
허용 전송자 테이블(12430)은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전송자에 대한 테이블로 다이렉트 인쇄를 허용할 전송자의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전송자의 전화번호와 함께 필요한 IP주소, 시리얼 넘버, 위치와 같은 부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로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관한 옵션이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도 1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1250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작업을 수신한다. 다이렉트 인쇄 작업은 다이렉트 인쇄 명령 및 인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S125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개인화된 인쇄 옵션이 활성화 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개인화된 인쇄 옵션은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다이렉트 인쇄의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의미한다.
S12520단계에서, 개인화된 인쇄 옵션이 활성화 되었다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작업이 수신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 내인지를 판단한다.
S12550 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내라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풀-프린트 인쇄를 수행한다. 여기서 풀-프린트(pull-print) 인쇄란 인쇄 작업을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인쇄 요청하면 그 때,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200)에 전송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다이렉트 인쇄는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200)에 전송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S12530 단계에서, 설정된 시간 내라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 작업을 전송한 사용자가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된 전송자인지를 확인한다.
S12540 단계에서,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된 전송자라고 판단되면, 클라우드 서버(11100)는 다이렉트 인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1100)는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1200)로 전송하여 화상형성장치(11200)에서 인쇄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자가 다이렉트 인쇄 명령 및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더라도, 수신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옵션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할지를 결정하여, 수신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다이렉트 인쇄하고, 나머지에 대해서는 풀-프린트 인쇄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자는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를 설정하여 취침 시간과 같은 개인 시간에 인쇄 소음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또한 수신자는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1100)에 인쇄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1000)를 통해 수신자가 작업을 확인한 후에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는 발신자가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요청할 수도 있지만,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발신자 디바이스에서도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다만,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는 연락처를 저장한 주소록을 이용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받을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용이하였으나,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발신자 디바이스에서는 발신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야 한다. 이하, 도 126 내지 도 138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에서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26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인쇄 서비스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6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12650)를 중심으로 좌측에는 발신자 디바이스들(12610, 12630), 우측에는 수신자 디바이스들(12670, 12690)로 구분할 수 있다.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자 하는 발신자는 발신자 디바이스들(12610, 1263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인쇄 작업을 등록하고, 인쇄 작업을 수신하는 수신자는 수신자 디바이스들(12670, 12690)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인쇄 작업을 수신하여 발신자가 전송한 인쇄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650)를 중심으로 좌측의 발신자 디바이스들(12610, 12630)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와 이와 같은 화상형성장치(12610)와 통신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일 수 있다.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을 생성하고, 생성된 인쇄 작업을 수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수신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수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쇄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이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전송되어, 클라우드 서버(12650)에 등록될 수 있다.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야 한다.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모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12630) 또는 클라우드 서버(12650) 등으로부터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획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27 내지 도 138을 참조하여,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손쉽게 입력하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7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61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 통신부(12615), 제어부(12617), 저장부(126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12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2610)는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캔부 또는 인쇄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611)는 인쇄 작업 요청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611)는 문서를 스캔한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된 수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12650)에 등록하는 스캔 투 폰(scan to phon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611)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작업을 입력된 수신자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12650)에 등록하는 박스 투 폰(box to phon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입력하는 화면 선택시에 인쇄 작업 리스트 또는 인쇄 작업의 미리 보기(preview)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는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선택시에 수신자 전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반영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 또는 외부 기기의 주소록을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130 또는 도 136을 이용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부(12615)는 외부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 기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615)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부(12615)는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서버 주소록을 요청하고, 서버 주소록 요청에 따른 서버 주소록을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615)는 Wifi-direct, Bluetooth,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2610)와 통신을 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상태, 데이터의 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통신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615)는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2617)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의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617)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자동 입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617)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표시 중에 수신된 수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화면에 자동 입력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 외에 수신자 이메일 주소와 수신자가 속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2617)는 화면에 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617)는 사용자의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2617)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을 표시하고, 표시된 서버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받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617)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표시 중에 수신된 서버 주소록에 기초하여,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화면에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주소록은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 외에 수신자 이메일 주소와 수신자가 속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2617)는 화면에 이를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617)는 사용자의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선택된 수신자의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2619)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 및 프로그램,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2610)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2619)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여 주소록을 갱신(update)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619)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을 저장하여 주소록을 갱신(update)할 수 있다.
저장부(12619)는 화상형성장치(12610)가 스캔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스캔부에서 생성한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인쇄 작업 리스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619)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2619)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인쇄 작업들에 대해서도 인쇄 작업 리스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617)는 클라우드 서버(12650)의 서버 주소록 갱신을 위해, 클라우드 서버(12650)로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여 갱신된 주소록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617)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모바일 주소록 갱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을 저장하여 갱신된 주소록을 전송할 수 있다.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각 디바이스들 즉, 화상형성장치(12610), 모바일 디바이스(12630), 및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저장된 각각의 주소록을 서로 동기화하기 위함이다.
도 1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 요청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2805)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스캔 투 폰(scan to phon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 128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기존의 스캔 이미지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현재 스캔된 문서의 스캔 이미지 데이터의 미리 보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수신자 전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자 전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 번호를 외우고 있지 않거나 수신자 전화 번호를 여러 개 입력하여야 때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를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2610)에 전송함으로써, 손쉽게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12630)를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전화번호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2815) 예를 들어,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주소록을 검색하여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모바일 주소록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모바일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S 12820)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모바일 주소록에서 확인하고, 수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모바일 주소록에서 선택한 수신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261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 12825)
화상형성장치(12610)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S 1283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에서 선택하였던 수신자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26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의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S 1283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1265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650)는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주소록에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 12840)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을 갱신하기 위함이다. 이후, 동일한 수신자에게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2610)의 갱신된 주소록을 이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갱신된 주소록을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전송할 수 있다.(S 1284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1265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2610)의 갱신된 주소록을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65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12610)의 갱신된 주소록을 이용하여, 서버 주소록을 갱신할 수 있다.(S 12850)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과 클라우드 서버(12650)의 서버 주소록을 서로 동기화하기 위함이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의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 12855)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전송된 인쇄 작업에 대하여, 수신자 이름으로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자 이름 기반의 인쇄 작업에 대한 로그 데이터에 의해, 전송된 인쇄 작업에 대한 수신자 확인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29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모바일 주소록에서 인쇄 작업을 전송받을 수신자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28에서 S 12815 내지 S 12825의 과정을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 즉, 발신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모바일 주소록에서 인쇄 작업을 전송받을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기억할 수 없거나, 수신자가 여러 명일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630)에 저장된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도 129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40)에 모바일 주소록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바일 주소록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주소록을 검색하여 사용자 정보를 선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킴으로써, 유저 인터페이스(1264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즉, 발신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40)에 표시된 모바일 주소록에서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모바일 주소록을 스크롤 하여 원하는 수신자 정보를 검색하고, 체크 박스를 선택함으로써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자를 선택하고, "Complete" 버튼을 누름으로써 수신자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에서 수신자 선택이 완료되면,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미리 설정된 통신 방식에 따라 미리 설정된 화상형성장치(12610)로 선택된 수신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미리 설정된 사항이 없다면, 수신자 정보를 전송할 통신 방식 또는 수신자 정보를 전송할 화상형성장치(12610)를 선택할 수 있는 팝업(pop-up)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Wifi-direct, Bluetooth,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 방식과 모바일 디바이스(12630)에 등록된 복수 개의 화상형성장치들을 팝업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수신자 정보를 전송할 통신 방식과 화상형성장치(12610)가 결정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 선택된 수신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3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수신자 정보를 자동 입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28에서 S 12805 내지 S 12830의 과정을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0을 우측 상단의 도면부터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의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하였을 때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를 도시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의 일부 영역에는 주소록 영역(12622) 표시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들을 주소록 영역(12622)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자 전화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소록 영역(12622) 아래에 위치한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12610)에 직접 입력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에 수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9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40)에서 수신자 정보를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에 전송한 경우, 도 130의 우측 상단의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는 도 130의 우측 하단의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40)에서 선택한 수신자 정보들이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 내의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전송된 수신자 정보들은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임시로 자동 입력될 수 있다.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신자들을 모두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 내의 "Send" 버튼을 누름으로써, 인쇄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2610)는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31 내지 1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주소록에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8에서 S 12840의 과정을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1은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을 갱신할 것인지 사용자에게 확인을 구하는 팝업(12624)을 표시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을 갱신할 것인지 사용자의 판단을 구하는 것이다. 향후에 인쇄 작업을 전송할 여지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YES" 버튼을 눌러,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을 갱신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수신자 전화번호와 인쇄 작업이 전송된 경우,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을 자동으로 갱신하도록 미리 설정해둠으로써, 도 131의 팝업(12624) 표시를 생략할 수도 있다.
도 132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할 카테고리(12626)를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할 카테고리(1262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Individual", "Group", 및 "Any#"이 있을 수 있다. "Individual" 카테고리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개인별로 각각 저장할 때 선택될 수 있다. "Group" 카테고리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에 그룹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자 정보를 그룹별로 각각 저장할 때 선택될 수 있다. "Any#" 카테고리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 저장 공간에 각각 대응시켜 저장할 때 선택될 수 있다. "Any#" 카테고리에 따른 주소록 저장 공간은 "Individual" 카테고리와 "Group" 카테고리와 달리, 전화번호 저장 공간을 별도로 두고 있으므로,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해당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3a, 도 133b, 및 도 13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수신자 정보를 저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3a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Individual"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저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3a를 보면, 수신자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가 순서대로 입력되는데, 전화번호의 경우 기존 주소록의 팩스번호 저장공간을 대체하여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133a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별도의 전화번호 필드로 마련하여 새로 마련된 저장공간에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33b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Group"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저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3b를 보면,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그룹에 관한 정보가 "Company"인 경우이고, 총 3명이 속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3c는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부터 수신된 수신자 정보를 "Any#"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저장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3c를 보면, 수신자 이름과 전화번호가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저장되며, 특히,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전화번호 필드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13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서버 주소록을 수신하여 인쇄 작업을 요청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 요청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 13405)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613)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메뉴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스캔 투 폰(scan to phon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S 134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인쇄 작업을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기존의 스캔 이미지 데이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거나 현재 스캔된 문서의 스캔 이미지 데이터의 미리 보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수신자 전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신자 전화 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표시되면,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 번호를 외우고 있지 않거나 수신자 전화 번호를 여러 개 입력하여야 때에는, 클라우드 서버(12650)를 이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서버 주소록을 요청할 수 있다.(S 13415) 화상형성장치(12610)는 서버 주소록 요청에 따른 서버 주소록을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 13420)
화상형성장치(12610)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을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 13425)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 표시된 서버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함으로써, 손쉽게 수신자 전화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S 13430)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의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선택된 수신자의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S 13435) 다시 말해서, 클라우드 서버(1265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650)는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서로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주소록에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을 저장할 수 있다.(S 13440)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을 갱신하기 위함이다. 이후, 동일한 수신자에게 인쇄 작업을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2610)의 갱신된 주소록을 이용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갱신된 주소록을 모바일 디바이스(12630)로 전송할 수 있다.(S 13445) 다시 말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2610)의 갱신된 주소록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630)는 화상형성장치(12610)로부터 수신된 화상형성장치(12610)의 갱신된 주소록을 이용하여, 모바일 주소록을 갱신할 수 있다.(S 13450)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과 모바일 디바이스(12630)의 모바일 주소록을 서로 동기화하기 위함이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의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S 13455)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전송된 인쇄 작업에 대하여, 수신자 이름으로 로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클라우드 서버(12650)와의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4의 S 1341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2610)는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서버 주소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2610)는 클라우드 서버(12650)에 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해두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13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클라우드 서버(12650)의 정보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12628)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2650)의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도 13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서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서버 주소록을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서버 주소록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134에서 S 13405 내지 S 13430의 과정을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6의 좌측 상단의 도면부터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2610)의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하였을 때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를 도시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의 일부 영역에는 주소록 영역(12622) 표시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들을 주소록 영역(12622)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 화상형성장치(12610)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수신자 전화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주소록 영역(12622) 아래에 위치한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12610)에 직접 입력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2610)에 서버 주소록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에서 미리 연결 설정이 완료된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서버 주소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에 있는 전화번호 입력을 요청하는 버튼(12629)를 누르면, 화상형성장치(12610)에 미리 연결 설정이 완료된 클라우드 서버(12650)에 서버 주소록을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650)는 화상형성장치(12610)의 서버 주소록 요청에 응답하여, 서버 주소록을 화상형성장치(12610)에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2650)에서 서버 주소록을 화상형성장치(12610)에 전송한 경우, 도 136의 좌측 상단의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는 도 136의 좌측 하단의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을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된 서버 주소록은 화상형성장치(12610)의 주소록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서버 주소록에서 체크 박스를 체크하여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신자들의 선택을 완료하고, 화상형성장치(12610)의 유저 인터페이스(12620) 내의 "Send" 버튼을 누름으로써, 인쇄 작업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2610)는 스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여 선택된 수신자의 수신자 전화 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3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1371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 요청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1372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입력하는 화면 선택시에 인쇄 작업 리스트 또는 인쇄 작업의 미리 보기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선택시에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1373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자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수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수신자 정보를 자동 입력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표시 중에 수신된 수신자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자동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수신자 정보는 수신자 이메일 주소와 수신자가 속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1374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로 수신자 정보에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38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상에서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12610)에 대하여 기술한 내용은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단계 1381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 요청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 1382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적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사용자가 인쇄 작업을 입력하는 화면 선택시에 인쇄 작업 리스트 또는 인쇄 작업의 미리 보기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선택시에 상기 수신자 전화번호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1383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서버 주소록 요청에 따른 서버 주소록을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1265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에 서버 주소록을 표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2610)는 수신자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화면 표시 중에 수신된 서버 주소록에 기초하여, 수신자 이름과 수신자 전화번호를 대응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버 주소록은 수신자 이메일 주소와 수신자가 속한 그룹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1384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표시된 서버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단계 13850에서, 화상형성장치(12610)는 인쇄 작업 요청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2650)로 선택된 수신자의 수신자 전화번호와 요청된 인쇄 작업을 전송할 수 있다.
앞서 도 81 내지 도 94에서는, 화상형성장치(37)가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지원하지 않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37)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없는 경우, 클라우드 서버(40)와 화상형성장치(37)를 중개하는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도움을 통해 화상형성장치(37)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앞서 도 81 내지 도 94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로그온 권한을 가진 사용자(예를 들어, 제 2 개인(23))만이, 컴퓨팅 디바이스(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을 통해 새로운 전화번호를 화상형성장치(37)에 지정하여 클라우드 프린터 서비스에 등록 또는 가입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컴퓨팅 디바이스(20)의 로그온 권한이 없는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제 1 개인(21))는, 제 2 개인(23)의 도움 없이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에 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등록 또는 가입을 진행할 수 없었다.
이하의 도 139 내지 도 149에서는, NFC 태그를 이용하여 로그온 권한이 없는 사용자라도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로그온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 경우라도, 이하에서 설명될 NFC 태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쉽게 등록할 수 있다. 도 139 내지 도 149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한 대상을 지칭할 때에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 지라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13920)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3930)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39)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도 2의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과 달리,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39)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20)가 추가된다. 여기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39)의 화상형성장치(13930)는 네트워크 연결 기능이 지원되지 않거나,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독자적으로 클라우드 서버(13940)에 연결되어 클라우드 프린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39를 참고하면,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39) 상에 존재하는 클라우드 서버(13940),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 컴퓨팅 디바이스(13920), 화상형성장치(13930) 및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은 앞서 도 81 내지 도 94에서 설명되었던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동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39에서 사용자 A(1391)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 및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소유자인 것으로 가정하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A(1391)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설치된 운영체제(OS)의 로그온 권한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사용자 B(1393)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소유자이고,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운영체제(OS)의 로그온 권한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B(1393)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로그인 권한을 가질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는 앞서 도 81 내지 도 94에서 설명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과 동일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화번호 및 화상형성장치(13930)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A(1391)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관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13930)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B(1393)에 의해 사용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2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B(1393)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를 화상형성장치(13930)를 통해 인쇄할 수 없다. 또한, 사용자 B(1393)가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로그온 권한이 없으므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20)에 직접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직접 등록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B(1393)는 NFC 태그(13902)를 이용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20)을 통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들을 등록하여 관리하고 있으므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에 설치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들을 클라우드 서버(1394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A(1391)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를 NFC 태그(13902)에 NFC 태깅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를 NFC 태그(13902)에 라이트(write)한다.
이에 따라, NFC 태그(13902)에는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후에, 사용자 B(1393)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를 NFC 태그(13902)에 NFC 태깅하여, NFC 태그(13902)에 라이트된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즉, 사용자 B(1393)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로그온 권한이 없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실행시킬 수 없다고 할지라도, NFC 태깅을 통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에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와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NFC 태깅을 통해 획득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3940)로 전송한다. 이때,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하고자 하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로부터 전송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매핑하여 등록한다.
결국, 사용자 B(1393)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조작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 상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직접 등록하지 않더라도, NFC 태깅을 통해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 B(1393)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로 요청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관한 컨텐츠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된 화상형성장치(13930)를 통해 인쇄할 수 있다.
도 14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부착된 NFC 태그(1390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0을 참고하면, NFC 태그(13902)는 사용 편의를 위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를 부팅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실행시키지 않더라도, 부착된 NFC 태그(13902)를 NFC 태깅함으로써 편리하게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다.
다만,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NFC 태그(13902)는, 도 140과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13920) 상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NFC 태그(13902)는 사무실 환경의 어느 장소 또는 가정 환경의 어느 장소에도 부착될 수 있다.
도 14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상세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4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41a를 참고하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는 제어부(139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2), NFC 모듈(13913)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4)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41b를 참고하면,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제어부(1391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7), NFC 모듈(13918)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9)를 포함한다.
도 141a 및 도 141b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141a 및 도 141b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41a 및 도 141b에 도시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스마트폰, 태블릿 디바이스, PDA 또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4)는 입력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사용자 A(1391)에게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A(1391)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10)는 디스플레이 화면, 스피커,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이 사용자와 인터페이싱하는 개별적인 장치들을 모두 포함하고, 또한 터치스크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9)도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4)의 위와 같은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어부(13911)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어부(13911)는 전화번호에 기반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쇄 애플리케이션(printing application)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916)도 또한 제어부(13911)의 위와 같은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제어부(13911) 또는 제어부(13916)는 중앙처리장치(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2)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로서, WI-FI, WI-FI Direct, Bluetooth 등과 같은 무선 통신과, 이더넷 등을 통한 유선 통신과, 또는 2G 이동통신, 3G 이동통신 또는 4G 이동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7)도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2)의 위와 같은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NFC 모듈(13913) 또는 NFC 모듈(13918)은 다른 NFC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NFC 태그(13902), NFC 지원 스마트폰 등과 NFC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이다. NFC 모듈(13913) 또는 NFC 모듈(13918)은 NFC 태깅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P2P 모드, 리드/라이트(read/write) 모드 또는 에뮬레이션 모드(emulation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구성요소들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들 및 기능들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142 내지 도 149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3940)로의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사용 등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2를 참고하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사용 등록은 앞서 도 139 내지 도 149에서 설명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01)의 사용 등록과 관련된다. 따라서, 도 139 내지 도 149에 관한 설명들 및 이하의 도 142에 관한 설명들은 서로 적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등록하여 관리한다. 즉,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39) 상에 존재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은 화상형성장치들에 설치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것일 수 있다.
테이블(14200)을 참고하면, “Agent Type” 항목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이 화상형성장치들에 설치된 경우 “PRT_AGENT”의 값을 갖고,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이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경우 “PC_AGENT”의 값을 갖는다.
“Agent Type” 항목은 앞서 도 139 내지 도 149에서 설명된 경로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Agent Type” 항목이 “PRT_AGENT”의 값인 경우, 특정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는 특정 화상형성장치로 바로 전송되어 인쇄된다. 이는 특정 화상형성장치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로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경로가 특정 화상형성장치임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Agent Type” 항목이 “PC_AGENT”의 값인 경우, 특정 전화번호로 요청된 컨텐츠는 특정 컴퓨팅 디바이스로 전송된 후 특정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된 특정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된다. 이는 특정 화상형성장치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로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경로가 컴퓨팅 디바이스임을 나타낸다. 다만, 특정 화상형성장치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경우에도, 컴퓨팅 디바이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설명되었다.
테이블(14200)을 참고하면, “Device ID(Mac Address)” 항목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디바이스에 고유하게 할당된 MAC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등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200)을 이용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의 타입(“Agent Type”)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된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Device ID(Mac Address)”)를 매핑하여 관리한다.
예를 들어, 테이블(14200)을 참고하면, MAC 어드레스 “00:15:99:00:00:AA”에는 “PRT_AGENT”의 값이 매핑되어 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13940)에는 MAC 어드레스 “00:15:99:00:00:AA”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MAC 어드레스들 “00:15:99:00:00:BB” 및 “00:15:99:00:00:CC” 에는 “PC_AGENT”의 값들이 매핑되어 있으므로, 클라우드 서버(13940)에는 MAC 어드레스들 “00:15:99:00:00:BB” 및 “00:15:99:00:00:CC”를 갖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이 등록되어 있다.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위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들의 등록 정보들을 관리하는 테이블(14200)을 저장한다.
도 14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목록 및 화상형성장치 목록을 클라우드 서버(13940)에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3을 참고하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의해 관리되는 목록들에 대한 클라우드 서버(13940)의 등록은, 앞서 도 139 내지 도 149의 설명들에 관련된다. 따라서, 도 139 내지 도 149에 관한 설명들 및 이하의 도 142에 관한 설명들은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A(1391)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301)을 통해, 새로운 전화번호(예를 들어, “+82-10-0000-0004”)를 추가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39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의해 추가된 전화번호 “+82-10-0000-0004”를 클라우드 서버(13940)에 등록하기 위하여, 전화번호 “+82-10-0000-0004”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3940)로 전송한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13940)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의한 요청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컴퓨팅 디바이스(1392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클라우드 서버(13940)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게 고유하게 할당한 인증키, 로그인 계정 등에 해당될 수 있고, 또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MAC 어드레스에 해당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302)을 이용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40)은 MAC 어드레스 “00:15:99:00:00:CC”에 대응되는 것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303)과 같이, MAC 어드레스 “00:15:99:00:00:CC” 및 전화번호 “+82-10-0000-0004”를 매핑하여 등록한다. 추가적으로, 화상형성장치 정보 “SCX-6401”도 함께 매핑될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의해 추가된 전화번호들을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대한 정보들과 매핑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14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를 이용하여 NFC 태그(13902)에 정보를 라이트(write)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503)을 통해 NFC 태그(13902)에 정보를 라이트(write)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4 및 도 145를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4401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제어부(13911)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에 설치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4)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503)을 표시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5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화번호는 “+82-10-0000-0004”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4402 단계에서, 사용자 A(1391)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503)을 통해 NFC 라이트(NFC write)를 명령하는 시작 버튼(14504)을 클릭한 경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제어부(13911)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NFC 태깅 모드를 활성화한다.
14403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2)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13940)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요청한다. 여기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네트워크 주소 정보는, 도 14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클라우드 서버(13940)에 등록될 때 사용된, 컴퓨팅 디바이스(13920)의 MAC 어드레스일 수 있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2)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화번호 “+82-10-0000-0004”를 클라우드 서버(13940)에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501)을 이용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화번호 “+82-10-0000-0004”에 매핑된 MAC 어드레스들은 “00:15:99:00:00:CC” 및 “00:15:99:00:00:CC”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502)을 이용하여, MAC 어드레스 “00:15:99:00:00:CC”에 매핑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은 “HOME PC”의 PC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결정하고, MAC 어드레스 “00:15:99:00:00:DD”에 매핑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은 “OFFICE PC”의 PC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인 것으로 결정한다.
14404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된 식별 정보는, 결정된 MAC 어드레스들 “00:15:99:00:00:CC” 및 “00:15:99:00:00:CC”을 포함한다. 또한, 전송된 식별 정보는, MAC 어드레스들 “00:15:99:00:00:CC” 및 “00:15:99:00:00:CC” 각각에 대응되는 PC 명칭들 “HOME PC” 및 “OFFICE PC”도 포함할 수 있다.
14405 단계에서, 사용자 A(1391)가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를 NFC 태그(13902)에 NFC 태깅한 경우,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NFC 모듈(13913)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NFC 태그(13902)에 라이트(write)한다.
한편, 전송된 식별 정보에는, 2 종류의 MAC 어드레스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 A(1391)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503)을 통해 MAC 어드레스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된 식별 정보에 복수의 MAC 어드레스들이 포함된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503)은 라이트할 MAC 어드레스의 선택을 위한 팝업 창(14505)을 표시한다.
사용자 A(1391)가 팝업 창(14505)에서 “OFFICE PC, 00:15:99:00:00:DD”(14506)를 선택한 경우, NFC 모듈(13913)은 “OFFICE PC, 00:15:99:00:00:DD”(14506)의 식별 정보를 NFC 태그(13902)에 라이트한다. 만약, 사용자 A(1391)가 2 이상의 MAC 어드레스들을 선택할 경우에는, 선택된 MAC 어드레스들이 라이트될 수 있다.
14406 단계에서, NFC 태그(13902)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즉, NFC 태그(13902)는 “OFFICE PC, 00:15:99:00:00:DD”(14506)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도 14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를 이용하여 NFC 태그(13902)로부터 정보를 리드(read)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701)을 통해 NFC 태그(13902)로부터 정보를 리드(read)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46 및 도 147을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4601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제어부(13916)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에 설치된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인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9)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701)을 표시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는 “+82-10-1234-ABCD”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4602 단계에서, 사용자 B(1393)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701)을 통해 NFC 리드(NFC read)를 명령하는 시작 버튼(14702)을 클릭한 경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제어부(13916)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NFC 태깅 모드를 활성화한다.
14603 단계에서, 사용자 B(1393)가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를 NFC 태그(13902)에 NFC 태깅한 경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NFC 모듈(13918)은 NFC 태그(13902)에 기록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리드(read)한다. 즉, NFC 모듈(13918)은 NFC 태그(13902)로부터 “OFFICE PC, 00:15:99:00:00:DD”의 식별 정보를 리드한다.
14604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917)는, 리드된 식별 정보 “OFFICE PC, 00:15:99:00:00:DD”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 “+82-10-1234-ABCD”를 포함하는 등록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13940)에 전송한다.
1460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 “+82-10-1234-ABCD”를 식별 정보 “OFFICE PC, 00:15:99:00:00:DD”에 대응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매핑하여 등록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703)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 “OFFICE PC, 00:15:99:00:00:DD”에 매핑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결정한다. 그리고 나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테이블(147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FFICE PC, 00:15:99:00:00:DD”에 대응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 “+82-10-1234-ABCD”를 등록한다.
14606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등록 요청에 대응되는 등록 응답을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에 전송한다. 즉, 클라우드 서버(13940)는, “OFFICE PC, 00:15:99:00:00:DD”에 대응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 “+82-10-1234-ABCD”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등록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14607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9)는, 전송된 등록 응답에 기초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등록 정보(14705)를 표시한다. 즉, 유저 인터페이스부(13919)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14701)을 통해, “OFFICE PC, 00:15:99:00:00:DD”에 대응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 “+82-10-1234-ABCD”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등록 정보(14705)를 표시할 수 있다.
14608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 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이 설치된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도 등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4609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 또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은, 전송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의 전화번호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B(1393)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을 조작하여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 상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직접 등록하지 않더라도, NFC 태깅을 통해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시킬 수 있다.
도 148은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13902)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등록하는 전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8에서는, 도 144 내지 도 147에서 설명되었던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 클라우드 서버(13940) 및 NFC 태그(13902)에서 수행되었던 과정들을 통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44 내지 도 147에서 설명되었던 내용들은 도 148에도 적용될 수 있다.
14801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14802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NFC 태깅 모드를 활성화한다.
14803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컴퓨팅 디바이스(13920)에 설치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로 전송한다.
14804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는 NFC 태그(13902)에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라이트(write)한다.
14805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14806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인쇄 애플리케이션의 NFC 태깅 모드를 활성화한다.
14807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NFC 태그(13902)에 기록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리드(read)한다.
14808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리드된 식별 정보 및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클라우드 서버(13940)로 전송한다.
14809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의 전화번호를, 리드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매핑하여 등록한다.
14810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는, 등록 정보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로 전송한다.
도 149는 일 실시예에 따른, NFC 태그(13902)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9의 방법은 앞서 설명된 도 139 내지 도 148의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139)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과정들이므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앞서 도 139 내지 도 148에서 설명되었던 내용은 도 194의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4901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의 전화번호가 등록된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의 식별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13940)로부터 수신한다.
14902 단계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13910)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NFC 태그(13902)에 라이트(write)한다.
14903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라이트된 식별 정보를 NFC 태그(13902)로부터 리드(read)한다.
14904 단계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는, 리드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등록 요청을 클라우드 서버(13940)로 전송한다.
14905 단계에서, 클라우드 서버(13940), 전송된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제 2 모바일 디바이스(13915)를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13901)에 등록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프린터, 스캐너 또는 복합기 등의 화상형성장치를 전화번호에 맵핑시켜 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앞에서는 구체적인 디바이스 등록 방법으로서 모바일 단말을 화상형성장치의 NFC 태그에 태깅하는 방법을 설명한 바 있다.
그런데, NFC 태깅을 통한 디바이스 등록 방법의 경우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인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NFC 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는 등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통신 또는 QR 코드 리딩(reading) 등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등록하는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도 150 내지 도 16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또는 QR 코드 리딩을 통한 디바이스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0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 모바일 단말(15020) 및 화상형성장치(150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15030)가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등록되어야 함은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15020)의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화상형성장치(15030)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등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모바일 단말(15020)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위해서는 모바일 단말(15020)의 전화번호와 함께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정보가 필요하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IP 주소, 시리얼 넘버, 호스트 네임, 모델명 또는 케이퍼빌리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통신 또는 QR 코드 리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디바이스 정보를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하면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한다.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통신 또는 QR 코드 리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고 디바이스 등록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는 각 방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1 내지 도 155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에 대한 상세 도면들이다.
도 151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1을 참조하면, 먼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Indoor Positioning System)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가 등록된다.
이때, IPS란 주로 GPS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에서 무선 통신과 장비를 활용해 건물 내 사람 또는 사물의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으로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사용하는 삼각측량과 핑거프린트 방식, 적외선, 음향 분석, 전자태그(RFID) 및 각종 센서를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즉, IPS 정보란 실내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 정보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실내에 위치하는 점을 고려하여 IPS 정보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디바이스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모델명,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지원 여부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에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화상형성장치(15030)를 촬영한다. 모바일 단말(15020)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저장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모바일 단말(15020)의 요청에 응답하여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한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저장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의 주변에 위치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은 수신한 IPS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에서 촬영된 화상형성장치(15030)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신한 IPS 정보로부터 파악한 화상형성장치(15030)의 위치를 통해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화면상에서 화상형성장치를 찾을 수 있다.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화면상에서 화상형성장치를 인식하였으면, 대응되는 위치에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부터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되는 디바이스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모델명 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지원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1에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15101 영역에 화상형성장치(15030)의 모델명 “ML-2020”이 표시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식되면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버튼(15102) 및 인쇄 수행을 위한 버튼(15103)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중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버튼(15102)이 선택되면 모바일 단말(15020)은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한다. 한편, 인쇄 수행을 위한 버튼(15102)이 선택되면 화상형성장치(15030)에서 인쇄를 수행한다.
한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모바일 단말(15020)가 클라우드 서버(15010)로부터 IPS 정보 및 MAC 주소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 및 MAC 주소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화상형성장치(15030)가 IPS 정보를 획득 또는 생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5030)가 직접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IPS 정보와 함께 MAC 주소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15030)가 IPS 정보를 획득 또는 생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5020)이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를 획득 또는 생성하여 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52 및 도 153은 각각 화상형성장치에서 IPS 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경우 및 불가능한 경우에 IPS 정보 및 MAC 주소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등록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5030)는 직접 IPS 정보를 획득 또는 생성하고 이를 자신의 MAC 주소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5030)는 와이파이 연결된 무선 AP의 위치 정보 및 연결 신호의 세기 등으로부터 실내 위치를 파악하여 IPS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이미 알려진 다양한 방법의 IPS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MAC 주소에 IPS 정보를 맵핑시켜 테이블(15201)에 저장한다.
도 15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5030)는 직접 IPS 정보를 획득 또는 생성할 수 없어 모바일 단말(15020)이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5020)은 화상형성장치(15030)로부터 MAC 주소를 수신하여 생성된 IPS 정보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마찬가지로 수신한 MAC 주소에 IPS 정보를 맵핑시켜 테이블(15301)에 저장한다.
이때, 모바일 단말(15020)이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5020)은 화상형성장치(15030)와 블루투스 연결되어 연결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화상형성장치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모바일 단말(15020) 자신의 위치는 연결된 기지국 또는 무선 AP의 위치로부터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한 모바일 단말(15020)의 위치 및 화상형성장치(15030)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5030)에 대한 IPS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15020)은 외부의 IPS 정보 제공 시스템(15310)으로부터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5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4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154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자세하게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와 함께 MAC 주소를 수신하여, MAC 주소에 IPS 정보를 맵핑시켜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화상형성장치(15030)의 IPS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503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모바일 단말(15020)이나 외부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154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15030)를 촬영한다. 모바일 단말(15403)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미리 저장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한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저장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 중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의 주변에 위치한 장치의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만을 추출해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단말(15020)은 15403 단계에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 요청시 자신의 위치 정보도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모바일 단말(15020)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모바일 단말(15020) 주변의 장치에 대한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154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수신한 IPS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화상형성장치를 인식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수신한 IPS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화면에서 찾고, 해당 위치에 화상형성장치(15030)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15406 단계에서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영상에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한다. 15405 단계에서 인식된 화상형성장치(15030)의 위치에 15404 단계에서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되는 디바이스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모델명일 수 있으며, 또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지원 여부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가 표시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화명의 예시는 도 151을 참조한다.
15407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15020)에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사용자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 및 그것의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고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5030)의 촬영 영상 및 디바이스 정보가 표시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에는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버튼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는데, 사용자는 해당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15408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전화번호와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며 화상형성장치(15030)의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단말(15020)은 디바이스 정보 중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를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하여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전화번호에 MAC 주소를 맵핑시켜 저장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5030)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디바이스로 등록할 수 있다.
도 1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5를 참조하면, 155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의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저장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에 IPS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한다.
15502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촬영한다.
15503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IPS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15504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이 수신한 IPS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영상에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표시한다. 자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은 수신한 IPS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촬영 화면에서 찾고, 해당 위치에 화상형성장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은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된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명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지원 여부 등을 촬영 영상에서 화상형성장치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15505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는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버튼이 표시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터치하면 화면에 표시된 화상형성장치에 대한 디바이스 등록 요청이 수신된다.
15506 단계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화번호와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요청을 수신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에 포함된 MAC 주소를 맵핑시켜 등록할 수 있다.
도 15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 모바일 단말(15020), 화상형성장치(15030) 및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정보가 기록된 QR 코드(150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15031)는 스티커 형태로 제작되어 화상형성장치(15030)의 외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장치 세팅 완료 후 출력되는 테스트 페이지에 인쇄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모바일 앱을 실행하고, 모바일 앱의 메뉴 중 QR 코드를 이용한 디바이스 등록을 선택하면 QR 코드를 리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그 상태에서 QR 코드(15031)를 촬영하면 QR 코드(15031)에 저장된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등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이어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획득한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스 서버(1501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디바이스 정보를 맵핑시켜 등록한다.
도 1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157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전원이 켜질 때 MAC 주소 및 모델명 등의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한다.
15702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형성장치(15030)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자세하게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화상형성장치(15030)로부터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 MAC 주소 및 모델명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전송에 사용된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은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유지된 무선 연결에 수신한 MAC 주소 및 모델명을 맵핑시킨다.
157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화상형성장치(15030)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및 모델명을 획득할 수 있다. 모바일 단밀(15020)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모바일 앱을 실행하고, 모바일 앱에서 QR 코드을 이용한 디바이스 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QR 코드 촬영을 위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15020)에서 QR 코드를 촬영함으로써 QR 코드에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15704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및 모델명을 전송한다.
15705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를 키 값(key value)으로 하여 기존 연결에 전화번호를 맵핑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157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화상형성장치(15030)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유지된 연결에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등을 맵핑시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15704 단계에서 수신한 MAC 주소에 대응되는 연결을 찾을 수 있고, 해당 연결에 15704 단계에서 함께 수신한 모바일 단말(15020)의 전화번호를 맵핑시킬 수 있다.
도 1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8을 참조하면, 158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에서 화상형성장치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하여 화상형성장치의 MAC 주소 및 모델명을 획득한다.
158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획득한 MAC 주소 및 모델명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한다.
15803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MAC 주소 및 모델명을 맵핑시켜 화상형성장치를 등록한다.
도 15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 모바일 단말(15020) 및 화상형성장치(1503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5030)는 디스플레이부에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UI 화면(15901)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15040)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입력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UI 화면(15901)에 모바일 단말(15020)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의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화상형성장치(15030)는 입력된 전화번호와 함께 자신의 MAC 주소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전화번호에 MAC 주소를 맵핑시켜 저장한다.
도 1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0을 참조하면, 160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전원이 켜질 때 MAC 주소 및 모델명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한다.
16002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 화상형성장치(15030)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자세하게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화상형성장치(15030)로부터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 MAC 주소 및 모델명을 전송받아 저장한다. 그리고, 전송에 사용된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은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유지된 무선 연결에 수신한 MAC 주소 및 모델명을 맵핑시킨다.
16003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디스플레이부에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160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16005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입력된 전화번호와 MAC 주소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한다.
16006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MAC 주소를 키 값(key value)으로 하여 기존 연결에 전화번호를 맵핑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160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화상형성장치(15030)와의 연결을 유지하고, 유지된 연결에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등을 맵핑시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16005 단계에서 수신한 MAC 주소에 대응되는 연결을 찾을 수 있고, 해당 연결에 16005 단계에서 수신한 모바일 단말(15020)의 전화번호를 맵핑시킬 수 있다.
도 16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다이렉트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1을 참조하면, 161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UI를 표시한다.
16102 단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디바이스 등록을 위한 UI 화면을 통해 등록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
16103 단계에서 화상형서장치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MAC 주소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이를 수신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MAC 주소를 맵핑시켜 저장한다.
도 1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이 가능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 모바일 단말(15020) 및 화상형성장치(150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5020) 및 화상형성장치(15030)는 블루투스를 지원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이 화상형성장치(15030)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1503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디바이스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5030)의 MAC 주소, IP 주소, 시리얼 넘버, 호스트 네임, 모델명 및 케이퍼빌리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은 획득한 디바이스 정보와 함께 자신의 전화번호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하며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요청을 받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디바이스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한다.
한편,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는 미리 화상형성장치들의 디바이스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들에 대해서 각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가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모바일 단말(1502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들과 비교하여 해당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이미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15020)은 화상형성장치(15030)가 미등록 디바이스라면 화상형성장치(15030)의 디바이스 등록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16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에서 미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등록된 화상형성장치들의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들(15030a, 15030b)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디바이스 전송에는 블루투스 등의 연결이 사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들을 테이블(16301)에 저장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테이블(16301)에는 각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가 기록될 수 있다.
도 16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에서 모바일 단말이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5020)은 화상형성장치(15030a)로부터 디바이스 정보(16402)를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15030b)로부터 디바이스 정보(16401)를 수신한다.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는 컬러 출력 가능 여부, 양면 인쇄 가능 여부 등과 같은 케이퍼빌리티 및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5020)은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들을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하여 각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들은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와 비교하여 등록 여부에 대한 답변을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한다.
모바일 단말(15020)은 미등록 디바이스에 대한 등록 요청을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도 164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a)는 등록 디바이스지만, 화상형성장치(15030b)는 미등록 디바이스라면 모바일 단말(15020)은 화상형성장치(15030b)의 디바이스 정보(16401)를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이를 수신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디바이스 정보를 맵핑시켜 저장한다.
도 16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5를 참조하면, 165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전원이 켜질 때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 및 저장한다.
165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서 화상형성장치(1503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165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며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등록 여부를 문의한다.
16504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와 16503 단계에서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디바이스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한다.
16505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확인 결과 화상형성장치(15030)가 미등록 디바이스라면 디바이스 정보 및 자신의 전화번호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로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한다.
도 16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트 수행 방법의 상세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6을 참조하면, 166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전원이 켜질 때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전송 및 저장한다.
166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15020)은 컬러 인쇄 여부, 양면 인쇄 여부와 같은 인쇄 옵션을 설정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에 인쇄 요청을 전송한다.
16603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와 수신한 인쇄 옵션을 비교하여 수신한 인쇄 옵션에 따라 인쇄 수행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15030)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한다.
16604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503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를 수행하고, 16605 단계에서 인쇄 수행 결과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한다. 자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15030)는 인쇄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화상형성장치(15030)의 인쇄 수행이 불가한 상태여서 인쇄를 수행할 수 없었는지와 같은 수행 결과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인쇄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여서 에러가 발생했다는 결과를 모바일 단말(15020)에 전송했다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5020)에서 에러 메시지를 확인하고 다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를 수행하도록 다시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15010)는 인쇄 옵션에 따라 인쇄 수행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해 다시 검색하고,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 인쇄 데이터 및 인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7을 참조하면, 16701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저장한다. 자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는 전원이 켜질 때 자신의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하고,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디바이스 정보를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에 대해서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기록할 수 있다.
167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주변의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바이스 정보는 컬러 출력 가능 여부, 양면 인쇄 가능 여부 등과 같은 케이퍼빌리티 및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6703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획득한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면, 16704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미리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와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디바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모바일 단말에 전송한다.
16704 단계의 판단 결과 화상형성장치가 미등록 디바이스라면 16705 단계로 진행하여 모바일 단말은 자신의 전화번호와 함께 16702 단계에서 획득한 디바이스 정보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16706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화상형성장치를 등록한다.
도 16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또는 QR 코드 리딩을 통한 화상형성장치의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8을 참조하면, 16801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에서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블루투스 통신 또는 QR 코드 리딩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한다.
16802 단계에서 모바일 단말은 획득한 디바이스 정보를 모바일 단말의 전화번호와 함께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전송하며 디바이스 등록을 요청한다.
16803 단계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는 수신한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화상형성장치를 등록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00 : 사용자 디바이스
11100 : 클라우드 서버
1111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1120 : 옵션 설정부
11130 : 판단부
11140 : 저장부
11150 : 제어부
11200 : 화상형성장치

Claims (20)

  1.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도록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상기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옵션을 사용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옵션을 사용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클라우드 서버에서 옵션을 설정하도록 옵션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옵션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 상기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옵션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옵션을 설정하도록 상기 옵션 설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옵션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9.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전화번호,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설정부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상기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옵션을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인쇄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버.
  15. 소정의 전화번호를 목적지로 하는 인쇄 데이터 및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에 대한 옵션을 설정하는 옵션 설정부,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옵션을 확인하여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전화번호, 상기 인쇄 데이터 및 상기 옵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하고,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인쇄 데이터를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인쇄작업을 수행하는 인쇄작업 수행부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상기 인쇄 작업 수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수신한 시간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의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판단부는, 상기 다이렉트 인쇄 명령을 전송한 사용자에 따라 다이렉트 인쇄 수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옵션 설정부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하여 다이렉트 인쇄가 가능한 시간대 또는 다이렉트 인쇄가 허용되는 전송자를 상기 옵션으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옵션을 저장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요청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프리뷰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프리뷰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저장된 인쇄 데이터에 대한 프리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로부터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한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인쇄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인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클라우드 서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2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40027441A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KR2015009447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5426.3A CN105849689B (zh) 2013-09-30 2014-09-30 用于提供云打印服务的系统和方法
PCT/KR2014/009211 WO2015047033A1 (en) 2013-09-30 2014-09-3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US14/503,238 US9311038B2 (en) 2013-09-30 2014-09-3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EP14847212.9A EP3039527A4 (en) 2013-09-30 2014-09-30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US14/982,447 US9602683B2 (en) 2013-09-30 2015-12-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US14/982,403 US9661160B2 (en) 2013-09-30 2015-12-2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7835P 2014-02-10 2014-02-10
US61/937,835 2014-0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70A true KR20150094470A (ko) 2015-08-19

Family

ID=54057946

Famil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40A KR20150094469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KR1020140027441A KR20150094470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KR1020140027438A KR20150094467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KR1020140027434A KR20150094463A (ko) 2013-09-30 2014-03-07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
KR1020140027436A KR20150094465A (ko) 2013-09-30 2014-03-07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웹 스토리지 서비스를 연동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 및 시스템
KR1020140027439A KR20150094468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KR1020140027433A KR20150094462A (ko) 2013-09-30 2014-03-07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40027437A KR20150094466A (ko) 2013-09-30 2014-03-07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화상형성장치를 등록하는 방법
KR1020140027435A KR20150094464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40A KR20150094469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438A KR20150094467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KR1020140027434A KR20150094463A (ko) 2013-09-30 2014-03-07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등록하는 방법
KR1020140027436A KR20150094465A (ko) 2013-09-30 2014-03-07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웹 스토리지 서비스를 연동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 및 시스템
KR1020140027439A KR20150094468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KR1020140027433A KR20150094462A (ko) 2013-09-30 2014-03-07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40027437A KR20150094466A (ko) 2013-09-30 2014-03-07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에 화상형성장치를 등록하는 방법
KR1020140027435A KR20150094464A (ko) 2013-09-30 2014-03-07 전화번호 기반의 인쇄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법 및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9) KR201500944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3642B2 (ja) * 2016-09-28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画像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20026021A1 (en) * 2018-08-03 2020-02-06 Shaikh Asif Kasam A platform for connecting plurality of users and method thereof
KR102227518B1 (ko) * 2018-08-14 2021-04-16 (주)파밍봇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연동 일괄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0024B1 (ko) * 2018-08-23 2021-01-07 최현수 스마트 프린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79868B1 (ko) * 2019-08-16 2021-07-21 주식회사 보바 키오스크를 이용한 인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63A (ko) 2015-08-19
KR20150094464A (ko) 2015-08-19
KR20150094466A (ko) 2015-08-19
KR20150094468A (ko) 2015-08-19
KR20150094469A (ko) 2015-08-19
KR20150094465A (ko) 2015-08-19
KR20150094462A (ko) 2015-08-19
KR20150094467A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26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loud printing service
JP5231620B2 (ja) サーバ装置
JP6531362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機器管理方法
KR20140142094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0290A (ko)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인쇄 컨텐츠 및 인쇄 작업을 등록하는 방법
KR20150094470A (ko)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및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CN105849689A (zh) 用于提供云打印服务的系统和方法
JP7119644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プログラム、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316483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171464B2 (en) Data process apparatus, data sharing method, and data process system
JP4712196B2 (ja) 認証装置及び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10833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モバイル端末、モバイル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38015B2 (e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facsimile machine
US84843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184801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KR101786046B1 (ko) 클라우드 프린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37384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JP6186841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中継ユニット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8127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system
KR20150037255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144B1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0748A (ko)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인쇄 서비스를 지원하는 클라우드 서버
KR20150037257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7388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7385A (ko) 전화번호에 기반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