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951A - Pipe Conn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Pipe Conn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951A
KR20150092951A KR1020140013609A KR20140013609A KR20150092951A KR 20150092951 A KR20150092951 A KR 20150092951A KR 1020140013609 A KR1020140013609 A KR 1020140013609A KR 20140013609 A KR20140013609 A KR 20140013609A KR 20150092951 A KR20150092951 A KR 2015009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entering
ring
receiving groov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9396B1 (en
Inventor
한찬희
Original Assignee
(주)나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린테크 filed Critical (주)나린테크
Priority to KR102014001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39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3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 ring-shaped first flange, an outer face of which is connected to a first pipe and which includes a first accommodation groove forming a first corner with an inner face in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 ring-shaped second flange, an outer face of which is connected to a second pipe and which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on groove facing opposed to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and forming a second corner with an inner face in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 center ring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and includes a ring-shaped center ring body and a center ring inclination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center ring body and com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corner of the first accommodation groove and the second corner of the second accommodation groove;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which is coupl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center ring; and an O ring which is placed on the outer peripheral face of the protruding ring, wherein when the first flange is engaged with the second flange, the center ring inclination portion of the center ring come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rner and the second corner and is pressed.

Description

배관 연결 장치{Pipe Connection Device}[0001] PIPE CONNECTION DEVICE [0002]

본 발명은 배관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ng apparatus.

반도체 공정 라인은 다양한 프로세스 챔버와 진공 펌프 및 프로세스 챔버 와 진공 펌프를 연결하는 배관 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배관 라인은 배관 라인의 단부에 결합되는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링과 오링 및 클램프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 장치에 의하여 연결된다.Semiconductor process lines include various process chambers and piping lines connecting the vacuum pump and the process chamber to the vacuum pump. The piping line is connected by a piping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centering and o-ring and a clamp disposed between the flange and flange coupled to the end of the piping l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플랜지(10, 20)와, 센터링(30)과, 오링(40) 및 클램프(50)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0, 20)는 제1 배관(1) 및 제2 배관(2)의 단부에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며, 센터링(30)은 오링(40)이 외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랜지(10, 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클램프(50)는 플랜지(10, 20)의 둘레를 감싸며 플랜지(10, 20) 및 오링(40)을 압착하여, 플랜지(10, 20) 및 센터링(30)을 결합시킨다. 상기 플랜지(10, 20)와 센터링(30)은 설계 공차와 가공 공차로 인하여 수직 간극과 수평 간극이 형성되면서 조립된다. 상기 수직 간극은 플랜지(10, 20)와 센터링(30)의 외측면 사이에 0.2 ∼ 0.3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 간극은 플랜지(10, 20)와 센터링(30)의 양측면 사이에 0.4 ∼ 0.6mm로 형성된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includes a flange 10, 20, a centering ring 30, an O-ring 40, and a clamp 50. The flange 10, The flanges 10 and 20 are coupled to end portions of the first pipe 1 and the second pipe 2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 centering ring 30 is connected to the flanges 10 and 20 in a state where the O- 20). The clamp 50 surrounds the flanges 10 and 20 and presses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O-ring 40 to engage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centering ring 30.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centering ring 30 are assembled while forming a vertical gap and a horizontal gap due to design tolerances and machining tolerances. The vertical clearance is formed between 0.2 and 0.3 mm between the flanges 10 and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30. [ The horizontal clearance is formed to be 0.4 to 0.6 mm between the flanges (10, 20)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ring (30).

상기 배관 연결 장치는 설치되는 설비의 각종 진동이 유입되면서 수직 간극과 수평 간극으로 인하여 센터링(30)과 플랜지(10, 20) 사이에 발생되는 수KHz 이상의 마찰 진동에 의하여 수십에서 수백℃의 마찰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 장치는 센터링(30)과 오링(40)의 온도가 상승하여 오링(40)의 경화 및 부식이 가속화되며 가스 누설이 유발되고 각종 공정 설비와 환경의 안전 사고 원인이 된다.The piping connection device is capable of generating frictional heat of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degrees Celsius due to friction vibrations of several KHz or more generated between the centering ring 30 and the flanges 10 and 20 due to the vertical clearance and the horizontal clearance, Occurs.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centering ring 30 and the O-ring 40 is increased to accelerate the hardening and corrosion of the O-ring 40, causing gas leakage and causing safety of various process equipment and environment.

본 발명은 외부의 진동에 따른 센터링과 플랜지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관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p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centering and the flange due to external vibration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외측면이 제 1 배관에 연결되고, 내주부에서 상기 내측면과 제 1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1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1 플랜지와, 외측면이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에 대향하며 내주부에서 내측면과 제 2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며, 링 형상의 센터링 본체와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제 1 모서리 및 제 2 수용홈의 제 2 모서리와 각각 접촉되는 센터링 경사부를 구비하는 센터링과,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 및 상기 돌출링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체결될 때, 상기 센터링의 센터링 경사부가 상기 제 1 모서리 및 제 2 모서리와 접촉하여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1 바닥면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1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모서리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내주면의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수용홈은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2 바닥면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2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모서리가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including a first pip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a first pipe,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pipe, A second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nd having a second receiving groove fac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 second edge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1 centering body and a centering bod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nd being in contact with a first edg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a second corner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 center ring having a centering inclined portion,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ring, and an O-ring se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ring, wherein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Additional centering slope of the gette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 and a second edge. The first receiving groove has a first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Where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s a second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 edge may b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링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터링 경사부는 상기 센터링 홈의 양측에서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형성되며 상기 센터링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링 경사부는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모서리 및 제 2 모서리와 압착되는 경사면과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부면 및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링은 링 형상이며 상기 센터링 홈에 결합되는 돌출링 본체 및 상기 돌출링 본체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양측면이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centering groove formed in a ring sha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entering tilting portion is formed by being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t both sides of the centering groove, Sectional shape may be form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may be inclined to be contact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dges and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As shown in FIG. The protruding ring is ring-shaped and includes a protruding ring body coupled to the centering groove and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ring body,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fastened , And both side surfaces thereof contact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또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양측면의 외주부가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에 접촉되면서 압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의 양측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센터링 외주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링의 돌출부는 양측면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 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centering body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length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may be pressed and contacted with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t this time, the center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V-shaped or U-shaped centering peripher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ring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protruding groove formed in a V-shape or a U-shape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또한, 상기 센터링 경사부는 상기 센터링 홈으로부터 상기 센터링 본체의 양측면까지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센터링 본체의 양측면과 상기 센터링 홈 사이에서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부면 및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양측면에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링 측면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may be inclined to be gradually inclined from the centering groove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and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and the centering groove, An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entering body. The centering body may further include centering s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ing body in a V-shape or a U-shape at a predetermined depth.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외측면이 제 1 배관에 연결되고, 내주부에서 상기 내측면과 제 1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1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1 플랜지와, 외측면이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에 대향하며 내주부에서 내측면과 제 2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며, 링 형상의 센터링 본체와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제 1 모서리 및 제 2 수용홈의 제 2 모서리와 각각 접촉되는 센터링 경사부를 구비하는 링 형상의 센터링 및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링은 링 형상의 돌출링 본체 및 상기 돌출링 본체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의 양측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센터링 외주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ing-shaped first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o form a first edge, A second ring-shaped flang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nd having a second receiving groove fac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edge in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nd a centering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nd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edge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Shaped centering ring and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and exte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the protruding ring comprising a ring- And protrud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and formed by V-shaped or U-shaped grooves having predetermined depths on both sides. At this time. The centering body may be formed to increase in length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enter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V-shaped or U-shaped centering outer circumferenti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상기 센터링과 돌출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ing ring and the protruding ring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외측면이 제 1 배관에 연결되고, 내주부에서 상기 내측면과 제 1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1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1 플랜지와, 외측면이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에 대향하며 내주부에서 내측면과 제 2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과 양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센터링 모서리를 구비하는 센터링과,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 및 상기 돌출링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랜지의 제 1 수용홈과 제 2 플랜지의 제 2 수용홈이 상기 센터링 모서리와 접촉되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1 바닥면과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1 내주면 및 상기 제 1 바닥면 및 제 1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2 바닥면과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2 내주면 및 상기 제 2 바닥면 및 제 2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이 상기 센터링 모서리와 접촉되어 압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1 바닥면과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주면과 경사지며 상기 제 1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는 제 1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2 바닥면과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경사지며 상기 제 2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는 제 2 내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상기 제 1 내주면과 제 2 내주면이 상기 센터링 모서리와 접촉되어 압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ip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ing-shaped first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o form a first edge, A second ring-shaped flang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nd having a second receiving groove fac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edge in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 center ring having a centering edge formed in a ring shape and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ring, and a r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of the second flange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contacting the centering edge. The first receiving groove includes a first bottom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 first inner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a second inner surface defin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s a second bottom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second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so as to contact and press the centering edge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rst receiving groove may have a first bottom surface that is parallel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cl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has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s a second bottom surface that is a plane parallel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is incl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has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ormed to be contacted with the centering edge so as to be pressed.

또한,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링 형상의 센터링 본체와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모서리와 압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센터링 경사부를 구비하는 센터링 및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과 돌출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p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ing body having a ring shape and a centering inclin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be pressed against an edg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 centering ring, and a ring-shaped protrusion ring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At this time, the centering and the protruding ring may be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센터링과 플랜지의 압착에 의한 고정으로 외부 진동에 따른 마찰을 감소시켜 마찰열에 의한 오링의 경화 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hardening or corrosion of the O-ring due to frictional heat by reducing friction due to external vibration by fixing by centering and pressing of the flange.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는 플랜지와 센터링의 압착에 의한 실링으로 밀폐력을 향상시키고, 부식성 가스에 의한 오링의 부식 또는 경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iping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ealing force by sealing the flange and the center ring by compression,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orrosion or hardening of the O-ring by the corrosive ga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후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astenin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astenin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astening.

이하에서 실시예와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Firs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는,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130)과, 돌출링(1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관 연결 장치(100)는 단부가 서로 대향하는 제 1 배관(1)과 제 2 배관(2)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배관(1)과 제 2 배관(2)을 서로 연결하여 밀폐한다. 2A, a pipe conn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ring 130, a protruding ring 1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As shown in FIG. The pipe connection device 100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ipe 1 and the second pipe 2 whose end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seals the first pipe 1 and the second pipe 2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은 서로 대향하는 면을 의미하며, 외측면은 내측면의 반대면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센터링과 돌출링의 양측면은 제 1 플랜지(110) 또는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두 개의 외측면을 의미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내주면은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중심 축 방향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며, 외주면은 그 반대면을 의미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외주부는 각 구성요소에서 상대적으로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중심 축 방향으로부터 먼 부분을 의미하며, 내주부는 상대적으로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중심 축 방향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단부면은 다른 구성요소와 접촉되지 않는 측면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refer to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outer surface means the opposite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Further,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ring and the protruding ring mean two outer surfaces oppo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or the second flange 120, respective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component means a surface facing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eans the opposite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each component refers to a portion of each component that is relatively far from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is a portion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Means a portion of the second flange 120 close to the center axis direction. Further, the end face of each component means a side not in contact with other components.

한편, 상기 제 1 배관(1) 또는 제 2 배관(2)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제 1 플랜지(110) 또는 제 2 플랜지(120)의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를 막는 마개(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배관 연결 장치는 주입구를 구비하는 저장 탱크(미도시)의 주입구를 밀폐하는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플랜지(110)의 외측면에 제 1 배관(1) 대신에 저장 탱크의 주입구가 용접등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 2 플랜지(120)의 외측면에 제 2 배관(2) 대신에 마개가 결합되어, 배관 연결 장치가 저장 탱크의 주입구를 밀폐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ipe 1 and the second pipe 2 may be replaced with a stopper (not shown) for blocking the passag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or the second flange 120 . In this case,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can be used as a device for sealing the inlet of a storage tank (not shown) having an injection port. For example,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by welding or the like instead of the first pipe 1, and the second pipe 2 is connec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 Instead, the stopper is coupled so that the pipe connection device can seal the inlet of the storage tank.

상기 제 1 플랜지(11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을 이루는 내측면의 내주부에 제 1 수용홈(11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플랜지(110)의 외측면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플랜지(110)는 외경측면인 외주면과 내경측면인 내주면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 1 플랜지(110)의 외측면과 외주면은 결합되는 클램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플랜지(110)는 내측면의 외주부에서 오링(150)과 접촉하게 된다.The first flange 110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and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112 in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a plane inner sur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is formed to be an inclined surface. The first flange 110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which is an outer diameter side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which is an inner diameter side surface.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amp to be coupled. Also, the first flange 1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ring 150 at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ide.

상기 제 1 수용홈(112)은 내측면의 내주부에서 외주부 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로 형성되는 링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수용홈(112)은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1 바닥면(112a)과 내주면과 평행한 제 1 내주면(11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용홈(112)은 제 1 플랜지(110)의 내측면과 제 1 모서리(114)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플랜지(110)는 제 1 수용홈(112)의 제 1 내주면(112b)과 제 1 플랜지의 내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1 모서리(11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수용홈(112)의 제 1 바닥면(112a)의 폭과 제 1 내주면(112b)의 높이는 센터링(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as a ring-shaped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hat is,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is formed with a first bottom surface 112a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b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forms a first edge 114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flange 110 has a first edge 114 formed by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b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and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The width of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height of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b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entering ring 130. [

상기 제 2 플랜지(120)는 제1플랜지(110)와 대칭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제 1 수용홈(112)에 대향하는 제 2 수용홈(122)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플랜지(120)는 내측면이 제 1 플랜지(110)와 대향하며, 외측면이 제2배관(2)의 단부에 결합된다. The second flange 120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flange 110 and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122 on the inn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The second flange 120 has an inner surface opposed to the first flange 110 and an outer surface joined to an end of the second pipe 2.

상기 제 2 수용홈(122)은 제 1 수용홈(112)과 대칭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수용홈(112)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 2 수용홈(122)은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2 바닥면(122a)과 제 2 플랜지(120)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2 내주면(12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용홈(122)은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제 2 모서리(124)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플랜지(120)는 제 2 수용홈(122)의 제 2 내주면(122b)과 제 2 플랜지의 내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2 모서리(124)를 구비한다.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and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is formed with a second bottom surface 122a parallel to the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b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forms a second edge 124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flange 120 has a second edge 124 formed by the second inner peripheral surface 122b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상기 센터링(130)은 센터링 본체(132) 및 센터링 경사부(13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130)은 제 1 수용홈(112)의 제 1 바닥면(112a)과 제 2 수용홈(122)의 제 2 바닥면(122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센터링(130)은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클램프(160)에 의하여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밀폐하여 제 1 배관(1) 및 제 2 배관(2)의 내부를 밀폐한다. 이때, 상기 센터링(130)은 센터링 경사부(135)가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모서리(124)와 기계적 접촉하면서 압착되어 밀폐한다. 또한, 상기 센터링(130)은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밀폐하여 오링(150)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 1 배관(1) 및 제 2 배관(2)의 내부로부터 분리한다.The centering 130 includes a centering body 132 and a centering slope 135. The centering ring 13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22a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 The centering 130 seals betwe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by the clamp 160, (1) and the second pipe (2). At this time, the centering 130 presses and seals the centering slope 135 while making a mechanical contact with the first edge 114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edge 124 of the second flange 120 . The centering 130 seals between the first corner 114 and the second flange 120 and separates the space in which the O-ring 150 is located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pipe 1 and the second pipe 2 Separate.

상기 센터링(130)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스테인레스, 황동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테프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구성있는 비금속 재질등과 같은 내구성있는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entering ring 130 may be made of any on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nickel or an alloy thereof, stainless steel, brass or the like, or a durable material such as a durable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Teflon, engineering plastic or reinforced plastic .

상기 센터링 본체(132)는 소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본체(132)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링 형상의 센터링 홈(13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본체(132)는 내주면이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내주면과 동일 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링 본체(132)는 양측면이 각각 제 1 수용홈(112)과 제 2 수용홈(122)과 대향하도록 제 1 수용홈(112)과 제 2 수용홈(122)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센터링 본체(132)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클램프(160)에 의하여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바닥면(112a)과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바닥면(122a)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 본체(132)는 양 측면이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바닥면(112a)과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바닥면(122a)에 각각 접촉되어 추가로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The centering body 13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The centering body 132 includes a ring-shaped centering groove 133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entering body 132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lush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The centering body 13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such that both side faces thereof face the first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122, respectively.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by the clamp 160, the centering body 132 may be formed with a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first flange 110 and a second bottom surface 112b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22a of the second substrate 120. [ The centering body 132 is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22a of the second flange 120 on both sides, Thereby sealing betwe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상기 센터링 홈(133)은 센터링 본체(132)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 및 내측면 사이의 바닥면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홈(133)에는 돌출링(14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센터링 홈(133)은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110)의 내측면과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ing groove 133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132 and includes a bottom surface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facing each other. A protruding ring 140 is inserted into the centering groove 133 and coupled thereto. The centering groove 133 has a length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센터링 본체(13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센터링(130)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 형상이 삼각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모서리(124)와 접촉하는 경사면(136)과 센터링 본체(132)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부면(137) 및 센터링 본체(13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13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센터링 본체(132)의 센터링 홈(133)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며, 수직면(138)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의 수직면(138)은 바람직하게는 센터링 홈(133)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하부면(137)의 길이가 센터링 본체(132)의 외주면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센터링 본체(132)의 외주면에서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바람직하게는 센터링 본체(132)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132 and has a triangular cross section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ing ring 130, Respectively. That is,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nd is inclined to contact the first edge 114 and the second edge 124, A lower surface 137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132 and a vertical surface 138 ext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centering body 132. [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s 13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ing groove 133 of the centering body 132 and are formed so that the vertical surfaces 138 face each other. The vertical surface 138 of the centering slope 135 is preferably flush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entering groove 133.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137 is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132. Accordingly,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is partially protrud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132. The centering slope 135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centering body 132.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경사면(136)이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모서리(124)와 대향하면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될 때, 센터링 경사부(135)가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모서리(124)와 선 접촉 또는 면 접촉을 통하여 압착된다. 또한,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는 경사면(136)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모서리(124)와 접촉하여 압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링 경사부(135)가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와 압착되어 결합되므로, 센터링(130)은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와 진동에 의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센터링(130)은 외주면과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내주면(112b)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내주면(122b) 사이의 수직 간극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센터링 경사부(135)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The centering slope 135 is formed such that the sloped surface 136 is inclined while facing the first edge 114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edge 124 of the second flange 120.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centering slope 135 is pressed or contacted with the first edge 114 and the second edge 124 in a line or surface contact, do.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surface 136 of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is inclined,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can be more effectively contacted with the first edge 114 and the second edge 124. Since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is pressed and engaged with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the centering ring 130 can be prevented from vibrating with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Friction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centering 130 does not have a constant vertical clearan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12b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122b of the second flange 120, 135, respectively.

상기 돌출링(140)은 돌출링 본체(142) 및 돌출부(1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출링(140)은 돌출링 본체(142)의 내주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면이 센터링(130)에 접촉되어 결합된다. 상기 돌출링(140)은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돌출링(140)은 외주면에 오링(150)이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돌출링(140)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스테인레스, 황동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테프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구성있는 비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otruding ring 140 is formed to include a protruding ring body 142 and a protrusion 144.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rotruding ring 140 includ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enter ring 130 to be engaged. The protruding ring 14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The protrusion ring 140 may be supported by an O-ring 150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protruding ring 140 may be made of any on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nickel or an alloy thereof, stainless steel, brass or the like, or a durable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Teflon, engineering plastic or reinforced plastic.

상기 돌출링 본체(142)는 소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센터링 본체(132)에 결합된다. 상기 돌출링 본체(142)는 바람직하게는 내주부가 센터링 본체(132)의 센터링 홈(133)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돌출링 본체(142)는 길이가 센터링 홈(133)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링 본체(142)는 외주면에 오링(150)이 안착되는 오링 홈(143)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 홈(143)은 오링(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ickness, and is coupled to the centering body 132. The protruding ring main body 142 is preferably inserted and engaged with the centering groove 133 of the centering body 132 by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entering groove 133.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has an O-ring groove 143 on which an O-ring 150 is seated. The O-ring groove 143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

상기 돌출부(144)는 돌출링 본체(142)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4)는 돌출링 본체(142)가 센터링 본체(132)에 결합될 때, 센터링 홈(133)에 삽입되지 않은 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44)는 내주부가 센터링 경사부(135)의 외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4)는 바람직하게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될 때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각각 접촉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50)는 센터링 경사부(135)의 경사면과 내주면이 만나는 지점보다 돌출되지 않으며, 경사면(136)이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모서리(124)와 접촉되어 압착되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44)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될 때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각각 접촉되어 추가로 제 1 플랜지(110)의 내측면과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The protrusions 144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ring body 142 and are formed to have a ring shape as a whole. The protruding portion 144 is protruded from an area not inserted into the centering groove 133 when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is engaged with the centering body 132.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rtion 144 may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 protrusion 144 preferably has a length such that both side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 The projecting portion 150 does not protrude beyond the point where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meet and the inclined surface 136 contacts the first edge 114 and the second edge 124 to be pressed It is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The protruding portion 14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t both sides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engaged, It is possible to seal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상기 오링(150)은 반도체 공정 라인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배관 체결 장치의 오링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오링(150)은 퍼플로(perfluor), 바이톤(viton)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링(150)은 제 1 플랜지(110)의 내측면과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 사이에서 돌출링(140)의 돌출링 본체(142)의 오링 홈(14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오링(150)은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클램프(160)에 의하여 체결될 때 압축되면서 제 1 플랜지(110)의 내측면과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 사이를 밀폐하게 된다. 상기 센터링(130)이 공정가스 또는 반응 부산물 입자가 오링(150)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경화 또는 부식에 의한 수명 단축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오링(150)은 종래의 배관 연결 장치에 비하여 교체 주기가 증가되며, 공정 가스의 누설을 장기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오링(150)은 고가의 퍼플로(perfluor) 재질로 형성될 필요성이 감소하게 된다.
The O-ring 150 may be an O-ring of a general pipe fastening device used in a semiconductor process line. In addition, the O-ring 15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perfluor and viton. The O-ring 150 is coupled to the O-ring groove 143 of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of the protruding ring 140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Accordingly, the O-ring 150 is compressed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by the clamp 160,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Thereby sealing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s. The centering 130 prevents the process gas or reaction by-product particles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O-ring 150, thereby preventing a reduction in life due to hardening or corrosion. Accordingly, the O-ring 150 has a longer replacement period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ion apparatus and prevents leakage of the process gas for a long time. The need for the O-ring 150 to be formed of an expensive perfluoric material is reduced.

상기 클램프(160)는 배관 체결 장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퀵 커플러로 사용된다. 상기 클램프(160)는 내측에 플랜지 수용홈(162)이 형성되며,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외주부가 수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160)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플랜지 수용홈(162)에 하면서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를 가압하여 체결하게 된다. The clamp 160 is used as a quick coupler commonly used in piping fastening devices. The clamp 160 has a flange receiving groove 162 formed therein to receiv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ccordingly, the clamp 160 presses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while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in the flange receiving grooves 162.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 장치(100)는 일차로 센터링 경사부(135)가 밀폐하고, 이차로 돌출링(140)이 밀폐하고, 삼차로 오링(150)이 밀폐하여,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100)는 센터링 경사부(135)가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와 압착되어 결합되므로 센터링 및 돌출링과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 사이에 진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오링(150)이 마찰에 의한 마찰열로 인하여 경화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Accordingly, the pipe connection apparatus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ing slope 135 is closed firstly, the protrusion ring 140 is closed secondarily, and the O-ring 150 is closed in a third order so that the first flange 110 It is possible to seal the second flange 120 more completely. Since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100 is press-coupled with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the centering and protruding ring, the first flange 110, The friction due to the vibration does not occu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20a and 120b. Therefore, the O-ring 150 is prevented from being hardened or damaged due to frictional heat due to friction.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a)는, 도 2b를 참조하면, 센터링(130a)과 돌출링(140a)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센터링(130a)과 돌출링(140a)은 도 2a의 실시예에 따른 센터링(130) 및 돌출링(1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돌출링(140a)은 센터링(130a)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고정되므로, 돌출링 본체(142a)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44a)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서도 배관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센터링과 돌출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the pipe connection apparatus 10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ering ring 130a and a protrusion ring 140a. That is, the centering 130a and the protruding ring 140a ar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centering ring 130 and the protruding ring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Since the protruding ring 140a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er ring 130a, the protruding portion 144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ring body 142a may be omitted. Also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centering ring and the protruding ring constituting the pipe connecting device can be integrally formed.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후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200)는,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230)과, 돌출링(1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2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센터링(23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200)는 센터링(2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2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3A and 3B, a pipe connect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ring 230, (1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centering pipe 230 according to FIG. Therefore,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entering 230.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of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상기 센터링(230)은 센터링 본체(232)와 센터링 경사부(13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centering 230 includes a centering body 232 and a centering slope 135.

상기 센터링 본체(232)는 외주면의 길이가 내주면의 길이보다 길며, 외주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 본체(232)는 양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본체(232)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될 때 양측면의 외주부가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바닥면(112a)와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바닥면(122a)에 먼저 접촉되면서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 장치(200)는 일차로 센터링 본체(232)의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밀폐하고, 이차로 센터링 경사부(135)가 밀폐하며, 삼차로 돌출링(140)이 밀폐하고, 사차로 오링(150)이 밀폐하여,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보다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200)는 센터링 본체(232)와 센터링 경사부(135)가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모서리(124)와 압착되어 결합되므로 진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The centering body 232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ength is increased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ly, the centering body 232 is formed so that both side surfaces thereof are inclined.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to each other,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232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and the second flange 120 of the first flange 110, And is first pressed against the second bottom surface 122a. Accordingly, the pipe connecting device 20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232 seal betwe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nd the centering slope 135 is closed secondarily, The protruding ring 140 is closed by the third angle and the O-ring 150 is sealed by the quadrature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can be more completely sealed. The pipe connection device 2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ing body 232 and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135 are disposed at the first corner 114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corner 124 of the second flange 120, So that friction due to vibration does not occur.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후 단면도이다.4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astening;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는, 도 4a와 도 4 b를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330)과, 돌출링(1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는 도 3a와 도 3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200)와 센터링(33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는 센터링(33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300)는 도 3a와 도 3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2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4A and 4B, a pipe connect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330, A ring 1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200 and the centering 330 according to FIGS. 3A and 3B. Therefore,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entering 330. [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FIGS. 3A and 3B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센터링(330)은 센터링 본체(332)와 센터링 경사부(13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centering 330 includes a centering body 332 and a centering slope 135.

상기 센터링 본체(332)는 외주면의 양측에 형성되는 센터링 외주홈(33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외주홈(334)은 센터링 본체(332)의 외주면을 따라 내주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외주홈(334)는 센터링 본체의 양측면과 센터링 홈(133)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링 외주홈(334)은 바람직하게는 센터링 본체(332)의 외주면에서 양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The centering body 332 includes centering peripheral grooves 33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entering peripheral groove 334 is formed in a V-shape or a U-shape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332. The centering peripheral groove 334 is formed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and the centering groove 133. Further, the centering peripheral groove 334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332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상기 센터링 본체(332)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될 때 센터링 외주홈(334)이 변형되면서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바닥면(112a)와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바닥면(122a)에 보다 밀착하여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 본체(332)는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추가적으로 먼저 밀폐한다. 또한, 상기 센터링 본체(332)는 양측면과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바닥면(122a)과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바닥면(122a) 사이의 수평 간극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entering body 332 is de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centering peripheral groove 334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first flange 110 And more closely contact the second bottom surface 122a of the second flange 120. [ Accordingly, the centering body 332 further seals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first. The centering body 332 can be formed in a manner such that the centering body 332 can efficiently and smoothly move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0, It can be sealed.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400)는,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330)과, 돌출링(4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400)는 도 4a와 도 4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와 돌출링(44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400)는 돌출링(44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400)는 도 4a와 도 4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5, a pipe connecting devic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330, a protruding ring 4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The O-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e structur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and the protruding ring 440 according to FIGS. 4A and 4B. Therefore,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otruding ring 440.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400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FIGS. 4A and 4B,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돌출링(440)은 돌출링 본체(142)와 돌출부(4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protruding ring 440 is formed to include a protruding ring body 142 and a protrusion 444.

상기 돌출부(444)는 양측면에서 돌출링 본체(142)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홈(44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홈(445)은 돌출부(444)의 양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홈(445)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돌출부(444)의 높이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되면서 내측면이 돌출부(444)의 양측면과 접촉될 때, 돌출부 홈(445)은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돌출부(444)의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protruding portion 444 further includes protruding grooves 445 ext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The projecting grooves 445 ar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jecting portions 444, and are preferably formed in a V-shaped or U-shaped groove. The protrusion grooves 445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protrusion 444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444. When the inner flank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444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protruding grooves 445 are more easily deformed, 1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respectively.

한편, 상기 돌출링(440)은 센터링(3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링(440)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테프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경도가 약한 구리, 니켈과 같은 비철금속, 또는 테프론 또는 강화수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truding ring 4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entering ring 33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ring 44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Teflon material. Preferably, the protruding ring 440 may be made of a non-ferrous metal such as copper or nickel having a relatively low hardness or a material such as Teflon .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500)는,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530)과, 돌출링(5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5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센터링(530) 및 돌출링(54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500)는 센터링(530) 및 돌출링(54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5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530, a protruding ring 5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The O-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ifferent structures of the pipe conne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FIG. 2, the centering 530, and the protruding ring 540. Accordingly,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entering ring 530 and the protruding ring 540 as follows.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500 of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상기 센터링(530)은 센터링 본체(532) 및 센터링 경사부(53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centering 530 includes a centering body 532 and a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상기 센터링 본체(532)는 소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본체(532)는 센터링 홈(133) 및 센터링 측면홈(53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측면홈(534)은 센터링 본체(532)의 양측면에서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양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측면홈(534)은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터링 측면홈(534)은 센터링 본체(532)의 양측부가 용이하게 변형되어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바닥면(112a)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바닥면(122a)과 보다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 본체(532)는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The centering body 53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The centering body 532 includes a centering groove 133 and a centering side groove 534. The centering side surface groove 53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532 and formed into a ring shape along both side surfaces. The centering side groove 534 may be formed in a V shape or a U shape. The centering side surface groove 534 is easily deformed at the both sides of the centering body 532 so that the first bottom surface 112a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122a of the second flange 12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entering body 532 can seal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more effectively.

상기 센터링 경사부(535)는 센터링 본체(53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센터링 본체(532)의 외주면에서 센터링 홈(133)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링 경사부(535)는 센터링(530)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 형상이 직각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센터링 경사부(535)는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면(536)과 센터링 본체(532)와 접촉하는 하부면(537) 및 센터링 본체(532)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538)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경사부(535)의 하부면(537)은 각각 센터링 본체(532)의 양측면에서 센터링 홈 사이에서 센터링 본체(532)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링 경사부(535)의 경사면(536)은 센터링 홈(133)으로부터 센터링 본체(532)의 양측면까지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 경사부(535)는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모서리(124)와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증가되며, 센터링(530)의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532 and is formed entirely except the region where the centering groove 133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532. [ More specifically,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is formed so that the sectional shape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centering 530 is a right triangle. That is,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has an inclined surface 536 formed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nd a lower surface 537 contacting the centering body 532 And a vertical surface 538 exten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centering body 532. As shown in Fig. The lower surface 537 of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may be formed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532 between the centering grooves on both sides of the centering body 532. The inclined surface 536 of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ing groove 133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532.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535 is increased in contact area with the first edge 114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edge 124 of the second flange 120 and the centering 530 Can be increased.

상기 돌출링(540)은 돌출링 본체(142)와 돌출부(5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The protruding ring 540 is formed to include a protruding ring body 142 and a protrusion 544.

상기 돌출부(544)는 양측면에서 돌출링 본체(142)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홈(54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홈(545)은 돌출부(544)의 양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홈(545)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돌출부(544)의 높이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되면서 내측면이 돌출부(544)의 양측면과 접촉될 때, 돌출부 홈(545)은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돌출부(544)의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544 further include protruding grooves 545 ext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ding ring body 142. The protruding grooves 545 ar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544, and are preferably formed as V-shaped or U-shaped grooves. The protrusion grooves 545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protrusion 544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544. When the inner flanks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544 are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protruding grooves 545 are more easily deformed,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센터링(530)과 돌출링(5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530)은 양측면에 형성되는 센터링 측면홈(534)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링(540)은 돌출부(544)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 홈(545)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배관 연결 장치(500)는 센터링(530)의 센터링 경사부(535)가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모서리(114)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모서리(124)와 접촉하면서 압착되므로 센터링(530)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한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500)는 센터링 본체(532)의 외주면과 제 1 플랜지(110)의 제 1 내주면(112b)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내주면(122b)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간극이 변동되거나 위치별로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entering 530 and the protruding ring 540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is time, centering side grooves 534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ing 530 may be omitted. In addition, protruding grooves 545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544 may be omitted in the protruding ring 540. [ In this case, the pipe connection device 5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ering slope portion 535 of the centering 53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dge 114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edge 124 of the second flange 120 So that friction due to vibration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ing 5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The pipe connecting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centering body 532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0 and 120. The pipe connecting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centering body 532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10 and 12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al the gap even if the gap varies or the position is different.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600)는,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330)과, 돌출링(64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600)는 도 4a와 도 4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와 돌출링(64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600)는 돌출링(64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600)는 도 4a와 도 4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7, a pipe connecting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330, a protruding ring 640, And a clamp 160.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structur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300 and the protruding ring 640 according to FIGS. 4A and 4B. Therefore,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otruding ring 640.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600 use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300 according to FIGS. 4A and 4B,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배관 연결 장치(600)는 도 4a와 도 4b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300)에서 사용되는 오링(150)이 생략되며, 센터링(330)과 돌출링(640)에 의하여만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 사이를 밀폐한다.4A and 4B, the O-ring 150 used in the pipe connection apparatus 300 is omitted, and only the first flange 110 (FIG. 4A) is formed by the centering ring 330 and the protruding ring 640, And the second flange 120, as shown in Fig.

상기 돌출링(640)은 돌출링 본체(642)와 돌출부(64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출링 본체(642)은 센터링(330)으로부터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외주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두께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링 본체(642)은 바람직하게는 센터링(330)으로부터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두께로 형성된다.The protruding ring 640 is formed to include a protruding ring body 642 and a protrusion 644. The protruding ring main body 64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extending from the centering ring 330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The protruding ring body 642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that extends from the centering ring 33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

상기 돌출부(644)는 양측면에서 돌출링 본체(642)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홈(645)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홈(645)은 돌출부(644)의 양측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홈(645)은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돌출부(644)의 두께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가 체결되면서 내측면이 돌출부(644)의 양측면과 접촉될 때, 돌출부 홈(645)은 돌출부(644)가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면서 양측면이 제 1 플랜지(110) 및 제 2 플랜지(12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rotrusion 644 further includes protrusion grooves 645 ext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ring body 642. The protruding grooves 645 are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ding portion 644, and are preferably formed as V-shaped or U-shaped grooves. The protrusions 645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protrusion 644 and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644 that are formed in the entir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644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first flange 110 and the second flange 120 are fastened and the inner side surface is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644, the protrusion 645 is deformed more easily as the protrusion 644 is deformed, 1 flange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120, respectively.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700)는, 도 8을 참조하면, 제 1 플랜지(110)와, 제 2 플랜지(120)와, 센터링(130)과, 돌출링(64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700)는 도 7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센터링(13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배관 연결 장치(7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센터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관 연결 장치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센터링(130)과 도 7에 따른 돌출링(64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8, a pipe connecting apparatus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110, a second flange 120, a centering ring 130, a protruding ring 640, And a clamp 160.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e structur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100 and the centering ring 130 according to FIG. That is, the pipe connection device 700 is formed by a centering ring used in the pipe connection device 100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pipe connecting device includes the centering ring 130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FIG. 2 and the protruding ring 640 according to FIG.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800)는, 도 9를 참조하면,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와, 센터링(830)과, 돌출링(8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8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와, 센터링(830)과, 돌출링(84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800)는 도 2의 배관 연결 장치(100)의 각 구성과 대비하여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와, 센터링(830)과, 돌출링(840)의 차이가 있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800)는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9, a pipe connecting apparatus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810, a second flange 820, a centering 830, a protruding ring 8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As shown in FIG.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100, the first flange 810, the second flange 820, the centering 830, The structure of the ring 840 is formed differently.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a piping connection device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810, a second flange 820, The centering 830, and the protruding ring 840,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800 of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상기 제 1 플랜지(8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을 이루는 내측면의 내주부에 제 1 수용홈(81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수용홈(812)은 내측면의 내주부에서 외주부 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수용홈(812)은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1 바닥면(812a)과 내주면과 평행한 제 1 내주면(81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수용홈(812)은 제 1 바닥면(812a)과 제 1 내주면(812b)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812c)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812c)은 제 1 바닥면(812a)과 제 1 내주면(812b)과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flange 81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812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a plane inner surface. The first receiving groove 81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hat is, the first receiving groove 812 is formed with a first bottom surface 812a, which is a plan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12b, which is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receiving groove 812 further includes a first inclined surface 812c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812a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12b. The first inclined surface 812c is inclined at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812a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12b.

상기 제 2 플랜지(820)는 제1플랜지(810)와 센터링(830) 및 오링(150)을 중심으로 대칭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제 1 수용홈(812)과 대향하는 제 2 수용홈(822)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수용홈(822)은 내측면의 내주부에서 외주부 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수용홈(822)은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2 바닥면(822a)과 내주면과 평행한 제 2 내주면(82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수용홈(822)은 제 2 바닥면(822a)과 제 2 내주면(822b)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822c)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 2 경사면(822c)은 제 2 바닥면(822a) 및 제 1 내주면(822b)과 둔각을 이루며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flange 820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centering ring 830 and the O-ring 150. The second flange 820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812, And a groove 822. The second receiving groove 82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hat is, the second receiving groove 822 is formed with a second bottom surface 822a, which is a plan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22b, which is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groove 82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clined surface 822c formed between the second bottom surface 822a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22b. The second inclined surface 822c is inclined at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822a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22b.

상기 센터링(830)은 소정 두께와 길이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수용홈(812)의 제 1 바닥면(812a)과 제 2 수용홈(822)의 제 2 바닥면(822a)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센터링(830)은 외주면과 양측면이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며 만나서 센터링 모서리(83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센터링(830)은 외주면에 센터링 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830)은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가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810)의 제 1 경사면(812c)과 제 2 플랜지(820)의 제 2 경사면(822c)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가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810)의 제 1 경사면(812c) 및 제 2 플랜지(820)의 제 2 경사면(822c)과 센터링 모서리(831)가 접촉되는 위치에서의 길이보다 센터링(83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The centering 83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length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812a of the first receiving groove 812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822a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822 . The centering 830 is formed at a right angle or an acute angle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oth sides to form a centering edge 831. [ In addition, the centering 830 has a centering groove 13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he centering 830 may include a first inclined surface 812c of the first flange 81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822c of the second flange 820 when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are engaged, As shown in FIG. The first inclined face 812c of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inclined face 822c of the second flange 820 when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are engaged, The length of the centering 83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entering edge 831 at which the centering edge 831 is in contact.

상기 센터링 모서리(831)는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가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810)의 제 1 경사면(812c)과 제 2 플랜지(820)의 제 2 경사면(822c)에 각각 접촉하여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830)은 일차로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 사이를 밀폐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800)는 센터링(830) 및 돌출링(840)과 제 1 플랜지(810) 및 제 2 플랜지(820)의 사이에 진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열에 의한 오링(150)의 경화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entering edge 8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inclined plane 812c of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inclined plane 822c of the second flange 820 when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are fastened. Respectively. Thus, the centering 830 primarily seals between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The pipe connection device 800 does not generate friction due to vibration between the centering ring 830 and the protruding ring 840 and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It is possible to prevent hardening and corrosion of the insulating layer 150.

상기 센터링(830)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스테인레스, 황동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테프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구성있는 비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링(830)은 배관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센터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entering ring 830 may be made of any one of metal materials such as aluminum, copper, nickel or alloys thereof, stainless steel, brass or the like, or a durable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Teflon, engineering plastic or reinforced plastic. Meanwhile, the centering 830 may be formed as a general centering ring used in a pipe connecting apparatus.

상기 센터링 홈(133)은 센터링(83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바닥면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 홈(133)은 돌출링(840)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The centering groove 133 is formed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830 and includes a bottom surface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inner side surface facing each other. The centering groove 133 is inserted with the protruding ring 840 inserted therein.

상기 돌출링(840)은 소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센터링(830)의 센터링 홈(133)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링(840)은 길이가 센터링 홈(133)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링(840)은 바람직하게는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가 체결될 때, 양측면이 제 1 플랜지(810)의 내측면 및 제 2 플랜지(82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큰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링(840)은 제 1 플랜지(810)와 제 2 플랜지(820)가 체결될 때, 제 1 플랜지(810)의 내측면 및 제 2 플랜지(820)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링(840)은 이차로 제 1 플랜지(810) 및 제 2 플랜지(820) 사이를 밀폐한다. The protruding ring 840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ickness and is coupled to the centering groove 133 of the centering ring 830. Therefore, the protruding ring 840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entering groove 133. The protruding ring 840 is also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when both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are fastened, both sides face the inner side of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flange 8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surfaces. The protruding ring 840 is pres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820 when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are fastened. Thus, the protruding ring 840 secondarily seals between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flange 820.

상기 돌출링(840)은 외주면에 오링(150)이 안착되는 오링 홈(143)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 홈(143)은 오링(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protruding ring 840 has an O-ring groove 143 on which an O-ring 150 is seated. The O-ring groove 143 is formed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

상기 돌출링(840)은 알루미늄, 구리,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스테인레스, 황동 등과 같은 금속재질이나, 테프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등과 같은 내구성있는 비금속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ruding ring 84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copper, nickel or alloys thereof, stainless steel, brass or the like, or a durable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Teflon, engineering plastic or reinforced plastic.

상기 배관 연결 장치(800)는 센터링 모서리(831)가 제 1 플랜지(810)의 제 1 경사면(812c) 및 제 2 플랜지(120)의 제 2 경사면(822c)와 접촉하면서 압착되므로 센터링(830)의 중심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에 대하여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800)는 센터링(830)의 외주면과 제 1 플랜지(810)의 제 1 내주면(812b) 및 제 2 플랜지(820)의 제 2 내주면(822b)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간극이 변동되거나 위치별로 차이가 발생되더라도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The centering edge 831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800 is pres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inclined face 812c of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inclined face 822c of the second flange 120, It is possible to prevent friction from occurring with respect to the vibration gener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axis of the rotor. The pipe connection device 800 may include a vertical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830 an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12b of the first flange 810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822b of the second flange 820, Can be effectively sealed even if there is a variation or positional difference.

한편, 상기 센터링(830)과 돌출링(8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돌출링(840)은 센터링(830)에 의하여 고정되므로 진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entering ring 830 and the protruding ring 84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this case, since the protruding ring 840 is fixed by the centering ring 830, friction due to vibration can be prevented.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Next,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의 체결 전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ping conn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900)는,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플랜지(910)와, 제 2 플랜지(920)와, 센터링(830)과, 돌출링(840)과, 오링(150) 및 클램프(1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900)는 도 9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800)와 제 1 플랜지(910) 및 제 2 플랜지(920)의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900)는 도 9의 배관 연결 장치(800)의 각 구성과 대비하여 제 1 플랜지(910) 및 제 2 플랜지(920)의 차이가 있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900)는 도 9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8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 a pipe connecting apparatus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lange 910, a second flange 920, a centering 830, a protruding ring 840, An O-ring 150, and a clamp 160. As shown in FIG.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piping connection apparatus 800 according to FIG. 9 and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second flange 920. Therefore,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piping connection device 800 of FIG. 9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second flange 92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of the pipe connection device 800 of FIG. 9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here.

상기 제 1 플랜지(9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을 이루는 내측면의 내주부에 제 1 수용홈(912)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수용홈(912)은 내측면의 내주부에서 외주부 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용홈(912)은 제 1 플랜지(910)의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1 바닥면(912a)과 제 1 플랜지(910)의 내주면과 경사지며 제 1 바닥면(912a)과 둔각을 이루는 제 1 내주면(91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내주면(912b)은 센터링(830)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first flange 91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 first receiving groove 912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a plane inner surface. The first receiving groove 91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he first receiving groove 912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first bottom surface 912a which is a plan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910. The first bottom surface 912a and the obtuse angl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12b. That is,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12b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830.

상기 제 2 플랜지(9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평면을 이루는 내측면의 내주부에 제 2 수용홈(922)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수용홈(922)은 내측면의 내주부에서 외주부 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용홈(922)은 제 2 플랜지(920)의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2 바닥면(922a)과, 제 2 플랜지(920)의 내주면과 경사지며 제 2 바닥면(922a)과 둔각을 이루는 제 2 내주면(922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내주면(922b)은 센터링(830)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second flange 920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922 in an inner peripheral portion of a plane inner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groove 922 is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groove 922 has a second bottom surface 922a that is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920 and a second bottom surface 922b that is incl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920,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22b having an obtuse angle. That is,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22b is formed obliquely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830.

상기 배관 연결 장치(900)는 제 1 플랜지(910)와 제 2 플랜지(920)가 체결될 때, 센터링 모서리(831)가 제 1 플랜지(910)의 제 1 내주면(912b)과 제 2 플랜지(920)의 제 2 외주면(922b)에 각각 접촉하여 압착된다. 따라서, 상기 센터링(930)은 일차로 제 1 플랜지(910)와 제 2 플랜지(920) 사이를 밀폐한다. 또한, 상기 배관 연결 장치(900)는 센터링(830) 및 돌출링(840)과 제 1 플랜지(910) 및 제 2 플랜지(920) 사이에 진동에 따른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며, 마찰열에 의한 오링(150)의 경화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ipe connecting device 9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second flange 920 are fastened, the centering edge 831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912b of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second flange 920b 920, respectively. Thus, the centering 930 primarily seals between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second flange 920. The pipe connection device 900 does not generate friction due to vibration between the centering ring 830 and the protruding ring 840 and the first flange 910 and the second flange 920, 150 can be prevented from hardening and corrosion.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100, 100a,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배관연결장치
110,810,910: 제 1 플랜지, 120,820,920: 제 2 플랜지
130,130a, 230,330,530,830: 센터링
140,140a, 440,540,640,740,840: 돌출링
150: 오링 160: 클램프
100, 100a,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10,810,910: First flange, 120,820,920: Second flange
130, 130a, 230, 330, 530, 830:
140, 140a, 440, 540, 640, 740, 840:
150: O-ring 160: Clamp

Claims (18)

외측면이 제 1 배관에 연결되고, 내주부에서 상기 내측면과 제 1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1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1 플랜지와,
외측면이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에 대향하며 내주부에서 내측면과 제 2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며, 링 형상의 센터링 본체와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제 1 모서리 및 제 2 수용홈의 제 2 모서리와 각각 접촉되는 센터링 경사부를 구비하는 센터링과,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 및
상기 돌출링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가 체결될 때, 상기 센터링의 센터링 경사부가 상기 제 1 모서리 및 제 2 모서리와 접촉하여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A ring-shaped first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form a first edge with the inner surface,
A second ring-shaped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 second receiving groove fac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edge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 centering body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nd which has a ring shape and has a first corner and a second corner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 centering provided with a centering inclined portion to be contacted,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And an O-ring se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ng ring,
Wherein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of the centering is pres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edge and the second e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1 바닥면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1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모서리는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내주면의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 2 수용홈은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2 바닥면 및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2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모서리가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상기 제 2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has a first bottom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by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s a second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arallel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링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터링 경사부는 상기 센터링 홈의 양측에서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형성되며 상기 센터링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ing body further comprises a centering groove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centering inclined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t both sides of the centering groove and is formed to have a triangular sectional shape c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 cente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경사부는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모서리 및 제 2 모서리와 압착되는 경사면과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부면 및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entering ramp
An inclined surface formed obliquel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press-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edges,
An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entering body, wherein the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링은
링 형상이며 상기 센터링 홈에 결합되는 돌출링 본체 및
상기 돌출링 본체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양측면이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rotruding ring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main body coupled to the centering groove;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ding ring body,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both side surfaces thereof contact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양측면의 외주부가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에 접촉되면서 압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entering body is formed to increase in length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s of both side surfaces are formed to be press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의 양측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센터링 외주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entering body further comprises a V-shaped or U-shaped centering peripher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링의 돌출부는 양측면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돌출부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ring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protruding groove formed in a V-shape or a U-shape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경사부는
상기 센터링 홈으로부터 상기 센터링 본체의 양측면까지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센터링 본체의 양측면과 상기 센터링 홈 사이에서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하부면 및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entering ramp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to gradually decrease in height from the centering groove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A lower surface that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centering body and the centering groove,
An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entering bod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양측면에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링 측면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entering body further comprises a centering side groove formed in a V-shape or a U-shape at a predetermined depth on both sides of the centering body.
외측면이 제 1 배관에 연결되고, 내주부에서 상기 내측면과 제 1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1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1 플랜지와,
외측면이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에 대향하며 내주부에서 내측면과 제 2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며, 링 형상의 센터링 본체와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수용홈의 제 1 모서리 및 제 2 수용홈의 제 2 모서리와 각각 접촉되는 센터링 경사부를 구비하는 링 형상의 센터링 및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외주면까지 연장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링은
링 형상의 돌출링 본체 및
상기 돌출링 본체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양측면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홈으로 형성되는 돌출부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A ring-shaped first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form a first edge with the inner surface,
A second ring-shaped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 second receiving groove fac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edge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 centering body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nd which has a ring shape and has a first corner and a second corner of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 ring-shaped centering ring provided with a centering ramp to be contacted, and
And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ring and exte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The protruding ring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body and
Further comprising protruding grooves protruding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ding ring body and formed by V-shaped or U-shaped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both sides thereof.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터링 본체는 외주면의 양측에서 소정 깊이의 V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센터링 외주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entering body is formed to increase in length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in the centering body further comprises a V-shaped or U-shaped centering peripheral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t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과 돌출링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ing and the protruding ring are integrally formed.
외측면이 제 1 배관에 연결되고, 내주부에서 상기 내측면과 제 1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1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1 플랜지와,
외측면이 제 2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수용홈에 대향하며 내주부에서 내측면과 제 2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 2 수용홈을 구비하는 링 형상의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 사이에 위치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과 양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센터링 모서리를 구비하는 센터링과,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 및
상기 돌출링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랜지의 제 1 수용홈과 제 2 플랜지의 제 2 수용홈이 상기 센터링 모서리와 접촉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A ring-shaped first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and a first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to form a first edge with the inner surface;
A second ring-shaped flange having an outer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a second receiving groove facing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forming an inner side surface and a second edge at an inner peripheral portion,
A centering ring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groov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and formed in a ring shape and having a centering edge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ring,
And an O-ring sea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rojecting ring,
Where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receiving groove of the second flange include an inclined surface contacting the centering edg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1 바닥면과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1 내주면 및 상기 제 1 바닥면 및 제 1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제 2 바닥면과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평행한 제 2 내주면 및 상기 제 2 바닥면 및 제 2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상기 제 1 경사면과 제 2 경사면이 상기 센터링 모서리와 접촉되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first receiving groove has a first bottom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 first inner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and the first inner surface. / RTI >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s a second bottom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 second inner surface parallel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bottom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surface, / RTI >
Wherein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engaged,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are in contact with the centering edge and are compressed.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용홈은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1 바닥면과 상기 제 1 플랜지의 내주면과 경사지며 상기 제 1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는 제 1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측면과 평행한 면인 제 2 바닥면과 상기 제 2 플랜지의 내주면과 경사지며 상기 제 2 바닥면과 둔각을 이루는 제 2 내주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플랜지와 제 2 플랜지가 체결될 때, 상기 제 1 내주면과 제 2 내주면이 상기 센터링 모서리와 접촉되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receiving groove has a first bottom surface which is a plane parallel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a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is inclined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which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first bottom surface,
The second receiving groove has a second bottom surface which is a plane parallel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a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is inclin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and which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second bottom surface,
Wherein wh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re fastened, the firs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seco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in contact with the centering edge and are compressed.
링 형상의 센터링 본체와 상기 센터링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랜지 및 제 2 플랜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모서리와 압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센터링 경사부를 구비하는 센터링 및
상기 센터링의 외주면 방향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돌출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A centering ring having a ring-shaped centering body and a centering inclin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ing body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 be pressed against an edg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a ring-shaped protruding ring coupl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ring.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과 돌출링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entering and the protruding ring are integrally formed.
KR1020140013609A 2014-02-06 2014-02-06 Pipe Connection Device KR1015493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609A KR101549396B1 (en) 2014-02-06 2014-02-06 Pipe Conn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609A KR101549396B1 (en) 2014-02-06 2014-02-06 Pipe Conn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951A true KR20150092951A (en) 2015-08-17
KR101549396B1 KR101549396B1 (en) 2015-09-02

Family

ID=5405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609A KR101549396B1 (en) 2014-02-06 2014-02-06 Pipe Conn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39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712A (en) * 2018-02-07 2019-08-16 황석환 Centering unit for linking pipes
CN114382988A (en) * 2020-10-20 2022-04-22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Center ring, pipelin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KR102466397B1 (en) * 2021-11-11 2022-11-11 (주)티컨스 Apparatus for pipe connection
KR20230018753A (en) * 2021-07-30 2023-02-07 이찬호 Centering structure with enhanced sealing propert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824B2 (en) * 2002-02-25 2007-02-2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Seal structure for joi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5712A (en) * 2018-02-07 2019-08-16 황석환 Centering unit for linking pipes
CN114382988A (en) * 2020-10-20 2022-04-22 中国科学院微电子研究所 Center ring, pipeline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KR20230018753A (en) * 2021-07-30 2023-02-07 이찬호 Centering structure with enhanced sealing property
KR102466397B1 (en) * 2021-11-11 2022-11-11 (주)티컨스 Apparatus for pipe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396B1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396B1 (en) Pipe Connection Device
US7624991B2 (en) Seal ring and method
JP6191689B2 (en) Seal ring
KR101428445B1 (en) Pipe Connection Device and Centering Assembly Using in the SAME Device
TWI693359B (en) Pipe element having wedging groove
JP4985973B2 (en) Sealing structure
JP2009500580A (en) Seal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corrosion barrier
KR101702528B1 (en) Stationary part sealing structure
EP3468323A1 (en) Perimeter seal
WO2013153774A1 (en) Metal gasket
JP6424124B2 (en) Metal seal
KR200446817Y1 (en) A metal ring of piping with gasket groove
JP5777315B2 (en) Composite sealing material
KR20130061284A (en) Recess for o-ring
US20160010748A1 (en) Sealing assembly for flat flange connections
KR20130011595A (en) O-ring locking structure for anti separate
JP5197146B2 (en) Detachment prevention fitting
CN108019511B (en) Sealing device
JP5260773B1 (en) Metal gasket
JP4882827B2 (en) Piping joint structure
JP2009174627A (en) Composite sealant
US20240164039A1 (en) Housing assembly comprising a seal
JP2014202221A (en) Seal ring and seal structure
JP5162038B1 (en) Metal gasket
TW202416630A (en) Shell stator for a vacuum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