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820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820A
KR20150090820A KR1020140143643A KR20140143643A KR20150090820A KR 20150090820 A KR20150090820 A KR 20150090820A KR 1020140143643 A KR1020140143643 A KR 1020140143643A KR 20140143643 A KR20140143643 A KR 20140143643A KR 20150090820 A KR20150090820 A KR 20150090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riority
uplink
cel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게르트-잔 반 리에샤우트
김영범
아리스 파파사켈라리오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0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821A/ko
Priority to CN201580016655.0A priority patent/CN106134261B/zh
Priority to PCT/KR2015/000999 priority patent/WO2015115851A1/en
Priority to US14/608,589 priority patent/US9985756B2/en
Priority to KR1020150014474A priority patent/KR102391770B1/ko
Priority to EP21150405.5A priority patent/EP3826217B1/en
Priority to CN201911053959.0A priority patent/CN110784919B/zh
Priority to EP15743577.7A priority patent/EP3100533B1/en
Publication of KR20150090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820A/ko
Priority to US15/989,896 priority patent/US10601555B2/en
Priority to US16/826,781 priority patent/US11368262B2/en
Priority to US17/843,481 priority patent/US1199109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복수의 셀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동일한 셀 그룹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명세서는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상기 LTE 시스템은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최대 100 Mbps 정도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며 현재 규격화가 거의 완료되었다.
최근 LTE 통신시스템에 여러 가지 신기술을 접목해서 전송 속도를 향상시키는 진화된 LTE 통신시스템(LTE-Advanced, LTE-A)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상기 새롭게 도입될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캐리어 집적(Carrier Aggregation)을 들 수 있다. 캐리어 집적이란 종래에 단말이 하나의 하향 링크 캐리어와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만을 이용해서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과 달리, 하나의 단말이 다수의 하향 링크 캐리어와 다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LTE-A에서는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intra-ENB carrier aggregation)만 정의되어있다. 이는 캐리어 집적 기능의 적용 가능성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져, 특히 다수의 피코 셀들과 하나의 마크로 셀을 중첩 운용하는 시나리오에서는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을 집적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산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inter-ENB carrier aggregation)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셀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전송 출력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셀 그룹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동일한 셀 그룹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셀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은, 상기 복수의 셀 그룹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동일한 셀 그룹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된 전송 출력에 따라 상기 상향 링크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서로 다른 기지국 간에 캐리어를 집적함으로써 단말의 송수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매크로 셀의 상향 링크와 피코 셀의 상향 링크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9는 두 상향 링크의 서브 프레임이 서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단말과 기지국의 전체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기지국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는 RNTI를 감시할 서빙 셀을 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MAC을 구비하는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Cell을 해제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LF 발생 시 SCell을 관리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기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를 설명하기에 앞서 LTE 시스템 및 캐리어 집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Evolved Node B, 이하 ENB, Node B 또는 기지국)(105, 110, 115, 120)과 MME (125, 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S-GW(130, Serving-Gateway)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terminal))(135)은 ENB(105, 110, 115, 120) 및 S-GW(130)를 통해 외부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ENB(105, 110, 115, 120)는 UMTS 시스템의 기존 노드 B에 대응된다. ENB(105, 110, 115, 120)는 UE(135)와 무선채널을 통해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복잡한 역할을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실시간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ENB(105, 110, 115, 120)가 담당한다.
하나의 ENB(105, 110, 115, 120)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LTE 시스템은 통상 20 MHz 대역폭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사용한다. 또한, ENB(105, 110, 115, 120)는 단말(135)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사용한다.
S-GW(1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며, MME(12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 베어러를 생성하거나 제거한다. MME(125)는 단말(135)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된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부 실시 예가 적용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05, 240), RLC(Radio Link Control 210, 235), MAC (Medium Access Control 215,230) 및 물리계층(PHY, 220, 225)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05, 2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210, 2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해서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215,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계층(220, 2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도 3은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은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을 송출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305)으로부터 하향 링크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315)와 하향 링크 중심 주파수가 f3인 캐리어(310)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이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3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이 있는 단말(3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3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이 송출하고 수신하는 하향 링크 캐리어와 상향 링크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것을 기지국 내 캐리어 집적이라고 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향 링크 캐리어와 상향 링크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캐리어 집적 방식인 기지국 간 캐리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지국 1(405)은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를 송수신하고 기지국 2(415)는 중심 주파수가 f2인 캐리어를 송수신할 때, 단말(430)이 하향 링크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와 하향 링크중심주파수가 f2 캐리어를 집적(결합)하면, 하나의 단말(430)이 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수신 되는 캐리어들을 집적하는 결과로 이어지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기지국 간(inter-ENB) 캐리어 집적(혹은 기지국 간 CA)이라고 명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을 다중 연결 (Dual Connectivity; DC)이라 하고, 예를 들어 DC가 설정되었다는 것은 기지국 간 캐리어 집적이 설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래에 본 명세서에서 빈번하게 사용될 용어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이 송출하는 하나의 하향 링크 캐리어와 상기 기지국이 수신하는 하나의 상향 링크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때, 최대 전송 속도와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는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진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하향 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상향 링크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히 캐리어 집적을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라는 것으로 표현할 것이며, 프라이머리 서빙 셀(이하 PCell)과 세컨더리 서빙 셀(이하 SCell), 혹은 활성화된 서빙 셀 등의 용어를 사용 할 것이다. 상기 용어들은 LTE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그대로의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 컴포넌트 캐리어, 서빙 셀 등의 용어가 혼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한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셀 그룹 혹은 캐리어 그룹 (Cell Group, Carrier Group; CG)으로 정의한다. 셀 그룹은 다시 마스터 셀 그룹 (Master Cell Group; MCG)과 세컨더리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으로 구분된다. MCG란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이하 마스터 기지국, M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SCG란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아닌 다른 기지국, 다시 말해서 SCell들만을 제어하는 기지국(이하 슬레이브 기지국,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소정의 서빙 셀이 MCG에 속하는지 SCG에 속하는지는 해당 서빙 셀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준다. 하나의 단말에는 하나의 MCG와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SCG가 설정되는 경우만 고려하지만,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되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이 별다른 가감 없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PCell과 SCell은 단말에 설정되는 서빙 셀의 종류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Cell과 SCell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PCell은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지만, SCell은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를 반복한다. 단말의 이동성은 PCell을 중심으로 제어되며, SCell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부가적인 서빙 셀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PCell과 SCell은 LTE 규격 36.331이나 36.321 등에서 정의된 PCell과 SCell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이 함께 전개된 망을 고려한다. 매크로 셀은 매크로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 피코 셀은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셀로 통상적인 매크로 셀에 비해서 현저하게 좁은 영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매크로 셀과 피코 셀을 구분하는 엄격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매크로 셀의 영역은 반경 500m 정도, 피코 셀의 영역은 반경 수십 m 정도로 가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코 셀과 스몰 셀을 혼용한다.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하면, 기지국 1(405)이 MeNB이고 기지국 2(415)가 SeNB라면, 중심 주파수 f1인 서빙 셀(410)이 MCG에 속하는 서빙 셀이고 중심 주파수 f2인 서빙 셀(420)이 SCG에 속하는 서빙 셀이다.
후술 될 설명에서는 이해를 위해 MCG와 SCG 대신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셋과 세컨더리 셋 혹은 프라이머리 캐리어 그룹과 세컨더리 캐리어 그룹 등의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용어만 다를 뿐, 그 의미하는 바는 동일함을 유념하여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의 주요한 사용 목적은 어떠한 셀이 특정 단말의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지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셀이 특정 단말의 PCell을 제어하는 기지국의 제어를 받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단말과 해당 셀의 동작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단말에는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SCG가 설정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SCG는 최대 1개만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SCG는 여러 개의 SCel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하나의 SCell은 특별한 속성을 가진다.
기지국 내 CA에서 단말은 PCell의 PUCCH를 통해, PCell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SCell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도 전송한다. 이는 상향 링크 동시 전송이 불가능한 단말에 대해서도 CA를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기지국 간 CA의 경우, SCG SCell들의 HARQ 피드백과 CSI를 PCell의 PUCCH를 통해 전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 HARQ 피드백은 HARQ RTT(Round Trip Time, 통상 8 ms) 내에 전달되어야 하는데, MeNB와 SeNB 사이의 전송 지연이 HARQ RTT 보다 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SCG에 속하는 SCell 중 하나의 SCell에 PUCCH 전송 자원을 설정하고, 상기 PUCCH를 통해 SCG SCell들에 대한 HARQ 피드백과 CSI 등이 전송된다. 상기 특별한 SCell을 pSCell (primary SCell)로 명명한다.
MeNB와 SeNB는 독립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므로, MSG에 대한 상향 링크 전송과 SCG에 대한 상향 링크 전송이 시간 영역에서 겹칠 수 있다.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상향 링크 전송 출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요구 전송 출력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단말은 전송 출력을 낮춰서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상향 링크 전송 품질이 저하된다.
하나의 스케줄러가 단말의 상향 링크를 스케줄링한다면 스케줄러는 상기와 같은 전송 출력 부족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유의한다. 그러나 기지국 간 CA에서는 서로 독립적인 두 개의 스케줄러에 의해서 상향 링크 스케줄링이 수행되므로 전송 출력 부족 상황의 발생을 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지국 간 CA에서 전송 출력 부족 상황이 발생했을 때 상향 링크 전송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도 5는 매크로 셀의 상향 링크와 피코 셀의 상향 링크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이다.
스몰 셀의 상향 링크 전송 출력과 매크로 셀의 상향 링크 전송 출력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단말과 스몰 셀 수신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은 단말과 매크로 셀 수신 장치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보다 현저하게 높다.
● 단말과 스몰 셀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는 단말과 매크로 셀 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보다 현저하게 짧을 가능성이 크다.
잘 알려진 것처럼, 송수신 장치가 가시 거리 (line of sight) 내에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통신 품질이 양호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전송 출력을 적용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 사이의 거리가 짧을수록 경로 손실이 줄어들어서 낮은 전송 출력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510)과 MeNB(505) 사이의 거리가 250m, 단말(510)과 SeNB(515) 사이의 거리가 20m라면 단말(510)과 MeNB(505) 사이의 경로 손실(520)은 118.4 dB, 단말(510)과 SeNB(515) 사이의 경로 손실(525)은 64.0 dB이다. 다시 말해서 MeNB(505)가 수신한 단말(510)의 상향 링크 신호와 SeNB(515)가 수신한 단말(510)의 상향 링크 신호의 강도 차이는 54.4 dB (약 275400배)에 이른다. 경로 손실이 큰 기지국일수록 단말(510)에게 요구하는 전송 출력이 커지므로, MeNB(505)의 단말(510)에 대한 요구 전송 출력이 SeNB(515)의 단말(510)에 대한 요구 전송 출력은 현저하게 크게 된다.
MeNB와 SeNB에 대한 전체 요구 전송 출력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은 두 기지국에 대한 전송 출력을 균등하게 감소시키는 전송 출력 균등 감소(equal power scaling)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MeNB와 SeNB 간 요구 전송 출력 차이가 현저할 경우, 전송 출력 균등 감소 (equal power scaling)는 요구 전송 출력이 낮은 상향 링크의 전송 품질에 훨씬 큰 악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에서 VoIP 패킷 (336 bit)이, 스몰 셀에서 36696 bit 크기의 패킷이 전송되고, 단말과 MeNB 사이의 거리는 500m, 단말과 SeNB 사이의 거리는 50m이며, 전송 출력을 3dB 증가시킬 것을 명령하는 전송 출력 명령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을 수신한 경우를 가정했을 때 MeNB(Macro cell)와 SeNB(Small cell)의 요구 전송 출력은 표 1과 같다.
Macro cell 요구전송출력 26.96 dBm/497.04mW
Small cell 요구전송출력 -7.65 dBm/0.17mW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이 20 dBm이라면, 두 전송 출력에 균등 감소를 적용했을 때 전송 출력은 표 2와 같다.
macro cell 전송출력 20.0 dBm/99.97mW Macro cell 전송과 small cell 전송에 동일한 강도(6.96 dB)의 전송품질 열화 발생
small cell 전송출력 -14.6 dBm/0.03mW
반면, 낮은 요구 전송 출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높은 요구 전송 출력만 감소시킬 경우 (이하 차등 전송 출력 감소) 전송 출력은 표 3과 같다.
macro cell 전송출력 19.99 dBm/99.83mW Macro cell 전송에 6.97dB의 전송품질 열화 발생. small cell 전송에 전송품질 열화 미발생.
small cell 전송출력 -7.65 dBm/0.17mW
상기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요구 전송 출력의 차이가 현저할 경우 요구 전송 출력이 이미 상당히 낮은 상향 링크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킨다 하더라도 전체 전송 출력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미미하다. 그러나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이 낮은 상향 링크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면, 해당 상향 링크의 전송 품질 저하는 현저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낮은 요구 전송 출력에 대해서는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높은 요구 전송 출력에 대해서만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전체적인 전송 품질 측면에서 유리하다.
단말이 매크로 셀에서만 동작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극단적인 전송 출력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단말이 매크로 셀과 스몰 셀에서 동시에 상향 링크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극단적 불균형의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SCG 내에는 여러 개의 SCell이 설정될 수 있고, 하나의 MCG 내에도 여러 개의 서빙 셀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PCell과 pSCell에서는 PUCCH와 PUSCH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이처럼 여러 셀 그룹의 여러 서빙 셀에서 여러 종류의 상향 링크가 전송될 때, 본 발명에서는 먼저 셀 그룹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셀 그룹 내의 상향 링크 별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2단계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2단계 우선 순위 결정 방법을 통해서, 서로 동일한 종류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도, 셀 그룹에 따라 균등 전송 출력 감소가 아니라 차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아래와 같은 상향 링크 전송이 MCG의 서빙 셀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 PCell에서 PUCCH 전송 (605)
● MCG 서빙 셀에서 PUSCH 전송 (610)
● MCG의 또 다른 서빙 셀에서 PUSCH 전송 (615)
또한, 도 6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서브 프레임과 전체 혹은 일부가 겹치는 서브 프레임에서 아래와 같은 상향 링크 전송이 SCG의 서빙 셀에서 수행되는 것을 가정한다.
● pSCell에서 PUCCH 전송 (620)
● SCG의 SCell에서 PUSCH전송 (625)
● SCG의 또 다른 SCell에서 PUSCH 전송 (630)
단말은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들을 결정한다. 도 6에서 각 상향 링크 전송의 화살표 크기는 각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요구 전송 출력의 크기를 나타낸다.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들의 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어떤 상향 링크의 전송 출력을 우선적으로 감소시킬지 결정하기 위해 단말은 2단계에 걸쳐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단말은 첫 번째 단계에서 어떤 셀 그룹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할지 결정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 셀 그룹 내의 상향 링크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단말은 우선 순위가 낮게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하여 우선하여 상향 링크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킨다.
단말은 아래 나열된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해서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셀 그룹 간 우선 순위 결정 방법 1]
미리 정해진 셀 그룹 (예를 들어 MCG)의 우선 순위를 다른 셀 그룹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
이 경우, MCG를 통해서는 RRC 제어 메시지와 같이 중요한 메시지가 전송되기 때문에 MCG 전송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셀 그룹 간 우선 순위 결정 방법 2]
셀 그룹 간 상향 링크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을 비교해서, 전송 출력의 합이 높은 셀 그룹에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전송 출력의 합이 낮은 셀 그룹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
예를 들어, 도 6에서 MCG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은 605, 610, 615에 요구되는 전송 출력의 합, SCG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은 620, 625, 630에 요구되는 전송 출력의 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MCG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SCG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보다 크므로, 단말은 MCG의 우선 순위를 낮게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높은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면 낮은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는 것보다 전송 품질 저하의 정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단말은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높은 셀 그룹의 우선 순위를 낮게 결정하여, 우선적으로 전송 출력을 감소시킨다.
[셀 그룹 간 우선 순위 결정 방법 3]
셀 그룹 상향 링크 요구 전송 출력 사이의 차이가(또는 비율이) 소정의 기준 이상이라면 상향 링크 요구 전송 출력이 낮은 셀 그룹의 상향 링크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차이(또는 비율이)가 소정의 기준 이하라면 미리 지시된 셀 그룹 (예를 들어 MCG)의 상향 링크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상기 결정 방법 3은, 전송 출력 차이가 현저한 경우에는 높은 전송 출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송 출력 차이가 크지 않으면 좀 더 중요한 신호의 전송 출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에서 착안한 방법이다.
단말은 각 셀 그룹 내의 상향 링크 전송 간의 우선 순위를 아래와 같이 결정한다.
[셀 그룹 내 우선 순위 결정 방법]
PUCCH 전송과 PUSCH 전송이 중첩되면 PUCCH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
PUSCH 전송과 PUSCH 전송이 중첩되면,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와 함께 전송되는 PUSCH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 UCI와 함께 전송되는 PUSCH 전송이 없다면 동일한 우선 순위를 부여.
단말은 우선 순위 결정 결과 동일한 우선 순위가 부여된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은 동일한 강도로 감소시킨다. 즉 동일한 우선 순위가 부여된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에 대하여는 균등 전송 출력 감소가 적용된다. 그리고 우선 순위가 다른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은, 우선 순위가 낮은 상향 링크의 전송 출력이 우선적으로 감소된다. 즉, 우선 순위가 다르게 부여된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에 대하여는 차등 전송 출력 감소가 적용된다.
아래의 표 4는 셀 그룹간 우선 순위 결정 방법 3을 적용한 경우에, 2단계 우선 순위 결정에 따른 전송 출력 제어의 일 예를 나타낸 표이다. 표 4에서는, MCG와 SCG 간 상향 링크 요구 전송 출력 사이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 이상인 경우를 가정한다.
임의의 시점에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전송 출력 = 80.8 mW

MCG SCG
PUCCH1 PUSCH1 PUSCH2 PUCCH2 PUSCH3 PUSCH4
요구전송출력 50 mW 100 mW 200 mW 0.01 mW 0.02 mW 0.05 mW
전송 출력 조정 후 전송 출력 50 mW 10 mW 20 mW 0.01 mW 0.02 mW 0.05 mW
전송출력 감소 없음 균등전송출력감소 전송출력 감소 없음
표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은 80.8mW, 요구 전송 출력의 총 합은 350.8mW이다. 단말은 어떤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킬지 판단하기 위해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단말은 먼저 MCG 요구 전송 출력의 합 (350 mW)과 SCG 요구 전송 출력의 합 (0.08 mW)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 (예를 들어 20 dB) 이상인지 판단한다. 상기 두 전송 출력 합의 차이가 기준을 초과하므로, 단말은 전송 출력 합이 낮은 SCG의 상향 링크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MCG의 상향 링크 전송에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1단계 결정).
단말은 MCG 상향 링크 전송 사이의 우선 순위와 SCG 상향 링크 전송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단말은 MCG 상향 링크 전송으로 PUCCH 1 전송, PUSCH 1 전송 (임의의 MCG 서빙 셀의 PUSCH 전송) 및 PUSCH 2 전송 (임의의 또 다른 MCG 서빙 셀의 PUSCH 전송) 중에서, PUCCH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PUSCH 1 전송과 PUSCH 2 전송에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단말은 SCG 상향 링크 전송으로 PUCCH2 전송 (pSCell의 PUCCH 전송), PUSCH 3 전송 (임의의 SCG 서빙 셀의 PUSCH 전송) 및 PUSCH 4 전송 (임의의 또 다른 SCG 서빙 셀의 PUSCH 전송) 중에서, PUCCH 2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PUSCH 3 전송과 PUSCH 4 전송에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2단계 결정).
셀 그룹 간 우선 순위가 셀 그룹 내의 우선 순위에 우선하므로, 최종적인 우선 순위는 아래와 같다.
● 가장 높은 우선 순위: PUCCH 2 전송
● 차상위 우선 순위: PUSCH 3 전송, PUSCH 4 전송
● 세 번째 높은 우선 순위: PUCCH 1 전송
● 최하위 우선 순위: PUSCH 1 전송, PUSCH 2 전송
단말은 가장 낮은 우선 순위의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우선적으로 감소시킨다. 표 4의 예에서 단말은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350.08 mW)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80.08 mW)에 대하여 초과하는 전력 양인 270 mW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최하위 우선 순위로 결정된 PUSCH 1의 전송 출력과 PUSCH 2의 전송 출력을 각각 1/10로 감소시키면, 총합 270 mW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단말은 PUSCH 1과 PUSCH 2에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하여 270 mW만큼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고, 나머지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은 그대로 유지한다.
만약, 최하위 순위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0 mW로 감소시켜도, 나머지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은 다음으로 낮은 우선 순위인 세 번째 우선 순위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제어한다.
단말은 제어된 전송 출력의 총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단말이 상향 링크 그랜트를 수신하거나, 단말에 설정된 상향 링크 그랜트가 존재하거나, 단말이 재전송을 수행해야 하거나, 단말이 PUCCH를 전송해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은 도 7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설정된 상향 링크 그랜트 (configured uplink grant)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상향 링크 전송 자원과 관련된 것으로 규격 36.321에 기재되어 있는 바를 따른다.
705 단계에서 단말은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수행될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만약 여러 개의 상향 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이들 각각에 대해서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은 서빙 셀 별로 산출되는 전송 출력이며, 요구 전송 출력과 상기 서빙 셀에서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 중 작은 값이다.
PUSCH의 요구 전송 출력은, 경로 손실, PUSCH 전송에 적용되는 대역폭 (혹은 PRB의 개수), PUSCH 전송에 적용되는 전송 포맷 (변조 방식과 코딩 레이트;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전송 출력 조정 명령 (TPC; Transmission Power Command) 등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된다. 자세한 계산 방법은 규격 36.213을 따른다.
Figure pat00001
임의의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을 PCMAX,c(i)라 하면, PUS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된다. 자세한 계산 방법은 규격 36.213을 따른다.
Figure pat00002
임의의 서빙 셀 c의 서브 프레임 i에서 단말에게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을 PCMAX,c(i)라 하면, PUC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된다. 자세한 계산 방법은 규격 36.213을 따른다.
Figure pat00003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PUC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은 PUCCH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양과 포맷 등에 의해서 결정된다.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은, 서빙 셀 별로 계산된 실제 전송 출력에 관한 것이며, 최종적인 실제 전송 출력은 단말 전체적인 최대 전송 출력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단말은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과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비교한다. 임의의 서브 프레임 i에서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 PCMAX(i)는 단말의 물리적인 최대 전송 출력 최대 값과 셀 별 허용 값 등을 고려해서 결정되며, 결정 방법은 규격 36.101을 따른다.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전송 출력을 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은 715 단계로 진행해서 각 상향 링크 전송의 실제 전송 출력으로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을 적용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전송 출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단말은 720 단계로 진행한다. 720 단계에서 단말은 SCG가 설정되어 있는지 (혹은 DC가 설정되어 있는지, 혹은 복수의 CG이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해서, SCG가 설정되어 있다면(혹은 DC가 설정되어 있다면, 혹은 복수의 CG가 설정되어 있다면) 단말은 73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말은 725 단계로 진행한다.
730 단계에서 단말은 복수의 셀 그룹에서 상향 링크 전송이 수행될 것인지(혹은 MCG와 SCG 모두에서 상향 링크 전송이 수행될 것인지) 검사해서, 양쪽 모두에서 상향 링크 전송이 수행될 것이라면 735 단계로 진행하고, 한쪽에서만 상향 링크 전송이 수행될 것이라면 725 단계로 진행한다.
725 단계로 진행한다는 것은 하나의 셀 그룹 내에서만 상향 링크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셀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없이 셀 그룹 내 우선 순위 결정 방식만 사용해서 상향 링크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735 단계로 진행한다는 것은 복수의 셀 그룹에서 상향 링크 전송이 이루어지므로 셀 그룹 간 우선 순위 결정 방식과 셀 그룹 내 우선 순위 결정 방식을 모두 사용해서 상향 링크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725 단계에서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셀 그룹 내 우선 순위 결정 방식을 적용해서 상향 링크 전송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셀 그룹 내 우선 순위 결정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단말은 PUCCH 전송의 우선 순위를 PUSCH 전송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735 단계에서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셀 그룹 간 우선 순위 결정 방식을 적용해서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셀 그룹 간 우선 순위 결정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단말은 MCG 상향 링크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과 SCG 상향 링크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 사이의 차이가(또는 비율이) 소정의 기준 이하라면 MCG 상향 링크 전송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하고, 차이가(또는 비율이) 소정의 기준 이상이라면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이 낮은 셀 그룹의(만약 하나의 셀에서만 상향 링크 전송이 수행된다면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낮은 셀의) 우선 순위를 높게 설정한다.
740 단계에서 단말은 셀 그룹 내 상향 링크 전송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셀 그룹 내 우선 순위 결정 방식을 적용해서 셀 그룹 내의 상향 링크 전송 사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오직 하나의 상향 링크 전송만 수행되는 셀 그룹에 대해서는 740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743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 링크 전송의 우선 순위를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예컨대 단말은 우선 순위가 높은 셀 그룹의 PUCCH 전송 혹은 UCI가 포함된 PUSCH 전송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셀 그룹의 PUSCH 전송에 그 다음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셀 그룹의 PUCCH 전송 혹은 UCI가 포함된 PUSCH 전송에 그 다음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낮은 셀 그룹의 PUSCH 전송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745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를 바탕으로 전송 출력을 조정(제어) 한다. 단말은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우선 낮춰서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만약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0 mW까지 낮춰도 나머지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단말은 다음으로 우선 순위가 낮은 상향 링크의 전송 출력을 조정한다. 단말은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750 단계에서 단말은 각 상향 링크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에 출력 감소가 적용된 것을 해당 상향 링크 전송의 최종적인 실제 전송 출력으로 설정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셀 그룹을 막론하고 PUCCH 전송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PUSCH 전송 사이에서는 균등 출력 감소를 적용하거나 차등 출력 감소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이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면, 단말은 PUCCH 전송과 UCI가 포함된 PUSCH 전송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즉 낮은 우선 순위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을 0 mW로 줄이더라도 최대 전송 출력이 초과될 경우에만 전송 출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은 PUSCH 전송에 대해서는 동일한 우선 순위를 부여하거나 (즉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하거나), PUSCH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차이가(또는 비율이) 소정의 기준 이상이면,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낮은 PUSCH 전송에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한다 (즉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높은 PUSCH 전송의 전송 출력을 우선적으로 감소시킨다). 아래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임의의 시구간에서 발생할 상향 링크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 PCell PUC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PPCellPUCCH mW
■ MCG SCell 1의 PUS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 PSCell1 mW
■ SCG SCell2의 PUS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 PSCell2UCI mW
■ SCG SCell3의 PUSCH의 1단계 전송 출력 = PSCell3mW
● SCG SCell2의 PUSCH 전송은 UCI를 포함한다.
● PPCellPUCCH+ PSCell1+ PSCell2UCI+ PSCell3> PCMAX
● PSCell1/ PSCell3> TH1 (예를 들어 100배)
상기와 같은 경우에 PUCCH와 UCI가 포함된 PUSCH 전송에 대해 가장 높은 우선 순위가 부여되므로, 우선 순위가 낮은 MCG SCell 1과 SCG SCell 3에 할당할 수 있는 가용 전송 출력은 [PCMAX -(PPCellPUCCH+ PSCell2UCI)] mW이다.
MCG SCell 1과 SCG SCell 3의 PUSCH 전송 출력 간의 비율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이므로, 단말은 낮은 전송 출력을 갖는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 더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따라서 가장 우선 순위가 낮은 MCG SCell 1에 할당할 수 있는 가용 전송 출력은 [PCMAX -(PPCellPUCCH+ PSCell2UCI +PSCell3)] mW다.
만약 상기 가용 전송 출력이 0보다 크거나 같다면, 단말은 PSCell1를 상기 가용 전송 출력 값으로 조정해서 SCell 1의 실제 전송 출력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은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을 그대로 적용한다. 만약 상기 가용 전송 출력이 0보다 작으면, SCell1의 실제 전송 출력을 0으로 줄이더라도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므로, 단말은 SCell 1의 실제 전송 출력을 0으로 설정하고, SCell 1의 PUSCH보다 한 단계 높은 우선 순위의 상향 링크 전송, 즉 SCell 3의 PUSCH의 전송 출력을 조정한다. 예컨대 단말은 SCell3의 전송 출력을, 연산 결과가 0보다 크거나 같다면, [PCMAX -(PPCellPUCCH+ PSCell2UCI)] mW로 조정한다.
제어된 전체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이 초과되지 않을 때까지 단말은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의 실시 예에서, 단말은 전송 출력의 차이에 따라 균등 출력 감소와 차등 출력 감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705 단계, 710단계, 715 단계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의 합보다 크다면 단말은 815 단계로 진행한다. 815 단계에서 단말은 상향 링크 전송 중 PUSCH 전송들을 대상으로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상대적인 차이가 소정의 기준, TH1을 초과하는지 검사한다. 이때, 단말은 PUSCH 전송 중, UCI가 포함되지 않은 PUSCH 전송만 고려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은 PSCell1과PSCell3를 비교해서 둘 사이의 비율이 소정의 TH1 이상인지 검사한다. 비율 혹은 차이가 소정의 TH 1 이상이라면 단말은 820 단계로 진행해서 차등 출력 감소를, 소정의 TH 1 이하라면 단말은 825 단계로 진행해서 균등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만약 고려할 PUSCH 전송이 둘 이상이라면, 단말은 모든 조합들의 비율을 고려해서, 조건을 충족시키는 조합에 대해서는 820 단계로 진행해서 차등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조합에 대해서는 825 단계로 진행해서 균등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PSCell _x(SCell_x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PSCell _y, PSCell_z가 있을 때, 단말은 3가지 요소로부터 발생 가능한 모든 조합 [PSCell _x,PSCell _y]와 [PSCell _x , PSCell _z] 중 차이가 TH 1 이상인 조합이 있는지 검사한다. 단말은 차이가 TH 1 이상인 조합, 예를 들어 [PSCell _x,PSCell _y]에 대해서는 균등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차이가 TH 1 이하인 조합, 예를 들어 [PSCell _x , PSCell _z]에 대해서는 차등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혹은 단말은 상기 발생 가능한 모든 조합 중 단 하나의 조합이라도 차이가 TH 1 이상이라면 82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모든 PUSCH 전송 출력에 대해서 차등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차이가 TH 1 이상인 조합이 하나도 없을 경우에만 825 단계로 진행해서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할 수도 있다.
혹은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절대 값을 고려해서 균등 출력 감소를 수행할지 차등 출력 감소를 수행할지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전송 출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인 상향 링크 전송들에 대해서는 820 단계로 진행해서 차등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전송 출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인 상향 링크 전송들에 대해서는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하기 위해서 825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임의의 시점에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합이 PCMAX를 초과하면, 단말은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소정의 기준 이하인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차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PUSCH 1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100 mW, PUSCH 2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400 mW, PUSCH 3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0.5 mW, PUSCH 4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0.9 mW 이고, 상기 소정의 기준이 0dBm (1mW)라면, 단말은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1 mW보다 낮은 PUSCH 3과 PUSCH 4에 대해서 차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즉 높은 우선 순위를 배정하고, 하위 우선 순위 상향 링크 전송의 전송 출력이 0 mW로 감소되기 전까지는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지 않는다), PUSCH 1과 PUSCH 2에 대해서는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즉 낮은 우선 순위를 배정하고 전송 출력을 동일한 비율로 감소시킨다).
임의의 상향 링크 전송에 차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는 것은 해당 상향 링크 전송에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해서 낮은 우선 순위의 전송 출력을 우선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의의 상향 링크 전송에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는 것은, 해당 상향 링크 전송에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해서, 상기 낮은 우선 순위 상향 링크 전송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비율로 전송 출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820 단계에서 단말은 PUSCH 전송 출력들에 대해서 차등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전송 출력이 가장 높은 PUSCH 전송의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고, 상기 가장 높은 전송 출력을 0 mW까지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송 출력 부족 상태가 해소되지 않으면, 그 다음으로 높은 전송 출력을 줄이는 동작을 전송 출력 부족 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반복한다.
825 단계에서 단말은 PUSCH 전송 출력들에 대해서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은 PUSCH 전송 출력들을, 전송 출력 부족 상태가 해소될 때까지 동일한 비율로 감소시킨다.
830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 출력 부족 상태가 해소되었는지 검사해서, 해소되었다면 835 단계로, 해소되지 않았다면 840 단계로 진행한다. 835 단계에서 단말은, 전송 출력이 감소되지 않은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을 상향 링크 전송 출력으로 적용하고, 전송 출력이 감소된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에 감소된 전송 출력을 뺀 값을 상향링크 전송 출력으로 적용한다.
840 단계로 진행하였다는 것은 PUSCH 전송 출력을 0 mW까지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송 출력 부족 문제가 해소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말은 PUCCH 전송 출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PUC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혹은 UCI가 수납된 PUS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사이의 차이가 소정의 기준 TH2보다 큰지 검사한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은 PSCell2UCI와 PPCellPUCCH 사이의 차이가 TH2보다 큰지 검사한다. 혹은 MCG와 SCG 모두에서 PUCCH가 전송되거나, MCG와 SCG 모두에서 UCI가 수납된 PUSCH가 전송된다면, 단말은 이들 사이의 차이가 TH2보다 큰지 검사한다.
상기 두 상향 링크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차이가 TH 2 이상이라면 단말은 845 단계로 진행해서 차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하고, TH 2 이하라면 단말은 847 단계로 진행해서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845 단계에서 단말은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이 높은 PUCCH 혹은 UCI가 포함된 PUSCH의 전송 출력을 우선적으로 감소시킨다. 847 단계에서 단말은 PUCCH 전송의 전송 출력을 동일한 비율로 감소시킨다. 혹은 단말은 PUCCH 전송과 UCI가 포함된 PUSCH 전송의 전송 출력을 동일한 비율로 감소시킨다.
또 다른 방법으로 단말은 840 단계로 진행해서 PUC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UCI가 포함된 PUSCH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의 절대 값을 검사해서, 절대 값이 소정의 또 다른 기준 값 (예를 들어 2 mW)보다 큰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낮은 우선 순위를 적용해서 우선적으로 전송 출력을 감소시키고, 절대 값이 상기 기준 값보다 작은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해서는 높은 우선 순위를 적용해서 후순위로 전송 출력을 감소시킨다. 만약 두 상향 링크 전송의 1단계 실제 전송 출력 모두 상기 기준 값보다 크다면, 단말은 두 상향 링크 전송에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한다.
도 13에 또 다른 단말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상향 링크의 중요도를 기초로 상향 링크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말의 상향 링크 전송의 종류를 좀 더 세분화하면 아래의 표 5와 같다. 아래 신호들에 대한 기타 관련 사항은 규격 36.211, 36.212, 36.213, 36.321을 따른다.
Preamble 랜덤 액세스를 위한 상향 링크 신호.
상향링크 전송 리소스 중 일부는 프리앰블 전송용으로 리저브 됨.
단말은 PCell, pSCell 혹은 랜덤 액세스 관련정보를 보유한 SCell에서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음.
Scheduling Request 전송 자원 요청을 위한 상향 링크 신호. PUCCH 리소스 중 일부는 SR 전송 자원으로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PCell 혹은 pSCell에서 SR을 전송할 수 있다.
HARQ Feedback PDSCH에 대한 HARQ 피드백신호이며, PCell 혹은 pSCell의 PUCCH 리소스를 통해 전송된다.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하향링크 신호 품질 등에 관한 신호. PUCCH 리소스 중 일부는 CSI 전송자원으로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단말은 PCell 혹은 pSCell에서 CSI를 전송할 수 있다.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기지국이 상향링크 채널 품질을 판단할 수 있도록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기준 신호. SRS는 모든 서빙 셀에 설정될 수 있으며, PUSCH 전송 자원의 마지막 심볼에서 전송된다.
PUSCH 사용자데이터 (MAC PDU)가 전송되는 상향 링크 채널
DC가 설정되면 상기 여러 종류의 상향 링크 신호 간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단말은 충돌이 발생한 신호의 종류를 검사해서 어떤 상향 링크 신호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지 결정한다.
기본적인 원칙은, MCG를 통해서는 아주 중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RRC 제어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RRC 제어 메시지 전송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는 상향 링크 신호의 우선 순위를 다른 상향 링크 신호의 우선 순위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다. RRC 제어 메시지 전송과 관련될 가능성이 있는 상향 링크 신호로는 PCell에서의 프리앰블 전송, PCell에서의 스케줄링 요청 전송, MCG 서빙 셀에서의 PUSCH 전송이 있다.
표 6에 상향 링크 신호 간의 우선 순위를 표시하였다.
MCG 상향링크와 SCG 상향링크 간의 우선순위 SCG
Preamble SR A/N CSI SRS PUSCH
MCG




Preamble MCG Preamble transmission에 우선순위 부여
SR MCG SR 전송에 우선순위 부여
A/N MCG A/N MCG A/N MCG A/N SCG CSI MCG A/N MCG A/N
CSI SCG 프리앰블 SCG SR SCG A/N SCG CSI MCG CSI MCG CSI
SRS SCG 프리앰블 SCG SR SCG A/N SCG CSI A-SRS SCG PUSH
PUSCH MCG PUSCH 전송에 우선순위 부여
MCG의 A/N (ACK/NACK)(HARQ feedback)은 RRC 제어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MCG A/N에 다른 SCG 상향 링크 신호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CG의 CSI는 SCG의 대규모 PDSCH 전송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MCG의 A/N과 SCG의 CSI가 겹치는 경우에는 SCG의 CSI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MCG를 통해서는 RRC 메시지와 같은 소량의 데이터만 전송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MCG의 CSI의 중요성은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MCG의 CSI와 SCG CSI가 충돌하거나 MCG의 CSI와 SCG의 프리앰블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MCG CSI의 우선 순위를 낮게 설정한다.
SRS는 주기적 SRS(Periodic SRS)와 비주기적 SRS (Aperiodic SRS; A-SRS)로 구분될 수 있는데, MCG의 SRS와 SCG의 SRS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둘 중 하나가 A-SRS라면 A-SRS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이는 비주기적 SRS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을 명령하는 것으로 단말이 자발적으로 전송하는 주기적 SRS에 비해서 중요도가 높기 때문이다. 둘 모두 A-SRS이거나 둘 모두 A-SRS가 아니라면 MCG SRS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이는 MCG의 상향 링크 채널 상태를 아는 것이 SCG의 상향 링크 채널 상태를 아는 것보다 중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만약 MCG의 프리앰블 전송, SR 전송, PUSCH 전송이 RRC 제어 메시지와 관련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 확실하다면, 예를 들어 MCG의 SR 혹은 랜덤 액세스를 트리거 한 버퍼 상태 보고가 RRC 제어 메시지의 발생에 의해서 트리거 된 것이 아니고, PUSCH 전송과 관련된 MAC PDU에 RRC 제어 메시지가 수납된 것이 아니라면, 단말은 아래의 표 7을 적용해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 원칙은 서로 다른 종류의 전송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프리앰블 전송, HARQ A/N 전송, SR 전송, CSI 전송, PUSCH 전송, SRS 전송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동일한 종류의 전송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전송의 종류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단말은 MCG의 A/N과 SCG의 A/N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MCG A/N에 우선 순위를, MCG SR과 SCG SR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MCG SR에 우선 순위를, MCG CSI와 SCG CSI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SCG CSI에 우선 순위를, SRS 간의 충돌은 표 X와 동일한 규칙을 적용하고, MCG PUSCH와 SCG PUSCH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MCG PUSCH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MCG 상향링크와 SCG 상향링크 간의 우선순위 SCG
Preamble A/N SR CSI SRS PUSCH
MCG




Preamble MCG Preamble Preamble Preamble Preamble Preamble
A/N Preamble MCG A/N A/N A/N A/N
SR Preamble A/N MCG SR SR SR
CSI Preamble A/N SR SCG CSI CSI
SRS Preamble A/N SR CSI A-SRS PUSCH
PUSCH Preamble A/N SR CSI PUSCH MCG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에는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705, 710, 715, 720, 730, 745, 750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1325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우선 순위 결정 방식 3(제3 실시 예)을 적용해서 상향 링크 전송의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우선 순위 결정 방식 3이란 프리앰블 전송, HARQ A/N 전송, SR 전송, CSI 전송, PUSCH 전송, SRS 전송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1335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조건 1이 만족되면 표 6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조건 1이 만족되지 않으면 표 7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조건 1은 MCG 프리앰블 전송, SR 전송, PUSCH 전송 중 하나가 RRC 제어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것이라면 만족되고, 그렇지 않으면 만족되지 않은 것이다. 단말은 표 6 혹은 표 7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한 후 745 단계로 진행한다.
740 및 750 단계에 대하여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두 상향 링크의 서브 프레임이 서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 도면이다.
서로 다른 셀 그룹 간에는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 경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CG 서빙 셀 들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905) 경계와 SCG 서빙 셀들의 상향 링크 서브 프레임(910) 경계가 x만큼 어긋나 있을 때(915), 하나의 MCG 서브 프레임은 두 개의 SCG 서브 프레임과 시구간 상에서 겹친다. 예를 들어 MCG 서브 프레임 [n+1](920)은 SCG 서브 프레임 [m+1](925) 및 [m+2](945)와 겹친다.
임의의 서브 프레임의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의 우선 순위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은 임의의 서브 프레임과 시구간 상에서 겹치는 다수의 서브 프레임들 중 소정의 규칙에 의해서 선택된 서브 프레임만을 고려해서 상향 링크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MCG 서브 프레임 [n+1] (920)에서는 PUSCH 전송이, SCG 서브 프레임 [m+1] (925)에서는 PUCCH 전송이, SCG 서브 프레임 [m+2] (945)에서는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다고 할 때, 단말은 MCG 서브 프레임 [n+1](920)의 전송 출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n+1](920)과 시간 영역에서 더 많이 겹치는 서브 프레임의 전송 출력을 고려한다. 서브 프레임 [n+1](920)이 서브 프레임 [m+1](925)과 겹치는 영역 (930)이 서브 프레임 [m+2](945)와 겹치는 영역(940)보다 길기 때문에,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925)의 전송 출력과 전송 타입(상향 링크 데이터의 종류) (PUCCH, PUSCH 혹은 UCI가 포함된 PUSCH)을 고려해서 서브 프레임 [n+1](920)의 전송 출력을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서브 프레임 [m+1](925)이 서브 프레임 [n+1](920)과 겹치는 영역(930)이 서브 프레임 [n](905)과 겹치는 영역(935)보다 길기 때문에 단말은 서브 프레임 [m+1](925)의 전송 출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 [n+1](920)의 전송 출력과 전송 타입을 고려한다.
상기와 같이 시구간 상으로 더 많이 겹치는 서브 프레임만을 고려함으로써, 시구간 상으로 더 적게 겹치는 서브 프레임과 중첩되는 영역 (예를 들어 940)에서, 전송 출력의 합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때 단말은 상기 더 적게 겹치는 시구간에서 전송 출력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 균등 전송 출력 감소를 적용해서 해당 영역에서의 전송 출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전체 신호 처리 절차를 보이고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UE(1005)는 LTE 망에서 소정의 조건이 충족되면 자신의 성능을 MeNB(1010)에게 보고한다(1025). 상기 소정 조건은 기지국에서 UE(1005)로 성능 보고를 요청하는 경우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UE(1005)가 자신의 성능을 MeNB(1010)으로 보고하기 위해 전송하는 성능 보고 메시지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을 포함한다.
● UE(1005)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리스트
● UE(1005)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조합 리스트
● 주파수 밴드 조합별 MIMO 성능 등
본 발명에서는 UE(1005)가 상기의 정보들과 함께, UE(1005)가 지원하는 주파수 밴드 조합별로 DC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보고한다. DC 지원 여부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주파수 밴드 조합에 대해서만 보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밴드 간의 주파수 밴드 조합 (혹은 밴드 엔트리가 하나만 존재하는 조합; 이하 인트라 밴드 조합)에 대해서는 DC 지원 여부가 별도로 보고되지 않으면, 해당 주파수 밴드 조합에 대해서는 DC가 지원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밴드 간의 주파수 밴드 조합 (혹은 밴드 엔트리가 둘 혹은 둘 이상 존재하는 조합; 이하 인터 밴드 조합)에 대해서는 DC가 지원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UE(1005)는 상기 인터 밴드 조합에 대해서만 밴드 조합별 DC 지원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메시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한편, UE(1005)가 매크로 셀의 영역에서 MeNB(1010)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의 이벤트, 예를 들어 임의의 피코 셀의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UE(1005)는 MeNB(1010)에게 측정 결과 메시지를 생성해서 전송한다 (1030단계).
이때 측정 결과 메시지는 하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을 충족한 셀의 식별자 (예를 들어 물리 계층 셀 식별자; PCI 혹은 Physical Cell Id)
● 상기 셀의 채널 품질 혹은 셀의 기준 신호의 수신 강도
상기 MeNB(1010)은 UE(1005)로부터 측정 결과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UE(1005)가 피코 셀의 영역에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상기 MeNB(1010)은 상기 UE(1005)에게 피코 셀(서빙 셀)을 추가로 설정할 것을 결정한다(1035단계). 상기 피코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은 매크로 셀을 통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에 비해 여러모로 효율적이다. 따라서 UE(1005)가 피코 셀의 영역에 위치한다면, 기지국은 상기 UE(1005)가 위치하는 피코 셀을 서빙 셀로써 새로 추가할 것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eNB(1010)은 피코 셀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상기 피코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SeNB)(1015)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기지국(SeNB)(1015)에게 서빙 셀 추가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1040단계).
상기 서빙 셀 추가를 요청하기 위해 전송되는 제어 메시지에는 아래 정보가 포함된다.
이름 설명
SCell id 정보 SeNB에서 설정될 SCell 들의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 하나 혹은 복수의 SCellIndex-r10으로 구성된다. MeNB에서 이미 사용 중인 식별자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MeNB이 결정해서 SeNB에게 알려준다.
TAG id 정보 SeNB에서 설정될 TAG의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 MeNB에서 이미 사용 중인 식별자가 재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MeNB이 결정해서 SeNB에게 알려준다.
상향 링크 스케줄링 관련 정 단말에 설정된 논리 채널들의 우선 순위 정보와 논리 채널 그룹 정보로 구성된다. SeNB은 이 정보를 이용해서 단말의 버퍼 상태 보고 정보를 해석하고 상향 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데이터 전송율 관련 정보 단말의 하향 링크/상향 링크 예상 데이터 전송율 정보이다. SeNB은 이 정보를 이용해서, SCell 추가 요청을 수락하지 거절할지 결정한다.
SeNB을 통해서 서비스될 DRB 관련 정보 DRB(Data Radio Bearer)란 사용자 평면 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설정되는 무선 베어러이다. 단말이 피코 셀 영역에 진입하면, 모든 사용자 평면 데이터 혹은 대부분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들을 피코 셀을 통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NB은 SeNB에게 피코 셀을 통해 처리할 DRB들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PDCP 설정 정보 (예를 들어 PDCP 헤더 구조, 헤더 압축 프로토콜 관련 정보 등), RLC 정보 (RLC 동작 모드, 각종 타이머 등), 논리 채널 관련 정보 (논리 채널 식별자, 우선 순위 등) 등을 통보한다. SeNB은 향후 상기 정보를 참조해서 DRB의 최종 설정 정보를 판단한다.
추가 설정이 요청되는 서빙 셀의 측정 품질 정보 단말이 측정 보고 메시지에서 보고한 채널 품질 정보를 SeNB에게 보고한다. SeNB은 이 정보 및 데이터 전송률 관련 정보 등을 이용해서 서빙 셀 추가 요청 수락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SeNB(1015)는 서빙 셀의 채널 정보, UE의 데이터 전송율 관련 정보 등을 이용해서 서빙 셀에 대한 추가 요청을 수락할지 거부할지 판단한다.
만약 수락하기로 결정하였다면, 상기 SeNB(1015)는 하나 혹은 복수의 DRB를 설정한다 (1045단계). 향후 SeNB(1015)는 상기 DRB를 통해 UE(1005)가 전송한 데이터와 UE(1005)에게 전송할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SeNB(1015)이 DRB를 설정한다는 것은 소정의 QoS를 요구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할 PDCP 계층 장치와 RLC 계층 장치를 설정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상기 DRB의 구성은 소스 기지국(NeNB)(1010)이 알려준 원래 설정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상기 SeNB(1015)은 SCell 추가 요청을 수락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상기 MeNB(1010)으로 전송한다(1050단계). 상기 제어 메시지는 아래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이름 설명
SCellToAddMod SeNB에서 설정된 SCell 들과 관련된 정보로, 다음과 같은 정보들로 구성된다. SCellIndex-r10, cellIdentification-r10,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r10, 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r10, TAG 관련 정보
PUCCH information for pSCell SCG에 속하는 SCell 중 적어도 하나의 SCell에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 설정된다. PUCCH를 통해서는 HARQ feedback이나 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이나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나 SR (Scheduling Request) 등의 역방향 제어 정보가 전송된다. 이하 PUCCH가 전송되는 SCell을 PUCCH SCell이라 한다. PUCCH SCell의 식별자 정보와 PUCCH 구성 정보 등이 이 정보의 하위 정보이다.
Information for data forwarding MeNB과 SeNB 사이의 데이터 교환에 사용될 논리 채널 (혹은 논리 터널)의 정보이며, 하향 링크 데이터 교환을 위한 GTP (GPRS Tunnel Protocol) 터널 식별자와 역방향 데이터 교환을 위한 GTP 터널 식별자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단말의 식별자 단말이 SCG의 SCell에서 사용할 C-RNTI이다.
DRB 설정 정보 MeNB에서 사용된 DRB 설정과 동일하다면 생략될 수 있다.
위치 재설정될 DRB의 리스트 DRB 위치 재설정에 대해서는 아래에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모든 DRB의 위치가 재설정된다면 이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스케줄링 정보 처리 관련 정보 버퍼 상태 보고 (BSR, Buffer Status Report), PHR (Power Headroom Report) 등 스케줄링 정보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트리거링 조건이나 주기적 보고의 주기 등의 정보이다. MeNB의 정보와 동일하다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MeNB(1010)은 상기 SeNB(1015)으로부터 SCell 추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가 재설정될 DRB의 하향 링크 동작을 중지한다 (1055단계). 즉 상기 DRB에 대한 하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중지한다. 그러나 상기 DRB의 상향 링크 데이터 처리는 지속한다.
상기 MeNB(1010)은 서빙 셀 추가를 지시하는 RRC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UE(1005)에게 전송한다 (1060단계). 상기 제어 메시지는 아래 정보들이 포함된다.
이름 설명
SCellAddMod SENB이 전달한 정보가 그대로 수납된다. 즉 표 3의 SCellAddMod과 동일한 정보이다. SCell 하나 당 하나의 SCellAddMod가 수납되며, 상기 정보는 SCellAddModList의 하위 정보이다.
PUCCH information for pSCell SENB이 전달한 정보가 그대로 수납된다. 즉 표 3의 PUCCH information for pSCell과 동일한 정보이다.
SCGSCell List 설정되는 SCell들 중 SCG에 속하는 SCell들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SCell들의 식별자들이거나, SCG에 속하는 TAG들의 식별자일 수 있다.
단말의 식별자 단말이 SCG의 서빙 셀에서 사용할 C-RNTI이다.
DRB 설정 정보 1050 단계에서 SeNB가 전달한 정보
위치 재설정될 DRB의 리스트 1050 단계에서 SeNB가 전달한 정보
스케줄링 정보 처리 관련 정보 1050 단계에서 SeNB가 전달한 정보
전송 출력 조정 관련 정보 TH1, TH2 등 전송 출력 조정 문턱치. 혹은 MCG의 상향 링크 전송과 SCG의 상향 링크 전송 중 어떤 상향 링크 전송에 우선 순위를 부여할지 지시하는 정보
상기 정보들은 ASN. 1 코딩 방식으로 코딩 되어서 UE(1005)에게 전달된다.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UE(1005)는 새롭게 설정되는 SCell에 대해서 하향 링크 동기를 취득한다(1065단계). 그 후 상기 UE(1005)는 SCell에 대해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수행할 준비가 완료되면,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MeNB(1010)으로 전송한다(1075단계).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UE(10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가 생성되면, P_Cell에서 D-SR을 전송하거나 P_Cell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하여 상기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 할당을 요청한다. 그리고 MCG에 속하는 셀로부터 상향 링크 자원이 할당되면, 상기 UE(1005)는 할당된 자원을 사용하여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를 MeNB(1010)으로 전송한다.
상기 UE(10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제어 메시지에 대한 HARQ ACK을 수신하거나 RLC ACK을 수신하면, SCG의 소정의 서빙 셀에서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한다(1080단계). 상기 UE(1005)는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할 SCG의 서빙 셀을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결정한다.
[랜덤 액세스 과정을 개시할 SCG 서빙 셀 결정 방법]
● SCG 서빙 셀 중 랜덤 액세스 관련 정보가 설정된 서빙 셀이 하나인 경우 해당 서빙 셀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
● SCG 서빙 셀 중 랜덤 액세스 관련 정보가 설정된 서빙 셀이 하나 이상이며, 그 중 pSCell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pSCell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
상기 랜덤 액세스 과정은 UE(1005)가 서빙 셀의 소정의 주파수 자원으로 서브 프레임에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상기 응답 메시지의 제어 정보에 따라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랜덤 액세스 과정을 완료하면, SeNB(1015)는 UE(1005)가 SCG의 SCell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UE(1050)에 대한 스케줄링을 개시한다.
단말은 상향 링크 전송을 동시에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이 동일한 셀 그룹 내의 전송인지 아닌지를 검사해서, 동일한 셀 그룹 내의 전송이라면 소정의 규칙을 적용해서 상향 링크 전송 간에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서로 다른 셀 그룹 간의 전송이라면 또 다른 소정의 규칙을 적용해서 상향 링크 전송 간에 우선 순위를 판단한다 (1085). 여기서 소정의 규칙들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규칙일 수 있다.
상기 MeNB(1010)은 상기 UE(1005)에게 서빙 셀 추가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 후 SeNB(1015) 및 S-GW(1020) 등과 DRB 위치 재설정 절차를 수행한다(1070단계). 상기 절차는 SeNB(1015)에서 처리될 DRB의 데이터들을 MeNB(1010)에서 SeNB(1015)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S-GW(1020)와 MeNB(1010)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EPS 베어러들 중 위치 재설정되는 DRB와 대응되는 EPS 베어러들을 해제하고, S-GW(1020)와 SeNB(1015) 사이에 EPS 베어러들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SeNB(1015)에서 가능하면 신속하게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하기 위해서, 상기 UE(10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SeNB(1015)에 대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먼저 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UE(1005)는 서빙 셀 추가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후 SCell에서 랜덤 액세스를 개시할 준비가 완료되면, 곧 바로 랜덤 액세스 절차를 개시한다. 상기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 전송은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된 후 수행하거나 랜덤 액세스 절차와 병행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UE(1005)는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가 MeNB(1010)으로 전송되도록, MCG에 속하는 서빙 셀에 대한 상향 링크 전송 자원이 가용해지는 경우에만 상기 서빙 셀 추가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셀 그룹을 고려해서 감시할 RNTI를 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제시한다.
RNTI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는 PDCCH를 통해서 전송되는 DCI(Downlink Control Channel)가 어떤 단말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며, 아래의 표 11과 같이 여러 종류가 정의된다. RNTI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규격 36.211, 36.212, 36.213, 36.321, 36.331을 따른다.
RNTI Usage
P-RNTI Paging and System Information change notification
SI-RNTI Broadcast of System Information
M-RNTI MCCH Information change notification
RA-RNTI Random Access Response
Temporary C-RNTI Contention Resolution
(when no valid C-RNTI is available)
C-RNTI Dynamically scheduled unicast transmission
Semi-Persistent Scheduling C-RNTI Semi-Persistently scheduled unicast transmission
(activation, reactivation and retransmission)
TPC-PUCCH-RNTI Physical layer Uplink power control
TPC-PUSCH-RNTI Physical layer Uplink power control
Dual Connectivity (inter-ENB carrier aggregation)가 설정될 경우, SeNB와 MeNB는 서로 다른 RNTI를 사용해서 단말에게 DCI와 PDSCH를 전송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2에 관련 내용을 제시한다.
RNTI 할당범위 및 RNTI 할당주체 RNTI를 감시하는 단말동작 RNTI를 획득하는 방법
C-RNTI 셀 그룹 별로 할당되며, 한 단말에 대해서 최대 2 개의 C-RNTI가 할당될 수 있다. MCG에 대한 C-RNTI (C-RNTIMCG)와 SCG에 대한 C-RNTI(C-RNTISCG)는 각각 MeNB와 SeNB에 의해서 결정되며 서로 다를 수 있다. 단말은 MCG 서빙 셀의 PDCCH에서는 C-RNTIMCG를 감시하고 SCG 서빙 셀의 PDCCH에서는 C-RNTISCG를 감시 C-RNTIMCG는 RRC 연결 설정 과정 (RRC connection establishment 과정) 혹은 핸드오버 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통해서 할당되고, C-RNTISCG는 pSCell이 설정되는 제어 메시지에서 할당된다.
SPS C-RNTI PCell과 sPCell에 대해서 할당되며 한 단말에 대해서 최대 2개 할당됨. PCell에서 사용되는 SPS C-RNTI (SPS C-RNTIPCell)과 pSCell에서 사용되는 SPS C-RNTI (SPS C-RNTIPSCell)은 MeNB와 SeNB에 의해서 결정되며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PCell에서만 SPS가 사용될 경우, 단말에는 하나의 SPS C-RNTI만 할당될 수도 있다. 단말은 MCG에서 SPS가 설정되면 PCell의 PDCCH에서 SPS C-RNTIPCell을 감시.
SCG에서 SPS가 설정되면 pSCell의 PDCCH에서 SPS C-RNTIPSCell을 감시.
혹은 SPS가 PCell에서만 사용된다면, 단말은 SPS가 설정되면 PCell의 PDCCH에서 SPS C-RNTI를 감시.
SPS C-RNTI는 SPS 설정 정보 (SPS-config)를 수납한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통해서 할당된다.
TPC-PUCCH-RNTI PCell과 sPCell에 대해서 할당되며 한 단말에 대해서 최대 2개 할당됨. PCell에서 사용되는 TPC-PUCCH-RNTI (TPC-PUCCH-RNTIPCell)과 pSCell에서 사용되는 TPC-PUCCH-RNTI (TPC-PUCCH-RNTIPSCell)는 MeNB와 SeNB에 의해서 결정되며 서로 다를 수 있다. 단말은 TPC-PUCCH-RNTIPCell이 할당되면 PCell의 PDCCH를 감시해서 PCell의 PUCCH에 대한 전송출력 조정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은 TPC-PUCCH-RNTIPSCell이 할당되면 pSCell의 PDCCH를 감시해서 pSCell의 PUCCH에 대한 전송출력 조정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TPC-PUCCH-RNTIPCell는 RRC 연결 설정 메시지 (RRC CONNECTION SETUP) 혹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서 할당되고, TPC-PUCCH-RNTIPSCell는 pSCell의 설정 정보를 담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서 할당된다.
TPC-PUSCH-RNTI PCell과 sPCell에 대해서 할당되며 한 단말에 최대 2개 할당됨. PCell에서 사용되는TPC-PUSCH-RNTI (TPC-PUSCH-RNTIPCell)과 pSCell에서 사용되는 TPC-PUCCH-RNTI (TPC-PUSCH-RNTIPSCell)는 MeNB와 SeNB에 의해서 결정되며 서로 다를 수 있다. 단말은 TPC-PUSCH-RNTIPCell이 할당되면 PCell의 PDCCH를 감시해서 PCell의 PUSCH에 대한 전송출력 조정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은 TPC-PUCCH-RNTIPSCell이 할당되면 pSCell의 PDSCH를 감시해서 pSCell의 PUCCH에 대한 전송출력 조정명령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TPC-PUSCH-RNTIPCell는 RRC 연결 설정 메시지 (RRC CONNECTION SETUP) 혹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서 할당되고, TPC-PUSCH-RNTIPSCell는 pSCell의 설정정보를 담은 RRC 연결 재설정 메시지를 통해서 할당된다.
P-RNTI 두 개의 셀 그룹에 걸쳐 공통된 하나의 RNTI만 사용됨 단말은 PCell에서 P-RNTI를 감시 미리 정해진 소정의 RNTI가 사용됨
SI-RNTI 두 개의 셀 그룹에 걸쳐 공통된 하나의 RNTI만 사용됨 단말은 PCell에서 P-RNTI를 감시 미리 정해진 소정의 RNTI가 사용됨
RA-RNTI 서빙 셀 별로 다수의 RNTI가 미리 리저브 되어 있다. 단말은 소정의 서빙 셀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 후 해당 소정의 서빙 셀에서 RA-RNTI를 감시. 프리앰블을 전송한 서빙 셀이 MCG 서빙 셀이라면 상기 소정의 서빙 셀은 PCell, 프리앰블을 전송한 서빙 셀이 SCG 서빙 셀이라면 상기 소정의 서빙 셀은 pSCell 미리 정해진 소정의 RNTI가 사용됨
M-RNTI 두 개의 셀 그룹에 걸쳐 공통된 하나의 RNTI만 사용됨. 단말은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는, 혹은 수신하고자 하는 서빙 셀에서 M-RNTI를 감시 미리 정해진 소정의 RNTI가 사용됨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단말은 RNTI의 타입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RNTI의 타입 별로 차별화된 감시 동작을 수행한다.
제 1 타입 RNTI : 제 1 타입 RNTI는 셀 그룹 별로 하나씩 할당될 수 있으며 단말에게 최대 2 개까지 할당된다. 단말은 해당 셀 그룹의 활성화 상태의 모든 서빙 셀에서 제 1 타입 RNTI를 감시한다. C-RNTI가 제 1 타입의 RNTI에 포함된다.
제 2 타입 RNTI : 제 2 타입 RNTI는 셀 그룹 별로 하나씩 할당될 수 있으며 단말에게 최대 2 개까지 할당된다. 단말은 해당 셀 그룹의 소정의 서빙 셀에서만 제 2 타입 RNTI를 감시한다. TPC-PUCCH-RNTI, TPC-PUSCH-RNTI가 제 2 타입 RNTI에 포함된다. 소정의 서빙 셀은 PCell 혹은 pSCell이다.
제 3 타입 RNTI : 제 3 타입 RNTI는 단말에게 최대 1개가 할당되며, 특정 셀 그룹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단말은 해당 셀 그룹의 소정의 서빙 셀에서만 제 3 타입 RNTI를 감시한다. SPS-RNTI가 제 3 타입 RNTI에 포함된다. 상기 특정 셀 그룹은 MCG, 소정의 서빙 셀은 PCell이다.
제 4 타입 RNTI : 제 4 타입 RNTI는 단말에게 최대 1개가 할당되며, 특정 셀 그룹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단말은 해당 셀 그룹의 소정의 서빙 셀에서만 제 4 타입 RNTI를 감시한다. SI-RNTI와 P-RNTI가 제 3 타입 RNTI에 포함된다. 상기 특정 셀 그룹은 MCG, 소정의 서빙 셀은 PCell이다. 제 3 타입 RNTI와 제 4 타입 RNTI의 차이점은, 제 3 타입 RNTI는 단말 별로 고유한 값이 소정의 RRC 제어 메시지를 통해 할당되지만, 제 4 타입 RNTI는 모든 단말에게 소정의 공통된 값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제 5 타입 RNTI : 제 5 타입 RNTI는 셀 그룹과 무관하게 서빙 셀 별로 할당되며, 단말은 임의의 서빙 셀에서 소정의 이벤트 (예컨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해당 서빙 셀의 제 5 타입 RNTI를 감시한다. 이때 단말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서빙 셀이 MCG의 서빙 셀이라면 PCell에서, SCG의 서빙 셀이라면 PSCell에서 제 5 타입 RNTI를 감시한다. RA-RNTI가 제 5 타입 RNTI에 포함된다.
도 14는 RNTI를 감시할 서빙 셀을 결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405 단계에서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RNTI를 인지한다. 단말에게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타입 RNTI, 하나의 제 4 타입 RNTI가 항상 할당되고, 제 2 타입 RNTI와 제 3 타입 RNTI는 할당되거나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1410 단계에서 단말은 소정의 서브 프레임에서 어떤 서빙 셀의 PDCCH를 감시할지 결정하기 위해서,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단말이 감시해야 할 RNTI의 타입을 검사한다. 단말은, 단말이 검사해야 할 RNTI 타입이 타입 1 RNTI라면 1415 단계로, 타입 2 RNTI라면 1420 단계로, 타입 3 혹은 타입 4 RNTI라면 1425 단계로, 타입 5 RNTI라면 1430 단계로 진행한다.
1415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현재 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들의 PDCCH를 감시한다. 특히 단말은 MCG 서빙 셀들의 PDCCH에 대해서는 MCG와 관련된 타입 1 RNTI를, SCG 서빙 셀들의 PDCCH에 대해서는 SCG와 관련된 타입 1 RNTI를 감시한다.
142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PCell의 PDCCH에 대해서는 MCG와 관련된 타입 2 RNTI를, PSCell의 PDCCH에 대해서는 SCG와 관련된 타입 2 RNTI를 감시한다.
1425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PDCell의 PDCCH에 대해서 타입 3 RNTI 혹은 타입 4 RNTI를 감시한다.
143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이벤트가 발생한 셀의 제 5 타입 RNTI를 PCell 혹은 PSCell의 PDCCH에서 감시한다. 단말은, 이벤트가 발생한 셀이 MCG 서빙 셀이라면 PCell의 PDCCH를, 이벤트가 발생한 셀이 SCG 서빙 셀이라면 PSCell의 PDCCH를 감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두 개의 MAC을 구비하는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단말은 두 개의 MA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하나의 MAC은 MCG 서빙 셀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한편, 나머지 하나의 MAC은 SCG 서빙 셀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MAC 장치를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 일반 MAC 장치: 캐리어 집적이 설정되지 않았거나, 캐리어 집적이 설정되었지만 설정된 서빙 셀들이 모두 하나의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되는 경우 (혹은 SCG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 설정되는 MAC 장치이다.
● 주 MAC 장치 (Primary MAC, P-MAC): 단말에 하나 이상의 MAC 장치가 설정되었을 때 (즉 단말에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빙 셀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될 때), M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과 연결된 MAC 장치이다.
● 보조 MAC 장치 (Secondary MAC, S-MAC): 단말에 하나 이상의 MAC 장치가 설정되었을 때 (즉 단말에 하나 이상의 서빙 셀들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서빙 셀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지국에 의해서 제어될 때),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과 연결된 MAC 장치이다.
일반 MAC 장치는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로지컬 채널과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서빙 셀들 중 활성화 상태인 서빙 셀들을 로지컬 채널과 연결한다.
보조 MAC 장치는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로지컬 채널들 중 소정의 로지컬 채널과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서빙 셀들 중 소정의 서빙 셀들을 연결한다. 상기 소정의 서빙 셀은 S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이며, RRC 제어 메시지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지시된다. 상기 소정의 로지컬 채널은 RRC 제어 메시지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지시되는 로지컬 채널들이다.
주 MAC 장치는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로지컬 채널들 중 또 다른 소정의 로지컬 채널과 단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서빙 셀들 중 또 다른 일부 서빙 셀들을 연결한다. 상기 또 다른 일부 서빙 셀은 MeNB에 의해서 제어되는 서빙 셀들이며, RRC 제어 메시지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지시된 서빙 셀을 제외한 나머지 서빙 셀이다. 일부 서빙 셀, 예를 들어 PCell은 항상 주 MAC 장치와 연결된다. 상기 일부 또 다른 소정의 로지컬 채널은 RRC 제어 메시지에 의해서 명시적으로 지시된 로지컬 채널을 제외한 나머지 로지컬 채널들이다. 그리고 일부 로지컬 채널, 예를 들어 DCCH는 항상 주 MAC 장치와 연결된다.
임의의 로지컬 채널들이 임의의 서빙 셀들과(혹은 상기 서빙 셀들과 매핑되는 트랜스포트 채널들과) 연결된다는 것은, 상기 서빙 셀들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는 항상 상기 로지컬 채널들로 전달되며, 상기 로지컬 채널 들에서 발생한 데이터는 항상 상기 서빙 셀들을 통해서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빙 셀은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향 링크는 DL-SCH (Downlink Shared Channel)로, 상향 링크는 UL-SCH(Uplink Shared Channel)로 표현되기도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빙 셀 #0의 상향 링크(1520)는 서빙 셀 #0의 UL-SCH를 나타내고, 서빙 셀 #5의 하향 링크(1525)는 서빙 셀 #5의 DL-SCH를 나타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MAC 장치는 로지컬 채널과 트랜스포트 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MAC 장치는 랜덤 액세스와 관련된 기능, 역방향 전송 타이밍 유지와 관련된 기능, SPS (Semi Persistent Scheduling)와 관련된 기능, 스케줄링 요청 절차 (Scheduling Request procedure, 36.321 참조), 버퍼 상태 보고 절차 (Buffer Status Reporting procedure, 36.321 참조), 파워 헤드룸 보고 절차 (Power Headroom Reporting procedure, 36.321 참조), HARQ 버퍼 관리 등의 기능도 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MAC 리셋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MAC 장치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P-MAC과 S-MAC를 선택적으로 리셋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1605 단계에 단말 내에 MAC과 관련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다. MAC과 관련된 소정의 이벤트란 MAC 장치의 초기화, 추가, 해제 등을 초래하는 이벤트이며 예를 들어, 핸드 오버, SCG 추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61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MAC 관련 이벤트가 핸드 오버 이벤트인지 RLF (Radio Link Failure)인지 SCG와 관련된 것인지 검사한다. 단말은 핸드 오버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라면, 즉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것이라면 1615 단계로, RLF가 발생한 것이라면 1620 단계로, SCG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라면 1630 단계로 진행한다.
1615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P-MAC을 리셋하고 S-MAC을 리셋하거나 해제한다. 핸드 오버를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에서 SCG 변경이 함께 지시되었다면, 단말은 S-MAC을 리셋하고, SCG의 해제가 지시되었다면 단말은 S-MAC을 해제한다.
162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RLF가 MCG에서 발생하였는지 SCG에서 발생하였는지 검사한다.
MCG에서 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MCG에 속하는 서빙 셀 중 소정의 셀 (예를 들어 PCell)의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 이하인 상태가 소정의 기간 이상 지속된 것을 의미한다.
SCG에서 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SCG에 속하는 서빙 셀 중 소정의 셀 (예를 들어 PSCell)의 채널 품질이 소정의 기준 이하인 상태가 또 다른 소정의 기간 이상 지속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채널 품질은 PDCCH 채널의 수신 품질을 의미할 수 있다.
MCG에서 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단말이 현재의 RRC 연결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단말은 RRC 연결 재설정 과정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procedure)에 돌입한다. 이때 단말은 1625 단계에서 P-MAC은 리셋하고 S-MAC은 해제한다.
SCG에서 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SCG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MCG를 통해서는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단말은 1627 단계에서 P-MAC은 현재 동작을 유지하고 S-MAC은 리셋한다.
1625 단계에서는 S-MAC을 해제하는 반면 1627 단계에서는 S-MAC을 리셋하는 이유는, 1625 단계로 진행한 경우 새로운 PCell을 찾기 전까지는 다중 연결 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S-MAC을 유지할 필요가 없지만, 1627 단계로 진행한 경우 가까운 시간 안에 다중 연결 동작이 재개될 가능성이 있으며, SCG로는 역방향 전송을 중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MAC 리셋을 통해 S-MAC 장치를 해제하지 않으면서 역방향 전송은 중지하기 위해서이다.
163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상기 이벤트가 SCG 변경과 관련된 것인지, SCG 해제와 관련된 것인지, SCG 추가와 관련된 것인지 검사한다.
상기 이벤트가 SCG 변경과 관련된 것이라면, 즉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제어 메시지에 현재의 SCG를 해제하고 새로운 SCG를 추가할 것을 지시 받았다면, 단말은 1635 단계로 진행해서 P-MAC 동작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리셋하고 S-MAC은 리셋한다. 단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서 핸드 오버도 함께 지시되었다면 P-MAC도 리셋하고, 핸드 오버는 지시되지 않았다면 P-MAC을 유지한다. SCG가 변경되었다는 것은 현재 SCG에서의 MAC 동작을 중지하고 새로운 SCG에서 MAC 동작을 새롭게 개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말은 S-MAC을 리셋한다.
상기 이벤트가 SCG 해제와 관련된 것이라면, 즉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제어 메시지에 현재의 SCG를 해제하는 명령만 수납되어 있고 새로운 SCG를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은 수납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은 1640 단계로 진행해서 P-MAC 동작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리셋하고 S-MAC은 해제한다. 단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서 핸드 오버도 함께 지시되었다면 P-MAC도 리셋하고, 핸드 오버는 지시되지 않았다면 P-MAC을 유지한다. S-MAC을 해제한다는 것은, 현재 S-MAC 동작을 중지하고 HARQ 버퍼를 플러시한 후 S-MAC 장치와 관련된 소프트 웨어 및 하드 웨어를 비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SCG 추가와 관련된 것이라면, 즉 SCG가 설정되지 않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제어 메시지에 새로운 SCG를 추가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이 수납되어 있다면, 단말은 1640 단계로 진행해서 P-MAC 동작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리셋하고 S-MAC을 새롭게 추가한다. 단말은 상기 제어 메시지에서 핸드 오버도 함께 지시되었다면 P-MAC도 리셋하고, 핸드 오버는 지시되지 않았다면 P-MAC을 유지한다. S-MAC을 추가한다는 것은, S-MAC 장치와 관련된 소프트 웨어 및 하드 웨어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S-MAC을 리셋하는 대신 S-MAC을 해제한 후 S-MAC을 다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S-MAC의 리셋 동작과 P-MAC의 리셋 동작은 아래 표 13과 같이 서로 다른 세부 동작으로 구성된다.
P-MAC 리셋 S-MAC 리셋
MCG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TAG들의 timeAlignmentTimers 중지/만료
MCG 서빙 셀들의 HARQ 프로세스들의 NDI(HARQ 최초 전송/재전송과 관련된 변수)들을 모두 0으로 설정
PCell과 MCG 서빙 셀에서 진행 중인 랜덤 액세스 과정 종료
MCG에서 할당 받은 ra-PreambleIndex 와 ra-PRACH-MaskIndex를 폐기
PCell에서 진행 중인 스케줄링 요청 절차 중지
P-MAC에서 현재 진행 중인 버퍼 상태 보고 절차 중지
P-MAC에서 현재 진행 중인 파워 헤드룸 보고 절차 중지
MCG 서빙 셀들의 HARQ 프로세서들의 소프트 버퍼 플러시 (flush)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할당 받은 임시 식별자 (temporary C-RNTI) 폐기
SCG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TAG들의 timeAlignmentTimers 중지/만료
SCG 서빙 셀들의 HARQ 프로세스들의 NDI(HARQ 최초 전송/재전송과 관련된 변수)들을 모두 0으로 설정
PSCell과 SCG 서빙 셀에서 진행 중인 랜덤 액세스 과정 종료
SCG에서 할당 받은 ra-PreambleIndex 와 ra-PRACH-MaskIndex를 폐기
PSCell에서 진행 중인 스케줄링 요청 절차 중지
S-MAC에서 현재 진행 중인 버퍼 상태 보고 절차 중지
S-MAC에서 현재 진행 중인 파워 헤드룸 보고 절차 중지
SCG 서빙 셀들의 HARQ 프로세서들의 소프트 버퍼 플러시 (flush)
랜덤 액세스 과정에서 할당 받은 임시 식별자 (temporary C-RNTI) 폐기
SCG용으로 할당 받은 식별자 (C-RNTI) 폐기
상기 표 13에서 TimeAlignmentTimers, NDI, ra-PreambleIndex, ra-PRACH-MaskIndex 등에 관하여는 36.321에 기재된 바를 따른다.
P-MAC 리셋 시에는 C-RNTI를 유지하는 반면 S-MAC 리셋 시에는 C-RNTI를 폐기하는 것은, P-MAC 리셋 시에는 새로운 셀에서 P-MAC 동작을 재개할 때 현재 C-RNTI를 사용하여야 하는 반면, S-MAC 리셋 시에는 이러한 동작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SCell을 해제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7에 따르면, SCell 해제는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개시되거나 단말의 자체적인 판단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기지국은 임의의 단말의 SCell을 해제할 것을 결정하면, RRC 연결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해제할 SCell의 식별자인 SCellIndex 정보를 수납해서 단말에게 전송한다.
단말은 RLF 등의 이유로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을 개시할 경우, 해당 시점에 설정된 SCell들을 자체적으로 해제한다. 이 때 단말은 DC 설정 여부에 따라 차별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1705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SCell 해제가 필요한 이벤트가 단말에게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벤트는 소정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RRC 제어 메시지가 수신된 것이거나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이 개시된 것일 수 있다.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은 규격 36.331의 5.3.7 절에 기재된 바를 따를 수 있다.
171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이벤트가 소정의 제 1 정보를 수납한 RRC 연결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에 의한 것인지 또는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의 개시에 의한 것인지를 검사해서, 제 1 정보의 수신에 의한 것이라면 1715 단계로, RRC 연결 재설정 과정의 개시에 의한 것이라면 1725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소정의 제 1 정보는 해제할 SCell들의 인덱스들이며 SCellToReleaseList라고 할 수 있다.
1715 단계에서 단말은 자신에게 현재 설정된 SCell 중, SCellToReleaseList에 수납된 SCell 인덱스와 동일한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을 식별한 후, 해당 SCell을 해제한다. SCell을 해제한다는 것은 해당 SCell을 통해서 PDSCH와 PUSCH가 송수신되지 않도록 송수신기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1720 단계에서 단말은 SCG가 설정되어 있는지 (혹은 DC가 설정되어 있는지 혹은 두 개의 셀 그룹이 설정되어 있는지) 검사해서, SCG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1725 단계로 진행해서 해당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SCell을 해제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1730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해당 시점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SCell 뿐만 아니라 PSCell도 함께 해제하고 과정을 종료한다. RRC 연결 재설정 과정에 돌입하였다는 것은, 현재 RRC 연결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상향 링크 전송을 즉시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SCell도 함께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LF 발생 시 SCell을 관리하는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8에 따르면,1805 단계에서 단말은 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T310 타이머 혹은 T310s 타이머가 만료되면 상기 RLF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1810 단계에서 단말은 발생한 RLF가 SCG-RLF인지 MCG-RLF인지 검사한다. SCG-RLF란 SCG 서빙 셀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PSCell의 채널 상태가 소정의 기준 이하인 상태가 소정의 기준 기간 이상 지속될 경우 발생한다. MCG-RLF는 MCG 서빙 셀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특히 PCell의 채널 상태가 소정의 기준 이하인 상태가 소정의 기준 기간 이상 지속될 경우 발생한다.
SCG-RLF가 발생한 것이라면 1815 단계로, MCG-RLF가 발생한 것이라면 1825 단계로 진행한다.
1815 단계에서 단말은 SCG 서빙 셀, 즉 SCG에 포함되는 SCell 및 PSCell의 상향 링크 전송을 중지한다. 이 때 단말은 상기 SCG 서빙 셀 및 PSCell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한다. 이는 이 후 SCG 서빙 셀을 재설정할 때 상기 현재 구성을 참조하기 위해서이다.
1820 단계에서 단말은 UE failure indication이라는 소정의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MCG의 서빙 셀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 후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에는 SCG-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보고하는 정보 및 SCG 서빙 셀 주파수의 주변 셀들에 대한 측정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1825 단계로 진행한 단말은 SCG 서빙 셀, 즉 SCG에 포함되는 SCell 및 PSCell을 모두 해제한다. MCG-RLF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단말이 새로운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설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 SCell 및 PSCell 설정을 재사용할 가능성이 희박해지기 때문이다.
단말은 셀 재선택 과정 (규격 36.304 참조)을 개시해서, RRC 연결 재설정을 시도할 셀을 탐색한다. 단말은 새로운 셀을 재선택하면 1830 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새롭게 선택된 서빙 셀에서 RRC 연결 재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송수신부(1105), 제어부(11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115), 제어 메시지 처리부(1130),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1120, 1125) 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부(1105)는 서빙 셀의 순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역방향 채널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수의 서빙 셀이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105)는 상기 다수의 서빙 셀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부(1105)는 다수의 RF 회로/전단 (Radio Frequency Circuit/Front End)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110)의 제어에 따라 RF 회로/전단의 동작 주파수가 설정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115)는 상위 계층 처리부(1120, 11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130)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1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120, 1125)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130)는 RRC 계층 장치이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한다. 예를 들어 제어 메시지 처리부(1130)는 RRC 제어 메시지를 수신해서, SCell 설정 관련 정보, 전송 출력 조정 정보 등을 제어부(1110)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120, 1125)는 서비스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위 계층 처리부(1120, 1125)는 FTP(File Transfer Protocol)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등과 같은 사용자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115)로 전달하거나 상기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115)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해서 상위 계층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110)는 송수신부(1105)를 통해 수신된 스케줄링 명령, 예를 들어 역방향 그랜트들을 확인하여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전송 자원으로 역방향 전송이 수행되도록 송수신부(1105)와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115)를 제어한다. 제어부(1110)는 또한 SCell 설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전송 출력 조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등을 총괄한다. 즉 제어부(1110)는 도 3 내지 도 10에 기술된 동작 중 단말 동작을 제어한다. 도 11에는 제어부(1110)와 송수신기(1105)를 별도의 장치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어부(1110)의 일부는 송수신기(110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전송 출력 조정과 관련된 제어는 송수신기(1105) 내부의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기지국은 송수신부(1205), 제어부(121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220), 제어 메시지 처리부(1235),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1225, 1230), 스케줄러(121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205)는 순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역방향 캐리어로 데이터 및 소정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다수의 캐리어가 설정된 경우, 송수신부(1205)는 상기 다수의 캐리어로 데이터 송수신 및 제어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220)는 상위 계층 처리부(1225, 12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235)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송수신부(1205)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해서 적절한 상위 계층 처리부(1225, 1230)나 제어 메시지 처리부(1235), 혹은 제어부(1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메시지 처리부(1235)는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를 처리해서 필요한 동작을 취하거나, 단말에게 전달할 제어 메시지를 생성해서 하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상위 계층 처리부(1225, 1230)는 베어러 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S-GW 혹은 또 다른 기지국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RLC PDU로 구성해서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220)로 전달하거나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220)로부터 전달된 RLC PDU를 PDCP SDU로 구성해서 S-GW 혹은 다른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스케줄러(1215)는 단말의 버퍼 상태, 채널 상태 등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적절한 시점에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송수신부(1205)에게 단말이 전송한 신호를 처리하거나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제어부(1215)는 또한 SCell 설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전송 출력 조정과 관련된 제반 절차 등을 총괄한다. 즉 제어부(1215)는 도 3 내지 도 10에 기술된 동작 중 기지국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아래 용어들의 정의는 규격 36.211, 212, 213을 따른다.
PUCCH, CSI, CQI, PUSCH, PDSCH, HARQ 피드백, 상향 링크 그랜트 (Uplink Grant),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 (Downlink Assignment),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1105: 송수신부 1110: 제어부
1115: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120, 1125: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
1130: 제어 메시지 처리부
1205: 송수신부 1210: 제어부
1215: 스케줄러
1220: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225, 1230: 각종 상위 계층 처리부
1235: 제어 메시지 처리부

Claims (22)

  1. 복수의 셀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의 전송 출력 제어 방법으로,
    상기 복수의 셀 그룹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동일한 셀 그룹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 그룹 중 기 설정된 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셀 그룹은,
    프라이머리 서빙 셀(Primary serving cell; Pcell)을 포함하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각각에 대한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작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각각에 대한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중 기 설정된 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작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고,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낮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와 함께 전송되는 PUSCH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프리앰블 전송, HARQ ACK/NACK 전송, SR(Scheduling Request) 전송,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전송, PUSCH 전송,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우선 순위가 낮게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출력을 낮게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출력을 제어한 후의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우선 순위가 낮게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출력을 반복하여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출력 제어 방법.
  12. 복수의 셀 그룹의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상향 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단말로,
    상기 복수의 셀 그룹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크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동일한 셀 그룹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빙 셀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상향 링크 전송에 대한 전송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된 전송 출력에 따라 상기 상향 링크를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셀 그룹 중 기 설정된 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셀 그룹은,
    프라이머리 서빙 셀(Primary serving cell; Pcell)을 포함하는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각각에 대한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작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셀 그룹 각각에 대한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복수의 셀 그룹 중 기 설정된 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작은 그룹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 링크 전송의 종류를 기초로, 상기 상향 링크 전송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고, 물리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낮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와 함께 전송되는 PUSCH에 대하여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리앰블 전송, HARQ ACK/NACK 전송, SR(Scheduling Request) 전송,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전송, PUSCH 전송,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전송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 순위가 낮게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출력을 낮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송 출력을 제어한 후의 상기 요구 전송 출력의 총합이 상기 단말의 최대 전송 출력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상기 우선 순위가 낮게 결정된 상향 링크 전송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전송 출력을 반복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40143643A 2014-01-29 2014-10-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90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0369A KR20150090821A (ko) 2014-01-29 2014-11-1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1150405.5A EP3826217B1 (en) 2014-01-29 2015-01-29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PCT/KR2015/000999 WO2015115851A1 (en) 2014-01-29 2015-01-29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4/608,589 US9985756B2 (en) 2014-01-29 2015-01-29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0150014474A KR102391770B1 (ko) 2014-01-29 2015-01-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201580016655.0A CN106134261B (zh) 2014-01-29 2015-01-29 移动通信系统中基于多载波的数据发射方法和设备
CN201911053959.0A CN110784919B (zh) 2014-01-29 2015-01-29 移动通信系统中基于多载波的数据发射方法和设备
EP15743577.7A EP3100533B1 (en) 2014-01-29 2015-01-29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5/989,896 US10601555B2 (en) 2014-01-29 2018-05-25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6/826,781 US11368262B2 (en) 2014-01-29 2020-03-23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7/843,481 US11991098B2 (en) 2014-01-29 2022-06-17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266 2014-01-29
KR1020140011266 2014-01-29
KR1020140038833 2014-04-01
KR20140038833 2014-04-01
KR1020140133366 2014-10-02
KR1020140133366A KR20150090816A (ko) 2014-01-29 2014-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820A true KR20150090820A (ko) 2015-08-06

Family

ID=538854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366A KR20150090816A (ko) 2014-01-29 2014-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140143643A KR20150090820A (ko) 2014-01-29 2014-10-2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0140160369A KR20150090821A (ko) 2014-01-29 2014-11-1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366A KR20150090816A (ko) 2014-01-29 2014-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0369A KR20150090821A (ko) 2014-01-29 2014-11-1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826217B1 (ko)
KR (3) KR20150090816A (ko)
CN (1) CN106134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4941B (zh) * 2017-03-24 2023-09-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和基站
WO2019019120A1 (zh) * 2017-07-27 2019-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108796B (zh) * 2017-09-28 2024-04-0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多个带宽部分上执行数据发射和测量的方法和网络节点
CN110474734B (zh) * 2018-05-11 2022-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EP3927045A4 (en) * 2019-02-14 2023-02-22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CN113826421B (zh) * 2019-08-16 2023-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激活终端的方法及装置
CN114402694B (zh) * 2019-09-30 2024-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冲突处理方法及装置
CN112929966B (zh) * 2019-12-05 2022-08-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传输资源选择的方法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8196B (zh) * 2008-09-26 2011-11-02 华为技术有限公司 分配物理小区标识的方法和装置
EP2577926B1 (en) * 2010-05-25 2018-07-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etuning gaps and scheduling gaps in discontinuous reception
CN101867953B (zh) * 2010-06-13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场景下下行控制信息的检测方法和用户设备
US8837304B2 (en) * 2011-04-08 2014-09-16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US9480051B2 (en) * 2011-06-10 2016-10-25 Nokia Technologies Oy Carrier aggregation
US20130083739A1 (en) * 2011-10-04 2013-04-0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random access response scheduling
US20130258862A1 (en) * 2012-04-01 2013-10-03 Esmael Hejazi Dinan Radio Access for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6217B1 (en) 2022-11-30
EP3826217A1 (en) 2021-05-26
CN106134261B (zh) 2019-11-26
KR20150090821A (ko) 2015-08-06
EP3100533A1 (en) 2016-12-07
CN106134261A (zh) 2016-11-16
EP3100533B1 (en) 2021-03-03
EP3100533A4 (en) 2017-08-30
KR20150090816A (ko)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8262B2 (en) Multicarrier-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632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13037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771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7054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경쟁 기반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78087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954185B1 (ko) Carrier Aggrega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Power Headroom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8882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캐리어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9082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9085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9080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9053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장치 및 방법
CN110267355B (zh) 移动通信系统中支持随机接入的基站和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