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364A -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0364A KR20150090364A KR1020140010558A KR20140010558A KR20150090364A KR 20150090364 A KR20150090364 A KR 20150090364A KR 1020140010558 A KR1020140010558 A KR 1020140010558A KR 20140010558 A KR20140010558 A KR 20140010558A KR 20150090364 A KR20150090364 A KR 201500903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de
- stereoscopic
- movies
- user interface
- cre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67—Synchronising or controlling image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이 수행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i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Claims (17)
- 컴퓨터로 구현 가능한,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로 제공되는 노드연결 작업 영역에 3D 입체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각각의 작업 시퀀스가 정의된 노드(node)들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노드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의한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의 임의의 노드에서 사용될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작업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과, 상기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2D 동영상에서 3D 입체 동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의 임의의 노드에서 처리된 결과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컴퓨터로 구현 가능한,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에 있어서,
장면 별 노드 기반 작업 파이프라인 생성을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노드를 생성하고, 노드와 노드를 연결할 수 있는 작업공간과, 노드들 사이의 연결도(diagram)를 표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작업 대상이 되는 2D 동영상 시퀀스를 호출하여 입력 값으로 정의하는 제1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에 대하여 객체 혹은 배경을 분리(segmentation)하는 제 2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객체 혹은 배경에 대하여 깊이 지도을 정의하는 제3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와 상기 깊이 지도를 입력으로 하여 좌우 양안의 스테레오 영상 시퀀스(Image Left, Image Right)를 렌더링하는 제4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의한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를 구성하는 객체들을 분리하는 커브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분리된 객체들을 동시에 혹은 따로 추적하는 단계; 및
추적 결과를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를 구성하는 객체들에 대한 깊이 값 편집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깊이 값 편집 템플릿을 적용하여 깊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는,
객체 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깊이 값 편집 템플릿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작업 순서를 연결도(diagram)으로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입력, 출력 관계를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 방법.
-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코드가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입체 영상 제작 관리를 위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장면 별 노드 기반 작업 파이프라인 생성을 위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현되는 것이되,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3D 입체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각각의 작업 시퀀스가 정의된 노드를 생성하고,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고, 노드들 사이의 연결도(diagram)를 표시하는 노드연결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드연결 작업 영역에 3D 입체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각각의 작업 시퀀스가 정의된 노드(node)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노드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의한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하고,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의 임의의 노드에서 사용될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작업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파이프라인과, 상기 사용자 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된 2D 동영상에서 3D 입체 동영상을 출력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드연결 작업 영역에 작업 대상이 되는 2D 동영상 시퀀스를 호출하여 입력 값으로 정의하는 제1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에 대한 객체별 혹은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 제2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2D동영상 시퀀스에 대하여 객체별 혹은 배경의 깊이 지도를 정의하는 제3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와 상기 깊이 지도를 입력으로 하여 좌우 양안의 스테레오 영상 시퀀스(Image Left, Image Right)를 렌더링하는 제4 노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연결 관계를 정의한 작업 파이프라인을 생성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를 구성하는 객체별 혹은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 커브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분리된 객체들을 동시 혹은 개별로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추적 결과를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에 대하여 객체별 혹은 배경 분리한 객체별 마스크와 레이어를 생성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를 구성하는 객체들에 대한 깊이 값 편집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깊이 값 편집 템플릿을 적용하여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에 대한 깊이 지도를 생성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노드, 상기 제2 노드, 상기 제3 노드, 및 상기 제4 노드 사이의 작업 순서 및 입력, 출력 관계를 연결도(diagram)으로 정의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2D 동영상 시퀀스를 자동으로 장면 별로 분류하여 표시한 리스트 뷰어를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프레임 별 뎁스 스크립트(Depth Script)를 작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프레임 별 뎁스 스크립트 편집 툴 및 작업자가 수동으로 장면 별 뎁스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컷 별 뎁스 스크립트 편집 툴을 포함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별 뎁스 스크립트 편집 툴 또는 상기 컷 별 뎁스 스크립트 편집 툴에서 작성된 뎁스 스크립트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생성된 임의의 노드에서 자동으로 호출되는 것
인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558A KR102082132B1 (ko) | 2014-01-28 | 2014-01-28 |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14/600,126 US9720563B2 (en) | 2014-01-28 | 2015-01-20 | Apparatus for representing 3D video from 2D video and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558A KR102082132B1 (ko) | 2014-01-28 | 2014-01-28 |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0364A true KR20150090364A (ko) | 2015-08-06 |
KR102082132B1 KR102082132B1 (ko) | 2020-02-28 |
Family
ID=5367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0558A KR102082132B1 (ko) | 2014-01-28 | 2014-01-28 |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720563B2 (ko) |
KR (1) | KR1020821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0410A (ko) * | 2019-04-01 | 2022-11-10 | 구글 엘엘씨 | 동적 깊이 이미지를 캡처 및 편집하는 기술 |
US11778007B2 (en) | 2018-08-14 | 2023-10-03 | Kt Corporation | 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6572B1 (ko) * | 2015-03-04 | 2021-08-0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US11979244B2 (en) * | 2021-09-30 | 2024-05-07 | Snap Inc. | Configuring 360-degree video within a virtual conferencing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73907B1 (en) * | 1997-07-03 | 2003-06-03 | Obvious Technology | Network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interactive video and multi-media containers |
JP2003528360A (ja) * | 1999-02-03 | 2003-09-24 | アイサーフティーヴィー | 一般的三次元グラフィックスパイプラインを使用する低廉なデジタル・イメージ/ビデオの編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KR100772319B1 (ko) * | 2006-11-03 | 2007-10-31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시지 전달 기반 스테레오 영상 정합 시스템 |
US20130266292A1 (en) * | 2012-02-06 | 2013-10-10 | LEGEND3D. Inc. | Multi-stage production pipeline system |
KR20130131480A (ko) * | 2011-03-14 | 2013-12-03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셰이더 기반 그래픽 콘텐츠를 위한 입체 변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68511B1 (en) * | 2002-03-07 | 2005-11-22 | Microsoft Corporation | Graphical user interface, data structure and associated method for cluster-based document management |
US7990374B2 (en) * | 2004-06-29 | 2011-08-02 | Sensable Technologies,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haptic rendering using data in a graphics pipeline |
US20100104258A1 (en) * | 2008-10-28 | 2010-04-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User-specified event-based remote triggering of a consumer digital video recording device |
KR101271460B1 (ko) | 2009-12-02 | 2013-06-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영상 복원 장치 및 그 방법 |
KR101356544B1 (ko) | 2012-03-29 | 2014-02-19 | 한국과학기술원 | 3차원 입체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
-
2014
- 2014-01-28 KR KR1020140010558A patent/KR1020821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1-20 US US14/600,126 patent/US972056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73907B1 (en) * | 1997-07-03 | 2003-06-03 | Obvious Technology | Network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interactive video and multi-media containers |
JP2003528360A (ja) * | 1999-02-03 | 2003-09-24 | アイサーフティーヴィー | 一般的三次元グラフィックスパイプラインを使用する低廉なデジタル・イメージ/ビデオの編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KR100772319B1 (ko) * | 2006-11-03 | 2007-10-31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메시지 전달 기반 스테레오 영상 정합 시스템 |
KR20130131480A (ko) * | 2011-03-14 | 2013-12-03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셰이더 기반 그래픽 콘텐츠를 위한 입체 변환 |
US20130266292A1 (en) * | 2012-02-06 | 2013-10-10 | LEGEND3D. Inc. | Multi-stage production pipeline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78007B2 (en) | 2018-08-14 | 2023-10-03 | Kt Corporation | Server, method and user device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 |
KR20220150410A (ko) * | 2019-04-01 | 2022-11-10 | 구글 엘엘씨 | 동적 깊이 이미지를 캡처 및 편집하는 기술 |
US11949848B2 (en) | 2019-04-01 | 2024-04-02 | Google Llc | Techniques to capture and edit dynamic depth imag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2132B1 (ko) | 2020-02-28 |
US9720563B2 (en) | 2017-08-01 |
US20150212687A1 (en) | 2015-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95296B2 (en) | Multi-stage production pipeline system | |
US20110157155A1 (en) | Layer management system for choreographing stereoscopic depth | |
JP2019525515A (ja) | マルチビューシーンのセグメンテーションおよび伝播 | |
US9305398B2 (en) |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two and three dimensional images on a digital canvas | |
AU2013216732B2 (en) | Motion picture project management system | |
US10271038B2 (en) | Camera with plenoptic lens | |
CA266901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positing 3d images | |
US20130257851A1 (en) | Pipeline web-based process for 3d animation | |
US201701250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coded Content Using Dynamically Optimized Conversion for 3D Movies | |
KR20150090364A (ko) | 2d 동영상으로부터 새로운 3d 입체 동영상 제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10834374B2 (en) |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synthesizing virtual viewpoint images | |
KR20200084265A (ko) | 타임 슬라이스 영상을 편집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US20150009227A1 (en) | Color grading preview method and apparatus | |
US989434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new 3D stereoscopic video from 2D video | |
KR20170001839A (ko) | 360°실사 vr콘텐츠 제작공정에서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vfx 후반작업 적용 방법 | |
US8855472B2 (en) | Video editing apparatus, video editing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 |
KR101577671B1 (ko) | 동적 시네마의 제작 및 실행 방법 | |
US2014021094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three-dimensional video | |
KR101801898B1 (ko) | 다시점 영상 기반의 단일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 |
KR101130044B1 (ko) | 입체 프리젠테이션 영상 제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 시스템 및 무 안경 방식의 다 시점 입체영상 출력 엔진용 입체 프리젠테이션 영상 제작방법 | |
Mayhew et al. | Critical alignment methods for stereoscopic production and post-production image registration | |
KR20140080716A (ko) | 입체 영상 생성 방법 | |
Vázquez et al. | A non-conventional approach to the conversion of 2D video and film content to stereoscopic 3D | |
KR20130117504A (ko) | 무안경 입체 콘텐츠 제작 방법 | |
KR20170131077A (ko) | 파노라믹 영상 내 객체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