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301A - 통합 학습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학습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301A
KR20150090301A KR1020140009380A KR20140009380A KR20150090301A KR 20150090301 A KR20150090301 A KR 20150090301A KR 1020140009380 A KR1020140009380 A KR 1020140009380A KR 20140009380 A KR20140009380 A KR 20140009380A KR 20150090301 A KR20150090301 A KR 20150090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ype
electronic book
learning
le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성
박수조
김민주
육민형
김태엽
김창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김창우
육민형
김태엽
박수조
김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송지성, 김창우, 육민형, 김태엽, 박수조, 김민주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301A/ko
Publication of KR20150090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은 강의 동영상과 전자책이 저장된 서버와 상기 강의 동영상 및 상기 전자책에서 유형별로 구분된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모듈과,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학습 인증 모듈, 및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상기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에서 제외하는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 학습 인증 방법{INTEGRATED STUDY CER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통합 학습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 강의 및 전자책을 이용한 클라우드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전통적인 학교교육 대신에 통신을 이용한 교육, 즉 사이버강의 내지 사이버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이버강의는 시간과 공간에 구애됨이 없이 피교육자가 자신의 능력 및 시간에 따라서 교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학교에서의 강의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여 학점을 이수하도록 하거나, 인터넷을 통한 강습을 전문으로 하는 사이버 학원이 생겨나는 등 그 활용분야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 학습자는 자신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를 신청한 후, 해당 웹사이트에 로그인 하여 사용권한을 허여 받으면 자신이 수강하고자 하는 강의내용을 담은 컨텐츠(동영상, 또는 텍스트형식)를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강의내용을 담은 컨텐츠를 통해 학습진도를 스스로 진행해 나간다.
그런데, 통상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교육컨텐츠는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단순한 텍스트형태로 제공되거나, 강사의 강의 내용을 동영상 스트리밍의 형태로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수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수강생은 제공되는 교육컨텐츠를 수동적으로 청취함으로써 수동적인 학습을 진행하게 됨으로 교육효과가 떨어지며, 수강생에게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한다.
또한, 동일한 전자책 또는 동일한 강의 동영상을 반복적으로 학습하는 경우, 잘 알지 못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이미 숙지한 사항까지 반복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지한 내용을 제외하고 알지 못하는 내용만을 반복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반복 학습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반복 학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 및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은 강의 동영상과 전자책이 저장된 서버와 상기 강의 동영상 및 상기 전자책에서 유형별로 구분된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모듈과,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학습 인증 모듈, 및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상기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에서 제외하는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 인증 모듈은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모듈은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모듈은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인증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모듈은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은 강의 동영상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은 상기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은 상기 전자책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인증 모듈은 상기 인증 완료 신호와 함께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된 전자책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 동영상의 부분을 재생하는 강의 영상 호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의 동영상 시청 중에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을 분할하여 시청 중인 내용과 관련된 전자책의 설명 또는 문제 부분을 화면에 표시하는 전자책 호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동영상 및 전자책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하여 포함시키는 완료 유형 복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은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에 대한 통합 학습 인증 방법에 있어서, 학습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단계와,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학습 인증 단계, 및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에서 제외하는 완료 유형 제외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강의 동영상의 재생 구간 및 상기 전자책의 단락에는 유형별로 동일한 코드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 인증은 선생님 또는 부모님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은 강의 동영상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단계는 상기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단계는 상기 전자책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학습 인증 단계는 상기 인증 완료 신호와 함께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된 전자책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 동영상의 부분을 재생하는 강의 영상 호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의 동영상 시청 중에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을 분할하여 시청 중인 내용과 관련된 전자책의 설명 또는 문제 부분을 화면에 표시하는 전자책 호출 단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숙지한 내용을 제외하고 알지 못하는 내용만을 반복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반복 학습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반복 학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강의 동영상과 전자책이 서로 호환되어 하나의 컨텐츠에서 학습된 결과가 다른 컨텐츠까지 적용되므로 더욱 효율적인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을 이용하여 강의 동영상과 전자책의 호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은 강의 동영상(11), 전자책(12), 서버(15), 스마트폰(16), 개인 컴퓨터(17),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
강의 동영상(11)은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동영상으로서 인터넷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또는 개인 컴퓨터에서 재생될 수 있다. 하나의 강의 동영상(11)은 복수 개의 유형에 따라 구간으로 분리되며, 강의 동영상에서 구간에는 유형을 인식할 수 있는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다만 강의 동영상(11)의 재생시간이 매우 짧은 경우에는 하나의 강의 동영상(11)이 하나의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강의 동영상(11)은 청소년의 학습을 위한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학생 또는 성인을 위한 학습 동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책(12)은 전파 파일 형태로 이루어진 책으로서 강의 동영상(11)과 연관된 설명과 문제를 포함한다. 전자책(12)은 서버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할 때, 웹사이트에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12)은 사용자가 개인 컴퓨터(18) 또는 스마트폰(17)로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서버(16)는 강의 동영상(11), 전자책(12), 및 제어부(13)가 저장되는 장소를 제공하며,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스마트폰(17) 및 개인 컴퓨터(18)와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가공한다.
스마트폰(17)은 무선통신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화상 및 음성을 제공한다. 스마트폰(17)은 전자책 및 강의 동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7)에는 인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자의 스마트폰(17)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확인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라 함은 선생님, 학부모 등의 학습의 상태를 관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개인 컴퓨터(18)는 가정이나 학교에 설치된 개인용 컴퓨터, 및 휴대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를 포함한다. 학습자는 개인 컴퓨터(18)를 이용하여 강의 동영상(11)을 시청하거나 전자책(12)을 학습할 수 있다. 개인 컴퓨터(18)에는 확인 인증의 실행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부모님, 선생님 등의 관리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확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학습이 완료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고 인증이 완료된 유형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한다. 제어부(13)는 코드 인식 모듈(13a), 학습 인증 모듈(13b), 완료 유형 제외 모듈(13c), 및 완료 유형 복구 모듈(13d)을 포함한다.
코드 인식 모듈(13a)은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유형별로 구분된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강의 동영상(11)의 재생구간에는 코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도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진다.
코드 인식 모듈(13a)은 강의 동영상(11)의 각 구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며, 코드 인식 모듈(13a)은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형의 종류와 난이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된 내용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강의 동영상(11)이 촬영된 이후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의 구간에 결합되는데 코드는 동영상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1초당 30개 내지 6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동일한 유형의 구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코드가 프레임에 결합되면 완료된 유형을 제외할 때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만을 제외하면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이라 함은 목록에 표시된 하나의 소분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소분류 내에서 동일한 공식이 적용되는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코드 인식모듈(13a)은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학습할 때 해당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읽고 현재 학습중인 부분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단한다.
학습 인증 모듈(13b)은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학습 인증 모듈(13b)은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인증 모듈(13b)은 인증 완료 신호와 함께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16)는 인증 완료 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학습 인증 모듈(13b)은 테스트가 완료된 후에,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확인 인증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인증 모듈(13b)은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선생님 또는 부모님 등 관리자에게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학습자가의 학습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불성실하게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료 유형 제외 모듈(13c)은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한다. 완료 유형 제외 모듈(13c)은 강의 동영상(11)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한다. 이때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들을 동영상에서 제외하여 스트리밍 방식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모듈(13c)은 전자책(12)에서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모듈(13c)은 전자책(12)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모듈(13c)은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함께 제외한다.
이와 같이 학습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하면 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보다 숙지하지 못한 부분만을 신속하게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 동영상(11)과 전자책(12)이 함께 편집되므로 중복 인증을 피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모듈(13d)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완료 유형 복구 모듈(13d)은 사용자가 복구신호를 생성시킨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복구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구 아이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복구 아이콘은 전자책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학습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전에 숙지했던 내용을 잊어버리게 되는데, 완료 유형 복구 모듈(13d)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모듈(13d)은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때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복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은 코드 인식 단계(S101)와 학습 인증 단계(S102)와 완료 유형 제외 단계(S103)와 완료 유형 복구 단계(S104)를 포함한다.
코드 인식 단계(S101)는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유형별로 구분된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강의 동영상(11)의 재생구간에는 코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도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강의 동영상(11)의 재생 구간 및 전자책(12)의 단락에는 유형별로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다. 전자책(12)에서 코드는 단락별로 결합될 수 있다.
코드 인식 단계(S101)는 강의 동영상(11)의 각 구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며, 코드 인식 단계(S101)는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형의 종류와 난이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된 내용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강의 동영상(11)이 촬영된 이후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의 구간에 결합되는데 코드는 동영상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1초당 30개 내지 6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동일한 유형의 구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코드가 프레임에 결합되면 완료된 유형을 제외할 때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만을 제외하면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이라 함은 목록에 표시된 하나의 소분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소분류 내에서 동일한 공식이 적용되는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학습 인증 단계(S102)는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학습 인증 단계(S102)는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학습 인증 단계(S102)는 인증 완료 신호와 함께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16)는 인증 완료 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학습 인증 단계(S102)는 테스트가 완료된 후에,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확인 인증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인증 단계(S102)는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선생님 또는 부모님 등 관리자에게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학습자가의 학습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불성실하게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료 유형 제외 단계(S103)는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한다. 완료 유형 제외 단계(S103)는 강의 동영상(11)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한다. 이때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들을 동영상에서 제외하여 스트리밍 방식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단계(S103)는 전자책(12)에서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단계(S103)는 전자책(12)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단계(S103)는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함께 제외한다.
이와 같이 학습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하면 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보다 숙지하지 못한 부분만을 신속하게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 동영상(11)과 전자책(12)이 함께 편집되므로 중복 인증을 피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단계(S104)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완료 유형 복구 단계(S104)는 사용자가 복구신호를 생성시킨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복구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구 아이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복구 아이콘은 전자책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학습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전에 숙지했던 내용을 잊어버리게 되는데, 완료 유형 복구 단계(S104)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단계(S104)는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때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복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은 제어부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5)는 학습이 완료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고 인증이 완료된 유형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한다. 제어부(15)는 코드 인식 모듈(15a), 강의 영상 호출 모듈(15b), 전자책 호출 모듈(15c), 학습 인증 모듈(15d), 완료 유형 제외 모듈(15e), 및 완료 유형 복구 모듈(15f)을 포함한다.
코드 인식 모듈(15a)은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유형별로 구분된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강의 동영상(11)의 재생구간에는 코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도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진다.
코드 인식 모듈(15a)은 강의 동영상(11)의 각 구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며, 코드 인식 모듈(15a)은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형의 종류와 난이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된 내용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강의 동영상(11)이 촬영된 이후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의 구간에 결합되는데 코드는 동영상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1초당 30개 내지 6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동일한 유형의 구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코드가 프레임에 결합되면 완료된 유형을 제외할 때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만을 제외하면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이라 함은 목록에 표시된 하나의 소분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소분류 내에서 동일한 공식이 적용되는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코드 인식모듈(15a)은 사용자가 해당 부분을 학습할 때 해당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읽고 현재 학습중인 부분이 어떤 유형인지를 판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 영상 호출 모듈(15b)은 전자책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된 전자책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 동영상의 부분을 재생한다. 강의 영상 호출 모듈(15b)은 전자책에 형성된 아이콘이 클릭되거나 전자책이 제공된 웹사이트에 형성된 아이콘이 클릭된 경우 호출 신호를 생성하며 강의 동영상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과 관련된 부분을 불러와서 재생하고 화면에 표시한다.
전자책 호출 모듈(15c)은 강의 동영상 시청 중에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을 분할하여 시청 중인 내용과 관련된 전자책의 설명 또는 문제 부분을 화면에 표시한다. 전자책 호출 모듈(15c)은 강의 동영상에서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강의 동영상에 표시된 공식을 클릭하는 경우 전자책을 호출한다. 동영상에 표시된 아이콘에는 호출을 위한 링크 코드가 결합될 수 있으며, 링크 코드는 공식이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된 링크 레이어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레이어는 보이지 않는 아이콘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학습 인증 모듈(15d)은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학습 인증 모듈(15d)은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완료 신호는 코드와 함께 서버(16)로 전송되며, 서버(16)는 인증 완료 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학습 인증 모듈(15d)은 테스트가 완료된 후에,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확인 인증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인증 모듈(15d)은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선생님 또는 부모님 등 관리자에게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학습자가의 학습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불성실하게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료 유형 제외 모듈(15e)은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한다. 완료 유형 제외 모듈(15e)은 강의 동영상(11)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한다. 이때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들을 동영상에서 제외하여 스트리밍 방식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모듈(15e)은 전자책(12)에서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모듈(15e)은 전자책(12)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모듈(15e)은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함께 제외한다.
이와 같이 학습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하면 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보다 숙지하지 못한 부분만을 신속하게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 동영상(11)과 전자책(12)이 함께 편집되므로 중복 인증을 피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모듈(15f)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완료 유형 복구 모듈(15f)은 사용자가 복구신호를 생성시킨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복구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구 아이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복구 아이콘은 전자책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학습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전에 숙지했던 내용을 잊어버리게 되는데, 완료 유형 복구 모듈(15f)은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모듈(15f)은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때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복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학습 인증 방법은 코드 인식 단계(S201)와 강의 영상 호출 단계(S202)와 전자책 호출 단계(S203)와 학습 인증 단계(S204)와 완료 유형 제외 단계(S205)와 완료 유형 복구 단계(S206)를 포함한다.
코드 인식 단계(S201)는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유형별로 구분된 부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강의 동영상(11)의 재생구간에는 코드가 결합되어 있으며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도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강의 동영상(11)의 재생 구간 및 전자책(12)의 단락에는 유형별로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다. 전자책(12)에서 코드는 단락별로 결합될 수 있다.
코드 인식 단계(S201)는 강의 동영상(11)의 각 구간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며, 코드 인식 단계(S201)는 전자책(12)의 설명 및 문제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한다. 코드는 메타 데이터 형태로 이루어지며 유형의 종류와 난이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된 내용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되어 있다.
코드는 강의 동영상(11)이 촬영된 이후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의 구간에 결합되는데 코드는 동영상을 형성하는 각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1초당 30개 내지 60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데, 동일한 유형의 구간에 위치하는 프레임에는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코드가 프레임에 결합되면 완료된 유형을 제외할 때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만을 제외하면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이라 함은 목록에 표시된 하나의 소분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소분류 내에서 동일한 공식이 적용되는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유형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될 수 있다.
강의 영상 호출 단계(S202)는 전자책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된 전자책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 동영상의 부분을 재생한다. 강의 영상 호출 단계(S202)는 전자책에 형성된 아이콘이 클릭되거나 전자책이 제공된 웹사이트에 형성된 아이콘이 클릭된 경우 호출 신호를 생성하며 강의 동영상에서 현재 화면에 표시된 내용과 관련된 부분을 불러와서 재생하고 화면에 표시한다.
전자책 호출 단계(S203)는 강의 동영상 시청 중에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을 분할하여 시청 중인 내용과 관련된 전자책의 설명 또는 문제 부분을 화면에 표시한다. 전자책 호출 단계(S203)는 강의 동영상에서 화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강의 동영상에 표시된 공식을 클릭하는 경우 전자책을 호출한다. 동영상에 표시된 아이콘에는 호출을 위한 링크 코드가 결합될 수 있으며, 링크 코드는 공식이 위치하는 영역에 형성된 링크 레이어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레이어는 보이지 않는 아이콘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학습 인증 단계(S204)는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학습 인증 단계(S204)는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인증 완료 신호는 코드와 함께 서버(16)로 전송되며, 서버(16)는 인증 완료 신호를 저장한다.
또한, 학습 인증 단계(S204)는 테스트가 완료된 후에,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확인 인증은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인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인증 단계(S204)는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경우 선생님 또는 부모님 등 관리자에게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자가 학습자가의 학습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불성실하게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료 유형 제외 단계(S205)는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한다. 완료 유형 제외 단계(S205)는 강의 동영상(11)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한다. 이때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 프레임들을 동영상에서 제외하여 스트리밍 방식이나 다운로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단계(S205)는 전자책(12)에서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한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단계(S205)는 전자책(12)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완료 유형 제외 단계(S205)는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함께 제외한다.
이와 같이 학습이 완료된 유형의 내용을 강의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하면 반복적으로 학습할 때 보다 숙지하지 못한 부분만을 신속하게 학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 동영상(11)과 전자책(12)이 함께 편집되므로 중복 인증을 피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단계(S206)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완료 유형 복구 단계(S206)는 사용자가 복구신호를 생성시킨 경우 동영상(11) 및 전자책(12)에서 제외된 내용을 복구한다. 복구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구 아이콘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복구 아이콘은 전자책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을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학습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전에 숙지했던 내용을 잊어버리게 되는데, 완료 유형 복구 단계(S206)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수 있다.
완료 유형 복구 단계(S206)는 제외된 내용을 복구할 때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복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 강의 동영상
12: 전자책
13: 제어부
13a: 코드 인식 모듈
13b, 15d: 학습 인증 모듈
13c, 15e: 완료 유형 제외 모듈
13d, 15e: 완료 유형 복구 모듈
15b: 강의 영상 호출 모듈
15c: 전자책 호출 모듈
16: 서버
17: 스마트폰
18: 개인 컴퓨터

Claims (13)

  1.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에 대한 통합 학습 인증 방법에 있어서,
    학습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 단계;
    확습이 완료된 유형에 대한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학습 인증 단계; 및
    인증이 완료된 유형의 부분을 강의 동영상 및 전자책에서 제외하는 완료 유형 제외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동영상의 재생 구간 및 상기 전자책의 단락에는 유형별로 동일한 코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테스트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된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사용자가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의 문제에 대해서 기 설정된 개수 이상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권한이 부여된 소프트웨어에서 확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 완료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인증은 선생님 또는 부모님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인증 단계는 인증 완료 신호가 생성된 경우, 등록된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모듈은 강의 동영상에서 해당 유형을 설명하는 구간이 재생에서 제외되도록 동영상을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단계는 상기 전자책에서 해당 유형에 해당하는 부분이 나타나지 않도록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유형 제외 단계는 상기 전자책에서 완료된 부분에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식별표지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학습 인증 단계는 상기 인증 완료 신호와 함께 인증이 완료된 유형에 결합된 코드를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전자책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에 표시된 전자책 내용을 설명하는 강의 동영상의 부분을 재생하는 강의 영상 호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강의 동영상 시청 중에 신호가 입력되면 화면을 분할하여 시청 중인 내용과 관련된 전자책의 설명 또는 문제 부분을 화면에 표시하는 전자책 호출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학습 인증 방법.
KR1020140009380A 2014-01-27 2014-01-27 통합 학습 인증 방법 KR20150090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380A KR20150090301A (ko) 2014-01-27 2014-01-27 통합 학습 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380A KR20150090301A (ko) 2014-01-27 2014-01-27 통합 학습 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01A true KR20150090301A (ko) 2015-08-06

Family

ID=53885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380A KR20150090301A (ko) 2014-01-27 2014-01-27 통합 학습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30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zzetto-More An examin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and predilections of the use of YouTub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Rosell-Aguilar Top of the pods—In search of a podcasting “podagogy” for language learning
Gromik The Effect of Smartphone Video Camera as a Tool to Create Gigital Stories for English Learning Purposes.
Rice et al. Forum Theatre as a requirements gathering methodology in the design of a hom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older adults
Hunter The virtual university: Digital tools for e‐learning and remote learning are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tool for teaching at universities
Dalal et al. What if you build it and they still won't come? Addressing student awareness of resources and services with promotional videos
Spencer et al. Classroom‐based Oral Storytelling: Reading, Writing, and Social Benefits
Shareef et al. Fundamentals of Educational Technology
Ronchetti Video-lectures over internet: The impact on education
McGreal et al. The open educational resources (OER) movement: Free learning for all students
Stewart et al. Media participation by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relevance of Australian community broadcasting in the digital era
Lionarakis et al. The development of a massive online course on distance education to support Greek school teacher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Cypers et al. Virtual community mental health suppor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risis: Balancing accessibility with online security
KR20150090301A (ko) 통합 학습 인증 방법
KR20150090302A (ko) 통합 학습 인증 시스템
KR20020092515A (ko)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Kingsley My Secret# EdTech Diary: Looking at Educational Technology through a wider lens
KR20160096431A (ko)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ašna et al. Video learning materials for better students’ performance
Musa et al. Covid-19 pandemic: An outline of digital learning tools for creat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Drozdova et al. Clip thinking and its influence the teaching methodology
Canessa et al. On-line certification for all: the Pinvox algorithm
Johnson Video captioning policy and compliance at the University of Minnesota Duluth
Naely et al. Using YouTube as unlimited educational video resources in teaching English skills
CN111726692B (zh) 音视图数据的互动播放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