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027A -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지능형 원격 제어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지능형 원격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027A
KR20150090027A KR1020157007027A KR20157007027A KR20150090027A KR 20150090027 A KR20150090027 A KR 20150090027A KR 1020157007027 A KR1020157007027 A KR 1020157007027A KR 20157007027 A KR20157007027 A KR 20157007027A KR 20150090027 A KR20150090027 A KR 20150090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set
peripheral device
information
decoder
tele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비에 브렝그
샤이 슈리끼
줄리앙 드 나다이
Original Assignee
아이필스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필스마트 filed Critical 아이필스마트
Publication of KR20150090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주변 장치 및 디코더와 연관된 텔레비전 세트 및 상기 주변 장치와 상기 텔레비전 세트 또는 상기 디코더 사이의 디지털 대화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 또는 상기 디코더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원격 제어 수단 및 상기 텔레비전 세트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 수단과 연관된 기능들은 상황 별 타입이며 상기 텔레비전 또는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텔레비전 시스템.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지능형 원격 제어{INTELLIGENT REMOTE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 세트, 디코더 및 원격 제어로 일반적으로 구성된 텔레비전 시스템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디코더는 텔레비전 세트에 연결된 독립적인 장비로 구성되거나, 또는 텔레비전 세트에 직접 통합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텔레비전 세트 및 주변 장치들 간의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원격 접속을 이용한 인터랙티브(interactive)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를 기술하는 특허 출원 WO/2000/004709이 선행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상기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는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장비에 구현된다. 원격 프로그램 가이드 접속 장치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들로의 원격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원격 접속 링크에 의해 인터랙티브 텔레비전 프로그램 가이드 장비에 연결된다.
새로운 범용(universal) 원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국제 특허 출원 WO/2000/059212 또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 기술의 상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원격 제어 및 오디오/비디오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양방향 통신, 이중(dual) 통신 모드, 오토매틱 통신 모드 선택, 원격 제어에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로딩 및 프로세싱, 원격 제어에서 소프트웨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원격 제어에 의한 텔레비전 세트 기능들 기능들을 확장, 원격 제어와 오디오/비디오 장치 간의 핸드쉐이크(handshake) 교정(calibration), 원격 제어의 수동(passive) 갱신, 원격 제어에서 로스트 비콘(lost beacon) 신호, 원격 제어에서의 핸드라이팅(handwriting) 인식 메커니즘(mechanism) 및 음성 인식 메커니즘의 특징들을 갖는다.
원격 제어를 기술하는 국제 특허 출원 WO98/43158 또한 알려져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는 영상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될, 예를 들어 광고와 같은, 선택된 정보의 형식으로 호스트 장치 데이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1 무선 회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무선 회로; 원격 제어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는 제1 무선 회로에 의해 수신된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로 반환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기본 루틴(routine)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가능한 원격 제어를 기술하는 EP2148308 및 US2006028830 특허들 또한 선행기술에서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의 이러한 솔루션들은 텔레비전 세트 또는 디코더와 분리된 외부 장비,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원격 제어에 관계된다. 이는 원격 제어 및 텔레비전 세트(또는 연관된 디코더) 사이의 어떠한 상황에 맞는 상호 작용도 하지 못하게 한다.
선행기술의 상기 문헌들에서, 원격 제어는 원격 제어 및 컴퓨터 간의 링크를 통해 구성된다.
상기 구성이 완성될 때, 원격 제어 및 컴퓨터 간의 연결은 종료되고, 원격 제어는 원격 제어의 “슬레이브(slave)”에 해당하는 텔레비전 세트(또는 디코더)로 연결된다. 상기 D1 및 D2 문서들에서 기술된 상황에서 텔레비전 세트는 원격 제어로 정보를 제공할 수단이 없다.
상기 선행기술의 솔루션들은 그것들의 활용이 관련된 만큼 제한적이다. 텔레비전 세트는, 텔레비전 세트의 몇몇 기능들을 구동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명령들 만을 전송하도록 의도된, 원격 제어의 “슬레이브(slave)”이다. 선행기술의 상기 몇몇 솔루션들에서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원격 제어로 전송되는 정보는 단지 수동적일 뿐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디지털 상황에서 텔레비전 세트의 발전에 가장 적합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넓은 의미에서,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주변 장치 및 디코더와 연관된 텔레비전 세트 및 상기 주변 장치와 상기 텔레비전 세트 또는 상기 디코더 사이의 디지털 대화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 또는 상기 디코더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원격 제어 수단 및 상기 텔레비전 세트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 수단과 연관된 기능들은 상황 별 타입이며 상기 텔레비전 또는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텔레비전 시스템에 관련된다.
상기 발명에서, 텔레비전 세트 및 원격 제어 사이의 교환은 동적이며, 각각의 주변 장치는 몇몇 상황에서 마스터(master)이며, 다른 상황들에서 슬레이브(slave)이다.
두 개의 장치들-텔레비전 세트 및 원격 제어-는 양 방향으로 통신하며, 각각은 다른 장치의 몇몇 기능들을 동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텔레비전 세트는 그의 상태를 원격 제어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원격 제어는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표시되는 상태에 따라서 그의 제어 모드를 동적으로 변형시킬 것이다. 두 개의 장치들-텔레비전 세트 및 원격 제어-는 양 방향으로 통신하며, 각각은 다른 장치의 몇몇 기능들을 동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디코더 또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 상의 활성 콘텐츠와 동시에 보기 위한 영역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는 설정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텔레비전 세트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주변 장치의 구동을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주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선택 가능한 해결 수단에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선택 가능한 해결 수단에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과 연관된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구현에 따르면,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프로필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활성 사용자 프로필과 연관된 파라미터들에 의해 개인화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주변 장치는 외부 출처로부터의 미디어 콘텐트의 표시 및 처리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텔레비전 세트 또는 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설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사이의 물리적 근접을 요구하는 매칭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텔레비전 세트가 연결된 주변 장치들로 정보를 푸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은 TCPI/IP 전송 계층 및 WIFI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타입들의 물리적 채널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텔레비전 시스템은 텔레비전 세트 및 주변 장치 사이의 메타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설명되는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에 관한 이어지는 설명을 통해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주변 장치로 전송되는 메시지들의 라이브러리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주변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두 개의 연속된 상태에서 주변 장치의 스크린의 예시적인 화면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동기화 메커니즘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텔레비전 세트의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원격 제어 주변 장치(들) 및 디코더(decoder)와 연관된 텔레비전 세트를 구현한다.
설명의 이어지는 부분에서, 임의의 추가적인 표시를 동반하지 않는 “텔레비전 세트(television set)”라는 용어는 텔레비전 세트뿐만 아니라 연관된 디코더를 나타내며, 이는 텔레비전 세트에 선택적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액세서리(accessory) 장비로서 텔레비전 세트에 연결된다.
원격 제어 주변 장치들은 전용 장비 또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다운로드된 셀 폰(cell phone) 또는 태블릿(tablet)과 같은 장비로 구성될 수 있다.
주변 장비는, 디코더 또는 텔레비전 세트가 인터넷과 상호작용(interaction)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 채널 전환, 주문형 비디오에 대한 주문, 온라인 주문 및 소셜 네트워크와 같은 텔레비전 세트 및/또는 디코더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세트 및 디코더 상에서 가능한 모든 기능들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간의 통신 프로토콜 및 수단
텔레비전 세트로부터 주변 장치로의 정보 교환은 http 프로토콜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채널(channel) 및 전송 계층(transport layer)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송 계층은 TCP/IP 타입이며 물리적 채널은 WIFI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타입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의 정보 교환은 TCPI/IP 전송 계층, 및 WIFI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타입들의 물리적 채널을 갖는 다른 수단, 즉, 독점적(이며 http가 아닌)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된다.
독점적 프로토콜은 “푸쉬(push)” 타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요청(requesting)에 국한되는 http 프로토콜과 상이하다.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의 정보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은 텔레비전 세트가 연결된 주변 장치(들)로 정보를 푸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독점적 프로토콜은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사이의 TCP/IP 통신 채널(“소켓(socket)”)을 열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소켓이 생성되고 텔레비전 세트가 주변 장치로 이벤트를 전달하여야만 할 때, 프로토콜은 미리 정해진 언어(language)에 속하는 문자열 형태의 이벤트의 명칭을 포함하는 시퀀스를 주변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는 “Separateur debut de message_changement de chaine_n° de chaine_Separateur de fin de message(메시지 분리자 시작_채널 전환_채널 번호_메시지 분리자 종료)” 타입이다.
이와 같은 이벤트는 주변 장치에게 텔레비전 세트 상태(state)를 통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메시지 라이브러리들의 예시를 나타낸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타입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는 네 개의 동작들에 대응되는 하위-언어를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네 개의 동작들은 다음과 같다.
- 질의(inquiring)
- 편집(editing)
- 추가(adding)
- 삭제(deleting).
이러한 동작들은 http 프로토콜의 표준 기능들과 연관되며, 상기 http 프로토콜의 표준 기능들은 즉 다음과 같다.
- 획득(get)
- 포스트(post)
- 삽입(put)
- 삭제(delete).
이러한 언어 명령들은 URL들에 의해 표현되는 컨텐츠에 작용하기 위해서 적용된다. 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는, 상기 프로그램 가이드(program guide)에 대응되는 URL에 의해 이어지고, 매개 변수들로서 적절한 대응 채널 및 해당 시간을 갖는, http 프로토콜의 “획득(get)” 명령과 연관된 “질의(inquiring)” 명령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주어진 시간 동안 질의될 것이다.
이러한 명령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타입일 것이다.
“get/epg?channel=n&date=hhddmmyy”
매칭(Matching)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간의 통신을 허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용자,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간의 물리적 근접을 요구하는 매칭 단계를 제공한다. 이러한 단계는 적어도 시스템의 처음 전원을 킬 때 또는 각각의 재시작 시에 실행된다.
이러한 매칭 단계는 보통의 원격 제어 또는 이의 직접 명령으로부터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개시된다. 첫 번째 동작은 텔레비전 세트에 대한 오디오 모드를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후자는 외부의 주변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화면에 매칭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수동적이며, 상기 매칭 정보는 다음과 같다.
- IP 어드레스(address)
- 예를 들어 일련의 16진법 문자들에 의해 표현되는 토큰(token).
이와 같은 정보는 그래픽 코드, 예를 들어 QR 코드, 또는 사운드 토큰으로 그룹화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몇 초 동안의 제한된 수명을 갖는다.
이와 같은 정보는 이후에, 수동으로 또는 그래픽 코드의 경우에는 주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해 습득되거나, 또는 사운드 토큰을 위한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주변 장치로 입력된다.
이와 같은 매칭 정보가 주변 장치로 입력될 때, 후자는 상기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을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사이에서 제공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세트로 전송한다.
이러한 단계는 텔레비전 세트에 가까운 주변 장치의 존재를 체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매칭 정보를 보고한 때부터 주변 장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전송한 때까지 경과된 기간이 문턱 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정보의 두 개의 아이템들이 서로 다르면, 텔레비전 세트는 에러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매칭을 승인하지 않는다.
만약 정보의 양쪽 아이템들이 부합되며 상기 토큰의 수명 이내에 처리되면, 매칭 절차는 매칭 키일 수 있는 제2 토큰의 암호화된 전송 단계 및, 주변 장치의 식별자 및 매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계속한다.
주변 장치는 제2 토큰을 로컬(local)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다음에 매칭 동작이 완료된다.
더욱이, 새로운 시스템을 초기화 할 때, 상기 시스템은 디폴트(default)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개인 식별자 및 이들과 연관된 프로필들은 텔레비전 세트의 데이터베이스에 언제라도 저장될 수 있다.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사이에서 뒤이어 교환될 임의의 요청은 상기 제2 토큰에 의해 서명될 수 있다.
사용자 식별
매칭된 주변 장치의 각 사용자는 “로그인(login)” 타입의 절차를 통해 개별적으로 식별될 것이다.
주변 장치는 앞서 언급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프로필들의 리스트를 검색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하고, 사용자들 또는 저장된 프로필들의 리스트를 주변 장치 및/또는 텔레비전 세트의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그 후에 상기 개체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하거나 또는 새로운 하나를 생성하기 위해 결정 한다.
이러한 단계는 선택된 사용자와 연관된 프로필에 따라 이용의 개인화를 초래한다:
- 활성화될 채널들
- 시청 규제(parental control)
- 사용자의 식별자에 기초한 활성 소셜 네트워크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들
- 컨텐츠 구입 명령 또는 인터넷 접속 명령과 같은 기능들로의 접근
- 개인화 설정들(즐겨 찾기, 선호 채널들, 언어, 타입, ...)
- 콘텐츠 추천 프로필.
주변 장치의 구조 및 구동
도 2는 주변 장치의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주변 장치는 컴퓨터(1) 및 메모리(2)를 포함하며, 메모리(2)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및 제어 기능들과 같이, 화면(3) 상에서 디스플레이의 기능들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저장한다.
만약 매칭된 텔레비전 세트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3)은 매칭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매칭된 텔레비전 세트가 인식되고 사용자가 식별되면, 주변 장치는, 아이콘의 형태로, 선택된 사용자(그/그녀의 프로필에 따라서)를 위해서, 텔레비전 세트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들을 표시한다.
각각의 선택된 기능들에 대해서, 사용자의 프로필에 따라 콘텐츠(contents) 리스트가 표시된다.
각각의 상기 콘텐츠는 동작 리스트를 제공하며, 상기 동작 리스트는 다음과 같다.
- 시청(watch)
- 구매(buy)
- 저장(save)
- 텔레비전 세트로 전송
- ...
이러한 동작들은 미디어 타입, 사용자의 프로필, 및 텔레비전 세트와 주변 장치 사이의 연결 모드와 링크된다.
추가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텔레비전 세트의 활성 상태의 표시를, 예를 들어, 시청한 스트림의 비디오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스트림의 일부 또는 이의 메타데이터의 일부(채널 또는 프로그램 로고, 프로그램 타이틀, ...)로서, 예약된 표시 영역에, 영구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정보는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주변 장치로 API 요청들을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텔레비전 세트는 그것의 임의의 상태 변화(예를 들어, 채널 전환, 프로그램 전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종료)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푸시된 메시지(pushed message)로서 연결된 모든 주변 장치들로 전송한다.
주변 장치의 기술 구조
주변 장치는 멀티미디어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WIFI 및/또는 셀 타입 연결 수단, 스크린 및 제어 수단,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을 갖는 태블릿 또는 셀룰러 폰이다.
특정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부터 다운로드를 통해, 이러한 주변 장치에 인스톨되거나, 또는 전용 주변 장치에 사전-인스톨된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는 주변 장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며 물리적(스크린, 키보드, ...) 또는 디지털(통신 버스, 메모리, ...) 입력/출력 수단들과의 상호작용을 제어한다.
도 2는 주변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 정보의 표시를 위한 주변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0)
- 주변 장치의 메모리에 있는 정보의 로컬 저장소를 위한 데이터베이스(11)
-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그래픽 표현들과의 기능들의 연관 및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스트림들로의 접근을 결정하는 제어기(12)
- 텔레비전 세트와의 상호작용, 및 주변 장치와 텔레비전 세트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요청기(13)를 제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원격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와 동시에 주변 장치 상에서 시작된다. 운영 시스템(Android, Ios, Windows, ...)에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들이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구현된다.
도 3이 보여주는 예시적인 화면의 다른 영역들의 스크린 상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다른 영역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 그래픽 아이콘들을 스크롤로서 표시하는 제1 영역(14), 각각의 아이콘은 주 활성 기능들과 연관된다:
- 주문형 비디오 콘텐츠의 카탈로그와 연관된 “주문형 비디오 VOD(Video On Demand VOD)” 아이콘(15)
- 프로그램 가이드와 연관된 “라이브 TV(live TV)” 아이콘(16)
- 재생된 채널 콘텐츠의 카탈로그와 연관된 “캐치업(catchup)” 아이콘(17)
- ...
- 사용 가능한 콘텐트(content)를 이미지 또는 비디오 시퀀스로서, 또는 문자 또는 그래픽 메타데이터로서라도 표시하기 위해서, 선택된 아이콘에 따라서 콘텐츠가 동적으로 변화하는 제2 콘텐트 표시 영역(20).
이와 같은 콘텐츠 각각은 터치 선택에 의해 활성화 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선택은, 옵션으로서 선택된 콘텐트와 연관된 기능들의 상황 별 리스트를 표시(예를 들어, “텔레비전 세트에서 재생(play on the television set)”, “저장(save)”, “공유(share)”, “주변 장치에서 재생(play on the peripheral device)”)하는 것뿐만 아니라 코멘트와 함께, 보다 큰 면적을 갖는 이미지, 비디오 또는 문자로서 상기 선택된 콘텐트의 상세 보기를 트리거한다. 만약 적용 가능하다면, 몇몇 아이콘들을 활성화하는 것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세트에서 몇몇 콘텐트를 선택하고 텔레비전 세트에서 그것의 재생을 제어하도록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간의 교환을 명령한다. 옵션으로서, 몇몇 기능들은 문자 입력 영역 또는 선택된 기능에 특유한 명령들을 갖는 대화 상자(예를 들어, 몇몇 코멘트가 달린 콘텐트를 공유하기 위해 이메일 또는 소셜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 화면의 열림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 영역(20)은 화면 표시의 순서 및 유형을 제어하는 터치 버튼(21)에 의해서 활성화 되는 필터링(filtering) 및/또는 정렬(sorting)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 텔레비전 세트 및 주변 장치 간의 양 방향 교환 기능들 및 정보를 보여주는 제3 표시 영역(30).
- 통신의 제1 카테고리는 “텔레비전 세트로부터 주변 장치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3 영역에서, 이는 텔레비전 세트에서 표시되는 콘텐트에 대응되는 비디오, 문자 및/또는 이미지 정보의 표시와 관련되며, 텔레비전 세트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추가 정보 및 상황 별 기능들을 확장 영역(31)에 걸쳐서 스크롤 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표시될 콘텐트를 변경할 수 있다. 텔레비전 세트에 보여지는 스트림의 유형에 관련된 아이콘들 및 상황 별 기능들은 이러한 영역(31)에 표시될 것이며, 그것들은 상기 스트림이 “주문형 비디오” 또는 “방송 채널” 또는 “어플리케이션” 타입들인 경우 상이할 것이다. 이러한 영역은 또한 인터랙티브 광고들 또는 HGG 타입의 텔레비전 채널들의 인터랙티브 루틴과 연결된 특정 신호를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주변장치 상에서 직접 인터랙티브 기능의 실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 영역(30)을 강조(하이라이트표시, 점멸, ...)하는 동안 텔레비전 세트 상에서 수신된 정보가 표시된다.
원격 제어는 상태 바(30)로서 활성 보기 영역을 갖는다. 이와 같은 영역(30)은,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원격 제어로 전송된 통지에 대응되는 그래픽 정보를 먼저 표시한다. 텔레비전 세트에 표시되는 콘텐트가 상호작용 마커(Hbbtv 타입)를 포함할 때, 이러한 통지가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방출된다. 상기 마커는 예를 들어,
- 투표 호출 서비스를 나타내는 URL
- 인터랙티브 광고 서비스를 나타내는 URL
- 인터랙티브 스포츠 베팅 서비스를 나타내는 URL
- ...
원격 제어 사용자는 표시 영역(30)에 나타난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서비스는 서드 파티(third party) 서비스로서 원격 제어 상에서, 원격 제어로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또는 원격 제어에 거주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예를 들어, 마커와 연관된 URL에 대응되는 사이트를 여는 웹 브라우저의 실행) 실행된다.
게다가, 임의의 특정 통지 없이 어느 때라도 텔레비전 세트에 의한 상황 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영역(30) 상에서, 예를 들어 “풀(pull)” 또는 “열기(open)” 타입들의 행동에 의해서, 행위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텔레비전 화면(표시 영역(33)) 상에 표시되는 콘텐트에 적용 가능한 행위들 및 콘텐트를 그/그녀로 하여금 볼 수 있도록 하는 확장 영역(31)의 표시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상황 별 정보는 정기적으로 갱신된다. 콘텐츠는 텔레비전 세트 상에서 보여지는 콘텐츠에 의해 결정된다. 그것들은 그래픽, 비디오, 문자일 수 있다. 그것들은 텔레비전 세트의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갱신된다.
이러한 행위들은 텔레비전 화면 상에 표시되는 콘텐트로 링크되며, 그것들은 텔레비전 세트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텔레비전 세트를 제어하는 텔레비전 세트 및 하나 이상의 원격 제어(들) 사이의 정보의 주기적인 교환에 의해, 제어된 텔레비전 세트의 상태를 영구적으로 반영한다.
동일한 텔레비전 세트 상에서 동시에 표시되는 다수의 상황들(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림 및 어플리케이션)은 각각의 상황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단일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나의 상황으로부터 다른 상황으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상황들이 텔레비전 세트 상에서 보여질 때(예를 들어 직접 스트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확장된 표시 영역(31)에서, 다수의 상황들이 표시될 수 있다.
- 제2 카테고리는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 향하는 방향에 관계되며,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타입의 제스처(gesture)에 의해, 주변 장치 화면에서 표시되는 다른 콘텐트에 따라서, 텔레비전 세트에서 표시되는 콘텐트 내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스처는 몇몇 사용 가능한 콘텐트의 표시 썸네일(thumbnail)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이를 제3 영역(30)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제3 영역(30)에서 이의 도착은 텔레비전 세트 상에서 콘텐트를 표시 하기 위해 텔레비전 세트를 제어하는 상황 별 행동, 예를 들어, 또는 텔레비전 세트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또는 텔레비전 세트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은 콘텐트의 구매를 위한 순서를 열기를 트리거한다.
주변 장치 상의 인포그래픽(infographics) 표시는 개인화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텔레비전 세트 및 주변 장치 간의 설정 파일 교환으로부터 서비스 운영자 및/또는 텔레비전 세트의 인터페이스 적응 메커니즘을 이용한다.
데이터베이스(110)의 관리는 표시의 흐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주변 장치들의 메모리들에서 콘텐츠의 일부를 로컬에 저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콘텐츠는, 보여지는 콘텐트뿐만 아니라 장래에 시청될 가능성이 높은 콘텐트에 따라서 상황 별로 버퍼링(캐시(cache)) 된다.
제어기(12)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앞서 언급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서 주변 장치의 화면 상에 그것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요청기(13)는 주변 장치 상에서 콘텐트를 표시하도록 요청되는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 텔레비전 세트로 요청을 방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검색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다.
데이터 동기화
텔레비전 세트는 표준 포맷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연결된 주변 장치들로 전송하며, 상기 주변 장치는 비디오 콘텐트를 디코딩하고 재생하기 위한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대체 솔루션에 따르면, 주변 장치는, 텔레비전 세트에 의해 푸쉬(push)된 메타데이터 타입의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스트림들을 수신 및 디코딩하는 독립적이고 종합적인 수단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텔레비전 세트 상에 표시될 스트림의 미러(mirror)를 생성하기 위해서, 주변 장치 화면 상에 표시될 스트림의 선택 및 보여질 시퀀스의 시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주변 장치에 표시된 정보의 부드러운 진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정보는 텔레비전 세트 및 주변 장치 사이의 메타데이터를 동기화 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동기화는 두 개의 타입의 메커니즘들을 구현하며, 상기 두 개의 타입의 메커니즘들을 다음과 같다.
제1 메커니즘은, 인터페이스에 의해서, 로컬에서 사용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로컬에서 기간 만료된 형태(미리 정해진 유효 기간을 초과하는 기록 날짜)로 사용 가능한 몇몇 데이터에 대한 요청에 관련된다. 이러한 경우에, 요청기는 텔레비전 세트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로부터 요청된 로컬 데이터를 갱신하도록 명령한다.
도 4는 이와 같은 동기화 메커니즘의 다양한 상태를 설명하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동기화 메커니즘은 동기화 요청을 기다리는 상태에서 시작된다.
이와 같은 요청이 제어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에 의해서 방출될 때,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기능이 선택될 때, 메커니즘은 주변 장치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정보의 표시를 명령하고, 로컬 데이터베이스의 기록 날짜 및 텔레비전 세트의 데이터베이스의 마지막 기록 날짜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로컬 데이터의 유효성을 동시에 테스트한다.
만약 로컬 데이터가 갱신되면, 상기 메커니즘은 대기 포지션으로 되돌아간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상기 메커니즘은 텔레비전 세트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의 임포트(import)를 트리거하고, 주변 장치 상에서 그것의 표시를 제어한다.
두 번째 메커니즘은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구동된다.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요청기는 데이터베이스의 몇몇 부분들을 갱신을 명령한다.
텔레비전 세트의 소프트웨어 구조
도 5는 텔레비전 세트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그 구조는 다음을 포함한다:
- 물리적 및 디지털 연결을 위한 물리 계층(50)
- 외부 서버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계층들(51, 52)
- 콘텐트 재생 및 기능들 표시를 관리하기 위한 미들웨어(middleware) 계층(53)
- 미들웨어 계층들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특정 기능들의 실행 및 3D 랜더링 엔진(rendering engine)의 기능들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적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프레임워크(framework)”) 계층(54)
- 텔레비전 세트 화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계층(55)
-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간의 교환을 관리하기 위한 외부 주변 장치들에 전용인 대화 계층(56)
대화 계층(56)은, 동기화 데이터의,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간의 대화의, 주변 장치들의 매칭의 다양한 루틴들의 실행을 명령하고, 주변 장치와 다른 계층들(50 내지 55), 특히 구조적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계층(54), 간의 정보의 교환을 제어한다.
11: 데이터베이스 12: 제어기
10: 사용자 인터페이스13: 네트워크 요청기

Claims (11)

  1. 표시 화면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격 주변 장치 및 디코더와 연관된 텔레비전 세트, 및 상기 주변 장치와 상기 텔레비전 세트 또는 상기 디코더 사이의 디지털 대화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 또는 상기 디코더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원격 제어 수단 및 상기 텔레비전 세트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의 표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장치의 제어 수단과 연관된 기능들은 상황 별 타입이며 상기 텔레비전 또는 상기 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텔레비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상기 디코더 또는 상기 텔레비전 세트 상의 활성 콘텐츠와 동시에 보기 위한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세트는 설정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라이브러리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텔레비전 세트의 상황에 따라서 상기 주변 장치의 구동을 변경하기 위해서 상기 설정 데이터를 주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는 상기 주변 장치의 상기 제어 수단과 연관된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프로필들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데이터는 활성 사용자 프로필과 연관된 파라미터들에 의해 개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외부 출처로부터의 미디어 콘텐트의 표시 및 처리를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텔레비전 세트 또는 디코더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세트로부터 주변 장치로의 정보 통신 프로토콜은 주변 장치로 메시지를 푸쉬(push)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주변 장치 및 텔레비전 세트 사이의 물리적 근접을 요구하는 매칭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세트가 연결된 주변 장치들로 정보를 푸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텔레비전 세트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은 TCPI/IP 전송 계층 및 WIFI 또는 모바일 셀룰러 네트워크 타입들의 물리적 채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텔레비전 세트 및 주변 장치 사이의 메타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KR1020157007027A 2012-08-20 2013-08-09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지능형 원격 제어 KR20150090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7883A FR2994625B1 (fr) 2012-08-20 2012-08-20 Telecommande intelligente pour televiseur numerique
FR1257883 2012-08-20
PCT/FR2013/051916 WO2014029936A1 (fr) 2012-08-20 2013-08-09 Telecommande intelligente pour televiseur numer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027A true KR20150090027A (ko) 2015-08-05

Family

ID=4766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027A KR20150090027A (ko) 2012-08-20 2013-08-09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지능형 원격 제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45088A1 (ko)
EP (1) EP2885922A1 (ko)
JP (1) JP2015534302A (ko)
KR (1) KR20150090027A (ko)
CN (1) CN104620592A (ko)
FR (1) FR2994625B1 (ko)
WO (1) WO2014029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5578B2 (en) 2019-10-16 2022-04-05 Ig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orting event wagering opportunities remote from a gaming establishment sports book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21862A (en) * 1997-09-29 2005-07-25 Nds Ltd West Drayton Distributed ird system for pay television systems
US8098140B1 (en) * 2000-07-13 2012-01-17 Universal Electronics Inc. Customizable and upgradable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KR100533675B1 (ko) * 2003-07-24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화된 데이터 포맷을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US7941786B2 (en) * 2004-09-08 2011-05-10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figurable controlling device and associated configurat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7743012B2 (en) * 2004-09-08 2010-06-22 Universal Electronics Inc. Configurable controlling device and associated configuration upload and download system and method
US8199113B2 (en) * 2006-09-13 2012-06-12 Savant Systems, Llc Programmable on screen display and remote control
US7930644B2 (en) * 2006-09-13 2011-04-19 Savant Systems, Llc Programming environment and metadata management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US20080098450A1 (en) * 2006-10-16 2008-04-24 Toptrend Global Technologies, Inc. Du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ology for broadcast, cable television and IPTV
US8861898B2 (en) * 2007-03-16 2014-10-14 Sony Corporation Content image search
US20090156251A1 (en) * 2007-12-12 2009-06-18 Alan Cannistraro Remote control protocol for media systems controlled by portable devices
US9294705B2 (en) * 2008-06-27 2016-03-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ubiquitous appliance control
US20100157168A1 (en) * 2008-12-23 2010-06-24 Dunton Randy R Multiple, Independent User Interfaces for an Audio/Video Device
DE102009059281B4 (de) * 2009-12-22 2012-01-05 Loewe Opta Gmbh Bediensystem
US9485535B2 (en) * 2010-01-1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Notification of interactivity event asset delivery source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CN103535028A (zh) * 2010-12-30 2014-01-22 汤姆逊许可公司 用于提供与显示的内容相关的附加内容的方法和系统
US9055162B2 (en) * 2011-02-15 2015-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94625B1 (fr) 2014-08-08
EP2885922A1 (fr) 2015-06-24
JP2015534302A (ja) 2015-11-26
FR2994625A1 (fr) 2014-02-21
US20150245088A1 (en) 2015-08-27
CN104620592A (zh) 2015-05-13
WO2014029936A1 (fr)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2571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JP7159358B2 (ja) ビデオアクセス方法、クライアント、装置、端末、サーバおよび記憶媒体
US1172744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EP3384379B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virtual operating system user interface on a display device
KR101706407B1 (ko) 비디오 디바이스에서 인터넷으로 검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430656B6 (ja) 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表示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CN106489150A (zh) 用于识别和保存媒体资产的一部分的系统和方法
KR20140117387A (ko) 제2 스크린 상의 대체 뷰 비디오 재생
JP5944920B2 (ja) 端末、電子機器のログイン設定情報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電子機器
US2016021066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WO2021143362A1 (zh) 资源传输方法及终端
WO2021143386A1 (zh) 资源传输方法及终端
WO2011158487A1 (ja) 操作支援装置及び操作支援方法
CN113242444A (zh) 一种显示设备、服务器及媒资播放方法
WO2017062873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that was advertised on a second screen device using a primary device
WO2021139045A1 (zh) 播放媒体项目的方法及显示设备
WO2018082038A1 (zh) 智能控制的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系统
US201403312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ing media content consumption status in a group of users
KR20150090027A (ko)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지능형 원격 제어
KR102611253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CN117859331A (zh) 显示设备、终端设备及内容显示方法
CN113965785A (zh) 一种资源同步播放方法及显示设备
CN115270030A (zh) 显示设备及媒资播放方法
KR101496135B1 (ko) 획득할 컨텐트의 선택과정에서 제시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저장된 정보를 획득 컨텐트에 연관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16185238A (zh) 显示设备和交互应用展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