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804A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Knowlegde Based on Ti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Knowlegde Based on T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9804A KR20150089804A KR1020140010826A KR20140010826A KR20150089804A KR 20150089804 A KR20150089804 A KR 20150089804A KR 1020140010826 A KR1020140010826 A KR 1020140010826A KR 20140010826 A KR20140010826 A KR 20140010826A KR 20150089804 A KR20150089804 A KR 201500898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le
- knowledge
- unit
- interac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식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일 객체를 기반으로 맵과 트리의 특성을 고려한 지식가시화 기술을 활용한 지식 가시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wledg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knowledge visualization techniqu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 map and a tree based on a tile object.
대표적인 온라인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는 누구나 지식을 업데이트할 수 있어 양적으로 풍부한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키워드 검색 및 페이지 내의 링크를 통해 관련 지식을 탐색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의 지식인(in)도 위키피디아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포함하는 지식을 누구나 등록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ikipedia, a leading online encyclopedia, has a wealth of knowledge, which allows anyone to update their knowledge, and provides a way to search for relevant knowledge through keyword search and links within the page. Naver's intellectuals (in), like Wikipedia, enable anyone to register and explore knowledge that includes text, images, audio, and video.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지식 서비스들은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선정한 단어 수준의 키워드로 지식의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그 탐색 결과는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텍스트 목록으로만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However, the knowledge services as described above can search for knowledge by a word level keyword selected by the user in order to retrieve necessary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earch results are not arranged at a level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understand, but are often provided only as text lists.
따라서, 사용자는 탐색 결과에 대한 즉각적인 이해가 어려울 경우, 이해를 돕기 위한 추가적인 지식을 부가적으로 검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방대한 양의 관련 지식 링크를 일일이 탐색하거나, 새로운 키워드를 이용하여 재탐색을 해야 한다. 또한, 텍스트 기반으로 출력된 지식 탐색 결과는 지식들간의 연관 관계가 효과적으로 표현되어 있지 않다.Therefore, if the user does not have an immediate understanding of the search results, he or she should search additional knowledge to help understand. To do this, the user has to search through a vast amount of related knowledge links, or re-search using new keywords. In addition, the knowledge search result output based on the text is not effectively represented in the association of knowledge.
전술한 종래의 지식 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탐색된 결과를 가시화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토픽맵, 컨셉맵 및 마인드맵 등과 같은 맵 기반의 가시화 기술이나, 키워드나 카테고리 분류에 기반한 트리 기반의 가시화 기술들이 서비스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제공되어 왔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knowledge service described above, various techniques for visualizing the retrieved results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map-based visualization techniques such as topic maps, concept maps, and mind maps, and tree-based visualization techniques based on keywords or category classification have been provided in various variations according to service objectives.
그러나, 전술한 가시화 기술들은 지식들이 갖는 상호 간의 연관관계를 가시화하는 것이 쉽지 않고,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서 누구나 직관적으로 지식을 탐색하고 접근할 수 있는 형태의 지식 가시화가 제공되지 않는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visualization techniques are not easy to visualize the inter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the structure is so complex that knowledge visualization is not provided in a form in which anyone can intuitively search for and access knowledge.
특히 서비스의 목적 및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가시화 뷰가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술들은 단일한 형태의 뷰 하나로 가시화가 제공되고 있다. 즉, 기존의 가시화 뷰를 서비스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른 형태의 뷰로 쉽게 변환하여 제공할 수 없다. In particular, despite the wide variety of visualization views that can be appli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ervi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xisting technologies are being provided with a single type of view. That is, an existing visualized view can not easily be converted into another type of view according to a service and a user's request.
또한, 상대적으로 특정 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사용자가 학습을 목적으로 특정 지식 서비스에 접근하는 경우, 종래의 지식 탐색은 텍스트 기반의 지식 탐색과 같이 여러 단계의 탐색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탐색이 용이하지 않다.
In addition, when a user having a relatively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a specific knowledge approaches a particular knowledge service for learning purposes, the conventional knowledge search is not easy to search because it must undergo various stages of searching such as a text-based knowledge search .
본 발명은 지식의 계층 구조와 지식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맵과 트리를 결합한 타일 기반의 가시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e-based visu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combines a map and a tree to visualize content data included in a knowledge hierarchy and knowledge.
본 발명은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방법으로, 지식 정보의 기본 출력 단위인 하나 이상의 타일들로 구성된 격자 공간을 구성하는 단계와, 타일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격자 공간의 행과 열에 배치될 기준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타일을 배치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onstructing a lattice space composed of one or more tiles which is a basic unit of output of knowledge information; Setting at least one tile according to the set reference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tile to a screen.
본 발명은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로,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입력한 인터랙션 신호를 해석하는 인터랙션 해석부와, 지식 정보를 획득하여 지식 정보의 기본 출력 단위인 하나 이상의 타일을 생성하는 타일 생성부와, 하나 이상의 타일들로 구성된 격자 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격자 공간의 행과 열에 배치될 기준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타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타일을 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부와, 상기 인터랙션 해석부에 의해 해석된 사용자 인터랙션 신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을 변경하는 인터랙션 수행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which comprises a user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teraction signal from a user, a display unit, an interactio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an interaction signal inputted by the user input unit, A til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t least one tile that is a basic output unit of the tile generating unit, a tile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form a lattice space composed of one or more tiles, setting reference information to b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of the lattice space, A tile-based interface screen forming unit for arranging at least one tile generated by the tile generating unit and outputting the tile-based interface screen to the display unit; and a tile-based interfac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user interaction signal analyzed by the interaction analyzing unit, And an interaction performing unit for changing the interaction.
본 발명은 타일이라는 단일한 객체를 사용하여 지식 및 콘텐츠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격자 형태의 레이아웃에 격자 열을 기준으로 배치함으로써 복잡한 지식을 보기 쉽게 가시화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object called tile is used, and a complex knowledge is easily visualized by arranging a lattice column based on a lattice type layou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nd contents data.
또한, 본 발명에서는 출력해야 하는 정보의 양에 따라 지식의 계층 구조와 지식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영역을 각각 트리와 맵 형태로 분리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가시화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화면의 구성을 복잡하지 않게 유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knowledge and the area for visualizing the content data included in the knowledge are separately used in the form of a tree and a map,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outputted. Therefore, And the screen configuration can be kept uncomplica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이라는 일반화된 출력 화면과 같은 형태를 갖는 타일 객체를 가시화의 기본 단위로 사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요구에 따라 각각의 영역을 자유롭게 변형하거나 하나의 영역으로 통합하여 다양한 뷰 화면으로 출력 가능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tile object having the same shape as a generalized output screen called a rectangle is used as a basic unit of visualization, each region can be freely transformed according to a service request or integrated into one region and output as various view screens Do.
또한, 본 발명은 지식의 계층 구조와 지식에 포함된 콘텐츠 데이터들을 가시화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주대상이 되는 지식과 유사한 구조와 특성을 갖는 다른 분야들, 예를 들어 파일시스템의 데이터 출력, Wiki와 같이 구조화된 웹 페이지의 출력 등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for visualizing content data includ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of knowledge and knowledge, it is possible to use other fields having similar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Output, and output of structured web pages such as Wiki.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및 격자 공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격자 공간을 설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레벨 조절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선택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격자 공간에서 타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격자 공간에서 타일 기반 지식 구조 및 컨텐츠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출력 결과 필터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라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의 기본적인 지식 간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ile and a lattic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setting a lattic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e level adjustment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e selectio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information of a tile in a lattice sp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A-7E illustrate a tile-based knowledge structure and content output in a lattice spa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output results filtering by user inter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S. 9A to 9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ic inter-knowledge relationship of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term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sufficiently modif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and customs of the user or the operator. It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본 발명은 다양한 지식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모델을 제공한다. 여기서, 지식은 사회 각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에 의해 산발적으로 산출되는 다양한 콘텐츠들을 정제 및 검증하고, 이를 쉽게 사용자가 습득할 수 있도록 재가공한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콘텐츠는 지식과 함께 제공되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3D, 다양한 포맷의 문서 등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model to systematically provide various knowledge information. Here, knowledge refers to information that has been refined and verified for various contents sporadically generated by various purposes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and reworked so that users can easily acquire it. In addition, the content means text, image, audio, video, 3D, documents of various formats, etc., provided with knowle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및 타일 격자 공간이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tile and a tile lattice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타일은 모델에서 독립적인 명칭을 갖고, 사용자와의 인터랙션이 가능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기본 출력 단위이다. Referring to FIG. 1, a tile is a basic output unit having a name independent of the model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a user.
일 실시 예에 따라, 타일은 직사각형의 모양의 외곽선, 배경색 및 라벨로 구성된다. 라벨은 타일과 링크된 지식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으로, 지식 정보의 명칭, 등록일 및 식별자(ID)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ile comprises a rectangular outline, a background color, and a label. The label indicates the information about the knowledge linked to the tile, and may include the name of the knowledge information, the registration date, and the identifier (ID).
격자 공간은 열과 행을 가지는 2차원 평면의 가상 공간으로, 격자 공간은 2차원 평면 공간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가로, 세로의 구분선 통해 분할된 셀 단위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셀에는 오직 하나의 타일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격자 공간을 구성하는 행들 및 열들 중 하나는 타일의 배치를 위한 분류 기준이 표시된다. 예컨대, 첫번째 행과 첫번째 열에 분류 기준이 표시될 수 있다.The lattice space is a virtual space of a two-dimensional plane having rows and columns, and the lattice space is formed of a space in units of cells divid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dividing lin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two-dimensional plane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ly one tile can be placed in one cell. In addition, one of the rows and columns constituting the lattice space is marked with a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the placement of tiles. For exampl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격자 공간에서 분류 기준이 표시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lassification criterion is displayed in a lattic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격자 공간을 구성하는 행들 및 열들 중 하나는 기준 정보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정보는 두 가지 형식을 갖는데, 하나는 분류 가능한 도메인 기준으로 파일의 형식이나 카테고리 정보 등과 같이 분류가 가능한 기준 정보들이 배치된다. 다른 하나는 색인 가능한 정렬 기준으로 색인번호, 날짜, 버전 등과 같이 정렬이 가능한 기준 정보들이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2, one of the rows and columns constituting the lattice space is displayed with referenc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has two formats, one of which is a reference information that can be classified, such as a format of a file or category information based on a classifiable domain. The other is an indexable sorting reference, in which sortable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an index number, a date, a version, and the like is arranged.
예컨대, 격자 공간의 각 열에 타일의 분류 기준이 되는 지식 도메인 정보가 배치되고, 각 행에는 타일의 정렬을 위한 색인 번호가 배치된다. 또한, 격자 공간의 행과 열에 배치되는 분류 기준과 정렬 기준은 그 위치를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행에 분류 가능한 속성이 배치하고, 열에 정렬 가능한 속성이 배치될 수 있는데,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행과 열에 어떤 분류 기준을 배치할지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knowledge domain information serving as a classification criterion of tiles is arranged in each column of the lattice space, and an index number for aligning the tiles is arranged in each row. In addition, the sorting criterion and the sorting criterion arranged in the rows and columns of the lattice space can be switched from one another to another. In other words, contrary to that shown in Fig. 2, a row-breakable property can be placed and an attribute that can be arranged in a column can be arranged. It is possible to set which classification criterion is placed in rows and columns by user interaction.
여기서, 분류 가능한 속성은 지식의 계층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위계, 지식의 정의와 지식 간의 연관관계를 표현하는 지식유닛, 그리고 지식유닛을 통해 전달되는 다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lassifiable attribute may include a knowledge hierarchy expressing a hierarchical relationship of knowledge, a knowledge unit expressing a relation between a definition of knowledge and knowledge, and a plurality of contents delivered through the knowledge uni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의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10), 인터랙션 해석부(120),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부(130), 인터랙션 수행부(140), 타일 생성부(150), 랜더링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지식 DB(18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includes a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인터랙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키패드, 마우스 등의 모든 가능한 입력 수단이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70)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입력부(110)와 디스플레부(170)가 통합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인터랙션 해석부(120)는 사용자 입력부(110)가 입력한 인터랙션 정보를 해석하고, 지식가시화 요청 질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는 인터랙션은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설정 요청, 타일 레벨 변경 요청, 타일 선택/비선택 요청, 타일 링크 콘텐츠 정보 출력 요청, 타일 연관 하위 계층 타일 출력 요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도 2에 도시된 격자 공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터랙션을 분석하여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타일이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배치된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은 랜더링부(160)를 통해 랜더링되어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The tile-based interface
인터랙션 수행부(140)는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부(130)에 의해 구성된 격자 공간에 타일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타일의 배치 위치 등과 같은 가시화 화면 구성 정보를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작성 및 변경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컨대, 격자 공간 및 격자 공간에 배치된 타일들은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그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격자 공간의 행과 열은 삽입, 삭제, 병합 및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타일의 출력 정보는 레벨(level) 또는 깊이(depth)를 갖는다. 즉, 타일에 부여된 출력 레벨에 따라 타일에 출력되는 정보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4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타일 생성부(150)는 인터랙션 수행부(140)에서 전달한 지식가시화 요청 질의에 따라 타일 형태로 출력할 지식 정보를 지식 DB(180)로부터 획득하여 타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타일 생성부(150)는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나, 유/무선 통신 수단으 통해 외부에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랜더링부(160)는 인터랙션 수행부(140)에서 전달한 가시화 화면 구성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70)을 통해 출력 가능한 형태로 랜더링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디스플레이부(170)는 랜더링부(160)에 의해 랜더링된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뷰어이다.The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랙션 수행에 따라 타일 기반 화면을 통해 사용자 인터랙션이 반영되는 것을 도 4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Based on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user interaction is reflected on the tile-based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intera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9C.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레벨 조절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e level adjustment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타일의 출력 레벨은 확대/축소라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랙션에 따라 Level 1의 타일이 Level 2로 확대되면, Level 1에서 타일에 라벨만이 표시되어 있다가, Level 2에서는 타일에 트리 형태의 지식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타일의 크기가 확대됨에 따라 더 많은 양의 지식이 출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output level of the tile can be controlled through user interaction of zooming. That is, i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선택 인터랙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e selection intera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격자 공간의 행과 열에 설정된 기준 정보를 바탕으로 타일이 배치될 셀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격자 공간에 배치된 타일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active), 비선택(non-active) 두 가지의 상태를 갖게 되며, 비선택된 타일의 경우 타일의 스타일 정보를 비선택 스타일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해당 타일의 하위 정보는 별도의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까지 출력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5의 지식 위계 열의 타일 중, '물질의 분자운동'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아서 타일의 배경색이 선택된 타일과 상이하게 처리된다.Referring to FIG. 5, the location of a cell in which a tile is to be arranged is determined based on reference information set in rows and columns of the grid space. In addition, the tiles arranged in the lattice space have two states, active and non-activ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e case of the non-selected tiles, the style information of the tiles is changed to the non- And the sub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ile is not output until there is a separate user request. For example, among the tiles in the knowledge hierarchy column of FIG. 5, the user does not select the 'molecular motion of the material' so that the background color of the tile is processed differently from the selected til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격자 공간에서 타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detailed information of a tile in a lattice sp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타일은 지식을 구성하는 정보를 속성으로 포함하고 있는데, 예컨대 도 6에서와 같이 교과서와 연계된 지식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타일을 골라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타일의 더블클릭 또는 밀기(swipe)와 같이 사용자가 미리 정의된 타일과의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해당 타일에 대한 상세 정보가 선택한 타일이 위치한 격자 공간의 인접 위치에 말풍선(툴 팁 - Tool Tip) 형태로 출력된다. The tile includes information constituting knowledge as an attribut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knowledge associated with the textbook can be output. When a user wants to check specific information by selecting a specific tile and performs a user interaction with a predefined tile such as a double click or swipe of the til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tile is displayed in a grid space (Tool tip)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ball.
예컨대, 도 6에서는 '중 1 과학' 교과서와 연계된 '물질의 세 가지 상태'라는 지식 분류 체계에 속한 '액체'라는 지식유닛에 포함된 '고체=액체-기체.jpg'라는 콘텐츠까지의 상세 정보를 타일의 우측면에 말풍선 형태로 차례대로 출력하고 있다.For example, in FIG. 6, the details of the content 'solid = liquid-gaseous .jpg' included in the knowledge unit 'liquid' belonging to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ystem 'three states of matter' The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right side of the tile in the form of speech bubbles.
이러한 상세 정보 출력은 타일로 구성된 기본 화면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타일로 구성된 기본 화면 위에 상세 정보를 출력하기에 충분한 셀 개수만큼의 영역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즉, 상세 정보의 경우 타일과 달리 하나의 셀 공간만을 사용하지 않고, 출력되는 정보에 따라 미리 정의된 크기만큼의 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과서나 지식 위계는 2개의 셀 공간을 사용하지만, 콘텐츠의 경우 6개의 셀 공간을 사용한다.This detailed information output does not affect the basic screen layout composed of tiles. That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ells sufficient to output detailed information on a basic screen composed of tiles is selected and used. That is, unlike a tile, detailed information can use a cel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according to information to be output without using only one cell space. For example, a textbook or knowledge hierarchy uses two cell spaces, while a content uses six cell spaces.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격자 공간에서 타일 기반 지식 구조 및 컨텐츠 출력을 도시한 도면이다.7A-7E illustrate a tile-based knowledge structure and content output in a lattice spa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격자 공간에서 '교과서' 열에 배치된 '중 1 과학' 타일에 대해 미리 약속된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해당 교과서 타일과 연계된 지식위계 정보가 '중 1 과학' 타일 우측의 지식 위계 열에 타일로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7A, when the user performs predetermined interactions with respect to the 'one science' tile disposed in the 'textbook' column in the grid space, the knowledge hierarchy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extile tile is' Is output as a tile in the knowledge hierarchy column of FIG.
도 7b를 참조하면, 다시 '지식 위계' 열에서 '물질의 상태'라는 지식 위계에 속한 타일에서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이 지식 위계와 연관된 지식의 단위정보가 '물질의 상태' 타일의 우측의 '지식 유닛' 열에 타일로 출력된다. 그리고 선택되지 않은 '물질의 분자운동' 타일은 비선택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7B, when an interaction is performed in a tile belonging to the knowledge hierarchy of 'state of matter' in the 'knowledge hierarchy' column, the unit information of knowledge related to the knowledge hierarchy is' Knowledge unit 'column. And the unselected 'molecular motion of material' tile is unselected.
도 7c를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지식 위계' 열에서 '물질의 상태'라는 지식유닛에 속한 타일에서 인터랙션을 수행하면, 이 지식유닛과 연계된 콘텐츠들이 타일의 우측면에 맵 형태로 차례대로 출력된다. Referring to FIG. 7C, when an interaction is performed in a tile belonging to a knowledge unit 'state of matter' in the 'knowledge hierarchy' column, contents associated with the knowledge unit are sequentially output in a map form on the right side of the tile.
도 7d를 참조하면, 콘텐츠 열과 기준 정보를 추가하여 출력되는 콘텐츠들을 파일 형식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D, contents output by adding a content column and reference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a file format and output.
도 7a 내지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식을 구성하는 정보 중, 지식위계와 지식유닛까지는 트리 형태의 계층구조를 유지하면서 타일을 배치하고, 콘텐츠의 경우 지식유닛 타일의 위치와 열의 기준정보에 따라 트리 또는 맵 형태로 타일을 배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tiles are arranged while maintaining a hierarchical structure of a tree form up to the knowledge hierarchy and the knowledge units, and in the cas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knowledge unit tile and the reference information of the column The tiles are arranged in a tree or map form.
또한, 도 7e와 같이 출력되는 콘텐츠들의 수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설정을 통해 여러 개의 열을 병합하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number of contents to be output is large as shown in FIG. 7E, the user can output a content by merging a plurality of columns through setting.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출력 결과 필터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output results filtering by user inter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은 '교과서' 예시에서 사용자가 지식 위계 정보를 제외한 지식유닛과 관련콘텐츠 정보만 확인하고 싶은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식 위계' 열을 삭제하는 것으로 손쉽게 출력 화면을 변경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textbook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esires to check only the knowledge unit and related contents information excluding the knowledge hierarch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output screen by deleting the 'knowledge hierarchy' column as shown in FIG. 8A have.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 열의 교과서와 관련된 타 교과서 정보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도 8b와 같이 '서비스 대상'열을 교과서 열 좌측에 추가하는 것으로 현재 교과서와 같은 학년이 사용하는 다른 교과서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Likewise, if it is desired to check other textbook information related to the textbook in the 'textbook' column currently used by the user, the 'service target' column is added to the left side of the textbook column as shown in FIG. .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라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의 기본적인 지식 간 연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S. 9A to 9C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basic inter-knowledge relationship of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웹 페이지의 링크(link)와 같이 지식은 다른 지식과 하나 이상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들 관계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지식 Y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식 Y를 습득하기에 앞서 먼저 알아야 하는 선행지식 X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지식 X는 Y의 선행지식이 되며, 지식 Y는 X의 후행지식이 된다.Knowledge, like a link on a web page, can have one or more relationships with other knowledge. These relationships can be defin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service objectives. For example, in order to understand a knowledge Y, there may be a prior knowledge X that needs to be learned first before acquiring knowledge Y. At this time, knowledge X becomes a prior knowledge of Y, and knowledge Y becomes a follow-up knowledge of X.
이들 연관관계를 타일 기반 가시화 뷰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일의 출력 예시에 따라 지식 간 연관관계 가시화를 지원할 수 있다. In order to output these association relations to the tile-based visualization view, it is possible to support visualization of knowledge-to-knowledge association according to the output example of the tile as described above.
예컨대, 도 9a와 같이 트리 기반의 지식영역에 현재 선택된 지식과 연관관계를 갖는 지식들을 특정지어 별도의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a에서는 고체의 후행지식으로 지식 영역의 액체와 기체가 다른 타일들과 상이하게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knowledge currently selected in the tree-based knowledge area can be specified and displayed in a separate color. In FIG. 9A, it can be seen that the liquid and gas in the knowledge area are displayed differently from the other tiles with the solid follow-up knowledge.
또한, 도 9b와 같이 타일의 상세 정보 출력 형태를 이용하여 현재 선택된 지식의 연관관계를 콘텐츠 맵과 같은 상이한 형태로 가시화할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9B, the relationship of the currently selected knowledge can be visualized in a different form such as a content map by using the detailed information output form of the tile.
마지막으로, 도 9c와 같이 지식의 구조를 출력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선택한 지식과 연관관계가 있는 지식을 역순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c에서는 현재 선택된 '고체'라는 지식의 후행 지식의 지식 구조를 화면 오른쪽 방향으로 역순의 트리 형태로 출력하여 제공함으로써 후행 지식의 구조를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Finally, as shown in FIG. 9C, the area for outputt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can be expanded to output the knowledge related to the selected knowledge in the reverse order. In FIG. 9c,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knowledge of the trailing knowledge of the currently selected 'solid' is outputted in the tree form in the reverse order to the right of the screen to provide a structure of the trailing knowledge so that it can be easily recognized.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S910에서,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가시화의 기본 단위인 타일을 배치할 격자 공간을 구성한다. 여기서, 격자 공간은 열과 행을 가지는 2차원 평면의 가상 공간으로, 격자 공간은 2차원 평면 공간상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가로, 세로의 구분선 통해 분할된 셀 단위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셀에는 오직 하나의 타일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격자 공간을 구성하는 행들 및 열들 중 하나는 타일의 배치를 위한 분류 기준이 표시된다. 예컨대, 첫번째 행과 첫번째 열에 분류 기준이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step S910,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constitutes a lattice space for arranging tiles, which is a basic unit of visualization. Here, the lattice space is a virtual space of a two-dimensional plane having rows and columns, and the lattice space is formed of a space in units of cells divided through horizontal and vertical dividing lin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two-dimensional plane spa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ly one tile can be placed in one cell. In addition, one of the rows and columns constituting the lattice space is marked with a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the placement of tiles. For exampl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row and the first column.
S920에서,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타일이 배치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격자 공간의 행과 열에 배치될 기준 정보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준 정보는 두 가지 형식을 갖는데, 하나는 분류 가능한 도메인 기준으로 파일의 형식이나 카테고리 정보 등과 같이 분류가 가능한 기준 정보들이 배치된다. 다른 하나는 색인 가능한 정렬 기준으로 색인번호, 날짜, 버전 등과 같이 정렬이 가능한 기준 정보들이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기준 정보를 입력받아 설정하거나,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본 기준 정보로 설정한다. At S920,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device sets reference information to be placed in the rows and columns of the grid space to determine where the tiles will be plac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information has two formats, one of which is a reference information that can be classified, such as a format of a file or category information based on a classifiable domain. The other is an indexable sorting reference, in which sortable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an index number, a date, a version, and the like is arranged. Here, the user inputs and receives the reference information, or sets the reference information as previously stored basic reference information.
S930에서,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격자 공간이 구성되면, 사용자 인터랙션을 통해 격자 공간상에서 첫 번째로 출력할 시작 타일을 선택받는다. 시작 타일은 가시화의 시작, 즉 출발점이 되는 타일이다.In S930,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selects a start tile to be output first in the lattice space through user interaction when the lattice space is constructed. The start tile is the starting, or tile, starting point of visualization.
S940에서,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시작 타일이 결정되면, 시작 타일이 배치된 격자공간을 화면에 출력한다.In S940, when the start tile is determined,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outputs the grid space in which the start tile is arranged on the screen.
이후 S950에서 사용자가 시작 타일에 대한 인터랙션 수행을 통해서 하위에 출력할 타일이 존재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새로운 기준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현재 출력중인 화면 구성이 변경되면 변경된 타일과 격자공간 정보를 반영하여 화면을 갱신한다. In step S950, if the user tiles to be output to the lower level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start tile, or if the user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currently being output by adding the new reference information, the changed tiles and the grid space information are reflected, Update.
즉, S950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이 입력됨에 따라,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S960에서 인터랙션 신호를 분석한다. 본 발명에 따는 인터랙션은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설정 요청, 타일 레벨 변경 요청, 타일 선택/비선택 요청, 타일 링크 콘텐츠 정보 출력 요청, 타일 연관 하위 계층 타일 출력 요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user interaction is input in S950,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analyzes the interaction signal in S960. Th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ile-based interface screen setting request, a tile level change request, a tile selection / non-selection request, a tile link content information output request, a tile-related lower layer tile output request,
S970에서, 타일 기반 기식 가시화 장치는 인터랙션 분석에 따라 화면 구성을 변경한다. 예컨대, 격자 공간 및 격자 공간에 배치된 타일들은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따라 그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격자 공간의 행과 열은 삽입, 삭제, 병합 및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타일의 출력 정보는 레벨(level) 또는 깊이(depth)를 갖는다. 즉, 타일에 부여된 출력 레벨에 따라 타일에 출력되는 정보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4 내지 도 8b 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In S970, the tile-based-type visualization apparatus changes the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analysis. For example, the tiles arranged in the lattice space and the lattice space can be enlarged or reduced in size according to the user's interaction. In addition, rows and columns of lattice space can be inserted, deleted, merged, and partitioned. Also,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tile has a level or a depth. That is, the amount of information output to the ti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utput level given to the tile. These user interactions ar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4 to 8B below.
S980에서 화면 구성 변경됨에 따라, S990에서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변경된 타일과 격자 공간을 화면에 출력한다.As the screen configuration is changed in step S980,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outputs the changed tiles and the grid space on the screen in step S990.
S1000에서 사용자가 추가 탐색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 S1000의 판단 결과 추가 탐색 요청될 경우,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S950으로 진행한다. 반면, 추가 탐색이 요청되지 않을 경우,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는 종료한다. At S10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requests additional search.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00 that an additional search is requested,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apparatus proceeds to step S950. On the other hand, if no further traversal is requested, the tile-based knowledge visualization device ends.
Claims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입력한 인터랙션 신호를 해석하는 인터랙션 해석부와,
지식 정보를 획득하여 지식 정보의 기본 출력 단위인 하나 이상의 타일을 생성하는 타일 생성부와,
하나 직사각형 셀들로 구성된 격자 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격자 공간의 행과 열에 배치될 기준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정보에 따라 상기 타일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타일을 배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 구성부와,
상기 인터랙션 해석부에 의해 해석된 사용자 인터랙션 신호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타일 기반 인터페이스 화면을 변경하는 인터랙션 수행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기반 지식 가시화 장치.A user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n interaction signal from a user,
A display unit,
An interaction analyzer for analyzing an interac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input unit;
A tile generation unit for acquir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t least one tile as a basic output unit of knowledge information;
A grid space configured by one rectangular cell, setting reference information to be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of the grid space, arranging one or more tiles generated by the tile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t reference information, A tile-based interface screen configuration unit for outputting the tile-
And an interaction performing unit for changing a tile-based interface screen output to the display unit to a user interaction signal analyzed by the interaction analyz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826A KR101695008B1 (en) | 2014-01-28 | 2014-01-28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Knowlegde Based on T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0826A KR101695008B1 (en) | 2014-01-28 | 2014-01-28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Knowlegde Based on T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9804A true KR20150089804A (en) | 2015-08-05 |
KR101695008B1 KR101695008B1 (en) | 2017-01-10 |
Family
ID=5388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0826A KR101695008B1 (en) | 2014-01-28 | 2014-01-28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Knowlegde Based on T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5008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12108A1 (en) * | 2003-02-06 | 2006-05-25 | Email Analysis Pty Ltd. |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using concept lattices |
-
2014
- 2014-01-28 KR KR1020140010826A patent/KR10169500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12108A1 (en) * | 2003-02-06 | 2006-05-25 | Email Analysis Pty Ltd. | Information classification and retrieval using concept latt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5008B1 (en) | 2017-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0879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knowledge graph,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
JP6185127B2 (en) | Electronic document search method and electronic document search graphical display method | |
JP6448207B2 (en) | Build visual search, document triage and coverage tracking | |
US8281238B2 (e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data structures using an interactive graphical interface | |
Walker et al. | Timenotes: a study on effective chart visualization and interaction techniques for time-series data | |
US2007013011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on and visualization of data in relational and/or multidimensional databases | |
US20120120086A1 (en) | Interactive and Scalable Treemap as a Visualization Service | |
US9009141B2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of contents | |
US8839091B2 (en) | Presenting faceted data on a user interface | |
JP5587989B2 (en) | Providing patent maps by viewpoint | |
TW200535633A (en) | Key-based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 |
US20140282163A1 (en) | Tree Map | |
CN102129453B (en) |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search result in mode of text completed with graphs | |
US2013026296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reviewing patent documents | |
WO2014112143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and program | |
CN114239524A (en) | Questionnaire generation method, questionnaire generation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US20170285911A1 (en) | Graphical interface for an augmented intelligence system | |
US8250480B2 (en) | Interactive navigation of a dataflow process image | |
US11194873B1 (en) | Grid-based ranking of location data | |
JP201201460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Dallago et al. | CellMap visualizes protein-protein interactions and subcellular localization | |
KR101695008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Knowlegde Based on Tile | |
KR2016000184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s | |
US20240095226A1 (en) | Methods and related devices for storing and accessing data using multi-level fractal grids | |
Loeffler | Improving geoscience data access and interoperability through the Flyover Country mobile ap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