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783A - Filtering device - Google Patents

Filter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783A
KR20150089783A KR1020140010788A KR20140010788A KR20150089783A KR 20150089783 A KR20150089783 A KR 20150089783A KR 1020140010788 A KR1020140010788 A KR 1020140010788A KR 20140010788 A KR20140010788 A KR 20140010788A KR 20150089783 A KR20150089783 A KR 20150089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housing
flow path
fluid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승철
유호현
Original Assignee
(주)태진스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스메트 filed Critical (주)태진스메트
Priority to KR102014001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783A/en
Publication of KR20150089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783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4Purifying;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장치의 작동 중 필터를 자가 세정하여, 필터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출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스파이럴부재; 상기 스파이럴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유체가 상기 유로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유동되면서 통과 및 여과되도록 구성된 필터; 및 일단부가 상기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따라 일단부에 유동되는 유체와 상기 유체에 함유된 이물이 타단부를 통해 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이물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유로의 상단으로 유동된 유체는 유동 과정에서 필터의 내면에 붙어 있는 이물을 휩쓸고 지나가게 되는바, 유로의 상단에 유동된 유체가 이물배출유로를 통해 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여과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의 자가 세정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필터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계속해서 여과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that self-cleans a filter during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is usable without replacement of the filter and no separate cleaning process.
To this end, there is provided a fluid supply devic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l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n outlet formed at the other side thereof, A spiral member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formed with a flow path for flowing a fluid in a spiral sha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the inlet port communicated with one end of the flow path; A filter provided in a shape to surround the spiral member, the filter being configured to pass and filter while fluid flows in a spiral manner along the flow path; And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body, wherein a fluid flowing to the one end along the flow path and a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other end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fluid that has flowed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sweeps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during the flow, and the fluid, which flows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self-cleaning of the filter proceed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thereby enabling the filtration device to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filter and a separate cleaning process.

Figure P1020140010788
Figure P1020140010788

Description

여과장치{Filtering device}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장치의 작동 중 필터를 자가 세정하여, 필터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ration device that self-cleans a filter during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and can be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filter and no separate cleaning process.

일반적으로, 시료 내에 여러 가지 다른 이물질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각각의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여과장치가 사용된다.
In general,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foreign substances are mixed in a sample, a filtering device is used to separate each foreign matter.

즉, 액체 또는 기체 속에 존재하는 여러 크기의 입자(particle), 또는 이물질은 시료의 순도(purity)를 떨어뜨리거나 시료 본연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시료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 장치의 입구와 출구 사이에 필터를 갖는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입자를 걸러내게 되는 것이다.
That is, particles of various sizes or foreign substances present in the liquid or gas have a problem of impairing the purity of the sample or failing to exhibi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sampl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purity of the sample, a filtration device having a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apparatus to filter the particles.

그런데, 상기한 여과장치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수 mm 크기의 입자에서부터 수 um 크기의 입자를 걸러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여과홀을 갖는 필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필터는 사용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터의 여과홀에 이물질이 흡착되고, 흡착된 이물질이 시료의 흐름을 막게 되어 결국 일정 시간이 지나면 더 이상 필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filtration apparatus, a filter having various sizes of filtration holes is used in order to filter particles of a few um in size from particles of a few millimeters in size which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 foreign matter is adsorbed to the filtration hole of the filter, and the adsorbed foreign substance blocks the flow of the sample, and after a certain time, the filter can no longer be used.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필터를 교체해 주거나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세정 과정을 거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는 비용의 추가, 시간 및 인력의 소모를 수반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 method of replacing a filter or performing a separate cleaning process to remove foreign matter adsorbed is used, but this has disadvantages of adding cost, consuming time and manpower.

KRKR 10-2013-002997610-2013-0029976 A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여과장치의 작동 중 필터를 자가 세정하여, 필터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사용 가능하도록 한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ration device which can self-clean a filter during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출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스파이럴부재; 상기 스파이럴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유체가 상기 유로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유동되면서 통과 및 여과되도록 구성된 필터; 및 일단부가 상기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유로를 따라 일단부에 유동되는 유체와 상기 유체에 함유된 이물이 타단부를 통해 몸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이물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 supply device comprising: a body having an inlet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n outlet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 spiral member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formed with a flow path for flowing a fluid in a spiral shap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the inlet port communicated with one end of the flow path; A filter provided in a shape to surround the spiral member, the filter being configured to pass and filter while fluid flows in a spiral manner along the flow path; And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body, wherein a fluid flowing to the one end along the flow path and a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other end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상기 몸체는, 내부단 중앙에 스파이럴부재의 단부가 안착 및 지지되며, 일측면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가 상기 스파이럴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된 유로와 연통되고, 타측면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필터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와의 사이에 여과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공간이 상기 유출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spiral member has an inlet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a flow path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iral member, and an outlet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spiral member, ; And a second housing formed to surround the filter and coupled to an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a filtr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filter and the filtration space to communicate with the outflow port. have.

상기 이물배출수단은, 양 단부 사이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물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배출유로의 일단부가 상기 유로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물배출유로의 타단부가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몸체의 외부로 구비된 이물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rein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foreign object discharging flow passage formed in a shape passing through between both ends, the one end of the foreign object discharging flow passage being disposed at a position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low passage,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mber provided outside the body through the body.

상기 이물배출부재는, 중단부가 상기 스파이럴부재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단과 스파이럴부재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파이럴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의 중단에 관통 및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member is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piral member;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piral member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spiral member; And the other end can be pierced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사이에는 제1기밀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상호 기밀되게 결합될 수 있다.A first hermetic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nd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필터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2기밀부재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터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기밀 결합될 수 있다.And a second airtight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can be airtight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상기 몸체의 외주면 둘레에는 그립이 형성될 수 있다.
A grip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 중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유로의 상단으로 유동된 유체는 유동 과정에서 필터의 내면에 붙어 있는 이물을 휩쓸고 지나가게 되는바, 유로의 상단에 유동된 유체가 이물배출유로에 진입되면서 이물배출유로를 통해 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여과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의 자가 세정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필터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계속해서 여과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바, 필터의 교체 또는 세정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the fluid flowing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sweeps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during the flow, The fluid that has flowed on the upper end enters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flow path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throug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flow path. Therefore, the self-cleaning of the filter proceed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which enables the filtration device to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filter and no separate clean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consumed for replacing or cleaning the filter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에서 유체의 여과흐름 및 이물의 배출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에서 유체의 여과흐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component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ltration flow of a fluid and a discharge flow of a foreign matter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filtration flow of fluid in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에서 유체의 여과흐름 및 이물의 배출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에서 유체의 여과흐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each constituent element of a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ltration flow of a fluid and a discharge flow of a foreign substance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filtration flow of a fluid in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여과장치는, 크게 몸체(10)와, 스파이럴부재(20)와, 필터(30) 및 이물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lt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comprises a body 10, a spiral member 20, a filter 30,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측에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12)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출입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2)의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11)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스파이럴부재(20); 상기 스파이럴부재(20)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유체가 상기 유로(22)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유동되면서 통과 및 여과되도록 구성된 필터(30); 및 일단부가 상기 유로(22)의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유로(22)를 따라 일단부에 유동되는 유체와 상기 유체에 함유된 이물이 타단부를 통해 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이물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5,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mach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 spiral member 22 provided inside the body 10 and having a spiral flow pa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piral member 22 connected to the inlet port 11 at one end of the flow path 22, 20); A filter (30) provided to surround the spiral member (20) and configured to pass and filter while fluid flows in a spiral along the flow path (22); And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22 and the other end passing through the body 10 so that the fluid flowing at one end along the flow path 22 and the fluid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configured to discharg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other end portion.

상기한 구성에 대해 부연하면, 상기 몸체(10)는 하단의 제1하우징(10a)과, 상단의 제2하우징(10b)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스파이럴부재(20)와, 필터(30)와, 이물배출수단이 구비된다.The body 10 is formed by coupling the first housing 10a at the lower end and the second housing 10b at the upper end and the spiral member 20, a filter 30,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그리고, 상기 스파이럴부재(20)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선 형상의 가이드(2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21) 사이에 나선 형상의 유로(22)가 형성되고, 이에 상기 유로(22)를 따라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22)의 하단에는 유입구(11)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로(22)의 상단에는 상기 이물배출수단의 상단부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spiral member 20 is formed with a spiral guide 21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a spiral flow passage 22 is formed between the guides 21, The fluid can flow. An inlet 11 may be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w path 22 and an upp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22 in a communicable manner.

또한, 상기 필터(30)는 상기 스파이럴부재(20)의 외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유로(22)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필터(30)를 통해 여과될 수 있게 된다.The filter 3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piral member 20 so that fluid flowing along the flow path 22 can be filtered through the filter 30.

그리고, 상기 이물배출수단은 상단부가 유로(22)와 연통되며, 하단부가 몸체(10)의 외부로 관통되어 구비된다.
The upp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is communicated with the flow path 22 and the low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is penetrat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즉,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유로(22)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유동되는데, 이때 상기 유체가 유동되는 과정에서 일부 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유로(22)의 측면에 배치된 필터(30)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필터(30)를 통과하지 못한 나머지 유체는 필터(30)의 내면에 붙어 있는 이물을 휩쓸고 가면서 유로(22)의 상단을 향해 유동된다.That is,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ort 11 flows through the flow path 22 in a spiral direction.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the fluid flow, some of the fluids flow through the filter (not shown) 30, and the remaining fluid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filter 30 flows toward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22 while sweeping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30. [

따라서, 이물을 휩쓸고 상측으로 유동된 유체는 유로(22)의 상단에서 이물배출수단을 통해 몸체(10)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여과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30)의 자가 세정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필터(30)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계속해서 여과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바, 필터(30)의 교체 또는 세정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저감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fluid sweeping the foreign object and flowing upwar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at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22, so that the self-cleaning of the filter 30 proceed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apparatus, The filter 30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filter 30 and a separate cleaning process. This reduces cost and time consumed for replacing or cleaning the filter 30.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0)는, 내부단 중앙에 스파이럴부재(20)의 단부가 안착 및 지지되며, 일측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가 상기 스파이럴부재(20)의 일단부에 마련된 유로(22)와 연통되고, 타측면에 유출구(12)가 형성된 제1하우징(10a); 상기 필터(3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a)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30)와의 사이에 여과공간(32)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공간(32)이 상기 유출구(12)와 연통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1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body 10 has an end portion of the spiral member 20 which is seated and supported at the center of its inner end, and an inlet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0, A first housing 10a communicating with a flow path 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iral member 20 and having an outlet 12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 filter space 32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30 and the first housing 10a so as to surround the filter 30 so that the filtration space 32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30 And a second housing 10b configured to be communicable with the second housing 10b.

즉, 상기 스파이럴부재(20)의 하단이 제1하우징(10a)의 상면 중앙에 삽입되듯이 안착되며, 상기 필터(30)의 하단이 상기 제1하우징(10a)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필터(30)의 상단이 상기 제2하우징(10b)의 내부단 상면에 지지된다.That is, the lower end of the spiral member 20 is se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a, the lower end of the filter 3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a, (3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nd of the second housing (10b).

그리고, 상기 유입구(11)가 제1하우징(10a)의 일측면에 형성되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유로(22)의 하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출구(12)가 제1하우징(10a)의 타측면에 형성되면서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여과공간(32)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inlet 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0a and is bent upwar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w passage 22. The outlet 1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ousing 10a,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iltration space 32.

또한, 상기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may be coupled by a screw coupling method.

이같은 구성에 따라, 유입구(11)를 통해 유로(22)를 따라 유동되는 유체가 필터(30)를 통과하게 되면, 필터(30)를 통과한 유체가 여과공간(32)으로 진입되고, 여과공간(32)에 진입된 여과 유체는 유출구(12)를 통해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fluid flowing along the flow path 22 through the inlet 11 passes through the filter 30, the fluid having passed through the filter 30 enters the filtration space 32, The filtration fluid entering the filter body 32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outlet 1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물배출수단은, 양 단부 사이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물배출유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배출유로(41)의 일단부가 상기 유로(22)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물배출유로(41)의 타단부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몸체(10)의 외부로 구비된 이물배출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3 and 4,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includes a foreign matter discharging passage 41 formed to penetrate between both ends, and one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passage 41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assage 22 And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assage 41 penetrates the body 10 and is provided outside the body 10, as shown in FIG.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배출부재(40)는, 중단부가 상기 스파이럴부재(20)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10b)의 내부단과 스파이럴부재(20)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파이럴부재(2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10a)의 중단에 관통 및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member (40) is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portion passing through the spiral member (2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piral member (20) while one end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second housing (10b) and the spiral member (20); And the other end can be pierced and engaged with the stop of the first housing 10a.

여기서, 상기 이물배출부재(40)의 상단부는 스파이럴부재(20)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물배출부재(40)의 하단부는 제1하우징(10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mber 40 may be screwed to the spiral member 20 and the low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mber 40 may be screwed to the first housing 10a.

즉,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유체 중 필터(30)를 통과하지 않고 유로(22)의 상단으로 유동된 유체는 그 유동 과정에서 필터(30)의 내면에 붙어 있는 이물을 휩쓸고 지나가게 되는바, 유로(22)의 상단에 유동된 유체가 이물배출유로(41)에 진입되면서 이물배출유로(41)를 통해 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여과장치의 작동 중에 필터(30)의 자가 세정이 진행되며, 이로 인해 필터(30)의 교체 및 별도의 세정 과정없이 계속해서 여과장치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That is,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11 to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2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30 sweeps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30 during the flow thereof The fluid that has flowed to the upper end of the bar and the flow path 22 enters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ath 41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throug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ath 41. Accordingly, the self-cleaning of the filter 30 proceed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ltration device, whereby the filtration device can be continuously used without replacement of the filter 30 and a separate cleaning proces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 사이에는 제1기밀부재(14)가 마련되어, 상기 제1하우징(10a) 및 제2하우징(10b)이 상호 기밀되게 결합될 수 있다.3, a first hermetic member 14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They can be joined together secretly.

여기서, 상기 제1기밀부재(14)는 탄성재질의 오링일 수 있다.
Here, the first hermetic member 14 may be an elastic O-ring.

아울러,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2기밀부재(31)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터(3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1하우징(10a) 및 제2하우징(10b)과 기밀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hermetic member 31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30, respectively,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a. And can b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housing 10b.

여기서, 상기 제2기밀부재(31)는 가스켓일 수 있다.
Here, the second hermetic member 31 may be a gaske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둘레에는 그립(1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립(13)은 제2하우징(10b)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grip 13 may be formed a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0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grip 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0b.

즉, 상기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의 분리시 공구를 이용한 원활한 분리 작업을 위해 그립(13)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grip 13 may be formed for smooth separation operation using the tool when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are separat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

10 : 몸체 10a : 제1하우징
10b : 제2하우징 11 : 유입구
12 : 유출구 20 : 스파이럴부재
22 : 유로 30 : 필터
32 : 여과공간 40 : 이물배출부재
41 : 이물배출유로
10: Body 10a: First housing
10b: second housing 11: inlet
12: Outlet 20: Spiral member
22: Euro 30: Filter
32: filtration space 40: foreign matter discharge member
41: foreign matter discharge channel

Claims (7)

일측에 유입구(11)가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12)가 형성되어 유체가 유출입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나선 형상으로 유체가 유동되는 유로(22)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22)의 일단부에 상기 유입구(11)가 연통되도록 구비된 스파이럴부재(20);
상기 스파이럴부재(20)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유체가 상기 유로(22)를 따라 나선을 그리며 유동되면서 통과 및 여과되도록 구성된 필터(30); 및
일단부가 상기 유로(22)의 타단부에 연통되도록 구비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구비되어, 상기 유로(22)를 따라 일단부에 유동되는 유체와 상기 유체에 함유된 이물이 타단부를 통해 몸체(10)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이물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10) having an inlet (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n outlet (12) formed at the other side to allow the fluid to flow in and out;
A spiral member 22 provided inside the body 10 and having a spiral flow path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piral member 22 connected to the inlet port 11 at one end of the flow path 22, 20);
A filter (30) provided to surround the spiral member (20) and configured to pass and filter while fluid flows in a spiral along the flow path (22); And
(22), and the other end of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body (10), and a fluid flowing in one end along the flow path (22) and a fluid contained in the fluid (10)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내부단 중앙에 스파이럴부재(20)의 단부가 안착 및 지지되며, 일측면에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가 상기 스파이럴부재(20)의 일단부에 마련된 유로(22)와 연통되고, 타측면에 유출구(12)가 형성된 제1하우징(10a);
상기 필터(30)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a)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30)와의 사이에 여과공간(32)이 형성되어 상기 여과공간(32)이 상기 유출구(12)와 연통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2하우징(10b);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0)
An end of the spiral member 20 is seated and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end and an inlet 11 is formed at one side so that the inlet 11 communicates with a flow path 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spiral member 20 A first housing 10a having an outlet 12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 filter space 32 is formed between the filter 30 and the first housing 10a so as to surround the filter 30 so that the filtration space 32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30 And a second housing (10b) configured to be communicable with the first housing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수단은,
양 단부 사이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이물배출유로(41)가 형성되며, 상기 이물배출유로(41)의 일단부가 상기 유로(22)의 타단부에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이물배출유로(41)의 타단부가 상기 몸체(10)를 관통하여 몸체(10)의 외부로 구비된 이물배출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ans includes:
And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assage 4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22 and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assage 41 (40) passing through the body (10)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and provided outside the body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부재(40)는,
중단부가 상기 스파이럴부재(20)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10b)의 내부단과 스파이럴부재(20)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스파이럴부재(2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10a)의 중단에 관통 및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foreign matter discharging member (40)
A stop is provided through the spiral member (2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piral member (20) while one end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end of the second housing (10b) and the spiral member (20);
And the other end is passed through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housing (10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10a)과 제2하우징(10b) 사이에는 제1기밀부재(14)가 마련되어, 상기 제1하우징(10a) 및 제2하우징(10b)이 상호 기밀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hermetic member 14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so that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ar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Filtration devi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제2기밀부재(31)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필터(3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제1하우징(10a) 및 제2하우징(10b)과 기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airtight member 31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30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30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a and the second housing 10b, And the filter is airtightly coupl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둘레에는 그립(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ip (13) is formed arou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0).
KR1020140010788A 2014-01-28 2014-01-28 Filtering device Pending KR201500897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88A KR20150089783A (en) 2014-01-28 2014-01-28 Filte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788A KR20150089783A (en) 2014-01-28 2014-01-28 Filter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783A true KR20150089783A (en) 2015-08-05

Family

ID=5388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788A Pending KR20150089783A (en) 2014-01-28 2014-01-28 Filter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7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48983B (en) Integrated filter element
JP6387449B2 (en) Liquid recovery filter
US8764984B2 (en) Filter-in-filter with funnel shaped passageway
US11266930B2 (en) Filter element and fluid filter with radial vent hole
EP1779913A3 (en) Filtration device and process for testing filtration material in a filtration device
WO2007103248A3 (en) Multiphase fluid processing device
JP6502354B2 (en) Filter device for filtering complex fluid samples
FR3024840B1 (en) CYCLONE SEPARATOR AND FILTER DEVICE EQUIPPED WITH SUCH SEPARATOR
KR20150089783A (en) Filtering device
KR20160073458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urbidity of water
KR101741775B1 (en) assembly of RO sheet and RO filter
US20150136682A1 (en) Filter device for fluids
US20150060343A1 (en) Filter housing for exchangeable filter
US20160184745A1 (en) Device for taking samples from municipal and/or industrial wastewater
CN204911246U (en) Anti -osmosis filter core and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KR20170119647A (en) a water-purificator of water-purification device
JP6890017B2 (en) Container with built-in filter
KR20200049048A (en) Complex filtering device for filtering magnetic materials and non-magnetic materials of fluid
CN107002608A (en) Fuel pump components
KR101776494B1 (en) Round type air filter for vehicle and air cleaner assembly of vehicle having the air filter
JP2015528746A (en) Membrane for membrane filter plate and configuration of two filter plates
JP2013022479A (en) Strainer
KR102686993B1 (en) Filter head with a lockable venting channel on the pre-filtration side and liquid filter with such a filter head
RU2466769C1 (en) Device for purification of liquid from disperse pollution
KR200483861Y1 (en) Filter for water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