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527A -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527A
KR20150089527A KR1020140010249A KR20140010249A KR20150089527A KR 20150089527 A KR20150089527 A KR 20150089527A KR 1020140010249 A KR1020140010249 A KR 1020140010249A KR 20140010249 A KR20140010249 A KR 20140010249A KR 20150089527 A KR20150089527 A KR 2015008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flip cover
orientation
digital imag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832B1 (ko
Inventor
김종호
천시내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0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832B1/ko
Priority to PCT/KR2014/003175 priority patent/WO2015115700A1/en
Priority to US15/112,414 priority patent/US9986166B2/en
Publication of KR2015008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는 플립 커버(flip cover)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이고,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여기서 플립 커버는 오픈 윈도우를 포함하고, 오픈 윈도우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을 외부에 노출함,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단계,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1 오리엔테이션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에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2 오리엔테이션이면,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에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with flip cover}
본 명세서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유닛이 외부에 노출된 포터블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보호하는 플립 커버를 포터블 디바이스에 장착한다. 플립 커버는 폐쇄 위치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플립 커버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후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는,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포터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플립커버의 개폐를 센싱하는 커버 센서 유닛, 플립 커버는 오픈 윈도우를 포함하고, 여기서 오픈 윈도우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을 외부에 노출함,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 카메라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커버 센서 유닛 및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이고,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1 오리엔테이션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에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2 오리엔테이션이면,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에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이고,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여기서 플립 커버는 오픈 윈도우를 포함하고, 오픈 윈도우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을 외부에 노출함,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단계,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1 오리엔테이션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에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2 오리엔테이션이면,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에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하나의 컨트롤 인풋을 통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도 컨트롤 인풋을 통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를 통해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고, 센싱된 오리엔테이션에 따라 동일한 컨트롤 인풋에 대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거나 크롭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의 개폐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일 때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또는 뮤직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11)의 개폐 여부에 따라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1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11)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액티브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플립 커버(11)는 탈착이 가능한 방식으로 포터블 디바이스(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의 상단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의 전면은 플립 커버(1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를 커버하고 있는 플립 커버(11)의 위치를 폐쇄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플립 커버(11)는 오픈 윈도우(12)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 윈도우(12)는 플립 커버에 의해 커버된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일부분을 외부에 노출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부분은 플립 커버(1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11)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스탠바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기설정된 정보(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정보(13)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후면에 카메라 유닛(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에 대해 제한적으로 터치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한정할 수 있다.
도 1의 하단은 플립 커버(11)가 개방 위치로 이동된 포터블 디바이스(10)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11)가 개방 위치로 이동된 때 스탠바이 모드에서 액티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액티브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5)을 활성화하고 비주얼 인포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에서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테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동일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한 경우에 오리엔테이션의 방향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도 2의 상단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리엔테이션은 포터블 디바이스(10)가 세로 방향으로 그립된 경우에 센싱되는 오리엔테이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트레이트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로 표현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되고 제1 컨트롤 입력(21)이 디텍트되면 기설정된 인포메이션(2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오픈 윈도우(12)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영역을 통해 제1 컨트롤 입력(21)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물리적 버튼, 디스플레이 유닛, 마이크 및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컨트롤 입력(21)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두 번 '톡톡' 노크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 입력은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되면 포트레이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입력(21)이 디텍트되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기설정된 인포메이션(2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인포메이션(22)은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퀵컨트롤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인포메이션(22)은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인포메이션을 오픈 윈도우(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하단에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오리엔테이션은 포터블 디바이스(10)가 가로 방향으로 그립된 경우에 센싱되는 오리엔테이션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2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로 표현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되고 제1 컨트롤 입력(21)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오픈 윈도우(12)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영역을 통해 제1 컨트롤 입력(21)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물리적 버튼, 디스플레이 유닛, 마이크 및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컨트롤 입력(21)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두 번 '톡톡' 노크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 입력은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입력(21)만으로 바로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10)의 플립 커버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제2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되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제1 컨트롤 입력(21)이 디텍트되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하거나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에 대해 설정된 해상도 값을 증가시킨 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경우에도 해상도의 저하 없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동일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여도, 포터블 디바이스가 포트레이트 모드인지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인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면 인포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즉각적인 사진촬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10)의 플립 커버를 열지 않아도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2 오리엔테이션임을 디텍트하고, 포터블 디바이스가 실질적인 z축 방향 또는 중력 방향으로 세워진 것을 디텍트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인디케이터(3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면을 xy평면(30)으로 가정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인디케이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인디케이터(31)에 대한 컨트롤 인풋(32)이 디텍트된 경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터(31)에 대한 컨트롤 인풋(32)은 디스플레이된 인디케이터(31) 또는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하거나 노크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디케이터(31)에 대한 컨트롤 인풋(32)은 인디케이터(31)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입력된 제스쳐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되면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3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리뷰 이미지(33)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활성화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오픈 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시각으로 확인하고 원하는 구도로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임을 디텍트하고 수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세워진 것을 디텍트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인디케이트하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인디케이터에 대한 컨트롤 입력이 디텍트되면 스탠바이 모드에서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임을 디텍트하고 수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세워진 것을 디텍트하면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바이패스하고 바로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을 통해 중력 방향을 센싱하고,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과 중력 방향 사이의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이내인 경우에만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된 후에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중력 방향 사이의 각도가 상기 각도 스레시홀드를 초과해도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와 외부 오브젝트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와 외부 오브젝트 사이의 이격 거리를 더 측정하고, 이격 거리가 거리 스레시홀드 이상인 경우에만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활성화시켜도 외부 오브젝트가 근거리에 있어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카메라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의 모양이나 크기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오브젝트(41)를 촬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위치인 상태에서 제1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고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42)를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12)의 모양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4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12)의 세로 축보다 가로축이 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한 프리뷰 이미지(4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리사이징한 프리뷰 이미지(42)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영을 명령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전체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구도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43)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도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42)를 통해 촬영되고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가로축이 세로축보다 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12)의 가로 축보다 세로축이 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리사이징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영을 명령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전체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구도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도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통해 촬영되고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세로축이 가로축보다 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의 모양이나 크기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오브젝트(51)를 촬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위치인 상태에서 제1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고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52)를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12)의 모양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5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12)의 가로축보다 세로축이 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한 프리뷰 이미지(5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리사이징한 프리뷰 이미지(52)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영을 명령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전체 영역을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구도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53)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도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52)를 통해 촬영되고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가로축이 세로축보다 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12)의 세로축이 가로축보다 긴 경우, 도 4의 가로축이 세로축보다 긴 경우보다 큰 비율로 축소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에 있어, 오픈 윈도우의 모양이 가로가 긴 직사각형인 때보다 오픈 윈도우의 모양이 세로가 긴 직사각형인 때 리사이징 비율을 더 높게 설정하고, 프리뷰 이미지를 더 작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전체 영역을 프리뷰 이미지로써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의 모양이나 크기에 기초하여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오브젝트(61)를 촬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위치인 상태에서 제1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고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62)를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12)의 모양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6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오픈 윈도우(12)의 가로축보다 세로축이 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한 프리뷰 이미지(6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62)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촬영을 명령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 중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프리뷰 이미지(62)와 동일한 구도를 갖는 디지털 이미지(63)를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크롭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에도 오픈 윈도우(12)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62)를 통해 촬영되고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세로축이 가로축보다 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크롭하고 저장하는 경우, 설정된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로 외부 오브젝트(61)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크롭되어 저장된 이미지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포터블 디바이스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도 포트레이트 모드에서와 동일한 해상도의 포트레이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서는 세로보다 가로가 더 긴 디지털 이미지를 센싱하지만, 저장되는 디지털 이미지는 가로보다 세로가 더 긴 디지털 이미지일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일 때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오브젝트(71)를 촬영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가 폐쇄위치인 상태에서 제1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고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오픈 윈도우의 모양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도 7과 같이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72)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10)가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것과 달리,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10)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프리뷰 이미지(7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와 개방 위치일 때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프리뷰 이미지들은 상호 간에 내용,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10)가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제1 프리뷰 이미지로 정의하고,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10)가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제2 프리뷰 이미지로 정의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10)는 플립 커버의 개방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된 제2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지털 이미지(73)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01), 카메라 유닛(102), 센서 유닛(103) 및 컨트롤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포터블 디바이스는 탈착식 플립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플립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의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플립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제1 프리뷰 이미지 또는 제2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으며,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신호를 전송하거나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102)은 외부 오브젝트를 센싱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유닛(102)은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상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가 랜드스케이프 모드일 때, 제1 컨트롤 인풋이 입력되면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된 카메라 유닛은 센싱된 외부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메라 유닛은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이 입력되면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인풋 센서 유닛, 플립 커버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는 커버 센서 유닛,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센싱하는 거리 센싱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인풋 센서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인풋 센서 유닛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인풋 센서 유닛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1)과 인풋 센서 유닛은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통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인풋 센서 유닛은 조도 센서, 물리적 버튼, 카메라 또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인풋 센서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두드리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기계적 진동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센서 유닛은 플립 커버의 개폐를 디텍트할 수 있다. 커버 센서 유닛은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지 또는 폐쇄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할 수 있다.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은 제1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를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은 제2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를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센싱된 오리엔테이션에 따라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거리 센서 유닛은 카메라 유닛이 촬영하는 피사체 또는 외부 오브젝트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거리 센서 유닛의 측정 결과에 따라 카메라 유닛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센싱된 정보를 컨트롤러(104)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1) 및 카메라 유닛(102)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포터블 디바이스(10)가 가로 방향으로 그립된 경우에 제2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제2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한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를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고, 제2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되고 컨트롤 입력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 중 오픈 윈도우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영역을 통해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러(104)는 포터블 디바이스에 포함된 물리적 버튼, 디스플레이 유닛, 기계적 진동 센서, 마이크 및 센서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할 수 있다. 컨트롤 입력은 포터블 디바이스를 터치하는 터치 입력 또는 포터블 디바이스를 두 번 '톡톡' 노크하는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입력은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바이 모드에서 컨트롤 입력만으로 바로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플립 커버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04)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하거나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4)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에 대해 설정된 해상도 값을 증가시킨 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104)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경우에도 해상도의 저하 없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포터블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포터블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S1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커버 센서 유닛을 통해 플립 커버의 개폐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다.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음을 디텍트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음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S20).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을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세로로 그립된 경우 제1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하고, 가로로 그립된 경우 제2 오리엔테이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오리엔테이션이 디텍트된 경우 포트레이트 모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오리엔테이션이 디텍트된 경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30).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립 커버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시각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을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플립 커버가 오픈 윈도우를 포함하는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 중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터블 디바이스는 물리적 버튼, 마이크,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카메라 등 다른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도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텍트된 오리엔테이션이 제1 오리엔테이션인지 제2 오리엔테이션인지 결정할 수 있다(S40).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리엔테이션 유닛을 통해 디텍트된 결과에 따라 동일한 컨트롤 인풋에 대해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오리엔테이션이 결정된 경우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 부분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0).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1 오리엔테이션이 디텍트되고 컨트롤 입력이 디텍트되면 기설정된 인포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인포메이션은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퀵컨트롤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인포메이션은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인포메이션을 오픈 윈도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오리엔테이션이 결정된 경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60). 포터블 디바이스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제2 오리엔테이션이 디텍트되고 컨트롤 입력이 디텍트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플립 커버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2 오리엔테이션이 센싱되면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컨트롤 입력이 디텍트되면,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프리뷰 이미지를 오픈 윈도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하거나 리사이징하여 프리뷰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포터블 디바이스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카메라 유닛에 대해 설정된 해상도 값을 증가시킨 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크롭된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한 경우에도 해상도의 저하 없이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동일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여도, 포터블 디바이스가 포트레이트 모드인지 또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인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면 인포메이션을 디스플레이하고, 랜드스케이프 모드에서 컨트롤 입력을 디텍트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즉각적인 사진촬영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플립 커버를 열지 않아도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디바이스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S110). 포터블 디바이스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이고, 랜드스케이프 모드인 상태에서 컨트롤 인풋이 입력되면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의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S120). 도 4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된 후에도 플립 커버의 포지션을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커버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플립 커버의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의 위치가 개방 위치인지 폐쇄 위치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30).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이미지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포터블 디바이스의 컨트롤러는 커버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플립 커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0).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한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픈 윈도우의 위치,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거나 크롭하여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의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제1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150).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프리뷰 이미지가 리사이징된 결과물인 경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제1 디지털 이미지로써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포터블 디바이스는 제1 프리뷰 이미지가 크롭된 결과물인 경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 중 제1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1 디지털 이미지로써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포터블 디바이스는 오픈 윈도우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 제1 프리뷰 이미지와 동일한 화각, 컨텐츠의 디지털 이미지를 제1 디지털 이미지로써 저장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인 경우, 제2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60).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인 경우,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를 수정하지 않고 제2 프리뷰 이미지로써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카메라 유닛을 통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제2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가 오픈 윈도우에 대응하는 선택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에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것과 달리,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일 때,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영역 전체에 제2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포터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제2 프리뷰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2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S170). 포터블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전체 영역을 제2 디지털 이미지로써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 및 플립 커버의 개폐 여부에 따라 동일한 컨트롤 인풋에 대해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포터블 디바이스는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에도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프리뷰 이미지를 확인하고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포터블 디바이스 11: 플립 커버
12: 오픈 윈도우 13: 기설정된 인포메이션
14: 카메라 유닛 15: 디스플레이 유닛
23: 프리뷰 이미지 31: 인디케이터

Claims (20)

  1. 포터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지털 이미지를 센싱하는 카메라 유닛;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플립커버의 개폐를 센싱하는 커버 센서 유닛, 상기 플립 커버는 오픈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윈도우는 상기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을 외부에 노출함;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
    상기 카메라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커버 센서 유닛 및 상기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이고,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할 때,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1 오리엔테이션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2 오리엔테이션이면,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제1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리엔테이션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포트레이트 모드이고, 상기 제2 오리엔테이션은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랜드스케이프 모드인 포터블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정보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인 포터블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의 위치,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생성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의 위치, 모양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하여 생성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의 해상도를 증가시킨 후 촬영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제1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리사이징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전체 영역을 저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크롭하여 생성된 경우,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 중 크롭된 일부 영역을 저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후, 상기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프리뷰 이미지를 제2 프리뷰 이미지로 전환하고,
    상기 제2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체 영역에 상기 제2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리뷰 이미지는 상기 센싱된 디지털 이미지의 전체 영역을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된 제2 프리뷰 이미지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저장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립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액티브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를 상기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터치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대한 터치 인풋을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으로서 디텍트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터치 센서티브 영역을 상기 제1 부분으로 한정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오리엔테이션 센서 유닛을 통해 중력 방향을 더 센싱하고,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중력 방향 사이의 각도가 각도 스레시홀드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상기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된 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중력 방향 사이의 상기 각도가 상기 각도 스레시홀드를 초과해도 상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와 외부 오브젝트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와 상기 외부 오브젝트 사이의 상기 이격 거리를 더 측정하고,
    상기 이격 거리가 거리 스레시홀드 이상인 경우에만 상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20. 디스플레이 유닛을 커버하는 플립 커버(flip cover)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가 스탠바이 모드이고, 상기 플립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플립 커버는 오픈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 윈도우는 상기 플립 커버가 폐쇄 위치일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제1 부분을 외부에 노출함;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을 센싱하는 단계;
    제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1 오리엔테이션이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기설정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포터블 디바이스의 오리엔테이션이 제2 오리엔테이션이면, 상기 제1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유닛을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제1 부분에 상기 카메라 유닛에 의해 센싱된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제어 방법.
KR1020140010249A 2014-01-28 2014-01-28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66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49A KR102166832B1 (ko) 2014-01-28 2014-01-28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4/003175 WO2015115700A1 (en) 2014-01-28 2014-04-14 Portable device including a flip co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15/112,414 US9986166B2 (en) 2014-01-28 2014-04-14 Portable device including a flip co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249A KR102166832B1 (ko) 2014-01-28 2014-01-28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27A true KR20150089527A (ko) 2015-08-05
KR102166832B1 KR102166832B1 (ko) 2020-10-16

Family

ID=5375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249A KR102166832B1 (ko) 2014-01-28 2014-01-28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86166B2 (ko)
KR (1) KR102166832B1 (ko)
WO (1) WO2015115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8770B2 (en) 2014-10-07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viding send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9936138B2 (en) *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33879B1 (ko) * 2015-08-21 2022-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82198B1 (ko) * 2016-11-01 2018-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035722B2 (en) * 2017-12-15 2021-06-15 Bio-Rad Laboratories, Inc. Method of reading the result of an electrophoretic assay comprising a digital image indicating the intensity of light emitted by chemiluminescence from the output medium of the electrophoretic assay
CN110083197B (zh) * 2018-01-26 2021-04-20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切换相机模块的方法
CN108594984A (zh) * 2018-04-24 2018-09-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4302201B (zh) * 2021-03-30 2023-06-09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箱模式下自动开关屏的方法及智能终端、显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9704A1 (en) * 2010-07-26 2012-01-26 Levey Charles I Automatic digital camera photography mode selection
KR101212132B1 (ko) *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US20130113731A1 (en) * 2011-09-23 201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utomatic screen rota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40009498A1 (en) * 2012-07-09 2014-01-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play orientation of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3444B2 (ja) * 2003-03-07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KR101134540B1 (ko) * 2005-09-07 2012-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표시 방법
US20110298887A1 (en) * 2010-06-02 2011-12-08 Maglaque Chad L Apparatus Using an Accelerometer to Capture Photographic Images
US20130162684A1 (en) * 2011-10-14 2013-06-27 Barnesandnoble.Com Llc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the orientation of a display on a mobile
KR102051908B1 (ko) * 2013-01-16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EP2779598B1 (en) * 2013-03-14 2019-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with cover
CN108650451B (zh) * 2014-02-27 2021-12-10 华为终端(深圳)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19704A1 (en) * 2010-07-26 2012-01-26 Levey Charles I Automatic digital camera photography mode selection
US20130113731A1 (en) * 2011-09-23 201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ocking automatic screen rota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140009498A1 (en) * 2012-07-09 2014-01-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play orientation of a mobile device
KR101212132B1 (ko) *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휴대전자기기 보호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86166B2 (en) 2018-05-29
WO2015115700A1 (en) 2015-08-06
KR102166832B1 (ko) 2020-10-16
US20160337595A1 (en)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832B1 (ko) 플립 커버를 포함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202012B2 (e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self-portrait photography
US10048845B2 (e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method for use in mobile electronic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4365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270889B2 (en) Electronic device and camera switching method thereof
US20180107382A1 (en)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9621812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6155325A (zh) 一种双屏显示唤醒装置及方法
KR201401172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20098852A1 (en) Image display device
KR20150025114A (ko) 증강현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00570A1 (en)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JP2010213169A (ja) 表示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
CN110442521B (zh) 控件单元检测方法及装置
JP2013179536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10623616B2 (en) Imaging apparatus
KR20160088719A (ko) 이미지를 촬영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100039523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8483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camera device
JP2016091383A (ja) 携帯端末装置、画面制御方法及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US201603639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JP5471133B2 (ja) 撮影装置
JP6494961B2 (ja) 制御装置、ロボット、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665459B2 (ja)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15227A (ko) 디지털 컨텐츠를 캡쳐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