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478A -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 Google Patents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478A
KR20150089478A KR1020140010147A KR20140010147A KR20150089478A KR 20150089478 A KR20150089478 A KR 20150089478A KR 1020140010147 A KR1020140010147 A KR 1020140010147A KR 20140010147 A KR20140010147 A KR 20140010147A KR 20150089478 A KR20150089478 A KR 20150089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resin
resin particles
particles
crosslinked acryl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1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96254B1 (en
Inventor
료스케 하라다
도모유키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40010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254B1/en
Publication of KR2015008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254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6Treatment of polymer solutions
    • C08F6/10Removal of volatile materials, e.g.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4Este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04Use of compounding ingredients,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which is unknown, broadly defined, or irreleva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contained and used in a pigment and capable of forming a film having excellent appearance and crack resistance. The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crylic resin, and heating loss after heating for 1.5 hours at 120°C is 1.5% or less. Moreover, a content of large 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which is twice larger than a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1.0 volume% or less. Accordingly, when the particles are contained in a resin composition to be used in forming a film, the obtained film has excellent appearance and crack resistance.

Description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수지 조성물 및 포장 물품{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resin composition, and a packaging article. [0002]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

본 발명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수지 조성물 및 포장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 resin composition and a packaged article.

현탁 중합법이나 시드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수지 입자는 도료의 광택 제거제, 화장품의 활제, 수지의 물성을 개량하기 위한 첨가제, 광확산제 등으로서 무기 입자를 대신하여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Resin particles prepared by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or the seed polymerization method are used in a wide variety of fields in place of inorganic particles as a gloss removing agent for paints, a lubricant for cosmetics, an additive for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resin, a light diffusing agent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현탁 중합법이나 시드 중합법에 의해 얻어진 수지 입자는 도료 등에 함유시켜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수지 입자가 도막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도막 표면의 광택 제거 효과 또는 도막에 광확산성을 부여하고 있다.In general, when the resin particles obtained by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or the seed polymerization method are contained in a coating material or the like, the resin particles form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thereby giving an effect of removing gloss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or imparting light diffusion to the coating film .

특히, 가교 아크릴산계 수지 입자는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입자가 평균 직경보다 지나치게 극단적으로 큰 것, 즉 조대 입자가 존재했을 경우에는 도공 표면 상의 돌기의 원인이 되어 외관 저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도공 표면으로부터 탈락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공 표면의 내흠집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Particularly, crosslinked acrylic acid resin particles are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excellent weatherability and transparency. In this case, when the particles are extremely excessively larger than the average diameter, that is, when coarse particles are present, they cause protrusions on the coating surface and cause deterioration of the outer appearance, and are easily removed from the coating surface. Performance may be degraded.

또한, 입자 중의 휘발분, 즉 수분 또는 잔존 모노머가 다량 존재함으로써, 도공용 수지 또는 용제와의 친밀성이 나빠져 응집을 일으키거나 도공 공정의 건조시에 휘발되기 때문에, 표면에 얼룩 등이 발생한 결과 도막 표면의 내흠집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는 과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volatile components in the particles, that is, moisture or remaining monomers, are present in a large amount, the intimate contact with the resin for coating or the solvent is poor and coagulation occurs or volatilizes during drying in the coating process.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cratch-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film is deteriorated.

특허문헌 1에는 합성 수지 입자를 수계 분산 매체 내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현탁액을 탈수하여 얻어진 웨트 케이크(wet cake)를 세정한 후에 교반하면서, 건조 온도를 60∼90℃로 설정하고 웨트 케이크를 건조시켜 당해 웨트 케이크의 수분량이 0.2∼5.0중량%가 될 때까지 1차 건조시킨 후, 건조 온도를 100∼140℃로 설정하고 1∼7kPa의 감압하에서 합성 수지 입자의 온도가 건조 온도보다 3℃ 이상 낮은 온도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2차 건조시키는 합성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Patent Document 1, a wet cake obtained by dewatering a suspension containing synthetic resin particles dispersed in an aqueous dispersion medium is washed, and then the wet cake is dried at a drying temperature of 60 to 90 ° C while stirring, The drying temperature is set to 100 to 140 캜 and the temperature of the synthetic resin particles is lower than the drying temperature by 3 캜 or more under a reduced pressure of 1 to 7 kPa So as to prepare a synthetic resin particle.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자외선 경화 수지와, 용제와, 중량 평균 입경 1㎛ 이상의 투광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포액으로서, 상기 투광성 미립자의 함수율이 0.1∼0.8질량%인 도포액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ultraviolet curing resin, a solvent, and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ing a weight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占 퐉 or more, wherein the light-transmitting fine particles have a water content of 0.1 to 0.8% by mass.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7704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07704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15867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215867

그러나, 상기 합성 수지 입자는 건조시에 수분, 잔존 모노머는 저감시킬 수 있지만, 조대 입자를 저감시키는 공정에서 분위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휘발분이 증가되고, 이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도포액을 기재 상에 도공하여 도막을 형성했을 경우, 도막 중에서 수지 입자가 응집되거나 건조 공정에서 휘발분에 의해 얼룩이 발생하여 도막의 내흠집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in the step of reducing coarse particles, the synthetic resin particles absorb moisture in the atmosphere to increase the volatile content, and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resin particles and the coating liquid When a coating film is formed on a substrate to form a coating film, there is a problem that resin particles aggregate in the coating film or unevenness occurs due to volatile matter in the drying process and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도료 내에 함유시켜 사용되고 외관 및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 및 포장 물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which can be used by being contained in a coating material and which is excellent in appearance and scratch resistanc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 resin composition us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and a packaged article.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120℃에서 1.5시간 가열 후의 가열 감량이 1.5% 이하이며, 또한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n acrylic resin and has a weight loss after heating at 120 DEG C for 1.5 hours of 1.5% or less and a content of large 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 times or more of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1.0 volume% or less .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중합시켜 이루어지고,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포함되어 있는 아크릴계 수지는 다관능성 모노머에 의해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도데실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도 분포 내에서의 입자 강도의 편차가 작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The 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obtained by polymerizing raw monomer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and polymerizing raw monomer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is crosslinked by the polyfunctional monomer. The acrylic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acid,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n-but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t-butyl acrylate, dodecyl acrylate, stearyl acrylat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isopropyl methacrylate, Acrylate, n-octyl methacrylate, dodec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stearyl methacrylate and the like. Of these,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in that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ith small variation in particle strength with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an be obtained. The acrylic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데카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콘타헥타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 디비닐벤젠, 디비닐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유도체 등의 방향족 디비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도 분포 내에서의 입자 강도의 편차가 작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며, 복수 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관능성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로일기는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의미한다.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clude tri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d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s such as 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entadeca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entaconthectaethylene glycol 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Acrylate and allyl (meth) acrylate, aromatic divinyl compounds such as divinylbenzene, divinylnaphthalene and derivatives thereof, and the like. Of these,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s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ith small variation in particle strength with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s having a plurality of (meth) acryloyl groups are more preferable . In addition, the polyfunctional mono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 acryloyl group means an acryloyl group or a methacryloyl group.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탈수 에스테르화법(A)에 의해 생성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 및 에스테르 교환법(B)에 의해 생성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탈수 에스테르화법(A)에 의해 생성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The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s produced by the dehydration esterification method (A) and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s produced by the ester exchange method (B) Among them, the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produced by the dehydration esterification method (A) is preferable.

탈수 에스테르화법(A)는 원료 알코올, (메타)아크릴산 및 산성 촉매를 용매 중에 공급하여 원료 알코올과 (메타)아크릴산을 에스테르 반응시키고, 중화, 세정을 거쳐 물 및 용매를 계외로 제거하여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를 제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또한,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의미한다.The dehydrating esterification method (A) is a method in which raw alcohol, (meth) acrylic acid and acidic catalyst are fed into a solvent to esterify raw alcohol and (meth) acrylic acid, neutralization and washing to remove water and solvent out of the system to obtain acrylic multi- Refer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onomer. Further, (meth) acrylic acid means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원료 알코올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데카에틸렌글리콜, 펜타데카에틸렌글리콜, 펜타콘타헥타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1,3-부탄디올, 알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raw alcohol include trimethylol propane,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decaethylene glycol, pentadecaethylene glycol, pentaconthectaethylene glycol, pentaerythritol, 1,3-butanediol and allyl alcohol have. Of these, ethylene glycol is preferable.

산성 촉매로는, 예를 들면, 진한 황산, 파라톨루엔술폰산 등의 술폰산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idic catalyst include sulfonic acid-based catalysts such as concentrated sulfuric acid and para-toluenesulfonic aci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benzene, toluene and xylene.

에스테르 교환법(B)는 원료 알코올과 저급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중성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시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를 제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생성되는 알코올은 계외로 제거된다. 또한, 원료 알코올은 탈수 에스테르화법(A)와 동일한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중성 촉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리튬일수화물, 리튬메톡시드, 수소화리튬, 초산리튬, 리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The ester exchange method (B) refers to a method of producing an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by reacting a raw alcohol with a lower (meth) acrylic acid ester using a neutral catalyst. Alcohol produced is removed out of the system. Further, since the same alcohols as the dehydrating esterification method (A) can be used as the starting alcohol,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neutral cataly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lithium hydroxide, lithium hydroxide monohydrate, lithium methoxide, lithium hydride, lithium acetate and lithium amide.

에스테르 교환법(B)에 있어서 원료 알코올과 저급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평형 반응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합성 조건에서는 미반응인 원료 알코올이 얻어지는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 중에 1∼3중량% 정도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반응 원료 알코올의 끓는점과 얻어진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의 끓는점이 근사하기 때문에, 미반응 원료 알코올만을 계외로 제거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In the ester exchange method (B), since the ester exchange reaction between the starting alcohol and the lower (meth) acrylic acid ester is an equilibrium reaction, about 1 to 3% by weight remains in the acrylic polyfunctional monomer from which unreacted raw alcohol can be obtained under ordinary synthesis conditions . In addition, since the boiling point of the unreacted starting alcohol and the obtained boiling point of the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are close to each other, it may be difficult to remove only the unreacted starting alcohol out of the system.

따라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로는 원료 알코올 등의 휘발 물질의 함유량이 적은 탈수 에스테르화법(A)로 생성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가 바람직하고, 또한, 증류에 의해, 잔존하고 있는 (메타)아크릴산 및 산성 촉매 등의 제거에 의해 정제된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휘발 물질 및 불순물의 함유량이 적은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중합시켜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휘발 물질 및 불순물의 함유량이 적다. 예를 들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공면 상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형성하고, 이 도공막을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 물질 및 불순물에서 기인한 기포가 도막 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거의 없고, 또한 용제와의 친밀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도공면과의 밀착성, 외관 및 내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is preferably an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produced by the dehydration esterification method (A)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volatile substances such as a starting alcohol. Further, the (meth) acrylic acid and And an acrylic multi-functional monomer purified by removal of a catalyst or the like is more preferable. As described above,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btained by polymerizing raw monomers containing an acrylic polyfunctional monomer having a small content of volatile substances and impurities have a low content of volatile substances and impurities. For example, when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and a binder resin is coated on a coated surface to form a coated film and the coated film is dried to form a coated film, the volatile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Bubbles originating from substances and impurities rarely occur in the coating film, and because of good affinity with a solvent, a coating film excellent in adhesion with the coating surface, appearance and scratch resistance can be obtained.

원료 모노머 중의 다관능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입도 분포 내에서의 입자 강도의 편차가 작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1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5∼8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20∼50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monomer in the raw material monomer is preferably 1 to 1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monom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ith small variation in particle strength with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ore preferably from 20 to 50 parts by weight.

원료 모노머 중에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티렌,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염화비닐, 초산비닐,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The raw material monomer may contain a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acrylic monomer. Examples of such a monom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yrene, o-methylstyrene, m-methylstyrene, p-methylstyrene,? -Methylstyrene, vinyl chloride, vinyl acetate, acrylonitrile, acrylamide, methacryl Amide, N-vinylpyrrolidone, and the like. These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바인더 수지와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고, 이 수지 조성물을 기재 등의 임의의 도공면에 도공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into a resin composition by mixing with a binder resin, and the resin composition is coated on an optional coating surface such as a substrate and dried to form a coating film.

본 발명자들은 얻어진 도막의 내흠집성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 등의 휘발분의 양이 많으면, 수지 조성물 내의 바인더 수지나 필요에 따라서 혼합되는 용매와의 친밀성이 저하되고,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끼리가 응집되어 바인더 수지 중에 있어서의 분산성이 저하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on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ors,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amount of volatile matter such as residual monomers and water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large, the binder resin in the resin composition, And the dispersibility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n the binder resin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자들은 수지 조성물을 도공면에 도공한 후 이 도공막을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에 있어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 등의 휘발분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부터 방출되고, 이 방출된 잔존 모노머 및 수분 등의 휘발분이 원인이 되어 도막 중에 기포가 발생하며, 이 기포가 존재하고 있는 부분은 바인더 수지의 양이 적어짐과 함께 바인더 수지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밀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도막의 내흠집성이 저하됨과 함께, 기포의 존재에 의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끼리의 응집을 조장시킨다는 것을 알아내었다.Furth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in a drying step of coating a resin composition on a coated surface and then drying the coated film, volatile components such as residual monomers and water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released from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coating film due to residual volatile components such as residual monomers and water. In the portion where the bubbles are present, the amount of the binder resin decreases and the adhesion of the binder resin an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decreases. It is found that the scratch resistance is lowered and the coagulation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promoted by the presence of bubbles.

즉,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120℃에서 1.5시간 가열 후의 가열 감량(이하, 단순히 「가열 감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1.5% 이하로 한정하고, 바람직하게는 1.0% 이하로 함으로써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함유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 등의 휘발분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잔존 모노머 및 수분 등의 휘발분의 총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바인더 수지 및 용매와의 친밀성을 향상시켜 바인더 수지 중에 있어서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분산성을 향상시킴과 함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부터 도공막 중으로 방출되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 등의 휘발분의 양을 억제하여 도막 중에 기포가 생성되는 것을 대략 방지하고, 바인더 수지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끼리의 응집을 대략 방지하고 있어, 따라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의하면 우수한 내흠집성을 갖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weight loss of not more than 1.5%, preferably not more than 1.0%, after heating at 120 ° C for 1.5 hours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heat loss" The total amount of volatile matter such as residual monomers and moisture contained in the acrylic resin particles can be reduced. By decreasing the total amount of volatile matter such as residual monomer and mois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ntimacy with the binder resin and the solvent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n the binder resin and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nto the coating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bubbles in the coating film by suppressing the amount of volatile components such as residual monomers and moisture released and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binder resin an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o prevent coagulation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Therefore, according to the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can be formed.

또한,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가열 감량은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된 값을 말한다.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항량으로 한 100㎤의 비커(W3)에 9∼10g을 계량해서 취하고, 시료와 비커의 중량(W1)을 0.1㎎ 단위까지 읽는다. 채취한 시료가 든 비커를 120℃에서 1.5시간에 걸쳐 방치한 후, 비커를 꺼내어 실리카 겔을 넣은 데시케이터 내에서 30분 정치한 후의 중량(W2)을 측정한다. 측정은 시험실 기온 23℃∼27℃의 환경하에서 측정을 실시하고, 하기 식에 기초하여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가열 감량을 산출한다.The heating and the weight loss of the acrylic resin particles refers to the value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9 to 10 g of the acrylic resin particles are weighed into a beaker (W 3 ) of 100 cm 3 having a constant mass, and the weight (W 1 ) of the sample and the beaker is read to 0.1 mg unit. The beaker containing the sampled sample is allowed to stand at 120 ° C. for 1.5 hours, and then the beaker is taken out and the weight (W 2 ) after standing for 30 minutes in a desiccator containing silica gel is measured.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23 ° C to 27 ° C in a laboratory room, and the heating loss of the acrylic resin particles i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formula.

가열 감량(%)=100×(W1-W2)/(W1-W3)Heat loss (%) = 100 x (W 1 -W 2 ) / (W 1 -W 3 )

W1: 가열 전의 시료와 비커의 총 중량(g)W 1 : total weight of sample before beating and beaker (g)

W2: 가열 후의 시료와 비커의 총 중량(g)W 2 : total weight of sample and beaker after heating (g)

W3: 비커의 중량(g)W 3 : weight of beaker (g)

또한,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그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입자(이하, 단순히 「큰 직경 입자」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입자(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로 한정되며, 바람직하게는 0.5체적% 이하로 되어 있다.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ntent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not less than twice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 large diameter particle ") of 1.0 volume% or less.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large-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at least two times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1.0% by volume or less, preferably 0.5% by volume or less.

이와 같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을 소정량 이하로 한정함으로써,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의 표면에 큰 직경 입자가 돌출되는 것을 대체로 억제하여 도막의 외관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막 표면으로부터 큰 직경 입자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막의 내흠집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by limiting the content of the large-diamet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to a predetermined amount or less,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suppress the protrusion of large-diameter particles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formed of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Can be made go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arge-diameter particles from falling off from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thereby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의 외관 및 도막의 내흠집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응집을 보다 방지할 수 있고 도막의 외관 및 내흠집성이 보다 향상되기 때문에 3∼30㎛가 보다 바람직하며, 5∼20㎛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preferably 50 占 퐉 or less because the appearance of the coating film formed of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he scratch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are improved and the aggregation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further prevented More preferably 3 to 30 占 퐉, and particularly preferably 5 to 20 占 퐉, because the appearance and scratch resistance of the coating film can be further improved.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쿨터 멀티사이저 Ⅲ(벡크만·쿨터사 제조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한다. 측정은 벡크만·쿨터사 발행 MultisizerTM 3의 사용자 매뉴얼에 따라서 교정된 애퍼처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acrylic resin particles is measured by Coulter Multisizer III (measuring apparatus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Inc.). The measurement shall be carried out using the calibrated aperture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manual of Multisizer TM 3 issued by Beckman-Coulter.

또한, 측정에 이용되는 애퍼처의 선택은 측정하는 수지 입자의 상정한 체적 평균 입경이 1㎛ 이상 10㎛ 이하인 경우에는 50㎛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하고, 측정하는 수지 입자의 상정한 체적 평균 입경이 10㎛보다 크고 30㎛ 이하인 경우에는 100㎛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하며, 수지 입자의 상정한 체적 평균 입경이 30㎛보다 크고 90㎛ 이하인 경우에는 280㎛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하는 등 적절히 행한다. 측정 후의 체적 평균 입경이 상정한 체적 평균 입경과 상이한 경우는 적정한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로 변경하여, 재차 측정을 실시한다. The aperture used for the measurement is selected by selecting an aperture having a size of 50 mu m when the assume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esin particle to be measured is 1 mu m or more and 10 mu m or less, An aperture having a size of 100 mu m is selected when the particle diameter is larger than 10 mu m and 30 mu m or smaller and an aperture having a size of 280 mu m is selected when the assume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esin particle is larger than 30 mu m and 90 mu m or smaller And so on.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after measurement is different from the assume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aperture is changed to an aperture having an appropriate size, and measurement is performed again.

또한, 50㎛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했을 경우, Current(애퍼처 전류)는 -800, Gain(게인)은 4로 설정하고, 100㎛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했을 경우, Current(애퍼처 전류)는 -1600, Gain(게인)은 2로 설정하며, 280㎛ 및 400㎛ 사이즈를 갖는 애퍼처를 선택했을 경우, Current(애퍼처 전류)는 -3200, Gain(게인)은 1로 설정한다.When an aperture having a size of 50 mu m is selected, the current (aperture current) is set to -800 and the gain (gain) is set to 4. When an aperture having a size of 100 mu m is selected, The current is set to -1600 and the gain is set to 2. When the aperture having the sizes of 280 μm and 400 μm is selected, the current (aperture current) is set to -3200 and the gain (gain) is set to 1 .

측정용 시료로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0.1g을 0.1중량%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 10㎖ 중에 터치 믹서(야마토 과학사 제조, 「TOUCHMIXER MT-31」) 및 초음파 세정기(벨보 클리어사 제조, 「ULTRASONIC CLEANER VS-150」)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분산액으로 한 것을 사용한다. 쿨터 멀티사이저 Ⅲ의 측정부에 ISOTON(등록상표) Ⅱ(벡크만·쿨터사 제조: 측정용 전해액)를 채운 비커를 세트하고, 비커 내를 천천히 교반하면서 상기 분산액을 적하하여, 쿨터 멀티사이저 Ⅲ 본체 화면의 농도계의 시도를 5∼10%에 맞춘 후에 측정을 개시한다. 측정 중에는 비커 내를 기포가 들어가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교반해 두고, 입자를 10만개 측정한 시점에서 측정을 종료한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10만개의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있어서의 산술 평균이다.0.1 g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dissolved in 10 ml of a 0.1% by weight nonionic surfactant aqueous solution by using a touch mixer (TOUCHMIXER MT-31 manufactured by Yamato Scientific Co., Ltd.) and an ultrasonic cleaner (ULTRASONIC CLEANER VS -150 ") as a dispersion liquid. A beaker filled with ISOTON (registered trademark) II (manufactured by Beckman Coulter, measurement electrolyte) was placed in the measuring section of the Coulter Multisizer III, and the dispersion was dropped while slowly stirring the beaker, Ⅲ Start measurement after adjusting the concentration meter to 5 to 10% on the main body screen. During the measurement, the inside of the beaker was slowly stirred so as not to contain bubbles, and the measurement was terminated at the time when 100,000 particles were measured.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an arithmetic average i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based on the volume of 100,000 particles.

높은 광택 제거성 또는 바인더 수지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다공질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질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큰 비표면적을 갖기 때문에 흡습성이 높고, 휘발분이 많아져 양호한 도막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가열 감량을 낮은 레벨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porous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used in order to improve high gloss removability or adhesion to a binder resin. Since the porous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have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they are highly hygroscopic and have a high volatilization amount, so that a good coating film may not be obtain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uppress the heating loss to a low level.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합에 의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중합 공정 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 및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분급하는 분급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방법으로는 공지된 중합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괴상 중합, 유화 중합, 솝 프리(soap free) 유화 중합, 시드 중합, 현탁 중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입경이 1㎛ 이상의 형상이 갖추어진 입자가 얻어진다는 점에서, 현탁 중합, 시드 중합이 바람직하다.Next, a method for produc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linking acrylic resin particles are polymerized by a polymerization method, followed by a drying step for dry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a classification step for classify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 ≪ / RTI > The polymerization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Known polymerization methods include, for example, bulk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seed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the like.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seed polymerization are preferable in that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1 占 퐉 or more are obtained.

먼저, 중합 방법으로 현탁 중합을 채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중합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중합 공정에서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다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수성 매체 내에서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 현탁 중합시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을 얻는다. 현탁 중합은 수성 매체(수상) 내에 원료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유상)의 액적을 분산시켜 원료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행해진다.First, the case of employing suspension polymerization as the polymeriz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polymeriz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the polymerization step, a raw material monomer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is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an aqueous medium in the presence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obtain a suspension contain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Suspension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dispersing a droplet of a mixture (oil phase) containing a raw material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n aqueous medium (water phase) to polymerize the raw monomer.

수성 매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물과 수용성 유기 매체(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탄소수 5 이하의 알코올))의 혼합 매체를 들 수 있다. 수성 매체의 사용량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원료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00∼10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The aqueous mediu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a mixed medium of water, water and a water-soluble organic medium (a lower alcohol such as methanol or ethanol (alcohol having 5 or less carbon atoms)). The amount of the aqueous medium to be used is preferably 100 to 100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n order to stabilize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수성 매체 내에 분산 안정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분산 안정제로는,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인산알루미늄, 인산아연 등의 인산염, 피로인산칼슘, 피로인산마그네슘, 피로인산알루미늄, 피로인산아연 등의 피로인산염,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메타규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콜로이달실리카 등의 난수용성 무기 화합물,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산에 의해 분해되어 물에 용해되는 것(예를 들면, 탄산칼슘, 제3 인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피로인산마그네슘, 피로인산칼슘)을 사용하면, 중합 공정 후에 용이하게 분산 안정제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분산 안정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A dispersion stabilizer may be contained in the aqueous medium. Examples of the dispersion stabilizer include phosphates such as calcium phosphate, magnesium phosphate, aluminum phosphate and zinc phosphate, pyrophosphates such as calcium pyrophosphate, magnesium pyrophosphate, aluminum pyrophosphate and zinc pyrophosphat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calci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 Water-soluble inorganic compounds such as aluminum hydroxide, calcium metasilicate,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and colloidal silica, and water-soluble polymers such as polyvinyl pyrrolidone and polyvinyl alcohol. Among them, when a substance decomposed by an acid and dissolved in water (for example, calcium carbonate, tribasic calcium phosphate, magnesium hydroxide, magnesium pyrophosphate, calcium pyrophosphate) is used, the dispersion stabilizer is easily removed It is preferable. The dispersion stabiliz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분산 안정제의 사용량은 현탁액의 유동성을 확보하면서, 현탁액 중에 있어서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분산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원료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0.1∼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5∼1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dispersion stabilizer to be used is preferably from 0.1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0.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w material monomer, from the standpoint of good dispersibility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n the suspension while securing the fluidity of the suspension desirable.

중합 개시제로는 원료 모노머의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40∼80℃인 것,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니트릴 화합물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initiating polymerization of the raw material monomer. Howeve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has a 10-hour half-life temperature of 40 to 80 캜. Examples thereof include benzoyl peroxide, lauroyl peroxide, Organic peroxides such as ethylhexanoate,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 (2-methylbutyronitrile), 2,2'-azobis Dimethylvaleronitrile)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in combination.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원료 모노머의 현탁 중합을 원활히 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원료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0.01∼1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01∼7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01∼5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is preferably 0.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01 to 7 parts by weight, and particularly preferably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w material monomer, since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the raw material monomer can be smoothly initiated .

현탁 중합시에 있어서 현탁액(반응액)을 보다 안정화시키기 위해, 수성 매체 내에 계면활성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계면활성제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의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In order to further stabilize the suspension (reaction liquid) in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a surfactant may be contained in the aqueous medium. As the surfactant, any of an anionic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a nonionic surfactant, and a positive ion surfactant can be used. The surfactant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surfacta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올레산나트륨; 피마자유칼륨 등의 지방산유;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의 알킬황산에스테르염;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디알킬술포숙신산염; 알케닐숙신산염(디칼륨염); 알킬인산에스테르염; 나프탈렌술폰산포르말린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염 등을 들 수 있다.The anionic surfactant includes, for example, sodium oleate; Fatty acid oils such as castor oil and potassium; Alkyl sulfuric acid ester sal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and ammonium lauryl sulfate; Alkylbenzene sulfonic acid salts such a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Alkyl naphthalene sulfonic acid salts; Alkanesulfonic acid salts; Dialkylsulfosuccinates such as sodium dioctylsulfosuccinate; Alkenylsuccinates (dipotassium salts); Alkyl phosphoric acid ester salts; Naphthalenesulfonic acid formalin condensat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such as polyoxyethylene alkylphenyl ether sulfuric acid ester salt and polyoxyethylene lauryl ether sodium sulfate; And polyoxyethylene alkyl sulfate ester salts.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아민아세테이트, 스테아릴아민아세테이트 등의 알킬아민염;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tionic surfactant include alkylamine salts such as laurylamine acetate and stearylamine acetate; And quaternary ammonium salts such as lauryltrimethylammonium chloride.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록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nonionic surfactant include polyoxyethylene alkyl ether, polyoxyethylene alkyl phenyl ether, 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 sorbitan fatty acid ester, polyoxy sorbitan fatty acid ester, polyoxyethylene alkylamine, glycerin fatty acid Ester, oxyethylene-oxypropylene block polymer, and the like.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 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아인산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mphoteric surfactant include lauryldimethylamine oxide, phosphate ester surfactant, phosphorous ester surfactant, and the like.

얻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잔존하는 모노머양을 저감시키기 위해, 중합 공정에 있어서 원료 모노머의 중합 온도를 제1 온도 영역과 제1 온도 영역보다 높은 제2 온도 영역으로 나누고, 원료 모노머를 제1 온도 영역에서 현탁 중합시킨 후, 원료 모노머를 제2 온도 영역에서 추가로 현탁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monomer remaining in the result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s divided into a first temperature range and a second temperature rang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in the polymerization step, , 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material monomer is further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in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제1 온도 영역으로는 30℃ 이상이며 또한 80℃ 미만이 바람직하고, 40∼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온도 영역으로는 제1 온도 영역보다 높은 온도일 필요가 있으며, 60∼120℃가 바람직하고, 80∼120℃가 보다 바람직하며, 90∼105℃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first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3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lower than 8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40 to 70 占 폚.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needs to b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preferably 60 to 120 ° C, more preferably 80 to 120 ° 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0 to 105 ° C.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 모노머의 현탁 중합 온도를 제1 온도 영역과 제2 온도 영역으로 나누어 현탁 중합시킴으로써, 저온인 제1 온도 영역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를 서서히 분해시키면서 원료 모노머의 중합을 행하고, 원료 모노머의 중합이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제1 온도 영역보다 높은 제2 온도 영역에서 원료 모노머의 중합 속도를 상승시켜 원료 모노머의 중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얻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i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nto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thereby gradually polymerizing the raw monomer while slowly decomposing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at a low temperature, The polymerization rat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can be increased in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to promote the polymerization of the raw material monomer and the amount of the residual monomer contained in the result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Can be reduced.

제1 온도 영역에 있어서의 원료 모노머의 현탁 중합 시간은 원료 모노머의 중합을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0.1∼15시간이 바람직하다. 제2 온도 영역에 있어서의 원료 모노머의 현탁 중합 시간은 얻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의 잔존 모노머양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0.5∼5시간이 바람직하다.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tim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0.1 to 15 hours since the polymerization of the raw material monomer can be sufficiently proceeded.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tim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n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0.5 to 5 hours since the amount of the residual monomer in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can be effectively reduced.

다음으로, 중합 방법으로 시드 중합을 채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원료 모노머와 수성 매체로 구성되는 유화액(현탁액)에 종입자를 첨가한다. 유화액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 모노머를 수성 매체에 첨가하고 호모지나이저, 초음파 처리기, 나노마이저 등의 미세 유화기를 통해 분산시킴으로써 유화액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수성 매체로는, 물, 또는 물과 유기 용매(예를 들면,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Next, the case where the seed polymerization is adopted as the polymeriza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First, the seed particles are added to the emulsion (suspension) composed of the raw material monomer and the aqueous medium. The emulsion can be prepar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n emulsion can be obtained by adding a raw material monomer to an aqueous medium and dispersing the emulsion through a micro emulsifier such as a homogenizer, an ultrasonic processor or a nanometer. Examples of the aqueous medium include water or a mixture of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for example, a lower alcohol).

또한, 별도 제작되는 종입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유화 중합, 솝 프리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종입자의 입경 균일성이나 제조 방법의 간편성을 고려하면, 유화 중합 또는 솝 프리 유화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종입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 또는 분자량 조정제의 첨가량에 의해 조정해도 된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eed particles to be produced separatel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emulsion polymerization, 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grain size uniformity of the seed particles and simplicity of the production method, emulsion polymerization or 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is preferabl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seed particles may be adjusted by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used or the amount of the molecular weight adjuster added.

원료 모노머에는 필요에 따라서 중합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중합 개시제는 모노머에 미리 혼합된 후 수성 매체 내에 분산되어도 되고, 양자를 개별적으로 수성 매체에 분산시킨 것이 혼합되어도 된다. 얻어진 유화액 중에 존재하는 원료 모노머의 액적 입경은 종입자보다 작은 편이 모노머가 종입자에 효율적으로 흡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raw material monomer may optionally contain a polymerization initiat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preliminarily mixed in the monomer and then dispersed in the aqueous medium, or both may be dispersed in the aqueous medium separately. The droplet siz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present in the obtained emuls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ed particle because the monomer is efficiently absorbed into the seed particle.

종입자는 유화액에 직접 첨가되어도 되고, 종입자가 수성 매체에 분산된 형태(이하, 종입자 분산액이라고 한다)로 첨가되어도 된다. 종입자가 유화액에 첨가된 후, 원료 모노머는 종입자에 흡수된다. 이 흡수는 통상 종입자 첨가 후의 유화액을 실온(20℃)에서 1∼12시간 교반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모노머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위해 유화액은 30∼50℃ 정도로 가온되어도 된다.The seed particles may be directly added to the emulsion or may be added in the form of dispersing the seed particles in an aqueous medium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ed particle dispersion). After the seed particles are added to the emulsion, the raw monomer is absorbed into the seed particles. This absorption can be usually performed by stirring the emulsion after seed particle addition at room temperature (20 ° C) for 1 to 12 hours. Further, the emulsion may be heated to about 30 to 50 DEG C to promote the absorption of the monomer.

종입자는 모노머를 흡수함으로써 팽윤된다. 모노머와 종입자의 혼합 비율은 종입자 1중량부에 대해 원료 모노머 5∼3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00∼25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원료 모노머의 혼합 비율이 작아지면, 중합에 의한 입경 증가는 작아지고, 원료 모노머의 혼합 비율이 커지면, 원료 모노머가 완전하게 종입자에 흡수되지 않고 수성 매체 내에서 독자적으로 현탁 중합하여, 이상 입자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입자에 의한 원료 모노머 흡수의 종료는 광학 현미경의 관찰로 입경의 확대를 확인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The seed particles swell by absorbing the monomer. The mixing ratio of the monomer and the seed particle is preferably 5 to 3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00 to 250 parts by weight, of the starting monomer to 1 part by weight of the seed particles.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s small, the particle size increase due to polymerization becomes small, and when the mixing ratio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s large, the raw material monomer is not completely absorbed by the seed particles but suspended and polymerized independently in an aqueous medium, May be generated. The completion of the absorption of raw material monomer by the seed particles can be judged by confirming the enlargement of the particle size by observing with an optical microscope.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오르토클로로과산화벤조일, 오르토메톡시과산화벤조일,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3-디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3,3-트리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이소프로필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카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원료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0.1∼1.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added as need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benzoyl peroxide, lauroyl peroxide, orthochloro benzoyl peroxide, orthomethoxy benzoyl peroxide, 3,5,5-trimethylhexanoyl peroxide, t Organic peroxides such as butyl peroxy-2-ethylhexanoate and di-t-butyl peroxide; (2,4-dimethylvaleronitrile), 2,2'-azobis (2,3-dimethylbutyronitrile), 2,2'-azobisisobutyronitrile, 2,2'- Azobis (2-methylbutyronitrile), 2,2'-azobis (2,3,3-trimethylbutyronitrile), 2,2'-azobis (2-isopropylbutyronitrile) Azobis (cyclohexane-1-carbonitrile), 2,2'-azobis (4-methoxy-2,4-dimethylvaleronitrile, (2-carbamoyl azo) isobutyl Azo compounds such as acrylonitrile, 4,4'-azobis (4-cyanovaleric acid) and dimethyl-2,2'-azobisisobutyrate, etc.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It is preferably used in a range of 0.1 to 1.0 part by weight.

다음으로, 종입자에 흡수된 원료 모노머를 중합시킴으로써 아크릴계 수지 입자가 얻어진다. 중합 온도는 원료 모노머나 중합 개시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상술한 현탁 중합과 동일하게, 얻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잔존하는 모노머양을 저감시키기 위해, 중합 공정에 있어서 원료 모노머의 중합 온도를 제1 온도 영역과 제1 온도 영역보다 높은 제2 온도 영역으로 나누고, 원료 모노머를 제1 온도 영역에서 중합시킨 후, 원료 모노머를 제2 온도 영역에서 추가로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온도 영역으로는 30℃ 이상이며 또한 80℃ 미만이 바람직하고, 40∼70℃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온도 영역으로는 제1 온도 영역보다 높은 온도일 필요가 있으며, 60∼120℃가 바람직하고, 80∼120℃가 보다 바람직하며, 90∼105℃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은 질소 분위기와 같은 중합에 대해 불활성인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해도 된다. 또한, 중합 반응은 종입자에 원료 모노머 및 임의로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가 완전하게 흡수된 후에, 승온하여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crylic resin particles are obtained by polymerizing raw material monomers absorbed in the seed particles.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raw material monomer or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the monomer remaining in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aw material monomer is further polymerized in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after the raw material monomer is polymerized in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and then divided into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gion which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region. Concretely, the first temperature range is preferably 3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lower than 8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40 to 70 占 폚.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needs to b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preferably 60 to 120 ° C, more preferably 80 to 120 ° 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0 to 105 ° C. The polymerization may be carried out under an inert gas atmosphere inert to polymerization such as a nitrogen atmospher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performed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eed particles after the raw monomers and optionally used polymerization initiators are completely absorbed.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수지 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분자 분산 안정제가 첨가되어도 된다. 고분자 분산 안정제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르복실산, 셀룰로오스류(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트리폴리인산나트륨 등의 무기계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병용되어도 된다. 이들 고분자 분산 안정제 중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분산 안정제의 첨가량은 원료 모노머 100중량부에 대해 1∼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In the polymerization step, a polymer dispersion stabilizer may be added to improve the dispersion stability of the resin particles. Examples of the polymer dispersion stabilizer include polyvinyl alcohol, polycarboxylic acid, 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etc.), and polyvinylpyrrolidone. In addition, an inorganic water-soluble polymeric compound such as sodium tripolyphosphate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these polymer dispersion stabilizers,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pyrrolidone are preferable. The addition amount of the polymer dispersion stabilize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raw material monomer.

또한, 상기 중합 공정에 있어서 수계에서의 유화 입자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아질산염류, 아황산염류, 히드로퀴논류, 아스코르브산류, 수용성 비타민 B류, 시트르산, 폴리페놀류 등의 수용성 중합 금지제가 사용되어도 된다.Water-soluble polymerization inhibitors such as nitrites, sulfites, hydroquinones, ascorbic acids, water-soluble vitamin B, citric acid and polyphenols may be used in order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emulsified particles in the aqueous system in the above-mentioned polymerization step.

상술한 중합 공정에서 얻어진 현탁액 중으로부터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여과를 통해 분리하고, 물 등으로 세정함으로써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는다.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suspension ob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tep described above by filtration and washed with water or the like to obtai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바람직하게는 건조 공정을 실시한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건조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량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고, 얻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가열 감량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Next,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are preferably subjected to a drying step. By carrying out the drying step o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residual monomer and water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o reduce the heating loss of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건조 온도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30∼90℃가 바람직하고, 60∼80℃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drying temperature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preferably from 30 to 90 占 폚, more preferably from 60 to 80 占 폚, since the residual monomers and water content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can be effectively reduced.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건조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감압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건조시의 진공도는 0.03∼0.09MPa가 바람직하고, 0.05∼0.08MPa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진공도」란 대기압 이하의 압력으로서, 대기압과의 압력차의 절대값을 말한다.The drying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a reduced pressure since the residual monomer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he amount of water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 degree of vacuum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during drying is preferably 0.03 to 0.09 MPa, more preferably 0.05 to 0.08 MPa. The " vacuum degree " refers to an absolute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atmospheric pressure, which is a pressure of atmospheric pressure or less.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건조 시간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량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3∼24시간이 바람직하고, 5∼20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drying time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preferably from 3 to 24 hours, more preferably from 5 to 20 hours, since the residual monomer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he moisture content can be effectively reduced.

다음으로, 얻어지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있어서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입자(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가 되도록, 입경이 큰 입자를 분급에 의해 제거한다(분급 공정).Next,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diameter are removed by classification so that the content of the particles (large-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2 times or more of the volume average particle size (large-diameter particle) in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is 1.0 volume% or less (classification process) .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분급 방법으로는 입경이 큰 입자를 분급에 의해 제거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풍력 분급, 스크린 분급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작은 평균 입경을 갖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클로깅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분급할 수 있기 때문에, 풍력 분급이 바람직하다. 풍력 분급이란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급하는 방법을 말한다. 스크린 분급이란 스크린 상에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공급하고, 스크린을 진동시킴으로써 스크린 상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스크린의 그물을 통과하는 입자와 통과하지 않는 입자로 분급하는 방법을 말한다.The classification method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can be removed by classificatio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wind power classification and screen classification. Among these, the classification of the wind power is preferable because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having a small average particle diameter can be classified without generating clogging. Wind classification refers to a method of classifying particles using air flow. Screen classification refers to a method of supply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nto a screen and vibrating the screen to classify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n the screen into particles that do not pass through the mesh of the screen.

풍력 분급으로는, (1)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공기의 흐름에 실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스크린에 충돌시키고, 스크린의 그물을 통과하는 입자와 통과하지 않는 입자로 분급하는 방법, (2)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선회 기류의 흐름에 실어, 선회 기류에 의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부여되는 원심력과, 기류의 선회 중심을 향하는 기류의 흐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대소 2가지 입경의 그룹으로 분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1)의 풍력 분급을 행하는 장치로는, 예를 들면, 유그롭사에서 상품명 「블로워 시프터」, 토요 하이테크사에서 상품명 「하이 볼터」, 마키노 산업사에서 상품명 「마이크로 시프터」로 시판되고 있는 분급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2)의 풍력 분급을 행하는 장치로는, 닛세이 엔지니어링사에서 상품명 「터보 클래시파이어」, 세이신 기업사에서 상품명 「스페딕 클래시파이어」로 시판되고 있는 분급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2가지 분급 방법은 분급하는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성상이나, 목적으로 하는 조대 입자 제거 레벨에 따라 구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부착성이 높은 경우 및 조대 입자의 제거 정밀도를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2)의 기류 분급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 a method in which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loaded on a stream of air to cause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to collide with the screen and classified into particles that do not pass through the mesh of the screen and particles that do not pass through the screen; (2) A method of putting the resin particles in a flow of a swirling air current and classifying them into large and small particle diameters by inter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to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by the swirling air current and the flow of the air current toward the swirl center of the air current . Examples of the apparatus for classifying wind power according to the above (1) include a classifier "Blower Shifter" available from Yugropsa, a classifier "Hi-Bolter" available from Toyo Hi-Tech Co., and a classifi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Makino Industries Co., . Examples of the apparatus for classifying wind power according to (2) include a turboclassifier commercially available from Nissei Engineering Co., Ltd., and a classification apparatus commercially available from Seishin Enterprise Co., Ltd. under the trade name "SPEDIC CLASSIFIER". The two classification methods can be classified and used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acrylic resin particles to be classified or the desired level of coarse particle removal. When the adhesion of the acrylic resin particles is high and when it is desired to improve the removal accuracy of the coars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irflow classifier of (2).

상기 (1)의 풍력 분급에서 사용되는 스크린의 눈금 간격은 클로깅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입경이 큰 입자를 효율적으로 분급하여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분급하기 전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의 2∼7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3∼5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Since the scale interval of the screen used in the wind power classification (1) does not cause clogging and particles with a large particle size can be efficiently classified and removed, it is preferable that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cross- More preferably from 3 to 5 times.

풍력 분급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가열 감량을 작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된 공기의 분위기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상대 습도가 30% 이하인 분위기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의 상대 습도가 20% 이하인 분위기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 power classification is performed in an atmosphere of dehumidified air because it is possible to keep the heat loss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small.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operation in an atmosphere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air of 30% And more preferably in an atmosphere having a humidity of 20% or less.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도록, 제조 후에는 습기를 투과시키기 어려운 포장 재료로 밀봉하여 포장 물품으로서 보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기를 투과시키기 어려운 포장 재료로는 수증기 투과도가 50g/㎡·24시간 이하인 포장 재료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장 재료로는, 예를 들면, 두께가 50∼150㎛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백, 합성 수지 필름의 일면에 금속막이 증착된 증착 필름으로 구성된 백, 합성 수지 필름의 일면에 금속 필름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으로 구성된 백 등을 들 수 있다. 포장 재료의 투습도로는 수증기 투과도가 50g/㎡·24시간 이하가 바람직하고, 30g/㎡·24시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도는 온도 40℃, 상대 습도 90%의 조건에서 수증기 투과율 측정 장치(미국, 모콘(MOCON)사 제조, 「퍼매트란(등록상표) W3/31)」)를 이용하고 JIS K7129(2000년판)에 기재된 B법(적외 센서법)에 기초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2장의 시험편에 대해 각각 측정을 1회씩 실시하고, 2개의 측정값의 상가 평균값을 수증기 투과율의 값으로 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thus obtained are sealed with a packaging material which is difficult to permeate moisture after production so as not to absorb moisture in the air and stored as a packaged article. As a packaging material which is difficult to permeate moisture, a packaging material having a water vapor permeability of 50 g / m 2 24 hours or less is preferable. As such a packaging material, for example, a bag made of low-density polyethylene having a thickness of 50 to 150 占 퐉, a bag made of a vapor-deposited film having a metal film deposited on one side of a synthetic resin film, And the like, and the like.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the packaging material is preferably 50 g / m 2 24 hour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0 g / m 2 24 hours or less. The water vapor permeability was measured using a water vapor permeability measuring apparatus ("Fermatan (registered trademark) W3 / 31" manufactured by MOCON CORPORATION, USA)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40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Infrared sensor method). Further, the measurement is performed once for each of the two test pieces,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two measured values is taken as the value of the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사용 요령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을 제작한다.Next, an example of usage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resin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with the binder resin.

수지 조성물에는 점도를 조정하기 위해 용매가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초산에틸,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The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solvent for adjusting the viscosity. The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oluene, methyl ethyl ketone, ethyl acetate, alcohol and the like. The solvent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solv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범용의 혼합기를 이용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와 바인더 수지를 혼합하면 된다. 혼합기로는, 예를 들면, 압출기 등의 혼련기, 비즈 밀, 고압 호모지나이저 등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producing the resin compositio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he binder resin may be mixed by using a general-purpose mixer. Examples of the mixer include a kneader such as an extruder, a bead mill, and a high-pressure homogenizer.

바인더 수지로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 및 전자선 경화성 수지 등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바인더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면, 상술한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인더 수지의 원료가 되는 모노머 및 이 모노머가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As the binder resin, any of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such as an ultraviolet ray curable resin and an electron beam curable resin, a thermoplastic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may be used. The binder resin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may be used in combination.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the acrylic resin, polycarbonate, polyester resin, polyethylene resin and polypropylene resin, and polystyrene resins. Of these, an acrylic resin, a polycarbonate, a polyester resin and a polystyrene resin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xcellent transparency.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binder resin " is a concept including a monomer as a raw material of the binder resin and an oligomer obtain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 unless otherwise specified.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는, 아크릴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프리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경화형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include thermosetting urethane resins, phenol resins, urea melamine resins, epoxy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nd silicone resins, each of which is composed of an acrylic polyol and an isocyanate-free polymer.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는, 다가 알코올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 디이소시아네이트, 다가 알코올, 및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등으로 합성되는 다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고,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가 알코올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1,2,4-시클로헥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글리세롤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include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resins such as polyhydric alcohol polyfunctional (meth) acrylates and the like; Polyfunctional urethane acrylate resins synthesized with diisocyanates, polyhydric alcohols, (meth) acrylic esters having a hydroxy group, and the like. 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resin is preferable, and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resin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in one molecule is more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of polyhydric alcohol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resins having three or more (meth) acryloyl groups in one molecule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methylol ethane tri (meth) acrylate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acrylate,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tri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and the like .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로는 상기 이외에도,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알키드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스피로아세탈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부타디엔 수지,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 polyether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 polyester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n epoxy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n alkyd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Resin, a spiroacetal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 polybutadiene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and a polythiol polyene resin having an acrylate functional group.

상기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중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광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바인더 수지로 한다.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류, 벤조인류, 벤조페논류, 포스핀옥사이드류, 케탈류, α-히드록시알킬페논류, α-아미노알킬페논, 안트라퀴논류, 티오크산톤류, 아조 화합물, 과산화물류(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39663호 등에 기재), 2,3-디알킬디온 화합물류, 디술파이드 화합물류, 플루오로아민 화합물류, 방향족 술포늄류, 오늄염류, 보레이트염, 활성 할로겐 화합물, α-아실옥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When an ultraviolet ray curable resin is used 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to the ultraviolet ray curable resin to form a binder resin.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acetophenone, benzoin, benzophenone, phosphine oxides, ketaldehyde,? -Hydroxyalkylphenones,? -Aminoalkylphenones, anthraquinones, , An azo compound, a peroxide compound (described in JP 2001-139663 A), a 2,3-dialkyldione compound, a disulfide compound, a fluoroamine compound, an aromatic sulfonium compound, an onium salt, a borate salt, Active halogen compounds, and? -Acyloxime esters.

상기 아세토페논류로는,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p-디메틸아세토페논, 1-히드록시디메틸페닐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4-메틸티오-2-몰포리노프로피오페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포리노페닐)-부탄온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류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벤조에이트, 벤조인벤젠술폰산에스테르, 벤조인톨루엔술폰산에스테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류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2,4-디클로로벤조페논, 4,4-디클로로벤조페논, p-클로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포스핀옥사이드류로는,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케탈류로는, 예를 들면, 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등의 벤질메틸케탈류 등을 들 수 있다. α-히드록시알킬페논류로는, 예를 들면,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α-아미노알킬페논류로는, 예를 들면,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폴리닐)-1-프로파논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etophenones include acetophenone, 2,2-diethoxyacetophenone, p-dimethylacetophenone, 1-hydroxydimethylphenylketone,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 4-methylthio-2-morpholinopropiophenone, 2-benzyl-2-dimethylamino-1- (4-morpholinophenyl) -butan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benzoin include benzoin, benzoin benzoate, benzoin benzenesulfonic acid ester, benzoin toluenesulfonic acid ester, benzoin methyl ether, benzoin ethyl ether, benzoin isopropyl ether, and the like. Examples of benzophenones include benzophenone, 2,4-dichlorobenzophenone, 4,4-dichlorobenzophenone, and p-chlorobenzophenone. Examples of the phosphine oxides include 2,4,6-trimethylbenzoyldiphen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ketalization include benzylmethyl ketal such as 2,2-dimethoxy-1,2-diphenylethane-1-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hydroxyalkylphenols include 1-hydroxycyclohexyl phenyl keto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aminoalkylphenols includ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 (4-morpholinyl) -1-propanone.

시판되는 광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이르가큐어(등록상표) 651」(2,2-디메톡시-1,2-디페닐에탄-1-온),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이르가큐어(등록상표) 184」,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이르가큐어(등록상표) 907」(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등을 바람직한 예로서 들 수 있다.Commercially available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trade names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651" (2,2-dimethoxy-1,2-diphenylethane-1-one) manufactured by BASF Japan KK,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184 ", trade name"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907 "(trade name, manufactured by BASF Japan KK) (2-methyl-1- (4-methylthiophenyl) -On),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s preferable examples.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바인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2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1∼1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1∼8중량부가 특히 바람직하다.The amou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o be used is preferably 0.5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 to 8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resin.

수지 조성물 내에 있어서의 바인더 수지의 함유량은 광확산성 및 광투과성 쌍방이 우수한 광학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100중량부에 대해 25∼4000중량부가 바람직하고, 50∼2000중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binder resin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from 25 to 40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50 to 20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from the viewpoint of producing an optical material excellent in both light diffusibility and light- The addition is more preferable.

상기 수지 조성물을 기재 등의 임의의 도공면에 도공하여 도공막을 제작하고, 이 도공막을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도공막을 경화시킴으로써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공면에 수지 조성물을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리버스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다이 코트법, 콤마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A coating film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can be formed by coating the resin composition on an optional coating surface such as a substrate to prepare a coating film, drying the coating film, and then curing the coating film as necessary. As a method of coating the resin composition on the coated surface, known methods such as a reverse roll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and a spray coating method can be used.

기재로서 투명 필름 기재를 사용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공함으로써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은 방현 필름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투명 필름 기재의 재질로는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필름 기재의 두께는 5∼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 기재의 두께가 5㎛보다 얇은 경우에는, 도공, 인쇄, 2차 가공시의 투명 필름 기재의 취급이 곤란해져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투명 필름 기재의 두께가 300㎛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투명 필름 기재 그 자체의 가시광 투과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An optical film can be obtained by using a transparent film base as a base material and coating the resin composition. The optical film can be used as an antiglare film or the like. The material of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transparenc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triacetylcellulose resin, polystyrene resin, acrylic resin, polycarbonate resin, cycloolefin- .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is preferably 5 to 300 mu m.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is thinner than 5 占 퐉, handling of the transparent film substrate during coating, printing, and secondary processing becomes difficult and the workability may be deteriorated in some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is larger than 300 탆, the visible light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film base material itself may be deteriorated.

수지 조성물은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함유하고 있지만,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가열 감량이 1.5% 이하로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량이 적다는 점에서, 바인더 수지나 용매 등과 친밀성이 양호하고, 수지 조성물의 도공 중에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가 응집되는 경우가 없으며,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다. 따라서, 얻어지는 도공막 중에 있어서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응집되지 않고 바인더 수지 중에 양호하게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The resin composition contains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but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have a heating loss of 1.5% or less, and the remaining monomer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he water content are small, An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do not aggregate during the coating of the resin composition, an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well dispersed in the thermoplastic resin. Therefore, even in the obtained coated film,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not agglomerated and exist in a state of being well dispersed in the binder resin.

또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량이 적다는 점에서, 도공막의 건조 중에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부터 방출되는 잔존 모노머 및 수분의 총량은 매우 소량이다. 따라서, 얻어지는 도막에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로부터 방출된 잔존 모노머 및 수분에서 기인한 기포는 거의 존재하고 있지 않고, 얻어지는 도막은 우수한 내흠집성을 갖고 있다.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residual monomers and moisture released from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during drying of the coating film is very small, because residual monomer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the amount of water are small. Therefore, the resulting coating film contains almost no residual monomer released from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bubbles due to moisture, and the obtained coating film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또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중에 포함되어 있는 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라는 점에서, 얻어진 도막의 표면에 큰 직경 입자가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경우가 거의 없음과 함께, 도막 표면으로부터 큰 직경 입자가 탈락되는 경우도 거의 없기 때문에, 얻어지는 도막은 우수한 외관을 갖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of the large diameter particles contained 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s not more than 1.0% by volume, the large diameter particles do not almost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obtained coating film, Since the particles are rarely dropped off, the resulting coating film has an excellent appearance.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수지 조성물 내에 함유시켜 도막 형성을 위해 사용되었을 경우, 얻어지는 도막은 우수한 외관 및 내흠집성을 갖고 있다.The acrylic resin p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when used for forming a coating film contained in the resin composition, the resulting coating film has excellent appearance and scratch resistance.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실시예 1)(Example 1)

탈이온수 100중량부에 무기계 분산 안정제로서 제3 인산칼슘 5중량부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0.005중량부를 첨가하여 수상으로 하였다.5 parts by weight of tribasic calcium phosphate as an inorganic dispersion stabilizer and 0.005 part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as an anionic surfactant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to form an aqueous phase.

한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5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에, 중합 개시제로서 과산화벤조일 0.2중량부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2중량부를 용해시켜 유상으로 하였다.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는 탈수 에스테르화법에 의해 제조하고, 추가로 증류에 의해 정제하였다.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의 순도는 98.1중량%였다.On the other hand, 0.2 part by weight of benzoyl peroxide and 0.2 part by weight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dissolved in a raw material monomer containing 35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1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was paid.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was prepared by dehydration esterification and further purified by distillation. The purity of th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was 98.1% by weight.

분산기(프라이믹스사 제조, 상품명 「T.K.호모 믹서 MODEL S」)를 이용하여 회전수 2500rpm으로 수상과 유상을 교반, 혼합하고, 수상 중에 유상의 액적을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었다. 교반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중합기에 분산액을 공급한 후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분산액을 55℃(제1 온도 영역)로 가열하고 원료 모노머를 3시간에 걸쳐 현탁 중합시켰다. 이어서, 분산액을 100℃(제2 온도 영역)로 가열하고 원료 모노머를 2시간에 걸쳐 현탁 중합시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중합 공정). 또한, 현탁 중합 중에는 중합 분위기를 질소 분위기로 하였다.The aqueous phase and the aqueous phase were stirred and mixed at a rotation number of 2500 rpm using a dispersing machine (trade name: T.K. Homomixer MODEL S, manufactured by FRIMICS Co., Ltd.), and an oil phase droplet was dispersed in the aqueous phase to obtain a dispersion. After the dispersion was supplied to a polymerization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and a thermometer, the dispersion was heated to 55 deg. C (first temperature region) while stirring the dispersion, and the raw monomer was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3 hours. Subsequently, the dispersion was heated to 100 캜 (second temperature region), and the raw monomer was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2 hours to obtain a suspension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polymerization step). During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atmosphere was set to a nitrogen atmosphere.

얻어진 현탁액을 20℃까지 냉각시킨 후, 현탁액에 염산을 첨가하여 제3 인산칼슘을 분해시킨 후, 원심분리기(다나베 윌테크사 제조)를 이용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분리하고,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After the obtained suspension was cooled to 20 캜,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the suspension to decompose the tribasic calcium phosphate, and the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separated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manufactured by Danabe Wilted Co.), and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washed with ion exchange water.

다음으로,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60℃, 진공도 0.05MPa의 조건에서 15시간에 걸쳐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8.21㎛였다.Next,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dried at 60 캜 under a vacuum degree of 0.05 MPa for 15 hours (drying step).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8.21 탆.

눈금 간격 32㎛의 스크린을 설치한 풍력 분급기(토요 하이테크사 제조 상품명 「하이 볼터 NR300」)를 준비하였다. 풍력 분급기를 이용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상대 습도가 20%인 공기의 분위기하에서 분급하였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상대 습도가 20%인 공기의 흐름에 실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스크린에 충돌시키고, 스크린의 그물을 통과하지 않는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입경이 큰 입자를 제거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A wind power classifier (trade name " Hi-bolter NR300 ",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having a screen with a scale interval of 32 mu m was prepare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classified in an air atmosphere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20% by using a wind power classifier.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loaded on a stream of air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20% to impinge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n the screen, and particles not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creen were removed to remove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to obtai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

(실시예 2)(Example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7.5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2.5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aw material monomer containing 47.5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was used.

(실시예 3)(Example 3)

탈이온수 100중량부에 무기계 분산 안정제로서 피로인산칼슘 5중량부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라우릴황산나트륨 0.005중량부를 첨가하여 수상으로 하였다.5 parts by weight of calcium pyrophosphate as an inorganic dispersion stabilizer and 0.005 part by weight of sodium lauryl sulfate as an anionic surfactant were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deionized water to form an aqueous phase.

한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중량부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20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에, 유기 용제로서 메틸에틸케톤 40중량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용해시켜 유상으로 하였다.On the other hand, to the raw material monomer containing 2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2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40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as an organic solvent and 40 parts by weight of 2,2'-azobisisobutyronitrile 0.1 part by weight was dissolved into an oil phase.

분산기(프라이믹스사 제조, 상품명 「T.K.호모 믹서 MODEL S」)를 이용하여 회전수 3000rpm으로 수상과 유상을 교반, 혼합하고, 수상 중에 유상의 액적을 분산시켜 분산액을 얻었다. 교반기 및 온도계를 구비한 중합기에 분산액을 공급한 후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분산액을 50℃(제1 온도 영역)로 가열하고 원료 모노머를 5시간에 걸쳐 현탁 중합시켰다. 이어서, 분산액을 70℃(제2 온도 영역)로 가열하고 원료 모노머를 2시간에 걸쳐 현탁 중합시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중합 공정). 또한, 현탁 중합 중에는 중합 분위기를 질소 분위기로 하였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85℃, 진공도 0.063MPa의 조건하에서 증류하여 메틸에틸케톤을 현탁액으로부터 제거하였다.The aqueous phase and the aqueous phase were stirred and mixed at a rotation speed of 3000 rpm using a dispersing machine (trade name "TK Homomixer MODEL S", manufactured by FRIMICS Co., Ltd.), and an oil phase droplet was dispersed in the aqueous phase to obtain a dispersion. After the dispersion was fed to a polymerization reactor equipped with a stirrer and a thermometer, the dispersion was heated to 50 캜 (first temperature region) while stirring the dispersion, and the raw monomer was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5 hours. Subsequently, the dispersion was heated to 70 DEG C (second temperature region) and the raw monomer was subjected to suspension polymerization for 2 hours to obtain a suspension contain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polymerization step). During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atmosphere was set to a nitrogen atmosphere. The suspension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distilled under the conditions of 85 캜 and a degree of vacuum of 0.063 MPa to remove methyl ethyl ketone from the suspension.

얻어진 현탁액을 20℃까지 냉각시킨 후, 현탁액에 염산을 첨가하여 피로인산칼슘을 분해시킨 후, 원심분리기(다나베 윌테크사 제조)를 이용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분리하고,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After the obtained suspension was cooled to 20 캜, hydrochloric acid was added to the suspension to decompose the calcium pyrophosphate, and the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separated using a centrifugal separator (manufactured by Danabe Wilted Co.), and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Ion-exchanged water.

다음으로,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90℃, 진공도 0.07MPa의 조건에서 24시간에 걸쳐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10㎛였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는 비표면적이 91㎠/g인 다공질체였다.Next,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dried for 24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90 캜 and a degree of vacuum of 0.07 MPa (drying step).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10 μm.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porous bodies having a specific surface area of 91 cm < 2 > / g.

눈금 간격 32㎛의 스크린을 설치한 풍력 분급기(토요 하이테크사 제조 상품명 「하이 볼터 NR300」)를 준비하였다. 풍력 분급기를 이용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상대 습도가 20%인 공기의 분위기하에서 분급하였다.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상대 습도가 20%인 공기의 흐름에 실어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스크린에 충돌시키고, 스크린의 그물을 통과하지 않는 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입경이 큰 입자를 제거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가열 감량은 0.65%였다.A wind power classifier (trade name " Hi-bolter NR300 ",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having a screen with a scale interval of 32 mu m was prepare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classified in an air atmosphere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20% by using a wind power classifier.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loaded on a stream of air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20% to impinge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n the screen, and particles not passing through the mesh of the screen were removed to remove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to obtai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 The weight loss of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0.65%.

합성 수지 필름의 일면에 금속 필름이 적층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수증기 투과도: 0.7g/㎡·24시간)으로 구성된 백(세이산닛폰사 제조 상품명 「라미집 AL-14」)을 준비하고, 이 백에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50g을 수납하고 밀봉하여 포장 물품을 제작하였다. 포장 물품을 30℃, 상대 습도 80%로 조정된 항온 항습기 내(에스펙사 제조 상품명 「TBE」)에 24시간에 걸쳐 방치하였다. 그 후에 포장 물품을 개방하고, 백 내에 수납하고 있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가열 감량을 측정한 결과 0.66%였다.(Lamy house AL-14, trade name, manufactured by Seisan Japan) having a laminated film (vapor permeability: 0.7 g / m < 2 > 24 hours) in which a metal film was laminated and integrated on one surface of a synthetic resin film, 50 g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btained in the bag were contained and sealed to produce a packaged article. The packaged product was allowed to stand in a thermo-hygrostat (trade name " TBE " manufactured by Especa) adjusted to a relative humidity of 80% at 30 캜 for 24 hours. Thereafter, the packaged article was opened, and the heating loss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contained in the bag was measured and found to be 0.66%.

(실시예 4)(Example 4)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콘덴서를 구비한 분리형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 60중량부, 메타크릴산메틸 10중량부 및 중합 조정제로서 n-도데실메르캅탄 0.05중량부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공급하고 반응액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하여 반응액을 70℃로 승온하였다. 플라스크 내의 반응액을 70℃로 유지하면서 반응액에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05중량부를 공급한 후, 반응액을 20시간에 걸쳐 중합시켜 에멀션(A)를 얻었다. 얻어진 에멀션(A)는 고형분을 14중량% 함유하고 있었다. 고형분은 체적 평균 입경 0.4㎛의 진구상 입자를 포함하고 있었다.A separable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reflux condenser was charged with a reaction solution containing 6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1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0.05 part by weight of n-dodecylmercaptan as a polymerization regulator, While the flask was purged with nitrogen, and the reaction solution was heated to 70 캜.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liquid in the flask at 70 占 폚, 0.0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fed to the reaction liquid, and the reaction liquid was polymerized for 20 hours to obtain an emulsion (A). The obtained emulsion (A) contained solid content of 14% by weight. The solid component contained spherical particles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4 占 퐉.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콘덴서를 구비한 다른 분리형 플라스크에 물 55중량부, 상기 에멀션(A) 7중량부, 메타크릴산메틸 10중량부 및 n-도데실메르캅탄 0.05중량부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공급하고 반응액을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를 질소 치환하여 반응액을 70℃로 승온하였다. 플라스크 내의 반응액을 70℃로 유지하면서 반응액에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 0.05중량부를 공급한 후, 반응액을 12시간에 걸쳐 중합시켜 에멀션(B)를 얻었다. 얻어진 에멀션(B)는 고형분을 14중량% 함유하고 있었다. 고형분은 체적 평균 입경 1.0㎛의 진구상 입자(종입자)를 포함하고 있었다.A separate reaction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reflux condenser was charged with 55 parts by weight of water, 7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on (A), 1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and 0.05 part by weight of n-dodecylmercaptan And the inside of the flask was purged with nitrogen while stirring the reaction solution,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ion solution was raised to 70 占 폚. 0.0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persulfate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was fed to the reaction liquid while maintaining the reaction liquid in the flask at 70 DEG C, and then the reaction liquid was polymerized for 12 hours to obtain an emulsion (B). The obtained emulsion (B) contained solid content of 14% by weight. The solid component contained spherical particles (seed particles) having a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mu m.

교반기, 온도계 및 환류 콘덴서를 구비한 다른 분리형 플라스크에 원료 모노머로서 메타크릴산메틸 40중량부,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30중량부 및 스티렌 30중량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6중량부를 공급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었다.In a separate separable flask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nd a reflux condenser, 40 parts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30 parts by weight of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30 parts by weight of styrene as raw material monomers were mixed with 2,2'-azobis 6 parts by weight of isobutyronitrile were fed and uniformly mixed to obtain a mixture.

얻어진 혼합물에 계면활성제로서 숙신술폰산나트륨 1중량부가 포함된 이온 교환수 100중량부를 공급하고 분산기(프라이믹스사 제조, 상품명 「T.K.호모 믹서 MODEL S」)를 이용하여 회전수 8000rpm으로 10분간에 걸쳐 20℃에서 혼합하여 수성 유화액을 얻었다. 이 수성 유화액에 에멀션(B) 8중량부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분산액을 제작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ion-exchanged water containing 1 part by weight of sodium succinic acid sulphate as a surfactant was supplied to the obtained mixture,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20,000 rpm for 20 minutes using a dispersing machine (trade name: TK HOMOMIXER MODEL S, Lt; 0 > C to obtain a water-based emulsion. 8 parts by weight of the emulsion (B) was added to this aqueous emulsion with stirring to prepare a dispersion.

분산액의 교반을 20℃에서 3시간에 걸쳐 계속한 후 분산액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분산액 중의 원료 모노머는 종입자에 흡수되어 있었다(팽윤 배율 약 20배). 다음으로, 상기 분산액에 분산 안정제 수용액 200중량부를 공급하였다. 분산 안정제 수용액은 이온 교환수 196중량부에 분산 안정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구라레사 제조 상품명 「PVA-224E」) 4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작하였다. 상기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원료 모노머를 60℃(제1 온도 영역)에서 6시간에 걸쳐 중합시켰다. 이어서, 상기 분산액을 100℃(제2 온도 영역)로 가열하고 원료 모노머를 3시간에 걸쳐 중합시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중합 공정). 또한, 중합 중에는 중합 분위기를 질소 분위기로 하였다.Stirring of the dispersion was continued at 20 캜 for 3 hours, and the dispersion was observed under an optical microscope. As a result, the raw material monomer in the dispersion was absorbed by the seed particles (swelling magnification of about 20 times). Next, 200 parts by weight of the dispersion stabilizer aqueous solution was supplied to the dispersion. The dispersion stabilizer aqueous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4 parts by weight of polyvinyl alcohol (trade name "PVA-224E",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as a dispersion stabilizer in 196 parts by weight of ion exchange water. The raw material monomer was polymerized at 60 캜 (first temperature region) over 6 hours while stirring the dispersion. Subsequently, the dispersion was heated to 100 ° C (second temperature region) and the raw monomer was polymerized for 3 hours to obtain a suspension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polymerization step). During the polymerization, the polymerization atmosphere was set to a nitrogen atmosphere.

얻어진 현탁액을 20℃까지 냉각시킨 후, 가압 여과기를 이용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여과, 분리하고,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이온 교환수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The resulting suspension was cooled to 20 DEG C, and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filtered and separated using a pressure filter, and the resulting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washed with ion exchange water.

다음으로,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60℃, 진공도 0.05MPa의 조건에서 15시간에 걸쳐 건조시켰다(건조 공정).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5.01㎛였다.Next,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dried at 60 캜 under a vacuum degree of 0.05 MPa for 15 hours (drying step).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5.01 탆.

풍력 분급기(닛세이 엔지니어링사 제조 상품명 「터보 클래시파이어 TC-15」)를 이용하여 상대 습도 25%의 분위기하에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분급을 행하였다(분급 공정). 구체적으로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로터 회전수 4500rpm, 풍량 2.0㎥/분의 조건에 의해 발생한 선회 기류에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실어, 선회 기류에 의해 입자에 부여되는 원심력과 기류의 선회 중심을 향하는 기류 흐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입경이 큰 입자와 작은 입자로 체를 통해 나눔으로써 큰 입자를 제거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The classification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carried out in an atmosphere of a relative humidity of 25% using a wind power classifier (trade name: "Turbo Classifier TC-15" manufactured by Nissei Engineering Co., Ltd.). Concretely,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re loaded on the swirling airflow generated by the conditions of the rotor rotational speed of 4,500 rpm and the air flow rate of 2.0 m < 3 > / min, and the centrifugal force applied to the particles by the swirling air stream By the interaction of the air current flow, large particles were removed by dividing the particles with large particles and small particles through the sieve to obtai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원료 모노머의 55℃(제1 온도 영역)에서의 중합 시간을 8시간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polymerization tim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at 55 캜 (first temperature region) was 8 hours.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분급을 상대 습도가 80%인 공기의 분위기하에서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except that classification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carried out in an atmosphere of air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8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분급 공정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lassification step was not performed.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원료 모노머의 60℃(제1 온도 영역)에서의 중합 시간을 8시간으로 하고, 분급 공정을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얻었다.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체적 평균 입경은 5.03㎛였다.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polymerization time of the raw material monomer at 60 캜 (first temperature region) was 8 hours and the classification step was not performed.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as 5.03 탆.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에 대해, 120℃에서 1.5시간 가열 후의 가열 감량, 체적 평균 입경 및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입자(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을 상기의 요령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도막의 표면성을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thus obtained were measured for heat loss, volume-average particle size and content of particles (large-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not less than twice the volume-average particle size after heating at 120 ° C for 1.5 hours, Are shown in Table 1.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coating film obtain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obtaine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도막의 표면성)(Surface property of coated film)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0.4중량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토요 방적사 제조 상품명 「바이론 200」) 2.5중량부, 톨루엔 5.0중량부 및 메틸에틸케톤 1.0중량부를 교반탈포기(틴키사 제조 상품명 「아와토리 렌타로」)에 공급하고 3분간에 걸쳐 혼합 후에 1분간에 걸쳐 탈포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작하였다., 0.4 part by weight of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2.5 parts by weight of a polyester resin (trade name "VYLON 200", manufactured by TOYOSETTON CORPORATION), 5.0 parts by weight of toluene and 1.0 part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were added to a stirring deaerator (trade name " Taro ") and mixed for 3 minutes, followed by defoaming for 1 minute to prepare a resin composition.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흑색의 ABS판 상에 두께가 100㎛가 되도록 도공하고, 도공막을 70℃의 오븐 내에서 3분간에 걸쳐 건조시켜 도막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도막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판단하였다.The obtained resin composition was coated on a black ABS plate to a thickness of 100 占 퐉, and the coating film was dried in an oven at 70 占 폚 for 3 minutes to prepare a coating film. The obtained coating film surface was visually observed and judg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돌기 및 얼룩이 관찰되지 않았다.A ... No protrusions or stains were observed.

B…돌기 또는 얼룩이 약간 관찰되었다.B ... A few protrusions or stains were observed.

C…돌기 또는 얼룩이 많이 관찰되었다.C ... Many protrusions or stains were observed.

(방현 필름용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및 방현 필름의 제조예)(Preparation of resin composition for antiglare film and production of antiglare film)

〔제조예 1〕[Production Example 1]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아로닉스(등록상표) M-305」) 80중량부와, 유기 용제로서 톨루엔과 시클로펜타논의 혼합액(톨루엔:시클로펜타논(체적비)=7:3) 120중량부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5중량부와, 광중합 개시제로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BASF 재팬사 제조 상품명 「이르가큐어(등록상표) 907」) 5중량부를 혼합하여, 방현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80 parts by weight of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tri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Aronix (registered trademark) M-305, manufactured by Toagosei Co., Ltd.) as an ultraviolet ray curable resin and 80 parts by weight of toluene and cyclopenta , 120 parts by weight of a mixed liquid (toluene: cyclopentanone (volume ratio) = 7: 3), 5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prepared in Example 4 and (2-methyl- Phenyl) -2-morpholinopropane-1-one) (trade name: Irgacure (registered trademark) 907, manufactured by BASF Japan) were mixed to prepare a resin composition for an antiglare film.

투명 필름 기재로서 두께 200㎛이며 또한 투명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방현 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해서 도공막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도공막을 80℃에서 1분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도공막을 건조시켰다. 그 후에,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적산광량 300mJ/㎠로 상기 도공막에 조사함으로써, 도공막을 경화시켜 방현성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였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실시예 4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방현성 하드 코트층이 적층 일체화되어 있는 방현 필름을 얻었다.As a transparent film substrate, a transparen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0 mu m was prepared. A resin composition for an antiglare film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using a bar coater to form a coating film. Next, the coating film was heated at 80 DEG C for 1 minute to dry the coating film. Thereafter,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to the coated film at an accumulated light quantity of 300 mJ / cm 2 using a high-pressure mercury lamp to cure the coated film to form a flash-resistant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film in which a light-scattering hard coat layer contain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Example 4 was laminated and integrated on one si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obtained.

〔비교 제조예 1〕[Comparative Production Example 1]

실시예 4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대신하여 비교예 4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방현 필름을 얻었다.An antiglare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Comparative Example 4 were used instead of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f Example 4.

얻어진 방현 필름의 방현성,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를 하기의 요령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The antiglare property,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of the obtained antiglare film were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방현성)(Repellency)

방현 필름을 형광등 바로 아래에 배치하여 방현 필름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형광등은 방현 필름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 상방 50cm의 위치에 배설하였다.The antiglare film was placed just under the fluorescent lamp so that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film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Further, a fluorescent lamp was disposed at a position 50 cm above and above the surface of the antiglare film.

A…형광등의 윤곽선이 흐릿하게 보였다.A ... The outline of the fluorescent lamp looked blurry.

B…형광등의 윤곽선이 보이고, 윤곽선이 조금 신경 쓰였다.B ... The outline of the fluorescent lamp was visible, and the contour was a little nervous.

C…형광등의 윤곽선이 명료하게 보였다.C ... The outline of the fluorescent light was clear.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방현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은 JISK7361-1에 따라 측정하고, 방현 필름의 헤이즈는 JISK7136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방현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는 일본 전색 공업 주식회사에서 시판되고 있는 헤이즈미터(NDH2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antiglare film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7361-1, and the haze of the antiglare film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7136. Specifically,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and haze of the antiglare film were measured using a haze meter (NDH2000) available from Nippon Seishoku Kogyo Co.,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Claims (10)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고, 120℃에서 1.5시간 가열 후의 가열 감량이 1.5% 이하이며, 또한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And a content of large-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not less than 2 times the volume-average particle size of not more than 1.0% by volume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not more than 1.5% after heating at 120 ° C for 1.5 hours,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평균 입경이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50 占 퐉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다공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characterized by being poro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복수 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에 의해 가교되어 있고, 당해 아크릴계 다관능성 모노머는 탈수 에스테르화법에 의해 생성된 것이며 또한 증류에 의해 정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rylic resin is crosslinked by an acrylic polyfunctional monomer having a plurality of (meth) acryloyl groups, and the acrylic polyfunctional monomer is produced by a dehydration esterification method and purified by distillation Acrylic resin particles.
아크릴계 모노머 및 다관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원료 모노머를 제1 온도 영역에서 중합시킨 후에, 상기 제1 온도 영역보다 높은 제2 온도 영역에서 추가로 중합시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중합 공정과,
상기 중합 공정에서 얻어진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진공도 0.03∼0.09MPa이며 또한 30∼90℃의 조건하에서 건조시키는 건조 공정과,
상기 건조 공정에서 건조된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상대 습도가 30% 이하인 분위기하에 있어서, 풍력 분급에 의해 체적 평균 입경의 2배 이상의 입경을 갖는 큰 직경 입자의 함유량이 1.0체적% 이하가 되도록 분급하는 분급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A polymerization step of polymerizing raw monomers including an acrylic monomer and a polyfunctional monomer in a first temperature range and then further polymerizing in a second temperature rang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to produc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 drying step of drying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obtained in the polymerization step under a condition of a degree of vacuum of 0.03 to 0.09 MPa and a temperature of 30 to 90 캜,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dried in the drying step are classified into a class such that the content of large diamete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2 times or more of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is 1.0 volume% or less in an atmosphere having a relative humidity of 30% Wherein the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size of not more than 50 占 퐉.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영역이 30℃ 이상이며 또한 80℃ 미만임과 함께, 상기 제2 온도 영역이 8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range is 30 ° C or higher and lower than 80 ° C, and the second temperature range is 80 ° C to 120 ° C.
바인더 수지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가교 아크릴계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A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binder resin and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제 7 항의 수지 조성물을 투명 필름 기재 상에 도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An optical film obtained by applying the resin composition of claim 7 onto a transparent film substrate. 제 8 항에 있어서,
방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optical film is an antiglare film.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아크릴계 수지 입자가 수증기 투과도가 50g/㎡·24시간 이하인 포장 재료로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물품.A packaged art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crylic resin particle of any one of claims 1 to 4 is sealed with a packaging material having a water vapor permeability of 50 g / m 2 24 hours or less.
KR1020140010147A 2014-01-28 2014-01-28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KR1015962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47A KR101596254B1 (en) 2014-01-28 2014-01-28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147A KR101596254B1 (en) 2014-01-28 2014-01-28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78A true KR20150089478A (en) 2015-08-05
KR101596254B1 KR101596254B1 (en) 2016-02-22

Family

ID=53885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147A KR101596254B1 (en) 2014-01-28 2014-01-28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25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970A (en) * 2000-07-28 2002-02-06 Maruo Calcium Co Ltd Acrylic resin composition
JP2002166228A (en) * 1999-11-09 2002-06-11 Sekisui Chem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particle, particle, spac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heet
JP2006077047A (en) 2004-09-07 2006-03-23 Sekisui Plastics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synthetic resin particle
KR20100105689A (en) * 2008-01-30 2010-09-29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m containing acrylic resin,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crystal display
KR20110133638A (en) * 2006-08-21 2011-12-13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Microparticle, process for producing microparticle, and, loaded with the microparticl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JP2012215867A (en) 2011-03-31 2012-11-08 Sumitomo Chemical Co Ltd Light-diffu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ating liquid therefor,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228A (en) * 1999-11-09 2002-06-11 Sekisui Chem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particle, particle, spac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electrically conductive particl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heet
JP2002037970A (en) * 2000-07-28 2002-02-06 Maruo Calcium Co Ltd Acrylic resin composition
JP2006077047A (en) 2004-09-07 2006-03-23 Sekisui Plastics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synthetic resin particle
KR20110133638A (en) * 2006-08-21 2011-12-13 니폰 쇼쿠바이 컴파니 리미티드 Microparticle, process for producing microparticle, and, loaded with the microparticl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KR20100105689A (en) * 2008-01-30 2010-09-29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Film containing acrylic resin, polarizer comprising the same, and liquid-crystal display
JP2012215867A (en) 2011-03-31 2012-11-08 Sumitomo Chemical Co Ltd Light-diffusing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ating liquid therefor,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6254B1 (en) 2016-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3273B1 (en) Resin particles
JP6612417B2 (en) Polymer particles and uses thereof
JP2020125477A (e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
EP3851464A1 (en) Hollow polymer partic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47402B1 (en) POLYMER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PARTICLE
KR101596254B1 (en) Cross-linked acrylic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ing articles
TWI529184B (e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sin composition, optical film and packaged article
JP7175447B1 (en) Hollow resin particl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JP6410266B2 (en) Method for producing polymer particles
KR101422666B1 (en) Acrylic fine particles and diffusing film comprising the same
CN104804351A (en) Cross-linked acrylic resin particle, preparation method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packaged article
KR20220024724A (en) Resin fine partic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JP6180317B2 (en) Method for producing fluorescent dye-containing resin beads, fluorescent dye-containing resin beads obtained by the method, and fluorescent article using the same
WO2022210893A1 (en) Resin fine particles, coating softener, matting agent for paint, stress relaxation agent for curable resin, light diffusing agent, light diffusing resin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KR102159531B1 (en) Polymer particles, production method for polymer particles, and its application
US20240124702A1 (en) Fine resin particle and fine resin particle-containing composition
WO2023153109A1 (en) Polymer particles, polymer particle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JPWO2021171669A5 (en)
JP2023118042A (en) Polymer particles, polymer particle composition, and optical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