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191A -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191A
KR20150089191A KR1020140009503A KR20140009503A KR20150089191A KR 20150089191 A KR20150089191 A KR 20150089191A KR 1020140009503 A KR1020140009503 A KR 1020140009503A KR 20140009503 A KR20140009503 A KR 20140009503A KR 20150089191 A KR20150089191 A KR 20150089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m surge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unit
d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표
김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비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비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비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140009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191A/ko
Publication of KR2015008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2201/00Weather detection, monitoring or forecasting for establishing the amount of global warm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대기 모델 정보를 저장하는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파고 및 조차를 포함하는 폭풍 해일 정보를 저장하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치별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 정보를 저장하는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정보 및 DEM 정보 간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설정된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일치시켜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하는 표준화부;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 순으로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하는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 상기 폭풍 해일 지수와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폭풍 해일 예보자료를 생성하는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 상기 생성된 폭풍 해일 예보 자료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SYTEM OF FORECASTING STORM}
본 발명은 폭풍 해일 조기 예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이하 DEM이라 함)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폭풍 해일을 예측하여 예보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4차 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100년간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의 증가로 세계 평균 기온이 0.74℃ 상승하였고, 계속 상승하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여 북유럽, 북·중앙 아시아의 강수량은 증가하였으며, 지중해, 남아프리카, 남아시아 등에서의 강수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해수면도 상승하는 추세로, 태풍해일 및 이상 해면상승 등의 자연재해 피해규모가 대형화되고 태풍해일의 강도 및 내습빈도가 증가하여 인접하여 연안지역에서는 매년 반복되는 자연재해로 막대한 인면 및 자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005년 미국에서는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내습으로 뉴올리언스에서만 1,079명이 사망하고 2,000억 달러가 넘는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대한민국에서도 2003년 태풍 매미의 내습으로 마산만에 해일이 발생하여 32명의 인명피해 및 6,000억 원의 재산피해가 있었다. 따라서 폭풍 해일에 의한 침수, 범람 및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고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방안으로 풍향 센서, 풍속 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을 통하여 폭풍 해일의 조짐을 감지하여 폭풍 해일의 발생을 경보(alarm) 하는 센서네트워크 기반 폭풍 해일 경보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센서네트워크 기반 폭풍 해일 경보시스템은 실제 폭풍 해일을 발생한 것을 감지하여 경보 하는 체계이므로, 폭풍 해일 경보를 발생할 시점에는 이미 폭풍 해일 발생 지역이 폭풍 해일의 영향을 받으므로, 그 지역의 사람들이 폭풍 해일에 미처 대피하거나 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인명 피해 및 재산 손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폭풍 해일의 발생을 감지하여 경보 하는 것이 아닌 폭풍 해일의 발생을 미리 예측하여 알려주는 예보 시스템을 시급하게 필요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0844호(공개일 : 2011년 09월 15일)가 있다.
GIS 기반의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폭풍 해일을 예측하여 예보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대기 모델 정보를 저장하는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파고 및 조차를 포함하는 폭풍 해일 정보를 저장하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치별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 정보를 저장하는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정보 및 DEM 정보 간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설정된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일치시켜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하는 표준화부;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 순으로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하는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 상기 폭풍 해일 지수와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폭풍 해일 예보자료를 생성하는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 상기 생성된 폭풍 해일 예보 자료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준화부는, 격자 구조 단위 중 가장 작은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와 중간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 사이의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이용하여 표준화 포맷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준화부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대기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다운 스케일링하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다운 스케일링하는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에서 출력되는 대기 모델 정보와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에서 출력되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저장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및 폭풍 해일 모델 정보와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DEM 정보를 설정된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는,
수학식
Figure pat00001
를 이용하여 상기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에 의한 값은 표준화 포맷을 갖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내 파고와 조차를 합한 값이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DEM 정보는 지형의 높이 값이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는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내 풍향 및 풍속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가중치일 수 있다.
상기 폭풍 해일 예보 자료는 풍향, 풍속 및 파고가 표시되는 지도와 예보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은,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DEM 정보 및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기상 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에 따르면, GIS 기반의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폭풍 해일을 예측하여 예보함으로써, 폭풍 해일에 미처 대피하거나 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 인명 피해 및 재산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준화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폭풍 해일 예보 자료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100)은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1),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2), DEM(Digital Elevation Model) 정보 데이터베이스(3), 표준화부(4),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6), 폭풍 해일 지수 데이터베이스(7),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8), 전송부(9) 및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10)을 포함한다.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1)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풍향 및 풍속 등과 같은 대기 모델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대기 모델 정보는 풍향 및 풍속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위치는 위도 및 경도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풍향 및 풍속 등과 같은 대기 모델 정보는 기상청에서 5km 간격을 갖는 격자 구조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2)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파고 및 조차 등과 같은 폭풍 해일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폭풍 해일 정보는 파고 및 조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파고(height of a wave)는 물결의 높이를 나타내며, 조차는 만조와 간조 사이의 해수면의 높이 차를 나타내며, 간조에서 만조까지 바닷물이 밀려 들어오는 것을 밀물이라 하며 만조에서 간조까지 바닷물이 빠지는 것을 썰물이라고 한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파고 및 조차 등과 같은 폭풍 해일 정보는 기상청에서 8km 간격을 갖는 격자 구조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3)는 위치별 DEM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DEM 정보는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세계 지형 정보 중 건물, 수목, 인공구조물 등을 제외한 지형(bare earth)의 높이 값을 나타낸다. 위치별 DEM 정보는 지리 정보원 등에서 600m 간격의 격자 구조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표준화부(4)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정보 및 DEM 정보 간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설정된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표준화 포맷으로 일치시킨다. 이때 격자 구조의 일치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정보 및 DEM 정보 각각의 격자 구조 단위 중 가장 작은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와 중간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 사이의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격자 구조의 일치는 가장 작은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를 갖는 DEM 정보와 중간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를 갖는 대기 모델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DEM 정보의 격자 구조 단위인 600m와 대기 모델 정보의 격자 구조 단위인 5km 사이의 값인 1km 간격을 갖는 격자 구조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격자 구조가 일치가 1km 간격으로 이뤄지도록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표준화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 기준 정보 생성부(401), 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스(404) 및 포맷 변환부(405)를 포함한다.
표준화 기준 정보 생성부(401)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402)와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403)를 포함한다.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402)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대기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즉 5km 간격의 격자구조를 가진 대기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인 1km 간격의 격자구조를 가진 대기모델 정보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이때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에는 WRF(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모델, PRSIM 모델, RSM 모델 등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403)는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즉 8km 간격의 격자구조를 가진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상기 설정된 격자 구조 단위인 1km 간격의 격자구조를 가진 폭풍 해일 모델 정보로 다운 스케일링한다.
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스(404)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402)에서 출력되는 대기 모델 정보와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403)에서 출력되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저장한다. 즉 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스(404)는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갖는 대기 모델 정보와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저장한다.
포맷 변환부(405)는 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스(404)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및 폭풍 해일 모델 정보와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DEM 정보를 설정된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때 설정된 표준화 포맷은 NetCDF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폭풍 해일 모델 정보의 포맷은 ASCII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기 모델 정보의 포맷은 GRIB2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DEM 정보의 격자 구조를 변환시키지 않은 이유는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마다 작기 때문이다. 즉 DEM 정보는 600m 간격의 격자 구조를 가지며 상기 표준화 격조 구조는 1km 간격을 갖기 때문이다.
다시 도 1에서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는 표준화부(4)에서 출력되는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는 시간 경과 순으로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저장한다.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6)는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 순으로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한다. 이때 폭풍 해일 지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에 의한 값은 표준화 포맷을 갖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내 파고와 조차를 합한 값이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DEM 정보는 지형의 높이 값이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는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내 풍향 및 풍속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가중치일 수 있다. 이러한 풍향 및 풍속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가중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는 풍향이 동풍이고 풍속이 1m/s인 경우 설정된 가중치가 -0.5이고, 풍향이 동풍이고 풍속이 3m/s인 경우 설정된 가중치가 -0.3이고, 풍향이 서풍이고 풍속이 1m/s인 경우 설정된 가중치가 1 등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풍향 및 풍속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는 태풍 해일 예보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폭풍 해일 지수가 -20 이상 20 미만인 경우 폭풍 해일 주의보에 해당 되며 폭풍 해일 지수가 20 이상인 경우 폭풍 해일 경보에 해당 될 수 있다.
폭풍 해일 지수 데이터베이스(7)는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6)에서 생성된 폭풍 해일 지수를 저장한다.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8)는 폭풍 해일 지수 데이터베이스(7)에 저장된 폭풍 해일 지수와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된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폭풍 해일 예보자료를 생성한다. 이때 폭풍 해일 예보 자료는 풍향, 풍속 및 파고가 표시되는 지도와 예보 텍스트를 포함하며, 이를 예시한 도면이 도 4에 나타나 있다.
전송부(9)는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8)에서 생성된 폭풍 해일 예보 자료를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부(9)는 폭풍 해일 모델 자료를 SMS, 인터넷, 팩스, 방송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팩시밀리, 또는 텔레비전일 수 있다.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1)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DEM 정보 및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된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상 전문가 단말기(103)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제공부(101)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한다. 정보 제공부(101)는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1)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된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DEM 정보 및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된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인터넷을 경유하여 기상 전문가 단말기(103)로 전송한다.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10)을 구비한 이유는 기상 전문가의 경우 표준화부(4)를 통해서 표준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시데이터 즉 대기 모델 정보 DB(1) 내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B(2) 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 DB(3) 내 DEM 정보만으로도 폭풍 해일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되지 않은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기상 전문가에게 제공하며, 이와 아울러 기상 전문가가 폭풍 해일의 발생 여부 발생의 판단을 빠르게 하도록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2 :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3 :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
4 : 표준화부
5 : 표준화 정보 데이터베이스
6 :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
7 : 폭풍 해일 지수 데이터베이스
8 :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
9 : 전송부
10 :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6)

  1.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풍향 및 풍속을 포함하는 대기 모델 정보를 저장하는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시간에 따라 변하는 위치별 파고 및 조차를 포함하는 폭풍 해일 정보를 저장하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
    위치별 수치 표고 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 정보를 저장하는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정보 및 DEM 정보 간 서로 다른 격자 구조를 설정된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일치시켜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하는 표준화부;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 순으로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하는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
    상기 폭풍 해일 지수와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및 DEM 정보를 이용하여 폭풍 해일 예보자료를 생성하는 폭풍 해일 예보자료 생성부;
    상기 생성된 폭풍 해일 예보 자료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부는,
    격자 구조 단위 중 가장 작은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와 중간 크기의 격자 구조 단위 사이의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를 이용하여 표준화 포맷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부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대기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다운 스케일링하는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 기법을 이용하여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상기 표준화 격자 구조 단위로 다운 스케일링하는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
    역학적 다운 스케일링부에서 출력되는 대기 모델 정보와 통계적 다운 스케일링부에서 출력되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를 저장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기준 정보 데이터베이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및 폭풍 해일 모델 정보와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DEM 정보를 설정된 표준화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풍 해일 지수 산출부는,
    수학식
    Figure pat00003
    를 이용하여 상기 폭풍 해일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에 의한 값은 표준화 포맷을 갖는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내 파고와 조차를 합한 값이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DEM 정보는 지형의 높이 값이며,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에 따라 설정된 가중치는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내 풍향 및 풍속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가중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풍 해일 예보 자료는 풍향, 풍속 및 파고가 표시되는 지도와 예보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대기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DEM 정보 및 상기 표준화 포맷을 갖는 대기 모델 정보, 폭풍 해일 모델 정보, DEM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아닌 기상 전문가 단말기로 전송하는 폭풍 해일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KR1020140009503A 2014-01-27 2014-01-27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KR20150089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503A KR20150089191A (ko) 2014-01-27 2014-01-27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503A KR20150089191A (ko) 2014-01-27 2014-01-27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191A true KR20150089191A (ko) 2015-08-05

Family

ID=5388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503A KR20150089191A (ko) 2014-01-27 2014-01-27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1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1463A (zh) * 2017-02-14 2017-06-06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排水管的排水状态检测方法和系统
CN108732647A (zh) * 2018-04-11 2018-11-02 祁超祯 风暴潮预报方法
CN112233387A (zh) * 2020-10-12 2021-01-15 中国海洋大学 一种沿海风暴潮监测装置及在线监测预警系统
KR102636274B1 (ko) * 2023-09-18 2024-02-14 케이웨더(주) 의사결정나무 모델을 활용한 폭풍해일 피해수준의 모의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1463A (zh) * 2017-02-14 2017-06-06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排水管的排水状态检测方法和系统
CN106801463B (zh) * 2017-02-14 2019-03-08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排水管的排水状态检测方法和系统
CN108732647A (zh) * 2018-04-11 2018-11-02 祁超祯 风暴潮预报方法
CN112233387A (zh) * 2020-10-12 2021-01-15 中国海洋大学 一种沿海风暴潮监测装置及在线监测预警系统
KR102636274B1 (ko) * 2023-09-18 2024-02-14 케이웨더(주) 의사결정나무 모델을 활용한 폭풍해일 피해수준의 모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7148B2 (en) Flood disaster prediction
Storlazzi et al. Rigorously valuing the role of US coral reefs in coastal hazard risk reduction
Acosta-Coll et al. Real-time early warning system design for pluvial flash floods—A review
Maldonado et al. Seasonal predic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and frequency of rainy days over Costa Rica, Central America,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US10725205B2 (en) Forensic weather system
Doong et al. Development of an operational coastal flooding early warning system
KR20150089191A (ko) 폭풍 해일 예보 시스템
US20220057542A1 (en) Predicting the impact of a tropical cyclone
Mobley et al. Estimating flood extent during Hurricane Harvey using maximum entropy to build a hazard distribution model
CN112567420A (zh) 用于多触发参数化数据管理及相关事务的方法和系统
US20230259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environmental planning and decision suppor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fusion techniques on distributed sensor network data
FR3062484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meteorologie et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associe
US10345485B2 (en) Forensic weather system
ARETXABALETA et al. Toward a national coastal hazard forecast of total water levels
Pei et al. Joint distributions of hurricane wind and storm surge for the city of Charleston in South Carolina
Tsimplis et al. On the effect of the sampling frequency of sea level measurements on return period estimate of extremes—Southern European examples
Montoya et al. Analysis of a 10-year record of nearshore directional wave spectra and implications to littoral processes research and engineering practice
Venkatesan et al. India's ocean observation network: relevance to society
Aziz Coastal alerting IoT system in response to high tides and turbulent weather
CN113254560B (zh) 一种油田滩海的潮汐灾害预测系统及方法
Dubois et al. An enhanced SAR-based tsunami detection system
KR20190093910A (ko)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기반 국지성 호우 피해 예방을 위한 재난 알림시스템
Akbar et al. A Preliminary Study of Meteotsunami Using Fuzzy Logic Algorithm over Sunda Strait, Indonesia
Nixon et al. Development of the Gulf of Mexico marine debris model
Mayer Exploring the impact of the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on wave variability in Tarawa, Republic of Kirib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