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670A -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670A
KR20150087670A KR1020140007882A KR20140007882A KR20150087670A KR 20150087670 A KR20150087670 A KR 20150087670A KR 1020140007882 A KR1020140007882 A KR 1020140007882A KR 20140007882 A KR20140007882 A KR 20140007882A KR 20150087670 A KR20150087670 A KR 2015008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ser
smart watch
face
targe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현
노요한
이지현
이호동
홍석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670A/ko
Priority to US14/566,573 priority patent/US20150205994A1/en
Publication of KR2015008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60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 G06V40/67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by interactive indications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스마트 워치 및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기초하여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결정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상기 초기 타겟위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 얼굴 정면에 위치하도록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SMART WATCH AND CONTROM METHOD THEREFOR}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에 관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자동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향하는 위치로 변경되도록 하는 기법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치(Smart Watch)는 손목에 착용되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와 달리,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므로 스마트 워치의 위치가 항상 손목으로 결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평상시에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눈 앞에 항상 존재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서, 사용자의 적극적인 액션이 요구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손목을 이리 저리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 워치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하려면, 다른 손으로 스마트 워치를 잡고 손목의 특정 부위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정하기 어렵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컨대 운전하는 경우 또는 짐을 손으로 운반하는 경우에 그러하다.
사용자가 편하게 쳐다볼 수 있도록 하는 위치를 추정하여 디스플레이를 자동 이동시키는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스마트 워치는,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기초하여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결정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상기 초기 타겟위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 얼굴 정면에 위치하도록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미리 정의된 사용자의 시작 액션을 감지하는 사용자 액션 감지부와, 상기 시작 액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위치를 추정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이동될 상기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는 타겟위치 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션 감지부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제스처,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시작 액션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상태,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초기 타겟위치 또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에 도착하면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사용자 얼굴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얼굴 인식부의 인식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상기 초기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또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결정하는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와, 상기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에 의해 상기 수정 타겟위치가 결정 또는 재결정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결정 또는 재결정된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의 새로운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 또는 재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액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래의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위치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본체의 특정 부위가 상기 손목 밴드의 특정 부위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특정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손목 밴드에 대해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손목 밴드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손목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손목 밴드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 사이에서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형상 변경 메커니즘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기초하여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결정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 상기 초기 타겟위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 얼굴 정면에 위치하도록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양상들 및 실시예들, 그리고 그 외 다른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서 제공될 것이다.
사용자 액션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추정하여 디스플레이를 거칠게 이동 또는 변형시킨 다음 얼굴 인식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함으로써,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도록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자동 변경하는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변경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추정-기반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단계를 더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및 얼굴인식-기반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단계를 더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베이스 상태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여 보여주기 위해 도 7의 A-A단면에서 함께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기술을 제공한다. 이 기술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본체가 손목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에 적용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기술은, 디스플레이를 손목 밴드에 대해 평시에 부착되어 있는 베이스 상태와 상대적으로 위치가 변동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경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모듈, 루틴, 또는 인스트럭션을 설치한 스마트 워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경하는 태스크를 수행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모듈, 루틴, 또는 인스트럭션을 설치한 스마트 워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기술은,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있는 손목 밴드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먼저 추정-기반 위치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임시적으로 또는 거칠게 이동시키며, 그 다음에 사용자의 얼굴인식에 기반한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확정적으로 또는 세밀하게 이동시킨다.
예컨대 스마트폰, 타블렛, 텔레비전, 랩탑 또는 데스크탑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대개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 대하고 있다고 가정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먼저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그 다음에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있는 컨텐트의 각도 조절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스마트 워치는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이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는 항상 사용자를 대면하고 있다는 것이 가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먼저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 다음, 얼굴 인식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동시키는 기술은 적용되기 어렵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기술은, 추정-기반 위치 제어,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및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기술을 포함한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 기술은, 먼저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기초하여, 만약 디스플레이가 그곳으로 이동하게 된다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 얼굴을 대면할 것으로 추정되는,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에 초기 타겟위치로 디스플레이를 임시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베이스 상태에서 변동된 상태로 이동 또는 변형된다.
여기서 '베이스 상태'라 함은,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것과 같이, 통상적으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베이스 상태에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인 손목 시계와 마찬가지로, 손등에 대응하는 손목 부위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변동된 상태'라 함은,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것과 같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통상적인 베이스 상태에서 벗어나 위치가 달라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변동된 상태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변동된 상태는 예컨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지칭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변동된 상태는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를 따라 병진 이동한 상태를 지칭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변동된 상태는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예컨대 손목에 감겨 있는 곡면 형상의 베이스 상태로부터 평면 형상으로 펴진 상태를 지칭할 수도 있다.
초기 타겟위치는 또한, 추정된 사용자 얼굴 위치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추정값이다. 그러므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된 디스플레이가 항상 사용자의 얼굴을 대면하고 있게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없다. 그러므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는, 일단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얼굴 인식을 통해 세밀하게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얼굴 인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이 수행된다.
즉, 초기 타겟위치에서, 디스플레이의 정면에 사용자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위치가 디스플레이를 대면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는, 이러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결정된 수정 타겟위치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 사용자의 얼굴이 디스플레이를 편하게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한다고 결정되면, 현재의 위치에 디스플레이가 그대로 유지된다. 반면에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얼굴 중 일부만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비록 사용자의 전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경우이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편하게 바라볼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고 부정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얼굴 인식 판단의 경우, 디스플레이가 이동된 수정 타겟위치에서 다시 사용자 얼굴 인식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수정 타겟위치로 재결정한다. 그런 다음 재결정된 수정 타겟위치로 디스플레이를 재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의 얼굴 인식 결과가 긍정적일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얼굴과 대면하고 있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위치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자동 변경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손목을 뒤집는 제스처를 함으로써,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시야로 들어오도록 디스플레이를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제스처 대신, 예컨대 "디스플레이!"라고 외치는 음성 명령을 내림으로써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시야로 들어오도록 디스플레이를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는 제스처나 음성 명령이 아니라, 스마트 워치에 구비되어 있는 가상적인 또는 물리적인 키버튼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눌러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시야로 들어오도록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동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변동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간단한 제스처, 음성 명령, 또는 키버튼 입력을 통해 베이스 상태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가 착용되어 있는 손목을 빠르게 연속해서 좌우로 흔드는 제스처를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제스처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제스처와는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원위치로!"라는 음성 명령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를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음성 명령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음성 명령과는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특정 키버튼이나 특정 키버튼들의 조합을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를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 때 입력하는 키버튼 또는 키버튼들의 조합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키는 키버튼 또는 키버튼들의 조합과는 다르게 할 수 있다.
아래에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 및 방법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로서 기술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을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100)은,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부(103) 및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부(105)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 사용자 액션 감지부(130), 사용자 얼굴 인식부(150), 초기 타겟위치 결정부(160),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170), 및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 등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 사용자 액션 감지부(130), 초기 타겟위치 결정부(160), 및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부(103)는 도 2의 사용자 얼굴 인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부(105)는, 도 2의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170), 및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에도 포함되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부(105)에도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에 있어서, 사용자 액션 감지부(130)는 미리 정의된 사용자의 시작 액션을 감지하는 컴포넌트이다. 사용자 액션 감지부(130)는 사용자 제스처, 사용자 음성, 및/또는 키버튼 입력 등에 의해 사용자의 시작 액션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예컨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모션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스마트 워치 내에 구비되어 스마트 워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팔 또는 손목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스마트 워치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일 수 있다. 키버튼은 스마트 워치의 본체 외측에 구비된 명령 입력용 버튼일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키버튼은 스마트 워치의 터치-민감형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가상의 키버튼일 수 있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는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관련된 여러 가지 데이터를 추정하는 컴포넌트이다. 사용자 액션 감지부(130)에 의해 사용자의 시작 액션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위치 및 스마트 워치 디스플레이의 현재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상태,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는 GPS와 같은 위치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운전 중일 경우를 고려하자. 이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 내의 모션 센서는 차량의 진동, 빠르게 이동 중 등과 같은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이러한 감지된 상황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 데이터에 의해 "운전중"이라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으로 "운전중"이라는 상황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운전중이라는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마트 워치에 설치되어 있는 명령 입력용 키버튼을 눌러 "운전중"에 대응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현재 상황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운전 중인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 중일 경우, 사용자의 얼굴위치는 10 ~ 20ㅀ회전된 위치에 존재한다"라는 추정 데이터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추정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위치가 추정되면,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대해 상대적인 디스플레이의 현재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에 있어서, 초기 타겟위치 결정부(16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이동될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부(101)에 있어서, 초기 타겟위치 결정부(160)에 의해 초기 타겟위치가 결정되면, 이 초기 타겟위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로 전달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를 디스플레이의 현재위치로부터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부(103)에 있어, 사용자 얼굴 인식부(150)는 디스플레이가 초기 타겟위치 또는 수정 타겟위치에 도착하면 소정 시간 간격 동안,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다.
예컨대, 사용자 얼굴 인식부(150)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정면의 풍경 또는 임의의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의 촬영 동작은 디스플레이가 초기 또는 수정 타겟위치에 도착한 직후부터, 예컨대 약 0.1초 동안과 같이, 일정하게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이렇게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내에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단됨으로써, 사용자 얼굴 인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얼굴 인식 동작은 알려져 있는 다양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디스플레이는 현재 타겟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타겟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 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한다고 인식된 경우, 디스플레이가 현재 타겟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나아가,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에 기초하여 판단하였을 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편하게 바라볼 수 있는 위치라고 판단되면,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취급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디스플레이는 현재 위치에서 더 이동되어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위치에서 촬영된 영상 내에 사용자 얼굴이 인식되지 않거나, 인식되더라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편하게 바라볼 수 있는 위치가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는 현재 위치에서 더 이동되어야 한다고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부(105)에 있어,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170)는 디스플레이가 초기 타겟위치에 있는 경우 초기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한다. 또는 디스플레이가 이미 수정 타겟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이 수정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새로운 수정 타겟위치를 재결정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170)는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거나 재결정할 때,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또는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의 새로운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 또는 재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새로운 수정 타겟위치의 결정 기준은 이전 수정 타겟위치보다 1ㅀ씩 증가하는 이동량으로 결정한다"와 같은 방식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에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정 타겟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수정 타겟위치는, 사용자의 얼굴이 이미지의 상단에 있을 경우, 이전 수정 타겟위치보다 3ㅀ만큼 이동하여 결정한다"라는 추정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부(105)에 있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190)는, 타겟위치 결정부(170)에 의해 수정 타겟위치가 결정 또는 재결정될 때마다 디스플레이를 결정 또는 재결정된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20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동 시스템(100)에 추가하여, 추정 데이터(211), 모션 센서(213), 마이크로폰(215), 키버튼(217), 카메라(219), 및 위치 이동 메커니즘(290)을 포함할 수 있다.
추정 데이터(211)는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11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사용자의 상황, 디스플레이의 이동량, 이전에 적용되었던 이력 데이터 등의 관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213)는 스마트 워치의 경도 및 위도, 가속도, 각도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15)은 음성 인식 알고리즘과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키버튼(217)은 스마트 워치에 구비되는 물리적인 명령 입력용 버튼이거나 또는 스마트 워치의 터치-민감형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가상적인 키패드와 같은 가상 키버튼일 수 있다.
카메라(219)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전면의 환경 또는 오브젝트를 촬영할 수 있다.
위치 이동 메커니즘(290)은 디스플레이를 손목 밴드를 기준으로 물리적으로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이다. 예컨대, 위치 이동 메커니즘(290)은, 디스플레이와 손목 밴드가 힌지에 의해 결합된 구조에서, 디스플레이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위치 이동 메커니즘(290)은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손목 주위를 감는 방향으로 손목 밴드를 따라 병진 이동시키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의 위치는 손목 밴드 상의 한 위치에서 손목 주위를 감는 방향으로 손목 밴드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면이 손목 주위를 따라 회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위치 이동 메커니즘(29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곡면에서 평면으로 또는 평면에서 곡면으로 변동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일 수 있다.
이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을 위한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의 제어 방법(300)의 일 실시예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310),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330),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350), 및 복귀 위치 제어 단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방법(300)은 스마트 워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경하는 태스크를 구현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인스트럭션, 프로그램, 모듈,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스마트 워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310)는 추정된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된 초기 타겟위치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310)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330)는 디스플레이가 이동된 초기 타겟위치에서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앞에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스마트 워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정면에 사용자의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350)는,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330)의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또한,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350)는, 수정 타겟위치에서 상기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결정하고 재결정된 수정 타겟위치로 디스플레이를 재이동시키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350)는 사용자의 얼굴 인식 결과가 긍정적일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단계(330) 및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350)는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복귀 위치 제어 단계(370)는 사용자 종료 액션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를 원래의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이다. 복귀 위치 제어 단계(370)는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4는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추정-기반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단계를 더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310)는,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추정한 뒤 디스플레이를 베이스 상태의 현재 위치에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310)는 먼저, 디스플레이가 베이스 상태일 때 사용자 액션 감지부는 사용자 시작 액션이 감지되는 것을 대기한다(311).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손목을 빠르게 움직이거나, 음성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키버튼 입력 또는 키버튼 입력들의 조합 등의 사용자 액션을 감지하면, 감지된 액션이 미리 정의된 사용자 시작 액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313).
시작 액션이라면,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는 예컨대 디스플레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현재 운전중인 것과 같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315)할 수 있고, 감지된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추정한다(317).
그런 다음 추정된 사용자의 얼굴 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인 디스플레이의 현재위치를 추정(319)하여 타겟위치 결정부에 의해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가 이동될 초기 타겟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321).
그러면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는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를 현재위치로부터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제어신호는 예컨대 디스플레이를 손목 밴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위치 이동 메커니즘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는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325).
도 5는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 및 얼굴인식-기반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단계를 더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330)에서, 먼저 디스플레이가 초기 타겟위치 또는 수정 타겟위치에 도착하면,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촬영한다(331). 카메라로 촬영되는 이미지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시간 간격 동안(예컨대 약 0.1초 동안) 촬영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다(333).
만약 얼굴 인식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디스플레이의 이동은 종료되고 디스플레이는 위치가 변동된 상태로 유지된다(335).
만약 얼굴 인식 결과가 부정적이라면, 얼굴인식-기반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 단계(351~353)가 진행되어, 새로운 타겟위치가 재계산될 수 있다(351). 그런 다음, 재계산된 타겟위치, 즉 수정 타겟위치로 디스플레이를 이동시킬 수 있다(353).
카메라는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타겟위치에 도착하면 또 얼굴 인식을 위해 촬영하고(331), 다시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된다(333). 만약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다면, 다시 수정 타겟위치가 계산되고(351), 디스플레이가 새로운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된다(353). 이러한 단계들(331~353)은 얼굴 인식 결과가 긍정일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귀 위치 제어 단계(370)는 먼저 디스플레이의 위치가 변동된 상태에서 사용자 종료 액션이 대기되는 것으로 시작한다(371).
사용자 액션이 감지되면, 감지된 액션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종료 액션인지 여부가 판단된다(373).
만약 감지된 액션이 종료 액션이라면, 디스플레이는 현재 변동된 상태에서 베이스 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동된다(375). 만약 감지된 액션이 종료 액션이 아니라면, 사용자 종료 액션 대기 단계(371)로 되돌아간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 위치 변동 시스템 및 방법이 적용되는 스마트 워치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하는 3개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시의 예이다. 도시된 예에서, X축은 수평방향의 하나로서 왼손(H)을 쪽 폈을 때 왼손(H)의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Y축은 수평방향의 다른 하나로서 X축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Z축은 X축 및 Y축 양자 모두에 대해 직교하며 수직방향을 나타낸다.
도 7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베이스 상태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왼손(H)의 손목에 스마트 워치(10)가 착용되어 있다. 스마트 워치(10)는 손목 밴드(14)에 본체(12)가 베이스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본체(12)의 상부면은 카메라(1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가 배치된다.
도 8은 도 7의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손목 밴드에 대해 회전하여 위치가 변경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왼손(H)의 손목에 스마트 워치(10')가 착용되어 있다. 이 스마트 워치(10')는 도 7의 스마트 워치(10)와 동일하며 다만 본체(12')의 위치가 변동되었을 뿐이다. 스마트 워치(10')는 손목 밴드(14)에 본체(12')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위치가 변동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본체(12')의 상부면은 카메라(1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15')가 배치된다.
도 9는 도 7 및 도 8의 디스플레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비교하여 보여주기 위해 도 7의 A-A단면에서 함께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워치(10) 및 변동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스마트 워치(10')가 함께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스마트 워치(10)의 본체(12)는 그 좌측면(12a)이 둥글려져 있다. 좌측면(12b)에 대응하는 손목 밴드의 면(14a)도 둥글려져 있다. 우측면(12d)은 손목 밴드의 우측면(14c)와 힌지부(22)에 의해 회전 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힌지부(22)는 예컨대 스마트 워치 내의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 구동모터는 손목 밴드(14) 내에 구비될 수도 이고 본체(12)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체(12)의 하부면(12c)은 대응하는 손목 밴드의 면(14b)에 안착될 수 있다. 본체(12)의 상부면(12a)은 디스플레이(15)의 표면에 대응한다. 디스플레이(15)의 일부에는 카메라(13)가 설치되어 있다.
스마트 워치(10)의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동시키면, 스마트 워치(10')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손목 밴드(14)는 그대로 손목에 감겨 있는 상태이지만, 본체(12')는 힌지부(22)를 중심으로 각도 θ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2')의 좌측면(12a'), 하부면(12c'), 우측면(12d')은 손목 밴드의 대응하는 면(14a, 14b, 14c)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 예에서 본체가 회전하는 각도 θ는 0 ~ 90ㅀ사이일 수 있다.
도시된 예는, 본체의 특정 부위가 손목 밴드의 특정 부위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에 관한 것이다. 이 외에도,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손목 밴드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스마트 워치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체의 하부면과 손목 밴드 사이에 기어로 연결되는 레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는 레일을 따라 손목 밴드 상의 한 포인트에서 다른 포인트로 이동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마트 워치의 디스플레이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10 : 스마트 워치
12 : 본체
13 : 카메라
14 : 손목 밴드
15 : 디스플레이
22 : 힌지부
100, 200 :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 시스템
110 :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
130 : 사용자 액션 감지부
150 : 사용자 얼굴 인식부
170 : 타겟위치 결정부
190 :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
211 : 위치 추정 데이터
213 : 모션 센서
215 : 마이크로폰
217 : 키버튼
219 : 카메라
290 : 위치 이동 메커니즘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기초하여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결정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상기 초기 타겟위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 얼굴 정면에 위치하도록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미리 정의된 사용자의 시작 액션을 감지하는 사용자 액션 감지부와,
    상기 시작 액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위치를 추정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이동될 상기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는 타겟위치 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션 감지부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제스처,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시작 액션을 감지하는,
    스마트 워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상태,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는,
    스마트 워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초기 타겟위치 또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에 도착하면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사용자 얼굴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사용자 얼굴 인식부의 인식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상기 초기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또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결정하는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와,
    상기 수정 타겟위치 결정부에 의해 상기 수정 타겟위치가 결정 또는 재결정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결정 또는 재결정된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위치 결정부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의 새로운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 또는 재결정하는,
    스마트 워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액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래의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위치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본체의 특정 부위가 상기 손목 밴드의 특정 부위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특정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손목 밴드에 대해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스마트 워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손목 밴드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손목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손목 밴드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스마트 워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 사이에서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형상 변경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스마트 워치.
  11. 디스플레이 위치 변경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위치에 기초하여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결정된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
    상기 초기 타겟위치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사용자 얼굴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디스플레이 정면에 사용자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사용자 얼굴 정면에 위치하도록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는,
    미리 정의된 사용자의 시작 액션을 감지하는 사용자 액션 감지 단계와,
    상기 시작 액션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위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현재위치를 추정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 단계의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이동될 상기 초기 타겟위치를 결정하는 초기 타겟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현재위치로부터 상기 초기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초기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액션 감지 단계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제스처,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시작 액션을 감지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 단계는
    모션 센서에 의해 인식되는 디스플레이의 현재 상태, 마이크로폰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음성, 및 키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추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감지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얼굴위치 판단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초기 타겟위치 또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에 도착하면 소정 시간 간격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의 정면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사용자 얼굴 인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사용자 얼굴 인식 단계의 인식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 상기 초기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결정하는 동작 또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계산하여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재결정하는 반복 동작을 수행하는 수정 타겟위치 결정 단계와,
    상기 수정 타겟위치 결정 단계에 의해 상기 수정 타겟위치가 결정 또는 재결정될 때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결정 또는 재결정된 상기 수정 타겟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수정 위치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 타겟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수정 타겟위치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위치 추정부의 새로운 추정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액션에 기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원래의 베이스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위치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본체의 특정 부위가 상기 손목 밴드의 특정 부위에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특정 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손목 밴드에 대해 회전시키는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워치는 상기 본체의 하부면이 상기 손목 밴드에 병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단계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의 손목을 감는 방향으로 상기 손목 밴드에 대해 병진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위치 이동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이며,
    상기 추정-기반 위치 제어 수단 및 상기 얼굴인식-기반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 사이에서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형상 변경 메커니즘을 동작시키는,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KR1020140007882A 2014-01-22 2014-01-22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7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882A KR20150087670A (ko) 2014-01-22 2014-01-22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566,573 US20150205994A1 (en) 2014-01-22 2014-12-10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882A KR20150087670A (ko) 2014-01-22 2014-01-22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670A true KR20150087670A (ko) 2015-07-30

Family

ID=5354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882A KR20150087670A (ko) 2014-01-22 2014-01-22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05994A1 (ko)
KR (1) KR201500876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7101A (zh) * 2016-10-28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内容显示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4049B (zh) * 2014-12-31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6295287B (zh) * 2015-06-10 2019-04-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活体检测方法和装置以及身份认证方法和装置
CH711300A1 (fr) * 2015-07-08 2017-01-13 Letif Farid Montre hybride réversible.
KR101778963B1 (ko) * 2016-02-25 2017-09-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끊어짐 없는 영상을 표시하는 슬리브형 스마트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CN105955443A (zh) * 2016-04-22 2016-09-2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7491163A (zh) * 2016-06-12 2017-12-19 陈亮 双表体智能手表及其表体朝向判断方法、系统和显示屏点亮系统
JP2018006838A (ja) * 2016-06-27 2018-01-11 孝郎 林 撮影機能付リスト装置
JP2018004713A (ja) * 2016-06-27 2018-01-11 孝郎 林 撮影機能付リスト装置
WO2018138067A1 (en) * 2017-01-24 2018-08-02 Smart Secure Id In Sweden Ab Wearable biometric data acquisition device
US10684693B2 (en) 2017-03-02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ognizing a gesture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782651B2 (en) * 2018-06-03 2020-09-22 Apple Inc. Image capture to provide advanced features for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CN109583427A (zh) * 2018-12-23 2019-04-05 深圳市益光实业有限公司 一种可进行人脸识别的智能手表
US11662832B1 (en) * 2022-08-25 2023-05-30 Google Ll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functionality of electron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4526B2 (en) * 2003-07-11 2006-12-26 Fuji Xerox Co., Ltd. Telepresence system and method for video teleconferencing
US7307921B1 (en) * 2004-08-30 2007-12-11 Karterman Don S Wristwatch with movable movement case
US7626569B2 (en) * 2004-10-25 2009-12-01 Graphics Properties Holdings, Inc. Movable audio/video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US20090321483A1 (en) * 2008-06-30 2009-12-31 Walt Froloff Universal wrist-forearm docking sta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US8373573B2 (en) * 2010-06-15 2013-02-12 Transcend Information, Inc. Display system adapting to 3D tilting adjus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7101A (zh) * 2016-10-28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智能手表、内容显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5994A1 (en)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7670A (ko)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53484B2 (en) Performing an action associated with a motion based input
JP5498573B2 (ja) ディスプレイを含む携帯電子機器、及び該機器の制御方法
US8321710B2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ausing an input device to enter a low power state and sending a command that disables display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3038345B1 (en) Auto-focusing method and auto-focusing device
EP2752734A2 (en)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operation based on haptic func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3193240B1 (en) Interface interaction apparatus and method
EP327630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EP327647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etermining scrolling speed
US2015010943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urveillance camera and system thereof
US85992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US20140176503A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766479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10146058B2 (en) Visual line direction sensing device
US20190079598A1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smart control system
US20130257714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183857B1 (ko) 스마트 워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3511865A1 (en) Imaging processing method for smart mirror, and smart mirror
US9077884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motion response and related methods
WO2021218926A1 (zh) 图像显示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WO2018155123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制御装置および車両
KR102010782B1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인식 범위로 컨트롤러의 위치를 보정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이를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 및 타겟 추적 장치
EP2808752B1 (en) Performing an action associated with a motion based input
EP40022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behaviour recognition,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6069178A (zh) 边缘防误触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