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926A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926A
KR20150086926A KR1020140007159A KR20140007159A KR20150086926A KR 20150086926 A KR20150086926 A KR 20150086926A KR 1020140007159 A KR1020140007159 A KR 1020140007159A KR 20140007159 A KR20140007159 A KR 20140007159A KR 20150086926 A KR20150086926 A KR 20150086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arch
information
voice comm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운
김민성
김종우
황연경
김개연
이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926A/en
Publication of KR2015008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voice reception unit receiving a voice command from a user;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image; and a control unit which extracts one or more main keywords from the user voice command, performs a search operation based on the extracted keywords to receive the search result, sorts multiple summariz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user preferences from the received search result, and controls the display device to output the summarization information for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sorted summariz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items.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can sort the summarization configuration inform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user preferences from the search result obtained by the user voice command and provide the summarization information for the voice comman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obtain the wanted information intuitively and easily.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000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a voice command of a user.

기존에는 정보 검색을 위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리모컨이나 음성인식 등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면, 해당 기기는 검색 정보를 그대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Conventionally, when a user requests information required by a remote controller, speech recognition, or the like on a display device for information search, the device generally displays the search information on the screen.

리모컨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경우,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는 동작 외에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는 동작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므로 즉각적인 검색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리모컨이나 음성인식에 의해 검색을 시도하는 경우,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탐색하고 실행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직접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을 보면서 제공되는 정보를 직접 인지하고 상호 작용해야 하므로 즉각적으로 한번에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In the case of searching b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an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of the remote controller is required in addition to an operation of inputting a search keyword, so that immediate searching is not easy. Further, when an attempt is made to search by remote control or voice recogn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separate application must be searched and executed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In this case, since the user must directly recognize and interact with the provided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directly,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result immediately at on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수행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획득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preference among search results performed by a voice command of a user so as to intuitively and easily acquire desired information A displa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voic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a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Extracting at least one main keyword from a voice command of the use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receiving the search result, extra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output summary information on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and perform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the search for a search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formation on a pre-stored user's preferenc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상기 요약정보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 senten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selected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output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and related app connec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검색의 정확도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lect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aving at least one of a search accuracy and a priority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상기 음성수신부는, 전원 온, 근접 센서, 카메라 및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The voice receiving unit may enter a standby mode to receive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power on, proximity sensor, camera, and remote controller.

서버와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수행된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the server and receive the search result based on the main keyword from the serve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ntrol method of a display device, comprising: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a user; Extracting at least one primary keyword from a voice command of the use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receive a search result;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preference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And outputting the summary information on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Determining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and performing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d performing the search for a search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상기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formation on a pre-stored user's preferenc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상기 요약정보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 senten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selected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상기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utputting 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outputting the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and related app connection.

상기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검색의 정확도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selecting the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aving at least one of a search accuracy and a priority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전원 온, 근접 센서, 카메라 및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the user may include entering a standby mode to receiv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power on, proximity sensor, camera and remote control .

상기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수행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performing the search and receiving the search result includes: connecting to the server; Transmitting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the server, and receiving the search result based on the main keyword from the serv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수행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preference is searched out among search results performed by a voice command of a user, and summary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reby intuitively and easily obtain desired informa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음성수신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search results of a voice command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search results of a voice command of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search results of a voice command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that enters a voice reception standby mode by sensing a user's ac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도 2 내지 5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음성수신부(110), 제어부(120), 신호수신부(130), 영상처리부(140),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TV, 스마트폰, PC, 노트북, 테블릿(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고, 이에 기초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수행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제공함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직관적이고 쉽게 획득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Hereinafter, the features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s necessary.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voice receiv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signal receiving unit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160.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TV, a smart phone, a PC, a notebook, a tablet, or the like. The display device 100 extracts at least one main keyword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and performs a search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receive the search result. The display device 100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and outputs summary information based on the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preference among search results performed by a voice command of a user and provides summary inform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information is acquired intuitively and easily.

음성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한다. 음성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하나의 음성신호로서 수신하며, 수신되는 음성신호는 음성인식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음성 이외에 다양한 노이즈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 분석 등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성분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성분에 대해 음성인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음성수신부(110)는 전원 온(On), 근접 센서, 카메라 및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소정 거리 내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Off) 상태인 경우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장착되어 있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가 근접 거리에 있는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의 상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Off)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리모컨을 잡는 동작이 감지되면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모드로 진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voic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voice command of the user. The voic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 voice command of the user as one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received may include various noises other than the voice of the user to be voice-recogniz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tract only the voice component of the user and perform the voice recognition process on the extracted voice component.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t least one of power on, proximity sensor, camera, and remote controller, the voice receiving unit 110 may be configured to enter a standby mode to receiv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 For example, even when the display apparatus 100 is in the power off state, the proximity sensor mounted on the display apparatus 100 or the camera detects a user at a close distance and can receiv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switch to the standby mode.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in the power off state, it can be configured to enter a standby mode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when a user's operation of catching the remote control is detected.

신호수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30)는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DVD나 PC등의 주변영상기기와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ignal receiving unit 130 receives at least one video signal. The signal receiving unit 1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ats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received video signal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signal receiving unit 130 may include a tuner for receiving an RF (Radio Frequency) . ≪ / RTI >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receiving a video signal in connection with a peripheral video device such as a DVD or a PC.

영상처리부(140)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40)에서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예로써,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인핸스먼트(detail enhancement) 등이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 구성들이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mage processing process. Examples of image processing processes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include decoding, de-interlacing, scaling, noise reduction, and detail enhancement. The kind thereof is not limited.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on-chip (SOC) that integrates various functions or an image processing board equipped with individual components capable of independently performing each process.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처리부(1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부(15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n image based on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The display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 ≪ / RTI >

저장부(160)는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성별, 연령 등의 기본 정보와, 사용자가 과거에 요청했던 질문의 키워드, 사용자에게 제공된 검색 결과, 사용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의 일부 정보를 선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stores information on a user's preference in advance. For example, basic information such as a user's sex, age, etc., a keyword of a question that the user has requested in the past, a search result provided to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ime of use can be stored. The information on the pre-stored user's preference may be used to select some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제어부(120)는 음성수신부(110)으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분석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게 되는데, 이 때 대화형 음성명령 검색을 위한 의미어 기반 키워드 분석 및 사용자의 요청 의도 파악을 위한 연결어 기반 키워드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의미어 기반 키워드 분석은 사용자의 음성명령 자체만을 분석하여 키워드를 추출하는 것이고, 연결어 기반 키워드 분석은 사용자의 요청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의 음성명령 자체에 포함된 키워드 및 그와 연관된 키워드를 함께 분석하여 의도에 맞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한다. The control unit 120 extracts at least one main keyword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voice receiving unit 110. The control unit 120 analyzes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and extracts a main keyword. At this time, a keyword analysis based on a semantic word for searching for an interactive voice command and a keyword based on a keyword for a user's request intention can be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a user, a keyword included in a voice command of a user and a keyword associated with the keyword are analyzed together. Thereby extracting a keyword suitable for the intention.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search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keyword and receives search results.

제어부(120)는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결정하고,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카테고리에 대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may determine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and perform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Here, the control unit 120 may perform a search for a search category corresponding to a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제어부(120)는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검색의 정확도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preferenc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60,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The control unit 120 can select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aving at least one of the accuracy and priority of the search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제어부(120)는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요약정보는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함에 있어, 음성과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을 이용하여 출력하거나, 관련되는 앱을 연결함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o output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ere, 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 senten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the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and related app connection. That is, in outputting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the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or the like, can do.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인 TV에 접근하면 TV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로 진입을 한다. 사용자는 넥타이를 매고 있어 두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모드 상태인 디스플레이장치(100)인 TV에 '오늘 새벽 NFL 경기 브리핑 들려줘!'와 같은 음성명령을 내린다. TV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오늘 새벽', 'NFL 경기', '브리핑'을 주요 키워드로 추출하고, 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 제어부(120)는 추출된 주요 키워드 중 'NFL 경기'에 기초하여 TV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예컨대 '스포츠 경기 앱'을 결정하고, 결정된 앱에 의해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스포츠 경기 앱'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NFL 경기결과' 카테고리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search results of a voice command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V 100 as the display device 100, the TV detects a user's approach by a proximity sensor or a camera, and enters a standby mode in which a voice command can be received. The user issues a voice command such as "Let's hear the NFL game brief today!" On the display device 100 which is in standby mode with both hands free and tie-tie. The control unit 120 of the TV can extract 'Today's Dawn', 'NFL Competition', and 'Briefing' as key keywords from the user's voice command, and searc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m. In performing the search,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one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the TV can provide based on the extracted 'NFL competition', for example, a 'sports game application'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keyword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lso, it can be implemented to perform a search for the " NFL competition result "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among the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sports game app'.

제어부(120)는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한다. 예를 들어 주요 키워드인 '오늘 새벽', 'NFL 경기', '브리핑'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서 '뉴욕 제츠와 세인트루이스 램스의 경기 결과', 'A팀과 B팀의 경기 결과','C팀과 D팀의 경기 결과' 등의 기사 또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호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과거에 요청했던 질문이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검색 결과 등에 의해 사용자가 관심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뉴욕 제츠와 세인트루이스 램스의 경기'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색 결과 중 이와 같이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로서 '오늘 새벽 뉴욕 제츠와 세인트루이스 램스의 경기'의 해당 기사 중 일부, 경기 동영상 중 일부 등을 선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a search to receive search results, and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preference from the received search results. For example, "New York Jets and St. Louis Rams match results", "A and B team results", and "C team" results, which correspond to the main keywords' Today's Dawn, '' NFL game, And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of the D team ',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user's preference can be determined by the user,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question previously requested or the search result provided to the user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60. For example, Of the game. The control unit 120 can select a part of the articles in the 'New York New York Jets and St Louis Rams competition' and a part of the competition videos a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us determined .

제어부(120)는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기사 제목, 기사 키워드, 이미지 제목 등의 복수의 키워드를 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고, 이를 요약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오늘 새벽 3시', '뉴욕 제츠와 세인트루이스 램스', '27 대 13' 등의 키워드들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문장을 생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요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음성에 대응하는 요약정보로서 함께 출력할 수 있고, 관련된 앱을 바로 연결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TV의 전원을 켜고 검색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하는 검색 카테고리를 확인하여 음성명령을 내리는 여러 단계의 절차 없이 즉각적으로 원하는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하던 중에 TV에 대한 어떠한 조작 없이 음성명령만을 내리면, TV는 자동으로 음성 수신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검색 카테고리를 찾아 음성명령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찾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TV는 사용자가 알기 쉬운 형태로 검색 결과의 일부 정보를 재구성하여 음성 및 영상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검색 결과들로부터 다시 원하는 결과를 탐색하는 번거로움 없이 요약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generates a sentenc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keywords such as an article title, an article keyword, and an image title contained in a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summary information. For example, a sentence tha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a user is generated using keywords such as 'Today at 3 am today', 'New York Jets and St. Louis Rams', '27 to 13' included in a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summary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can be output by voice. In addition, an image or a moving image included in a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together as summ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voice, and the related app may be directly connected and used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desired by the user, the user turns on the TV and executes an application to search, confirms the corresponding search category, and immediately obtains a desired search result There are advantages to be gained. That is, if the user only performs a voice command without any operation on the TV while the user is performing another task, the TV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voice receiving state, find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search category, and finds and provides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have. In addition, the TV provides voice and image by reconstructing some information of the search result in a user-friendly form, so that the user can obtain summarized information without searching for the desired result again from the search result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장을 하고 있어 두 손이 자유롭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인 스마트폰에 '오늘 날씨를 알려줘!'와 같은 음성명령을 내린다. 스마트폰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오늘', '날씨'를 주요 키워드로 추출하고, 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 스마트폰의 제어부(120)는 추출된 주요 키워드 중 '날씨'에 기초하여 스마트폰이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예컨대 '날씨 앱'을 결정하고, 결정된 앱에 의해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날씨 앱'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오늘의 날씨' 카테고리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that outputs a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search results of a voice command of a us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user gives a voice command such as 'inform the weather of today' to the smartphone which is the display devic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putting on makeup and both hands are not free. The control unit 120 of the smart phone may extract 'today' and 'weather'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as a key keyword, and searc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m. In performing the search, the controller 120 of the smartphone determines one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the smartphone can provide based on 'weather' among extracted main keywords, for example, a 'weather app' The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lso, it can be implemented to perform a search for the " today's weather "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weather app'.

제어부(120)는 주요 키워드인 '오늘', '날씨'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로서 '지역별 날씨', '기간별 날씨', ' 기상뉴스', '세계날씨'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호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중 과거에 요청했던 질문이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검색 결과 등에 의해, 예컨대 '지역별 날씨'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색 결과 중 이와 같이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로서 '오늘의 지역별 날씨'의 해당 기사 중 일부, 기상도 이미지, 뉴스 동영상 등을 선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20 can receive the weather for each region, the weather for each period, the weather news, and the global weather as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today' and 'weather'. At this time,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s "weather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a query that has been requested in the past among information on the user's preferenc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60, a search result provided to the user, The control unit 120 can select a part of the articles of the 'today's weather for each region', a weather image, a news video, and the like a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us determined.

제어부(120)은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 예컨대, 기사 제목, 기사 내용 등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인 '오늘', '서울','영하 9도', '체감온도 영하 15도', '춘천', '세종' 등을 이용하여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한 문장을 포함하는 요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화장을 하는 등의 다른 동작을 하는 상태가 아닌 경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기상도 이미지, 뉴스 동영상 등을 음성에 대응하는 요약정보로서 함께 출력할 수도 있고, 날씨 앱을 연결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120 stores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ing 'Today', 'Seoul', 'minus 9 degrees', 'minus 15 degrees below the sensation temperature',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a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huncheon ',' Sejong 'and so on. Also, summary information including the generated sentence can be outputted as a voice.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not in a state of performing other actions such as make-up, the weather image, the news video,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summa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ice,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대한 검색 결과 중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조작이 쉽지 않은 어린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인 TV에 '요즘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 보여줘!'와 같은 음성명령을 내린다. TV의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요즘',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을 주요 키워드로 추출하고, 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을 수행함에 있어, TV의 제어부(120)는 추출된 주요 키워드 중 '애니메이션'에 기초하여 TV가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예컨대 'Movie 감상 앱'을 결정하고, 결정된 앱에 의해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Movie 감상 앱'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애니메이션' 카테고리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by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search results of a voice command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child user who is not easy to manipulate the TV issues a voice command such as 'Show popular animation now' on the display device 100 as a TV. The control unit 120 of the TV may extract the 'current', 'popular', and 'animation'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as the main keyword, and search based on at least one of them. In performing the search, the control unit 120 of the TV determines one of a plurality of applications that the TV can provide based on 'animation' among the extracted main keywords, for example, a 'movie appreciation app' The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o perform a search for an " animation " category corresponding to a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movie appreciation app'.

제어부(120)는 주요 키워드인 '요즘', '인기 있는', '애니메이션'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로서 '최신 애니메이션 다운로드', '애니메이션 박스오피스 순위', '애니메이션 예매 순위', '애니메이션 평점순위' 등을 포함하는 기사,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선호는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성별, 연령, 과거에 요청했던 질문이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검색 결과 등의 정보에 의해, 예컨대 '전체관람가' 및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색 결과 중 이와 같이 결정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로서 '타잔 3D'의 동영상, 컨텐츠 정보, 기사 내용, 상영정보 등을 선별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타잔 3D'의 줄거리 및 등장인물 정보 등을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타잔 3D'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사용자는 음성명령 만으로 TV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 원하는 애니메이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searches for 'latest animation download', 'animation box office rank', 'animation advance ranking', 'animation rating ranking', etc. as search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s' current ',' A text, an image, a moving picture, or the like including the contents, At this time,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for example, as a 'total viewing' and a 'Disney animation'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sex, age, previously requested question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have. The control unit 120 can select videos, contents information, article contents, screening information, etc. of 'Tarzan 3D' a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thus determined.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the story and character information of 'Tarzan 3D' by voice or play the 'Tarzan 3D' video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hild user can receive desired animation contents without any operation on the TV with voice commands alone.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음성수신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전원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장착되어 있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후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잡는 동작에 의해서도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고, 음성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대기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대기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이 내려지면, 그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고, 검색 결과 중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전원 온 되어있는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소정 거리 내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음성수신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함에 의해,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음성명령을 즉각적으로 처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operation of a display device that detects a user's approach and enters a voice reception standby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user appro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state where the power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off, the display device 100 can detect the approach of the user by the attached proximity sensor or camera have. The display device 100 can enter a standby mode in which the user can receive a voice command after sensing the access by the user. As another example, the display device 100 can enter a standby mode in which the user can sense the access by the user by holding the remote control and can receive voice commands. Whe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s issued in the standby mode, the display apparatus 100 performs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voice command, and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mong the search results and outputs the summary information . In this way,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 the power-on state,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us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witching to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voi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voice command can be immediately processed without providing a user and desir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음성수신부(110), 제어부(120), 신호수신부(130), 영상처리부(140), 디스플레이부(150), 통신부(170)를 포함하고, 서버(200)와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컨대 TV, 스마트폰, PC, 노트북, 테블릿(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에 있어, 도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voice receiv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 signal receiving unit 13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a display unit 150, and a communication unit 170 , And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As another example, the storage unit 16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TV, a smart phone, a PC, a notebook, a tablet, or the lik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shown in Fig. 6, the description of the same or similar parts to those shown in Fig. 1 will be omitted.

통신부(170)는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해 연결한다. 서버(200)는 요청되는 명령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별도로 외부장치로 마련된다.The communication unit 170 connects to the server 200 for communication. The server 200 is provided as an external device separately from the display device 100 to perform a search for the requested command and to provide a corresponding search result.

제어부(120)는 음성수신부(110)가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제어부(120)는 서버(200)로부터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수행된 검색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저장부(16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20)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20 transmits at least one main keyword extracted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received by the voice receiving unit 110 to the server 200.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search result based on the main keyword from the server 200 and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may be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preference stored in advance in the storage unit 160,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120 controls to output the summary information of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and related app connec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710에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고, 동작 S720에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동작 S710은, 전원 온, 근접 센서, 카메라 및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730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수신한다. 여기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카테고리에 대해 검색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수신하는 동작 S730은, 서버와 연결하는 동작과,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수행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first, in operation S710, the user's voice command is received, and in operation S720, at least one main keyword is extracted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Here, the operation S710 of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the user includes an operation of entering a standby mode to receiv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power on, proximity sensor, camera and remote controller . Next, in operation S730, the search is performed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receive the search result. Here, it may include determining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and performing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Further, the search may include performing a search on a search category corresponding to a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Here, the operation S730 of performing the search and receiving the search resul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connecting to the server, an operation of transmitting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 search result performed based on the main keyword from the server . ≪ / RTI >

다음으로, 동작 S740에서,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동작 S740은,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검색의 정확도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750에서,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요약정보는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동작 S750은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S740,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eference is selected from the received search results. Here,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can be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the information on the pre-stored user's preference, th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Here, the operation S740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n operation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aving at least one of a search accuracy and a priority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Next, in operation S750, summary information on the voice command is output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ere, the summary information may include a senten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Also,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S750 may include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video, text, and associated app linkage.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음성수신부
120 : 제어부
130 : 신호수신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저장부
170 : 통신부
200 : 서버
100: display device
110:
120:
130:
140:
150:
160:
170:
200: Server

Claims (18)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In the display device,
A voice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a us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Extracting at least one main keyword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performing search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receiving the search result, extracting a plurality of And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on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and performs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search for a search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is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formation on a pre-stored user's preferenc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information on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mmary information includes a senten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selected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and related app conn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검색의 정확도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selects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aving at least one of a search accuracy and a priority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수신부는, 전원 온, 근접 센서, 카메라 및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receiving unit enters a standby mode to receiv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power on, proximity sensor, camera, and remot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서버와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수행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server,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the server and receives a search result performed based on the main keyword from the server.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명령에 대한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the user;
Extracting at least one primary keyword from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Performing a search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receive a search result;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ference of the user from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And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on the voice command based on the plurality of selected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Determining one of the plura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and performing a search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복수의 검색 카테고리 중 상기 주요 키워드에 대응하는 검색 카테고리에 대해 상기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performing the search for a search category corresponding to the main keyword among a plurality of search categories provided by the determined applic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의 결정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포함된 정보,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현재의 모습, 동작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정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termination of the user's preference is determined from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command of the user, information on a pre-stored user's preference, current state of the user, and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는, 상기 선별된 복수의 요약구성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키워드에 의해 생성된 문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ummary information includes a senten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selected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음성,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관련 앱 연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요약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summary information comprises outputting summary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voice, image, moving picture, text, and associated app connec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검색 결과 중에서 검색의 정확도 및 우선순위 중 적어도 하나가 높은 복수의 요약구성정보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selecting the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comprises a step of selecting a plurality of summary configuration information having at least one of a search accuracy and a priority among the received search results.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전원 온, 근접 센서, 카메라 및 리모컨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a voice command of the user includes entering a standby mode to receive a voice command of the user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by at least one of power on, proximity sensor, camera, and remote control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버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키워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수행된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performing the search and receiving the search result includes:
Connecting to the server;
Transmitting the extracted at least one main keyword to the server, and receiving a search result based on the main keyword from the server.
KR1020140007159A 2014-01-21 2014-01-2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1500869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59A KR20150086926A (en) 2014-01-21 2014-01-2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59A KR20150086926A (en) 2014-01-21 2014-01-2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26A true KR20150086926A (en) 2015-07-29

Family

ID=5387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59A KR20150086926A (en) 2014-01-21 2014-01-21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92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1143B2 (en) 2017-09-29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1143B2 (en) 2017-09-29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2441B2 (en) Smart television and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of television screen shot
RU261413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information
EP2947635B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33032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20200077137A1 (en) Video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US9424471B2 (en) Enhanced information for viewer-selected video object
CN110737840A (en) Voice control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027616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voice based actions
CN106462646B (en)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2000820A (en) Media asset recommend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8965968B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operation prompt of smart televis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160039830A (en)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guide thereof
KR102576388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0309324B (en) Search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9654835B2 (en) Method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7688617B (en) Multimedia servi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3025480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11907011B2 (en) Display device
KR20150134252A (en) Dispaly apparatus, remote control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50086926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460927B1 (en) Voice recognition system, voice recognition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CN114125149A (en) Video playing method, device,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00099984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4627864A (en) Display device and voice interaction method
KR20140136310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