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521A - 휴대용 의자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자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521A
KR20150086521A KR1020157016194A KR20157016194A KR20150086521A KR 20150086521 A KR20150086521 A KR 20150086521A KR 1020157016194 A KR1020157016194 A KR 1020157016194A KR 20157016194 A KR20157016194 A KR 20157016194A KR 20150086521 A KR20150086521 A KR 2015008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ng
bar
joint
pai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무엘 비. 호먼스
태 완 김
강 에스. 임
Original Assignee
얼라이트 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얼라이트 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얼라이트 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2Dismount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의 접이식 휴대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의자는 슬링과 의자 프레임을 포함하며, 의자 프레임은 한 쌍의 제 1 바와 한 쌍의 제 2 바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1 바의 각각의 바는 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의자 프레임은 한 쌍의 전방 바와, 한 쌍의 후방 바와, 한 쌍의 조인트, 그리고 한 쌍의 후방 조인트를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중심 바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의자 프레임은 전방 지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의자 프레임은 한 쌍의 하부 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의자 및 방법{PORTABLE CHAIRS AND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가구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캠핑과 여행용으로 최적화된, 휴대용이면서 경량의 접을 수 있는 안정적인 의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용 의자는 사실상 야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휴대용인 것은 아니며 경사지나 평평하지 않은 지형에서의 착석을 수용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휴대용 의자의 일 예가 “경기장 좌석(stadium seat)”으로서, 중간에 힌지가 개재되는 두 개의 평평한 패드와, 패드의 측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되는 강성 기둥, 그리고 패드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부 모서리로부터 하부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조절 가능한 스트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기장 좌석의 경우,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게 되면, 패드의 측면과 기둥이 스트랩과 함께 신체를 향해 잡아 당겨지며,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경기장 좌석을 더 불편하게 느끼게 된다. 또한, 경사지나 평평하지 않은 지형에서는 사용자가 이러한 의자를 사용하여 편안하게 앉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의자 관련 분야에서는 신규의, 유용하면서, 휴대 가능하고, 안정적이며 편안한 의자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개선된 휴대용 의자는 강하면서도 경량이고 접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종종 야외에서 맞닥뜨리게 되는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의 사용에도 최적화되어 있어야 한다.
전술한 바 및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용 가구를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캠핑과 여행용으로 최적화된, 휴대용이면서 경량의 접을 수 있는 안정적인 의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착석 위치에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한 휴대용 의자는 슬링과 의자 프레임을 포함하며, 의자 프레임은 한 쌍의 제 1 바와 한 쌍의 제 2 바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 1 바는 각각 접을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서로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바 섹션을 포함하며, 또한 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 2 바는 각각 실질적으로 의자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단부와 실질적으로 의자의 후방을 향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제 1 바 각각의 제 1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제 2 바 각각의 제 1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 1 바는 각각 제 1 바 섹션을 제 2 바 섹션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조인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의자 프레임은 한 쌍의 전방 바와, 한 쌍의 후방 바와, 한 쌍의 조인트, 그리고 중심 바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전방 접이식 바는 각각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후방 접이식 바는 각각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조인트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전방 접이식 바 각각의 대응하는 제 1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한 쌍의 후방 접이식 바의 대응하는 제 1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중심 바는 한 쌍의 후방 조인트를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그외 다른 특징이 아래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캠핑과 여행용으로 최적화된, 휴대용이면서 경량의 접을 수 있는 안정적인 의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하, 아래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가 예시로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슬링(sling)을 지지하고 있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1의 실시예의 브레이스(brace)의 측면도 및 상면도.
도 3b는 도 1의 실시예의 변형 브레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브레이스 및 조인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제 1 바 섹션 및 제 2 바 섹션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조인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슬링을 지지하고 있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실시예의 슬링을 지지하고 있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실시예의 슬링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도 1의 실시예의 프레임 계면 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및 후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의 실시예의 베이스의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실시예의 베이스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실시예를 저장하기 위한 백을 도시한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의 실시예의 선택적인 전방 풋(foot) 조립체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용으로 적당한 도 16의 전방 풋 조립체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18a 및 도 18b는 각각, 도 16 및 도 17의 전방 풋 조립체용의 예시적인 연결 조인트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8c는 도 18b의 기계 가공 연결 조인트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a, 도 19b, 및 도 19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용의 변형예의 전방 풋 조립체의 사시도.
도 20a 및 도 20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 슬링용으로 적당한 프레임 계면의 분해도 및 조립도.
도 21a 내지 도 21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a 내지 도 22d 및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에 따른 양각대형 레그(bipod leg)를 구비한 휴대용 의자의 두 개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전술한 휴대용 의자의 실시예 중 일부를 구성하기에 유용한 예시적인 볼 조인트의 사시도.
도 25 내지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들의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의자 허브 조립체들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들.
도 34a 내지 도 34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 허브 조립체에 관한 조인트들의 대안이 되는 실시예들의 사시도들.
이하, 본 발명이 첨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완전히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설명된다. 그러나, 당 업계의 숙련자라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된 채로 실시예가 실시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불필요하게 모호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잘 알려진 공정 단계 및/또는 구조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실시예의 특징 및 장점이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캠핑과 여행용으로 최적화된, 휴대용이면서 경량의 접을 수 있는 안정적인 의자를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의자의 다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슬링을 지지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 그리고 접지면(20)과의 접점을 각각 제공하는 두 개의 조인트(18)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을 수 있는 바는 다른 제 1 단부(22)에 결합되는 제 1 단부(22) 그리고 슬링용의 슬링 계면을 제공하는 제 2 단부(24)를 구비한다. 조인트(18)는 한 쌍의 각각의 제 1 접이식 바(14)에 포함되어 있다.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접이식 바의 제 1 단부(22)에 결합된 브레이스를 포함한다.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슬링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은 평탄하지 않은 지형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슬링을 지지한다. 사용 시에, 사용자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슬링에 앉을 수 있다.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접지면(20)과의 두 개의 접점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발이나 다리에 의해 접지면(20)과의 제 3의 접점을 제공한다. 조인트(18)는 의자가 단일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즉,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은 허용하면서 의자가 좌우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하는 반면, 사용자는 다리 및/또는 발을 사용하여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의자를 안정화(즉, 전후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제어하거나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슬링을 지지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이 어느 적당한 환경에서 어느 적당한 이유로 변형예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I. 휴대용 의자 프레임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스(12)는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를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에 결합하도록 기능하며, 또한 조인트(18)를 서로 제 1 거리를 두고 유지하는 한편 슬링 계면을 제공하는 제 2 단부(24)를 서로 제 2 거리를 두고 유지하도록 기능한다. 각각 두 개의 제 2 단부(24)로부터 두 개의 조인트(18)(지면과의 접점)까지 연장될 수 있는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 힘 벡터(F)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일직선을 이루도록, 조인트(18)의 제 1 거리가 제 2 단부(24)의 제 2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사용자가 슬링에 앉으면 힘 벡터가 발생되며, 슬링이 지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중량이 프레임으로 전달된다. 슬링이 프레임을 "잡아당겨", 도시된 방향으로 힘 벡터(F)가 발생된다. 제 1 접이식 바가 발생 힘 벡터(F)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일직선을 이룬다는 사실로 인해, 제 1 접이식 바는 힘을 지지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에 배치되며 어느 다른 방식으로든 잠금 또는 고장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낮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12)는 한 쌍의 제 1 바(14)의 제 1 단부를 180°미만의 양의 값의 각도(D)(대략 70° 내지 110°)로 유지하여 조인트가 개개의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각도(D)를 이루며 회전하도록 구속한다. 따라서, 조인트 자체가 강성을 나타내며, 제 1 바(14)의 제 2 단부(24)에 마련된 슬링 계면(48)이 서로 각도(D)를 이루는 평면에서 회전한다. 슬링 계면(48)의 이동은 또한, 슬링 자체에 의해 구속된다. 슬링의 상부(50)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의 제 2 단부(24)의 슬링 계면과 하나로 연결됨으로써 이들 슬링 계면 사이의 거리(A) 증가는 불가능하다. 한 쌍의 제 2 바(16)가 공간을 두고 고정됨으로써 제 2 단부(24)가 서로 고정된 거리(B)에 배치된다. 거리(B)가 거리(A)보다 클 수 있다. 거리(A)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슬링의 측면 가장자리를 따른 거리(C)를 증가시켜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앉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슬링이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동일한 이유로, 사용자가 슬링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중량으로 인해 상부 슬링 계면을 잡아당기는 경향이 있는 힘이 슬링에 인가되긴 하지만, 제 2 바의 고정된 제 2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슬링의 측방향 가장자리가, 특히, 조절 요소(60)가 이러한 힘에 저항하게 된다.
또한, 브레이스는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와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를 이들 바의 축선이 브레이스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배치는 프레임이 제 2 단부(24)를 미는 작용을 도와, 사용자의 중량으로 인해 슬링 계면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브레이스(12)가 슬링에 가까이 배치됨으로써 바의 굽힘력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인트(18)와 평평하지 않은 지면과의 접촉을 허용하도록 브레이스가 지면의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하지 않은 지면은 조인트(18)의 두 개의 접점에 의해 생성되는 평면을 부수며 및/또는 일직선으로 관통할 수 있어, 지면이 모래, 바위, 경사지 또는 그외 다른 적당한 평평하지 않은 지형일 수 있다.
브레이스(12)의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의 브레이스(12)는 네 개의 수용 요소(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수용 요소가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수용 요소의 내부로 삽입된 접이식 바와 브레이스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있다. 브레이스와 수용 요소는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접이식 바의 이동을 억제한다. 접이식 바는 브레이스에 대해 선회 또는 회전할 수도 있어, 브레이스의 위에서 또는 브레이스와 함께 위로 접힐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접이식 바가 브레이스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요소는 수용 요소에 삽입된 접이식 바를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하지만, 변형예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이한 각도의 조합을 포함하는 어느 적당한 각도로 수용 요소에 삽입된 접이식 바를 배치할 수도 있다. 브레이스(12)는, 도 3b에 도시된 십자형과 같이, 네 개의 수용 요소(26)를 형성하는 어느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변형예의 제 1 버전에서, 브레이스(12)는 원통형이며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동을 형성한다. 공동은 원통형일 수 있지만, 변형예에 따르면,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는 어느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변형예의 제 2 버전에서, 브레이스(12)는 원통형이며, 브레이스(12)의 질량 감소를 위해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수용 요소의 외경 외측 또는 원통형 수용 요소의 내경 내측으로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수용 요소는 접이식 바의 일부 또는 끈이 일 수용 요소로부터 다른 수용 요소로 연장할 수도 있도록 결합된다. 브레이스(12)와 수용 요소(26)가 제 1 변형예의 이들 두 개의 버전 중 하나일 수도 있긴 하지만, 브레이스(12)와 수용 요소(26)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를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에 결합하며 조인트(18)를 서로 제 1 거리에 유지하는 어느 적당한 요소일 수도 있다.
브레이스(12)의 이러한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긴 하지만, 일 변형예로서, 브레이스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를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에 결합하며 조인트(18)를 서로 제 1 거리에 유지하고 슬링 계면을 제공하는 제 2 단부(24)를 서로 제 2 거리에 유지하는 어느 적당한 기구일 수도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바는 슬링과 사용자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기능한다. 바의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한 쌍의 제 1 바(14) 및 한 쌍의 제 2 바(16))가 원통형 로드이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로드의 길이를 따라 기하학적 형상이 변할 수도 있다. 바가 직선형 또는 선형 바이긴 하지만, 변형예로서, 곡선형이거나 휘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그외 다른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바는 금속(예를 들어, 벽 두께가 0.030"의 0.433" 7075 T9 알루미늄 막대)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14, 16)는 접이식이거나 절첩식으로 형성되어, 슬링과 사용자의 중량을 지지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용이한 이송 및 저장을 위해 분해될 수 있는 복수의 섹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섹션은 직선형이지만, 변형예로서, 곡선형이거나 각진 형태일 수도 있다. 각각의 섹션이 동일한 곡률 반경이나 각도를 가질 수도 있지만, 변형예로서, 각각의 섹션이 상이한 곡률 반경이나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바(28)는 제 1 바 섹션(30), 그리고 제 1 바 섹션(30)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바 섹션(32)을 포함한다. 제 1 바 섹션(30)은 외경 치수(34)를 갖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제 2 바 섹션(32)은 제 1 바 섹션(30)의 외경 치수(34)를 갖는 단부 부분을 수용하는 리세스(36)가 형성된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외경 치수(34)는 접이식 바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이다. 예를 들어, 외경 치수는 0.370"일 수도 있는 반면, 접이식 바의 외경은 0.433"일 수도 있다. 제 1 바 섹션(30)의 단부 부분은 제 1 바 섹션(30)에 결합되는 별개의 부품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부 부분이 별개의 부품의 경우, 단부 부분은 외경이 0.433"이며 벽 두께가 0.040"일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제 1 바 섹션이 그외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제 2 바 섹션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바 섹션(30)과 제 2 바 섹션(32)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긴 하지만, 변형예로서, 제 1 바 섹션(30)과 제 2 바 섹션(32)이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 치수, 및/또는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각각의 접이식 바는 적당한 개수의 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와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는 각각 복수 개의 바 섹션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의 조인트(18)가 하나의 바 섹션을 복수 개의 바 섹션에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한다. 변형예로서, 조인트(18)는가 적당한 바 섹션 조합체를 서로 적당한 각도를 이루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에 있어서, 조인트(18)는 지면(20)과의 접점을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조인트(18)의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8)에 두 개의 수용 요소(38)가 형성된다. 각각의 수용 요소가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조인트와 수용 요소에 삽입된 바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요소에 의해 수용 요소에 삽입된 바가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지만, 변형예로서, 수용 요소에 삽입된 바가 서로 어느 적당한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조인트(18)는 두 개의 수용 요소(38)를 형성하기 위한 어느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8)가 L-자형이며, 수용 요소가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동일 수 있다. L-자형 조인트는 꼭지점이 뾰족하지만, 변형예로서, 꼭지점이 곡선형이거나 평평할 수도 있다. 공동은 원통형이지만, 변형예로서,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어느 적당한 형상일 수도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요소(38')는 원통형 수용 요소의 외경 외측 또는 원통형 수용 요소의 내경 내측으로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기능하는 원통형 수용 요소이다. 이러한 수용 요소는 접이식 바의 일부 또는 끈이 일 수용 요소로부터 다른 수용 요소로 연장할 수도 있도록 결합된다. 일 변형예에서, 조인트(18)는 바의 일부를 휨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바가 조인트(18)를 형성하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되거나 휘어질 수도 있다. 조인트(18)는 금속(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인트(18)와 수용 요소(38)가 전술한 바와 같은 변형예 중 하나일 수 있긴 하지만, 조인트(18)와 수용 요소(38)가 슬링과 사용자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한 어느 적당한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제 1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과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이들 두 개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 2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이 제 2 브레이스(40)와 한 쌍의 제 3 접이식 바(42)를 추가로 포함한다는 점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18)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는 제 1 브레이스(12)에 결합된 제 1 단부 그리고 제 2 브레이스(40)에 결합된 제 2 단부를 구비하며, 한 쌍의 제 3 접이식 바(42)는 각각 제 2 브레이스(40)에 결합된 제 1 단부 그리고 슬링 계면을 제공하는 제 2 단부(24)를 구비한다.
II. 슬링(좌석) 실시예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의 중량을 지탱하는 슬링(44)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44)은 프레임 계면 요소(48)를 구비한 좌석 바닥부(46)와, 프레임 계면 요소(48)를 구비한 좌석 등받이부(50)를 포함한다.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접이식 바의 네 개의 슬링 계면에 결합된다. 네 개의 프레임 요소가 슬링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지만, 변형예로서, 이들 요소가 슬링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며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이들 모두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이들 모두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12)가 슬링의 좌석 바닥부(46)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거나 그 아래에 배치되도록 좌석 등받이부(50)의 프레임 계면 요소(48)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에 결합되며 좌석 바닥부(46)의 프레임 계면 요소(48)가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에 결합된다.
제 2 변형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스(12)가 슬링의 좌석 등받이부(50)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거나 그 뒤에 배치되도록 좌석 등받이부(50)의 프레임 계면 요소(48)가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16)에 결합되며 좌석 바닥부(46)의 프레임 계면 요소(48)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14)에 결합된다. 슬링은 직물, 비닐,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내구성 및/또는 방수성을 갖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슬링(44)은 또한, 특히, 사용자가 발을 깊숙이 디디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좌석 밖으로 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버킷(bucket)" 형상을 슬링(44)에 제공하도록 기능하는 형상화 요소를 포함한다. 형상화 요소는 또한, 슬링(44)의 측면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더 잘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등을 더 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형상화 요소의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 1 변형예에서, 형상화 요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거싯(gusset)(52)으로서, 좌석 바닥부로부터 좌석 등받이부까지 연장된다. 거싯(52)은 다이아몬드형이나 마름모꼴일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그외 다른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형상화 요소는 슬링의 좌석 바닥부의 다트(dart)를 포함한다. 변형예로서, 다트가 슬링의 가장자리 부근에 배치될 수도 있지만, 슬링(44)에 버킷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슬링의 어느 적당한 부분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 3 변형예에서, 형상화 요소는 신장 가능한 직물로 형성되는 슬링의 부분 또는 패널로서, 사용자가 휴대용 의자에 앉으면 슬링(44)이 "버킷" 형상이 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슬링(44)에 "버킷" 형상을 제공하며 슬링(44)의 측면이 사용자의 엉덩이를 더 잘 수용할 수 있도록 하도록 기능하는 한 그외 다른 적당한 형상화 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슬링(44)은 또한, 사용자의 등에 가해지는 슬링(44)의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기능하는 중량 분배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량 분배 요소의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분배 요소는 슬링의 좌석 등받이부(50)에 마련되는 패널(54)로서, 이러한 분배 요소에 의해 두 개의 프레임 계면 요소(48)가 서로 결합된다. 패널(54)은 사용자의 중량이 슬링에 인가되면 상부가 중량 중 제 1 부분을 지지하고 하부 원형 부분이 중량 중 제 2 부분을 지지하도록 반원형이나 초승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의자 프레임에 대한 하부 원형 부분의 방위로 인해, 중량 중 제 2 부분이 제 1 부분보다 크다. 상부는 슬링의 좌석 등받이부에 결합된 접이식 바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슬링을 프레임에 결합하는 하부 원형 부분은 접이식 바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슬링에 의해 지지되는 중량의 대부분이 상부가 아닌 하부 원형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중량 중 제 2 부분이 중량 중 제 1 부분보다 커짐으로써 슬링 상부 가장자리(55)의 장력이 감소되며 사용자의 등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된다. 변형예로서, 사용자의 등에 가해지는 슬링 상부 가장자리(55)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한, 그외 다른 적당한 변형예의 중량 분배 요소가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변형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44)은 다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슬링(44)의 좌석 등받이부(50)의 상부에 마련되는 패널(54)은 반원형이며, 곡선형 부분이 직선형 부분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슬링(44)에 배치되어 있다. 세 개의 나머지 패널은 패널(54)의 곡선형 부분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마련된다. 이들 세 개의 패널 중 하나가 거싯(52)이다. 거싯(52)은 패널(54)로부터 슬링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거싯(52)의 둘레에는 거울 대칭형으로 두 개의 직사각형 패널이 위치한다. 이들 두 개의 외측 패널은 실질적으로 평평하지만(즉, 버킷 형상이 아니지만), 변형예로서, 다트 또는 그외 다른 적당한 형상화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변형예로서, 두 개의 외측 패널이 각각 두 개의 삼각형 패널로 교체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른 변형예로서, 그외 다른 적당한 개수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두 개의 삼각형 패널은 실질적으로 "30-60-90" 삼각형으로, 슬링의 바닥에서 거싯(52)에 인접한 부분이 90°의 각도를 이룬다. 이들 두 개의 패널의 외측에 두 개의 더 유사한 형상의 패널이 마련되며, 이들 패널은 슬링의 더 외측의 상부 모서리에서 90°의 각도를 이룬다. 거싯(52)의 각각의 측면 상의 두 개의 외측 패널(각각 두 개의 삼각형 패널을 포함)은 거싯(52)의 어느 일측에서는 직사각형을 형성한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슬링(44)을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에 결합하도록 기능한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 계면 요소(48)에는 접이식 바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요소(56)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슬링(44)의 일부를 수용하는 슬롯(58)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계면 요소(48)의 수용 요소(56)는 접이식 바의 일부를 슬링(44)에 대해 그리고 다른 접이식 바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에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두 개의 슬롯(58)을 구비한 삼각형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다. 슬롯은 폭이 대략 1인치이며, 대략 100°의 각도를 이루도록 삼각형 면 상에 위치한다. 슬링의 일부(즉, 슬링(44)에 결합되어 있는 스트랩)가 프레임 계면 요소(48)의 각각의 슬롯에 결합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좌측 및 우측 손잡이 버전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좌측 손잡이 버전 및 우측 손잡이 버전이 접이식 바를 슬링(44) 및 다른 접이식 바에 대해 기설정된 각도(슬링의 좌측인지 또는 우측인지에 따라)에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버전의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사용자에게 압력이 가해지거나 불편함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 계면 요소(48)의 상부를 따라 가장자리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프레임 계면 요소는 금속,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그외 다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계면 요소가 기계 가공되거나, 사출 성형되거나, 그외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슬링(44)에 결합되거나 봉합되는 그로밋(grommet) 또는 와셔(washer)로서, 접이식 바의 제 2 단부(24) 위에서 미끄럼 이동하거나, 그렇지 않고 제 2 단부에 결합된다. 제 3 변형예에서, 프레임 계면 요소(48)는 슬링(44)에 결합되거나 봉합되는 포켓(pocket)으로서, 접이식 바의 제 2 단부(24) 위에서 미끄럼 이동하거나 그렇지 않고 제 2 단부에 결합된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슬링(44)은 또한,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바닥부(46)를 좌석 등받이부(50)에 결합하는 조절 요소(60)를 포함하며, 조절 요소(60)의 길이는 좌석 바닥부(46)와 좌석 등받이부(50)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더 길거나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슬링(44)은 프레임 계면 요소(48)에 결합되어 슬링(44)의 활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스트랩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절 요소(60)는 이들 스트랩에 결합되어 스트랩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도록 기능한다. 조절 요소(60)가 래더-락 버클(ladder-lock buckle)일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좌석 바닥부(46)와 좌석 등받이부(50)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어느 적당한 조절 요소(60)일 수도 있다. 슬링(44)은 또한, 휴대용 의자 프레임(10) 또는 슬링(44) 상의 어느 적당한 위치에 추가의 조절 요소(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III. 추가의 휴대용 의자 구성 요소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의 구성 요소를 함께 결합하도록 기능하는 끈(62)을 포함할 수 있다. 끈(62)이 제 1 바 섹션(30)의 내부와 제 2 바 섹션(32)의 내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바 섹션(30)과 제 2 바 섹션(32)이 중공형일 수 있다. 끈이 접이식 바의 바 섹션을 관통하여, 브레이스를 관통하여, 제 2 접이식 바의 바 섹션을 관통하여, 그리고 접이식 바 중 하나가 조인트(18)를 포함하는 경우 조인트(18)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이 모서리(슬링 계면)로부터 구조체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바 섹션, 브레이스 그리고 조인트를 함께 잡아당기도록 기능하는 두 개의 끈(62)을 포함할 수 있다. 끈(62)이 탄성 끈일 수 있긴 하지만, 변형예로서, 직물, 플라스틱, 금속 또는 금속 스프링과 같은 그외 다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가 슬링(44)의 좌석 등받이부 및/또는 좌석 바닥부에 결합될 수도 있긴 하지만, 변형예로서, 슬링의 그외 다른 적당한 부분 및/또는 프레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 1 변형예에서, 패드는 슬링에 의해 형성되는 포켓에 삽입 가능한 쿠션이다. 사용자는 가변 두께 및/또는 밀도의 패드를 삽입 및 제거할 수도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패드는 팽창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예에서는, 패드가 슬링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패드가 관통하여 팽창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로커(rocke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커는 이음부(18)에 결합될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의 어느 적당한 부분에 결합될 수도 있다. 로커는 표준 흔들 의자에서 통상 발견되는 표준 로커일 수 있다. 이러한 로커는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원형 밴드일 수 있으며,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이 전후로 흔들릴 수도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조인트(18)에 결합되는 베이스(6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는 도 12a, 도 12b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8)와 협력하여 증가된 표면적으로 지면(20)과의 접점을 제공한다. 조인트(18)는 단독으로 지면과의 접점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바위, 통나무 및 딱딱한 지면을 파지하기에 이상적이다. 모래나 잔디와 같은 부드러운 지면에서는 조인트가 지면에 빠질 수도 있다. 조인트(18)에 결합된 베이스(64)는 조인트(18)와 협력하여, 조인트(18)와 베이스(64)가 지면에 빠지지 않도록 증가된 표면적으로 지면(20)과의 접점을 제공한다. 베이스(64)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으로부터 제거 가능하지만, 변형예로서,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의 일부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베이스(64)는 원형이며, 조인트(18)와 결합되는 사각형 홀을 구비하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기하학적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베이스는 금속, 플라스틱,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그외 다른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기계 가공되거나, 사출 성형되거나, 그외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제 1 변형예에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4)는 베이스(64)를 조인트(18)에 결합하는 케이블(6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66)은 탄성 케이블일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고무, 플라스틱, 직물,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4)는 사출 성형 부품일 수 있으며, 케이블(66)의 단부를 포함하는 베이스(64)의 상면에 배치되는 두 개의 중공형 돌부(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베이스(64)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18)에 스냅 결합되는 탭부(70)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변형예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는 상측에 구형 만입부를 포함하며 바닥측에 카운터싱크(countersink), 즉, 위쪽이 넓은 구멍을 갖는 원형 홀을 포함하여 케이블(66)을 적소에 유지한다. 만입부의 깊이와 베이스의 상면은, 휴대용 의자 프레임이 슬링의 좌석 바닥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접이식 레그가 수평 상태이거나 반대 방향에 있는 지점을 지나쳐, 슬링의 좌석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접이식 레그가 수평 상태인 지점을 지나쳐 기울어지는 경우, 평평한 지면 상에서 조인트(18)가 베이스(64)만을 타격하도록 하는 윤곽으로 형성된다. 베이스(64)는, 조인트(18)의 바닥(또는 후방부)이 베이스(64)와 접촉함으로써 그 전체 표면을 따라 조인트와 접촉함으로써 조인트에 과다한 응력을 인가하는 레버 작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윤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베이스(64)는 사출 성형될 수 있지만, 그외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베이스(64)는 또한,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커플러(72)를 포함하며, 커플러는 베이스(64)의 구형 만입부와 결합하기 위한 치수로 형성된다. 커플러(72)는 구형체의 내측 외부가 중공형의 모래 시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64)와 조인트(18)의 추정 가능한 위치에서 케이블(66)용의 충분한 여유 공간을 제공한다. 커플러(72)는 또한, 케이블이 커플러(72)의 중심 둘레에서 휘어짐에 따라 케이블을 실질적으로 일정한 장력에 유지한다. 커플러(72)는 사출 성형될 수 있지만, 그외 다른 적당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케이블(66)은 나일론과 같은 인조 섬유나 강철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블(66)의 제 1 단부에서, 케이블은 카운터싱크의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베이스(64)와 계면을 형성하는 원추형 플러그를 포함한다. 케이블(66)의 제 2 단부에서, 케이블은 조인트(18)의 홀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반대측에서 캠 버클(74)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치수의 볼을 포함한다. 캠(74)은 손가락 크기의 손잡이를 구비한 실린더일 수 있다. 캠(74)은 케이블(66)의 두께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 케이블의 볼을 수용하기 위한 포켓을 구비한다. 캠(74)은 표준형 캠일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조인트(18)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커플러(72)를 수용하기 위한 구형 디보트(divot)를 구비한다. L-자형 조인트(18)의 굽은 부분에는 캠(74)이 안착되는 원통형 표면이 마련된다. 조인트는 케이블(66)을 수용하기 위해 후방 디보트의 중심으로부터 L-자형의 굽은 부분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조인트(18)는 CNC 기계 가공 알루미늄일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어느 적당한 방식으로 기계 가공되는 그외 다른 적당한 재료일 수도 있다.
설명되고 있는 실시예의 휴대용 의자 프레임(10)은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휴대용 의자 프레임(10)과 슬링(44)이 절첩되어 접힌 상태에서 이들 구성 요소를 저장하도록 기능하는 백(68)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백(68)은 길이가 10inch 미만(이상적으로는 7inch 이하)이며 직경이 5inch 미만(이상적으로는 4inch 이하)이지만, 변형예로서, 휴대용 의자 프레임(10) 및/또는 슬링(44)이 절첩되어 접힌 상태에서 이들 구성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어느 적당한 치수를 가질 수도 있다. 슬링과 휴대용 의자 프레임이 절첩되어 접힌 상태에서 슬링이 휴대용 의자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지만, 변형예로서, 슬링과 휴대용 의자 프레임이 절첩되어 접힌 상태에서 슬링이 휴대용 의자 프레임에 결합된 채로 유지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슬링과 프레임이 우산의 개폐 기구와 유사한 방식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즉, 휴대용 의자 프레임 및/또는 슬링이 한 번의 유체 동작을 통한 우산의 개방 및 펼침 동작과 유사한 원활한 동작으로 한 번에 터지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IV. 추가의 휴대용 의자 실시예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1510)과 슬링 섹션(1544, 1546 및 1552)을 구비한 휴대용 의자(1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의자 프레임(1510)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 섹션(1514, 1524),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 섹션(1516, 1526), 브레이스(1512), 그리고 각기 지면(도시하지 않음)과의 접점을 제공하는 두 개의 조인트(1518)를 포함하는 전술한 의자 프레임(10)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의자 프레임(1510)과 슬링 섹션(1544, 1546 및 1552)의 구성, 현장 조립 및 기능성은 도 2의 의자 프레임(10), 슬링(44) 그리고 거싯(52)을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 구성 요소에 대한 전술한 바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 섹션(1514, 1524)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바 섹션(30, 32)을 구비한 접이식 바(28)에 관한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 1 바 섹션(1514)은 외경 치수를 갖는 단부 부분을 구비하며, 제 2 바 섹션(1524)은 제 1 바 섹션(1514)의 단부 부분의 외경 치수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된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슬링 섹션(1544, 1552)은 적당한 경량의 나일론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슬링 섹션(1546)은 개선된 통풍성 및/또는 사용자 신체와의 적합성을 위한 메쉬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네 개의 프레임 계면(1548)이 슬링 섹션(1544, 1552)에 의해 형성되는 네 개의 개개의 모서리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휴대용 의자 프레임(1510)은 또한, 도 16에 사시도로 더 상세히 도시된 선택적인 전방 지지 조립체(1580)를 포함한다. 전방 지지 조립체(1580)는 의자(1500)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조립체(1580)는 한 쌍의 커넥터(1610), 한 쌍의 대각선 바(1620), 한 쌍의 커플러(1630), 그리고 바닥 바(1640)를 포함한다. 대각선 바(1620)의 개개의 하단부가 커플러(1630)를 통해 바닥 바(1640)의 양 단부에 결합된다.
각각 예시적인 커넥터(161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인 도 18a 및 도 18b를 또한 참조하면, 커넥터(1610)는 접이식 바(1516)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리세스(1816) 그리고 대각선 바(1620)의 상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 2 리세스(1817)를 구비한다. 커넥터(1610)가 또한 슬링 섹션(1544, 1552)에 부착된 전방 프레임 계면(1548)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에 주목하여야 한다.
연결 조인트(161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주물과 같은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c는 바(1516, 1620)를 각각 고정하기에 적당한 기계 가공 리세스(1818, 1819)를 구비한 커넥터(18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a 내지 도 21d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2110)과 슬링 섹션(2144, 2152)을 구비한 휴대용 의자(2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a에는 의자(2100)의 의자 프레임(2110)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b, 도 21c 및 도 21d는 휴대용 의자(2100)의 측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다. 의자 프레임(2110)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 섹션(2114, 2124),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2116), 그리고 각기 지면(도시하지 않음)과의 접점을 제공하는 두 개의 조인트(2118)를 포함한다. 의자 프레임(2110)과 슬링 섹션(2144, 2152)의 구성, 현장 조립 및 기능성은 휴대용 의자(1500)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전술한 바와 다소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 섹션(2114)과 바(2116)의 하단부가 조인트(2118)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조인트(2118)가 바닥 바(2119)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휴대용 의자 프레임(2110)은 도 17에 사시도로 더 상세히 도시된 선택적인 전방 지지 조립체(17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지지 조립체(1780)는 의자(2100)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게 추가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조립체(1780)는 한 쌍의 커넥터(1610), 한 쌍의 대각선 바(1720), 한 쌍의 커플러(1630), 그리고 바닥 바(1740)를 포함한다. 대각선 바(1720)의 개개의 하단부가 커플러(1630)를 통해 바닥 바(1740)의 양 단부에 결합된다. 커넥터(1610)는 슬링 섹션(2144, 2152)의 전방 프레임 계면(2148)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9a 및 도 19b는 의자(1500, 2100)와 같은 휴대용 의자용으로 적당한 변형예의 예시적인 전방 지지 조립체(1900A, 1900B)의 사시도이다. 도 19c에는 전방 지지 조립체(1900C)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휴대용 의자에 전방 풋 조립체(1900C)를 추가함으로써, 지면과의 세 개의 접지점을 형성함으로써, 특히 평평하지 않은 지면에 대한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d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2210)과 슬링 섹션(2244, 2252)을 구비한 휴대용 의자(2200)의 추가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2a에는 의자 프레임(2210)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22b, 도 22c 및 도 22d는 휴대용 의자(2200)의 측면도, 후면도 및 정면도이다.
의자 프레임(2210)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 섹션(2214, 2224),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 섹션(2216, 2226), 브레이스(2212), 그리고 각기 대응하는 한 쌍의 양각대형 레그(2222)에 결합된 두 개의 조인트(2218)를 포함하는 전술한 의자 프레임(1510)의 구성 요소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의자 프레임(2210)과 슬링 섹션(2244, 2252)의 구성, 현장 조립 및 기능성은 전술한 휴대용 의자(1500, 2100)의 구성 요소와 다소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의자(2100)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안정성이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의 네 개의 접점을 제공하는 양각대형 레그(2222)에 의해 달성된다. 바 섹션(2214, 2226)과 양각대형 레그(2222)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2318)와 바 섹션(2314), 바(2316), 그리고 양각대형 레그(2222)에 대해 후술하는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조인트(2218)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 프레임(2310)과 슬링 섹션(2344, 2352)을 구비한 휴대용 의자(23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a에는 의자 프레임(2310)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23b 및 도 23c는 휴대용 의자(2300)의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의자 프레임(2310)은 한 쌍의 제 1 접이식 바 섹션(2314, 2324), 한 쌍의 제 2 접이식 바(2316), 그리고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양각대형 레그(2222)에 결합되는 두 개의 조인트(2318)를 포함한다. 의자 프레임(2310)과 슬링 섹션(2144, 2152)의 구성, 현장 조립 및 기능성은 휴대용 의자(1510, 2100, 2210)에 대해 전술한 바와 다소 유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 섹션(2314)과 바(2316)의 하단부가 조인트(2318)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조인트(2318)는 수평 바(2319)를 통해 서로 결합된다. 의자(2300)에 앉아 있는 사용자에 대한 추가의 안정성이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의 네 개의 접점을 제공하는 양각대형 레그(2222)에 의해 달성된다.
도 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식 바(28)에 대해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바 섹션(2314), 바(2316) 및 양각대형 레그(2222)의 대응하는 단부와 편안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네 개의 스터브(2414, 2416, 2422)를 구비한 예시적인 조인트(2318)의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스터브(2414, 2416, 2422)의 외경은 바(2314, 2316)와 레그(2222)의 개개의 단부의 내경을 수용하도록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하, 휴대용 의자, 예를 들어, 의자(1500, 2100, 2200, 2300)의 개개의 프레임에 슬링을 결합하기에 적당한 예시적인 프레임 계면(2000)을 각각 도시한 분해도 및 조립도인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프레임 계면(2000)은 보강 층(2047a, 2047b, 2056a), 포켓 층(2056b), 강성 층(2048) 그리고 백킹 층(2049)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보강 층(2047a, 2047b, 2056a)은 슬링 섹션(1544, 1552)과 동일한 경량 재료, 예를 들어, 립스톱(ripstop) 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켓 층(2056b)은 나일론 띠와 같은 적당한 두께의 강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강성 층(2048)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적당히 뻣뻣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반면, 백킹 층(2049)은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EVA)와 같은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층은 에지 처리 테이프(2082, 2084)와 함께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링 섹션(2058)용의 포켓(2056)을 형성하도록 스티치 가공될 수 있다. 추가의 보강 스티치가 또한 응력 지점(2062, 2064, 2068)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휴대용 의자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당한 각종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이 알루미늄, 티타늄, 마그네슘 및 강철과 같은 금속 합금을 포함하는 한 가지 이상의 강하면서도 경량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나 섬유 유리, 탄소 섬유, 그리고 이들의 조합체와 같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나무와 같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의자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의자 슬링은 나일론, 캔버스, 삼베 및 이들의 조합체와 같은 적당한 가요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추가가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커넥터, 커플러 및 조인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의 구성 요소 중 대다수가 또한 그외 다른 조립체를 구성하기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의자에 전방 지지 조립체(1580, 1780, 1900A, 1900B, 1900C)를 장착하기 위한 전술한 커넥터(1610)는 또한, 야전 침대, 테이블, 그리고 텐트와 같은 차양을 포함하는 그외 다른 휴대용 구조물과 가구용의 조립체를 장착하기에 유용하다.
V. 휴대용 의자들에 관한 추가 허브 조립체들
도 25 내지 도 34d는 전술한 휴대용 의자들에 관한 휴대용 의자 허브 조립체들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이다. 많은 도면들이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되고, 따라서 예를 들면 실제 크기대로 또는 모든 숨겨진 세부 사항을 보여주도록 그려져 있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하라. 따라서, 당업자라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주와 취지를 유지하면서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의 치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공된 도면들과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휴대용 의자 허브 조립체의 많은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각각 매듭(knot)(2555,2553)에 의해 링(2519)에 결합되어,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각각의 중공 바(2514,2522)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518)에 보유될 수 있게 하는, 제 1 고무줄(elastic cord)(2554)과 제 2 고무줄(2552)을 보여주는 허브 조립체(25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조인트(2518)는 또한 대응하는 조인트(미도시)에 결합된 크로스 부재(cross member)(미도시)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개구(2517)를 포함한다.
비슷하게, 도 26은 각각 루프(2655,2653)에 의해 말단(terminal)(2619)에 결합되어,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각각의 중공 바(2514,2522)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518)에 보유될 수 있게 하는, 제 1 고무줄(2654)과 제 2 고무줄(2652)을 보여주는 허브 조립체(260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고무줄(2752,2754), 말단(2716,2712), 중공 바(2514,2522), 및 조인트(2518)를 포함하는 또 다른 허브 조립체(2700)의 단면도이다. 고주물(2754)은 매듭(2755)을 통해 말단(2716)에 결합되고, 고무줄(2752)은 매듭(2753)을 통해 말단(2718)에 결합되어, 각각의 중공 바(2514,2522)가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518)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비슷하게, 도 28은 고무줄(2852,2854), 링(2816,2812), 및 조인트(2518)를 포함하는 또 다른 허브 조립체(2800)의 단면도이다. 고무줄(2854)은 매듭(2855)을 통해 링(2816)에 결합되고, 고무줄(2852)은 매듭(2853)을 통해 링(2812)에 결합되어, 각각의 중공 바(2514,2522)가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518)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도 29는 고무줄(2952,2954), 링(2916,2912), 중공 바(2914,2922), 크로스 부재(2919), 및 조인트(2918)를 포함하는 또 다른 허브 조립체(2900)의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무줄(2954)이 링(2916)을 통과하는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고, 고무줄(2952)은 링(2912)을 통과하는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각각의 중공 바(2914,2922)가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918)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조립체(3000A)의 단면도에서는 각각 고무줄(3052,3054)을 사용하여 조인트(2518)에 중공 바(2522,2514)를 보유하는 것 또한 가능하고, 이 경우 고무줄(3052,3054)은 각각 매듭(3053,3055)과 같은 매우 큰(oversized) 종단(termination)을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매우 큰 종단에는 매듭(3053,3055)을 대신할 수 있는 용접점(weld)들이 포함된다.
비슷하게, 도 30b의 단면도로 예시된 것처럼 허브 조립체(3000B)는 고무줄(3052,3054), 디스크(3062,3064)(스루홀(through hole)들이 있는), 중공 바(2522,2514), 및 조인트(2518)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고무줄(3054)은 디스크(3064)를 통하여 꿰어지고 보유(retaining) 매듭(3055)으로 끝나고, 고무줄(3052)은 링(3062)을 통과하는 고리 모양으로 되고 고정 매듭(3053)으로 끝남으로써, 각각의 중공 바(2514,2522)가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918)에 보유될 수 있게 한다.
이제, 도 31의 사시도를 참조하면, 허브 조립체(3100)는 2쌍의 고무줄(3152,3154), 중공 바들(2514,3116,2522,3122), 크로스 부재(3119), 및 조인트(2518)를 포함한다. 이 실시에에서, 중공 튜브들의 쌍들, 예컨대 튜브들(2514,3122 및 2522,3116)은 각각 고무줄 쌍(3152,3154)에 의해 조인트(2518)의 대응하는 개구들에 보유되도록 구성된다.
도 32 및 도 33은 허브 조립체(3200,3300)의 2개의 추가적인 전형적인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들로서, 이 경우 2개 이상이 고무줄이 서로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허브 조립체(3200)는 서로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고, 중공 바(2514,2522)가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518)에 보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2개의 고무줄(3254,3252)을 포함한다. 비슷하게, 허브 조립체(3300)는 서로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고 중공 바들(2522,3116 및 3122,2514)의 각각의 쌍이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2518)에 보유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2쌍의 고무줄(3352,3356 및 3254,3358)을 포함한다.
도 34a, 도 34b, 도 34c, 및 도 34d는 전술한 휴대용 의자들의 허브 조립체들에 관한 전형적인 조인트들의 사시도들이다. 조인트(3410,3420,3430,3440)는 휴대용 의자 중공 튜브들(미도시)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개구들(3412,3414)를 포함한다. 조인트(3410,3420,3430,3440)는 또한 휴대용 의자 크로스 부재(미도시)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원형이 아닌 오목부(recess)들을 포함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각각의 조인트와 크로스 부재 사이의 비틀림 운동을 감소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타원형, 다각형(직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과 같은 사변형들을 포함하는), 및 삼각형과 같은 많은 원형이 아닌 오목부 프로필이 가능하다. 전형적인 조인트들(3410,3420,3430,3440)은 타원형인 오목부(3416), 6각형 오목부(3417), D-형상의 오목부(3418), 및 정사각형 오목부(3419)를 각각 포함한다.
전술한 허브 조립체들에 대한 많은 수정예와 추가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나의 매듭지어진 고무줄과 결합된 루프 형태의 고무줄, 양 고무줄이 모두 링과 결합된 것과 같이, 위 실시예들의 조합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고무줄, 또는 2개 이상의 고무줄을 지닌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접착(gluing), 용접(welding), 또는 초음파 접착, 및/또는 열에 기초한(heat-based) 또는 화학물질에 기초한(chemical-based) 결합(joinery) 방법들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매듭들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전형적인 수정예들은, 예를 들면 디스크에 고착하도록 구성된 매듭이 지어진 끝을 지닌 고무줄과 결합된 스루 홀을 지닌 디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된 말단(terminal)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실시예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있긴 하지만, 변형예, 수정예, 치환예, 그리고 대체 등가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돕기 위해 세부 항목의 제목이 제공되고 있긴 하지만, 이들 제목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함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첨부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형예, 수정예, 치환예 그리고 대체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의자 슬링과 관련하여 유용하고, 조립된 상태와 접어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휴대용 의자 프레임으로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중공 바를 포함하는 2개의 상부 폴의 제 1 단부들에 의해 정해진 2개의 상부 접촉점으로서, 각각의 상부 접촉점은 의자 슬링의 상부 프레임 계면과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2개의 상부 접촉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중공 바를 포함하는 2개의 하부 폴의 제 1 단부들에 의해 정해진 2개의 하부 접촉점으로서, 각각의 하부 접촉점은 의자 슬링의 하부 프레임 계면과 제거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2개의 하부 접촉점;
    각각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폴의 제 2 단부와 하부 폴의 제 2 단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2개의 조인트; 및
    중공 바들 중 하나를 통과하고,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조인트들 중 하나에 하나의 중공 바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을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은 상기 하나의 조인트 내측에 실질적으로 위치한 링에 결합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은 상기 링을 통과하는 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은 상기 하나의 조인트 내측에 실질적으로 위치한 말단에 결합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은 상기 하나의 조인트 내측에 실질적으로 위치한 매우 큰 종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바들 중 또 다른 바를 통과하는 제 2 고무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무줄은 접어진 상태로 분리될 때까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조인트에 상기 또 다른 바를 보유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과 상기 제 2 고무줄은 서로 결합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무줄과 상기 제 2 고무줄은 서로를 통과하여 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크로스 부재를 보유하도록 구성된 원형이 아닌 오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이 아닌 오목부는 타원, 달걀 모양, 다각형, 삼각형, 및 D자 모양 중 하나인, 원형이 아닌 프로필을 가지는, 휴대용 의자 프레임.
KR1020157016194A 2012-11-21 2013-11-20 휴대용 의자 및 방법 KR201500865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9182P 2012-11-21 2012-11-21
US61/729,182 2012-11-21
US13/794,824 2013-03-12
US13/794,824 US20150366352A9 (en) 2008-03-17 2013-03-12 Portable chairs and method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521A true KR20150086521A (ko) 2015-07-28

Family

ID=5072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94A KR20150086521A (ko) 2012-11-21 2013-11-20 휴대용 의자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66352A9 (ko)
KR (1) KR20150086521A (ko)
WO (1) WO20140818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218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승우 절곡형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2854U (ko) 2020-06-15 2021-12-22 손성호 접이식 간이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2042A1 (en) * 2008-03-17 2016-01-28 Alite Desig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US10201231B2 (en) 2008-03-17 2019-02-12 Alite Designs, Inc. System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US20130069397A1 (en) * 2008-03-17 2013-03-21 Samuel B. Homans Portable Chair
KR101678446B1 (ko) * 2014-08-05 2016-11-23 라제건 휴대용 의자
US11166558B2 (en) 2019-12-31 2021-11-09 Cascade Mountain Technologies, Llc Joint for chair frame and chair including a frame having the joint and a seat attached to the frame
CN212345929U (zh) * 2020-04-02 2021-01-15 浙江普莱德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看台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566A (en) * 1981-11-30 1987-06-09 Knapp Ronald H Collapsible support apparatus
US5709428A (en) * 1996-05-20 1998-01-2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llapsible folding furniture
US7374237B2 (en) * 2006-04-28 2008-05-20 Frederick K. Park Collapsible support frame
US8205934B2 (en) * 2008-03-17 2012-06-26 Alite Designs, Inc. Portable chair
KR101176740B1 (ko) * 2010-10-28 2012-08-23 라제건 휴대용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218A (ko)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승우 절곡형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2854U (ko) 2020-06-15 2021-12-22 손성호 접이식 간이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8989A1 (en) 2014-05-22
US20150366352A9 (en) 2015-12-24
WO2014081883A1 (en)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578B2 (en) Portable chairs and methods thereof
US90665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KR20150086521A (ko) 휴대용 의자 및 방법
US20160066693A1 (en) Portable chair
US8205934B2 (en) Portable chair
US1020123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US7497514B2 (en) Portable sports bench
USRE39022E1 (en) Backpack chair
US7334837B1 (en) Modular multi-functional portable seating device
KR20240012478A (ko) 접이식 의자
US7740320B2 (en) Chair having grooves in each arm for receiving a sheet of fabric as a seat
US20190357683A1 (en) Swinging chair with auto-reclining feature
US20060214476A1 (en) Adjustable configuration seating
US7017991B1 (en) Folding lounge chair
US201803032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with armrest
US201600220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furniture
US8702162B2 (en) Multiple use chair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US4708308A (en) Portable stool
US5971474A (en) Collapsible glider chair
US20220361673A1 (en) Modular Chair
WO2014179787A1 (en) Portable chairs and methods thereof
US7950744B2 (en) Collapsible integral foot rest
US20210112985A1 (en) Swinging chair with auto-reclining feature
US20020014791A1 (en) Reclining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