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506A - 릴 낚시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릴 낚시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506A
KR20150084506A KR1020140004597A KR20140004597A KR20150084506A KR 20150084506 A KR20150084506 A KR 20150084506A KR 1020140004597 A KR1020140004597 A KR 1020140004597A KR 20140004597 A KR20140004597 A KR 20140004597A KR 20150084506 A KR20150084506 A KR 20150084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rod
fish
push swit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186B1 (ko
Inventor
김경곤
Original Assignee
김경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곤 filed Critical 김경곤
Priority to KR1020140004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1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릴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는, 낚시대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손잡이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낚시대의 초릿대가 삽입되는 초릿대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초릿대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초릿대를 관통하는 낚시줄에 의해 작동되되,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온(ON)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에 의해 작동되어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대의 손잡이와 초릿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물고기가 잡히면, 불빛과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게 물고기의 잡힘을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릴 낚시용 거치대{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릴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낚시대의 손잡이와 초릿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물고기가 잡히면, 불빛과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게 물고기의 잡힘을 알려줄 수 있는 릴 낚시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대 거치대는 낚시대를 오랜시간 동안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낚시를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품이다.
상기와 같은 낚시대 거치대는 여가를 즐기는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낚시대 거치대가 개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낚시대 거치대에 관한 종래기술 중 하나로 등록특허 제10-1213327호(발명의 명칭:낚시받침대 거치장치, 등록일자:2012년 12월11일)가 있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도면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바닥부재에 일측에 스크류(14)가 구비된 고정부재(13)를 매개로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는 낚시받침대(74)가 구비되는데, 상기 낚시받침대에는 낚시대(76)의 앞부분이 거치되고, 뒤꽂이(72)에는 낚시대의 뒷부분(손잡이)이 거치된다.
또한, 상기 낚시받침대는 홀딩부재(60)에 가압볼트(70)를 매개로 고정되며, 조절부재(50)에 의해 홀딩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릴 낚시용 거치대는 물고기를 잡는 과정에서 육안으로 낚시줄에 설치된 찌를 계속해서 집중하여 관찰해야 하므로 피로누적 등 장시간 낚시를 즐기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에는 야광찌 등을 낚시줄에 달아 물고기의 입질을 파악하였으나, 낚시줄을 멀리 던지는 경우, 시야가 확보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대의 손잡이와 초릿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물고기가 잡히면, 불빛과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게 물고기의 잡힘을 알려줄 수 있는 릴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낚시대의 초릿대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스위치가 낚시줄에 의해 작동되므로 물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릴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주/야간을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주간에는 소리만, 야간에는 불빛 또는 소리와 불빛을 제공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물고기의 잡힘을 알려줄 수 있는 릴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스피커와 점멸부의 전원을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므로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는 릴 낚시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는, 낚시대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손잡이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낚시대의 초릿대가 삽입되는 초릿대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초릿대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초릿대를 관통하는 낚시줄에 의해 작동되되,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온(ON)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에 의해 작동되어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릿대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초릿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초릿대 삽입홈의 내부에서 점멸되는 제1점멸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전방프레임의 외부에서 점멸되는 제2점멸부와,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릴 수 있는 스피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야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알림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회전스위치와, 상기 회전스위치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전원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이고, 상기 회전스위치가 야간인 경우, 상기 제1,2점멸부 또는 상기 제1,2점멸부와 상기 스피커가 활성화되며,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이고, 상기 회전스위치가 주간인 경우,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제1,2점멸부와 상기 스피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접이식 다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대의 손잡이와 초릿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물고기가 잡히면, 불빛과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어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에게 간편하게 물고기의 잡힘을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낚시대의 초릿대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스위치가 낚시줄에 의해 작동되므로 물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주/야간을 구별하여 사용자에게 주간에는 소리만, 야간에는 불빛 또는 소리와 불빛을 제공하여 간편하고 정확하게 물고기의 잡힘을 알려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와 점멸부의 전원을 충전식 배터리를 이용하므로 이동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초릿대 삽입홈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초릿대 삽입홀을 보인 정면 사시도 및 부분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상태에서 낚시바늘에 고기가 안잡힌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상태에서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낚시줄이 느슨해져 누름스위치가 온(ON)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초릿대 삽입홈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의 초릿대 삽입홀을 보인 정면 사시도 및 부분절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릴 낚시용 거치대는, 후방프레임(100), 전방프레임(200), 연결프레임(300), 접이식 다리(310), 누름스위치(400) 및 알림부(500)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후술할 후방프레임(100), 전방프레임(200), 연결프레임(300), 접이식 다리(310)는 금속재질(예: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먼저, 후방프레임(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후방프레임(100)은 낚시대(10)의 손잡이(11)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손잡이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기 손잡이 삽입홈(110)은 낚시대(10)의 손잡이(11)가 상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해 개구되되,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 삽입홈(110)은 후방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는데, 이러한 손잡이 삽입홈(110)은 후술할 전방프레임(200)의 초릿대 삽입홈(210)과 동일한 개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손잡이 삽입홈(110)과 초릿대 삽입홈(210)은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나 예컨대, 낚시대(10)를 방사형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초릿대 삽입홈(210) 간의 간격이 손잡이 삽입홈(110) 간의 간격보다 촘촘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와 같이 낚시대(10)가 방사형으로 거치되는 경우, 초릿대 삽입홈(210)의 개수가 손잡이 삽입홈(110)의 개수보다 더 많게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전방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전방프레임(2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후방프레임(1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전방프레임(200)에는 초릿대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초릿대 삽입홈(210)은 낚시대(10)의 초릿대(12)가 삽입되는 홈으로서, 이러한 초릿대 삽입홈(210)에는 상기 손잡이 삽입홀(110)에 손잡이(11)가 끼워진 낚시대(10)의 초릿대(12)가 삽입되며, 상술한 손잡이 삽입홈(110)과 마찬가지로 낚시대(10)의 초릿대(12)가 상측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해 개구되되,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낚시대(10)의 손잡이(11)는 손잡이 삽입홈(110)에, 초릿대(12)는 초릿대 삽입홈(210)에 각각 삽입되며, 이에 따라, 낚시대(10)는 본 발명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초릿대 삽입홈(2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릿대(12)를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2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초릿대(12)는 초릿대 삽입홈(210)의 내부에서 지지부재(220)와 초릿대 삽입홈(210)의 전방 내벽 사이의 공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초릿대(12)는 낚시대(10)의 길이방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초릿대(12)는 대체로 링(ring)형상으로 제작되어 릴(14)에 감겨있는 낚시줄(13)이 관통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초릿대(12)와 낚시대(10)의 탄성 및 낚시줄(13)의 장력과 사용자의 힘이 낚시바늘(미도시)에 걸린 물고기에 전달되어 물고기를 잡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220)에는 후술할 누름스위치(400)와 알림부(500)에 의해 작동되는 제1점멸부(510), 제2점멸부(5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연결프레임(300)과 접이식 다리(3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연결프레임(300)은 상술한 후방프레임(100)과 전방프레임(200)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00)과 전방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이 양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되, 후방프레임(100) 및 전방프레임(200)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결합되어 조립 및 해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00)의 하부에는 접이식 다리(31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접이식 다리(310)는 본 발명의 사용시에는 펼쳐지고, 미사용시(예:연결프레임(300)이 후방프레임(100) 및 전방프레임(200)과 분리시)에는 접히도록 하여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접이식 다리(310)를 "X"자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하고, 상측을 후방프레임(100)과 전방프레임(200)에 각각 연결하여 절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연결프레임(300)을 생략할 수 있으며, 상기 교차되는 접이식 다리(310)의 교차지점에는 힌지(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누름스위치(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누름스위치(400)는 전방프레임(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누름스위치(4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릿대 삽입홈(210)의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누름스위치(400)는 접속버튼(420)이 구비되는 스위치 본체(410)와, 이 스위치 본체(410)에서 초릿대 삽입홈(2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형성되며, 상기 접속버튼을 누를 수 있는 가압부(4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누름스위치(400)는 상기 가압부(430)가 접속버튼(420)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오프(OFF), 그 반대의 상태가 온(ON)인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누름스위치(400)는 초릿대 삽입홈(210)에 삽입된 초릿대(12)를 관통하는 낚시줄(13)에 의해 작동되며, 낚시바늘에 물고기가 잡힌 경우 오프(OFF)에서 온(ON)으로 전환될 수 있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고기를 잡기 위해 추(미도시)의 무게와 낚시대(10)의 탄성을 이용하여 전방을 향해 투척하면, 추가 물속으로 가라앉으면서 릴(14)을 감아 낚시줄(13)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5에는 낚시줄(13)이 팽팽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낚시줄(13)이 팽팽한 상태에서는 낚시줄(13)에 추의 무게에 비례하는 장력이 발생되는데, 이렇게 장력이 발생된 상태에서 초릿대(12)를 초릿대 삽입홈(210)에 삽입하면 낚시줄(13)의 장력에 의해 가압부(430)가 접속버튼(420)을 누르게 되며, 사용자는 물고기가 잡힐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와 같이 낚시줄(13)이 팽팽한 상태에서,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리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줄(13)이 느슨해지면서 장력이 점점 줄어들어 소멸되는데, 이에 따라, 가압부(430)가 접속버튼(420)을 누르는 힘이 점점 사라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430)가 접속버튼(420)을 누르지 않는 상태, 즉, 누름스위치(400)가 오프(OFF)인 상태에서 온(ON)인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리게 되면, 물고기가 낚시줄(13)을 잡아당겨 낚시줄(13)과 릴(14)에 장력이 더 크게 작용될 수도 있지만,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채로 육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낚시줄(13)의 장력이 사라진다.
이에 따라, 낚시줄(13)이 가압하고 있는 가압부(430)가 접속버튼(420)을 누르지 않는 상태인 온(ON)인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알림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알림부(500)는 상술한 누름스위치(400)에 의해 작동되어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빛, 소리 등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알림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501)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전원부(501)는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충전식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전원부(501)는 회전스위치(530)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으며, 회전스위치(530)는 알림부(500)가 주/야간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한다.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스위치(530)는 도 1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간, 야간, 오프(OFF)를 선택할 수 있는 회전식 스위치이며, 주간, 야간 선택시에는 상기 전원부(501)는 온(ON)인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알림부(500)는,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린 경우, 사용자에게 빛으로 알려줄 수 있는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와 부저, 경고음 등의 소리로 알려줄 수 있는 스피커(50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 및 스피커(502)는 전원부(501)와 전선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에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20)에 설치되는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는 상술한 누름스위치(40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누름스위치(400)가 온(ON)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는 활성화되어 점멸되고, 오프(OFF)인 경우에는 상기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는 비활성화되어 빛을 발산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피커(502)도 상기와 같은 제1점멸부(510) 및 제2점멸부(520)와 동일한 패턴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누름스위치(400)의 온/오프 상태는 상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회전스위치(530)의 조작에 의해 주/야간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으로 사용자에게 물고기가 잡힌 것을 알려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상기 회전스위치의 회전스위치(530)가 오프(OFF)의 위치로 놓으면, 미사용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미사용상태에서 주간인 경우, 회전스위치(530)를 "주간"의 위치가 되도록 일측(좌측)으로 회전시키면, 본 발명은 주간에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되며, 이때, 상기 누름스위치(400)는 오프(OFF)인 상태이다.
상기 회전스위치(530)가 주간인 상태에서 낚시바늘에 물고기가 걸려 낚시줄(13)이 느슨해지면서 누름스위치(400)가 온(ON)인 상태로 전환되면서 스피커(502)가 활성화되는데, 이러한 스피커(5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50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회전스위치(530)가 주간인 경우, 스피커(502)와 함께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가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으나, 주간에는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가 점멸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드므로 스피커(502)만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회전스위치(530)가 야간인 경우, 회전스위치(530)를 "야간"의 위치가 되도록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본 발명은 야간에 사용하는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회전스위치(530)가 야간인 상태에서 누름스위치(400)가 온(ON) 되면,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가 점멸(또는 발광)되면서 활성화되는데, 스피커(502)도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피커(502)는 본 발명이 사용되는 장소에서 주변, 특히 주변이 조용한 야간의 경우, 스피커(502)에서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주변에서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스위치(530)가 야간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만 활성화되도록 하고, 스피커(502)는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는 3개의 낚시대(10)가 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보다 더 많은 갯수의 낚시대(10)가 거치되도록 전/후방프레임(100, 200)에 삽입홈(110, 210)들의 갯수를 더 많이 형성시키는 것도 좋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점멸부(510)는 지지부재(220)의 상면에 설치되어 누름스위치(400)가 온(ON)인 상태로 전환되면, 초릿대 삽입홈(210)의 내부에서 점멸되고, 제2점멸부(520)는 지지부재(2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전방프레임(200)을 관통하여 누름스위치(400)가 온(ON)인 상태로 전환되면, 전방프레임(200)의 외부에서 점멸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는 도 2에 도시된 3개의 낚시대 중 1개의 낚시대에 물고기가 잡히면, 물고기가 잡힌 낚시대가 삽입된 곳만 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점멸부(510)와 제2점멸부(520)는 예컨대, LED를 채택할 수 있으나, 불빛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종류의 조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낚시대 11-손잡이
12-초릿대 13-낚시줄
14-릴
100-후방프레임 110-손잡이 삽입홈
200-전방프레임 210-초릿대 삽입홈
300-연결프레임 310-접이식 다리
400-누름스위치 410-스위치 본체
420-접속버튼 430-가압부
500-알림부 501-전원부
502-스피커 510-제1점멸부
520-제2점멸부 530-회전스위치

Claims (5)

  1. 낚시대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손잡이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후방프레임과,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낚시대의 초릿대가 삽입되는 초릿대 삽입홈이 복수개 형성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초릿대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초릿대를 관통하는 낚시줄에 의해 작동되되,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온(ON)되는 누름스위치와,
    상기 누름스위치에 의해 작동되어 낚시바늘에 고기가 잡힌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낚시용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릿대 삽입홈의 내부에는, 상기 초릿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낚시용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초릿대 삽입홈의 내부에서 점멸되는 제1점멸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전방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되면, 상기 전방프레임의 외부에서 점멸되는 제2점멸부와,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소리로 알릴 수 있는 스피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낚시용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주/야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알림부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회전스위치와,
    상기 회전스위치에 의해 온(ON)/오프(OFF)되는 전원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이고, 상기 회전스위치가 야간인 경우, 상기 제1,2점멸부 또는 상기 제1,2점멸부와 상기 스피커가 활성화되며,
    상기 누름스위치가 온(ON)이고, 상기 회전스위치가 주간인 경우,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제1,2점멸부와 상기 스피커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낚시용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는 접이식 다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 낚시용 거치대.
KR1020140004597A 2014-01-14 2014-01-14 릴 낚시용 거치대 KR10157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597A KR101578186B1 (ko) 2014-01-14 2014-01-14 릴 낚시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597A KR101578186B1 (ko) 2014-01-14 2014-01-14 릴 낚시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506A true KR20150084506A (ko) 2015-07-22
KR101578186B1 KR101578186B1 (ko) 2015-12-16

Family

ID=5387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597A KR101578186B1 (ko) 2014-01-14 2014-01-14 릴 낚시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4280A (zh) * 2015-12-11 2016-04-20 重庆远钓科技有限公司 垂钓钓钩弹射装置的支撑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428B1 (ko) 2022-09-28 2023-04-12 문도주 밑밥 통에 끼워 걸어서 사용하는 낚시대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629Y1 (ko) * 1999-12-20 2000-06-15 홍영동 어신감지장치에 설치된 낚시대 받침대
KR20000017232U (ko) * 1999-02-19 2000-09-25 임장근 낚시용 자동낚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232U (ko) * 1999-02-19 2000-09-25 임장근 낚시용 자동낚음장치
KR200186629Y1 (ko) * 1999-12-20 2000-06-15 홍영동 어신감지장치에 설치된 낚시대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94280A (zh) * 2015-12-11 2016-04-20 重庆远钓科技有限公司 垂钓钓钩弹射装置的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186B1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6577B2 (en) Fish set line
KR101578186B1 (ko) 릴 낚시용 거치대
US6646557B2 (en) Fishing rod holders with signaling device
US5992080A (en) Fishing trap
USD637685S1 (en) Fish lure
US9700037B1 (en) Duck decoy device
US7681821B2 (en) Demonstration mode for electronic fishing reel
US9814223B2 (en) Interchangeable fishing lure system
KR101146463B1 (ko) 낚시미끼 투척장치
US10624329B2 (en) Fishing line indication device
JP2000189019A (ja) 投げ釣り発射機
US7896515B2 (en) Decorative object connectable to a connected object
KR101128302B1 (ko)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접철식 낚시용 받침대
USD563203S1 (en) Equestrian cone jump cup
JP5296943B2 (ja) 歩行しながら魚釣りをするための釣り竿ホルダ
WO2017005593A1 (en) A device for use in sea fishing
KR100254052B1 (ko) 낚시받침대의 챔 장치
US9918461B1 (en) Fishing pole holder
US6725595B1 (en) Portable rod and reel device utilizing trigger-actuated line release and braking mechanism
KR100254053B1 (ko) 낚시받침대의 챔 장치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US2589932A (en) Fish bait
KR100903406B1 (ko) 낚시 거치대
US7109870B1 (en) Fishing accessory
KR200321196Y1 (ko) 릴낚시의 어신 자동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