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291A -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291A
KR20150084291A KR1020140004146A KR20140004146A KR20150084291A KR 20150084291 A KR20150084291 A KR 20150084291A KR 1020140004146 A KR1020140004146 A KR 1020140004146A KR 20140004146 A KR20140004146 A KR 20140004146A KR 20150084291 A KR20150084291 A KR 2015008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variable
connecting member
cab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881B1 (ko
Inventor
권순도
김성락
김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88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7Details of bearings
    • B65H2404/173Details of bearings bearing inside roller for surface to ro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설치 조건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중심에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케이블 포설에 따른 마찰 저항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길이를 가변시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설치 조건에도 적용 가능하여 뛰어난 호환성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Prefabricated modular variable using the roller and the roller guide device}
본 발명은 전선 포설시 사용되는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설치 조건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비블 포설작업은 선박 건조시 내,외부 곳곳에 다양한 직경(Ø8~91.8㎜)의 케비블을 척당 대략 80,000~1,200,000m 설치하는 작업으로 그 무게만 해도 수만톤이 넘는다.
이러한 케이블 작업은 먼저 트레이를 설치한 후 그 트레이 위에 케이블을 포설할 경우 피더와 윈치 등을 이용하여 케이블을 밀어주고 당기면서 포설하게 되는 데, 이때 케이블과 트레이 상의 마찰부하 및 굴곡부에서의 저항 등을 줄여주기 위하여 롤러를 적용하게 된다.
이렇게, 케이블을 트레이 위에 포설하는 경우 수직이나 수평 또는 굴곡부 등과 같이 다양한 설치조건에 따라 그에 적합한 전용 롤러들을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있는 데, 이때 설치조건이 변할 경우 전용 롤러의 특성상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트레이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포설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87호(이하 '선행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상,하부 롤러 사이에서 케이블 포설을 위해 이송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845호(이하 '선행특허문헌 2'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를 컨베이어벨트로 연결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부에 링크로 연결되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501호(이하 '선행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에 장착하여 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도록 베이스 부재 상에 케이블이 통과되는 상부롤러와 양측에 측면롤러가 형성되는 케이블 안내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28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584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501호
그러나, 선행특허문헌 1 내지 2는 케이블 이송을 위한 롤러를 구비한 포설기로서,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한 트레이의 설치조건에 따라 포설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선행특허문헌 3은 트레이 상에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장치로서, 이는 트레이 상에 장착 및 분리가 상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안내하기 위한 케이블이 갯수가 제한되는 단점을 가지며, 특히 트레이의 설치조건에 따라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설치 조건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조건에 따라 수평방향,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시 그 케이블을 당기고 밀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로서, 상기 롤러는 중심에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케이블 포설에 따른 마찰 저항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체결을 위한 체결 축부, 상기 체결 축부의 반대 측 타측에 그 체결 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체결 홈부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 축부 및 체결 홈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각각의 나선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축부에는 면취 가공된 면취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는 나사 결합시 고정 툴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이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니들 롤러 베어링 또는 부시이다.
케이블 포설시 그 케이블을 당기고 밀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로서, 상기 안내장치는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변형 롤러; 및 상기 가변형 롤러를 필요로 하는 형태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변형 롤러는 중심의 일단에 연결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 및 연결몸체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구;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수단은 트레이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고정브래킷이다.
상기 설치수단은 트레이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구이다.
상기 설치수단은 설치부재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코너 연결부재는 상기 가변형 롤러의 연결축 및 연결홈과 서로 대응되는 홈과 축을 포함한다.
상기 축은 코너 연결부재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가변형 롤러를 상,하의 수직방향과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치 조건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하거나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길이를 가변시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어떠한 설치 조건에도 적용 가능하여 뛰어난 호환성을 가지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설치 조건에 따라 수평방향,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등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조건에 상관없이 어떠한 장소에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와 함께 다양한 형태로도 사용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시 그 케이블을 당기고 밀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1)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설치 조건에 따라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1)는 중심에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10); 및 상기 연결부재(10)의 외측면에 상기 케이블 포설에 따른 마찰 저항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0);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길이가 일정하게 정해진 것이라 아니라 설치하고자 하는 조건에 따라, 즉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따라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길게 또는 짧게 등과 같이 필요로 하는 길이로 연결함으로써, 어떠한 설치조건에도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에 의해 케이블 포설에 따른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때에도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하나의 표준화된 모듈로서 사용가능함에 따라 트레이 또한 표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질 수 있는 것임은 물론 길이 가변으로 인한 어떠한 설치 조건에도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을 구비한다.
연결부재(10)는 일측에 체결을 위한 체결 축부(12)와, 상기 체결 축부(12)의 반대 측 타측에 그 체결 축부(1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체결 홈부(14)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연결작업 또한 단순하게 연결부재의 체결 축부를 체결 홈부로 삽입시킴으로 인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게 길이를 가변하여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회전부재(2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통상의 니들 롤러 베어링 또는 부시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재를 니들 롤러 베어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케이블의 중량이나 많은 량으로 인해 부하가 많이 발생하는 부분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케이블로 인한 부하가 많이 발생하지 않은 부분에는 부시 등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연결부재(10)를 더욱더 긴밀하면서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체결 축부(12) 및 체결 홈부(14)에는 통상적인 나사 결합을 위한 각각의 나선부(12a)(14a)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축부(12)에는 나사 결합에 따라 보다 간단하고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통상적인 면취기 등에 의해 면취 가공된 면취부(1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 홈부(14)가 형성된 연결부재(10)에는 나사 결합시 공지의 고정 툴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16)이 더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필요로 하는 길이로 조립시에 복잡하거나 번거로운 조립작업 아닌 간단한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연결부재를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연결 후에는 더욱더 긴밀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체결 축부에는 면취 가공된 면취부에 의해 나사 결합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더욱더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의 우수성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시 그 케이블을 당기고 밀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100)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내장치(100)는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변형 롤러(110); 및 상기 가변형 롤러(110)를 필요로 하는 형태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120);을 포함한다.
가변형 롤러(110)는 중심의 일단에 연결축(11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112)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연결홈(114)이 형성되는 연결몸체(111); 및 상기 연결몸체(111)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통상의 베어링이나 부시 등과 같은 회전구(116);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과 연결홈은 통상적으로 삽입에 의해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대응되는 면에 나선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설치수단(120)은 통상 케이블이 올려지는 트레이(122)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110)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고정브래킷(124)이다. 상기 수직 고정브래킷은 상기 트레이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측프레임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직 고정브래킷은 가변형 롤러의 연결몸체에 형성된 연결축과 연결홈이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는 공지된 어떠한 방식이어도 무방하다.
그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형성되는 수직 고정브래킷에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의 가변형 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즉 상기 가변형 롤러의 연결몸체에 형성된 연결축과 연결홈을 서로 삽입하거나 또는 나사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이렇게, 상기 가변형 롤러는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되는 트레이의 형태나 종류에 상관없이 필요로 하는 길이 만큼만 연결하여 사용함에 따라 설치조건에 알맞게 가변시킴으로써, 설치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그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가변형 롤러에 의해 케이블 포설에 따른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가변현 롤러를 수평상태가 아니라 수직으로도 설치할 수 있다.
설치수단(120)은 트레이(122)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110)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구(125)이다. 즉, 상기 체결구는 트레이 상에 가변형 롤러의 연결축 또는 연결홈과 대응되는 형태의 축이나 홈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가변형 롤러를 양측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케이블 포설에 따른 케이블의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마찰 저항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6은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동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설치수단(120)은 통상적인 트레이 또는 브래킷이나 프레임 등과 같은 설치부재(126)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110)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재에는 상기 가변형 롤러의 연결축과 연결홈을 체결하기 위한 각각의 축이나 홈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변형 롤러는 연결몸체의 몸체에 형성된 연결축과 연결홈을 서로 조립함과 동시에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이 맞닿는 코너 부분에는 상기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의 가변형 롤러와 수평방향의 가변형 롤러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코너 연결부재(130)는 상기 가변형 롤러(110)의 연결축(112) 및 연결홈(114)과 서로 대응되는 홈(132)과 축(134)을 포함한다. 상기 축은 코너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의 볼트 형태로 상기 코너 연결부재에 관통된 관통홀 상에 삽입되도록 착탈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홈과 축은 직교되는 방향의 직각을 이룬다.
그에 따라 가변형 롤러를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설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케이블 이송에 따른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서의 마찰 저항 또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도 7은 도 4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가변형 롤러를 통상의 덕트나 터널 형태로도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설치수단(120)은 상기 가변형 롤러(110)를 상,하의 수직방향과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코너 연결부재는 전술한 코너 연결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에 따라 상기 가변형 롤러는 그 연결몸체에 형성된 연결축과 연결홈에 의해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연결한 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이 서로 접하는 모서리인 코너에는 코너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가변형 롤러와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안내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각형 형태이거나 터널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상,하,좌,우 전체를 가변형 롤러와 코너 연결부재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포설에 따른 케이블과의 마찰 저항을 전체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에 따라 포설작업의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 : 롤러
10 : 연결부재 12 : 체결 축부
12a,14a : 나선부 12b : 면취부
14 : 체결 홈부 16 : 삽입홀
20 : 회전부재 100 : 안내장치
110 : 가변형 롤러 111 : 연결몸체
112 : 연결축 114 : 연결홈
116 : 회전구 120 : 설치수단
122 : 트레이 124 : 수직 고정브래킷
125 : 체결구 130 : 코너 연결부재
132 : 홈 134 : 축

Claims (14)

  1. 케이블 포설시 그 케이블을 당기고 밀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로서,
    상기 롤러는 중심에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케이블 포설에 따른 마찰 저항을 감속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에 체결을 위한 체결 축부, 상기 체결 축부의 반대 측 타측에 그 체결 축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결합되는 체결 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축부 및 체결 홈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각각의 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축부에는 면취 가공된 면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부가 형성된 연결부재에는 나사 결합시 고정 툴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엇,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니들 롤러 베어링 또는 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7. 케이블 포설시 그 케이블을 당기고 밀때 발생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로서,
    상기 안내장치는 설치 조건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길이로 가변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가변형 롤러; 및
    상기 가변형 롤러를 필요로 하는 형태로 설치하기 위한 설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롤러는 중심의 일단에 연결축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대응되는 타단에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연결몸체; 및 연결몸체의 외주면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트레이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평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직 고정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트레이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설치부재 상에 상기 가변형 롤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연결부재는 상기 가변형 롤러의 연결축 및 연결홈과 서로 대응되는 홈과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코너 연결부재로부터 착탈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가변형 롤러를 상,하의 수직방향과 좌,우의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한 코너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KR1020140004146A 2014-01-13 2014-01-13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KR102253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46A KR102253881B1 (ko) 2014-01-13 2014-01-13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146A KR102253881B1 (ko) 2014-01-13 2014-01-13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291A true KR20150084291A (ko) 2015-07-22
KR102253881B1 KR102253881B1 (ko) 2021-05-20

Family

ID=5387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146A KR102253881B1 (ko) 2014-01-13 2014-01-13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8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287Y1 (ko) 2004-06-07 2004-09-21 문종수 케이블 포설기
KR20100017400A (ko) * 2007-05-01 2010-02-16 라이트람, 엘엘씨 가로 방향- 롤러 벨트 및 모듈들
KR200455845Y1 (ko) 2009-11-06 2011-09-27 허광학 케이블 포설기
KR20120016318A (ko) * 2010-08-16 2012-02-24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조립체
KR101215501B1 (ko) 2011-01-18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287Y1 (ko) 2004-06-07 2004-09-21 문종수 케이블 포설기
KR20100017400A (ko) * 2007-05-01 2010-02-16 라이트람, 엘엘씨 가로 방향- 롤러 벨트 및 모듈들
KR200455845Y1 (ko) 2009-11-06 2011-09-27 허광학 케이블 포설기
KR20120016318A (ko) * 2010-08-16 2012-02-24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조립체
KR101215501B1 (ko) 2011-01-18 2012-12-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안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881B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GB2521837A (en) Connector
ES2539512T3 (es) Juego de montaje ulterior para una puerta corredera e instalación de puertas correderas
KR102005696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EP2641520A2 (en) Height adjustable support means
KR20220020186A (ko) 무타공식 벽걸이 tv 거치장치
US10605287B2 (en) Rapid mount wall anchoring system incorporating a power feed through connector assembly
KR20150084291A (ko) 모듈형 가변 조립식 롤러 및 그 롤러를 이용한 안내장치
KR20150001385U (ko) 트레이 거치용 롤러기구
KR101673674B1 (ko) 전선포설용 소형 볼형 견출장치
US6691985B1 (en) Electrical wire pulling apparatus
KR200483981Y1 (ko) 가변 휴대용 롤러
EP3409873A1 (en) Tension cord mounting for an architectural covering
US9337636B2 (en) Modular fastening system
EP2920378B1 (en) Selectively adjustable architectural wall
KR20150000297U (ko) 케이블 포설 작업용 가이드
CN216248092U (zh) 一种多安装方式的外置模块盒
KR101270448B1 (ko) 송배전 지중전선 지지고정판용 각도조절 받침대
KR101652667B1 (ko) 높이 가변형 크레인 케이블 가이드
JP2009044883A (ja) ボックス配設装置及び配線用ボックス
KR20160021694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이에 적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다리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어 박스
JPH087183Y2 (ja) 長尺物支持具
CN106761092A (zh) 一种b型可拆卸式铰链
US20230417060A1 (en) Louver canopy adopting a fastener-free quick-mounting structure
KR102113059B1 (ko) 설치가 손쉬우며 케이블 트레이의 추가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