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775A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775A
KR20150083775A KR1020140180059A KR20140180059A KR20150083775A KR 20150083775 A KR20150083775 A KR 20150083775A KR 1020140180059 A KR1020140180059 A KR 1020140180059A KR 20140180059 A KR20140180059 A KR 20140180059A KR 20150083775 A KR20150083775 A KR 20150083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tact
substrat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유키 오구라
나츠히로 미타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3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7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corresponding to a high-current use by using a low-resistance terminal, and comprising a terminal including a moving part capable of corresponding to a high-current use. A connector (1) comprises: a first terminal (9) and a second terminal (10) in the form of a flat plate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a balanced conductor (4)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ame substrate contact point (2b) of a substrate (2); and a housing (3) to hold the terminals (9, 10) in parallel in order that a terminal surfac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is placed in a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 Moreover, each terminal (9, 10) includes: a contact part (5) connected to each balanced conductor (4) to be conducted; spring parts (9c, 10c) wherein two terminal piece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branched and extended from the contact part (5)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substrate connection parts (9e, 10e) connected to a substrate contact point (2a) to be conducted in the end of each spring part (9c, 10c).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corresponding to a high-current by reducing a current value of each spring parts (9c, 10c).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재 기기 등의 접속에 이용되어 기판과 전자 부품을 도통 접속하는 대전류 용도에 알맞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suitable for large current applications in which a board and an electronic compone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차량의 전동화의 진전에 수반하여 차재 기기끼리를 도통 접속하는 커넥터에도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청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커넥터 끼워맞춤의 위치 어긋남이나 진동 대책으로서 가동부를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이에 따르면, 단자의 가동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진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대상물끼리의 도통 접속을 유지하여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connector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 connection between vehicle-mounted devices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electric vehicle driving. In particular, a connector provided with a terminal having a movable por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positional displacement and vibration of a connector fitting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vibration can be absorb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movable portion of the terminal,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nection reliability between the connection objects can be maintained and the connect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일본국 특개평2-10688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106882

그러나, 그와 같은 가동부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서는, 유연한 탄성변형을 실현하기 위해 가동부가 가는 폭의 금속편으로서 단자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며, 가는 폭으로 단면적이 작은 채로는 저항이 너무 높아져 근래의 대전류 용도에 대응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특히 차재 기기용으로 대전류 대응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에 흘리는 전류값이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한정된 커넥터의 크기나 단자수를 전제로 하여 단자의 단면적의 증가 등에 의해 가능한 한 단자를 저저항화하여, 점점 높아지는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커넥터 구조를 실현하는 것이 먼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더하여, 접속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단자의 가동부를 실현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However, in such a connector having such a movable portion, the movable portion is usually provided on the terminal as a metal piece having a small width in order to realize flexible elastic deformation, and when the sectional area is small with a small width, the resistance becomes too high,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this problem. Particularly, in a connector for a large-current device for a vehicle-mounted device, the value of a current passed through the connector gradually increases. For this reason, it is required to realize a connector structure capable of coping with high-current applications in which the terminals are made as low in resistance as possible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erminals on the premise of the limited connector size and number of terminal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realize a movable portion of a terminal to improve connection reliability.

이상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이 본 발명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를 저저항화하여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가동부를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coping with a large current application by reducing the resistance of the terminal.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including a terminal having a movable portion capable of handling a large current applic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즉, 일단을 접속 대상물이 되는 동일한 평형도체에 접속하고, 타단을 기판의 동일한 기판 접점에 접속하는 평판형상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제 1 및 제 2 단자를 평판형상의 단자면이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홀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는 각각 상기 평형도체와 도통 접속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분기하여 신장하는 복수개의 평판형상 단자편을 평행하게 배치한 신장부와, 각 신장부의 말단측에서 상기 기판 접점과 도통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를 구비하는 커넥터이다.That is, a flat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for connecting one end to the same balanced conductor as a connection object and connecting the other end to the same substrate contact point of the board, and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spectively have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lanced conductor and a plurality of flat plates exten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extending in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board connecting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ard contact at a distal end side of each of the extending por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이 제 1 및 제 2 단자를 평판형상의 단자면이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홀딩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사이즈를 일정하게 했을 경우, 평판형상의 단자면을 가로정렬로 배치하는 경우보다 단자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저저항화할 수 있어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using hold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parallel so that the terminal surface in a flat plate shape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when the size of the housing is made constant, The resistance of the terminal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erminal,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erminal surfaces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alignment.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를 동일한 평형도체와 동일한 기판 접점에 접속하기 때문에 평판형상의 단자의 단면적을 크게 하면서 도통 경로를 복수로 분기시킴으로써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same board contact with the same flat conductor,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large current application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at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는 접촉부로부터 분기하여 신장하는 신장부를 각각 갖기 때문에 1개의 평형도체에 대해 적어도 4개의 신장부로 분류(分流)시킬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평형도체를 1개의 신장부에서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대전류를 흘림으로써 단자에 생기는 발열을 억제할 수 있어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each have the extending portions branched and extending from the contact portions, they can be divided (branched) into at least four extending portions for one balanced conductor.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e flat conductive body is connected by one elongated portion, heat generated in the terminal can be suppressed by flowing a large curr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pe with the use of a large current.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신장부는 접촉부로부터 분기하여 신장하는 평판 단자편을 평행하게 배치한 구조이므로, 제 1 및 제 2 단자의 단자 배치를 평행 배치에 의해 판두께 방향에서 콤팩트하게 하여 커넥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신장부가 평판 단자편이기 때문에 단자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저저항화할 수 있어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xtending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tructured such that the flat plate terminal pieces branching and extending from the contact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the terminal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entire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because the elongated portion is a flat plate terminal piec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erminal can be increased to reduce the resistance, which can cope with a large current application.

상기 본 발명은 제 1 단자의 분기하는 신장부의 사이에 제 2 단자의 신장부를 배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the extending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between the extending portions to which the first terminals are branched.

이에 따르면, 신장부에 있어서의 단자 배치를 판두께 방향에서 콤팩트하게 하여 커넥터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terminal arrangement in the extending portion can be made compact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nd the entire connector can be downsized.

상기 본 발명은 하우징이 상기 세로방향을 따르는 상기 평형도체의 삽입구를 가지고 있고, 제 1 단자의 접촉부와 제 2 단자의 접촉부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상하에 배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as the insertion port of the flat conductive bod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에 따르면, 제 1 단자의 접촉부와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평형도체의 세로가 긴 삽입구를 따라 세로정렬이 되므로 접촉부의 평판형상의 단자면을 기판과 평행하게 가로정렬로 배치하는 경우보다 단자의 단면적을 크게 하여 저저항화할 수 있어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re vertically aligned along the longitudinally long insertion port of the flat conductor, the cross-sectional area The resistance can be lowered and it can cope with a large current application.

상기 본 발명은 하우징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제 1 단자의 접촉부 또는 제 2 단자의 접촉부의 어느 쪽인가로 통하는 연통(連通)구멍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have a communicating hole communicating with at least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or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side the housing.

이에 따르면, 평형도체와 접촉하는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연통구멍을 통해 방열할 수 있어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하우징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heat generated in the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lat conductive body can be dissip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ereby realizing a housing structure capable of coping with high current applications.

상기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단자의 신장부가 직선부와 굴곡부를 조합한 가동편부를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s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may have a movable piece portion in which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are combined.

이에 따르면, 신장부를 가동편부로 하는 플로팅 기구를 갖는 커넥터 단자를 실현할 수 있어, 커넥터 끼워맞춤의 위치 어긋남이나 사용시의 진동에 의한 납땜부에의 부하를 완화할 수 있다. 그 가동편부는 직선부와 굴곡부를 조합해 구성되므로 스프링 길이가 있는 저스프링계수로 유연성이 높은 단자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nnector terminal having a floating mechanism with the extending portion serving as a movable piece, so that the load on the soldering portion due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nector fitting and the vibration during use can be reduced. Since the movable piece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a highly flexible terminal structure can be realized with a low spring coefficient having a spring length.

상기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복수개의 아암형상의 접점부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e a plurality of arm-shaped contact portions.

접촉부에서의 접점수를 복수로 함으로써 1 접점부당 전류값을 작게 하여 접촉부에서의 발열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대전류 용도에 대응하는 접점 구조로 할 수 있다.Since the number of contacts in the contact portion is made plural, the current value per one contact portion can be reduced to suppress the heat generation at the contact portion, so that the contact structure can be used for a large current application.

상기 본 발명은 하우징이, 상기 세로방향에서 기판의 두께와 겹쳐서 설치한 상태로 기판 표면과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has an engagement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substrat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overlapped with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따르면, 기판으로부터의 커넥터의 돌출 높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기판을 설치하는 기기 내부에서의 공간절약의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의 판끝에 부착함으로써 에지 커넥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평형도체의 끼워맞춤 방향을 기판의 기판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함으로써 수평 접속이 가능한 에지 커넥터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connector from the substrate can be suppress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request for space saving inside the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substrate. In this case, the edge connector can be made by attaching it to the plate edge of the board. In this case, the edge connector can be horizontally connected by making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flat conductive body in the direction along the board surface of the board.

상기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단자가 하우징에 대한 고정편부를 가지고 있고,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단자의 각 고정편부가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제 1 및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고정되는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으며, 가동 하우징은 고정 하우징에 대해 제 1 및 제 2 단자의 신장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대 변위가 가능한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e a fixing piece portion for the housing, the housing has a fixing housing in which the fixing piec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fixed, And the movable housing can be configured such that relative displacement is possible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extens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이에 따르면, 대전류 용도에 대응하면서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nnector having a floating function while coping with a large current use.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단자의 저저항화를 실현하여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대전류 대응의 가동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저저항이며 저스프링계수의 단자에 의한 가동 기구를 공간절약으로 구비하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차재 기기 등의 대전류 대응의 요청이 높은 용도에서, 접속 신뢰성, 접속 안전성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nnector capable of realizing reduction in resistance of a terminal and coping with use in a large current. In addition, a movable connector supporting a large current can be real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connector having a low-resistance, movable mechanism with a terminal of a low spring coefficient, in a space-saving manner. Therefore, a connector having high connection reliability and high connection reliability can be realized in applications where high-current-demanding applications such as vehicle-mounted devices are demanded.

도 1은 일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배면, 좌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6은 도 1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3의 SA-SA선 단면도.
도 9는 도 3의 SB-SB선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SC-SC선 단면도.
도 11은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배면, 좌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정면도.
도 14는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배면도.
도 15는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평면도.
도 16은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저면도.
도 17은 도 1의 하우징 본체의 우측면도.
도 18은 도 1의 리테이너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의 리테이너의 배면, 좌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의 리테이너의 정면도.
도 21은 도 1의 리테이너의 배면도.
도 22는 도 1의 리테이너의 우측면도.
도 23은 도 1의 리테이너의 평면도.
도 24는 도 1의 리테이너의 저면도.
도 25는 도 1의 제 1 단자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도 1의 제 1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도(a)는 정면도, 분도(b)는 배면도.
도 27은 도 1의 제 1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도(a)는 평면도, 분도(b)는 저면도.
도 28은 도 1의 제 1 단자의 우측면도.
도 29는 도 1의 제 2 단자의 정면, 우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0은 도 1의 제 2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도(a)는 정면도, 분도(b)는 배면도.
도 31은 도 1의 제 2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도(a)는 평면도, 분도(b)는 저면도.
도 32는 도 1의 제 2 단자의 우측면도.
도 33은 도 1의 하우징을 생략하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 우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4는 도 1의 하우징을 생략하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 좌측면, 평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5는 도 1의 하우징을 생략하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도(a)는 정면도, 분도(b)는 배면도.
도 36은 도 1의 하우징을 생략하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분도(a)는 평면도, 분도(b)는 저면도.
도 37은 도 1의 하우징을 생략하고 제 1 단자와 제 2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38은 도 1의 커넥터의 실장 과정을 평면시(平面視)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39는 도 1의 커넥터의 접속 과정을 정면, 우측면, 평면으로부터의 사시로 나타내는 설명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a lef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the connector of Fig. 1;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1;
Fig. 4 is a rear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connector of Figure 1;
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connector of Fig. 1;
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SA-SA in Fig. 3;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SB-SB in Fig.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SC-SC line in Fig. 3;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plane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Fig.
13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Fig. 14 is a rear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Fig.
15 is a plan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16 is a bottom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Fig. 17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ousing main body of Fig. 1; Fig.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the retainer of Fig. 1; Fig.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 surface, a lef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the retainer of FIG. 1; FIG.
Figure 20 is a front view of the retainer of Figure 1;
Fig. 21 is a rear view of the retainer of Fig. 1; Fig.
2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retainer of Fig.
Figure 23 is a plan view of the retainer of Figure 1;
24 is a bottom view of the retainer of Fig.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the first terminal of Fig. 1; Fig.
FIG. 26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erminal of FIG. 1, wherei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rear view.
FIG. 27 is a view showing the first terminal of FIG. 1, wherein FIG. 27 (a) is a plan view and FIG. 27 (b) is a bottom view.
2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first terminal of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a plane of the second terminal of Fig. 1; Fig.
Fig. 30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terminal of Fig. 1, wherein (a) is a front view, and (b) is a rear view.
Fig. 31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terminal of Fig. 1, with (a) a plan view and (b) a bottom view.
3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econd terminal of Fig.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a right side surface, and a plane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ithout the housing of Fig. 1; Fig.
FIG.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a left surface, and a plane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ithout the housing of FIG. 1; FIG.
FIG. 35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ithout the housing of FIG. 1, and FIG. 35 (a) is a front view and FIG. 35 (b) is a rear view.
FIG. 36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ithout the housing of FIG. 1, and FIG. 36 (a) is a plan view and FIG. 36 (b) is a bottom view.
Fig. 37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ithout the housing of Fig. 1; Fig.
Fig. 38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mounting process of the connector of Fig. 1 in a plan view (plan view). Fig.
Fig. 3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of Fig. 1 as a front view, a righ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from a plane;

이하, 본 발명의 커넥터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차재 기기에 구비하는 접속 대상물과 기판을 도통 접속하고, 플로팅 기능을 구비하는 커넥터(1)를 예로서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a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connector 1 having a floating functio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object provided on a vehicle-mounted device via a boar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또한,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에서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커넥터(1)의 긴 쪽을 따르는 폭방향을 X방향, 짧은 쪽을 따르는 전후방향을 Y방향, 기판면에 대해 수직인 커넥터의 높이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커넥터(1)의 평면측을 「상측」, 커넥터(1)의 저면측을 「하측」으로서 설명한다.1, the width direction along the long side of the connector 1 shown in Fig. 1 is referred to as X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hort side is referred to as Y directio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or perpendicular to the board surface The plane side of the connector 1 in the height direction Z is referred to as " upper side ", and the bottom side of the connector 1 is referred to as " lower side. &Quot;

실시형태〔도 1 ~ 도 39〕:  Embodiment [Figs. 1 to 39]

도 1~도 3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에지 커넥터로서, 기판(2)의 끝에 실장되는 하우징(3)과, 하우징(3)에 홀딩되어 전자 부품의 평형도체(4)에 접속하는 단자부(5)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형도체」의 예로서 버스 바를 나타낸다.As shown in Figs. 1 to 39, the connector 1 is an edge connector, which comprises a housing 3 mounted on the end of a substrate 2, a holder 3 held on the housing 3, and connected to a flat conductor 4 of an electronic component And a terminal part In this embodiment, a bus bar is shown as an example of a " balanced conductor ".

〔하우징〕〔housing〕

도 1~도 7, 도 11~도 2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절연성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설치되며, 높이 방향(Z)은 커넥터(1)의 폭방향(X) 및 전후방향(Y)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은 「가동 하우징」으로서의 하우징 본체(6)와, 「고정 하우징」으로서의 리테이너(7)를 구비한다. 그리고 리테이너(7)는 내측에 공간(8)을 가지고 있고, 이 공간(8) 내에 하우징 본체(6)를 수용한다.As shown in Figs. 1 to 7 and Figs. 11 to 24, the housing 3 is made of an insulating resin,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has a height direction Z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or 1 X and the fore and aft direction Y, respectively. The housing 3 has a housing main body 6 as a " movable housing " and a retainer 7 as a " fixed housing ". The retainer 7 has a space 8 inside and accommodates the housing main body 6 in the space 8.

〔하우징 본체〕[Housing body]

도 11~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6)는 평형도체(4)의 삽입구(6b)와, 수용구멍(6c)과, 연통구멍(6d)과, 걸림부(6e)와, 탈락 방지부(6f)를 갖는다.11 to 17, the housing main body 6 includes the insertion port 6b of the flat conductive body 4, the receiving hole 6c, the communication hole 6d, the engaging portion 6e, Prevention portion 6f.

삽입구(6b)는 기판(2)에 대해 수직인 하우징 본체(6)의 전면부(6a1)에 설치되며, 세로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 삽입구(6b)에는 전자 부품의 평형도체(4)를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구(6b)를 3개 설치하고, 각 삽입구(6b)에는 평형도체(4)를 1개씩 삽입할 수 있다. 이 삽입구(6b)는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을 따르게 설치되며, 평형도체(4)의 바깥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형도체(4)는 기판(2)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판면을 유지한 상태로 기판(2)의 면방향에 대해서 평행하도록 삽입구(6b)에 삽입된다.The insertion port 6b is installed in the front portion 6a1 of the housing main body 6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 and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n,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of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6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insertion ports 6b can be provided, and each of the balanced conductors 4 can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ports 6b. The insertion port 6b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1 and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6b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lane direction of the substrate 2 in a state in which the flat surface is hel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 [

수용구멍(6c)은 삽입구(6b)에 연통하여 형성되며, 단자부(5)를 수용한다. 그리고, 삽입구(6b)로부터 삽입된 평형도체(4)는 이 수용구멍(6c)에서 단자부(5)와 도통 접속한다. 또 수용구멍(6c)의 폭방향(X)에 있어서의 측방에는 칸막이 벽(6c1, 6c1)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구멍(6c)이 폭방향(X)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칸막이 벽(6c1)에 의해 수용구멍(6c)을 떼어놓을 수 있다. 또 각 칸막이 벽(6c1) 및 측면부(6a3)의 내벽에는 수용구멍(6c)의 내측을 향해 전후방향(Y)을 따르는 돌조부(6c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구멍(6c)에 수용되는 단자부(5)는 이 돌조부(6c2)에 의해 하우징 본체(6)에 고정할 수 있다.The receiving hole 6c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port 6b and accommodates the terminal portion 5. [ The flat conductive body 4 inserted from the insertion port 6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5 in the receiving hole 6c. Further, partition walls 6c1 and 6c1 are provided on th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accommodation hole 6c. When a plurality of receiving holes 6c are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X, the receiving hole 6c can b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6c1. A protruding portion 6c2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is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partition walls 6c1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6a3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iving hole 6c. The terminal portion 5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hole 6c can be fixed to the housing main body 6 by the protruding portion 6c2.

연통구멍(6d)은 상기 삽입구(6b)의 옆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통구멍(6d)은 하우징 본체(6)의 내부에서 일체가 되어, 하우징 본체(6)의 후방을 향해 관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연통구멍(6d)은 삽입구(6b)의 양 옆에 2쌍 형성되어 있다. 연통구멍(6d)은 전면부(6a1)의 위쪽 및 아래쪽에도 형성되어 있어, 총 16개의 연통구멍(6d)이 설치된다. 또, 하우징 본체(6)의 상면부(6a2)에는 돌출형상의 걸림부(6e)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면부(6a3, 6a3)에는 돌출형상의 탈락 방지부(6f, 6f)가 형성되어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6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nsertion port 6b.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6d are integral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main body 6 and penetrate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main body 6. [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communication holes 6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ort 6b. The communication holes 6d are also formed above and below the front portion 6a1, and a total of 16 communication holes 6d are provided. A projecting engaging portion 6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6a2 of the housing main body 6. [ The protrusions 6f and 6f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6a3 and 6a3.

〔리테이너〕[Retainer]

도 18~도 2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7)는 삽통(揷通)구멍(7b)과, 수용 공간(7c)과, 걸림구멍(7d)과, 오목부(7e)와, 고정홈(7f)과, 기판 고정부(7g)를 갖는다. As shown in Figs. 18 to 24, the retainer 7 has a through hole 7b, a receiving space 7c, a retaining hole 7d, a recess 7e, 7f, and a substrate fixing portion 7g.

삽통구멍(7b)은 전후방향(Y)에 있어서 후부에 설치되며, 커넥터(1)를 조립할 때에 단자부(5)를 삽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고, 각 삽통구멍(7b)에는 단자부(5)가 1개씩 삽입되어 있다.The insertion hole 7b is provided at the rear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and the terminal portion 5 can be inserted when the connector 1 is assembl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are formed, and one terminal portion 5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holes 7b.

수용 공간(7c)은 리테이너(7)가 하우징 본체(6)에 고정된 상태로,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과 연속하여 형성된다. 이 수용 공간(7c)은 격벽(7c1)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수용 공간(7c)에는 단자부(5)가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 공간(7c)이 3개 형성되고, 각 수용 공간(7c)에는 단자부(5)가 1개씩 삽입된다.The accommodation space 7c is formed continuously with the accommodation hole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with the retainer 7 fixed to the housing main body 6. [ The accommodating space 7c is divided by a partition 7c1, and the terminal portions 5 ar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s 7c.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accommodating spaces 7c are formed, and one terminal portion 5 is inserted into each accommodating space 7c.

걸림구멍(7d)은 리테이너(7)의 상부에 형성되며, 가장자리부에서 가동 하우징(3)의 걸림부(6e)를 걸 수 있다.The retaining hole 7d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er 7 and the retaining portion 6e of the movable housing 3 can be hooked from the edge portion.

오목부(7e)는 리테이너(7)의 측면으로서, 전후방향(Y)에 있어서 전측(前側) 에 설치된다. 이 오목부(7e)는 리테이너(7)의 공간(8)에 하우징 본체(6)를 수용할 때에 상기 탈락 방지부(6f)를 받을 수 있다.The recessed portion 7e is a side surface of the retainer 7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As shown in Fig. The concave portion 7e can receive the dropout prevention portion 6f when receiving the housing main body 6 in the space 8 of the retainer 7.

고정홈(7f)은 리테이너(7)의 전후방향(Y)에 있어서 후방에 설치되며, 단자부(5)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7f is provided behind the retainer 7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and the terminal portion 5 can be fixed.

기판 고정부(7g)는 리테이너(7)의 측면부(7a1, 7a1)에 전후방향(Y)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기판 고정부(7g)는 측면부(7a1, 7a1)로부터 커넥터(1)의 폭방향(X)의 양방향을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The substrate fixing portion 7g is provided on the side portions 7a1 and 7a1 of the retainer 7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7g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ide portions 7a1 and 7a1 toward both directions of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connector 1. [

〔단자부〕[Terminal portion]

도 8~도 10, 도 25~3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5)는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는 각각 평판형상의 금속판을 부분적으로 절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는 각각이 일단측에서 동일한 평형도체(4)에 접속하고, 타단측에서 기판(2)의 동일한 기판 접점(2b)에 도통 접속한다.As shown in Figs. 8 to 10 and Figs. 25 to 37, the terminal portion 5 is provided with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formed by partially bending a plate-shaped metal plate.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connected to the same flat conductor 4 at one en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ame substrate contact 2b of the substrate 2 at the other end.

〔제 1 단자〕[First terminal]

도 25~도 2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9)는 접촉부(9a)와, 기부(9b)와, 스프링부(9c)와, 고정편부(9d)와, 기판 접속부(9e)를 구비한다.25 to 28, the first terminal 9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9a, a base portion 9b, a spring portion 9c, a fixed piece portion 9d, and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9e do.

접촉부(9a)는 전후방향(Y)을 따라 설치되며, 평형도체(4)와 도통 접속하는 접점 아암(9a1, 9a2)을 갖는다. 접점 아암(9a1, 9a2)은 각각 서로 대향하여 1쌍씩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접점 아암(9a1, 9a2)은 서로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또, 접점 아암(9a1, 9a2)은 기부(9b)로부터 외팔보형상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기부(9b)측에서부터 자유단측에 걸쳐 대향하는 접점 아암(9a1, 9a2)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contact portion 9a is provid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and has contact arms 9a1 and 9a2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 The pair of contact arms 9a1 and 9a2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These contact arms 9a1 and 9a2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extend from the base 9b in a cantilevered manner and are inclined to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facing each other from the base 9b side to the free end side do.

접점 아암(9a1, 9a2)의 자유단측에는 굴곡부(9a3, 9a3)가 설치되고, 이 굴곡부(9a3)를 경계로 대향하는 접점 아암(9a2, 9a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진다. 또, 접점 아암(9a1, 9a2)에 있어서, 높이 방향(Z)에서의 상측의 1쌍의 접점 아암(9a1)의 굴곡부(9a3)는 1쌍의 접점 아암(9a2)의 굴곡부(9a3)보다 전후방향(Y)에 있어서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단자(9)의 접촉부(9a)는 주로 이 굴곡부(9a3)에서 평형도체(4)와 도통 접속한다.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9a3)끼리의 틈새는 평형도체(4)의 판두께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6b)로부터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에 삽입된 평형도체(4)는 우선 접점 아암(9a1)에 접촉하고, 이어서 접점 아암(9a2)에 접촉한다. 그 때, 대향하는 접점 아암(9a1, 9a2)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틈새를 확장하면서 수용구멍(6c) 내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용구멍(6c)에 삽입된 평형도체(4)는 접점 아암(9a1, 9a2)의 굴곡부(9a3)와 접촉하고, 제 1 단자(9)를 통하여 기판(2)과 도통 접속된다.Bent portions 9a3 and 9a3 are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s of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and are inclined toward directions away from the contact arms 9a2 and 9a1 which face the bent portion 9a3. The bent portions 9a3 of the pair of contact arms 9a1 on the upp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are positioned before and after the bent portions 9a3 of the pair of contact arms 9a2 And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in the Y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9a of the first terminal 9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mainly at the bent portion 9a3. The clearance between the bent portions 9a3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 The flat conductor 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from the insertion port 6b first contacts the contact arm 9a1 and then contacts the contact arm 9a2. At this time, the opposing contact arms 9a1 and 9a2 are elastically deformed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nd enter the receiving hole 6c while expanding the gap.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contacts the bending portion 9a3 of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and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2 through the first terminal 9. [

기부(9b)는 접점 아암(9a1, 9a2)의 기단부(9b1)와 연결부(9b2)를 갖는다. 기단부(9b1)는 접촉부(9a)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또 기단부(9b1)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걸림부(9b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9b2)는 기단부(9b1)의 상단측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기단부(9b1)끼리를 연결한다.The base portion 9b has a proximal portion 9b1 and a connecting portion 9b2 of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The proximal portion 9b1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contact portion 9a. And a latching portion 9b3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proximal portion 9b1. The connecting portion 9b2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base end portion 9b1 and connects the base end portions 9b1 facing each other.

스프링부(9c)는 외향 굴곡부(9c1)와, 되접어 꺾음부(9c2)와, 가동부(9c3)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부(9c)는 각 기단부(9b1, 9b1)로부터 1개씩 신장한다. The spring portion 9c has an outwardly curved portion 9c1, a folded back portion 9c2, and a movable portion 9c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ring portions 9c are extended one by one from the base ends 9b1 and 9b1.

외향 굴곡부(9c1)는 기부(9b)의 기단부(9b1)에 있어서 전후방향(Y)의 후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신장하고,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 커넥터(1)의 폭방향(X)에서의 외측을 향해 굴곡하여 형성된다.The outward bent portion 9c1 extends from the rear end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Y to the rear end in the base end portion 9b1 of the base portion 9b and extends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connector 1, As shown in Fig.

되접어 꺾음부(9c2)는 외향 굴곡부(9c1)의 후단측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우선 외향 굴곡부(9c1)의 옆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에서의 아래방향으로 내려가며, 이어서 전방으로 되돌아오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olding back portion 9c2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rear end side of the outwardly curving portion 9c1 and first extends rearward from the side of the outwardly curving portion 9c1 and extends downwar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1 And then comes back to the front.

가동부(9c3)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경사부(9c4)와, 굴곡부(9c5)와, 직선부(9c6)와, 후단부(9c7)를 갖는다.The movable portion 9c3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has an inclined portion 9c4, a bent portion 9c5, a straight portion 9c6, and a rear end portion 9c7.

가동부(9c3)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는 축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단자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9c3)에 있어서의 저저항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가동부(9c3)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스프링 길이를 길게 설치하는 만큼 가동부(9c3)가 유연해져, 판두께 방향을 향해 탄성변형하기 쉬워진다. 이 가동부(9c3)는 제 1 단자(9)가 하우징(3)에 홀딩될 때 리테이너(7)의 수용 공간(7c)에 수용된다. 그러나, 커넥터(1)를 소형화하는 만큼 리테이너(7)의 수용 공간(7c)이 좁아지기 때문에, 스프링 길이를 길게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Since the movable portion 9c3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sectional area of the terminal can be made larger than,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movable portion 9c3 is formed into a thin shaft shape. Therefore, the resistance in the movable portion 9c3 can be reduced. Further, since the movable portion 9c3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the movable portion 9c3 is made flexible by providing a long spring length, and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towar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The movable portion 9c3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7c of the retainer 7 when the first terminal 9 is held in the housing 3. [ However, since the accommodating space 7c of the retainer 7 is narrowed as the connector 1 is miniaturize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long spring length.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부(9c3)가 대략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9c4)와 직선부(9c6)를 갖는 것으로 하고, 이들을 굴곡부(9c5)로 연결시켰다. 경사부(9c4)는 수용 공간(7c)의 전단측의 하단측에서부터 후단측의 하단측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직선부(9c6)는 수용 공간(7c)의 후단측의 하단측에서부터 후단측의 상단측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용 공간(7c)을 최대한 이용하여 스프링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어, 저스프링계수로 판두께 방향에 의해 변형하기 쉬운 가동부(9c3)로 할 수 있다.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able portion 9c3 has the inclined portion 9c4 and the straight portion 9c6, which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linear shape,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bent portion 9c5. The inclined portion 9c4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rear end side. The straight line portion 9c6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rear end side. By doing so, the accommodating space 7c can be used as much as possible to provide a long spring length, and the movable portion 9c3 can be made easily deformable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with a low spring coefficient.

또, 스프링부(9c)가 전술의 외향 굴곡부(9c1)를 가짐으로써, 대향하는 스프링부(9c, 9c) 및 기판 접속부(9e, 9e)의 간격은 대향하는 기단부(9b1)의 간격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opposing spring portions 9c and 9c and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9e and 9e is set to be wider than the spacing of the opposing base end portions 9b1 by the spring portion 9c having the aforementioned outwardly curved portion 9c1 .

고정편부(9d)는 후단부(9c7)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후단부(9c7)의 상단부로부터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에 있어서 윗방향을 향해 신장한 후, 전후방향(Y)에 있어서 앞방향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편부(9d)의 하측 가장자리부에는 걸림돌기(9d1)가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piece portion 9d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rear end portion 9c7. The connector 1 is exten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end portion 9c7 toward the upp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1 and then extended and projected for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 A locking projection 9d1 is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fixed piece 9d.

기판 접속부(9e)는 후단부(9c7)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전후방향(Y)을 따라 신장하여 설치된다. 또, 기판 접속부(9e)는 고정 돌출부(9e1)를 갖는다. 고정 돌출부(9e1)는 기판 접속부(9e)의 후단측의 하부에 설치되며, 납땜에 의해 기판 접점(2b)과 접속한다.The board connecting portion 9e extends rear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end portion 9c7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9e has a fixed projection 9e1. The fixed projection 9e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9e and is connected to the board contact 2b by soldering.

〔제 2 단자〕[Second terminal]

도 29~도 3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10)는 접촉부(10a)와, 기부(10b)와, 스프링부(10c)와, 고정편부(10d)와, 기판 접속부(10e)를 구비한다. 제 2 단자(10)는 제 1 단자(9)와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이 대략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또 전후방향(Y)의 길이도 대략 같은 정도로 형성된다.29 to 32, the second terminal 10 includes a contact portion 10a, a base portion 10b, a spring portion 10c, a fixed piece portion 10d, and a substrate connection portion 10e do. The second terminal 10 is formed at a height approximately equal to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connector 1. [ And the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is also form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접촉부(10a)는 전후방향(Y)을 따라 설치되며, 평형도체(4)와 도통 접속하는 접점 아암(10a1, 10a2)을 갖는다. 접점 아암(10a1)은 서로 대향하여 1쌍씩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접점 아암(10a1, 10a2)은 각각이 서로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된다. 또, 접점 아암(10a1, 10a2)은 기부(10b)로부터 외팔보형상으로 신장하여 설치되고, 기부(10b)에서부터 자유단측에 걸쳐 대향하는 접점 아암(10a1, 10a2)에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contact portion 10a is provided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and has contact arms 10a1 and 10a2 connected electrically to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 The pair of contact arms 10a1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length.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extend from the base 10b in a cantilevered manner and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facing each other from the base 10b to the free end side .

접점 아암(10a1, 10a2)의 자유단측에는 굴곡부(10a3)가 설치되고, 이 굴곡부(10a3)를 경계로 대향하는 접점 아암(10a1, 10a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경사진다. 또, 접점 아암(10a1, 10a2)에 있어서, 높이 방향(Z)에서의 하측의 1쌍의 접점 아암(10a1)의 굴곡부(10a3)는, 다른 쪽 1쌍의 접점 아암(10a2)의 굴곡부(10a3)보다 전후방향(Y)에 있어서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10)의 접촉부(10a)는 주로 이 굴곡부(10a3)에서 평형도체(4)와 도통 접속한다. 서로 대향하는 굴곡부(10a3)끼리의 틈새는 평형도체(4)의 판두께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6b)로부터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에 삽입된 평형도체(4)는, 우선 접점 아암(10a1)에 접촉하고, 이어서 접점 아암(10a2)에 접촉한다. 그 때, 대향하는 접점 아암(10a1)을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상기 틈새를 확장하면서 수용구멍(6c) 내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용구멍(6c)에 삽입된 평형도체(4)는 접점 아암(10a1)의 굴곡부(10a3)와 접촉하고, 제 2 단자(10)를 통하여 기판(2)과 도통 접속된다.A bent portion 10a3 is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and inclined toward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facing the bent portion 10a3. The bent portions 10a3 of the pair of contact arms 10a1 on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are connected to the bent portions 10a3 of the other pair of contact arms 10a2 In the front-rear direction Y. The contact portion 10a of the second terminal 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mainly at the bent portion 10a3. The gap between the bent portions 10a3 facing each other is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from the insertion port 6b first contacts the contact arm 10a1 and then contacts the contact arm 10a2. At this time, the opposing contact arms 10a1 elastically deform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nd enter the receiving hole 6c while expanding the gap. The flat conductive body 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in this manner is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 10a3 of the contact arm 10a1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2 through the second terminal 1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단자(10)의 접촉부(10a)는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를 병렬 배치했을 때에, 제 1 단자(9)의 접촉부(9a)보다 높이 방향(Z)에 있어서 하측 위치에 설치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10a of the second terminal 10 has a contact portion 9a of the first terminal 9 when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is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

기부(10b)는 접점 아암(10a1, 10a2)의 기단부(10b1)와 연결부(10b2)를 갖는다. 기단부(10b1)는 접촉부(10a)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또 기단부(10b1)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걸림부(10b3)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0b2)는 기단부(10b1)의 하단측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서로 대향하는 기단부(10b1)끼리를 연결한다.The base portion 10b has a proximal portion 10b1 and a connecting portion 10b2 of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The proximal portion 10b1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contact portion 10a. And a latching portion 10b3 is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base end 10b1. The connecting portion 10b2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lower end side of the base end 10b1 and connects the base end portions 10b1 facing each other.

스프링부(10c)는 내향 굴곡부(10c1)와 가동부(10c3)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프링부(10c)는 각 기단부(10b1, 10b1)로부터 1개씩 신장한다. The spring portion 10c has an inwardly bent portion 10c1 and a movable portion 10c3.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ring portion 10c is extended one by one from the proximal portions 10b1 and 10b1.

내향 굴곡부(10c1)는 기부(10b)의 기단부(10b1)에 있어서 전후방향(Y)의 후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신장하고,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 폭방향(X)의 내측을 향해 굴곡하여 형성된다.The inward bending portion 10c1 extends from the rear end side of the base end portion 10b1 of the base portion 10b toward the rear s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and is bent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X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

가동부(10c3)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직선부(10c4)와, 굴곡부(10c5)와, 경사부(10c6)와, 굴곡부(10c7)와, 직선부(10c8)를 갖는다.The movable portion 10c3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has a straight portion 10c4, a bent portion 10c5, an inclined portion 10c6, a bent portion 10c7, and a straight portion 10c8.

직선부(10c4)와, 경사부 (10c6)와, 직선부(10c8)는 모두 직선상(直線上)으로 이루어지며, 굴곡부(10c5, 10c7)로 연결되어 있다. 직선부(10c4)는 수용 공간(7c)의 전단측에서 기단부(10b1)와 연속하고, 거기서부터 수용 공간(7c)의 후단측에 걸쳐 형성된다. 또, 경사부(10c6)는 수용 공간(7c)의 후단측의 하단측 위치에서부터 수용 공간(7c)의 전단측의 상단측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직선부(10c8)는 수용 공간(7c)의 전단측에서부터 후단측에 걸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단자(9)의 가동부(9c3)와 마찬가지로 수용 공간(7c)을 최대한 이용하여 스프링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어, 저스프링계수로 판두께 방향으로 탄성변형 하기 쉬운 가동부(10c3)로 할 수 있다.The rectilinear section 10c4, the inclined section 10c6 and the rectilinear section 10c8 are both linearly connected and connected by the bent sections 10c5 and 10c7. The rectilinear section 10c4 is continuous from the base end 10b1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and is formed therefrom across the rea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The inclined portion 10c6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rea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front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The straight portion 10c8 is formed from the front end side to the rea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7c.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the spring length as long as possible by using the accommodation space 7c as much as possible and to provide the movable portion 10c3 which is easily deformed elastically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by the low spring coefficient, like the movable portion 9c3 of the first terminal 9. [ .

제 2 단자(10)의 가동부(10c3)에 있어서도, 제 1 단자(9)의 가동부(9c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평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가는 축형상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단자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동부(10c3)에 있어서의 저저항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스프링부(10c)가 전술의 내향 굴곡부(10c1)를 가짐으로써, 대향하는 스프링부(10c, 10c) 및 기판 접속부(10e, 10e)의 간격은 각각 기부(10b)의 기단부(10b1, 10b1)의 간격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The movable portion 10c3 of the second terminal 10 is also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s in the case of the movable portion 9c3 of the first terminal 9. Therefore, for example, since the sectional area of the terminal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in the case of a thin shaft, the resistance in the movable portion 10c3 can be reduced. The spacing between the opposing spring portions 10c and 10c and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10e and 10e is set such that the proximal end portions 10b1 and 10b1 of the base portion 10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pring portion 10c having the inward bent portion 10c1, ).

고정편부(10d)는 직선부(10c8)의 상단부에 연속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에 있어서 윗방향으로 신장한 후, 전후방향(Y)에 있어서 앞방향으로 연장 돌출하여 형성된다. 또, 고정편부(10d)는 기판 접속부(10e)의 상단으로부터 폭방향(X)에 있어서 외측을 향해 만곡하여 형성된다. 이 고정편부(10d)의 폭방향(X)에 있어서 외측의 가장자리부에는 걸림돌기(10d1)가 형성되어 있다.The fixed piece portion 10d is provided continuously to the upper end of the straight portion 10c8. The connector 1 is formed so as to extend in the upward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1 and then to exten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 The fixed piece portion 10d is formed curv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X from the upper end of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0e. A locking projection 10d1 is formed at the outer edge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X of the fixed piece portion 10d.

기판 접속부(10e)는 스프링부(10c)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전후방향(Y)을 따라 신장하여 설치된다. 또, 기판 접속부(10e)는 고정 돌출부(10e1)를 갖는다. 고정 돌출부(10e1)는 기판 접속부(10e)의 후단측의 하부에 설치되며, 납땜에 의해 기판 접점(2b)과 접속한다.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0e extends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from the rear end of the spring portion 10c toward the rear.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0e has a fixed projection 10e1. The fixed projecting portion 10e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side of the board connecting portion 10e and is connected to the board contact 2b by soldering.

〔단자부의 하우징에의 장착 방법의 설명〕[Description of the mounting method of the terminal portion to the housing]

다음으로, 단자부(5)의 하우징(3)에의 장착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리테이너(7)의 공간(8)에 하우징 본체(6)를 수용하고, 하우징 본체(6)의 걸림부(6e)를 리테이너(7)의 걸림구멍(7d)에 건다. 그 때, 하우징 본체(6)의 탈락 방지부(6f)를 리테이너(7)의 오목부(7e)에 들어가게 한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7)가 하우징 본체(6)에 고정되고, 리테이너(7)의 내부에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과 통하는 수용 공간(7c)이 형성된다.Next, a method of mounting the terminal portion 5 to the housing 3 will be described. The housing main body 6 is received in the space 8 of the retainer 7 and the engaging portion 6e of the housing main body 6 is attached to the retaining hole 7d of the retainer 7. [ At this time, the fall-off preventing portion 6f of the housing main body 6 is inserted into the recess 7e of the retainer 7. [ The retainer 7 is fixed to the housing main body 6 and a receiving space 7c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hole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is formed in the retainer 7. [

이어서 리테이너(7)의 삽통구멍(7b)으로부터 제 1 단자(9)를 수용 공간(7c)에 삽입하고, 또한 전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제 1 단자(9)의 접촉부(9a)가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 내로 삽입된다. 그 때 접촉부(9a)는 하우징 본체(6)의 돌조부(6c2)보다 상측 부분에 삽입한다. 기부(9b)의 기단부(9b1)에 있어서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걸림부(9b3)를 돌조부(6c2)의 상측 가장자리에 물리게 함으로써, 제 1 단자(9)의 기부(9b)를 하우징 본체(6)에 고정할 수 있다. 또, 그 때 기판 접속부(9e)의 고정편부(9d)를 리테이너(7)의 고정홈(7f)에 압입한다. 고정편부(9d)에는 걸림돌기(9d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9d1)를 고정홈(7f)의 내벽에 물리게 함으로써, 제 1 단자(9)를 리테이너(7)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9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7c from the insertion hole 7b of the retainer 7 and then pushed into the front side so that the contact portion 9a of the first terminal 9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ain body 6 into the receiving hole 6c.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9a is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housing main body 6 above the protruding portion 6c2. The engaging portion 9b3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base portion 9b1 of the base 9b is abutted against the upper edge of the protrusion 6c2 so that the base portion 9b of the first terminal 9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6 ).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portion 9d of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9e is press-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7f of the retainer 7. The locking piece 9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9d1 and the locking protrusion 9d1 is fitt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groove 7f to fix the first terminal 9 to the retainer 7 have.

다음으로, 리테이너(7)의 삽통구멍(7b)으로부터 제 2 단자(10)를 수용 공간(7c)에 삽입하고, 또한 전측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제 2 단자(10)의 접촉부(10a)를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 내에 삽입한다. 그 때 접촉부(10a)는 하우징 본체(6)의 돌조부(6c2)보다 하측 부분에 삽입한다. 기부(10b)의 기단부(10b1)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걸림부(10b3)를 돌조부(6c2)의 하측 가장자리에 물리게 함으로써, 제 1 단자(9)의 기부(9b)를 하우징 본체(6)에 고정할 수 있다. 또, 그 때 기판 접속부(10e)의 고정편부(10d)를 리테이너(7)의 고정홈(7f)에 압입한다. Next, the second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7c from the insertion hole 7b of the retainer 7 and is pushed forwar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0a of the second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of the main body (6).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0a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6 below the protruding portion 6c2. The engaging portion 10b3 provided on the upper edge of the base 10b1 of the base 10b is abutted against the lower edge of the protrusion 6c2 so that the base 9b of the first terminal 9 is fitted to the housing body 6 ). At this time, the fixing piece portion 10d of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10e is press-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7f of the retainer 7.

고정편부(10d)에는 걸림돌기(9d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9d1)를 고정홈(7f)의 내벽에 물리게 함으로써, 제 2 단자(10)를 리테이너(7)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The locking piece 9d1 is provided on the fixed piece portion 10d and the locking projection 9d1 is fitt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groove 7f so that the second terminal 10 can be fixed to the retainer 7 have.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9)의 스프링부(9c)가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 폭방향(X)의 외측을 향해 만곡하는 외향 굴곡부(9c1)를 가지고 있고, 대향하는 스프링부(9c, 9c)의 간격과 기판 접속부(9e, 9e)의 간격이 각각 기부(9b)의 대향하는 기단부(9b1, 9b1)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 단자(10)의 스프링부(10c)는 전측에서부터 후측에 걸쳐 폭방향(X)에 있어서 내측을 향해 만곡하는 내향 굴곡부(10c1)를 가지고 있고, 대향하는 스프링부(10c, 10c)의 간격과 기판 접속부(10e, 10e)의 간격이 기부(9b)의 대향하는 기단부(9b1, 9b1)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pring portion 9c of the first terminal 9 has the outwardly curved portion 9c1 curved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X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nd the opposing spring portions 9c, 9c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9e, 9e ar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opposing base ends 9b1, 9b1 of the base portion 9b. On the other hand, the spring portion 10c of the second terminal 10 has an inward bent portion 10c1 bent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X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and the opposing spring portions 10c, And the spacing between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10e and 10e ar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opposed base ends 9b1 and 9b1 of the base portion 9b.

따라서, 제 2 단자(10)를 하우징(3)에 부착할 때에, 하우징(3)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단자(9)의 대향하는 스프링부(9c, 9c) 및 기판 접속부(9e, 9e)의 사이에 접촉부(10a)를 삽입 통과시켜 수용구멍(6c)에 삽입한다. 제 2 단자(10)가 하우징(3)에 고정된 상태로, 스프링부(10c, 10c)는 제 1 단자(9)의 대향하는 스프링부(9c, 9c)의 사이에 수용된다. 또, 마찬가지로 제 2 단자(10)의 기판 접속부(10e, 10e)는 제 1 단자(9)의 대향하는 기판 접속부(9e, 9e)의 사이에 수용된다.Therefore, when the second terminal 10 is attached to the housing 3, the opposing spring portions 9c, 9c and the board connecting portions 9e, 9e of the first terminal 9 fixed to the housing 3, The contact portion 10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The spring portions 10c and 10c are received between the opposing spring portions 9c and 9c of the first terminal 9 while the second terminal 10 is fixed to the housing 3. [ Similarly, the board connecting portions 10e and 10e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opposing board connecting portions 9e and 9e of the first terminal 9, respectively.

또,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를 하우징(3)에 부착한 상태로, 각 접촉부(9a, 10a)가 세로가 긴 삽입구(6b)를 따라 병렬한다.The contact portions 9a and 10a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ly long insertion port 6b in a state where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attached to the housing 3. [

〔사용 방법의 설명〕[Explanation of how to use]

우선, 커넥터(1)의 기판(2)에의 실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8, 3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는 기판(2)의 단부에 실장할 수 있다. 기판(2)의 단부에는 리테이너(7)의 측면부(7a1, 7a1) 및 후면부(7a2)의 외형을 따르는 노치(2a)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노치(2a)에 커넥터(1)를 리테이너(7)의 후면부(7a)로부터 삽입한다. 그 때, 기판 고정부(7g)와, 제 1 단자(9) 및 제 2 단자(10)의 기판 접속부(9e, 10e)를 기판(2)의 표면측에 배치한다. 기판 고정부(7g)는 보강 금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기판(2)에 대해 고정할 수 있다. 커넥터(1)를 기판(2)에 고정한 후, 제 1 단자(9) 및 제 2 단자(10)의 기판 접속부(9e, 10e)를 기판(2)에 납땜한다.First, a mounting method of the connector 1 on the board 2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38 and 39, the connector 1 can be mounted on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2. Fig. At the end of the substrate 2, notches 2a are formed along the outer shapes of the side portions 7a1, 7a1 and the rear portion 7a2 of the retainer 7, respectively. Then, the connector 1 is inserted into the notch 2a from the rear portion 7a of the retainer 7. The substrate fixing portions 7g and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9e and 10e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2. Then,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7g can be fixed to the substrate 2 using a reinforcing metal or an adhesive. The board connecting portions 9e and 10e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soldered to the board 2. After fixing the connector 1 to the board 2,

커넥터(1)를 기판(2)에 고정한 상태로, 하우징 본체(6)의 전면부(6a1)는 기판(2)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접촉부(9a, 10a)의 평판형상의 단자면을 기판(2)과 평행하게 가로정렬로 배치하면, 단자(9, 10)의 배열 방향을 따라 커넥터(1)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각 단자(9, 10)를 판폭방향으로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단자를 짧게 하면 단자의 단면적이 작아져 저항이 커져 버린다. 그래서, 하우징 본체(6)에 설치되어, 평형도체(4)를 삽입하는 세로가 긴 삽입구(6b)는 긴쪽 방향이 기판(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설치하고, 제 1 단자(9)의 접촉부(9a)와 제 2 단자(10)의 접촉부(10a)의 평판형상의 단자면을 삽입구(6b)를 따라 세로정렬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단자(9, 10)를 판폭방향에서는 크기를 바꾸지 않고 단면적을 크게하여 저저항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소형화하면서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6a1 of the housing main body 6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 with the connector 1 fixed to the substrate 2. [ For example, in order to miniaturize the connector 1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s 9 and 10, if the terminal surfaces of the contact portions 9a and 10a are arranged in parallel to the substrate 2 in parallel to the substrate 2, (9, 10) needs to be made shorter in the board width direction. However, if the terminal is shortened in this wa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erminal becomes small, and the resistance becomes large. The longitudinal insertion port 6b provided in the housing main body 6 for inserting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s provided so that its longitudinal direction is perpendicular to the board 2, The flat terminal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10a of the first terminal 9a and the second terminal 10 is vertically aligned along the insertion port 6b. In this way, the resistance of each of the terminals 9, 10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without changing the size in the width direction.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large-current use while reducing the size.

이 삽입구(6b)에는, 평형도체(4)를 판면이 기판(2)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삽입할 수 있다. 제 1 단자(9)의 상측의 접점 아암(9a1)에서의 굴곡부(9a3)와, 제 2 단자(10)의 하측의 접점 아암(10a1)에서의 굴곡부(10a3)는 커넥터(1)의 전후방향(Y)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제 1 단자(9)의 하측의 접점 아암(9a2)에서의 굴곡부(9a3)와, 제 2 단자(10)의 상측의 접점 아암(10a2)에서의 굴곡부(10a3)도 전후방향(Y)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들 접점 아암(9a2, 10a2)은 상기 접점 아암(9a1, 10a1)보다 후측에 배치된다. In this insertion port 6b,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can be inserted so that the plate surface is perpendicular to the substrate 2. The bending portion 9a3 of the contact arm 9a1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bending portion 10a3 of the contact arm 10a1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loc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In contrast, the bent portion 9a3 of the contact arm 9a2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bent portion 10a3 of the contact arm 10a2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also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 At the same position. However, these contact arms 9a2, 10a2 are arranged on the rear side of the contact arms 9a1, 10a1.

따라서, 평형도체(4)를 삽입구(6b)로부터 하우징 본체(6)에 삽입하면, 전측에 굴곡부(9a3, 10a3)를 갖는 접점 아암(9a1, 10a1)에 우선 접촉하고, 이어서 후측에 굴곡부(9a3, 10a3)를 갖는 접점 아암(9a2, 10a2)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굴곡부(9a3, 10a3)의 위치가 다른 접점 아암(9a1, 9a2, 10a1, 10a2)을 설치함으로써 평형도체(4)와 동시에 접촉하는 굴곡부(9a3, 10a3)를 줄여, 평형도체(4)가 상기 각 접점 아암을 변위시킬 때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작은 힘으로 평형도체(4)를 커넥터(1)에 접속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flat conductive body 4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main body 6 from the insertion port 6b, the contact arms 9a1 and 10a1 having the bent portions 9a3 and 10a3 are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ide, and then the bent portions 9a3 , 10a3, respectively, of the contact arms 9a2, 10a2. By providing the contact arms 9a1, 9a2, 10a1 and 10a2 with different positions of the bent portions 9a3 and 10a3 as described above, the bent portions 9a3 and 10a3, which contact the balanced conductor 4 at the same time, The resistance at the time of displacing the contact arms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or 1 with a smaller force.

평형도체(4)와 커넥터(1)가 도통 접속하면, 단자부(5)에서 발열한다. 이 발열량은 전류값이 상승하는 만큼 증가한다. 이 열은, 리테이너(7)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구멍(7d)과 연통구멍(6d)을 통하여 커넥터(1)의 외부로 방열된다.When the balanced conductor 4 and the connector 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terminal portion 5 generates heat. This calorific value increases as the current value rises. This heat dissipates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1 through the retaining hole 7d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er 7 and the communication hole 6d.

〔플로팅 구조의 설명〕[Description of Floating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이, 기부(9b, 10b)는 하우징 본체(6)에 고정되고, 기판 접속부(9e, 10e)는 리테이너(7)에 고정되는 동시에, 기판(2)에 납땜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리테이너(7)는 기판 고정부(7g)를 가지고 있고, 여기서 커넥터(1)를 보강 금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기판(2)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커넥터(1)는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에 각각 스프링부(9c, 10c)를 가지고 있다.The base portions 9b and 10b are fixed to the housing main body 6 and th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s 9e and 10e are fixed to the retainer 7 and are soldered to the substrate 2. [ On the other hand, the retainer 7 has the substrate fixing portion 7g, and the connector 1 can be fixed to the substrate 2 by using a reinforcing metal or an adhesive. The connector 1 has spring portions 9c and 10c at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respectively.

리테이너(7)에 하우징 본체(6)를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리테이너(7)의 측면부(7a1)와 하우징 본체(6)의 측면부(6a3)의 내벽 사이에는, 틈새(L)가 형성된다. 커넥터(1)나 기판(2)에 진동이 가해지면, 이 스프링부(9c, 10c)가 탄성변형한다. 그리고, 자유 상태의 제 1 단자(9), 제 2 단자(10)의 접촉부(9a, 10a)가 그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하고, 하우징 본체(6)를 리테이너(7)에 대해 상기 틈새(L) 분만큼 폭방향(X)을 향해 상대 변위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우징 본체(6)가 리테이너(7)에 대해 상대 변위해도, 하우징 본체(6)의 탈락 방지부(6f)가 리테이너(7)의 오목부(7e)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6)가 높이 방향(Z)으로 변위해도 리테이너(7)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 gap L is formed between the side surface portion 7a1 of the retainer 7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surface portion 6a3 of the housing main body 6 in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main body 6 is accommodated in the retainer 7. [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or 1 or the substrate 2, the spring portions 9c and 10c are elastically deformed. The contact portions 9a and 10a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in the free state are elastically deformed correspondingly and the housing main body 6 is elastically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clearance L with respect to the retainer 7. [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width direction X by a minute. Even if the housing main body 6 is relatively displaced relative to the retainer 7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all-off preventing portion 6f of the housing main body 6 is inserted into the recess 7e of the retainer 7, Even if the main body 6 is displaced in the height direction Z,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main body 6 from the retainer 7.

또, 삽입구(6b)로부터 삽입된 평형도체(4)는, 우선 선단부(4a)에서 굴곡부(9a3, 10a3)에 접촉하고, 또한 안쪽까지 삽입됨으로써 정규의 접촉 위치(4b)에서 접촉한다. 이 평형도체(4)의 선단부(4a)부터 정규의 접촉 위치(4b)까지의 전후방향(Y)에 있어서의 거리는 평형도체(4)의 가동대로서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2)이나 커넥터(1)에 진동이 가해지면, 평형도체(4)는 정규의 접촉 위치(4b)부터 선단부(4a)까지 중 어느 위치에서 굴곡부(9a3, 10a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로 전후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planar conductor 4 inserted from the insertion port 6b is firs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s 9a3 and 10a3 at the distal end portion 4a and then inserted into the inside at the normal contact position 4b. The distan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from the tip end 4a to the regular contact position 4b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s secured as a movable base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 Therefore, when vibration is applied to the substrate 2 or the connector 1, the balanced conductor 4 is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bent portions 9a3 and 10a3 at any position from the normal contact position 4b to the tip end portion 4a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Y).

또한, 삽입구(6b)의 높이 방향(Z)에서의 길이는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에서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6b)의 높이 방향(Z)에 있어서, 평형도체(4)의 높이 방향(Z)에서의 길이를 넘는 부분은 가동대로서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도체(4)는 삽입구(6b)에 삽입되어 단자부(5)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여도 높이 방향(Z)으로 변위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insertion port 6b in the height direction Z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1. [ A portion exceeding the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insertion port 6b is secured as a movable stand. Therefore,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can be displaced in the height direction Z even when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 6b and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portion 5. [

이에 따라, 진동이 발생해도 평형도체(4)는 커넥터(1)에 대해 폭방향(X), 전후방향(Y), 높이 방향(Z)으로 상대 변위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이 발생해도 기판(2)의 도통 접속을 유지하기 쉬운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Thus, even if vibration occurs,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can be relative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1 in the width direction X, the back and forth direction Y, and the height direction Z. [ Therefore, even if vibration is generated, the connector 1 can be made easy to maintain the conductive connection of the substrate 2. [

〔작용·효과의 설명〕[Description of Operation and Effect]

이미 설명한 것을 제외한 본 실시형태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embodiment other than those already described will be described.

도 33, 3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9)의 접촉부(9a)와 제 2 단자(10)의 접촉부(10a)는 상기 높이 방향(Z)을 따라 병렬 배치되어 있다.The contact portion 9a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contact portion 10a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as shown in Figs.

삽입구(6b)로부터 하우징 본체(6)의 수용구멍(6c)에 삽입된 평형도체(4)는 제 1 단자(9)의 2개의 접점 아암(9a1, 9a2)과, 제 2 단자(10)의 2개의 접점 아암(10a1, 10a2)에 대해 접촉한다. 그리고, 또한 평형도체(4)를 삽입구(6b)에 밀어넣음으로써, 평형도체(4)가 대향하는 접점 아암(9a1, 9a2)과 접점 아암(10a1, 10a2)의 틈새를 확장하여 굴곡부(9a3, 10a3)와 접촉한다. 이에 따라, 평형도체(4)가 단자부(5)를 통하여 기판(2)과 도통 접속한다. 복수의 접점 아암(9a1, 9a2, 10a1, 10a2)이 차례로 접촉하고, 최종적으로는 이들 복수의 접점 아암이 평형도체(4)와 접촉함으로써, 각 접점 아암의 전류값을 저하시켜 대전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점 아암을 복수 설치하지 않고 전류를 예를 들면 1개의 접점 아암에 집약하는 경우보다 접점 아암으로부터의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The flat conductor 4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from the insertion port 6b is connected to the two contact arms 9a1 and 9a2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two contact arms 9a1 and 9a2 of the second terminal 10, And contacts the two contact arms 10a1 and 10a2. 9A2 and the contact arms 10a1 and 10a2 are extended by pushing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nto the insertion port 6b so that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s bent to the bent portions 9a3, 10a3. Thus,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2 through the terminal portion 5. A plurality of contact arms 9a1, 9a2, 10a1 and 10a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and finally these contact arm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so that the current value of each contact arm can be lowered to correspond to a large current hav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from the contact arm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tact arms are provided and the current is concentrated on, for example, one contact arm.

또,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의 스프링부(9c, 10c)를 각각 기부(9b, 10b)로부터 분기시켜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계수를 저하시켜 탄성 변형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평형도체(4)로부터 단자부(5)로 흐르는 전류를 4개의 스프링부로 흘릴 수 있어, 각 스프링부(9c, 10c)를 흐르는 전류값을 저하시켜 대전류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를 예를 들면 1개의 스프링부에 집약하는 경우보다 스프링부로부터의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The spring portions 9c and 10c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are branched from the bases 9b and 10b,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spring coefficient can be lowered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In addition,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single flat conductor 4 to the terminal portion 5 can be flowed to the four spring portions, and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respective spring portions 9c, 10c can be reduced to correspond to the large current. Accordingly,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from the spring portion can be reduced, for exampl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urrent is concentrated on, for example, one spring portion.

또, 분기하고 있는 제 1 단자(9)의 스프링부(9c)의 내측에 제 2 단자(10)의 스프링부(10c)를 들어가게 함으로써 커넥터(1)를 폭방향(X)으로 소형화할 수 있다.The spring portion 10c of the second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spring portion 9c of the branching first terminal 9 so that the connector 1 can be downsized in the width direction X .

또한 하우징(3)이,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를 평판형상의 단자면이 기판(2)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홀딩함으로써, 평판형상의 단자면을 가로정렬로 배치하는 경우보다 각 커넥터(1)를 폭방향(X)으로 소형화하면서, 상기 각 단자(9, 10)의 단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자(9, 10)를 저저항화할 수 있다.The housing 3 holds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in parallel so that the terminal surface in a flat plate shape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2, It is possible to make the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terminals 9, 10 larger, while making each connector 1 smaller in the width direction X than in the case of arranging the terminal surface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fore, the terminals 9 and 10 can be made low resistance.

또 제 1 단자(9)의 스프링부(9c)와 제 2 단자(10)의 스프링부(10c)의 길이가 대략 같은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의 저항값을 같은 정도로 하여, 각 단자(9, 10)의 전류값을 대략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의 발열을 같은 정도로 억제하여, 어느 한쪽의 단자만이 다른쪽 단자보다 지나치게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spring portion 9c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pring portion 10c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formed to have approximately the same length. By doing so,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can be made equal to each other, and the current values of the terminals 9 and 10 can be made approximately equal. As a result, the heat gen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can be suppressed to the same degree,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nly one of the terminals from becoming excessively hotter than the other terminal.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자(9)의 접촉부(9a)는 수용구멍(6c)에 있어서의 돌조부(6c2)보다 상측에 삽입되고, 제 2 단자(10)의 접촉부(10a)는 수용구멍(6c)에 있어서의 돌조부(6c2)보다 하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각 접촉부(9a, 9a)는 커넥터(1)의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굴곡부(9a3, 10a3)도 상기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The contact portion 9a of the first terminal 9 is inserted above the protruding portion 6c2 of the receiving hole 6c and the contact portion 10a of the second terminal 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hole 6c2, Is inserted below the projecting portion 6c2 in the projecting portion 6c. Therefore, the respective contact portions 9a, 9a are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or 1. [ Accordingly, the respective bent portions 9a3 and 10a3 are also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

따라서 제 1 단자(9)와 제 2 단자(10)를 하우징(3)에 고정한 상태로, 제 1 단자(9)의 접점 아암(9a1, 9a2), 제 2 단자(10)의 접점 아암(10a1, 10a2)은 높이 방향(Z)을 따라 배치된다. The contact arms 9a1 and 9a2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contact arms 10a1 and 10b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fixed with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fixed to the housing 3, , 10a2 are arrang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단자(9)의 단자면과 제 2 단자(10)의 단자면을 예를 들면 기판(2)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폭방향(X)이 콤팩트한 커넥터(1)로 할 수 있다.By doing so,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erminal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terminal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10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bstrate 2, for example, the width direction X is smaller than the case of arranging the connector 1 ).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에 따르면, 단자부(5)의 저저항화를 실현하여 대전류 용도에 대응할 수 있는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대전류 대응이며, 플로팅 구조를 갖는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저저항이며 저스프링계수의 단자부(5)에 의한 플로팅 구조를 공간절약으로 구비하는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차재 기기 등의 대전류 대응의 요청이 높은 용도에서, 접속 신뢰성, 접속 안전성이 높은 커넥터(1)를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necto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sistance of the terminal portion 5 can be lowered, and the connector 1 that can cope with a large current application can be realiz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connector 1 having a floating structure and corresponding to a large current.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connector 1 hav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low resistance and a low spring coefficient by the terminal portion 5 in a space saving manner. Therefore, the connector 1 with high connection reliability and high connection reliability can be realized in applications requiring high current correspondence such as on-vehicle devices.

변형예 Variations :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에지 커넥터이며, 수평 끼워맞춤이 가능한 커넥터(1)를 나타냈다. 그러나, 기판(2)의 단(端) 이외의 위치에 실장하는 커넥터(1)로 할 수도 있다. 또, 수직 끼워맞춤이 가능한 커넥터(1)로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기판(2)에의 실장 구조의 자유도를 올릴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or 1 is an edge connector capable of horizontal fitting. However, it may be a connector 1 that is mount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end of the substrate 2. In addition, the connector 1 can be vertically fitted. As a resul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mounting structure on the substrate 2 can be increased.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6e)가 하우징 본체(6)에 설치되고, 걸림구멍(7d)이 리테이너(7)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반대로 걸림부(6e)를 리테이너(7)에 설치하고, 걸림구멍(7d)을 하우징 본체(6)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락 방지부(6f)를 하우징 본체(6)에 설치하고, 오목부(7e)가 리테이너(7)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냈다. 이에 대하여 탈락 방지부(6f)를 리테이너(7)에 설치하고, 오목부(7e)를 하우징 본체(6)에 형성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the engagement portion 6e is provided in the housing main body 6, and the engagement hole 7d is formed in the retainer 7. However, conversely, the retaining portion 6e may be provided in the retainer 7, and the retaining hole 7d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6. [ In this embodiment, the dropout preventing portion 6f is provided in the housing main body 6, and the recess 7e is formed in the retainer 7. The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6f may be provided in the retainer 7 and the recess 7e may be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6. [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가 3개의 단자부(5)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단자부(5)에 대해 평형도체(4)가 1개씩 접속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리고, 커넥터(1)의 하우징 본체(6)가 삽입구(6b)와 수용구멍(6c)을 3개씩 갖고, 리테이너(7)가 수용 공간(7c)과 삽통구멍(7b)을 3개씩 갖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커넥터(1)가 접속하는 평형도체(4)의 수에 따라 커넥터(1)가 구비하는 단자부(5)의 수를 증감할 수 있다. 또, 각 평형도체(4)가 도통 접속하는 단자부(5)의 수도 1개로 한정하지 않고 증감할 수 있다. 그리고, 평형도체(4)의 수나 단자부(5)의 수에 따라 하우징 본체(6)가 갖는 삽입구(6b)와 수용구멍(6c)의 수나, 리테이너(7)가 갖는 수용 공간(7c)과 삽통구멍(7b)의 수도 증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1 is provided with three terminal portions 5, and an example in which the balanced conductors 4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terminal portions 5 one by on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housing main body 6 of the connector 1 has three insertion ports 6b and receiving holes 6c and in which the retainer 7 has three accommodating spaces 7c and three insertion holes 7b . However, the number of the terminal portions 5 provided in the connector 1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planar conductors 4 to which the connector 1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terminal portions 5 to which the respective flat conductive members 4 are electrically connected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without being limited to one. The number of the insertion port 6b and the receiving hole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and the number of the accommodating space 7c of the retainer 7 and the number of the insertion holes 6c of the housing main body 6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flat conductive bodies 4 and the number of terminal portions 5, The number of holes 7b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또, 상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9) 및 제 2 단자(10)의 각 접촉부(9a, 10a)가 아암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점 아암(9a1, 9a2 또는 10a1, 10a2)을 각각 1쌍씩 가져, 총 4개의 접점 아암을 갖는 예를 나타냈다. 이에 대하여 접점 아암을 2개만 갖거나, 3쌍 이상 갖고 있어도 된다. 접점 아암을 2개만 가져, 보다 판면 방향으로 폭이 넓은 접점 아암을 갖는 경우에는 평형도체(4)와의 접촉 면적을 늘릴 수 있어, 보다 대전류에 대응 가능한 커넥터(1)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보다 가는 폭의 접점 아암을 3쌍 이상 갖고 있는 경우에는 각 접점 아암에 분류하는 전류값을 작게 함으로써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접점 아암을 평형도체(4)의 표면 형상에 추종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접점 아암과 평형도체(4)를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s 9a, 10a of the first terminal 9 and the second terminal 10 each take one arm pair of contact arms 9a1, 9a2 or 10a1, 10a2 , And a total of four contact arms are shown. On the contrary, there may be only two contact arms or three or more pairs of contact arms. In the case where only two contact arms are provided and a contact arm having a wider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surface is provided, the contact area with the flat conductor 4 can be increased, thereby making the connector 1 capable of coping with a larger current. Furth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having three or more pairs of thinner contact arm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eat generation by reducing the current value to be divided into the contact arms. Since the contact arms can easily follow the surface shape of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the contact arms and the flat conductive member 4 can be reliably contacted.

1 : 커넥터 2 : 기판
2a : 노치    2b :기판 접점
3 : 하우징    4 : 평형도체
4a : 선단부 4b : 정규의 접촉 위치
5 : 단자부     6 : 하우징 본체
6a1 : 전면부     6a2 : 상면부
6a3 : 측면부    6b : 삽입구
6c : 수용구멍    6c1 : 칸막이 벽
6c2 : 돌출형상부    6d : 연통구멍
6e : 걸림부 6f : 탈락 방지부
7 : 리테이너    7a1 : 측면부
7a2 : 후면부    7b : 삽통구멍
7c : 수용 공간    7c1 : 격벽
7d : 걸림구멍    7e : 오목부
7f : 고정홈    7g : 기판 고정부
8 : 공간    9 : 제 1 단자
9a : 접촉부    9a1 : 접점 아암(상측)
9a2 : 접점 아암(하측) 9a3 : 굴곡부
9b : 기부    9b1 : 기단부
9b2 : 연결부    9b3 : 걸림부
9c : 스프링부    9c1 : 외향 굴곡부
9c2 : 되접어 꺾음부   9c3 : 가동부
9c4 : 경사부    9c5 : 굴곡부(스프링부)
9c6 : 직선부    9c7 : 후단부
9d : 고정편부    9d1 : 걸림돌기
9e : 기판 접속부    9e1 : 고정 돌출부
10 : 제 2 단자   10a : 접촉부
10a1 : 접점 아암(하측) 10a2 : 접점 아암(상측)
10a3 : 굴곡부   10b : 기부
10b1 : 기단부   10b2 : 연결부
10b3 : 걸림부   10c : 스프링부
10c1 : 내향 굴곡부   10c3 : 가동부
10c4 : 직선부   10c5 : 굴곡부(스프링부)
10c6 : 경사부   10c7 : 굴곡부
10c8 : 직선부 10d : 고정편부 10d1 : 걸림돌기
10e : 기판 접속부 10e1 : 고정 돌출부 L : 틈새
1: connector 2: substrate
2a: notch 2b: substrate contact point
3: Housing 4: Balanced conductor
4a: tip portion 4b: regular contact position
5: terminal portion 6: housing main body
6a1: front part 6a2: upper surface part
6a3: side portion 6b:
6c: receiving hole 6c1: partition wall
6c2: protruding portion 6d: communicating hole
6e: Retaining part 6f: Disengagement prevention part
7: retainer 7a1:
7a2: rear face portion 7b: inserting hole
7c: accommodation space 7c1: partition wall
7d: Retaining hole 7e:
7f: fixing groove 7g: substrate fixing portion
8: space 9: first terminal
9a: contact portion 9a1: contact arm (upper side)
9a2: contact arm (lower side) 9a3:
9b: base 9b1:
9b2: connecting portion 9b3:
9c: spring portion 9c1: outward bent portion
9c2: folded back portion 9c3: movable portion
9c4: inclined portion 9c5: bent portion (spring portion)
9c6: straight portion 9c7: rear end portion
9d: Fixed piece portion 9d1:
9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9e1:
10: second terminal 10a:
10a1: contact arm (lower side) 10a2: contact arm (upper side)
10a3: bent portion 10b:
10b1: base end portion 10b2:
10b3: Retaining portion 10c: Spring portion
10c1: inward bending portion 10c3:
10c4: straight line portion 10c5: bent portion (spring portion)
10c6: inclined portion 10c7: bent portion
10c8: straight line portion 10d: fixed piece portion 10d1:
10e: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10e1: fixing projection L:

Claims (8)

일단을 접속 대상물이 되는 동일한 평형도체에 접속하고, 타단을 기판의 동일한 기판 접점에 접속하는 평판형상의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와,
제 1 및 제 2 단자를, 평판형상의 단자면이 기판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세로방향을 따르도록 병렬로 홀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단자는 각각,
상기 평형도체와 도통 접속하는 접촉부와,
접촉부로부터 분기하여 신장하는 복수개의 평판형상 단자편을 평행하게 배치한 신장부와,
각 신장부의 말단측에서 상기 기판 접점과 도통 접속하는 기판 접속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in the form of a flat plate connecting one end to the same balanced conductor as an object to be connected and the other end to the same substrate contact of the substrate,
And a housing for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parallel so as to follow the longitudin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lanced conductor,
A plurality of flat plate-like terminal pieces branched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extending in parallel;
And a substrate connecting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contact at a distal end of each extend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단자의 분기하는 신장부의 사이에 제 2 단자의 신장부를 배치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extending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between the extending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상기 세로방향을 따르는 상기 평형도체의 삽입구를 가지고 있고,
제 1 단자의 접촉부와 제 2 단자의 접촉부를 상기 세로방향을 따라 상하에 배치하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ousing having an insertion port of the parallel conducto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are arranged vertic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어도 제 1 단자의 접촉부 또는 제 2 단자의 접촉부 중 어느 쪽인가로 통하는 연통구멍을 갖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using has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or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terminal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자의 신장부가 직선부와 굴곡부를 조합한 가동편부를 갖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s the movable piece portion in which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are combi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복수개의 아암형상의 접점부를 갖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e a plurality of arm-shaped contact portio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상기 세로방향에서 기판의 두께와 겹쳐서 설치한 상태로 기판 표면과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ousing has an engagement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in a state where the housing is overlapped with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단자가 하우징에 대한 고정편부를 가지고 있고,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단자의 각 고정편부가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제 1 및 제 2 단자의 접촉부가 고정되는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고,
가동 하우징은 고정 하우징에 대해 제 1 및 제 2 단자의 신장부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대 변위 가능한 커넥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ing a fixed piece for the housing,
The housing
A fixed housing in which the respective fixed piec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fixed,
And a movable housing to which the contact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re fixed,
Wherein the movable housing is relatively displaceable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extens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lative to the fixed housing.
KR1020140180059A 2014-01-10 2014-12-15 Connector KR2015008377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3403 2014-01-10
JP2014003403A JP6205273B2 (en) 2014-01-10 2014-01-10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775A true KR20150083775A (en) 2015-07-20

Family

ID=5362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059A KR20150083775A (en) 2014-01-10 2014-12-15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05273B2 (en)
KR (1) KR20150083775A (en)
CN (1) CN104779462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5006B (en) * 2016-06-02 2024-03-0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Busbar, coupling assembling, connector and central electrical apparatus box
JP6765243B2 (en) * 2016-07-14 2020-10-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JP6574798B2 (en) * 2017-02-28 2019-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Lever type connector
JP6480500B2 (en) 2017-04-28 2019-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2019125549A (en) * 2018-01-19 2019-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Board and bus bar connection structure
JP7154782B2 (en) * 2018-03-15 2022-10-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movable connector
JP7341842B2 (en) 2019-10-15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Connector assembly method, in-vehicle equipment assembly method, connector assembly, in-vehicle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26Y2 (en) * 1987-03-14 1994-01-19 松下電工株式会社 connector
JPH0719966U (en) * 1993-09-22 1995-04-07 株式会社白山製作所 Electrical connector
JP4951306B2 (en) * 2006-10-13 2012-06-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Contacts and electrical connectors
JP5185022B2 (en) * 2008-08-27 2013-04-1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Electrical contact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79462A (en) 2015-07-15
JP2015133204A (en) 2015-07-23
JP6205273B2 (en)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3775A (en) Connector
US9088113B2 (en) Connector
US7549882B2 (en) Connector capable of absorbing an error in mounting position
EP3413398B1 (en) Multi-contact connector
CN110635308A (en) Fixing metal piece, electric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device
US11239591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09226A (en) Electrical connector
US1132287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oating contacts each with multiple impedances
US20180301833A1 (en) Card-edge connector assembly having card guide modules
KR20080103537A (en) Connector
EP2846414A1 (en) Connector
KR101326395B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CN111989797A (en) Wiring module
US20090137140A1 (en) Floating-type connector
EP1538707B1 (en) Connector
JP2014191882A (en) Electric connector
JP2007042384A (en) Electric connector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JP2016018694A (en) connector
JP5069181B2 (en) Plug-in connector
JP2021057115A (en) Electrical connector
JP3549851B2 (en) connector
US20090004901A1 (en) Connector having a stopper mechanism defining a movable range of a housing receiving a connection object
US20230011722A1 (en) Combo connector
US20240145959A1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