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557A -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557A
KR20150083557A KR1020140003240A KR20140003240A KR20150083557A KR 20150083557 A KR20150083557 A KR 20150083557A KR 1020140003240 A KR1020140003240 A KR 1020140003240A KR 20140003240 A KR20140003240 A KR 20140003240A KR 20150083557 A KR20150083557 A KR 2015008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control
power supply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140003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3557A/ko
Publication of KR2015008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배수지 시설에 낙뢰피해가 예상될 경우 배수지 시설의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낙뢰발생시 전력선 및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로부터 현장 시설의 보호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전원 차단 후에는 배수지 시설에 사람이 직업 가지 않더라도 지정된 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이 복구되며, 전력피크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있는 중앙제어실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받아 배수지 시설의 전원공급장비를 제어하는 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실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제어부; 및 주전원의 차단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Remote Power Control System For Lightning Damage Prevention Of Distribution Reservoir}
본 발명은 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배수지 시설에 낙뢰피해가 예상될 경우 배수지 시설의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낙뢰발생시 전력선 또는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로부터 현장 시설의 보호를 극대화할 수 있고, 전원 차단 후에는 배수지 시설에 사람이 직접 가지 않더라도 지정된 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에 주전원의 공급이 복구되며, 전력피크시에도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 시설물 중 배수지의 시설은 원거리에 설치되므로 관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여러 곳의 배수지 시설을 현장관리자 없이 중앙제어실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장비를 구축하여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으로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제어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앙제어실측에는 멀리 떨어진 현장 시설들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운영장비가 설치되며, 배수지 시설 측에는 PLC 등과 같은 제어수단을 구비한 현장제어반이 구축되어 중앙제어실로부터 명령을 받아 배수지의 각 시설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앙제어실의 운영장비로는 보통 관리자가 배수지 시설들의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가 설치되어 관리자가 현장 상황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하면서 제어하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실과 배수지 현장제어반 양측에는 명령 및 신호를 주고받기 위해 모뎀, DSU 등과 같은 통신장비가 각각 구비되어 양측의 통신장비는 통신회사가 제공하는 전용회선을 통해 연결되고, 주로 중앙제어실에서는 현장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현장 시설 측에서는 제어신호를 수신받아 구동되면서 현장 시설 상태에 대한 정보신호를 중앙제어실로 송신한다.
그러나 현장에 설치된 원격제어장비는 낙뢰 발생시 전력선이나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으며, 전자장비인 원격제어장치에 낙뢰로 인한 서지가 인입되면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가 소손되어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오랫동안 배수지 시설을 운용하지 못해 적시에 물공급을 하지 못하게 되거나 배수를 시키지 못해 물이 넘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게 되며, 원격제어장비는 고가이므로 고장난 장비를 수리하는 데도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낙뢰에 의한 피해를 보완하기 위해 원격제어장비에 피뢰기 및 SPD 등의 보호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호장치들은 원격제어장비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한 유도뢰로 인해 발생되는 서지로부터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으므로 낙뢰에 의한 시설 피해 발생이 우려될 경우, 현재 가장 안전한 시설 보호방법인 시설 전원 차단을 위해 관리 인력이 직접 현장으로 출동하여 원격배수지시설의 주전원을 차단하고, 낙뢰상황이 종료되면 관리 인력이 다시 현장에 방문하여 전원을 복구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배수지 시설에 주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것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시스템이 구비되면, 낙뢰발생상황 등과 같이 중앙제어실에서 배수지 시설의 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으로 현장 시설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019호 '원격 자동제어반 비상 전원차단장치'와 같이 낙뢰가 발생하여 배수지 현장 시설에 대한 피해 우려가 있을 경우,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으로 현장 시설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황이 종료된 후에도 관리자가 현장에 방문할 필요 없이 중앙제어실에서 원격제어를 통해 현장 시설의 전원을 복구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장치는 중앙제어실의 운영장비와 현장 시설 사이의 통신이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기술이므로 낙뢰 발생시에도 통신수단이 종전처럼 연결되어 있어,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유도뢰에 의한 서지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로부터 장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으며, 통신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관리 인력이 현장에 출동하여 전원을 복구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019호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배수지 현장 시설의 전원과 통신수단의 전원을 함께 차단하여 낙뢰 발생시 전력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현장 시설의 피해를 방지하는 것은 물론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로부터도 시설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전원 차단 후에는 현장에 사람이 직접 가지 않더라도 지정된 시간의 경과 후 자동으로 현장 시설 및 현장 통신수단의 전원이 복구되며, 전력피크시 배수지 시설에 대한 효율적인 전력 관리를 할 수 있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있는 중앙제어실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받아 배수지 시설의 전원공급장비를 제어하는 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실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제어부; 및 주전원의 차단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낙뢰가 예상되어 주전원이 차단된 경우 보조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의 발생을 중단하여,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비에 상기 주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전지부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내부 배터리; 및 상기 태양전지부의 발전상태에 따라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출력조절부는 태양전지부에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면 소정의 에너지를 내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고 나머지 에너지는 출력시키되, 태양전지부에서 전기 에너지 생산이 중단되면, 내부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 및 시스템 작동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조건을 비교, 처리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낙뢰가 예상될 경우 상기 주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ON" 신호를 출력하되,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ON" 신호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현장 통신수단과 상기 제어부는 RS-232C, RS-423, RS-422, RS-48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낙뢰 발생시 현장 시설의 전원뿐만이 아니라, 낙뢰발생시 유도뢰에 의한 서지의 발생 및 인입이 쉬운 통신수단의 전원까지 차단함으로써 전력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를 방지함은 물론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로부터도 현장 시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전원 차단 후에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배수지 시설 및 통신수단의 전원이 복구되므로 배수지에 관리 인력이 출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배수지 시설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전원 공급이 필요없는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하였다가 지정된 시간이 지난 후 복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력피크시 배수지 시설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전기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격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의 연결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의 전원제어부를 구성하는 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의 전원 차단시 작동 과정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배수지 시설에 주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전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원격지에 있는 중앙제어실로부터 통신회선(1)을 통해 제어신호를 받아 배수지 시설의 전원공급장비를 제어하는 원격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으로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배수지의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을 차단 또는 복구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100); 제어부(100)의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제어부(200); 및 주전원(40) 차단시에도 제어부(100)가 작동되도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0)는 배수지 시설의 제어반에 설치된 통신수단(20)과 연결되어 중앙제어실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10);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 및 전원제어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설정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120);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 및 메모리(120)에 저장된 조건을 비교하여 명령을 처리하는 중앙처리부(130); 및 상기 중앙처리부(130)에 의해 발생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120)는 시스템의 기본 구동을 위한 정보가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부와 정보를 입력하여 수시로 데이터를 수정하고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에는 타이머, 카운터 등이 더 포함되어,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시간에 현장 시설의 전원을 차단하고 지정한 시간에 다시 전원을 복구하는 것 등 전원제어시스템이 보다 다양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지정된 작업 시간을 제어부(100)가 스스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어부(100)는 통신수단(20)과 연결되어 중앙제어실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주전원(40)이 차단된 후에도 보조전원공급부(300)의 전원공급에 의해 계속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반도체소자나 소프트웨어 등의 구성을 통해 형성되거나 공지의 현장 시설제어반 등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통신수단(20)과 제어부(100)는 근거리 통신에 적합하고 데이터 전송시 노이즈에 강하면서 구성하기 용이한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 전송시 에러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RS-232C, RS-423, RS-422, RS-48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원제어부(200)는 배수지 시설의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부(100)의 신호에 의해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도록 작동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제어부(200)는 계전기(210)와 MC(Magnetic Contactor)(220)를 포함한 회로를 통해 구성되며, 계전기(210)가 제어부(100)에서 발생한 전원제어신호를 받아 작동되고 계전기(21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MC(220)가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하되, 제어부(100)에서 "ON" 신호가 출력되면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을 차단하고 제어부(100)에서 "ON"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주전원(40)을 인가하도록 연결되었으나, 전원제어부(200)는 상술한 방법 외에 다른 구조로 구성되거나 다른 방법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으며, 다른 기술과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보조전원공급부(300)는 태양광을 통해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부(310); 태양전지부(3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내부 배터리(320); 태양전지부(310)의 발전상태에 따라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조절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원출력조절부(330)는 태양전지부(310)에서 태양광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태양전지부(310)로부터 공급된 전원 중 소정의 전기 에너지가 내부 배터리(320)에 충전되도록 하고 나머지 에너지는 제어부(100)로 출력시키되, 밤이나 우천시 등 태양전지부(310)가 태양광을 받아 발전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전기 에너지 생산이 중단되면, 내부 배터리(32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출력되도록 작동하여, 주전원(40)이 차단된 후에도 제어부(100)가 계속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 전원관리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중앙제어실의 운영장비와 배수지의 현장 시설은 통신수단(20)을 통해 연결되어 신호를 주고받게 되며, 중앙제어실에서는 현장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맞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
만약, 기상예보 또는 현장 기상 상태 정보를 통해 낙뢰 발생 및 그에 따른 피해가 예상될 경우, 중앙제어실에서는 낙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배수지의 현장 장비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을 차단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전원관리시스템(10)은 상기 제어신호를 설정된 조건에 의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명령을 수행한다.
우선, 제어부(100)가 통신수단(20)과 연결된 입력부(110)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중앙처리부(130)에서 메모리(120)에 미리 저장된 조건과 비교하여 명령을 처리하게 되며, 출력부(140)를 통해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을 차단하기 위한 "ON"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중앙제어실에서는 배수지 시설의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면서,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자동으로 다시 배수지 시설의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 공급이 인가될 수 있도록 복구 예정 시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게 되며, 전송된 복구 예정 시간 정보는 제어부(100)의 메모리(120)에 저장된다.
출력부(140)에서 "ON" 신호가 출력되면 전원제어부(200)는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들과 다르게 낙뢰 발생시 통신수단(20)의 작동이 중지되며 통신회선(1)이 차단됨에 따라 중앙제어실과 배수지 시설 사이의 통신이 중단되며 통신회선(1)을 통한 서지의 인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제어부(200)를 구성하는 계전기(210) 및 MC(220)가 주전원(40)을 차단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제어부(100)에서 발생한 "ON" 신호에 의해 계전기(210)가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MC(220)를 제어한다.
설정된 복구 예정 시간이 되기까지 배수지 시설은 보조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원제어시스템(10)만 작동되며,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전원복구 시간이 되면 제어부(100)에서 "ON"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게 되며, 상기 "ON" 신호의 출력이 중단되면 전원제어부(200)가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이 인가되도록 작동한다.
즉, 제어부(100)의 "ON" 신호의 출력이 중단되면 계전기(210)가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이 공급되도록 MC(22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 따라 통신수단(20) 및 배수지 시설의 전원이 다시 복구되며 중앙제어실과 배수지 시설 사이의 통신은 다시 연결되어 정상 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낙뢰발생시 중앙제어실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부(100)가 전원 차단을 위한 "ON" 상태가 되고, 제어부(100)이 "ON" 상태가 되면 전원제어부(200)가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공급되는 주전원(40)이 차단하도록 작동되고,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자동으로 제어부(100)가 "OFF" 상태로 전환되면서 전원제어부(200)가 통신수단(20) 및 전원공급장비(30)에 주전원(40)을 인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작동 방법에 의해 낙뢰 발생시 외에도 필요시 배수지 시설의 관리 작업에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수지에서는 밸브를 열거나 닫아서 저수 또는 배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배수지에 저수가 필요할 경우 시간당 배수지에 저수되는 속도와 저수량을 계산하여 필요한 시간을 산출하고, 제어부(100)에 산출된 시간을 저장시킨 다음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배수지 시설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킨 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다시 배수지 시설에 전원공급이 인가되도록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배수지 시설의 가동이 필요한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렇지 않으면 차단할 수 있으므로 특히, 전력피크시 효율적인 전력 관리가 가능하게 되며 에너지 절감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은 상술한 구성 및 작동 과정에 의해 낙뢰 발생시 현장 시설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현장 시설 피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과는 달리 낙뢰발생시 유도뢰에 의한 서지가 발생하여 인입되기 쉬운 현장 통신수단의 전원까지 차단하여 통신회선을 통해 인입되는 서지에 의한 피해로부터도 현장 시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 전원 차단 후에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배수지 현장시설 및 통신수단의 전원이 복구되므로 현장에 관리 인력이 출동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배수지 시설에 공급되는 주전원을 일정 시간 동안 차단한 후 복구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전력피크시 배수지 시설에 대한 전력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통신회선 10 : 전원제어시스템
20 : 통신수단 30 : 전원공급장치
40 : 주전원 100 : 제어부
110 : 입력부 120 : 메모리
130 : 중앙처리부 140 : 출력부
200 : 전원제어부 210 : 계전기
220 : MC 300 : 보조전원공급부
310 : 태양전지부 320 : 내부 배터리
330 : 전원출력조절부

Claims (4)

  1. 원격지에 있는 중앙제어실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받아 배수지 시설의 전원공급장비를 제어하는 배수지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실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전원제어신호에 의해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전원제어부; 및
    주전원의 차단시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낙뢰가 예상되어 주전원이 차단된 경우 보조전원에 의해 작동되고,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상기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치의 주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원제어신호의 발생을 중단하여, 통신수단 및 전원공급장비에 상기 주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공급부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부; 상기 태양전지부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전기 에너지가 충전되는 내부 배터리; 및 상기 태양전지부의 발전상태에 따라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전원출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출력조절부는 태양전지부에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면 소정의 에너지를 내부 배터리에 충전되도록 하고 나머지 에너지는 출력시키되, 태양전지부에서 전기 에너지 생산이 중단되면, 내부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제어신호 및 시스템 작동 조건이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제어신호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조건을 비교, 처리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낙뢰가 예상될 경우 상기 주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ON" 신호를 출력하되, 중앙제어실에서 지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으로 "ON" 신호 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통신수단과 상기 제어부는 RS-232C, RS-423, RS-422, RS-485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직렬 통신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KR1020140003240A 2014-01-10 2014-01-10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KR20150083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40A KR20150083557A (ko) 2014-01-10 2014-01-10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40A KR20150083557A (ko) 2014-01-10 2014-01-10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557A true KR20150083557A (ko) 2015-07-20

Family

ID=5387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40A KR20150083557A (ko) 2014-01-10 2014-01-10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5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8139A (zh) * 2015-05-22 2017-01-04 鲁霄钢 一种优化配电柜总体结构除尘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8139A (zh) * 2015-05-22 2017-01-04 鲁霄钢 一种优化配电柜总体结构除尘系统
CN106268139B (zh) * 2015-05-22 2018-06-26 鲁霄钢 一种优化配电柜总体结构除尘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089B1 (ko) 제어설비 무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306772B1 (ko) 태양광 발전시설의 종합보호 시스템
KR101378573B1 (ko) 태양전지모듈용 정션박스 및 그의 구동방법
CN203909550U (zh) 一种泵站自动巡检plc控制装置
CN207311151U (zh) 一种车辆监控系统
CN104506130A (zh) 一种采用非隔离逆变器的太阳能光伏组件的抗pid装置
KR101700697B1 (ko) 무선 원격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314123B1 (ko) 계통연계형 분산전원용 피크제어 수배전반
US20160043693A1 (en) Junction box for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for driving same
CN103941705A (zh) 一种现场设备管理系统及方法
KR20150083557A (ko) 원격배수지의 낙뢰피해방지용 전원제어시스템
CN103825258A (zh) 一种定值组设置方法及系统
KR101574201B1 (ko) 무장애 스마트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JP2015015820A (ja) 遠隔操作受付用電源装置、遠隔操作受付用電源システム、遠隔制御装置、遠隔操作受付用プログラム、遠隔制御用プログラム
KR101342612B1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01188B1 (ko) 역전력 차단 예방 및 화재 감시장치가 구비된 태양광 접속함
CN205265367U (zh) 一种可远程控制电源输出的监控系统
CN205644256U (zh) 物业设备集中与分布控制管理系统
CN204009553U (zh) 一种消防排烟机控制箱监控装置
JPH025639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EP24001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ing a wind turbine
CN103701197B (zh) 一种提高一体化电源系统可靠性的监控冗余备份方法
US997922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43060A (ko) 분산형 전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RU71985U1 (ru) Комплекс моду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эхз для катодной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