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020A - Vaccum suction device - Google Patents

Vaccum su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020A
KR20150083020A KR1020140192992A KR20140192992A KR20150083020A KR 20150083020 A KR20150083020 A KR 20150083020A KR 1020140192992 A KR1020140192992 A KR 1020140192992A KR 20140192992 A KR20140192992 A KR 20140192992A KR 20150083020 A KR20150083020 A KR 2015008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id
hard
rigid portion
vacuum
de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ublication of KR2015008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0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Abstract

A vacuum suction device is disclosed. The vacuum s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dsorption member vacuum-adsorbed to a target surface by a vacuum chamber formed inside; and an adjustment member combined with the adsorption member, and forming a vacuum chamber, wherein the adsorption member includes a first hard part coupled with the adjustment member, and having the position elevated by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a transformation part having one end coupled with the end of the first hard part, and transformed; and a second hard part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transformation part, and supporting the first hard part.

Description

진공 흡착장치{VACCUM SUCTION DEVICE}[0001] VACCUM SUCTION DEVICE [0002]

본 발명은 진공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한 진공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having a simple structure.

진공 흡착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공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부착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진공 흡착장치는 못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지 않고 어떤 물건을 유리나 타일 등에 부착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refers to an apparatus that can be attached to another object by a vacuum generated inside the apparatus. Such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is mainly used for adhering an object to glass or tile without using a nail or an adhesive.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은 흡착판(10)이 피착면(s)에 편평하게 밀착된 상태를 예시하고, 도 2는 흡착판(10)이 상승하여 피착면(s)과의 사이에 진공챔버(c)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1 and 2 are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cuum adsorption apparatus. Fig.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dsorption plate 10 is flatly adhered to the adsorption face s,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dsorption plate 10 rises And a vacuum chamber (c) is formed between the vacuum chamber (s) and the deposition surface (s).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는, 피착면(s)에 밀착되는 연질의 흡착판(10)과, 흡착판(10)의 상면 테두리부를 압착하면서 중심부에서는 소정의 간격(G)을 두고 흡착판(10)을 커버하는 경질의 누름캡(20)과, 상기 흡착판(1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어 누름캡(20)을 관통하는 당김봉(30)과, 당김봉(3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서 당김봉(30)을 위로 당겨 올려 주는 조임구(40)로 이루어진다. 1 and 2, a conventional vacuum adsorption apparatus includes a soft adsorption plate 1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surface to be adhered s, and an adsorbing plate 10 having a predetermined gap G at the center of the adsorption plate 10, A rigid pressing cap 20 which covers the adsorption plate 10 and which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10 and penetrates the pushing cap 20; And a tightening member 40 which is screwed and pulls up the molten steel rope 30 by rotation.

피착면(s)에 흡착판(10)을 밀착한 후 누름캡(20)을 하향 가압하면서 조임구(40)를 회전시키면, 조임구(40)와 나사 결합된 당김봉(30)이 상승하면서, 피착면(s)과의 사이에 초저압 상태의 진공챔버(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진공챔버(c)의 진공 흡착력에 의해서, 진공 흡착장치가 피착면(s)에 흡착되는 것이다.When the tightening tool 40 is rotated while pushing down the pushing cap 20 after the adsorption plate 10 is closely attached to the adhered surface s, the pinching bar 30 screwed with the tightening tool 40 is lifted, And a vacuum chamber (c) in an ultra low pressure state is formed between the vacuum chamber (s) and the adhered surface (s). By the vacuum adsorption force of the vacuum chamber (c) thus formed, the vacuum adsorption device is adsorbed on the adhered surface (s).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는, 수축 및 이완이 자유로운 고무재로 형성된 연질의 흡착판(10), 경질의 누름캡(20) 및 당김봉(30) 그리고 당김봉(30)에 나사 결합하는 경질의 조임구(40)로 이루어진다. 특히, 연질의 흡착판(10)과 경질의 당김봉(30)은 그 재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이들을 다시 결합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제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conventional vacuum adsorption apparatus is composed of a soft adsorption plate 10 formed of a rubber material free from shrinkage and relaxation, a rigid pressing cap 20, a sugar bar 30, and a rigid fastener (40). Particularly, since the soft attraction plate 10 and the hard sugar bar 30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ey must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joined again. This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time Occurs.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3866호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03866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간소하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부재와, 흡착부재와 결합하여 진공챔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흡착부재는, 조정부재가 결합하고 조정부재에 의해서 그 위치가 상승할 수 있는 제1 경질부와, 제1 경질부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와, 변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1 경질부를 지지하는 제2 경질부를 포함한다.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sorption member that is vacuum-adsorbed to an adherend surface by a vacuum chamber formed therein, and an adjustment member that is combined with the adsorption member to form a vacuum chamber, A deformable portion having one end joined to and deformable at one end of the first hard portion and a second deformable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eformed portion to fix the first hard portion And a second hard portion supporting the second har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경질부에는 조절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조정부재는 조절돌기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first rigid portion, an adjusting protrusion is protruded, and the adjusting member can be screwed with the adjusting protrusion.

조정부재는 제2 경질부의 가압단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제1 경질부를 상승하게 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member can be raised by the first rigid por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pressing end of the second rigid portion.

제1 경질부, 변형부 그리고 제2 경질부는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변형부는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제1 경질부 및 제2 경질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hard part, the deformed part, and the second hard par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deformed part may be formed thinner than the first hard part and the second hard part so that the shape can be deformed.

제1 경질부와 변형부의 연결 부분 그리고 변형부와 제2 경질부의 연결 부분에는 회동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pivotal groove may be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rigid portion and the deformable portion an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formable portion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변형부에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부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제1 경질부 및 제2 경질부와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Wrinkles can be formed in the deformed portion. And the deforming portion may be formed by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hard portion and the second hard portion by double injection.

흡착부재의 단부에는 패킹이 결합될 수 있다. A packing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adsorption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고, 흡착부재는, 제1 경질부와, 제1 경질부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와, 변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제1 경질부를 지지하는 제2 경질부를 포함하며, 흡착부재에 대한 하향 가압력이 제거되면, 변형부 및 제2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서 흡착부재가 복원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comprising an adsorption member that is vacuum-adsorbed on an adherend surface by a vacuum chamber formed therein, wherein the adsorption member includes a first hard portion, And a second rigid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eformable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rigid portion.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n the adsorbent is removed, at least one of the deformable portion and the second deformable portion The adsorption member is restored by the self-restoring force.

흡착부재는 그 내부에 변형부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The adsorpt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deformable member therein.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진공 흡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도 1은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흡착판이 피착면에 밀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흡착판이 피착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1 경질부가 상승하여 진공챔버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cuum adsorption apparatu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dsorption plate is in close contact with an adhered surfac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vacuum adsorption apparatus, which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dsorption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adhered surfac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line AA i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ard portion rises and a vacuum chamber is formed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된 진공 흡착장치(10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여 진공챔버(c)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first hard part 122 rises and a vacuum chamber c is formed in FIG. 5 .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챔버(c)에 의해서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부재(120)와, 흡착부재(120)와 결합하여 진공챔버(c)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정부재(160)를 포함한다. 조정부재(160)는 회전에 의해서 흡착부재(120)의 제1 경질부(122)를 위로 당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흡착부재(120)의 내부 공간이 확대되면서 초저압의 진공챔버(c)가 형성되어, 흡착부재(120)가 피착면(s)에 밀착된다. 3 to 6,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n adsorption member 120 that is vacuum-adsorbed to the adhered surface s by a vacuum chamber c formed therein, And an adjusting member 160 for coupling with the member 120 to form a vacuum chamber c. The adjusting member 160 pulls up the first hard part 122 of the adsorbing member 120 by the rotation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adsorbing member 120 expands and the ultra low pressure vacuum chamber c is formed So that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s.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는, 흡착부재(120) 및 조절돌기(124) 두 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이 간소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흡착부재(120)는 단일한 재질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since it is composed of two adsorption members 120 and adjustment projections 124. Particularly, since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integrally formed of a single material, the manufacturing cost and time can be reduced.

흡착부재(120)는, 그 내부의 진공챔버(c)에 의해 형성되는 진공 흡착력에 의해서 피착면(s)에 진공 흡착된다. 흡착부재(120)는 중앙에 위치한 원형의 제1 경질부(122), 제1 경질부(122)의 둘레에 형성된 링(ring) 형상의 변형부(130), 변형부(130)의 둘레에 형성된 링 형상의 제2 경질부(140) 그리고 제2 경질부(140)의 하단부에 결합된 패킹(150)을 포함한다.The adsorption member 120 is vacuum-adsorbed on the adhered surface s by the vacuum adsorption force formed by the vacuum chamber (c) therein. The adsorption member 120 includes a ring-shaped deformed portion 130 formed around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hard portion 122, a first hard portion 122 formed around the center of the deformed portion 130, And a packing 150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is formed in a ring shape.

본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120)는 원형으로 예시하였지만, 흡착부재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착부재(120)의 형상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adsorption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being circular, the adsorption member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or a polygonal shap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

제1 경질부(122), 변형부(130) 및 제2 경질부(140)는 모두 동일한 재질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부재(120)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는 변형부(130)에 비해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의 두께는 3mm 정도로 형성되고, 동일한 재질의 변형부(130)는 0.1~0.7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igid portion 122, the deformable portion 130,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may all be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adsorption member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a polypropylene resin. However,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may be formed thicker than the deformable portion 130. For example, the first rigid part 122 and the second rigid part 14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3 mm, and the deformed part 130 of the same material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0.1 to 0.7 mm.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조정부재(160)가 회전하더라도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는 그 형상이 거의 변형되지 않는다. 다만, 제1 경질부(122)는 조정부재(160)와 결합되어서,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거나, 변형부(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강한다. The first rigid part 122 and the second rigid part 140 have a characteristic that deformation does not easily occur due to an external force. Therefore, even if the adjustment member 160 rotates, the shapes of the first hard part 122 and the second hard part 140 are hardly deformed. The first rigid portion 122 is coupled with the adjustment member 160 and is lifted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or lowe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eformable portion 130.

제1 경질부(122)는 흡착부재(120)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원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 경질부(122)의 둘레에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13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경질부(122)는 상승 또는 하강 할 수 있게 된다. 제1 경질부(122)는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는데, 제1 경질부(122)의 상승에 의해서 흡착부재(120) 내부에 진공챔버(c)가 형성되어 진공 흡착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제1 경질부(122)는 변형부(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강한다. The first hard part 122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and has a disk shape. Since the deformable portion 130 capable of deforming the shape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the first rigid portion 122 can be raised or lowered. The first hard part 122 rises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and the vacuum chamber c is formed inside the suction member 120 due to the rise of the first hard part 122, do. The first rigid part 122 is lower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eformed part 130.

제1 경질부(122)의 중앙에는 조절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조절돌기(124)는 일정한 길이를 갖고 그 둘레에는 나사산(126)이 형성되어 있다. 조절돌기(124)에는 조정부재(160)가 나사 결합하게 된다. 조정부재(160)는 그 회전에 의해서 조절돌기(124)의 길이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제1 경질부(122)를 직접 상승시키거나, 위로 당기는 힘을 제거하여 하강할 수 있게 한다. An adjustment protrusion 12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The adjusting protrusion 124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thread 126 is formed around the adjusting protrusion 124. The adjustment member 160 is screwed to the adjustment projection 124. [ The adjustment member 160 can be raised or low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projection 124 by its rotation so as to directly lift the first hard portion 122 or to lower it by removing the pulling force.

변형부(130)는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변형부(130)는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와 동일한 소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지만,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서 형상 변형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따라서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경질부(122)에 상승 또는 하강하는 힘이 가해지만, 변형부(130)는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formable part 130 serves to connect the first rigid part 122 and the second rigid part 140. The deformed portion 130 is integral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but since the thickness thereof is thin, deformation is relatively free from external force. Therefore, although the upward or downward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rigid portion 122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the deformed portion 130 is deformed so that the first rigid portion 122 rises or falls .

변형부(130)는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를 상호 연결하는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의 형상 및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eformed portion 130 has a linear shape connecting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The shape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shape of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And its shape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its relative position.

변형부(130)와 제2 경질부(140)의 연결 부분에는 회동홈(132)이 형성된다. 회동홈(132)은 변형부(130)와 제2 경질부(140)의 연결 부분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 형성된 것이다. 회동홈(132)으로 인해서 제2 경질부(140)에 대해서 변형부(130)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A pivoting groove 132 is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formable portion 130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The pivoting groove 132 is form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formed portion 130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The deformable portion 130 can freely rotate with respect to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due to the pivotal groove 132.

제2 경질부(140)는 흡착부재(120)의 최외곽에 형성된 것으로 링 형상을 갖는다. 제2 경질부(140)는 제1 경질부(122)와 마찬가지로, 외력에 의해서도 그 형상이 쉽게 변형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2 경질부(140)는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제1 경질부(122) 및 조정부재(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is form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and has a ring shape. Like the first rigid part 122, the second rigid part 140 has a characteristic that its shape is not easi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serves to support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adjustment member 160 in the course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being raised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

본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120)에서 제2 경질부(140)가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제2 경질부(140)는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질부(140)는 직선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곡선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second hard part 140 is illustrated as being inclined in the suction member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hard part 140 may be arranged vertically. 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a linear shap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urved line.

제2 경질부(140)와 변형부재(130)의 연결 단부에 해당하는 가압단부(144)는, 도 5 내지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향 돌출되어서 조정부재(160)와 접하게 된다. 제2 경질부(140)는 외력에 의해서도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거나 거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제1 경질부(122)의 상승 과정에서 조정부재(160)는 항상 가압단부(144)와 접하게 된다. The pressing end 144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end of the second rigid part 140 and the deformable member 130 protrudes upward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justing member 160 as illustrated in FIGS. Since the shape of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is not deformed or hard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the adjustment member 160 always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end 144 in the ascending process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제2 경질부(140)의 하단부에는 패킹삽입홈(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패킹삽입홈에는 패킹(150)이 삽입된다. 패킹(150)는 피착면(s)에 밀착되어서, 흡착부재(1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A packing insertion groove (not show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igid part 140. The packing 150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insertion groove. The packing 15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s so that no air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

패킹(150)은 우레탄, 실리콘, 고무 또는 연질 PVC 등과 같은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패킹(150)의 재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패킹(150)은 점착성 엘라스토머 또는 점착성 폴리우레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흡착부재(120)와 피착면(s)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하여서 흡착 지구력을 높일 수 있다. The packing 150 may be formed from a material such as urethane, silicone, rubber, or soft PVC,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terial of the packing 150. The packing 150 may be formed of a tacky elastomer or a tacky polyurethane, thereby improving the airtightness between the adsorbing member 120 and the adhered surface s, thereby increasing the adsorption endurance.

패킹(150)은 제2 경질부(140)의 하단부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킹(150)은 제2 경질부(140)의 하단부에 융착되거나 삽입될 수 있고, 이중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packing 15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the packing 150 may be fused or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ouble injection.

조정부재(160)는 회전에 의해서 흡착부재(120)의 제1 경질부(122)를 위로 당겨서 흡착부재(120) 내부의 부피를 확대하여 진공챔버(c)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조정부재(160)는 제1 경질부(122)를 위치 고정하여서 형성된 진공챔버(c)를 유지하여 진공 흡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The adjusting member 160 pulls up the first hard portion 122 of the adsorbing member 120 by rotation to enlarge the volume inside the adsorbing member 120 to form the vacuum chamber c. Further, the adjustment member 160 holds the vacuum chamber (c) formed by fixing the first rigid portion 122 to maintain the vacuum attraction force.

조정부재(160)는 바(bar) 형상을 갖고, 그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은 제1 경질부(122)의 조절돌기(124)에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조정부재(160)는 회전에 의해서 조절돌기(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adjusting member 160 has a bar shape and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s screwed to the adjusting protrusion 124 of the first hard portion 122. Therefore, the adjustment member 16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projection 124 by the rotation.

도 5 내지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정부재(160)는 제2 경질부(140)의 가압단부(144)와 접하고 있다. 따라서 도 5의 상태에서 조정부재(16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정부재(16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조절돌기(124)가 형성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할 때, 조정부재(160)는 회전에 의해서 그 높이가 변경되지 않는다. 5 to 6, the adjustment member 160 is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end 144 of the second rigid portion 140. As shown in Figs. Therefore, when the adjusting member 16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5, the adjusting member 160 does 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hard part 122 formed with the adjusting protrusion 124 rises. Thus, when the first rigid portion 122 rises, the height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is not changed by rotation.

제2 경질부(140)의 패킹(150)이 피착면(s)에 밀착되어서 흡착부재(120)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여 도 6과 같이 되면, 진공챔버(c)가 형성되어서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진공 흡착장치(100)가 피착면(s)에 밀착된다.The packing 150 of the second rigid part 14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s so that the first rigid part 122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in a state in which the inside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sealed, As shown in FIG. 6, the vacuum chamber (c) is formed and a vacuum attraction force is generated. As a result,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s.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는 조정부재(160)와 조절돌기(124)가 상호 나사 결합하고,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 경질부(122)를 승하강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조절돌기(124)(이때, 조절돌기의 둘레에는 나사산(126)이 형성되지 않음)를 상승시키는 레버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djustment member 160 and the adjustment projection 124 are screw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hard portion 122 rises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Respectively.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adopt various structure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first rigid part 122. For example, a lever structure may be employed to elevate the adjusting protrusion 124 (where no thread 126 is formed around the adjusting protrusion)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5는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지 않은 상태를 예시하고, 도 6은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여서 진공챔버(c)가 형성된 상태를 예시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6.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rigid portion 122 rises by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so that the vacuum chamber c The formed state is illustrated.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지 않은 경우, 제1 경질부(122)의 하면과 접촉면(s) 사이의 간격은 최소인 h이고, 조정부재(160)의 하면과 제1 경질부(122)의 상면 사이의 간격은 최대인 a이다.5,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contact surface s is h, which is the minimum, when the first rigid portion 122 does not rise, The interval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rigid part 122 is a maximum.

물론, 도 5의 상태에서 제1 경질부(122)의 하면은 피착면(s)과 접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the state of FIG. 5,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s.

흡착부재(120)를 피착면(s)에 대해서 하향 가압하면, 패킹(150)에 의해서 흡착부재(120) 내부 공간이 밀폐되고, 패킹(150)의 마찰력에 의해서 흡착부재(120)가 피착면(s)에 대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정부재(160)를 회전시키면, 조정부재(160)와 나사 결합된 조절돌기(124)가 상승하면서 제1 경질부(122)를 위로 잡아 당기게 된다. 이로 인해,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경질부(122)의 하면과 접촉면(s) 사이의 간격은 h'>h)가 되고, 조정부재(160)의 하면과 제1 경질부(122) 상면 사이의 간격은 a'<a)가 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sealed by the packing 150 when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pressed downward against the adhered surface s and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adhered to the adhered surface 120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acking 150. [ (s). When the adjusting member 160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adjusting protrusion 124 screwed with the adjusting member 160 rises and pulls the first hard portion 122 upward. 6, the interval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igid portion 122 and the contact surface s becomes h '> h),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and the first rigid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122 is a '<a.

흡착부재(120)의 내부공간이 밀폐된 상태에서 조정부재(160)의 회전에 의해서 제1 경질부(122)가 상승하면, 흡착부재(120)의 내부공간이 확대되면서 진공챔버(c)가 형성된다. 진공챔버(c)에 의해서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공 흡착장치(100)는 피착면(s)에 밀착된다. 그리고 조정부재(160)의 회전 정도를 달리 함으로써, 진공 흡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When the first rigid portion 122 rises due to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160 while the inner space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is closed, the inner space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expands and the vacuum chamber c . Vacuum adsorp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vacuum chamber (c), whereby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dhered surface (s). By vary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160, the vacuum attraction force can be adjusted.

제1 경질부(122)가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제2 경질부(140)는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경질부(140)의 단부에 해당하는 가압단부(144)는 항상 일정한 높이를 갖게 된다. 조정부재(160)의 하면은 가압단부(144)에 의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지지되고, 조정부재(16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도면부호 없음)도 조절돌기(124)의 둘레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력에 의해서 조정부재(160)가 도 6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Even if the first hard part 122 rises or falls, the second hard part 140 is not deformed. Therefore, the pressing end 144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econd rigid part 140 always has a constant height. The lower surface of the adjusting member 160 is supported to have a constant height by the pressing end 144 and a through hole (not shown)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djusting member 160 is engaged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adjusting projection 124 Therefore, the adjustment member 160 can maintain the state shown in Fig. 6 by the frictional force.

진공 흡착장치(100)를 피착면(s)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조정부재(160)를 부착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경질부(122)가 변형부(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하강하면서 진공챔버(c)가 해제된다. 이로 인해, 진공챔버(c)에 의한 진공 흡착력이 제거되어서, 진공 흡착장치(100)를 피착면(s)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rigid portion 122 is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deformable portion 130 in order to separate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from the adhered surface s, And the vacuum chamber (c) is released. As a result, the vacuum adsorption force by the vacuum chamber (c) is removed, and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dhered surface (s).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변형부(23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has a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eformation unit 230 .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는, 흡착부재(220) 및 조정부재(260)를 구비하고, 흡착부재(220)는 제1 경질부(222) 및 제2 경질부(24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120)의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200)의 조정부재(2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조정부재(16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adsorption member 220 and an adjustment member 260. The adsorption member 220 includes a first hard portion 222 and a second hard portion 240, 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hard part 122 and the second hard part 140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adjusting member 26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djusting member 16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변형부(230)는 신축성을 높이기 위해서 주름을 갖는다. 변형부(230)에 주름이 형성됨으로써 그 변형이 용이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제1 경질부(222)도 용이하게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The deformation portion 230 has a wrinkle for enhancing the stretchability. The deformation portion 230 is easily deformed by forming the corrugation, so that the first hard portion 222 can be easily raised or lowered.

변형부재(230)의 두께는 제1 경질부(222) 및 제2 경질부(24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thickness of the deformable member 230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s the first rigid portion 2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240 and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3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3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와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변형부(33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8,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h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deformation section 330 .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300)는, 흡착부재(320) 및 조정부재(360)를 구비하고, 흡착부재(320)는 제1 경질부(322) 및 제2 경질부(34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120)의 제1 경질부(122) 및 제2 경질부(140)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300)의 조정부재(36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조정부재(160)와도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n adsorption member 320 and an adjustment member 360. The adsorption member 320 includes a first hard portion 322 and a second hard portion 340, Which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hard part 122 and the second hard part 140 of the adsorption member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the adjusting member 36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djusting member 16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변형부(330)는 제1 경질부(322) 및 제2 경질부(340)와 다른 재질에 의해서 형성된다. 변형부(33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서 거의 변형되지 않는 제1 경질부(322) 및 제2 경질부(340)와 이중 사출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formed portion 330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rigid portion 3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340. The deformed portion 330 may be formed of rubber, silicone, urethane or the like having an elastic force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ard portion 322 and the second hard portion 340 which are hardly deformed by external force,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재의 변형부는 그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실시예와 같이 변형부(13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하고 회동홈(132)을 형성하거나, 제2 실시예와 같이 변형부(230)가 주름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제3 실시예와 같이 변형부(330)를 연질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부재의 변형부는 상기와 같은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변형부는 신축성이 우수하도록 굴곡을 갖거나 접이식 또는 접철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tion part of the adsorp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deformation part 130 is made relatively thin and the rotation groove 132 is form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formable portion 230 may be formed to have a wrinkle as in the example, or the deformable portion 33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as in the third embodiment. In addition, the deformed por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For example, the deformed portion may be bent, folded, or folded so as to have excellent stretchability.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4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4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400)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와는 달리, 조정부재(160, 260, 360)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400)는, 흡착부재(420)에 대한 하향 가압력이 제거되면, 흡착부재(420)의 변형부(430) 및 제2 경질부(4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서 제1 경질부(422)가 상승하면서, 그 내부에 진공챔버(c)가 형성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9,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hat it does not have the adjustment members 160, 260 and 360 .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n the adsorption member 420 is removed, at least one of the deformation portion 430 of the adsorption member 420 and the second hard portion 440 The first hard part 422 is raised by the self-restoring force, and a vacuum chamber (c) is formed therein.

흡착부재(420)를 피착면(s) 상에 놓고 하향 가압하면, 제2 경질부(44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 경질부(422)가 다소 하강한다. 이때, 흡착부재(420)의 내부 공간은 패킹(450)에 의해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흡착부재(420)에 대한 하향 가압력을 제거하면, 제2 경질부(440) 및 변형부(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제2 경질부(440)가 내측으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흡착부재(420)의 내부에 진공챔버(c)가 형성되는 것이다. When the adsorption member 420 is placed on the adhered surface s and pressed downward, the first hard portion 422 slightly descends as the second hard portion 440 spreads outward.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adsorption member 420 is kept sealed by the packing 450.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n the suction member 420 is removed, the second rigid portion 440 contracts inward due to the self-elastic force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rigid portion 440 and the deformed portion 430 So that the vacuum chamber (c) is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member (420).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400)의 흡착부재(4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흡착부재(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adsorption member 42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dsorption member 12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5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5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500)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와는 달리, 조정부재(160, 260, 360)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10,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hat the adjustment members 160, 260 and 360 are not provided .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50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4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흡착부재(520)를 피착면(s) 상에 놓고 하향 가압하면, 제2 경질부(540)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 경질부(522)가 다소 하강한다. 이때, 흡착부재(520)의 내부 공간은 패킹(550)에 의해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흡착부재(520)에 대한 하향 가압력을 제거하면, 제2 경질부(540) 및 변형부(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제2 경질부(540)가 내측으로 수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흡착부재(520)의 내부에 진공챔버(c)가 형성되는 것이다.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at is, when the adsorption member 520 is placed on the adhered surface s and pressed downward, the first hard part 522 slightly descends as the second hard part 540 spreads outward. At this time, the inner space of the adsorption member 520 is kept closed by the packing 550.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n the suction member 520 is removed, the second rigid part 540 contracts inward due to the self-elastic force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rigid part 540 and the deformed part 530 So that the vacuum chamber (c) is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member (520).

제1 경질부(522)의 하부에는 탄성부재(524)가 결합되어 있다. 탄성부재(524)는 제1 경질부(522)를 하향 가압할 때 피착면(s)과 접촉하여 탄성 수축한다. 그리고 하향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24)는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흡착부재(520)를 상승하게 한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524)는 하향 가압력에 의해서 수축된 흡착부재(52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An elastic member 524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ard portion 522. The elastic member 52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dherend surface s and elastically contracts when the first hard portion 522 is pressed downward.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524 causes the adsorption member 520 to rise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member 524 serves to help the adsorbing member 520 contracted by the downward pressing force to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500)의 흡착부재(52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흡착부재(120)와 동일 또는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adsorption member 52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adsorption member 12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6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6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1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600)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와는 달리, 조정부재(160, 260, 360)를 구비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11,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n that it does not have the adjustment members 160, 260 and 360 .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600)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5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흡착부재(62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524)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한 쌍의 탄성돌기(624)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However, the suction member 620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elastic protrusions 624 are provided without the elastic member 524 inside.

한 쌍의 탄성돌기(624)는, 흡착부재(620)에 하향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측으로 각각 벌어진다. 그리고 하향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내측으로 수축하면서 흡착부재(620)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The pair of elastic projections 624 extend outwardly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suction member 620, respectively.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is removed, it serves to help the adsorption member 620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hile contracting inward.

흡착부재(620)는, 제1 경질부(622), 변형부(630) 및 제2 경질부(640)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재(520)의 제1 경질부(522), 변형부(530) 및 제2 경질부(54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adsorption member 620 includes a first rigid portion 622, a deformed portion 630 and a second rigid portion 640. This is because the first rigid portion of the adsorption member 52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522, the deforming portion 530 and the second hard portion 540,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7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700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FIG.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700)를 각각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2는 제1 경질부(722)가 상승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3은 제1 경질부(722)가 상승한 상태를 예시한다. FIGS.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700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first hard portion 722 is raised, The first rigid portion 722 is shown in an elevated state.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700)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경질부(722)와,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2 경질부(740)와, 제1 경질부(722) 및 제2 경질부(740)를 상호 연결하는 변형부(7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경질부(722)의 중앙에는 조절돌기(724)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경질부(740)의 하부에는 패킹(750)이 구비되어 있다. 12 to 13,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ard part 722 located at the center, a second hard part 740 forming a rim, And a deformed portion 730 interconnecting the rigid portion 7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In the center of the first rigid part 722, an adjusting protrusion 724 is formed upwardly protruding. A packing 750 is provided under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조절돌기(724)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100)의 조정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경질부(722)를 상승시키는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The adjustment member 16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coupled to the adjustment projection 724. [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eans for lifting the first rigid portion 722. [

변형부(730)는 제2 경질부(740)의 내측에서 연장되어서 중앙에 위치하는 제1 경질부(722)의 단부와 연결된다. 변형부(730)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제1 경질부(722) 및 제2 경질부(7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부(730)는 소재 자체가 신장되는 것이 아니라 외력에 의해서 그 형상이 변형되는 것이다. 다만, 변형부(730)는 그 형상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경질부(722) 및 제2 경질부(740)에 비해서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eformed portion 730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rigid portion 722 located at the center. The deforming portion 7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hard portion 722 and the second hard portion 740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The deformed portion 730 is not the material itself but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However, the deformed portion 730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first rigid portion 7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in order to facilitate shape deforma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변형부(73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곡선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1 경질부(722)의 하면은 피착면(s)에 대해서 높이 h만큼 이격되어 있는데, 이는 변형부(730)와 제2 경질부(740)의 연결 지점에 해당하는 회동점(732)에 비해서 낮은 위치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deformed portion 730 has a curved shape whe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igid portion 722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s by a height h which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pivot point 732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deformed portion 730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 Respectively.

도 12의 상태에서 제1 경질부(722)가 상승하는 경우, 제1 경질부(722) 및 제2 경질부(740)는 변형하지 않고, 변형부(730)는 그 형상이 변하면서 제1 경질부(722)의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도 13 참조). 변형부(730)의 변형에 의해서 제1 경질부(722)는 피착면(s)에 대해서 h'>h)만큼 이격되는데, 이로 인해 피착면(s)과의 사이에 진공 챔버(c)가 형성된다. The first rigid portion 722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are not deformed when the first rigid portion 722 rises in the state of Fig. 12, and the deformed portion 730 is deformed Thereby enabling the hard portion 722 to rise (see Fig. 13). The first rigid portion 722 is spaced apart by h '> h relative to the adhered surface s by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ed portion 730 so that the vacuum chamber c is interposed between the rigid portion 722 and the adhered surface s .

도 13의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변형부(730)의 복원력에 의해서 도 12와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변형되고, 이로 인해 제1 경질부(722)도 하강하면서 도 12의 상태가 된다.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13, it is deformed to the original shape as shown in FIG. 12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deforming portion 730, and the first hard portion 722 is also lowered to the state shown in FIG.

제1 경질부(722)가 상승하기 이전, 제1 경질부(722)의 하면은 회동점(732)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1 경질부(722)의 초기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경질부는 그 상승 이전에 회동점(732)에 비해서 높게 위치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igid portion 722 is illustrated as being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point 732 before the first rigid portion 722 is raised, As shown in FIG. Thus, the first rigid portion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pivot point 732 prior to its elevation.

상승한 제1 경질부(722)는 회동점(732)에 비해 약간 높게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1 경질부(722)의 상승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승한 제1 경질부는 회동점(732)에 비해서 낮게 위치하거나 동일 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Although the raised first hard portion 722 is illustrated as being slightly higher than the pivot point 732, this is also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aised position of the first hard portion 722. Therefore, the raised first hard portion may be located lower or have the same height as the turning point 732. [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8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800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5. FIG.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800)를 각각 예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14는 제1 경질부(822)가 상승하기 이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5는 제1 경질부재(822)가 상승한 상태를 예시한다. Figs. 14 and 15 are sectional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800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first hard portion 822 is raised,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igid member 822 is lifted is illustrated.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800)는, 제1 경질부(822), 변형부(830), 제2 경질부(840) 및 패킹(850)을 구비하는데, 이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700)의 제1 경질부(722), 변형부(730), 제2 경질부(740) 및 패킹(75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800)의 변형부(83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직선 형상을 갖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14 to 15, a vacuum adsorption apparatus 800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ard part 822, a deformed part 830, a second hard part 840, and a packing 850 that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e first rigid portion 722, the deformed portion 730, the second rigid portion 740 and the packing 75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the deformed portion 830 of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 8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shape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 14를 참조하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변형부(830)는 변형되지 않는 직선 형상을 갖는다. 이때 수직 상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경우 도 15와 같이 변형부(830)가 곡선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제1 경질부(822)의 상승을 가능하게 한다. 제1 경질부(822)는 피착면(s)에 대해서 높이 h에서 높이 h'>h)로 상승하는데, 이로 인해 피착면(s)과의 사이에 진공 챔버(c)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4,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deformed portion 830 has a straight shape that is not deformed. 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vertically upward, the deformable portion 830 is deformed into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15, so that the first hard portion 822 can be raised. The first rigid portion 822 rises from the height h to the attachment surface s by a height h '> h, whereby a vacuum chamber 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igid portion 822 and the attachment surface s.

상기 제7 실시예 및 제8 실시예에 따른 진공 흡착장치(700, 800)에서, 제2 경질부(740, 840)의 하부에 장착되거나 부착되는 패킹(750, 850)은 고무재 또는 겔 타입으로 도포되거나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 될 수 있다. 또한, 제2 경질부(740, 840)의 두께는 변형부(730, 83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크게 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vacuum adsorption apparatuses 700 and 800 according to the seventh and eighth embodiments, the packing 750 or 850 attached to or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igid part 740 or 840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or a gel- Or may be integrated in a dual injection mod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rigid portions 740 and 840 may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eformed portions 730 and 8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varied and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진공 흡착장치
120, 220, 320, 420, 520, 620: 흡착부재
160, 260, 360: 조정부재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vacuum adsorption apparatus
120, 220, 320, 420, 520, 620:
160, 260, 360: adjusting member

Claims (10)

내부에 형성된 진공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부재와,
상기 흡착부재와 결합하여 상기 진공챔버가 형성되도록 하는 조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조정부재가 결합하고 상기 조정부재에 의해서 그 위치가 상승할 수 있는 제1 경질부와, 상기 제1 경질부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형상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경질부를 지지하는 제2 경질부를 포함하는 진공 흡착장치.
An adsorption member which is vacuum-adsorbed on the adherend surface by a vacuum chamber formed therein,
And an adjusting member coupled to the adsorbing member to form the vacuum chamber,
Wherein the adsorption member includes a first rigid portion to which the regulating member is coupled and whose position can be raised by the regulating member, a deformable portion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end of the first rigid portion and deformable in shape, And a second hard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ard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har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질부에는 조절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조절돌기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igid portion is formed with an adjusting projection projecting therefrom,
And the adjusting member is screwed with the adjusting proj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재는 상기 제2 경질부의 가압단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질부를 상승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justing member is configured to raise the first rigid por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pressing end of the second rigi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질부, 상기 변형부 그리고 상기 제2 경질부는 동일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변형부는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경질부 및 제2 경질부에 비해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igid portion, the deformable portion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Wherein the deformed portion is formed thinner than the first hard portion and the second hard portion so that the deformable portion can be deformed in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질부와 상기 변형부의 연결 부분 그리고 상기 변형부와 상기 제2 경질부의 연결 부분에는 회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pivotal groove is formed in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rigid portion and the deformable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formable portion and the second rigid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ation portion is formed with a wrink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는 이중 사출에 의해서 상기 제1 경질부 및 제2 경질부와 다른 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formed portion is formed by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hard portion and the second hard portion by double in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의 단부에는 패킹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cking is coupled to an end of the adsorption member.
내부에 형성된 진공챔버에 의해서 피착면에 진공 흡착되는 흡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재는, 제1 경질부와, 상기 제1 경질부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변형이 가능한 변형부와, 상기 변형부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경질부를 지지하는 제2 경질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부재에 대한 하향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변형부 및 제2 변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흡착부재가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진공챔버가 형성되는 진공 흡착장치.
And an adsorption member which is vacuum-adsorbed to the adherend surface by a vacuum chamber formed therein,
The absorbent member includes a first rigid portion, a deformable portion having one end joined to the deformable portion at one end of the first rigid portion, and a second rigid porti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deformable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rigid portion, ,
Wherein the vacuum chamber is formed while the adsorption member is elastically restored by self-elastic restoring force of at least one of the deformed portion and the second deformed portion when the downward pressing force on the adsorption member is remov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그 내부에 변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흡착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dsorption member has a deformation member therein.
KR1020140192992A 2014-01-08 2014-12-30 Vaccum suction device KR201500830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2214 2014-01-08
KR1020140002214 2014-0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020A true KR20150083020A (en) 2015-07-16

Family

ID=5388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992A KR20150083020A (en) 2014-01-08 2014-12-30 Vaccum su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302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10U (en) * 2019-10-29 2019-11-11 창신리빙(주) An adsorb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10U (en) * 2019-10-29 2019-11-11 창신리빙(주) An adsorb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05468A1 (en) Vacuum adsorption apparatus
KR101569087B1 (en) Self sealing suction cup assembly
US11186032B2 (en) Mobile phone screen protector device
US7690610B2 (en) Suction-type holding device
KR101767565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532916B1 (en) Adhesion unit
KR20080021583A (en) Multipurpose sucker
KR101828833B1 (en) A apparatus for attaching a flexible sheet to a curved glass
KR20160108112A (en) suction plate
JP5360921B2 (en) Adhesive-type fixing tool, its fixing method, and handrail structure provided with adhesive-type fixing tool
KR101514737B1 (en) One touch type adsorption unit
KR102343028B1 (en) Vacuum fixture
CN112002232B (en) A laminating frock for curved surface screen
JP2022549219A (en) Vacuum stoppers and stopper-container assemblies
JP2009092107A (en) Sucking tool
KR20150083020A (en) Vaccum suction device
WO2015077658A1 (en) Suction system with reversible dome spring
WO2009068516A3 (en) Suction cup mount
KR20150144948A (en) Vacuum Fixer
JP6741868B2 (en) Adsorption device
KR20210104323A (en) Universal jig for mobile device and assembly device using this
CN107250574A (en) Suction tray and the vacuum cup with the suction tray
US20160053802A1 (en) Sucking disc structure and pad thereof
KR101637855B1 (en) Absoption Pad
KR20150146132A (en) Vaccum s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